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동기강화상담에 대한 기독교상담적 평가

        박윤정 ( Yoon Jeong Park ) 한국복음주의상담학회 2016 복음과 상담 Vol.24 No.2

        본 연구는 어려움에 봉착한 내담자가`변화를 향한 내적인 동기를 어떻게 작동시키는가?`에 대한 관심으로부터 출발하였다. 변화하려는 동기는 변화를 향한 열망의 에너지가 투입된 내적인 산물이다. 이러한 변화동기는 자발적이고 긍정적인 변화를 갈망하기에 상담의 목표로서 변화를 성취하도록 이끄는 힘이 된다. 무엇보다 변화동기는 상담의 궁극적인 목표로서 변화를 달성하려는 힘의 근간이 되어 상담 효과에도 영향을 미친다. 그렇지만 변화동기는 지속적으로 에너지가 투입되지 않으면 소멸된다. 따라서 변화동기를 지속적으로 유지하고 내면화 할 수 있는 방법이 필요하며 이것은 기독교상담으로 가능하다. 본 연구의 목적은 변화동기를 강화시키는데 초점을 두는 동기강화상담 방법에 대해 기독교상담적 관점에서 평가하여 통합 가능성의 기초를 마련하는데 있다. 평가 결과 첫째 동기강화상담은 무동기(無動機) 상태의 동기를 생성시키지 못한다. 즉 동기강화상담은 인간의 내면에 전혀 없는 동기를 새롭게 불어 넣는 창조적인 행위가 아니다. 둘째 변화동기에 저항하는 요인으로 양가감정의 불일치를 다루었으나 저항의 근본적인 원인으로서 죄의 문제를 놓치고 말았다. 셋째 상담 현장에서 실제적으로 구현할 수 있는 상담 방법들을 제시하는 긍정적인 측면에서 통합의 접촉점을 마련하고 있다. This study is Motivations to change are internal products injected with an energy of desire toward change. Because these motivations to change long for a voluntary and positive change, they become the strength that draws out the client to accomplish change as the goal of the counseling. More than anything, the motivation to change is the basis of power whereby the client attempts to achieve change as the ultimate goal of the counseling so it affects the effect of the counseling. However, the motivation to change disappears if energy is not constantly committed to it. Therefore, a method to constantly maintain and internalize motivations to change is required, and this is possible through Christian counseling.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is to establish a basis for the possibility to integrate motivation interviewing methods that focus on enhancing motivations to change by assessing methods from a Christian counseling perspective. The assessment results show that, first of all, motivational interviewing failed to create motivations in an amotivational state. Second, dissonance in terms of ambivalence was included as a factor that resisted motivations to change, but the issue of sin was left out as a fundamental cause of resistance. Third, the study establishes an integrated contact point from a positive aspect that presents counseling methods that can actually be realized in the counseling field.

