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도약 안구 운동 과제를 통한 반응 복잡성 효과 검증

        설정덕 ( Jung Duk Sul ),김상범 ( Sang Bum Kim ) 한국스포츠심리학회 2011 한국스포츠심리학회지 Vol.22 No.4

        반응 복잡성 효과는 수행해야할 동작반응의 복잡성이 증가함에 따라 반응시간이 길어지는 현상으로, 반응시간의 지연이 반응 계획 단계에서의 중추적인 처리과정의 지연에 의한 것이 아니라 복잡한 동작수행과 관련된 운동명령의 신경전달과 근육의 수축과정의 지연에 의한 것이라는 의문이 제기되어 왔다. 본 연구의 목적은 도약 안구 운동을 통해 말초적인 전달과정의 지연효과를 최소화하고 좌우 30도 수평 도약 안구 운동 과제를 통해 도약 안구 운동의 수를 1도약과제에서 4도약과제까지 증가하여 반응 복잡성의 증가에 따른 반응시간과 안구 운동의 운동학적 변인들의 변화를 비교 분석하였다. 대학에 재학중인 10명의 남학생이 반응 복잡성이 다른 4조건(1도약, 2도약, 3도약, 4도약)의 도약 안구 운동을 수행하였고, 매 시행 도약 안구 운동 자료는 EOG를 통해 수집되고 분석되었다. 연구결과, 도약 안구 운동의 수가 증가함에 따라 반응시간이 증가하였으며, 반응 복잡성이 증가함에 따라 반응계획단계에서 반응요소를 계획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이 증가를 야기하는 반응 복잡성효과를 재확인한 결과이다. 또한 1차 도약안구 운동의 운동학적 변인들(운동시간, 최대속도, 최대속도시간)는 1도약안구 운동과 다른 3조건들 간에 서로 다른 운동학적 수행 패턴을 보여, 도약 안구 운동수의 증가에 따라 단순히 1도약 안구 운동이 반복되는 것이 아니라 더 효율적인 동작으로 재구성되어 발현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Response complexity effect studies have consistently revealed slower reaction times with more complex movements. However, some researchers have questioned whether cognitive processing time is indeed extended by factors such as movement complexity and accuracy. The limb mass involved with movements could be a confound. Eye movements allow research on the same phenomenon without the confounding effect of body mass. The current study investigated the movement complexity effect of eye movements by using electrooculargram (EOG) which can overcome the sensitivity constraint of eye tracking system. Ten participants performed four different eye movement conditions (i.e., moving from a central focus position to a target located at the periphery). A movement complexity effect was identified. Two, three, and four saccadic eye movement conditions took longer to initiate than one saccade. this results confirmed that response complexity effect is responsible for processing time delay involved with response programing stage. Additionally, movement kinematics of first saccadic eye movement revealed that reversal saccadic eye movement with the same movement amplitude caused more efficient reorganization of motor program than single saccadic eye movement.

      • KCI등재

        한국경영사학회 30년사(1986~2016)

