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초등학생의 발명교육 경험에 따른 진로성숙도 차이 비교

        왕유진,문대영 한국실과교육학회 2014 한국실과교육학회지 Vol.27 No.2

        This study sought to identify the effect of elementary school children's experience in invention education on their career path maturity levels. Towards that end, children's career path maturity levels according to their experience in invention education, and career path maturity levels according to school years and gender were compared and analyzed. 32 talented children in fifth and sixth years under A Education Support Office in B City, and 83 children in fifth and sixth years under the control of the same office were sampled and surveyed.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outlined as follows. First, career path maturity levels according to children's experience in invention education were higher for those with such education than for those without such education, suggesting that there is a need to continue to expand opportunities for children to receive invention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s. Notably, the revised curriculum has reflected invention education as a normal text unit, which was found to be very desirable for children to raise their career path maturity levels. Second, with regard to children's experience in invention education, career path maturity levels according to school years were significantly higher both for talented children who continued to receive such education, and for students who had invention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s; career path maturity levels were higher for fifth graders than for sixth graders. This suggests that the earlier the invention education begins in elementary schools, the higher the career path maturity levels may be. Third, with regard to children's experience in invention education, career path maturity levels according to gender were not significant for talented children, and for students who had experience in invention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s. This suggests that gender, regardless of having experience in invention education, is not a variable that influences children's career path maturity levels. 이 연구는 초등학생들의 발명교육 경험 여부가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수행되었으며,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초등학생들의 발명교육 경험 여부에 따른 진로성숙도 차이와 학년 및 성별에 따른 진로성숙도 차이를 비교 분석하였다. 연구의 대상자는 B광역시 소재 A교육지원청 소속의 지역영재원(발명) 5~6학년 학생 32명, 같은 교육지원청 소속 초등학교 5~6학년 학생 83명을 표집 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생의 발명교육 경험에 따른 진로성숙도는 발명교육 경험이 있는 학생들이 발명교육 경험이 전혀 없는 학생들보다 진로성숙도 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초등학교에서 지속적으로 학생들에게 발명교육을 접할 수 있는 기회를 확대할 필요성을 의미하며, 특히 개정교육과정에서 발명교육이 정규교과 단원으로 반영되는 점은 초등학생들의 진로성숙도를 높이는데 있어 매우 바람직한 현상임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초등학생의 발명교육 경험에서 ‘학년’에 따른 진로성숙도는 지속적으로 발명교육을 받은 지역영재원 학생들과 초등학교에서 발명교육의 경험이 있는 학생들 모두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는데, 학년이 높은 6학년 학생보다 학년이 낮은 5학년 학생들의 진로성숙도 수준이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초등학교에서 발명교육을 시작할 때 낮은 학년의 학생들부터 발명교육을 적용함이 진로성숙도 측면에서 유리할 수 있다는 점을 시사한다고 하겠다. 셋째, 초등학생의 발명교육 경험에서 ‘성별’에 따른 진로성숙도는 발명 지역영재원 학생들과 초등학교에서 발명교육 경험이 있는 학생들 모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이는 발명교육의 경험과 상관없이 ‘성별’은 초등학생들의 진로성숙도에서 영향을 미치는 변수가 아님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발명교육과 진로성숙도의 긍정적인 관계를 바탕으로 정규교과에서 지속적이고 효과적으로 발명교육을 실행할 수 있는 다양한 프로그램 및 컨텐츠가 개발될 필요가 있다고 생각된다.

