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대학 교육을 위한 다목적 웹기반 동료평가 시스템 개발과 활용

        김민정 ( Min Jeong Kim )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구 한국교육정보방송학회) 2012 교육정보미디어연구 Vol.18 No.4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 교육의 다양한 교수-학습 요구를 반영할 수 있는 다목적 동료평가 시스템을 개발하고 활용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연구의 목적을 위하여 가장 우선적으로 문헌분석과 현 대학 교수자들을 상대로 동료평가 활용 현황, 요구, 제한점 등을 파악하였다. 문헌분석 및 설문을 통해 나온 기존 동료평가 활용의 대표적 제한점은 동료평가의 목적 및 활용 방법에 대한 이해 부족, 과도한 시간 및 노력 요구, 피드백 지연 등이었고, 현장 교수자들의 요구는 자신의 수업에 맞는 최적의 동료평가 유형에 대한 안내 및 동료평가로 인한 과도한 시간 및 노력 소모에 대한 해결책 요구 등이었다. 이러한 제한점과 요구를 토대로 대학 교육에 맞는 다목적 동료평가 시스템의 설계 및 개발하였다. 개발된 다목적 동료평가 시스템의 대표적 특징은 동료평가 시스템을 통하여 동료평가 목적과 유형에 대해 자기 학습이 가능하며, 피드백의 즉시성을 강화하여 평가 결과의 즉각적 전달이 가능하며, 동료평가를 위한 시간과 노력의 과도한 소모를 줄여주며, 교수자가 자신의 수업에 맞도록 동료평가 설계를 최적화를 할 수 있다는 것이다. 개발된 동료평가 시스템(Multi-PAS)의 효과성 파악을 위하여 전통적 동료평가와 비교 현장 활용을 하였고, 이를 통하여 Multi-PAS는 전통적 동료평가에 비해 교수자와 학습자 측면에서 기존 동료평가가 가지는 제한점을 줄여 줄 수 있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multi-purpose peer assessment system for university-level education. For the purpose, firstly, the researcher reviewed literatures about peer assessment to find the limitations of current use of peer assessment. Then, she conducted a needs analysis of university professors on peer assessment. Based on the results of literature reviews and needs analysis, she designed and developed a web-based multi-purpose peer assesment system. The multi-purpose peer assessment system has a few unique characteristics: self-learning function on the purposes and types of peer assessment, emphasis on instant feedback, decrease in efforts and times for peer assessment activities, instructional design functions for instructors, and so on. The effectiveness of the system was verified by applying the developed system in actual classes.

      • KCI등재

        대학교양수업의 동료평가에 대한 인식 : 평가타당성과 정의적 효과를 중심으로

        강현숙(Kang Hyeon Sook)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0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0 No.8

        Peer assessment has been mostly used in education, with many important benefits reported in terms of student learning. This paper examines students perception on peer assessment in a university elective course. First, this paper confirms university students positive perception on the implementation of peer assessment and its use as a grading tool. Second, their perception on validity of peer assessment is supported. An ability to evaluate peers is highly positively viewed and influence of the familiarity to peers is negated. Peer assessment is regarded as a more efficient tool than faculty assessment or self assessment. Third, among many affective benefits of peer assessment, those who do best in class activities without much knowledge about the attending course are believed to be favored in peer assessment, although it is denied in this study. Other effects of class participation and sincere attitude are also considered to be achieved through peer assessment process. This paper concludes that peer assessment is positively accepted by college students, and hence confirms its application in a university elective course. 본 연구는 대학의 교양선택수업에서 동료평가, 평가의 타당성, 정의적 효과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을 조사하였다. 주요 연구도구는 17개 문항의 설문지이고, 동료평가에 참여한 60명의 학생을 대상으로 학업성취도, 동료평가의 취득점수, 수여점수를 비교해 보고 동료평가에 대한 전반적 인식, 평가의 타당성, 평가의 정의적 효과에 대한 인식을 살펴보았다. 참여자들의 학업성취도는 동료평가의 취득점수와 뚜렷한 양적 상관관계가 있었다. 참여자들은 동료평가에 대해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으며 동료평가점수의 학점 반영에도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다. 평가자인 자신과 동료의 평가능력에도 높은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고, 친밀도의 영향력은 낮게 보았다. 또한 교수평가나 자기평가보다 동료평가가 더 정확할 것이라는 의견을 가지고 있으며 동료평가로 인한 여러 가지 정의적 효과에도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다. 본 연구에서 참여학생들의 동료평가에 대한 긍정적인 반응은 대학의 교양선택수업에서 동료평가가 적절한 평가의 한 방법으로 적용될 수 있음을 확인시켜준다고 할 수 있다.

