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의학전문대학원생의 학습동아리 참여 경험에 대한 성찰 에세이 분석

        윤소정,박귀화,Yune, So Jung,Park, Kwi Hwa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2016 의학교육논단 Vol.18 No.3

        This study analyzed participation experiences in a voluntarily learning community using both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methods. Sixty freshmen and sophomore medical school students in 10 learning communities participated in the study. At the time of the survey, learning communities had been operating for 10 weeks and had weekly in-person meetings. Satisfaction questionnaires and reflective essays were given and analyzed. The results showed that learning community experiences were effective in promoting students' learning motivation, cooperative learning, responsibility, and communication skills. Three essential topics and nine subjects were analyzed in the reflective essays. Three essential topics were conflict with each other due to the difference, forming deep relationships, and sharing and learning together with an in-depth study.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contribute to collaborative learning culture and the development of learning communities in medical schools.

      • KCI등재

        중,고등학생의 성격특성, 지적능력에 대한 신념, 자기조절학습전략 및 학업성취 간의 관계

        윤소정 ( So Jung Yune ),이은영 ( Eun Young Lee ),박귀화 ( Kwi Hwa Park ) 경북대학교 중등교육연구소 2013 중등교육연구 Vol.61 No.2

        본 연구에서는 중?고등학생들의 성격특성, 지적능력에 대한 신념, 자기조절학습전략 간의 상호관련성을 살펴보고, 이러한 변인들이 학업성취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중학생 485명, 고등학생 396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성격특성, 지적능력에 대한 신념, 자기조절학습전략 검사를 사용하여 설문하였다. 연구결과, 학업성취는 성실성과 가장 높은 정적 상관관계를, 신경증과는 부적 상관관계를 나타내었으며, 자기조절학습전략의 모든 하위요인과는 정적 상관관계가 있었다. 성격특성의 경우에는 고등학생이 중학생에 비해 신경증, 개방성, 친화성, 성실성이 높았으며, 지적능력에 대한 신념의 경우에는 고등학생이 중학생에 비해 증가적 개념이 높았고, 자기조절학습전략의 경우에도 고등학생이 중학생에 비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지적능력에 대한 신념은 학업성취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며, 성격특성 중 성실성이 학업성취에 영향을 미치는 유의미한 변인으로 나타났다. 자기조절학습전략 중 중학생의 경우에는 조직화 전략이 고등학생의 경우에는 초인지 전략과 비판적 사고 전략이 학업성취에 영향을 미침을 알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the Big Five Personality factors, beliefs of intelligence and self-regulated learning strategies on the academic achievement differences between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485 middle school students and 396 high school students. As a result, academic achievement showed the highest positive correlation with conscientiousness and showed the negative correlation with neuroticism. A correlation between academic achievement with the beliefs of one`s own intelligence was not found. Academic achievement ha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all sub-factors of the self-regulated learning strategies. Additionally, the high-school students` scores of conscientiousness, neuroticism, openness, and agreeableness, of the big five personality traits, were higher than the middle-school students` scores. The incremental belief of one`s own intelligence was stronger in high-school students than to in middle-school students. In the case of the self-regulated learning strategies, the high-school students showed higher scores in rehearsal, elaboration, organization, critical thinking, and metacognitive self-regulation than middle-school students. Finally, the belief of one`s intelligence appeared to have no influence on academic achievement; only conscientiousness out of the big five personality factors turned out to be significant to the academic achievement. The organization strategy, out of the self-regulated learning strategies,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academic achievement of the middle-school students while the critical thinking and the metacognitive self-regulation gave a positive impact on the high-school students.

      • KCI등재

        MBTI 성격유형, 의과대학 성적과 전공의의 전공과 선택 간의 관계

        윤소정(So Jung Yune),박귀화(Kwi Hwa Park)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8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8 No.7

        본 연구의 목적은 MBTI 성격유형, 의과대학의 학업 성적과 졸업후 전공의의 전공과 선택 간의 관계를 추적조사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2007년부터 2011년까지 의과대학 입학생 중 졸업후 의학세부전공과 추적이 가능한 전공의 173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도구는 MBTI 성격유형검사, 의과대학에서의 학업성적, 전공의의 전공과이다. 전공의의 전공과 계열은 내과계, 외과계, 진료지원계로 분류하였다. 연구결과 분석을 위해 빈도분석, 카이스케어 분석, 일원변량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MBTI 성격 유형 분포는 ESTJ(24.7%), ISTJ(24.2%), ISTP(8.6%), ESFJ(8.1%) 순이었다. 외향형(E)-내향형(I) 선호지표와 전공과 계열 간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χ2=10.977, p=0.004). 의과대학에서의 학업성적과 현재 근무하는 전공의 전공과 계열 간의 관계는 진료지원계에서 근무하는 전공의가 대학시절 학업성적(F=4.041, p=0.019)이 유의미하게 높았다. 이러한 결과가 의과대학 진로지도와 상담을 위한 유용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기를 기대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Myers-Briggs Type Inventory(MBTI) personality type, academic achievement of undergraduate, and medical specialty choice of residents. The subjects were 173 residents. Research instruments are MBTI, academic achievement in medical school, medical specialty of residents. The medical specialty was divided into internal medicine part, surgical part, and medical support part. MBTI personality type distribution was followed by ESTJ (24.7%), ISTJ (24.2%), ISTP (8.6%) and ESFJ (8.1%).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Extraversion(E)-Introversion(I) preference indicator and medical specialty part (χ2=10.977, p =0.004).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cademic achievement in the medical school and medical specialty part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medical support part (F=4.041, p=0.019). It is expected that this can be used as a useful basic data for counseling or medical and career guidance.