      • KCI등재후보

        초등학생의 발명교육 경험이 발명태도에 미치는 영향 비교

        왕유진 대한공업교육학회 2014 대한공업교육학회지 Vol.39 No.1

        Education about invention in elementary schools has thus far be conducted mostlythrough special activities and talented activities rather than through normal curricula. However, with the implementation of the 2007 amended curricula, invention educationwas reflected as a normal subject unit in the practical subject (technology and homeeconomics) curricula, thereby laying groundwork for invention education being able tobe provided through normal subject classes. Thus, at the time when invention educationhas been reflected as a normal subject unit, it is meaningful to research the effects ofelementary school students' experience in invention education on their inventionattitudes. This study sought to research the effect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experience ornon-experience in invention education on their invention attitudes, targeting those inregional talent private schools who did not take invention talent classes, those whoreceived invention education, and those who did not receive invention education at all. The conclusion of this study is outlined as follows. First, students' experience in invention education proved to be positive in boostingtheir invention attitude, and continued invention education experience like with studentsin regional talent invention schools significantly boosted their invention attitudes. Second, considering that students' actual experience in invention education hadpositive effects on their invention attitudes, the reflection of invention education in theamended curricula was found to be very desirable in improving elementary students'attitudes about invention. Third, according to gender, male students' invention attitude level was found to behigher than that of female students, suggesting that male students more worked oncomputers , electronic (smart) devices and machines in daily life, leading them tofurther develop invention attitudes. 지금까지 초등학교에서 발명교육은 정규교과를 통하여 이루어지기보다는 특별활동이나 재량활동을 통해서 이루어진 것이 대부분이었지만 2009개정 교육과정이 시행되면서 실과(기술․가정)교육과정에 발명교육이 정규교과 단원으로 반영되어 학교정규교과 수업을 통한 발명교육이 이루어 질 수 있는 기반이 조성되었다. 따라서 발명교육이 정규교과 단원으로 반영되는 시점에서 발명교육의 경험 여부가 초등학생들의 발명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것은 의미 있는 일이다. 이 연구는 초등학생의 발명교육 경험 여부에 따른 발명에 대한 태도를 알아보는것으로 발명영재수업을 받은 지역영재원 학생과 일반 초등학교에서 발명교육을 받은 학생, 발명교육을 전혀 받지 못했던 학생들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통해 비교분석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발명교육의 경험은 학생들의 발명에 대한 태도 수준을 높이는데 긍정적인효과가 있는 것으로 검증되었으며, 발명 지역영재원 학생들과 같이 지속적인 발명교육의 경험은 발명태도 수준을 높이는데 더 큰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둘째, 학생들이 실제로 경험하는 발명교육이 발명태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점을 감안해 볼 때, 개정교육과정에서 발명교육이 정규교과 단원으로 반영되는 점은초등학생들의 발명태도 증진에 매우 바람직한 현상임을 알 수 있었다. 셋째, 성별에 따라서 남학생들의 발명태도 수준이 여학생들의 발명태도 수준 보다높게 나타났는데, 이는 일상생활에서 컴퓨터나 전자(스마트기기) 및 기계장치를 더욱가까이하는데 기인한 것으로 남학생들이 발명에 대한 태도에 더 긍정적임을 알 수있었다.

      • KCI등재

        영재교육 담당교원 직무연수 대상자들의 관심도 분석 및 교사연수 후 변화

        왕유진,박선화 韓國英才學會 2014 영재교육연구 Vol.24 No.6

        이 연구는 관심중심수용모형(Concern-Based Adoption Model)을 통해서 영재교육 담당교원 직무연수 연수대상 교사들의 영재교육에 대한 단계별 관심도와 연수 후 관심도 변화 수준 차이를 분석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B광역시 영재교육진흥원에서 주관한 2014학년도 초 . 중등 영재교육 담당교원 직무연수에 참여하였던 연수 교원 162명 중에서 설문에 성실하게 응답해준 102명을 대상으로 교사들의 변인별(성별, 학교 급별, 과목별) 영재교육에 대한 관심도와 연수 전과 후의 관심도 차이를 분석하였다. 이 연구를 통해 영재교육 담당교원 기초과정 직무연수는 영재교사를 양성하고 영재교육에 대한 저변확대를 위해서 반드시 필요한 연수이며, 연수대상 교사들에게 영재교육에 대한 자신감을 향상 시켜주고 관심도에 대한 필요를 충족시켜주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rough the concern-based adoption model (CBAM), this study aimed to determine the differences in gifted-education OJT-received teachers' concerns about gifted education by stage before and after the OJT. This study surveyed 162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 teachers who participated in 2014 gifted-education OJT hosted by City B's Gifted Education Promotion Institute, and of them, 102 effective questionnaires were analyzed to determine the difference in their concerns about gifted education by variable (gender, school grade, and subject) before and after the OJT. This study found that the OJT was essential to foster gifted-education teachers and to expand their basic knowledge and skills for gifted education, and that the OJT boosted the teachers' confidence and met their needs.