      • KCI등재

        대학수업 개선을 위한 수업에서의 동료평가 프로그램 도입 방안 탐색

        신종호,홍성연 한국교원교육학회 2013 한국교원교육연구 Vol.30 No.1

        동료 교수들이 서로의 수업에 대해 검토하고 피드백을 제공하는 수업에서의 동료평가(peer review of teaching)가 대학의 수업 개선을 위한 방안 중 하나로 여러 외국 대학에서 시행되 고 있다. 수업에서의 동료평가는 교수들 간의 교수법에 대한 관심을 제고하고, 전공 특정적인 교수전략 탐색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되지만, 수업의 공개와 평가를 부담스러워하는 우리나라 대학 교육 풍토에서 이제껏 시행되지 못하여 왔다. 본 연구는 국내 정서를 고려한 대학 교원 간의 수업에서의 동료평가 프로그램 도입 방안을 탐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문헌연구에 기초하여 세 가지 유형의 수업에서의 동료평가 프로그램을 제안하고, 전문가 그 룹토의를 거쳐 통합된 동료평가 프로그램을 도출하였다. 마지막으로 파일럿테스트를 통해 해 당 프로그램이 교육의 질적 개선에 미치는 효과를 탐색하였다. 이 논문은 교육의 질 제고를 위한 방안 중 하나로 수업에서의 동료평가 프로그램 도입을 제안하고 이에 대한 국내 대학 교수들의 의견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 KCI등재

        훈련된 동료 평가자를 활용한 과학 구술평가에 대한 중학생의 인식

        전원미(Wonmi Jeon),노아름(Arum Noh),최혁준(Hyukjoon Choi)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3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3 No.14

        목적 이 연구의 목적은 과학 수업에서 ‘훈련된 동료 평가자’를 활용한 구술평가에 대한 중학생의 인식을 알아보는 것이다. 방법 19명의 훈련된 동료 평가자가 평가대상자 90명을 대상으로 구술평가를 진행하였다. 구술평가를 실시한 후, 훈련된 동료 평가자를 활용한 구술 평가에 대한 평가로서의 ‘유용성’ 및 ‘신뢰성’, ‘훈련된 동료 평가자 역량 강화 과정’에 대한 인식을 리커트 척도 및 서술형 설문을 통해 알아보았다. 결과 평가대상자는 ‘훈련된 동료 평가자를 활용한 구술평가’의 평가로서의 유용성(M=3.88) 및 신뢰성(M=4.09)에 대해 긍정적인 인식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성별에 따른 유의미한 차이는 없었다. 평가로서의 유용성에 대해 훈련된 동료평가자(M=4.38)가 평가대상자(M=3.88)보다 전반적으로 더 긍정적으로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신뢰성에 대해서는 역할에 따른 유의미한 차이는 없었다. 훈련된 동료평가자의 경우, 역량 강화 과정에 대해 긍정적으로 인식(M=4.47)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질문을 주고받는 과정이 학습에 도움이 되었다고 응답하였다. 결론 훈련된 동료 평가자와 평가대상자 모두 ‘훈련된 동료 평가자를 활용한 구술평가’에 대해 긍정적으로 인식하였으며, 성별에 따른 차이는 없었다. 전반적으로 훈련된 동료 평가자의 인식이 평가대상자보다 긍정적이었으며, 역량 강화 과정이 훈련된 동료 평가자에게 도움이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middle school students' awareness of the assessment of oral presentations by ‘trained peer evaluators’ in science classes. Methods 19 trained peer evaluators conducted the assessment of oral presentations on 90 peer learners. Then, we investigated the awareness of ‘usefulness’, ‘reliability’, and ‘the training peer evaluators’ competency-building training process' for this evaluation. Result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evaluated learners were found to have a positive awareness on usefulness (M=3.88) and reliability (M=4.09) of ‘the assessment of science oral presentations by the trained peer evaluators’.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gender. The awareness on usefulness of the trained peer evaluators (M=4.38) was more positive than that of the evaluated learners (M=3.88), an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reliability according to the role. The trained peer evaluators had positive awareness of ‘the competency-building process’ (M=4.47) and responded that the process of exchanging questions helped learning. Conclusions Both the trained peer evaluators and the evaluated learners were positively aware of ‘the assessment of science oral presentations by the trained peer evaluators’ and there was no difference according to gender. Overall, the awareness of the trained peer evaluators was more positive than that of the evaluated learners, and ‘the competency-building process’ was found to be helpful to trained peer evaluators for their learning.

