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중학생의 동아리활동 경험에 대한 사례 연구

        백선희(Paik, Sunhee),최원석(Choi, Wonseok) 한국홀리스틱융합교육학회 2021 홀리스틱융합교육연구 Vol.25 No.4

        이 연구는 창의적 체험활동의 한 영역인 동아리활동을 중학생들이 어떻게 경험하고 있는지에 대한 사례를 진단하는 것을 주요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연구 당시 고등학교 1-2학년에 재학 중인, 즉 자신들의 중학교 시절의 동아리활동 경험을 전반적으로 얘기해 줄 수 있는 학생 다섯 명을 대상으로 개별 면담을 진행하고 이를 바탕으로 동아리 참여의 계기, 봉사활동 및 진로활동과의 연계, 동아리활동에서의 이벤트, 동아리활동을 통한 성장, 다시 기회가 주어진다면 같은 동아리를 선택할 것인지, 중학교와 고등학교에서의 동아리활동의 관련성에 대해 결과를 정리하였다. 면담 참여 학생들은 교사의 권유, 취미와 적성, 진로 등을 위해 동아리활동을 선택하였고, 이러한 활동들은 진로보다는 봉사활동과 연계하여 진행되고 있었다. 각종 학교 행사에서 동아리활동과 연계된 발표나 공연을 할 기회를 가졌고, 동아리활동 내용과 관련된 성장과 개인의 인성적 성장을 경험할 수도 있었다. 그러나 막상 다시 같은 동아리를 선택하겠다는 학생은 소수였으며 중학교와 고등학교에서의 동아리활동의 관련성은 있는 경우도 그렇지 않은 경우도 있었다. 다섯 개의 사례는 대부분 창의적 체험활동 각론에서 명시한 동아리활동의 목표를 상당 부분 달성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더욱 유의미한 동아리활동 경험을 제공하기 위해서는 학교 교육과정 상의 노력과 지역사회와의 연계 등이 더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cases of how junior high school students had been experienced club activities, which was one area of creative experiential activities. For this end, at the time of research, the in-depth individual interviews with high school students were conducted. The interviewees were freshmen or sophomore of N high school because they could tell their experiences during junior high school days with overall perspective. The interview questions consisted of why they chose certain types of clubs, whether club activities were related to career activities and service activities which were another areas of creative experiential activities, whether they had opportunities to participate in any events in order to present their club activities, what improvements they could made through club activities, whether they would choose the same club if they could, and whether their high school club activities were influenced by their junior high school club activities. Based on the findings of the study, some suggestions to improve club activities in junior high schools as well as high schools were discussed.