      • KCI등재

        2008년 개정 특수학교 기본 교육과정 초등실과 교과서와 중등직업 교과서의 연계성 분석

        왕유진,최유현 한국실과교육학회 2010 한국실과교육학회지 Vol.23 No.1

        Purpose of this research wishes to analyze appropriateness availability in a reciprocity connection between 'practical arts' text book and elementary&secondary school through content analysis for 'vocation education' text book technology area of secondary school of elementary school which is enforced newly by revised basic curriculum for special school in 2008. Established analysis subject for connection analysis by method of study, and made analysis authority cited model 4 comparison element of 'Concept/principle(contents)', 'Number(page) of unit', 'Picture/photograph(chart inclusion)', 'Learning activity items' and 4 analysis authority cited of 'Repeat', 'Development', 'Differential', 'Reduction' on the basis of preceding research, and executed analysis through this. Through this research, conclusion that get is as following. Manipulation of 'Learning activity items', to experience was come in substance about 'to utilize a skill(skill) part work tool' for phase 'Repeat', and for phase 'Development' 'Concept/principle(contents)', 'Number(page) of unit', 'Picture/photograph(chart inclusion)', 'Busywork particulars', back all of the most member of party were come. 'Concept/principle(contents)' and part 'Picture/photograph(chart inclusion)' come among comparison element of unit for phase 'Differential'. Appear in 'Concept/principle(contents)' among comparison element of some units for phase 'Reduction', and come unit is 'to cultivate agriculture part plant(raise vegetables)', 'to work skill(skill) subassembly(to make)'. But, all comparison elements were corresponded to 'Reduction' in 'to foster an agriculture part animal' section. Therefore, technology area connection of a basic curriculum 'practical arts' text book of elementary school and 'vocation education' text book of secondary school was displaying very high appropriateness availability in connection contents reciprocity between contents system and unit between denouement by three part(agriculture, a technology, home economics), and result of this research becomes necessary basic data so that practical arts/vocation education subject instigations guides studying contents efficiently in education spot and may be used to reference data in forward basic curriculum of study 'practical arts' text book composition. 이 연구의 목적은 2008년 개정 특수학교 기본 교육과정에 의해 새롭게 실시되고 있는 초등학교의 실과 교과서와 중등학교의 직업 교과서 기술영역에 대한 내용 분석을 통해 초등․중등학교의 상호연계성 면에서 적절성 여부를 분석하고자 하는 것이다. 연구방법으로는 연계성 분석을 위해 분석 대상을 설정하였고, 선행 연구를 토대로 분석 준거모형을 ‘개념/원리(내용)’, ‘소단원의 수(페이지)’, ‘그림/사진(표 포함)’, ‘학습활동 내역’의 4가지 비교 요소와 ‘반복’, ‘발전’, ‘격차’, ‘축소’의 4가지 분석준거로 만들었으며, 이를 통하여 분석을 실시하였다. 이 연구를 통하여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반복’단계에는 ‘기술(기능)부분 작업 도구 활용하기’에 관한 내용에서 ‘학습활동 내역’의 다루기, 체험하기가 해당되었으며, ‘발전’단계에는 ‘개념/원리(내용)’, ‘소단원의 수(페이지)’, ‘그림/사진(표 포함)’, ‘학습활동 내역’, 등 대부분의 단원이 모두 해당되었다. ‘격차’단계에는 해당 단원의 비교 요소 중에서 ‘개념/원리(내용)’과 ‘그림/사진(표 포함)’ 부분이 해당되었으며, ‘축소’단계에는 몇 몇 단원의 비교 요소 중에서 ‘개념/원리(내용)’에서 나타나며, 해당되는 단원으로는 ‘농업부분 식물 가꾸기(채소 가꾸기)’, ‘기술(기능)부분 조립(만들기) 작업하기’이다. 그러나 ‘농업부분 동물 기르기’ 단원에서는 모든 비교 요소가 ‘축소’에 해당 되었다. 따라서 기본교육과정 초등학교 실과 교과서와 중등학교 직업 교과서의 기술영역 연계성은 세부분(농업, 기술, 정보)에 의한 대단원간 내용체계와 소단원의 상호관련 내용면에서 매우 높은 적절성을 나타내고 있었으며, 이 연구의 결과는 교육현장에서 실과/직업 교과 교사들이 효율적으로 학습 내용을 지도하는데 필요한 기초자료가 되고 앞으로의 기본교육과정 실과 교과서 구성에 참고자료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후보