      • KCI등재

        의사의 타분야 진출에 대한 의과대학 학생과 교수의 인식

        윤소정(Yune So-Jung),강신우(Kang Sin-Woo),구해범(Koo Hae-Beom),김민주(Kim Min-Ju),김지후(Kim Ji-Hu),박한결(Park Han-Gyeol) 부산대학교 교육발전연구소 2019 교육혁신연구 Vol.29 No.3

        연구목적: 의료인들의 타분야 진출에 대한 사회적 요구가 점차 증가됨에 따라 의사면허 취득자들이 의료계뿐만 아니라 다양한 분야로 진출하는 것이 더 용이해지고 있다. 뿐만 아니라 의사 집단 내부의 개인적 동기 또한 의사의 타분야 진출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 그러나 의과대학생들의 타분야 진출을 위한 진로교육은 미진한 상태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의사가 임상 의사로서의 직업이 아닌 다른 분야에 진출하는 것에 대한 의과대학 교수, 학생들의 인식 차이를 조사하고, 의과대학 학생들이 희망하는 타분야 진출을 위한 진로교육방법은 무엇인지를 알아보고자 한다. 연구방법: 의과대학 학생들의 타분야 진출에 대한 인식 조사는 부산 소재 한 개 대학의 교수 45명과 부산과 경기 소재의 2개 의과대학 학생들 694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통해 진행하였다. 학생의 경우에는 의예과와 의학과 저학년, 그리고 의학과 고학년의 3개 집단으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설문 조사 결과 분석을 위하여 빈도분석, 교차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현재 국내의 의사 수에 대한 의과대학 교수와 학년별 학생의 인식에는 의미 있는 차이가 나타났다. 그리고 의사의 타분야 진출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과 의사가 진출하기에 가장 장래가 유망해 보이는 직종 및 타분야 진출시 고려사항에 대해서도 소속에 따른 의미 있는 차이가 나타났다. 학생들은 의사의 타분야 진출을 위해서는 진로교육이 필요하다고 응답하였다. 논의 및 결론: 본 연구 결과는 의과대학생들의 다양한 진로탐색과 진로교육의 방향 설정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여 의사 집단 내부의 요구와 사회적 요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데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라 생각한다. 또한 시대적 흐름에 맞는 다양한 분야와의 전문성 융합으로 의사의 경쟁력을 증대시키는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Purpose: There is an increasing need for social and personal needs for physicians to have a job in various fields other than clinical jobs. Gradually the importance of career education in medical schools is increasing.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compare the difference of perceptions of medical school professors and students about the physicians’ non-clinical jobs. And we surveyed what kind of career education method students want. Method: We surveyed questionnaires to see how professors and medical students of medical school think about physicians’ non-clinical jobs. In addition, we examined what programs should be offered in medical education in order to develop career awareness in doctors’ non-clinical jobs. The final sample consisted of 45 professor participants from one medical school and 694 student participants from two medical schools. Frequency analysis and crossover analysis were conducted to analyze the survey results. Results: The results showed that there were differences between perception of students and professors in sufficiency of the number of physicians in Korea, the need of physicians’ non-clinical job, the desired jobs other than as a clinical job, and the promising occupations in doctors’ non-clinical jobs. There was no difference in perception that both professors and students of medical school needed career education that allowed medical students to have non-clinical jobs.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provide meaningful information to medical students who want to enter into various fields and provide basic data for improvement of career education courses in medical school.