      • KCI등재

        자기결정성이론에 근거한 초등학교 저학년용영어학습동기검사 개발 및 타당화 연구

        김명숙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3 교육과정평가연구 Vol.16 No.1

        학습자들에게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정의적 요인 중의 하나는 학습동기라고 할 수 있다. 이 연구의 목적은 자기결정성이론에 근거하여 초등학교 저학년 학생의 영어학습동기검사를 개발하고 그 검사의 양호도를 검증하여 타당화하는 것이다. 영어학습동기검사의 구인타당도를 검증하여 5요인모형을 채택하였다. 5요인은 무동기, 외적 조절, 주입된 조절, 확인된 조절의 외재 동기, 그리고 내재동기이었다. 준거관련 타당도를 검증하여 교사가 학생을 관찰하여 평정한 영어능숙도 점수와 개발된 검사에 의해 측정된 영어학습동기의 자율성지수와의 상관계수는 .282로 나타났다. 또한 신뢰도 검증을 위해 실시한 내적 합치도는 .725이었으며 검사-재검사 신뢰도는 .79이었다. 분석결과, 영어학습동기검사의 양호도는 비교적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타당도를 확인할 수 있었다.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1) to develop English learning motivation inventory, based on Self-Determination Theory, (2) to confirm component factors of the construct proposed by the SDT, and (3) to test the goodness of the English learning motivation inventory developed in this study. The results of confirmatory factor analyses revealed that the 5-factor model as well as the 4-factor model have good model fit statistics. However, the 5-factor model was chosen as the best model for the English learning motivation inventory in this study according to the principle of parsimony. The five factors were amotivation, external regulation, introjected regulation, identified regulation, and intrinsic motivation. The Cronbach's alphas for the overall test and the component factors were high enough to satisfy the requirement for the test as a measurement inventory for English learning motivation. Also, the item discrimination indices, which were correlation coefficients between individual item scores and the mean score for each factor, turned out to be appropriate for all the items. Finally, the correlation between English learning motivation inventory scores, which are RAIs, and English achievement scores was also significant. This result confirmed the criterion-related validity of the English learning motivation inventory developed in this study.

      • KCI등재

        유아교사의 교직선택동기와 교직헌신의 관계에서 직무스트레스의 매개효과

        이순아,박은영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20 교육문화연구 Vol.26 No.5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mediating role of job stres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early childhood teachers’ motivation for choosing teaching profession as a career and commitment to teaching. Employing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e analyzed the self-report data of 570 teachers who work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This result indicated that teachers’ active motivation for choosing teaching profession as a career was positively associated with their commitment to teaching, whereas the other two types of motivation for choosing teaching profession as a career had no direct effect on teachers’ commitment to teaching. Second, teachers’ passive motivation for choosing teaching profession as a career had a positive effect on job stress, whereas teachers’ material motivation for choosing teaching profession as a career negatively influenced job stress. Third, teachers’ passive motivation and material motivation for choosing teaching profession as a career had significant indirect effects on their commitment to teaching via job stress. These findings highlight the importance of having an active motivation for choosing teaching profession as a career before the first year of teaching and experiencing less job stress in the field in order to increase teachers’ dedication and commitment to teaching and students. 본 연구는 유아교사의 교직선택동기와 교직헌신의 관계에서 직무스트레스가 매개효과가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G시와 J도의 유아교육기관에 근무하는 유아교사 570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고, 구조방정식분석을실행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교직선택에서 능동적 동기는 교직헌신에 정적 영향을 미쳤으나, 수동적 동기와 물질적동기는 교직헌신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둘째, 교직선택에서 물질적 동기는 직무스트레스에 부적 영향을 미친반면, 수동적 동기는 정적 영향을 미쳤으며, 능동적 동기는 직무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셋째, 직무스트레스는물질적 동기 및 수동적 동기와 교직헌신 간 관계에서 매개 효과를 보였다. 물질적 동기가 높은 교사는 직무스트레스가낮아 교직헌신이 증가한 반면, 수동적 동기가 높은 교사는 직무스트레스가 높아 교직헌신이 감소하였다. 본 연구결과는유아교사의 교직헌신을 높이기 위해 교직 입문 전에 교직에 대한 능동적 동기를 갖도록 돕고, 유아교육현장에서는교사들의 직무스트레스를 낮추는 것이 중요함을 시사한다.

