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동네무질서(Neighborhood Disorder)’개념 및 측정도구 탐색

        홍현미라(Hong Hyun Mee Ra) 사단법인 안전문화포럼 2021 안전문화연구 Vol.- No.13

        동네무질서 현상은 미시적으로는 우울이나 불안, 무력감과 같은 심리적 고통을, 중시적으로는 거주자 간의 불안감 조성 및 비공식적 통제의 약화, 그리고 이주 증가의 사회문제를 수반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안전을 위협할 수 있는 동네무질서 현상에 착목하여, 연구목적을 동네무질서에 대한 개념 및 측정 도구를 탐색하는 것으로 하였다. 즉, 전문가와 문헌고찰을 통해 내용타당도를 확보하고 그 척도를 통계적 분석방법을 사용하여 구성타당도를 확보하고 세부적인 요인구조를 탐색하는 것이다. 동네무질서의 개념 및 측정 도구 논의는 국내·외 논문을 기반으로 고찰하였다. 이러한 고찰의 결과, 측정 도구에 대한 실증적 접근을 위해 국내·외에서 사용 빈도와 평가 측면에서 가장 높이 평가되고 있는 Ross와 Mirowsky(1999)의 ‘인지된 동네무질서 척도’를 선택하였다. 선택한 척도에 대한 실증분석을 위한 자료 수집은 지역특성을 반영하여 저소득층 지역, 영구임대아파트지역, 상권지역, 그리고 중산층지역에서 각각 표집하여 서울시 거주민 798명으로부터 하였다. 척도에 대한 신뢰도 검사와 타당성 검증(탐색적 요인분석과 확인적 요인분석)을 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동네무질서 개념고찰에서는 동네무질서는 물리적 측면만이 아니라 사회적 측면도 포함되어야 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둘째, 선택한 척도에 대한 실증 분석결과는 신뢰도(α=.844)와 타당도가 적절하였다. 셋째, 타당도 검증에서 원척도와 달리 문항 수는 12문항, 요인구조는 2-요인구조, 즉 ‘무질서’요인과 ‘질서’요인인 것으로 나왔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서구사회의 동네무질서의 인지에 있어서 동네무질서 발현공간 중심(물리적·사회적 공간)이었다면, 한국의 경우 무질서와 질서의 존재 여부가 중요한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본 연구는 동네무질서 척도개발의 기초자료로서의 유용성을 지닌다. 아동이나 노인 및 장애인 등의 취약계층의 안전을 담보하고 보호할 수 있는 실천과 정책개발에 유용하게 쓰일 수 있다. 더 나아가 범죄예방을 위한 지역 지표 개발에도 유용할 것이다. Neighborhood disorder phenomenon may negatively affect residents’ psychological health problems such as depress, anxiety, powerlessness and increases fear among residents, weakens informal social control, contributes to emigration. While focusing on neighborhood disorder phenomenon which could be threaten residents’ safety, this paper explores discussing the concept and scales of neighborhood disorder. In other words, this paper attempts to examine and verify content and construct validity, factor structure through statistic analysis in Korea based on the experience data. Discussing the concept and scales of neighborhood disorder was based on literature review. This paper was used ‘Perceived Neighborhood Disorder’ by Ross and Mirowsky(1999) which was empirically verified in domestic and abroad in terms of frequency of use and evaluation. For this purpose, 798 cases are selected from four types of Seoul City that are low-income area, permanent rental apartment area, commercial area, middle class area. The stages of validation are included reliability test(chronbach a coefficient) and validation test(exploratory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s a result, firstly, the concepts of neighborhood disorder included both social and physical disorder. Secondly, the scale was appropriate in reliability(α=.844) and validity for the total scale. Thirdly, This scale included 12 final items and 2-factor structure(disorder and order factor). According to the previous study, the concept of neighborhood disorder’s factors are physical space and social space in western society. In this paper, however, existence of disorder or order in their neighborhood could be more important factor in Korea. This results would be useful to develop scale of neighborhood disorder as a fundamental knowledge. And this study results could be develop effective social work practice and policy for safety and care of minority such as children, elderly people and disabled. Furthermore, this results would be useful to develop regional indicators for crime prevention.