        김성수(Sung-soo Kim) 韓國經營史學會 2017 經營史學 Vol.82 No.-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경영사학회 30년사 가운데 도약기의 주요 연구 활동 과 그 성과를 고찰하는 데 두었다. 한국경영사학회 30년사 가운데 도약기는 1995년부터 1999년까지 5년간의 기간이며 김성수 교수(경희대)와 고승희 교수(단국대)가 학회장으로 활동하던 시기이다. 이 도약기에서 경영사학회의 중요활동과 성과는 크게 세 가지로 구분할 수 있다. 첫째는 도약기에 빛나는 경영사 학술연구 성과 둘째, 창업대상 수상자 결정, 셋째는 도약기 해외 학술탐사와 국제심포지엄 개최 등의 성과이다. 먼저, 도약기에 빛나는 경영사 학술연구의 성과와 창업대상 수상기업의 선정 등 2가지는 경영사학회의 기본적 주요 연구 활동이다. 따라서 (1) 광복 50주년기념 해방둥이 기업연구(1995) (2) 교보생명 창업자 대산 신용호 연구(1996) (3) 창립 10주년 기념 특집 학술논문집 발간(1996) (4)아남그룹 창업자 김향수 연구(1997.상) (5) 호암사상 재조명 연구(1997.하) (6) 한국경영사학회 임원들의 추천 논문집 발간(1998), (7) 현대그룹아산 정주영 연구(1999) 등은 경영사학회 도약기의 주요 연구 성과로 나타나고 있다. 다음으로 경영사학회의 도약기에 이룩한 또 하나의 큰 성과는 해외학술탐사와 국제심포지엄으로서 (1) 중세 지중해연안 상업 및 무역도시의 학술탐사와 심포지엄(이태리 베니스, 1995) (2) 고대 상업 및 무역도시 학술탐사와 심포지엄(그리이스 아테네, 1996) (3) 북구 바이킹 후예를 찾아서-북구 상업 및 무역도시 학술탐사와 심포지엄(스웨덴 스톡홀름, 1997) (4) 중국 학술탐사와 심포지엄(장춘세무대학, 1999)등이 돋보이고 있다. 이상 한국경영사학회 도약기는 21세기 New Millennium를 맞는 성장발전기의 중심의 시기가 되었다. The take-off stage of The Korean Academy of Business Historians 30 years is 5 years-period from 1995 to 1999 . The stage can divided into three key activities and performance First of all, distinguished academic research achievements on Korean business history during the stage. Secondly, selection of award winner for remarkable leading companies and those founders as entrepreneurs during the same period. Lastly, accomplishments of academic expedition abroad and international symposium on the history of business and economics in the globalization. In fact, academic research attainments and selection of award winners whom had great achievements in the business field as entrepreneurs were essential activities of the KABH during the stage; 1) The Studies on the Enterprises Founded at Independent year(1945) of Korea (1995)., (2) The Studies on the Yong-Ho Shin, Founder of Kyobo Life Insurance Co., Ltd (1996)., (3) The Studies on Hyang-Soo Kim, Founder of Anam Group(1997. A)., (4) The Review of Management thought of Hoam Bung-Chul Lee, Founder of Samsung Group (1997, B)., (5) A Studies to be sent to the editors, The Korean Academy of Business Historians (1998)., (6) The Studies on the Ju-Yung Chung, Founder of Hyundai Group (1999). In addition, the KABH achieved a great work in the stage that is accomplishments of academic expedition abroad and international symposium on the history of business and economics; (1) The Symposium on the History of Mediaeval Commerce and Trade City in the Mediterranean Sea (Venice Italy, 1995) and A Travel Report for Scientific of Medieval Commercial Town in Mediterranean Area (1995)., (2) A Travel Report for Scientific Research of Ancient Commercial and Trade Town : Overseas Research and International Symposium (Athens Greece, 1996)., (3) Northern Exposer : Descendents and China (Changchun, China, 1999).of Viking : Overseas Research and International Symposium on the of Business and Economics in Globalization (Stockholm, Sweden, 1997)., (4) Overseas Academic Research and International Symposium on the Business and Economic History of Korea Above the take-off stage became a pivotal moment of the growth phase faced the 21st New Millennium at the time.