      • KCI등재

        김정희 서화 미학에 대한 동기창의 영향 -이서입화(以書入畵)를 중심으로-

        서희연 ( Sur¸ Heui Yeon ) 한국동양예술학회 2021 동양예술 Vol.52 No.-

        본 연구는 조선 말기 화단에 가장 큰 영향력을 행사한 김정희의 서화 미학에 끼친 동기창의 서화 사상의 영향력 분석을 목적으로 하는 글이다. 남아 있는 자료의 부족으로 정확히 영향력을 파악한 시점은 알 수 없지만, 김정희의 서화론은 동기창의 서화론에 상당 부분 영향을 받았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즉 김정희의 서화론이 문인 서화가의 조건으로 문자향과 서권기를 제시한 점 그리고 서예의 필법으로 그림을 그린다는 서화 동필론을 주장한 점은 동기창의 문인화론을 수용했음을 보여준다. 김정희는 동기창의 화론에 기반해 정통 유가 사대부 예술의 정체성 확보를 위해 노력했다. 비록 김정희의 화론이 동기창의 서화론에 비해 창신의 측면은 위축되었지만, 김정희는 동기창을 위시하는 정통파 화풍을 적극적으로 수용해 조선 후기 회화 발전에 큰 기여를 했다. 그러나 김정희는 동기창이 강조하지 않았던 학문과 같이 도를 엄격하게 준수 할 것을 강조했다. 김정희 서화론과 동기창의 서화론의 차이점은 김정희는 예술 창작행위를 유가[聖門]의 격물치지 학문과 같은 선상에 놓았다는 것이다. 17세기부터 오파 화풍의 수용과 함께 조선에 알려지기 시작한 동기창의 명성은 18세기에는 오파 혹은 동기창의 영향을 받은 서화작품과 함께 이전 시대에 비해 다량의 서화 필적이 전래되며 조선 후기 대표적인 문인 서풍으로 자리잡게 되었다. 19세기에는 동기창의 화론이 그대로 화제로 이용되거나 혹은 방작임을 분명히 밝힌 작품들이 대거 등장해 동기창의 영향력이 저변화 되었으며, 계층을 불문하고 동기창의 서풍은 확산되었다. 이러한 배경에는 김정희의 영향력이 컸다. 그는 청 문물을 수용해 체계화하는 과정에서 동기창의 서화론을 조선의 실정에 맞게 변용한 남종문인화의 기초를 닦았으며, 그 연원은 오늘날까지 전해지고 있다. 또한, 김정희의 예술론은 회화와 서예에서 모두 고도의 정신미를 요구하며 문자향과 서권기를 주장하며 개성적인 ‘괴’를 추구했다. 그가 주장한 고도의 정신미와 개성적인 문인화풍은 상류층 문인뿐 아니라 중인층에 이르기까지 신분 질서의 차이를 뛰어넘어 많은 화가가 동참했다. 이런 점에서 조선 서화사에서 그가 차지하는 위상은 매우 높다고 할 수 있다. 그의 고도의 정신미의 추구와 함께 그 속에 독특한 개성을 추구하는 예술론은 한편으로는 전통 회화의 발전을 차단한 것이라고 평가되기도 하지만, 이것은 차단이 아닌 새로운 독창적 세계가 열리도록 했음을 알 수 있었다. This paper is to analyze the influence of calligraphy and painting theory of Tung Ch’i-Ch’ang that influenced calligraphy and painting theory of Kim Jeong-hee who had the greatest effect on painters in the late Joseon Dynasty. We can't find the period of influence exactly due to the lack of remaining data, but we could confirm that calligraphy and painting theory of Kim Jeong-hee was significantly influenced by calligraphy and painting theory of Tung Ch’i-Ch’ang. In other words, the fact that calligraphy and painting theory of Kim Jeong-hee presented scent of characters and sprit of books as a condition of Literati Calligraphic Painters and the claims of homology of book and painting that Kim Jeong-hee painted with brush stroke support the acceptance of Literarti painting art theory. Kim Jeong-hee tried to secure identity of orthodox Confucianism literati officials based on artheory of Tung Ch’i-Ch’ang. Although artheory of Kim Jeong-hee had less creativity compared to the one of Tung Ch’i-Ch’ang, Kim Jeong-hee actively accepted the orthodox painting style that emulated Tung Ch’i-Ch’ang, greatly contributing to the development of painting in the late Joseon Dynasty. However, Kim Jeong-hee emphasized to strictly follow dao, a study which wasn't emphasized by Tung Ch’i-Ch’ang. Difference between calligraphy and painting theory Kim Jeong-hee and Tung Ch’i-Ch’ang is that Kim Jeong-hee put artistic creative action on the same line with the Gewuzhizhi study of Confucianism. The reputation of Tung Ch’i-Ch’ang which began to be known in Jeseon along with the acceptance of Wu school painting style since the 17th century has been settled as representative literati calligraphy style in the late of Joseon Dynasty as many paintings and calligraphic works were passed down compared to the previous era along with calligraphy works that were influenced by Wu school or Tung Ch’i-Ch’ang in the 18th century. In the 19th century, the influence of Tung Ch’i-Ch’ang went on the expansion of the base as works that clearly showed that they used painting style of Tung Ch’i-Ch’ang as it is or they were Bangjak of it were appeared a lot. So, the calligraphy style of Tung Ch’i-Ch’ang was spread regardless of the classes. In this background, the influence of Kim Jeong-hee was great. He adopted Qing Dynasty civilization and strengthened the basics of the southern school painting that fit to the circumstances of Joseon Dynasty in the process of systematizing it. Its origin are still being passed down to this day. In addition, an art theory of Kim Jeong-hee demanded high-degree of spirit of beauty in both painting and calligraphy and claimed a scent of characters and spirit of books, pursuing unique 'grotesque'. Many painters who transcended the differences in social orders from high class literary men to middle class participated in the high-degree of the spirit of beauty and unique literati painting style. In this sense, his status in Joseon calligraphy history was very high. An art theory which pursued unique characteristics along with his pursuit for high-degree of the spirit of beauty is evaluated to block the development of traditional painting in certain aspect, but we found that this opened up a new creative world rather than blocking it.