      • 청소년 동아리활동이 리더십생활기술에 미치는 영향

        최창욱,김정주,송병국 미래를 여는 청소년학회 2005 미래청소년학회지 Vol.2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ere to investigate leadership life skills' relationship with youth circle activities participation variables and to examine the effects of youth circle activities participation on the leadership life skills. Data for this study were collected from 1,814 students in middle and high schools, and 1,808 responses were analyzed after data screening. The SPSS for Windows were used to analyze the data. Frequency, percentage, t-test, ANOVA, optimal scaling regression, and LSD test for post-hoc interpretation were employed to analyze the data with a statistical significance level of .05.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results of ANOVA and t-test revealed that 7 youth circle activities patricipation variables(participating circle numbers, circle types, years in circle, leader or not in that circle, level of participation, level of satisfaction, level of supporting) influenced the youth leadership life skills. Second, As a result of optimal scaling regression analysis, these 7 variables accounted for 11.8% of the variance of youth leadership skills. And among these 7 variables, level of participation, level of supporting, and years in circle were identified as the comparatively important determinants of youth leadership life skills. 이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 동아리활동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청소년 동아리활동 참여와 리더십생활기술의 차이를 검증하고, 청소년 동아리활동 참여가 리더십생활기술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것이었다. 이 연구의 대상은 동아리활동에 참여하고 있는 전국의 중·고등학교 청소년 1,808명이었다. 성별로는 남자 34.8%, 여자 64.8%이었고, 학교급별로는 중학교가 30.4%, 인문고가 44.3%, 실업고가 22.3%였다. 지역별로는 서울특별시가 32.6%, 광역시가 25.1%, 중소도시가 30.9%, 군지역이 10.6%였다. 조사도구는 청소년 동아리활동 참여관련 조사도구와 리더십생활기술 조사도구로 구성되어 있다. 청소년 동아리활동 참여관련 조사도구는 동아리수, 동아리 종류, 동아리 가입기간, 동아리 임원여부, 동아리 참여정도, 동아리활동 만족정도, 외부의 동아리활동 지원정도 등 7개로 설정하였다. 청소년 리더십생활기술 조사도구는 최창욱(2001)의 연구에서 개발한 것을 사용하였다. 이 연구에서 나타난 주요 결과 및 함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참여한 동아리수가 많고, 비공식/사이버동아리 참여하며, 가입기간이 길고, 임원 경험이 있으며, 동아리 참여에 적극적이고 동아리활동에 만족하고 있으며, 동아리활동에 대한 지원이 많은 동아리에 참여하는 청소년 집단이 그렇지 않은 청소년 집단에 비하여 리더십생활기술 수준이 높게 나타났다. 둘째, 청소년 동아리활동 참여 관련 변수인 활동 동아리수, 동아리 종류, 동아리 가입기간, 동아리 임원여부, 동아리 참여정도, 동아리활동 만족도, 외부의 동아리활동 지원정도 등 총 7개의 변인군에 의해 종속변수인 리더십생활기술 수준의 총 변량의 11.8%를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투입된 설명변수의 종속변수에 대한 영향력은 열성적으로 참여하고, 외부의 지원이 많은 동아리에 참여하고, 가입기간이 긴 청소년들의 리더십생활기술에 상대적으로 영향력이 큰 것으로 파악되었다. 동아리활동을 통하여 청소년의 리더십생활기술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청소년들이 열성적으로 참여할 수 있는 여건을 조성하고, 동인을 제공해야 하고, 이를 위한 지원책을 강구할 필요가 있다.

      • KCI등재후보

        창의적 체험활동에서 창의공작발명 동아리 활동이 발명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왕유진 한국실과교육연구학회 2014 實科敎育硏究 Vol.20 No.4

        이 연구는 초등학교 창의적 체험활동에서 창의공작발명 동아리 활동이 학생들의 발명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창의공작발명 동아리 활동 프로그램을 구안하였으며, B광역시 소재 A초등학교 6학년 창의공작발명 동아리 학생 13명을 대상으로 동아리 활동 전과 후의 발명 자기효능감(자기자신감, 수행자신감, 성취기대감) 차이를 비 교 분석 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를 통해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창의공작발명 동아리 활동은 초등학생들의 발명 자기효능감 중에서 발명 자기자신감과 발명 성취기 대감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창의공작발명 동아리 활동 프로그램이 학생들 에게 주어진 발명 과제를 접했을 때 실제적이고 도전적으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는 발명 사고 능력 에 대한 자신의 신념과 발명 과제 수행에 있어서 좋은 산출물을 만들거나 결과물에 대한 발표 및 평 가에 대하여 만족할 만한 결과를 얻을 수 있다는 결과에 대한 신념을 높여주는데 도움을 주는 활동임 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창의공작발명 동아리 활동과 발명 자기효능감의 긍정적인 관계를 통하여 초등학교 창의적 체험활동에서 발명관련 동아리 활동의 확대 개설과 발명 동아리 활동을 지속적이고 효과적으로 전 개해 나갈 수 있는 프로그램 및 콘텐츠의 개발 보급이 필요하다고 하겠다. This study sought to identify the effects of students' creative crafting and invention club activities on their self-efficacy of invention in elementary schools' creative experiential activities. To that end, a creative crafting and invention club activity program was designed. Also, targeting 13 6th-grade students engaging in creative crafting and invention clubs in Elementary School A in City B, the difference in self-efficacy of invention (self confidence, self confidence in accomplishment, and expectation for achievement) before and after the club activity was analyzed.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derived as follows. Creative crafting and invention club activities had positive effects on self confidence in invention and expectation for achievement of invention of self efficacy of invention factors. This suggests that creative crafting and invention club activity programs can boost the students' self-belief on invention and thinking ability to solve given invention tasks, as well as their self-belief that they can produce good outputs from the given invention task or earn a satisfactory result in the presentation and evaluation of such an output. Thus, using the positive relations between creative crafting and invention club activities and self -efficacy of invention, invention club activities in elementary schools' creative experiential activities should be boosted, and programs and contents should continue to be developed and spread to conduct invention club activities continuously and effectively.