      • 도약 안구운동을 생성하는 뇌간 신경회로와 모델

        엄송이,이춘길 한국심리학회 1998 한국심리학회지 생물 및 생리 Vol.10 No.1

        도약안구운동(saccadic eye movement)은 고속으로 시선을 이동시키는 안구운동의 형태이다. 상구(superior colliculus)는 도약안구운동을 제어하는 핵심적인 신경 구조로 알려져 있다. 도약안구운동의 표적이 되는 시각 자극의 위치는 망막, 시각피질 등의 공간좌표계에 표시되는 반면, 도약안구운동을 생성하는 운동명령의 신호는 세포 활동의 시간적 패턴으로 표시된다. 따라서, 이 과정에서 신경활동의 공간-시간 변환이 필요한데, 상구는 이 변환 과정에 핵심적인 역할을 하는 구조로 생각되고 있다. 이 변환 과정을 이해하고자 하는 연구들은 세포 활동을 연구하는 신경생리적 연구와 이에 기초한 모델 연구들로 이루어지는데 그 동안의 집중적인 연구에도 불구하고 이 변환 과정에서 상구의 세포들이 차지하는 역할에 대한 명백한 이해가 이루어지지 않고 있으며, 뇌간 신경회로의 기능적 구성에 관한 합의도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그 결과, 생물학적 자료를 부분적으로 활용하거나 새로운 세포를 가정하는 여러 모델들이 계속 등장하고 있다. 이 모델들은 새로운 신경생리적 실험의 방향을 지시하는 순기능을 가진다. 이 글은 도약운동을 생성하는 뇌간 신경회로를 구성하는 세포들의 활동 특성과, 이들에 입력을 제공하는 것으로 생각되어지고 있는 상구의 기능적 특성, 그리고 이에 기초한 모델들을 개괄하고 도약운동의 신경제어를 명백히 이해하기 위해서 요구되는 고리들이 무엇인지를 정리한 것이다. The superior colliculus (SC) has been known as a critical neural structure in controlling saccadic (rapid) eye movements. The locations of visual stimuli, common targets of saccadic eye movements, are registered in place code by the retina and by various areas of the visual cortex. Motor commands to acquire these targets by reorienting the gaze line, on the other hand, are represented in the temporal pattern of neural discharges. Thus, the neural signal is thought to undergo a spatial-to-temporal transformation, and the SC is considered to play a critical roles for this transformation. Despite the intensive neurophysiological and pharmacological studies, roles of collicular neurons are not fully understood in relation to this transformation, and a few computational models appeared trying to make sense out of these incomplete biological data. We reviewed key aspects of the patterns of neural discharges of various saccade-related neurons of the SC and of brain stem areas that are known to be involved in generation of saccades, focusing on the spatial-to-temporal transformation. We also reviewed various models of saccade generation, and proposed further studies to better understand neural mechanisms for saccade generation.

      • KCI등재후보

        주파수도약 통신의 적응동기 방법

        한성우,김용선,박대철,전병민 한국융합신호처리학회 2001 융합신호처리학회 논문지 (JISPS) Vol.2 No.3

        주파수도약 대역확산 통신은 열악한 채널조건하에서도 송수신기간 서로 약속된 의사 불규칙적인 케리어 주파수의 도약을 위한 정화한 주파수동기가 요구된다. 기존의 주파수도약 통신의 초기동기는 몇 개의 주파수 셑이 정해진 기간 동안 여러 번 반복하여 전송되는 다중주파수도약 동기방법(MFHS)이 사용되었다. 그러나, 동기주파수 전송시간이 길기 때문에 수신기의 동기획득시간이 길고 의도하지 않은 사용자에게 동기정보가 쉽게 누출될 우려가 있었다. 이러한 문제를 풀기 위하여 본 논문에서 적응동기 방법이 제안되었다. 적응동기 방법은 동기주파수의 개수와 반복 전송 횟수를 채널 상태에 따라 가변적으로 변경시킴으로서 통기소요시간을 줄이고 동기진보의 노출가능성을 최소화하는 방법이다. 성능분석을 통해 동기소요시간을 0.5초 수준에서 0.2초 수준으로 줄이고 재밍이나 간섭 영향을 46%까지 감소시킬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In frequency hopping spread spectrum(FHSS) communication systems, exact frequency synchronization is required due to the random hopping of carrier frequencies between transmitter and receiver even under harsh channel conditions. For synchronization of FHSS communications, multi-frequency hopping synchronization(MFHS) method has been used in which a small set of frequencies are repeatedly sent several times for long duration. But this long duration resulted in being easily detected by the unauthorized users as well as long duration of acquisition time. In this paper, motivated by these problems, an adaptive synchronization method(ASM) is proposed. ASM is technics to reduce the synchronization time where the number of synchronization frequencies and repetition numbers is adaptively changed (increased or decreased) according to the channel conditions. The performance analysis showed that the time duration of synchronization was reduced to 0.2sec, and the influence of jamming or interference was decreased to 46% in ASM.