      • KCI등재

        서비스러닝 프로그램이 의대생의 세계시민의식과 지속가능발전 인식에 미치는 영향

        윤소정(Yune So-Jung),박귀화(Park Kwi-Hwa) 부산대학교 교육발전연구소 2019 교육혁신연구 Vol.29 No.1

        연구목적: 최근 의과대학에 맞는 봉사 학습의 교육과정이나 프로그램인 ‘서비스러닝(service learning)’의 개념이 도입되기 시작하였다. 이 연구는 의과대학 서비스러닝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효과를 탐색해 보고자 하는 목표로 진행되었다. 본 연구에서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서비스러닝 교육에 대한 의과대학생들의 요구는 어떠한가? 둘째, 의과대학 서비스 러닝 교육 프로그램은 어떻게 개발될 수 있는가? 셋째, 서비스 러닝 교육 프로그램은 의과대학 학생의 세계시민의식과 지속가능발전 인식 증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연구방법: 의과대학 학생의 서비스 러닝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기 위하여 의학과 3학년 학생 99명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다. 의과대학생의 인식조사 결과와 문헌고찰 결과를 바탕으로 의과대학에 맞는 서비스러닝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개발된 프로그램은 전문가의 타당성 검증을 받은 후, 2017년 일개 의과대학의 의예과 2학년 88명을 대상으로 한 학기에 걸쳐 시행되었다. 학생들이 직접 주제를 선정하고 탐구한 후 6주간의 프로젝트식 봉사활동을 진행 하도록 하였다. 연구에 동의한 최종 78명의 사전사후 검사 결과가 분석에 활용되었다. 조사연구 결과와 서비스러닝 교육 사전 사후 변화를 알아보기 위하여 빈도분석과 대응표본 t-검정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프로그램 사전 사후에 실시된 세계시민의식, 지속가능발전 인식 검사에서는 의미있는 차이가 나타났다. 서비스러닝 사전 검사 점수보다 사후 검사 점수가 높았다. 논의 및 결론: 의과대학생의 전문직업성 증진을 위해서는 반드시 사회적 기여와 봉사의식을 교육하는 것이 필요하며, 이는 서비스러닝 교육을 통해 가능하리라 기대된다. Purpose: Recently, the concept of service learning , which is a curriculum and a program of service learning suitable for medical college, has begun to be introduced. The purpose of this study were to develop a service learning program for medical school and to explore its effects. The research problems set in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what is the demand of medical students for service learning education? Second, how does the service learning education program affect students perception of global citizenship and awareness of sustainable development? Method: In order to investigate the demand for service training of medical students, 99 students in a third grade department of medicine were surveyed. Based on the results of the questionnaires and literature review, we developed a service learning program suitable for medical schools. The developed program was validated by a specialist and then conducted in 2017 during the first semester of a medical school and 88 second grade students at a medical school. The final 78 post - test results were used for the analysis. Results: The service learning education in this study was developed and operated as a course of 1 credit for the major in the second grade. After selecting and exploring the topics, they were asked to perform 6-week project-based volunteer activities. As a result, the service learning program developed in this study was found to be effective in medical students perception of global citizenship, and sustainable development. Conclusion: In order to improve the professionalism of medical students, it is necessary to educate social contribution and service consciousness, which is expected to be possible through service learning education.

      • KCI등재
      • KCI등재

        대학생의 연구윤리교육에서의 표절 실태 및 대안 연구

        윤소정 ( So Jung Yune ),최용성 ( Yong Seong Choi ),최병학 ( Byung Hak Choi ),양삼석 ( Sam Seok Ryang ) 한국윤리교육학회 2011 윤리교육연구 Vol.0 No.24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의 표절 문제를 입체적으로 해결하기 위하여 설정한 5요소 즉, 표절 기준·검색·제지·홍보·예방·교육에 따라 P 대학의 표절 현실태를 진단해 보고 이에 대한 대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표절문제를 입체적으로 해결하기 위한 5요소는 보다 구체적으로, 1요소는 대학 차원에서 표절 기준 및 규정 확립, 2요소표절 규정 가이드 및 홍보, 3요소 표절검색 프로그램 완비, 4요소 표절제재조치의 제도화, 5요소 학문적 글쓰기의 내실화라는 5가지 요소로 구성되었다. 표절의 현실태 진단을 위하여 설문을 개발하였으며, 내용타당도 검정과 예비 검사를 통해 수정후 사용하였다. 최종 설문은 P대학 대학생 398명을 대상으로 실시되었다. 조사 결과 분석에는 다변량분석과 교차분석을 이용하였다. 그 결과 표절 기준과 표절 실태에 대한 인식과 대학내 학술적 글쓰기 및 인용법 교육에 대한 실태 인식에 있어 계열별 차이가 나타났다. 또한 학교 전체적 차원에서 보다 관심을 기울여야 할 요소로 모든 계열에서 표절 예방을 위한 홍보 및 클린 캠퍼스 운영이 필요하다고 답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표절방지 및 학술적 글쓰기의 개선을 위해서는 개별적 차원보다 학교 전체 차원에서의 입체적인 표절예방교육이 보다 강조되어야 함을 알 수 있다. For solving the plagiarism problem collectively,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actuality of P University through 5 kinds of elements and students are surveyed by the department. And this study attempts to analyze and seek an alternative direction for plagiarism prevention education. One element of 5 elements is regulations established by the University in terms of plagiarism, Second element is plagiarism rules guide and promoting. Third element is equipping with search program. Forth element is the institutionalization of plagiarism sanctions. Fifth element is academic writing. These elements should be connected and managed collectively. And with this assumption, we examined concrete each of these elements about actuality and attempted to seek alternatives. The results of each elements in this study are still insufficient and inadequate levels for effective education of prevention plagiarism. In addition, the difference of department was presented in each curriculum. And the differences in each curriculum had a blind spot of plagiarism prevention education. For the improvement in search program, plagiarism sanctions and academic writing, school official`s effort was more important. After all, we presented plagiarism prevention education of the whole school level than individual level.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