      • KCI등재

        경찰공무원의 동기요인에 대한 인식이 직무열의에 미치는 영향

        하상군(Ha, Sang Gun) 동국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 2014 사회과학연구 Vol.21 No.3

        경찰조직에서 행정의 목적 달성을 위한 국민과의 접촉은 경찰공무원 개인의 동기와 조직성과 등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점에서 중요하다. 이에 경찰의 직무자체가 내적보상을 가져다 줄 수 있는 직무특성을 밝히고, 이러한 직무특성을 제고하도록 재설계함으로써 내적 동기부여를 증진시켜야 한다. 이 연구에서 검증한 경찰공무원의 직무열의에 미치는 동기요인에 대한 인식은 먼저 공공봉사의 동기는 자기희생에 대한 인식과 내재적 동기에 대한 인식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자기희생과 외재적 동기가 헌신에 미치는 영향력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내재적 동기가 몰두에 미치는 영향력이 더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공공봉사동기 내 하위변인인 자기희생과 직무동기 내 하위변인인 내재적 동기, 외재적 동기는 몰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직무열의 내 하위변인인 헌신에 미치는 영향요인이었던 자기희생, 내재적 동기, 외재적 동기 변인에서 내재적 동기 변인이 가장 크게 나타난 것과는 달리 자기희생 변인이 가장 큰 영향력을 보였다는 점에서 차이를 보인다. Contact with the public for the purpose of achieving the government can influence the police officers and individual motivation and organizational performance. Also the job of the police themselves reveal the job characteristics that can bring the internal compensation, by re-designed to enhance the job characteristics should promote internal motivation. The awareness of the motivation of the police officers on job engagement was proven in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public service motivation was proved by the perception of self-sacrifice and intrinsic motivation. Second, the self-sacrifice and extrinsic motivation is a high influence on the commitment. Third, the impact on intrinsic motivation is found to be engaged in more positive. Finally, the self-sacrifice of public service motivation and intrinsic motivation, extrinsic motivation of job motivation was proved to have a positive impact on the absorption. These results show the impact factor was self-sacrifice, intrinsic motivation, extrinsic factors most influence the self-sacrifice, unlike intrinsic motivation variables shown in the motivation factors within the sub-factors of greatest impact on job engagement show the differences in the points.