      • KCI등재

        초,중등학생의 동아리활동과 봉사활동에 대한 교사와 학생의 인식 분석

        한유경 ( You Kyung Han ),정성수 ( Sung Ki Kim ),김성기 ( Sung Ki Kim ),정제영 ( Jae Young Chung ) 경북대학교 중등교육연구소 2012 중등교육연구 Vol.60 No.4

        본 연구는 최근 학교폭력으로 점철된 학교의 문화를 선진화하기 위해서는 학생자치활동이 활성화되어야 한다는 문제의식 하에, 초ㆍ중등 학교의 학생동아리 및 봉사활동에 대한 교사와 학생의 인식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를 토대로 학생동아리와 봉사활동이 나아가야할 방향을 제언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동아리 및 봉사활동이 이제는 질적인 모색을 해야 할 시기이므로 학생 스스로 운영하는 동아리활동을 활성화해야 한다. 둘째, 동아리활동을 활성화하기 위해서는 정부, 학교, 지역사회가 협력하여 적극적인 지원을 해야 한다. 셋째, 우수 동아리에 대한 행·재정적 지원을 강화해야 한다. 이를 위해 취미 중심의 동아리뿐만 아니라 교과학습과 연계한 학술동아리, 창업동아리 등 우수한 동아리를 발굴하여 지원해야 한다. 넷째, 학생들이 자신의 욕구와 적성에 맞는 봉사활동을 할 수 있도록 봉사활동 기관을 확대하여야 한다. 다섯째, 교육과정 내에서 실시하는 학교봉사활동이 다양화되어야 하며, 학년별 특정한 날에 전체적으로 실시하는 봉사활동이 아니라 동아리별, 또는 학급단위 등 소단위별 특색있는 꾸준한 봉사활동이 실행되도록 계획하고 지원하여야 한다. 여섯째, 동아리활동으로 계발한 역량을 봉사활동을 통해 발현시킬 수 있도록 동아리-봉사활동 연계 운영을 활성화하여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teachers and students` recognition of the students` autonomy activities especially focusing on the students club and voluntary service activities. This study used on-line survey to 100,000 students and teachers, and received about 40,000 numbers of questionnaires. The results based on the questionnaire survey are as follows. Firstly, it`s time to think about quality of the students` club and voluntary service activities. Therefore we need to vitalize students` activities managed by students themselves. Secondly, government, regional community and schools altogether need to build cooperative system to revitalize students` club activities. Thirdly, administrative and financial support should be given to the excellent student club and service activities. Fourthly, voluntary service institutions need to be expanded to give students more chance to active according to their needs and aptitude. Fifthly, students` voluntary service activities should be diversified within curriculum. Lastly, the linkage of students club activity and voluntary service activities need to be vitalize to reveal the competencies developed by students various activities.

      • KCI등재

        예술계열 전문대학생의 동아리활동 참여도가 진로결정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 동아리활동의 만족도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최용혁 ( Choi Yong Hyuk ) 한국예술교육학회 2017 예술교육연구 Vol.15 No.1