      • KCI등재

        엘리트 육상 도약선수들의 세부 종목별 체격요인의 특성 분석

        성봉주,고병구,서지원,유덕수,정범철 한국스포츠학회 2018 한국스포츠학회지 Vol.16 No.3

        본 연구에서는 2016년 리우올림픽과 2017년 런던세계육상선수권대회에 참가한 남녀 육상 도약종목(높이뛰 기, 장대높이뛰기, 멀리뛰기, 세단뛰기) 결승진출자들(n=130)의 나이 및 신체조건(키, 체중)과 기록과의 관계를 분석 하고자 하였다. 1, 남자선수는 높이뛰기>장대높이뛰기>멀리뛰기>세단뛰기 순으로 키가 컸다. 여자선수는 높이뛰기>세단뛰기>멀리뛰 기>장대높이뛰기 순으로 키가 컸다. 남녀 모두 높이뛰기가 선수의 키가 가장 컸다. 2. 체중이 가장 무거운 남자종목은 장대높이뛰기(78.3kg)였고, 여자선수는 높이뛰기 선수였다(62.8kg). 3. 나이가 가장 많은 남자 종목은 높이뛰기(28.1세)였고, 여자선수도 높이뛰기(28.3세)였다. 4. 여자멀리뛰기선수의 키(세계선수권>올림픽)에서 차이가 났고, 여자높이뛰기 나이에서(올림픽>세계선수권), 남자 높이뛰기 경기기록(올림픽>세계선수권)에서 차이가 났다. 5. 육상 도약종목 선수들의 기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신장(키)에서만 차이가 있었다. 6. 육상 도약종목 간 나이에서만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남자와 여자 높이뛰기). 7. 총 시도횟수가 많은 선수는 남자높이뛰기(7.1회)와 여자 장대높이뛰기(7.8회) 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age and physical condition (height, weight, age, record) of finalists(n=130) who participated in the 2016 Rio Olympic Games and the 2017 World Championships in Athletics (high jump, pole vault, long jump, triple jump) and records. 1. The male athlete was tall in the order of high jump> pole vault> long jump>triple jump. The female athlete was tall in the order of high jump> triple jump> long jump> pole vault. 2. The heaviest men were pole vault players (78.3kg) and the women were high jumpers (62.8kg). 3. The oldest men were high jumpers (28.1 years), and female athletes were high jumpers (28.3 years). 4. There was a difference in the height of the women's long jump (World Championships> Olympics) and in women's high jump (Olympics> World Championships) and in the men's high jump events (Olympics> World Championships). 5. Factors affecting the records of the athletes in the athletics leagues differed only in height. The height of the men's high jump, the weight of the women's triple jump, and the age of the men's long jump affected the records, respectively. 6.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only in the age of athletics (male and female high jump). 7. Athletes with a high total number of attempts were male high jump (7.1 times) and female pole vaulter (7.8 times).

      • KCI등재

        관계네트워크의 정보 확산에서 혁신자와 허브가 Early Takeoff와 확산크기에 미치는 영향 연구

        옥경영(Kyungyoung Ohk) 한국콘텐츠학회 2012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2 No.9