      • KCI등재

        동기창(董其昌) 작품(作品) 에 담긴 선종(禪宗)의 미학(美學)

        서희연 ( Sur Heui Yeon ) 한국동양예술학회 2020 동양예술 Vol.46 No.-

        明末은 봉건제도와 정치가 모순에 직면하여 쇠퇴하고 있었으며, 자본주의 사상이 유입되어 새롭게 자리 잡던 시대이기도 했다. 전통과 혁신이라는 시대적 모순을 극복하기 위해 과거 전통으로의 회귀를 주장하는 복고주의와 새로운 철학과 새로운 예술을 찾는 혁신적 경향의 사상이 혼재되었다. 董其昌은 中國山水畵가 질박한 양식에서 문채로운 양식으로 발전했음을 밝혀냈으며, 질박한 양식인 옛날(古)에 집착하면 법식에 속박되게 되고, 문채로운 양식인 오늘날(今)에 집착하면 자사(恣肆)에 빠지기 때문에 今의 폐단을 보충해주기 위해서는 古가 필요하다고 하여 古와 今의 통일, 法과 變의 통일을 주장했다. 明末은 이미 禪宗, 陽明學, 老莊思想이 혼재되어 있었고, ‘狂禪’풍조가 성행하면서, 예의와 속박에서 벗어나고, 자아 중심적인 방임 생활을 이어나갔다. 董其昌은 다양한 이유로 禪宗에 심취했는데, 董其昌의 철학적 사유가 당시 老莊思想의 잔잔하며 은일적인 기질과는 다른 직설적이고, 거침없는 禪宗적 기풍이 잘 맞아떨어졌기 때문이다. 하지만 董其昌의 사상 이면을 살펴보면 莊學과 동일 선상의 禪宗을 흡수한 것이다. 董其昌이 추구한 것은 내심의 平靜, 淡과 淸靜그리고 세속을 초탈한 생활이었다. 그가 즐겼던 禪悅은 바로 淸淡혹은 玄談의 禪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明末에 행해진 禪宗의 성행은 道學化된 佛敎임을 전제로 董其昌이 특히 심취했던 禪宗은 老莊思想과 상당히 유사한 성질의 禪宗임을 바탕에 두고 그의 작품과 화론에 담긴 禪宗의 영향을 받은 미적 정서 변화가 董其昌의 작품속에서 필묵과 구도에 의해 어떻게 구체화 되었는지를 살펴보는 데 있다. When Ming Dynasty around its end, the contradictions of its feudal system and politics was leading to their deterioration; the same period was also when the capitalism was introduced. It was the time of the mixed existence of reactionism, which insisted on going back to the traditions of the past to overcome the periodical contradictions of the coexistence of tradition and innovation, and the thought of innovative tendency, which pursued new philosophy and art. Dong Qi Chang(董其昌) established that the style of Chinese landscape painting developed from simplicity to beautiful coloring. Also, it insisted on the unification of the past and the present, and of law and demonstration( 변), as the past(古) is necessary to complement the negative effects of the present(今); it the obsession towards the past(古), which is the style of Han Dynasty, people would be bound to rules and formalities, whereas the obsession towards the present(今), which is the style of beautiful coloring, makes it easier for people to the outside beauty(恣 肆). Ming Dynasty, around its end(明末), already contained the mixed existence of Zen(禪宗), the doctries of Wang Yangming(陽明學), and the thought of Lao Zhuang(老莊思想). Also, with the prevalence of 'The Zen of Madness(狂禪)', people freed themselves from etiquettes and restrictions, and led their self-centered life of neglect. For various reasons, Dong Qi Chang(董其昌) was immersed in Zen(禪宗); the philosophical thoughts of Dong Gi Chang(董其昌) was well-suited with the straightforward and unhindered style of Zen(禪宗), which was different from rather still and secluded nature of the thought of Lao Zhuang(老莊思想). However, looking closer to the other side of Dong Qi Chang(董其昌)'s thoughts, it contains the absorption of part of Zen(禪宗) which is on the same level as the doctrines of Zhuang(莊學). Dong Qi Chang(董其昌) was in pursuit of the peace(平靜), purity(淡), cleanliness (淸靜), and life transcended from the mundane world. The joy of Zen(禪 悅) that he enjoyed was the Zen of purity and cleanliness(淸淡), or of the talk of the profound logic(玄談). The purpose of the study lies in examining how the aesthetic sentiments of Dong Qi Chang(董其昌) having been influenced by Zen(禪宗) were materialized in his works. The study was therefore based on the idea that the prevalence of Zen(禪宗) around the end of Ming Dynasty(明末) was the Buddism with the doctrine of Ethics(道學化), and the Zen that Dong Qi Chang(董其昌) especially immersed himself in was significantly similar to the thought of Lao Zhuang(老莊思想).