      • KCI등재

        ‘동료교원 교원능력개발평가’에 대한 초등학교 교원의 태도탐구

        이범우(Lee Bum Woo),이수정(Lee Soo jeo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5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5 No.3

        본 연구는 초등학교 교원들이 교원능력개발평가의 동료교원평가에 참여하면서 그 평가를 어떻게 인식하고 행동하는지 그들의 태도를 탐구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특히 초등학교 교원의 배경 및 특성별로 동료교원평가에 대한 태도의 차이가 어떻 게 나타나는지에 관심을 두었다. 이를 위해 교원능력개발평가의 연구학교인 수도권 초등학교 교원 중에서 성별, 담당 학급별, 분장 업무별, 교직경력별로 배경이 서로 다른 8명의 교원을 대상으로 집단 면담 방식으로 심층 면담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초등학교 교원들은 교원능력개발평가의 동료교원평가에 대해 다음과 같은 세 가지의 태도를 보이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첫째, 초등학교 교원들은 교원능력개발평가의 동료교원평가를 마치 중요도가 낮은 행정업무를 처리하는 것과 같이 인식하면서 평가를 수행하고 있었다. 둘째, 초등학교 교원들은 온정적 관점으 로 동료교원평가를 수행하거나 개인적인 친분에 따라 동료평가 점수를 부여하는 등 감정적으로 동료교원평가를 수행하고 있었다. 셋째, 초등학교 교원들은 동료교원평 가를 위해 필요한 정보가 충분하지 않은 상태에서 평가에 참여하고 있었는데, 이 점 에 있어서 교직 경력이 많은 교사들과 적은 교사들 간에 태도의 차이가 있음을 확인 할 수 있었다. 곧, 고 경력 교사들은 저 경력 교사들에 비해, 동료교원평가에 필요한 정보가 불충분한 경우에 있어서도 그들의 경력에 의해 형성된 좋은 안목을 가지고 동료교원평가를 수행함으로써 그다지 큰 어려움이 없다고 느끼고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how Korean elementary school teachers respond to the Peer Evaluation for the Teacher Appraisal for Professional Development, and especially, how their responses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by their characteristics. A focus-group interview and participative observation were applied for the study, and interviewees were comprised of eight teachers with diverse characteristics such as gender, undertaking class, assignment task, and teaching career, who were working at an elementary school in Korea. The findings showed elementary school teachers attitudes toward the Peer Evaluation for the Teacher Appraisal for Professional Development as followings; First, elementary school teachers treated their peer evaluation as doing their administrative affairs with low importance. Second, they peer evaluated emotionally. For example, they evaluated colleagues with their compassionate perspectives and their peer evaluations were influenced by their personal relationship. Third, their peer evaluations were carried out without enough information about their peers for the Teacher Appraisal for Professional Development .