        국내 초등발명교육의 연구 동향 분석

        왕유진,김태훈,박수진,이한규 한국실과교육연구학회 2010 實科敎育硏究 Vol.16 No.3

        이 연구는 1980년대 발명교육의 시작부터 2010년 2월까지 이루어진 국내 초등발명교육 연구의 동향을 학위논문과 학술지 논문을 중심으로 분석하고 고찰하여 올바른 연구방향을 제시할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연구방법으로는 76편의 분석 대상 논문을 선정하고, 관련문헌 고찰을 통하여 발표지 유형, 연구주제, 연구방법, 연구자 특성을 준거로 설정하였으며, 3명의 연구진이 1, 2차에 걸쳐 분석 및 협의를 실시하였다. 이를 통하여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발명교육 연구의 발표지 유형은 학술지 논문이 학위논문 보다 좀 더 많았으며, 둘째, 초등발명교육의 연구주제는 동향은 교수·학습 및 교육과정에 대부분 편중되어 있었다. 셋째, 연구에서 주로 사용되어진 연구방법은 조사연구와 실험연구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사례연구와 내용분석연구도 일부 사용되었으나 발달연구와 인과비교연구는 사용되지 않았다. 넷째, 연구자 특성에서 연구자의 구성은 단독 연구자가 공동 연구자보다 많았으며, 연구자의 대부분이 대학교에 소속을 두고 있었다. 또한 연구자의 소재 지역은 다른 지역보다 서울·경기권과 충청권에 편중되어 있었다.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analyze and consider the study trend of domestic elementary invention education on the basis of thesis for degree and thesis in journals from the starting of invention education in 1980s to Feb. 2010 and to suggest a right direction of study. The study selected 76 theses and set up type of presentation statement, subject of research, method of research and researcher’s features as its standard through consideration of related literature. Three researchers carried out analysis and consultation twice.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in type of presentation of study on elementary invention education, theses in academic journals were more than theses for degree. Second, instudy subject of elementary invention education, most of trends were inclined to teaching, learning and curriculum. Third, the theses used survey study and experimental study for the most part. Case study and contents analysis study were partially used. However, development study and causal comparative study were not used. Fourth, in researcher’s features, independent researchers were more than joint researchers. Most of researchers belonged to universities. And researchers’ location was inclined to Seouland Gyeonggi area and Chungcheong area.