      • KCI등재

        창업동기, 창업역량 및 창업지원 정책이 창업 초기기업의 창업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사회적지지의 조절효과

        강영철,하규수 사단법인 한국벤처혁신학회 2022 벤처혁신연구 Vol.5 No.4

        사회·국가적으로 창업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하지만 국내 신생 기업의 생존율은 상대적으로 낮은 편이다. 따라서 초기 창업기업의 창업 만족도를 재고하여 생존율을 높일 방안 마련이 절실하다. 본 연구에서는 초기 창업기업의 창업 동기, 창업역량, 창업지원 정책이 창업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과 사회적지지의 조절효과에 대해 알아보았다. 창업 동기는 세부적으로 경제적 동기와 자아실현 동기로 구분하였다. 창업역량은 세부적으로 경험역량과 마케팅역량으로 구분하였다. 창업지원 정책은 세부적으로 창업자금지원과 창업컨설팅 지원으로 구분하였다. 온오프라인으로 창업 7년 이내 초기 창업기업의 경영자 250명으로부터 설문을 받아 실증분석을 진행하였다. 그 결과 경제적 동기, 자아실현 동기, 경험역량, 마케팅역량, 창업자금지원은 창업 만족도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쳤다. 그러나 창업컨설팅 지원은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다. 또한 창업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력의 크기는 자아실현 동기, 경험역량, 마케팅역량, 창업자금지원, 경제적 동기 순으로 나타났다. 사회적지지의 조절 효과는 경제적 동기, 자아실현 동기, 경험역량에서 나타났다. 그러나 마케팅역량, 창업자금지원, 창업컨설팅 지원은 조절 효과가 검증되지 않았다. 연구 결과를 통해 자아실현 동기와 경험역량이 창업 만족도 제고에 핵심적인 요인이라는 학술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또한 초기 창업가의 자아실현과 경험역량을 극대화할 창업 교육 프로그램과 창업컨설팅 지원 제도의 실효성 제고 노력 등이 필요하다는 실무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교사동기 연구의 동향과 과제

        조윤정(Cho, YoonJu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0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0 No.5