      • KCI등재

        인지된 동네 무질서가 청소년의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정선희(Jung Sun Hee),유조안(Yoo Joan P.) 한국아동복지학회 2016 한국아동복지학 Vol.- No.56

        본 연구는 청소년의 부모관계 스트레스가 인지된 동네 무질서와 문제행동의 관계를 매개하는지 검증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에 대한 연구 가설은 관련 선행연구와 Pearmi(1999)의 스트레스 과정 모델을 기초로 설정되었다. 활용된 자료는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의 `한국청소년 패널 조사(KYPS) 중2 패 널 4차년도 데이터`이며,연구대상은 2,3아명의 만16세~만18세 청소년이었다. 가설검증을 위해 Baron과 Kenny(1986)의 분석방법에 따라 회귀분석 및 Sobel test를 실시하고,추가적으로 Hayes(2013)의 `PROCESS procedure for SPSS,macro를 활용하여 부트스트래핑(bootstrapping)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청소년의 부모관계 스트레스는 인지된 동네 무질서와 문제행동을 부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인지된 동네 무질서의 수준이 높을수록 청소년은 불안 · 우울과 공격성을 더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인지된 동네 무질서의 수준이 높을수록 부모관계 스트레스의 수준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인지된 동네 무질서가 통제된 상태에서,부모관계 스트레스 수준이 높을수록 청소년의 불안 · 우울과 공격성의 수준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Sobel test 및 부트스트래핑 실시 결과,청소년의 부모관계 스트레스는 인지된 동네 무질서와 불안 · 우울의 관계, 인지된 동네 무질서와 공격성의 관계를 부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사회복지적인 관점에서 청소년 문제행동을 예방하고 완화하기 위한 연구의 함의와 한계가 논의되었다. The present study examined the mediating effects of parent-child stres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neighborhood disorder and problem behaviors. The research hypotheses were based on Pearlin`s(1999) stress process model and findings from previous literature. The data from the 4-wave of the Korea Youth Panel Survey (KYPS; a panel survey of 8-grade students) were analyzed to identify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study variables. The sample included 2,301 adolescents (16 to 18 years old). Findings showed that parent-child stress partia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neighborhood disorder and problem behaviors in adolescents. As adolescents perceived more neighborhood disorder, they were more likely to experience anxiety/depression and aggression. In addition, greater neighborhood disorder were found to be associated with the higher levels of the parent-child stress. Furthermore, when controlling for perceived neighborhood disorder, the higher levels of the parent-child stress were found to be associated with the higher levels of anxiety/depression and aggression. The Sobel test and bootstrapping results showed that parent-child stress partially medi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neighborhood disorder and anxiety/depression, as well as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neighborhood disorder and aggression. Based on the results, we discussed social welfare implications of the study findings to prevent adolescent problem behavior as well as the limitations of the study.