      • KCI등재후보

        발표 활동에서 예비 과학교사들의 동료평가에 관한 결과와 인식 분석

        강경희 韓國敎員大學校 敎育硏究院 2009 敎員敎育 Vol.25 No.3

        This research analyzed peer evaluation pattern about project presentation of science pre-service teachers. Also this study investigated cognition about peer evaluation of science pre-service teachers. Science pre-service teachers gave high scores about whole domain of announcement attitude and preparation. But they gave low scores about specific and cognitive domain of teaching strategy, teaching resources and learning purpose. And they suggested that merit of peer evaluation was application of various evaluation standingpoint. Also they suggested that demerit of peer evaluation was possibility of subjective evaluation by personal relationships. Especially they suggested that teachers should use score scale and descriptive type together and evaluate precisely and objectively in peer evaluation items. They responsed that the evaluation was objective generally in relation to objectivity of peer evaluation. And they responsed they would accept the result of peer evaluation. This research suggested that peer evaluation had meaningful possibility as evaluation method of announcement activity. We should study the evaluation-questionnaire development and the method which reflects evaluation result to apply peer evaluation actively. 이 연구는 예비 과학교사들의 과제 발표 활동에 대한 동료평가의 양상을 분석했다. 또한 동료평가를 수행한 예비 과학교사들의 동료평가에 대한 인식도 알아보았다. 동료평가 결과 예비교사들은 발표 자세와 준비 등 발표의 전반적인 부분에 대해서는 높은 점수를 주었다. 그러나 교수전략,교수 자료, 학습 목표 등의 세부적이고 인지적인 영역에 대해서는 상대적으로 낮은 점수를 나타냈다. 동료평가의 장점에 대해 예비교사들은 다양한 평가 관점의 적용을 들었다. 또한 동료평가의 단점으로는 개인적인 관계에 의한 주관적 평가의 가능성을 제시했다. 특히 동료평가 문항은 점수척도와 서술형을 같이 사용해 평가를 정확하고 객관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의견도 제시했다. 동료평가 결과의 객관성과 관련해서는 예비교사들이 비교적 객관적으로 평가했고, 동료들의 평가 결과에 대해서도 수용하겠다는 의견이 많이 제시되었다. 이는 동료평가가 발표활동에 대한 평가법으로서 높은 가능성을 가지고 있음을 시사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동료평가가 활발하게 적용되기 위해서는 평가지 개발에 대한 연구와 평가 결과를 반영하는 방식에 대한 연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 KCI등재

        동료평가의 현황과 전망

        박주용(Jooyong Park),박정애(Jung Ae Park) 한국인지과학회 2018 인지과학 Vol.29 No.2

        동료평가란 학생들이 다른 학생의 글, 발표, 집단 활동과 같은 평가 대상이 될 수 있는 모든 결과물이나 수행 과정에 대해 점수를 매기거나 의견을 제공하는 활동을 가리킨다. 동료평가는 채점부담으로 인해 잘 활용되지 않는 글쓰기 기회를 늘릴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평가를 하는 과정을 통해 학습도 향상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본 개관 논문에서는, 주요 동료평가 시스템과 동료평가를 사용한 경험적 연구 결과를 소개한 다음, 동료평가 확산의 장애 요인을 살펴보고, 앞으로의 연구에서 해결되어야 할 과제가 논의되었다. 이 논의를 통해 동료평가에 대한 후속 연구가 활성화되고 동료평가가 실제 교육 장면에서 활용되어, 우리나라의 평가와 수업 방법에 큰 변화를 가져오기를 기대해본다. Peer assessment in educational setting, refers to activities in which students provide grades or comments on other students’ accomplishments such as writing, presentation, or performances. In case of writing, peer assessment can allow instructors to give out more writing assignments, which were often avoided because of the burden of grading. Moreover, grading other students’ writing can enhance learning by having students participate in the assessment process. This review will introduce major peer assessment systems and results from empirical studies on peer assessment, examine obstacles to its more wide-spread use, and discuss topics for further research. We hope this paper will facilitate further studies and use of peer assessment in actual educational settings, and eventually lead to many changes in assessment and teaching in Korea.