      • KCI등재후보

        창의적 체험활동에서 창의공작발명 동아리 활동이 발명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왕유진 한국실과교육연구학회 2014 實科敎育硏究 Vol.20 No.4

        이 연구는 초등학교 창의적 체험활동에서 창의공작발명 동아리 활동이 학생들의 발명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창의공작발명 동아리 활동 프로그램을 구안하였으며, B광역시 소재 A초등학교 6학년 창의공작발명 동아리 학생 13명을 대상으로 동아리 활동 전과 후의 발명 자기효능감(자기자신감, 수행자신감, 성취기대감) 차이를 비 교 분석 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를 통해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창의공작발명 동아리 활동은 초등학생들의 발명 자기효능감 중에서 발명 자기자신감과 발명 성취기 대감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창의공작발명 동아리 활동 프로그램이 학생들 에게 주어진 발명 과제를 접했을 때 실제적이고 도전적으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는 발명 사고 능력 에 대한 자신의 신념과 발명 과제 수행에 있어서 좋은 산출물을 만들거나 결과물에 대한 발표 및 평 가에 대하여 만족할 만한 결과를 얻을 수 있다는 결과에 대한 신념을 높여주는데 도움을 주는 활동임 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창의공작발명 동아리 활동과 발명 자기효능감의 긍정적인 관계를 통하여 초등학교 창의적 체험활동에서 발명관련 동아리 활동의 확대 개설과 발명 동아리 활동을 지속적이고 효과적으로 전 개해 나갈 수 있는 프로그램 및 콘텐츠의 개발 보급이 필요하다고 하겠다. This study sought to identify the effects of students' creative crafting and invention club activities on their self-efficacy of invention in elementary schools' creative experiential activities. To that end, a creative crafting and invention club activity program was designed. Also, targeting 13 6th-grade students engaging in creative crafting and invention clubs in Elementary School A in City B, the difference in self-efficacy of invention (self confidence, self confidence in accomplishment, and expectation for achievement) before and after the club activity was analyzed.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derived as follows. Creative crafting and invention club activities had positive effects on self confidence in invention and expectation for achievement of invention of self efficacy of invention factors. This suggests that creative crafting and invention club activity programs can boost the students' self-belief on invention and thinking ability to solve given invention tasks, as well as their self-belief that they can produce good outputs from the given invention task or earn a satisfactory result in the presentation and evaluation of such an output. Thus, using the positive relations between creative crafting and invention club activities and self -efficacy of invention, invention club activities in elementary schools' creative experiential activities should be boosted, and programs and contents should continue to be developed and spread to conduct invention club activities continuously and effectively.