        본 연구는 SNS와 같은 관계네트워크의 구성원 중에서 혁신자와 허브가 정보 확산 초기 발생하는 이른 도약(early takeoff)과 도약시점의 확산크기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지를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이 가설을 설정하였다-가설 1은 네트워크에서 혁신자 와 허브는 이른 도약(early takeoff)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가설 2는 네트워크에서 혁신자와 허브는 도약시점의 확산크기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가설을 검증하기 위해 우리나라 SNS중에서 C사이트를 대상으로 로그데이터를 수집하여 혁신자와 허브를 추출하고 이들의 정보 수용행동을 다항로짓분석 및 회귀분석하였다. 그 결과, 네트워크에서 허브는 이른 도약과 도약시점의 확산크기에 모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혁신자는 확산크기에만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허브는 혁신자 보다 이른 도약과 도약시점의 확산크기에 있어 상대적인 영향이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네트워크에서 허브는 높은 연결성을 통해 자신의 정보수용행동을 빠른 시간에 관계네트워크내 구성원들에게 확산시킬 수 있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몇 가지 시사점과 한계점을 토의하였다. This study is identifying early takeoff phenomenon in relational network like SNS and investigates influence of innovator or hub at early takeoff and diffusion size at takeoff point. The major finding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multinominal-logit analysis conducted to explore the impact of innovator and hub at early stage of information diffusion and early takeoff. Hub in early stage of information diffusion impact early takeoff. Second, our study shows that innovator and hub at early stage of information diffusion impact diffusion size at takeoff point. Third, hub is more impact early takeoff and diffusion size at takeoff point then innovator. This study provides implication for professionals by confirming hub’s influence in study of successful information diffusion by early takeoff. The limitation and future direction are discussed.

      • KCI등재

        정신분열병 환자의 안구운동 특성에 관한 연구 : 적응적 시선제어의 정확도 및 적응속도에 관하여

        김철응,강민희,서혜숙,이춘길,김경한 大韓神經精神醫學會 1999 신경정신의학 Vol.38 No.5

        연구목적 : 정신분열병 환자의 인구운동의 특성을 파악하여 소뇌기능 이상과 정신분열병의 병태생리와의 연관성을 파악하기 위해 소뇌 기능과 관련된 안구운동의 적응적 학습과정(정확도 및 적응속도)에 초점을 맞추어 정상인과 비교, 분석함에 본 논문의 목적이 있다. 방 법 : 부분적 또는 완전 관해 상태에 있으면서 항정신병 약물을 사용하고 있는 DSM-Ⅳ의 진단기준에 맞는 5명(남 4, 여 1)의 정신분열병 환자와 환자군과 연령, 성비를 맞춘 정상인에게 머리를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는 상태에서 단일도약과제와 이중도약과제를 이용해 공막탐지 코일 기법으로 시선과 머리운동을 측정하였다. 분석 대상이 된 안구운동 지표는 적응전과 적응 후의 일차 시선도약의 크기, 시선도약 시간, 최고 속도, 머리운동 폭이었고 피험자의 적응과정에서 추출한 지수함수의 곡선의 시간상수와 점근성 값을 각각 비교 분석했다. 결 과 : 정신분열병 환자의 시선도약의 배율은 정상인에 비하여 유의하게 낮았다. 정신분열병 환자의 시선이동 전략에서 정상인과는 달리 머리운동의 공헌도가 상대적으로 낮았다. 그리고 머리운동이 최고속도에 이르는 시간이 정상인에 비해 늦고 적응과정의 초기에는 정상인과 비슷한 수준의 수행을 보이지만 600여회의 적응 시행 후에도 과제에서 요구하는 최종적인 적응수준에는 이르지 못하였다. 결 론 : 정신분열병 환자는 증상에 관계없이 낮은 도약안구운동 배율과 같은 안구운동의 이상을 보이고 적응적 변화과정에서도 정상인과는 달리 불완전하게 수행하고 있는바 정신분열병 환자의 일부에서 소뇌 기능의 이상을 보인다는 가설을 지지하는 소견을 얻었다. Objectives : While most neurological models of schizophrenia have focused on cerebral functions, cerebellar abnormality, especially in cerebellar vermis has been repeatedly reported in schizophrenic patients from brain imaging and lesion studies. And cerebellar vermis has been implicated for adaptive control of saccadic eye movements, which has not been studied in schizophrenics to our knowledge. Method : We investigated saccadic adaptation using double-step paradigm in 5 patients with a DSM-Ⅳ diagnosis of schizophrenia and 5 age and sex-matched normal controls. Gaze and head movements were recorded with scleral search coil method in head-free condition. Results : Time course of adaptation in schizophrenics was similar to that of normal control but it never reached to the complete level of adaptation seen in control, and accordingly gaze gain(gaze amplitude/target amplitude) was low even after 600 adaptive trials. Head contribution to gaze saccade was relatively low and time to peak head velocity was longer in schizophrenics. Conclusions : Our results suggested that schizophrenic patients used a different strategy of gaze control and some schizophrenics might have cerebellar abnormality. Variability across patients in adaptation parameters need to be further investigated in combination with cerebellar volumetry. This study was supported by "In-san Schizophrenia Research Grant" from the Research Institute of Korean Neuropsychiatric Association in 1997.