      • KCI등재

        해부실습에서 동료평가에 대한 의과대학생들의 인식과 필요성

        조정준,강성우,이승준,정수정,이재호 대한체질인류학회 2019 해부·생물인류학 (Anat Biol Anthropol) Vol.32 No.3

        Peer review in dissection is a good evaluation method that allows students not only to recognize professional behavior of peers, but also to look back on themsel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recognition and feelings of students about peer review in dissection and to use peer review more effectively. In this study, it was to examine the reflection on grades of peer review, the improvement on attitude of dissection by peer review, and the reliability of peer review, also, additionally necessary subjects, the method of peer review, the emotions of students during the peer review. As a result of the questionnaire survey, the necessity about reflection of peer review (48, 67.6%), the improvement on attitude of dissection (41, 57.7%) and the reliability of peer review (30, 44.1%) were positive. Moreover, many students asked additionally necessary subjects not to be required except for anatomy (42, 67.7%). In the questionnaire on the method of peer review, to select students who have been good and bad in the practice is best (34 students, 57.6%). In the questionnaire for emotions of students during the peer review, “bad” was the most common (25, 39.7%), and the average value was about 2.7 in the 5 scale. There is a limitation to utilize peer review as an evaluation method of anatomy education. Therefore, much more effort is needed to improve the utilization of peer review and the professor should support the emotions of students during the peer review. 해부실습에서 동료평가는 학생들이 자신과 동료들의 행동을 되돌아보게 하는 좋은 평가 방법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해부실습에서 동료평가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과 감정을 분석함으로써 향후 동료평가를 보다 효 과적으로 사용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2018학년도 K대학교 의과대학에 재학 중인 본과 1학년 학생 72명 을 대상으로 동료평가의 성적 반영, 실습 태도의 개선 효과, 평가 신뢰도와 동료평가 시행이 추가적으로 필요 한 과목, 동료평가 방법, 동료평가 시 학생들의 감정에 대한 총 6개 문항을 설문하였다. 설문 조사 결과, 동료평 가의 성적 반영의 필요성 (48명, 67.6%), 실습 태도의 개선 효과 (41명, 57.7%)와 평가의 신뢰도 (30명, 44.1%) 는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다. 그리고 해부학 외 동료평가가 필요한 과목은 없다 (42명, 67.7%)는 의견이 많았다. 평가방법에 대한 설문에서는 해부실습에 성실히 참여한 학생과 성실히 참여하지 않은 학생 모두를 평가하자 는 의견이 가장 많았다 (34명, 57.6%). 그리고 평가 시 감정에 대한 설문에서는 나쁨 (25명, 39.7%)이 가장 많았 으며, 평균값은 5점 척도에서 약 2.7로써 나쁨과 보통 사이였다. 아직 해부학 교육의 평가 방법으로 동료평가를 활용하는 데에는 많은 한계가 있기 때문에 동료평가의 활용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평가 시 학생들의 감정을 잘 조절할 수 있도록 많은 노력이 필요하다.

      • KCI등재

        해부학실습에서 동료평가 및 자기평가와 해부학 학업성취도의 관련성

        감비성(Bee Sung Kam),김민정(Min Jeong Kim),주성일(Seung Il Joo),윤소정(So Jung Yune),임선주(Sun Ju Im),이상엽(Sang Yeoup Lee),윤식(Sik Yoon),백선용(Sun Yong Baek) 대한체질인류학회 2018 해부·생물인류학 (Anat Biol Anthropol) Vol.31 No.1

        해부학실습과정은 소그룹 단위로 실습이 진행되면서 팀워크 조성, 성실성, 능동적 학습, 의사소통으로 효율적인 협동학습을 필요로 하며, 이는 전문직업성의 주요한 요소에 해당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해부학실습 과정에서의 전문직업성을 동료와 본인이 평가하여 학업성취도와의 상관관계를 확인하는 것이다. 2015년 부산대학교 의학전문대학원 1학년 학생의 ‘인체의 구조와 기능’ 과정에서 해부학실습에 참여한 108명의 학생들 대상으로 설문지를 통한 동료평가와 자기평가를 실시하였다. 동료평가와 자기평가의 중앙값을 중심으로 상하로 나누어 높은 동료평가/높은 자기평가, 높은 동료평가/낮은 자기평가, 낮은 동료평가/높은 자기평가, 낮은 동료평가/낮은 자기평가 4개의 집단으로 분류하였다. 동료평가와 자기평가에 따른 4개 집단 중에서 높은 동료평가 집단이 낮은 동료평가 집단에 비해 학업성취도 중에서 과정시험 (F=3.24), 학점 (F=3.54), 예습시험 (F=3.94), 실기시험 (F=3.60) 성적에서 다른 집단과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학업성취도를 구성하는 성적변인 사이에는 전반적으로 높은 상관계수를 보였다. 그러나 성적변인 중에서 실습시험 성적은 다른 변인과의 상관관계에서 집단에 따라서 차이를 보였다. 실습시험과 다른 변인 사이의 상관관계가 가장 높은 집단은 높은 동료평가/높은 자기평가 집단이었으며, 이어서 낮은 동료평가/ 낮은 자기평가 집단, 낮은 동료평가/높은 자기평가 집단이었으며 높은 동료평가/낮은 자기평가 집단이 상대적으로 낮은 상관관계를 보였다. 결론적으로 동료평가와 자기평가의 상대적 차이에 따른 집단을 대상으로 학업성취도에서의 유의한 차이를 확인하여 이러한 분류체계가 전문직업성의 작업습관에 대한 평가도구로 활용이 가능하며, 동료평가와 자기평가가 모두 높은 집단의 경우는 맥락적 학습에 보다 잘 적응하는 집단으로 생각되었다. Gross anatomy, with cadaver laboratory dissection, is in a unique position to preside over a rich number of activities such as the team work, integrity, active learning, communication in the small group-all aspects of professional conduct.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investigate the correlation of professionalism with academic performance and the characteristics of groups of students in the performance variables. First-year Pusan National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students (n=108) from the Class of 2015 taking the gross anatomy course were required to do the self- and peer assessment about the professional behaviors of each of the six members of their dissecting group. The students were classified into one of four subgroups based on their deviation from the self- and peer assessment medians, such as high peer/high self (HP/HS), high peer/low self (HP/LS), low peer/high self (LP/HS), low peer/low self (LP/LS). There were significant higher scores in the high peer groups (HP/HS, HP/LS) in comparison with low peer groups (LP/HS, LP/LS) in the academic performance of end-of-term (F=3.24), credit (F=3.54), pre-Lab (F=3.94), practical examination (F=3.60) scores. Significant correlations among academic performance variables were observed generally. There were some differences in the correlation in the practical examination and other variables. The relatively high correlation between practical examination and other variables is HP/HS, followed by LP/LS, LP/HS and then HP/LS. In conclusion, peer- and self assessment subgroups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academic performance. This assignment would be available to evaluate work habits of professionalism in the gross anatomy laboratory. It is suggested that HP/HS group was more adaptable in the contextual leaning the gross anatomy course.