      • KCI등재

        창의발명교육 프로그램이 초등영재학생들의 창의적 인성에 미치는 효과

        왕유진 한국실과교육학회 2014 한국실과교육학회지 Vol.27 No.3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 of the Creative Invention Education Program (CIEP) on the fostering of a creative personality in gifted elementary students. Toward that end, under CIEP, changes in the creative personalities of gifted elementary students (GES) and differences therein by gender were compared and analyzed. A total of 158 fifth-grade GES (in mathematics and science courses) from the Children Hall's Gifted Elementary Students Education Institute in City B were sampled as the subjects.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CIEP enhanced the creative personality of all the subjects. This points to a need to expand invention education opportunities not only in intensive classes but also in normal semestral courses. This also suggests that to foster creative talents, a new CIEP must be developed and firmly established so that invention education may be expanded to different gifted education courses. Second, GES's creative personalities by subfactor under CIEP had significant effects on all the factors, except on self-confidence and adventurism, in mathematics. This points to a need to consider self-confidence and adventurism factors in the development of CIEP, and suggests that CIEP can be better used to enhance the creative personality of GES in science courses rather than in mathematics courses. Third, under CIEP,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creative personalities by gender of the GES, which suggests that gender does not influence the formation of a creative personality among GES. However, among the subfactors of creative personality development, imagination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the female GES showed greater imaginativeness than the male GES. A creative personality falls under the emotional realm; thus, regardless of the gender, a creative personality is considered more significantly influenced by personal inclinations and test situations. 이 연구는 창의발명교육 프로그램이 초등영재학생들의 창의적 인성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서 수행되었으며,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초등영재학생들의 창의발명교육 프로그램 적용에 대한 창의적 인성 변화와 성별에 따른 창의적 인성 차이를 비교 분석하였다. 연구 대상자는 B광역시 어린이회관 초등영재교육원 소속의 초등영재(수학과정 ․ 과학과정) 5학년 학생 160명 중에서 결석자를 제외한 158명을 선정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창의발명교육 프로그램은 초등영재교육원 수학과정 영재학생들과 과학과정 영재학생들 모두에게 창의적 인성을 높이는데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는 초등영재학생들의 창의․인성교육을 강화하기 위한 방안으로 영재학생들에게 집중수업에서 뿐만 아니라 학기 중 프로그램에서도 발명교육의 기회를 확대할 필요성을 의미하며, 앞으로 창의인재 양성을 위해 새로운 창의발명교육 프로그램의 개발과 프로그램의 내실화를 통하여 다른 과정의 영재교육으로도 발명교육 프로그램이 보급 및 확대되어야 함을 시사한다고 하겠다. 둘째, 창의발명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초등영재학생들의 하위 요인별 창의적 인성은 수학과정에서 ‘자기확신’, ‘모험심’ 요인을 제외한 나머지 요인들에서 모두 유의한 효과를 나타내었다. 이는 창의발명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할 때 ‘자기 확신’ 요인과 ‘모험심’ 요인을 고려해서 개발될 필요가 있으며, 창의발명교육 프로그램은 수학과정 초등영재학생들 보다 과학과정 초등영재학생들의 창의적 인성을 높이는데 더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음을 말해준다고 하겠다. 셋째, 창의발명교육 프로그램에서 초등영재학생들의 성별에 따른 창의적 인성은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성별’이 초등영재학생들의 창의적 인성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가 아님을 알 수 있었다. 다만 창의적 인성의 하위 요인 중에서 ‘상상’ 요인은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 초등영재여학생이 남학생들에 비해서 상상력이 높음을 알 수 있었다. 이것은 창의적 인성이 정의적인 영역인 만큼 성별과는 무관하게 개인적인 성향과 검사 상황에 오히려 더 많은 영향을 받는다고 볼 수 있다.

      • KCI등재후보

        발명교육 정규강좌 운영에 따른

        이시원,이경애,정지윤,문대영,김경태,왕유진 부산교육대학교 초등교육연구소 2013 초등교육연구 Vol.28 No.-

        이 연구는 발명교육 정규강좌 운영에 따른 초등 예비교사의 발명교육에 대한 관심도 변화를 확인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B교육대학교 실과교육과 3학년 학생 26명을 대상으로 Hall & Hord(2006)의 관심단계설문지 총35개 문항을 발명교육의 맥락에 맞도록 조정한 설문지를 적용하고 그 자료를 분석하였다. 이 연구를 통해 정규강좌를 통한 발명교육은 무관심한 ‘비사용자’ 단계의 예비교사를 발명교육의 새로운 진입 단계인 ‘초기 사용자’ 단계로 전환 할 수 있도록 도움을 주는 역할을 하였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향후 발명교육의 지속적인 발전과 초등 예비교사의 발명교육에 대한 관심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초등 예비교사의 발명교육에 대한 관심도의 변화를 주기적으로 확인하고, 이 결과들을 교육과정 및 관련 정책 수립에 반영하여야 할 것이다.