      • KCI등재

        동네무질서가 지역의 사회적 유대관계에 미치는 영향 연구:포용도시적 관점을 중심으로

        임원혁,이세규 한국지역개발학회 2023 韓國地域開發學會誌 Vol.35 No.4

        본 연구는 동네 무질서에 대한 주관적 인식이 주민 효능감과 사회적 자본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았으며 또한 이러한 영향관계에서 장소애착과 주관적 심리건강이 매개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 가를 살펴보았다. 이를 통하여 그 영향 관계가 긍정적이라면 사회적 약자에 대한 사회적 배제의 해소와 관련된 방향성을 찾고자 하는 목적을 가진다. 연구를 진행하기 위하여 시민참여율이 높은 서울 관악구 난곡동 도시재생지구에 거주하는 20대 이상 성인 272명을 분석하였다. 분석방식은 '구조방정식모형'을 이용하였으며 최종 구조유형에서 지역 내 잠재 변수 간에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음을 발견하였다. 동네 무질서는 주관적 심리건강, 지역애착에는 유의미한 영향 관계를 나타내었으며, 주관적 심리 건강과 지역 애착은 동네 무질서가 주민 효능감에 끼치는 부정적인 영향 관계를 완화하는 역할을 수행하여 매개로서의 역할을 수행한다는 결과를 나타냈다. 그러나 동네 무질서와 사회적 자본 사이의 경로에서 수용할 수 없는 결과를 나타내었다. 이를 통해, 사회적 배제를 판단하는 지표로서 동네 무질서의 인식 또한 활용 가능성을 보였으며, 주관적 심리건강과 지역애착 등의 지표가 긍정적으로 나타난다면 사회적 약자의 처우 개선을 위한 포용도시에 대한 연구의 방향성을 제시할 수 있다는 시사점과 추가적인 정책적인 제언을 남긴다. This study investigated how subjective perception of neighborhood disorder affects collective efficacy evaluation and social relationship, and also examined whether place attachment and subjective mental health can play a mediating role in these influencing relationships. Through this, if the influence relationship is positive, the purpose is to find a direction related to the resolution of social exclusion for the socially underprivileged. To conduct the study, 272 adults in their 20s or older living in the urban regeneration district of Nangok-dong, Gwanak-gu, Seoul, with a high citizen participation rate, were analyzed. The analysis method used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and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latent variables within the region in the final structural type. Neighborhood disorder showed a significant effect on subjective mental health and place attachment, and it was found that subjective mental health and place attachment played a role as mediators by mitigating the negative influence relationship of neighborhood disorder on collective efficacy evaluation. However, it showed unacceptable results in the path between neighborhood disorder and social relationship. Through this, the possibility of using the perception of neighborhood disorder as an indicator for judging social exclusion was also shown, and if indicators such as subjective mental health and place attachment appear positive, the direction of research on inclusive cities to improve the treatment of the socially underprivileged Implications that can be presented and additional policy suggestions are left.

      • KCI등재

        독거노인의 동네환경 무질서 인식과 우울, 삶의 만족과의 관계에서 공동체의식의 매개효과 - 기독교 상담적 의의 -

        정승록 한국실천신학회 2017 신학과 실천 Vol.0 No.56

        본 연구의 목적은 독거노인의 동네환경 무질서 인식과 우울, 삶의 만족과의 관계에서 지역사회 공동체의식의 매개효과를 밝혀 그것이 기독교 상담에 갖는 시사점을 찾고자 하였다. 조사는 서울 도봉지역에 거주하면서 노인복지시설을 이용하고 있는 65세이상 독거노인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195부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지역사회 공동체의식은 성별, 나이, 학력, 소득수준, 경제활동, 사별경험, 종교, 정부지원, 건강에서 집단별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동네환경 무질서 인식은 공동체의식과 삶의 만족과 부(-)의 관계를, 우울과는 정(+)의 관계를 보였다. 공동체의식은 우울과 부(-)의 관계를, 삶의 만족과는 정(+)의 관계를 보였다. 셋째, 공동체의식은 동네환경 무질서 인식과 우울의 관계에서 부분매개효과를, 동네환경 무질서 인식과 삶의 만족의 관계에서는 완전매개효과를 갖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기독교 상담은 개인의 미시적인 경험에 대한 이해는 물론 거시적인 지역공동체 차원에서 원인을 찾고 가용한 자원들을 분석하여 이들이 치유 혹은 치료 자원들에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적절한 케어 공동체에 연결을 돕는 능동적 지지자로서의 역할이 요구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mediating effects of a sense of communit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Neighborhood Disorder and Depression, Life Satisfaction, and to find out some suggestions on christian counseling among the elderly living alone. This study surveyed 220 seniors dwelling and using Seniors Welfare Center in Dobong-Gu, Seoul. And 195 questionnaires were used. The study had the findings as below. First, a sense of community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by the group according to Sex, Age, Academic Background, Economic Activity, Spousal Bereavement, Religion, Government Grants, Health. Second, neighborhood disorder had a negative relation with Sense of community and life satisfaction, and had a positive relation with Depression. Sense of community had a negative relation with Depression, and had a positive relation with life satisfaction. Third, sense of community had the partial mediating effect between neighborhood disorder and Depression, and also had the whole mediating effect between neighborhood disorder and Life satisfaction. Desirable christian counseling would need to act as a positive supporter to help for the elderly living alone access resources for healing or care by connecting optimal care community, as well as to understand their micro-experiences.