      • KCI등재

        태권도 국가대표시범단원과 대학시범단원의 도약격파 수행 시 나타나는 COM과 후경각의 운동학적 특성비교

        신호철 ( Shin Ho-chul ),김원섭 ( Kim Won-sub ) 국기원 2017 국기원태권도연구 Vol.8 No.3

        태권도 도약격파는 빠른 속도로 달려가 점프하여 다양한 형태의 발차기를 표현할 수 있으며, 발과 주먹을 사용하여 체공상태에서 보다 많은 격파물을 격파하는 발차기다. 많은 격파물을 격파하기 위해서 높은 점프가 요구 될 것이며, 점프높이 상승을 위해서는 많은 변인들이 영향을 미치게 된다. 그 중 도약하는 동안 COM(Center of Mass)의 높이와 수평, 수직 선속도, 후경각 등은 수평의 속도를 수직으로 변환하여 점프하는데 매우 중요한 변인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하지만 이런 변인들에 대한 연구는 대부분 높이뛰기와 같은 육상종목에서 연구되어 왔으며 태권도 발차기에 접목된 연구는 없었다. 본 연구는 태권도 도약격파에서 나타나는 COM과 후경각의 변인을 파악하여 효과적인 공중동작을 하기 위한 요령을 탐색하고, 이러한 요령들을 잘 활용하는 효율적인 수련법을 정량화된 데이터의 제시를 통해 고안하는데 있다. 실험참가자는 판단 추출법에 의해 국가대표시범단 7명과 대학시범단 7명으로 하였다. 변인분석을 위하여 Motion Analysis사의 Motion capture system을 사용 하였다. 그룹 간 변인들에 대한 차이 분석은 독립 t-검정을 사용하였다. 두 그룹 간 COM의 높이에서 통계적인 차이가 나타났으며, X축, Z축 속도에서 통계적인 차이가 나타났다. 또한 Trunk의 후경각도에서도 통계적 차이가 나타났다. 이 같은 결과로 볼 때 뛰어앞차기 수행 시 도약구간에서는 COM을 하강시키며 달리다가 발구름 이후 빠르게 상승시켜야한다. 도약구간의 COM X축 속도를 빠르게 하고 발구름 구간을 거치면서 Z축 속도까지 빠르게 유지해야 한다. 도약구간 발생한 운동에너지가 위치에너지로 변환하는 과정에서 발구름 접지 시 후경각을 크게 만들어야 한다. Taekwondo`s jumping break can express diverse forms of kicks running with high speed and jumping, and is a kick that breaks more objects using fists and feet in the air. To break more objects, the high jumping ability is required and to increase the jumping ability, many variables exert the influence. During the jump, the height and level of COM, vertical lineal velocity, retroversion angle, etc. during the jump are very important variable in jumping converting the horizontal velocity to vertical. However, most of researches studying about those kinds of variables are conducted in the track and field events and there is no research grafted with Taekwondo kick.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effective practice methods and the quantitative data by identifying the variables of COM and retroversion angle appeared in Taekwondo`s jumping break. The participants in the experiment were 7 Korean National Taekwondo Demonstration Team members and 7 College Taekwondo Demonstration Team members. They were selected using judgment sampling. To analyze the variables, Motion Capture system of Motion Analysis was used. To see the differences of the variables between the two group, the independent sample t-test was used. The statistical difference was represented in the height of COM between the two groups, also the statistical difference was represented in the velocities of X-axis and Z-axis. In addition, the statistical difference was represented in the retroversion angles of the trunk. Considering these results, when performing the jumping break, one should run with lowering COM in the jumping section and should jump quickly after rolling the feet. The X-axis velocity of COM should be increased in the jumping section with maintaining high velocity of Z-axis while passing the feet rolling section. In the process of converting the kinetic energy generated in jumping section to the potential energy, should make the retroversion angle large when grounding of feet rolling.