      • 초등영재학급 수업프로그램이 영재학생들의 교과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분석

        황영식,왕유진,최성욱 한국심리협회 2014 심리행동연구 Vol.6 No.1

        지금까지 자기효능감은 삶의 모든 분야에서 인간행동을 유도하는 원동력으로 매우 중 요한 심리적 변인으로 취급되어 왔으며 자기효능감과 관련된 연구들이 다양한 분야에서 활발하게 이루어 졌지만, 초등영재학급 수업과 영재학급 학생들의 자기효능감과의 관련 성에 대한 연구는 찾아보기 어려웠다. 따라서 이 연구는 현재 초등학교 영재학급에서 실 시되고 있는 수업 프로그램을 조사하고, 이러한 프로그램이 영재학급 학생들의 교과 자 기효능감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하여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것은 교육현장에서 영재학급 수업을 실행하는 교수자들에게 영재학급 수업(프로그램)과 학습자들의 자기효 능감 관계를 제공함으로써 향후 수업지도와 영재학급 자료 개발에 실질적인 도움을 제 공하기 위함이다. 이 연구를 수행하기 위한 연구 대상으로 부산광역시 서부교육지원청에 소속된 서부1지역공동 영재학급인 A초등학교 영재학급 20명, B초등학교 영재학급 20명, C초등학교 영재학급 20명을 대상으로 선정하였으며, 연구를 위한 실험은 2013년 7월 20 일부터 2013년 10월 26일까지 16주에 걸쳐 집중기 수업 및 출석 수업을 실시하고 학생 들의 교과별 자기효능감 변화여부를 분석 하였다. 설문지 검사는 집중기 수업 전, 집중 기 수업 후, 학기 중(2학기)으로 나누어 검사를 하였다. 서부 1지역 공동 영재학급에서 실시되고 있는 영재학급 수업(프로그램)을 통한 교과 자기효능감(집중기 전, 집중기 후, 학기 중) 검사결과를 비교한 결과 교과 자기효능감(과제난이도 선호, 자기조절 효능감, 자신감)을 높이는데 긍정적인 효과가 있는 것으로 검증되었으며, 특히, 교과 자기효능감 이 높은 학생들보다 상대적으로 낮은 학생들에게 더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한, 공동 영재학급에서 실시되고 있는 영재학급 수업(프로그램)에 대해 영재학생들의 성 별에 따른 교과 자기효능감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다만, 현재 실시되고 있는 영재 수업(프로그램)은 성별에 관계없이 동일하게 영재학급 학생들의 교과 자기효능감을 높이 는데 긍정적인 효과를 나타내고 있음이 검증되었다. 이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영재학급 교재 개발에 있어 교과 자기효능감을 높이는 차원에서 교과 자기효능감이 상대적으로 높은 학생들에게도 자기효능감의 증진 시킬 수 있는 효과적인 방안을 강구할 필요가 있 으며, 지역공동 영재학급을 위해 상위교육기관에서는 지속적인 교재 개발 및 보급을 통 하여 영재학급 학생들이 바른 영재교육을 받을 수 있도록 실질적인 도움을 줄 필요가 있다. The aim of this study is therefore to investigate the gifted programs currently offered at elementary schools and analyze the effects of those programs on the self-efficacy of gifted students by subject area. The study ultimately intends to provide teachers running actual gifted programs with practical assistance in guiding instruction and resources for gifted students by suggesting the relationship between gifted programs and the self-efficacy of learners. As study subjects, 20 students were selected from A elementary school, 20 from B elementary school, and 20 from C elementary school, who were enrolled in the Western Region 1 Common Gifted Program under the supervision of the Western Busan Office of Education. The research experiment was conducted in intensive classes and regular classes for 16 weeks, from July 20 to October 26, 2013, and then change in the students’ self-efficacy by subject area was analyzed. The questionnaire was tested by dividing the answers into before intensive class, after intensive class, and during the semester (2ndsemester). The test results of students’ self-efficacy (before intensive, after intensive, during semester) in gifted programs offered by the Western Region 1 Common Gifted Program were compared and revealed that the program had the positive effects of increasing self-efficacy (task difficulty preference, self-regulatory efficacy, and self-confidence) and was more effective for students with lower self-efficacy than those with higher self-efficacy. Furthermore, there was no significant change in self-efficacy based on the gender of students in gifted programs offered by the Common Gifted Program. However, the test results showed that the current gifted programs had positive effects on the self-efficacy of gifted students, regardless of gender. Based on the study results, it is necessary to develop an effective plan to promote gifted students’self-efficacy, including those with high self-efficacy, in order to increase self-efficacy across subject areas when developing resources for gifted education.