      • KCI등재

        협력학습 기반 수업에서의 동료평가에 대한 수업 만족도 분석

        정선경,박남수 중소기업융합학회 2022 융합정보논문지 Vol.12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class satisfaction with peer evaluation in Collaborative Learning-based classes. For collaborative learning-based classes, problem-based learning and project-based learning were selected. Educational implications were derived by designing Instructional procedures of Collaborative Learning-based classes, Peer evaluation types and questionnaire design, Peer evaluation progress of Collaborative Learning-based classes, Class satisfaction research and analysis In Collaborative Learning-based classes.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participants in Collaborative Learning-based classes selected as problem-based learning and project-based classes. For class satisfaction with peer evaluation in Collaborative Learning-based classes, a survey was conducted on 168 participants A University in Korea. The research tool was designed as Learning procedures for peer evaluation Collaborative Learning-based classes is Team Building, Plan to the Task, To do Task, Mid-check on task, Task completion, Presentation & Evaluation, Reflection & Self-Evaluation. The content validity of items was confirmed by CVR of 12 experts. In the research results, the average class satisfaction of peer evaluation is 4.05(SD=91), followed by class concentration, diligence, voluntary, learning atmosphere. As a result of t-testing the difference in class type between collaborate learning-based classes, the satisfaction of PBL was higher than that of PjBL an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was observed. The result of this study have significance in providing implications for class design and operation for the application and expansion of peer evaluation in higher education. However, there is a limit to generalization as a result of research using convenience. 본 연구의 목적은 협력학습 기반 수업에서의 동료평가에 대한 수업 만족도를 분석하는 것이다. 협력학습 기반 수업에서 동료평가를 위한 수업 절차 설계, 동료평가 유형과 문항 개발, 동료평가 실시, 수업만족도 조사 및 분석하여 교육적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문제중심학습과 프로젝트 기반 수업으로 선정된 협력학습 기반 수업 참여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협력학습 기반 수업에서의 동료평가에 대한 수업 만족도는 수도권 소재 A대학에서 협력기반 수업 참여자 168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하였다. 연구도구는 동료평가를 위한 협력학습 절차는 팀 구성, 과제 수행 계획, 과제수행, 중간평가, 과제 수행 완료, 발표 및 평가, 자기평가로 설계하였고, 동료평가는 팀내. 팀간 평가로 유형화 하였고, 단계별 동료평가 문항을 설계하였다. 동료평가 문항의 내용타당도는 전문가 12인의 CVR로 평정하였다. 연구결과에서 동료평가의 수업만족도는 평균 4.05(SD=.91)로 높게 나타났고 수업의 집중, 수업의 성실성, 자발성, 학습 분위기의 순으로 나타났다. 수업 만족도 수준 차이 검증 결과, 성별과 학년에서는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며, 수업 유형에서는 문제중심학습이 프로젝트기반 학습에 비하여 만족도 수준이 높게 나타났고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고등교육에서의 동료평가 적용 및 확대를 위한 수업설계와 운영의 시사점을 제공하는 데에 의의를 가진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