      • KCI우수등재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동네효과에 관한 탐색적 연구

        곽현근 한국행정학회 2004 韓國行政學報 Vol.38 No.6

        최근 지역사회 구성원의 역량강화를 위해 매우 중요한 요인으로 간주되고 있는 것이 자기효능감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동네의 사회경제적 환경이 개인수준의 사회경제적 지위와는 독립적으로 개인의 자기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동네효과를 파악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제도적 자원모형과 전염모형을 통해 빈공동네효과를 이론적으로 살펴보고, 이를 보완할 수 있는 논리로서 동네무질서에 주목하여 자기효능감과의 인과관계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실증분석은 대전광역시 16개 동네 816명의 설문응답결과에 위계적 선형모형을 적용하여 이루어졌다. 분석결과 개인수준의 인구 및 사회경제적 변수를 통제한 이후에도 빈곤동네는 자기효능감이 낮게 나타나 동네효과가 존재함을 보여주었다. 또한 동네무질서는 동네효과 및 개인수준의 자기효능감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으로 분석결과의 정책적 시사점 및 앞으로의 연구방향을 제시하였다.

      • KCI우수등재

        동네무질서와 정신장애인의 지역사회통합과의 관계

        민소영(Min, So-Young) 한국사회복지학회 2015 한국사회복지학 Vol.67 No.3

        본 연구의 목적은 동네환경과 정신장애인의 지역사회통합과의 관계에서 지역사회응집력의 조절효과를 검증하는 데 있다. 스트레스과정 모델, 사회해체이론, 그리고 동네무질서모델을 이론적 근거로 연구모형을 설정하였다. 서울과 경기도에 거주하는 정신장애인 총 692명에게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자료를 수집한 뒤, 조절회귀분석을 수행하였다. 주요한 연구결과는 첫째, 동네무질서가 사회적 통합에 직접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지역사회응집력의 조절 효과는 물리적, 사회적, 심리적 통합 모두에서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연구결과 를 바탕으로 정신장애인의 지역사회통합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개인차원이나 서비스 차원의 개입전략에 서 더 나아가 지역사회차원의 개입이 필요함을 제안하였다. This study examines the extent to which community cohesion moderates the effects of neighborhood disorder on community integration among persons with mental illnesses(MI) who are living in the community. Stress process model, social disorganization theory, and neighborhood disorder model were considered with regard to the moderating effect of community cohesion. 692 persons with MI who utilized Community Mental Health Enhancement Centers were surveyed and analyzed, employing moderated regression model. Major findings showed that neighborhood disorder increased social integration. Community cohesion moderated the relationships of neighborhood disorder to three dimensions of community integration: physical, social and psychological integration. Implications for community intervention beyond the individual and service-level interventions were addressed in order to accomplish community integration for persons with MI.