      • KCI등재

        2007년 개정 교육과정 실과 교과서 「정보기기와 사이버 공간」단원의 비교분석

        박수진,최유현,왕유진,김소연 한국실과교육학회 2012 한국실과교육학회지 Vol.25 No.1

        This study was performed by contents analysis for the purpose of comparative analysis in both quality and quantity on Chapter "Information Media and Cyber Space" which is newly introduced in the Practical Arts Textbooks of the Revised Curriculum 2007. The result of the comparative analysis showed that Practical Arts Textbooks of the Revised Curriculum 2007, is composed constructively reflecting instructions and checking criteria for authorized textbook compilation of elementary school. And the textbook obtained the class hour to enable the detail lesson and practice because the chapter consists of above 8 lessons. The textbooks are similar external-structurally, but they have distinguishing specific contents with difference in contents structure and expression method. The textbooks are similar external-structurally, but they have distinguishing specific contents with difference in contents structure and expression method. For the sake of the following studies, I would like to suggest as below. Firstly, this study mainly covers external analysis according to criteria of contents structure and expression method with comparative analysis in quality and quantity,while approach through practical teaching & learning method is proposed for the future study. Secondly, this study analyzed on chapter "Information Equipment and Cyber Space" only in 8textbooks published by 2007 curriculum revision. Therefore, it is difficult that the result of this study is applicable to all chapters of practical course for 5th grade, and comparative analysis on the other chapters is necessary. 이 연구는 2007년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초등학교 실과 검정교과서에 새롭게 도입된 ‘정보기기와 사이버 공간’ 단원의 양적, 질적으로 비교 분석하기 위해 내용분석법에 의해 수행되었다. ‘정보기기와 사이버 공간’ 단원의 양적, 질적으로 비교 분석한 결과 2007년 개정 교육과정에 맞추어 출판된 실과 검정교과서(8종)는 초등학교 검정도서 편찬상의 유의점 및 검정 기준에 맞게 외형체계가 이루어져 있고, 해당 단원의 분량 역시 8차시 이상으로 구성되어 있어 세부적이고 구체적인 수업과 실습이 가능한 시수가 확보되었다. 하지만 교과서마다 외형적인 체제는 유사하면서도교과서별로 해당 단원에서 특징적인 세부적 요소를 지니고 있으며 내용 체계 및 제시방식에도 차이를 보이고 있으므로 이 연구의 비교 분석 결과를 잘 활용한다면, 일선 학교마다 학교교육과정에적합한 교과서를 선정함에 있어 기초 자료의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이며, 또한 학교 현장에서 실과를 수업하는데 뿐만 아니라 추후 교과서 개발에 올바른 방향을 제시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다. 후속 연구를 제언하면 첫째, 이 연구는 ‘정보기기와 사이버 공간’ 단원의 양적, 질적으로 비교분석하는 가운데 단원의 구성 체제 및 내용 제시 방식 준거에 따라 외형적인 분석을 위주로 하였기 때문에 각각의 내용 비교 요소에 대하여 실제적인 교수-학습방법 중심으로 접근하는 형태의연구가 진행되어질 필요가 있을 것이다. 둘째, 2007 개정 교육과정 실과 5학년 8종 교과서의 ‘정보기기와 사이버 공간’ 단원만을 비교 분석하였기 때문에 5학년 실과 교과서 전체를 일반화하기에는 다소 무리가 따른다. 따라서 다른 단원에서도 이와 같은 비교 분석 연구가 진행될 필요가 있을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