        대학생활의 여가시간 활용이 주목적이었던 동아리 활동이 현 시대의 최대 화두인 청년실업률과 맞물려 진로와 관련된 활동으로 그 분위기와 정체성이 변화하고 있는 추세이다. 이에 따라 본 연구의 목적은 예술계열 대학생의 동아리활동의 참여도와 만족도가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 분석하여 향후 예술계열 대학의 동아리 관련 정책에 도움이 되는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수도권에 위치한 예술계열 전문대학 3곳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2016년 10월 4일부터 10월 31일까지 약 300부를 배포하여 그 중 288부의 설문지를 최종 분석에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1.0 for Windows를 활용하여 빈도분석, 신뢰도분석, 요인분석과 상관분석 및 회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동아리유형으로는 문화예술관련 동아리가 56.6%로 가장 많이 나타났고, 동아리활동 목적으로는 즐거움을 목적으로 한 학생이 35.1%로 가장 많이 나타났다. 동아리활동의 진로에 도움이 되는 정도에서는 `도움이 되는 편이다`라고 답한 학생이 49.0%로 가장 많이 나타났다. 이상의 동아리 실태를 파악한 결과, 예술계열 대학생들의 문화예술관련 동아리활동은 그들에게 있어 즐거움이자 동시에 진로에 도움이 되는 활동인 것으로 파악되었다. (2)학생들의 동아리활동 참여도가 높아질수록 진로에 대한 준비성, 독립성, 확신성 등이 높아진다고 할 수 있다. (3)동아리활동의 참여도가 진로결정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관계에서 동아리활동 만족도의 조절효과를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예술계열 전문대학의 문화예술관련 동아리 활동이 실제적으로 학생들의 진로에 대한 효능감에 영향을 미친다는 점을 실증규명하였다. 이는 예술계열 학생들에겐 꿈과 창의력을 키울 수 있는 동아리활동이 오히려 틀에 박힌 학교의 취·창업 관련 행정 지원정책보다 실제적으로 진로에 도움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하는 것으로 향후 예술계열 대학의 동아리정책의 방향성을 제시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In what has become a new trend in universities, student clubs are increasingly focusing on career- associated activities rather than the use of leisure time. Thu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some preliminary research material to inform the formation of club activity policies in art institutes by analyzing how students` participation in and satisfaction with club activities affect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Of the 300 copies of the survey that were distributed to students of three art institutes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from October 4th to 31st, 2016, 288 surveys were used in the final analysis. SPSS 21.0 for Windows was used for frequency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factor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regression analysis on the collected data.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regarding the types of clubs, most were related to culture and the arts(56.6%) and most students participated in club activities for the purpose of having fun(35.1%). Most students answered that club activities were `helpful` with regards to the ir career(49.0%). These results suggest that art institute students find club activities related to culture and the arts to be both enjoyable and helpful career-wise. (2) As students participate more in club activities, their readiness, independence, and certainty of their career choice increases. (3) We confirm the moderating role of satisfaction with club activities in the influence of participation in club activities on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This study provides empirical evidence that club activities related to culture and the arts in art institutes have a tangible effect on students` career efficacy. The findings of this study imply that club activities through which students can develop their dreams and creativity can be of more practical help with respect to their careers than the rigid administrative support policies offered by schools, presenting implications for the orientation of club policies at art institutes.

      • KCI등재

        청소년의 동아리활동이 협업능력에 미치는 영향: 자아유능감의 매개를 중심으로

        전자배(Chun, Jabae)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20 한국청소년연구 Vol.31 No.1

        본 연구는 청소년의 동아리활동 참여 양상 및 동아리활동과 협업능력 간의 관계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의 한국아동․청소년패널조사 2018(1차년도) 자료를 활용하여 전국의 중학교 1학년 학생 2,526명을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첫째, 군집분석방법을 활용하여 연구 대상자를 유형화한 결과, 4개 집단(교내․외 동아리 참여군, 교내 동아리 참여군, 교외 동아리 참여군, 참여저조군)으로 구분할 수 있었다. 그중 참여저조군이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였다. 둘째, 교내·외동아리활동의 참여에 있어서 가정의 경제적 수준에 따른 유의미한 차이를 발견할 수 없었다. 셋째, 자아유능감, 협업능력 점수는 교내·외 동아리 참여군이 가장 높았으며, 교외 동아리 참여군, 교내 동아리 참여군, 참여저조군의 순으로 감소했다. 또한, 자아유능감, 협업능력의 점수는 집단 간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넷째, 위계적 회귀분석을 활용하여, 동아리활동이 자아유능감을 매개하여 협업능력에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특기할만한 점은 교외 동아리활동만이 자아유능감의 매개효과가 유의했으며, 교내 동아리활동은 매개효과의 유의성을 발견할 수 없었다. 이와 같은 결과는 청소년의 동아리활동 참여 증진을 위한 원인 탐색, 동아리활동 운영의 내실화를 위한 노력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특히, 교외 동아리활동 참여만이 청소년의 자아유능감 향상에 유의한 영향을 미친다는 점에서, 교내 동아리활동과 지역사회, 청소년단체와의 연계 및 개별적 책무성을 고려한 동아리활동의 설계를 본 연구의 실천적 방향으로 제안하였다. 부모의 사회경제적 지위의 영향을 최소화하는 정책적 기조는 유지하되, 청소년의 동아리활동 참여를 장려하는 정교한 정책의 수립이 필요할 것이다. This study aims to identify participation in adolescents’ club activities and examine the mediating effect of self-competenc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lub activities and collaborative abilities. The dataset of the 1st year of Korean Children and Youth Panel Survey 2018 (KCYPS 2018) was used and 2,526 adolescents were selected. First, adolescents can be classified into four-groups (in/out school clubbers, in-school clubbers, out-school clubbers, and low participators); low participators made up the highest percentage. Second,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social economic status of families across club activities were detected. Third, in/out school clubbers show the highest score in terms of self-competence and collaborative abilities, followed by out-school clubbers, in-school clubbers, and low participators. Fourth, the mediating effect of self-competence was identified. Interestingly, self-competence mediated the effect of out-school club activities on collaborative abilities, not in-school club activities. Based on the above findings, connection club activities within the local community as well as youth groups and highlighting the individual accountability of each club member were suggested.