      • 이중 도약을 이용한 효율적인 공간 도약법

        이정진,신병석,신영길 한국정보과학회 2003 정보과학회논문지 : 시스템 및 이론 Vol.30 No.3

        공간 도약법(space leaping)은 가속화된 영상순서 볼륨 렌더링(image-order volume rendering) 방법의 하나로서 광선 추적 시 빈 공간을 식별하여 도약하도록 함으로써 렌더링 속도를 향상시킨다. 이 방법은 렌더링 속도는 빠르지만 공간 도약을 위한 자료구조를 만들기 위한 전처리 시간이 오래 걸리는 문제가 있다. 본 논문에서는 공간 도약법에서 도약 거리를 기존의 방법보다 두 배로 하는 미리 보기 샘플링 방법을 제안한다. 이 방법은 렌더링 속도의 큰 변화없이 전처리 과정인 거리 맵 생성의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으며, 기존의 방법보다 렌더링 속도를 빠르게 하는 효과도 있다. Space leaping is one of accelerated image-order volume rendering. This method accelerates rendering speed by finding and leaping the empty space. Although its rendering speed is very fast, it takes long pre-processing time to make the data structure to leap the space. In this paper we propose the look-ahead sampling algorithm to double the leaping distance comparing with previous approaches. This algorithm reduces the preprocessing time to make the distance map without significant changes of rendering time. Also, it accelerates the rendering time.

      • KCI등재후보

        고속주파수 도약용 RF송수신기 설계 및 구현에 대한 연구

        김기중(Ki Jung Kim),김종성(Jong Sung Kim),배문관(Moon Kwan Bae) 한국전자통신학회 2016 한국전자통신학회 논문지 Vol.11 No.6

        본 논문은 전술통신시스템에 사용되는 고속주파수 도약용 RF송수신기의 설계 및 구현에 대한 연구를 주제로 하였다. L대역의 송/수신 주파수를 초당 수만홉으로 도약하여 간섭에 대한 내성을 극대화가 가능하고 대전자전 기능을 가지는 통신시스템에 적용이 가능하다. 고속주파수 도약이 가능하기 위해서는 DDS Driven PLL 방식을 적용한 고속 주파수 도약부가 필수적으로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전술통신시스템의 고속주파수 기능을 가지는 RF송수신기 설계 및 시뮬레이션 분석을 하였고, 구현 후 주요기능 및 성능에 대한 시험을 하였다. 시험을 통하여 초당 수만홉 고속 도약을 입증하였으며, 주요 송신출력, 수신 잡음지수 등의 RF 주요성능을 측정하였다. VSG(: Vector Signal Generator) 및 VSA(: Vector Signal Analyzer)를 사용하여 π/4 DQPSK 변조신호를 발생시켜, 성상도 및 EVM(: Error Vector Magnitude)을 측정하여 전술통신시스템에 적용하는데 문제가 없음을 사전 검증하였다. This paper presents a study on the subject for the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high-speed frequency hopping RF transceiver used for tactical communications systems. Jump the transmission / reception frequency of the L-band to hop tens per second is possible by maximizing the immunity to interference, and is applicable to communication systems having a charging rotation function. To high-speed frequency hopping it is necessary to apply the necessary fast frequency hopping scheme DDS Driven PLL added. In this paper, the RF transceiver design and simulation analysis capabilities with fast frequency tactical communication systems, were implemented after the main test for functionality and performance. Was demonstrated hop high-speed jump tens per second through a test, the main transmission output, were measured RF key performance, such as received noise figure, by using the VSG and VSA generates a π / 4 DQPSK modulated signal constellation and by EVM measurement that there is no problem in applying the communications system described above was pre-validat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