        교사동기는 교사의 교직업무 뿐만 아니라 학생의 학습에 광범위하게 영향을 미친다는 점에서 매우 중요한 연구주제임에도 불구하고, 학업동기에 비해 연구자들의 관심을 받은 지 얼마 되지 않았다. 본 연구의 목적은 교사동기를 살펴본 선행연구들의 연구동향을 고찰함으로써 교사동기 연구의 현주소를 이해하고 향후 연구의 방향을 제시하는 데 있다. 그동안 수행된 교사동기 연구들은 교직의 특수성을 반영한 동기이론을 개발하여 적용하기 보다는, 학생을 대상으로 한 기존 연구에 사용되었던 동기이론을 교사동기에 단순히 적용한 경우가 대부분이었다. 본 연구에서는 교사동기 연구에 적용된 주요 동기이론들(자기효능감, 성취목표이론, 자기결정성이론, 기대-가치이론, 성취정서이론)을 검토하고, 이러한 이론에 근거하여 도출된 주요 교사동기 구인들(교사효능감, 성취목표, 자율성동기, 교직선택동기, 성취정서)을 중심으로 연구동향의 주요 특징과 패턴을 분석하였다. 향후 교사동기 연구에서 주목해야할 과제로 교사동기 특수성에 부합하는 동기이론 개발 및 적용, 교사동기의 종단적 변화와 안정성, 교사가 ‘지각한’ 동기의 특성과 선행요인, 교사동기와 관련 변인들 간의 인과적 관계, 교사동기 측정방식의 다각화를 제안하였다. 본 연구는 교사동기에 대한 학문적 관심이 급격히 증가하는 시점에서 교사동기 연구자들이 주목해온 주제들과 연구결과들을 살펴보고, 중요성에 비해 소홀히 다루어진 연구주제들을 발굴하여 향후 과제로 제안했다는 점에서 학문적 의의를 찾을 수 있다. Despite the significant influence of teacher motivation on student learning and instructional practices, teacher motivational research is still in its infancy. It is critical to understand teacher motivation in terms of its unique characteristics, antecedents and consequences to effectively promote adaptive teacher motivation. Early research on teacher motivation focused on examining whether the motivational theories utilized in student motivational research are applicable to explain teacher motiv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current status of teacher motivation research and to suggest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This study focused on reviewing teacher motivation studies that applied the main theories of motivation (self-efficacy, achievement goal, self-determination, expectancy-value, achievement emotion theories) as theoretical framework and examined the main characteristics and patterns of research trend in the field of teacher motivation. In addition, this study suggested the direction and prospect of future research on teacher motivation. It was discussed that researchers need to pay attention to revising and expanding the motivation theories suitable for the research on teacher motivation in order to reflect unique and distinctive aspects of teacher motivation. This study also suggested that domain-specific and situation-specific nature of teacher motivation need to be captured and that causal relationships between teacher motivation and related variables need to be investigated. As research interest in teacher motivation is rapidly increasing, it is meaningful to identify the important research topics of teacher motivation that have been relatively neglected.

      • KCI등재

        자기회귀교차지연모형을 적용한 동지, 인지, 행동조절전략의 종단적 과계

        문병상(Byung Sang Moon) 한국교육심리학회 2014 敎育心理硏究 Vol.28 No.2

        본 연구는 중학교 2학년에서 고등학교 1학년까지 3년 동안 동기, 인지, 그리고 행동조절전략들 간의 종단적 관계를 자기회귀교차지연모형을 적용하여 분석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한국교육개발원이 2005년부터 중학교 1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실시한 한국교육종단연구(Korea Education Longitudinal Study: KELS)의 2차 년도부터 4차 년도까지의 종단 자료를 이용하여 자기회귀 교차지연모형으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세 시점에 걸쳐 학생들의 자기조절학습에 동기, 인지, 그리고 행동적 전략의 자기회귀 계수를 측정한 결과, 이전 시점의 동기, 인지, 그리고 행동적 전략이 각각 이후 시점의 동기, 인지, 그리고 행동적 전략에 유의하게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따라서 동기, 인지, 그리고 행동적 전략이 각각 다음해 동기, 인지, 그리고 행동적 전략을 매우 안정적으로 예측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자기조절학습에서 동기, 인지, 그리고 행동적 전략의 교차회귀계수를 측정한 결과, 3년에 걸쳐 동기조절은 다음해 인지 및 행동조절에 정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으나, 인지조절은 다음해 동기조절에 아무런 양향을 미치지 못하였다. 그리고 행동조절은 다음해 동기조절에 부적으로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행동조절은 인지조절에 정적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셋째, 동기조절과 행동조절 간에는 상보적 인과 관계(reciprocal causal relationship)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동기조절과 행동조절은 모두 서로 원인과 결과로서 작용하고 있다. 그러나 동기조절과 인지조절은 상보적 인과 관계가 없었다. 즉 동기조절은 인지조절의 원인으로 작용하나 인지조절은 동기조절의 원인으로 작용하지 못하였다. 넷째, 인지조절과 행동조절은 상보적 인과관계가 있었다. 즉 행동조절은 인지조절의 원인으로 작용하며, 동시에 인지조절은 행동조절의 원인으로 작용하고 있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에 따라 자기조절학습에 동기, 인지, 그리고 행동조절의 종단적인 인과관계에 대한 논의와 교육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longitudinal relationship between motivational, cognitive, and behavioral self-regulated strategy using Autoregressive Cross-lagged Modeling. In the present study, I used the longitudinal data of T2(2006)-T3(2008) being collected by KEDI since 2005. Main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motivational, cognitive, and behavioral self-regulated strategy in self-regulated learning were moderately stable over time. That is, prior motivational self-regulated strategy predicted subsequent cognitive, and behavioral self-regulated strategy significantly. Second, the prior cognitive self-regulated strategy did predict subsequent behavioral self-regulated strategy significantly. Third, the prior cognitive self-regulated strategy did not predict subsequent intrinsic motivation significantly. Fourth, there were reciprocal casual relationships between motivational and behavioral self-regulated strategy, and there was a reciprocal casual relationships between cognitive and behavioral self-regulated strategy. Findings were discussed with regard to the reciprocal causal relationship between motivational, cognitive, and behavioral self-regulated strategy in self-regulated learning and the educational implications.