      • KCI등재

        동아리활동 참여 청소년과 미참여 청소년의 자기효능감 비교

        허철수 ( Chul Soo Hur ),강옥련 ( Ok Yeon Kang ) 한국청소년복지학회 2010 청소년복지연구 Vol.12 No.3

        본 연구의 목적은 동아리활동 참여 청소년과 미참여 청소년의 자기효능감의 차이를 알아보고, 동아리활동 참여 청소년의 개인적 특성 및 동아리활동영역과 활동기간에 따라 자기효능감에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제주도내 현재 동아리활동을 하고 있는 중·고 청소년 652명과 동아리활동을 하지 않는 중·고 청소년 5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불성실하게 응답한 설문지를 제외한 991부의 설문지가 연구 분석에 사용되었다. 연구결과에 의하면, 동아리활동을 하는 청소년들은 동아리활동을 하지 않는 청소년들에 비해 자신의 가치와 능력에 대한 신념이 높고, 학교 동아리나 지역사회 동아리 모두 중학생이 고등학생보다 자신감과 과제난이선호도가 높다. 또한 학교 동아리활동을 하는 청소년들은 남학생보다 여학생이 과제난이선호도가 높으며, 지역사회 동아리에 소속되어 활동하는 청소년들은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자신감이 높다. 활동영역별로는 모험개척활동을 하는 청소년들이 다른 영역에서 활동하는 청소년들보다 자신감이 높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earch the difference of self-efficacy between the youths involved in circle activities and the youths not involved, understand how does affect on the youth`s self-efficacy according to the individual characteristics, kinds of circle activities, activity period of the youths involved in circle activities. To achieve this purpose, we researched 652 the youths involved in circle activities and 500 the youths not involved in circle activities. And then we analyzed the 991 questionnaires without a half-hearted answers. According to this study, the youths involved in circle activities have more confidence for their own values and abilities than the youths not involved in circle activities. In both school-circles and community-circles, the middle school youths have more self-confidence, task difficulty preference than the high school youths. Among the youths involved in school-circles, the girl-youths have more task difficulty preference than the man-youths and the youths involved in community-circles, the man-youths have more self-confidence than the girl-youths. In the kinds of circle activities, the youths involved in adventuring activities have more self-confidence than the youths involved in the other activities.

      • KCI등재

        생활문화 중심의 다문화동아리활동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다문화수용성에 미치는 영향

        이경자(Lee, Kyung Ja),이윤정(Lee, Yun Ju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8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8 No.6