      • KCI등재

        동네무질서가 청소년 우울에 미치는 영향-부모,자녀 관계, 학교적응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정일영 ( Il Yong Jeong ) 경북대학교 중등교육연구소 2012 중등교육연구 Vol.60 No.4

        본고는 동네무질서의 청소년 우울에 대한 영향 경로에서 부모·자녀 관계와 학교적응의 매개효과를 고찰하는 것이다. 이에 생태체계적 관점을 근간으로 연구모형 정립 후, 구조방정식 모형으로 분석하였다. 청소년 패널데이터 중학교 2학년 4차 년도 자료의 3,077 사례가 분석에 투입되었다. 분석결과, 측정모형과 구조모형의 경로계수가 유의하고, 적합도가 양호하여 분석에 적실한 모형임이 증명되었다. 동네무질서의 직접효과가 나타났으며, 학교적응의 간접효과, 부모·자녀 관계에서 학교적응에 이르는 간접효과가 검증되었다. 그러나 완전 구조모형에서 부모·자녀 관계가 우울에 이르는 경로계수가 유의하지 않아 매개효과 분석에서 제외되었다. 최종적으로 Sobel test를 통해 학교적응의 매개효과 유의수준과 더불어 부모·자녀 관계에서 학교적응에 이르는 이중 매개효과가 유의수준이 있음을 증명하였다. 이러한 분석을 기반으로 동네, 가족, 학교 3자간 관계의 중요성과 함의를 유추하였다. This study`s purpose was to investigated that the mediating effects of parent-child relationship and school adjustment in the paths which neighborhood disorder attained to adolescent depression. This research model based on Ecosystemic Perspective and this study analyzed research model as AMOS 18.0`s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 total of 3,077 cases from Korean Youth Panel Study(the fourth wave) were used for the analysis. The results attested that the measurement model and the structural model`s fit was favorable for analysis, therefore this model proved suitable for the analysis. The main findings proved three important results in the path which neighborhood disorder predicted adolescent depression. First, neighborhood disorder directly, influenced adolescent depression. Second, school adjustment had indirect effects in this path. Third, it had dual mediating effects that parent-children relationship affected school adjustment. But the path which parent-child relationship affected depression had no significance in the full structural model, therefore this factor was excluded in the analysis. By using Sobel test, this study proved mediating effects`s significance of school adjustment and dual mediating effects`s significance which parent-child relationships affected school adjustment. Finally, this study suggested that the importance of neighborhood, family, school`s tripartite relationship and implications based on this analysis result.

      • KCI등재

        노인이 인지한 동네무질서와 행복감 간 관계

        박민서(Park Min Seo),최정민(Choi Jeong Min) 연세대학교 사회복지연구소 2016 한국사회복지조사연구 Vol.50 No.-

        본 연구의 목적은 노인이 인지하는 동네무질서와 행복감 간 관계에서 사회적 고립감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데 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검증하기 위해 전라남도에 거주하는 60세 이상 노인 292명의 자료를 이용하였다. 분석은 SPSS ver. 18.0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상관관계, 회귀분석을 실시하다. 분석 결과 동네무질서의 하위요인인 사회적 무질서와 행복감 간 관계에서 사회적 고립감의 완전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기반으로, 노인의 행복감을 증진시킬 수 있는 실천적, 정책적 제언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 of neighborhood disorder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neighborhood disorder and happiness among old adults. To achieve this objective, this study analyzed basic statistics, correlation, and regression with the help of SPSS ver. 18.0. using data of 292 elderlies over 60 years old who live in jeollanam-do. The main study results were as follows. The result shows the significant medicating effect of social isolat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social disorder and happiness. Based on these results, poli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are proposed.