      • 신호동기와 기회주의 동기에 따른 주주지분의 상대가치

        이화진 한국재무학회 2011 한국재무학회 학술대회 Vol.2011 No.08

        본 연구는 경영자의 재무적 의사결정의 동기를 효율성 동기(efficiency motive)와 기회주의 동기(opportunitic motive)로 이분하고 이에 따라 시장에서 차별적으로 기업가치를 평가하는지 를 보유 중인 자기주식의 처분활동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자기주식의 취득과 보유 및 그 처 분이 경영자의 자기주식 취득동기가 효율성 동기이냐 기회주의 동기이냐에 따라 자기자본 구성 요소에 대한 시장의 평가가 달리 나타나는지를 2000년부터 2006년까지 금융업에 속하지 않는 12월 결산법인을 표본으로 검증한 결과, 보유중인 자기주식의 처분에 따라 구분한 자기주식의 취득동기가 기업가치의 저평가에 대한 사적정보의 전달이라는 효율성 동기로 판단되는 경우에 납입자본에 대해서는 할인평가를, 이익잉여금에 대하여서는 할증 평가를 하는 것으로 나타났 다. 즉, 자기주식비중이 높은 기업의 납입자본금의 주가배수가 평가 절하되고 자기주식비중이 높은 기업의 이익잉여금의 주가배수가 평가 절상되는 효과가 자기주식 취득동기가 효율성 동기 로 여겨지는 경우에 한층 뚜렷이 나타나는 반면에, 자기주식 취득동기가 기회주의 동기로 여겨 지는 경우에는 자기주식비중이 높은 기업의 납입자본금의 주가배수가 평가 절하되는 효과가 상 대적으로 크지 않으며 자기주식비중이 높은 기업의 이익잉여금의 주가배수는 평가 절하되는 효 과가 나타난다는 것이다. 본 연구는 주로 공개시장을 통한 자사주 취득공시 시점을 전후한 기존 연구의 범위를 자기주식 취득 후의 자기주식 보유 및 처분·소각 활동까지로 확대하고, 그 효과가 장기에 걸쳐서 기업가치 의 변화를 초래하는 자기주식 취득과 보유 및 처분이라는 재무적 사건의 장기효과 측정방안으로 가치평가 모형에 의한 분석방법론을 사용하였다는 데에 기존 연구와 차별성이 있다. 무엇보다도, 경영자의 재무의사결정의 동기를 효율성 동기와 기회주의 동기로 명시하고 이를 모두 포함한 연구모형을 제안하고 이에 대한 투자자들의 가치평가를 검증하였다는 데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