        본 연구는 생활문화 중심의 다문화동아리활동 프로그램을 구안하여 적용한 후 초등학생의 다문화수용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초등학교 1~3학년 다문화가정과 일반가정 학생 20명을 대상으로, 2016년 3월부터 11월까지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생활문화 중심의 다문화동아리활동 프로그램을 적용한 실험집단의 다문화수용성은 전체와 하위 영역 4개 모두 5% 수준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 생활문화 중심의 다문화동아리활동은 초등학 생의 다문화수용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끼쳤음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수업관찰과 학생들의 활동지, 소감문, 학습결과물, 생각나누기 등을 분석한 결과, 친구들과의 관계형성이 좋아졌다. 즉, 다문화가정 학생과 일반가정 학생 상호 간에 보이지 않는 경계의 벽을 해체하였고, 서로 돕고 나누는 활동에서 자연스럽게 친밀한 관계로 발전하였다. 또한 학생들은 다문화에 대한 고정관념과 편견을 해소하려는 의지를 가지게 되어 서로 다름을 인식하였으며, 다양한 관점으로 문화의 다양성을 바라보게 되었다. 뿐만 아니라 학생들은 문화를 함께 공감하고 아름다움을 공유하고 즐거움을 나누는등 다문화적 공감능력도 향상되어, 구안된 생활문화 중심의 다문화동아리활동 프로그램은 다문화수용성 향상에 영향을 끼쳤음이 확인되었다. 이 연구의 결과에 기초하 여 제언을 하면, 다문화동아리를 활성화시키기 위해서는 인근의 학교와 연대하여 다양한 프로그램과 콘텐츠를 개발하고, 서로 정보를 교환하여 학습자들에게 다각적인 다문화적 경험을 확장시킬 필요성이 있으며, 다문화동아리 운영이 일회성이 아닌 지속적인 내용으로 운영되기를 제언한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that was to investigate the changes in the multicultural acceptance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applying the multicultural club activity(MCA) program centered on living culture through quantitative research and qualitative research. For this purpose, the experimental group, which was composed of 20 multicultural and ordinary students in the 1st to 3rd grade of D elementary school in Cheonan-si. The group participated in the MCA program for 9 months from March to November, 2016. The effect after the application was analyzed with that the significance level was set to 5%, Also, to analyze the behavioral changes of the experimental group students on the multicultural acceptance, this researcher observed behavioral changes in the process and conducted a qualitative analysis such as the results of the questionnaires and activitie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MCA centered on living culture had positively influenced the multicultural acceptance of the elementary school students. As a result of verifying the pre-post multi-cultural acceptance scores of the group, it was proved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at the level of 5% in all 4 areas of multi-cultural acceptance. Second, through the MCA, students became better friends with each other. The MCA centered on living culture had disintegrated the walls of the invisible boundary between students from multi-cultural and ordinary students, and they naturally developed intimate relations with helping and sharing each other. Third, the students became aware of differences each other with the MCA centered on living culture. They had a willingness to resolve their inner prejudices about multiculture and there had been a change in the acceptance of multiculture that recognizes different . Fourth, the MCA program allowed students to view cultural diversity from a variety of perspectives. The MCA centered on living culture had brought about changes in multicultural attitudes that respect the diversity of cultures and accept other cultures. Fifth, through life-centered the MCA, students shared the joy of feeling the beauty of culture together. This showed that students had a positive impact on improving their multi-cultural empathy. This study presents the following suggestions based on the positive results. First, this MCA program, which was operated without a comparative group, should be supplemented with research that can obtain statistically significant results from comparison between experiment group and comparison group. Second, this study was limited to lower grade students, and follow-up studies should be conducted on the operation of the MCA for upper grade. Third, In order to revitalize multicultural clubs, it was necessary to develop diverse programs and contents in cooperation with neighboring schools, and to exchange information with each other to expand multicultural experiences.