      • KCI등재

        범죄예방 환경개선사업 효과에 대한 시계열적 분석: 천안시 원성동 사례를 중심으로

        서승연,이우민,박효숙,채인병,이경환 국토연구원 2018 국토연구 Vol.98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ffectiveness of the CPTED project through a case study of Wonseong dong in Cheonan City. The analysis result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after the CPTED project, the daytime and nighttime flow population showed a increase. Second, among the CPTED facilities, ‘CCTV and security lights,designated houses for neighbourhood safety’ showed the highest recognition. And ‘Installing trash and recycle station,Constructing guerilla gardens’, ‘CCTV and security lights, designated houses for neighbourhood safety’ showed high satisfaction than other CPTED facilities. After the CPTED project, neighborhood disorder and crime fears decreased and neighborhood attachment increased. Third, the CPTED project have a impact on fear of crime, residents’ social activities, neighborhood relations, participation in neighborhood activities, neighborhood satisfaction, and neighborhood attachment. Fourth, The number of crime incidents in 2015 has decreased by about 13.3% from the number of crimes in 2014, and In 2016, the number of crimes decreased by 42.2% compared to the number of crimes in 2014. The cost-cutting effect of crime prevention costs is estimated to be about 1.28 billion won for two years. This study is important in that it analyzes empirically the effects of CPTED Project using multi-faceted analysis method and actual crime data. 본 논문의 목적은 천안시 원성동을 대상으로 범죄예방 환경개선사업의 효과성을 분석하는 것으로 연구데이터를 수집하기 위해 유동인구 조사, 설문조사, 인터뷰 조사, 범죄 발생건수 및 범죄지도 분석, 범죄예방비용 분석을 실시하였다. 총 사업 전후 4차례의 분석을 통해 사업 효과를 분석하였으며,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첫째, 범죄예방 환경개선사업 이후 주간과 야간 유동인구가 증가하였다. 둘째, CPTED 시설물에 대한 주민들의 인지도, 만족도를 조사한 결과, ‘CCTV와 보안등, 안심지킴이집’의 인지도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쓰레기 분리수거대 및 게릴라 정원’, ‘CCTV와 보안등, 안심지킴이집’의 만족도가 높게 나타났다. 또한 범죄예방 환경개선사업 이후에 동네무질서와 범죄두려움은 감소하고 동네애착도는 증가하였다. 셋째, 범죄예방 환경개선사업은 지역 주민들의 범죄두려움, 사회적 활동, 이웃과의 관계, 지역활동 참여, 동네만족도, 동네애착 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2015년 범죄 발생건수가 2014년 범죄 발생건수보다 약 13.3% 감소했으며, 2016년 범죄 발생건수는 2014년 범죄 발생건수에 비해 약 42.2% 감소하였다. 또한 범죄예방비용 절감효과는 2년간 약 12억 8014만 원으로 추정되었다. 본 논문은 범죄예방 환경개선사업의 효과성을 실증적으로 분석했으며, 범죄데이터를 활용하여 사업 효과를 검증하고, 범죄예방비용 절감효과를 추정했다는 측면에서 의미를 갖는다.

      • 지역환경이 주거취약계층 매입임대입주자의 우울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민소영,김미호 한국정신건강사회복지학회 2019 한국정신건강사회복지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019 No.5

        이 논문은 오랫동안 노숙이라는 극단적 위기 속에 몰려있었던 주거취약계층이 매입임대주택에서 독립주거생활을 하게 되었음에도 여전히 우울을 느낀다면, 그 원인이 어디에 있는지를 밝히는 데 목적을 둔 연구이다. 기존 연구들에서 우울에 영향을 미쳤던 요인으로 제시되었던 개인 차원의 변수를 통제한 상태에서, 지역차원의 변수가 매입임대주택 입주자의 우울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보았다. 선행 연구들에서 제시한 이론에 근거하여 지역 환경이 집합적 효능감을 통하여 우울에 이르는 매개적 경로를 설정하고 분석하였다. 지역 환경은 동네무질서 변수로 측정하였다. 분석 결과, 집합적 효능감이 동네무질서외 우울 사이를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매입임대주택에서 거주하는 주거취약계층이 자신의 동네가 무질서하다고 느낄수록 지역 내 집합적 효능감 수준은 떨어진다고 인식하였으며, 이는 이들의 우울 수준을 높이는 결과를 가져왔다.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함의와 제언을 제시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