      • KCI등재

        초등학교 창의적 체험활동 티볼 동아리 운영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

        배명훈(Bae, Myeong Hun) 한국체육교육학회 2021 한국체육교육학회지 Vol.26 No.2

        목적: 이 연구는 2015 개정 교육과정 창의적 체험활동에 근거하여 티볼 동아리를 운영한 한 교사의 경험을 살펴보고, 이를 통해 창의적 체험활동 영역 스포츠 동아리 활동의 교육적 의미를 탐구하고자 하였다. 방법: 연구 목적 달성을 위해 내러티브 연구방법을 활용하였다. 먼저 실제 티볼 동아리를 운영한 교사를 연구참여자로 선정하여 면담을 실시하였으며, 그 외 참여관찰, 문서자료, 연구노트, 사진 및 동영상자료 수집을 병행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내러티브 3차원 탐구 공간과 4가지 방향성을 고려하여 넓게 보기(broadening), 깊이 살펴보기(burrowing)를 활용해 분석하였다. 결과: 결과는 자료 분석을 통해 ‘이야기하기’와 ‘다시 이야기하기’ 로 구성하였다. ‘이야기하기’는 다시 ‘코로나 시대의 신체활동 동아리 운영’, ‘동아리 준비’, 고정적이지만 탄력적 신체활동 구조‘, ’동아리 활동 종료‘로 범주화하여 연구참여자의 동아리 운영 계기와 활동 준비, 실행, 종료 과정의 양상을 살펴보았다. ‘다시 이야기하기’는 이야기하기의 내용을 확장하여 창의적 체험활동에 기반한 스포츠 동아리 활동의 교육적 의미를 분석하였으며, ‘모두를 위한 수월성’, ‘학교체육 스펙트럼의 확장’으로 범주화하여 학교체육 활성화 방안의 하나로서 동아리 활동의 의미를 탐색하였다. 결론: 동아리 활동은 창의적 체험활동에 기반을 두고 있고, 자율적 선택에 의해 특정 종목을 집중적으로 학습할 수 있다. 따라서 체육수업과 같이 안정적 시간 확보한 가운데 학교스포츠클럽과 같이 원하는 종목의 심화학습이 가능하기 때문에 학생들의 신체 활동 활성화에 기여할 수 있다. Purpose: this study examines the experience of a teacher who operated a t-ball club based on the creative experiential activities of the 2015 revised curriculum, and through this, seeks to explore the educational meaning of sports club activities in the area of creative experience activities. Methods: Narrative research method was used to achieve the research purpose. First, interviews were conducted by selecting a teacher who actually operated the T-Ball club as a research participant, and in addition, participation observation, document data, research notes, photographs and video data were collecte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broadening and burrowing in consideration of three-dimensional narrative inquiry space and four directions of backward and forward, inward and outward. Results: The results consisted of "storytelling" and "re-storytelling" through data analysis. "storytelling" described in detail the motives of the research participants" club operation and the process of preparing, executing, and ending the activities. "re-storytelling" analyzed the educational meaning of club activities, and described them as "excellence for all" and "expansion of the school sports spectrum". Conclusion: Club activities are based on creative experiential activities, and specific sports can be intensively performed by autonomous selection. Therefore, it can contribute to the vitalization of physical activity of students because it is possible to learn in-depth learning of the desired sport, such as school sports clubs, while securing stable time such as physical education classes.

      • KCI등재

        청소년의 동아리 활동이 인터넷 게임중독 수준에 미치는 영향

        유비 ( Bee Ryou ) 한국청소년복지학회 2013 청소년복지연구 Vol.15 No.2

        본 연구는 청소년들의 인터넷 게임중독을 예방하기 위한 대안적 놀이문화로써 동아리 활동을 주목하여, 동아리 활동이 인터넷 게임중독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관련 선행연구들을 검토한 결과, 단순히 동아리 활동의 활동시간과 게임중독 수준과의 관계를 다룬 연구가 대부분이었기에 본 연구는 동아리 활동이 게임중독 예방에 기여할 수 있는 다양한 측면을 고려하여 동아리 활동의 활동시간과 활동몰입, 또래관계, 교사관계가 게임중독 수준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분석 자료로는 서울과 경기도에 소재한 학교, 지역사회복지관, 수련관에서 동아리 활동을 수행하고 있는 청소년 388명의 사례가 활용되었고 분석은 상관분석과 위계적 회귀분석을 통해 이루어졌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동아리 활동의 활동시간, 활동몰입, 또래관계는 인터넷 게임중독 수준과 부적인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둘째, 동아리 활동시간은 활동몰입, 또래관계, 교사관계를 제외한 회귀모델에서 게임중독 수준에 부적인 영향을 나타냈고 활동시간을 통제한 다음단계의 회귀모델에서는 몰입과 또래관계가 게임중독 수준에 부적인 영향을 나타냈다. 이를 통해 인터넷 게임중독을 예방할 수 대안적 놀이문화로써 동아리 활동이 기능하기 위해서는 활동시간뿐만 아니라 활동몰입과 원만한 또래관계의 증진이 필요하다는 것을 확인하였고, 인터넷 게임중독 예방을 위한 동아리 활동의 발전방향을 논의하였다. This study`s purpose is to test about the effect of Youth club activity on Internet game addiction. In contrast to the inadequateness of previous study that dosen`t consider muliti dimension of youth club activity, this study is spotlight to youth club activity`s the participation time and the flow of youth club activities, the peer relationship, the teacher relationship In order to test the participation time and the flow of youth club activities, the peer relationship, the teacher relationship on internet game addiction level, this study conducted a self-recoding survey of youths who conduct club activity, and 388 questionnaires were used for analysis. The analysis has performed by correlation analysis, and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for hypothesis testing. The analysis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The participation time of club activities and the teacher relationship do not affect on the internet game addiction level, But The flow of youth club activities and the peer relationship affect positively on the internet game addiction level. Thus club activity`s development plan for the prevention of internet game addiction, which extend club activities flow and peer relationship.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