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대학생의 입학만족도, 전공만족도, 자아존중감, 진로확신이 대학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나은숙(Eun Suk Na),신서영(Seo Young Shin) 안전문화포럼 2022 안전문화연구 Vol.- No.19

        대학생활만족도는 대학생들로 하여금 학업에 대한 노력과 성공적인 학교생활을 영위 할 수 있는데 큰 역할을 한다. 대학이라는 새로운 환경에서 학업적, 사회적, 정서적 측면에서 자신의 목표를 위해 나아가는 과정임을 고려할 때 학생들의 대학생활 만족을 위해 지원하는 제도적 장치가 더욱 정교하게 설계되어야 한다. 이에 본 연구는 대학생의 입학만족도, 전공만족도, 자아존중감, 진로확신 정도를 파악하고, 이들 요인이 대학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2021년 5월 4일부터 6월 14일까지 서울 소재 S대학교 재학생 4129명을 대상으로 ㈜글로벌리서치 조사 수행기관을 통해 구조화된 설문지를 사용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WIN 20.0을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통계분석방법은 빈도, 일원배치분산, 상관관계, 다중회귀분석으로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대학생들의 입학만족도와 전공만족도, 진로확신, 자아존중감, 대학생활만족도가 평균 이상으로 높게 나타났다. 둘째, 입학만족도는 학년이 어릴수록 만족도가 높으며 전공만족도와 진로확신은 여자가 남자에 비해 점수가 더 높았다. 자아존중감은 성별, 월평균생활비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는데 여학생보다 남학생이 더 높았으며 월평균 50만원 이상의 생활비를 사용한다고 응답한 학생들이 자아존중감이나 진로확신, 대학생활만족도가 더 높게 나타났다. 셋째, 대학생활만족도 수준을 불만족, 보통, 만족 세 집단으로 나누어 각 집단별 입학만족도, 전공만족도, 자아존중감, 진로확신에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본 결과 대학생활 만족 수준이 높은 집단이 낮은 집단에 비해 입학만족도나 전공만족도, 자아존중감, 진로확신 점수가 높았다. 넷째, 대학생들의 입학만족도, 전공만족도. 자아존중감, 진로확신, 대학생활만족도 간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대학생활만족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분석한 결과, 대학생활만족도에 가장 설명력을 보인 요인은 입학만족도였으며 다음으로 전공만족도, 진로확신 순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대학생의 대학생활만족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전공수업의 질을 높이고 학과에서 적절한 학업지도, 교과과정의 개선 및 특성화된 개별 프로그램을 실시해야 한다. 입학만족도는 외적 요인으로 학생들이 입학하기 전에 대학의 인지도나 평판에 영향을 받는 것이기 때문에 이미지를 높이기 위한 방안이 필요하다. 또한 진로확신, 자아존중감을 가질 수 있도록 상담과 장학금 지원을 강화가 필요하다. Campus life satisfaction plays a big role in enabling university students to make an effort to study and to lead a successful school life. Considering that the university is a process that advances toward one's own goals in academic, social, and emotional aspects in the new environment of university, the institutional device that supports students' campus life satisfaction needs to be designed more precisely. This study tried to understand the degree of college students' admission satisfaction, major satisfaction, self-esteem, and career confidence, and the effect of these factors on campus life satisfaction. From May 4 to June 14, 2021, a survey was conducted using a structured questionnaire through Global Research Co., Ltd.'s research agency for 4,129 students of S University in Seoul. I performed analysis of frequence,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one-way ANOVA,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by 「SPSS Statistics 20」program and got follow results. At first, University students' admission satisfaction, major satisfaction, career confidence, self-esteem, and Campus life satisfaction were higher than average. Secondly, in terms of admission satisfaction, the younger the grade, the higher the satisfaction, and the satisfaction of the major and the certainty of the career were higher in women than in men. Thirdly, The group with the high level of campus life satisfaction had higher scores for admission satisfaction, major satisfaction, self-esteem, and career confidence than the group with low compus life satisfaction. Fourthly,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 correlation among university students' admission satisfaction, major satisfaction, self-esteem, career confidence, and campus life satisfaction. Fifthly, as a result of analyzing factors affecting Campus life satisfaction, the factor that showed the most explanatory power for Campus life satisfaction was admission satisfaction, followed by major satisfaction and career confidence. Therefore, in order to increase campus life satisfaction of university students, it is necessary to return to the basics and improve the quality of major classes, and to provide appropriate academic guidance, curriculum improvement, and specialized individual programs in the department. Since admission satisfaction is an external factor that is affected by the recognition or reputation of the university before students enter, measures to enhance the image are needed.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strengthen counseling and scholarship support so that they can have career confidence and self-esteem.

      • KCI등재

        전공만족도를 매개로 개인 및 대학재정변인이 대학생활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구성우,김병주 한국교육재정경제학회 2022 敎育財政 經濟硏究 Vol.31 No.4

        본 연구는 전공만족도를 매개로 개인 및 대학재정변인이 대학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연구 대상은 일반대학교 대학생 9,453명이며, 한국고용정보원이 조사하고 있는 2019년 대졸자 직업이동 경로조사(2018GOMS) 자료를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변인은 독립변인으로 개인특성(입학전형, 취업목표 설정, 전공 재선택시 동일전공 선택)과 대학재정(학생 1인당 교육비, 학생 1인당 교내장학금, 학생 1인당 자료구입비), 매개변인으로 전공만족도, 종속변인으로 대학생활만족도를 선정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매개변인인 전공만족도는 종속변인인 대학생활만족도에 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전공만족도가 높을수록 대학생활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전공만족도가 대학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력은 다른 변인들의 영향력 중 가장 큰 것으로 분석되었다. 둘째, 개인특성은 전공만족도를 매개로 대학생활만족도에 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구체적으로 취업 목표를 설정하고 동일 전공을 재선택하려는 대학생은 매개변인인 전공만족도를 통해서만 대학생활만족도에 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개인특성 중 학생부 종합 및 교과 전형으로 입학한 학생들은 정시전형으로 입학한 학생들보다 전공만족도와 대학생활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셋째, 대학재정 중 학생 1인당 교육비와 자료구입비는 전공만족도를 매개로 대학생활만족도에 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학생 1인당 교육비와 자료구입비가 많을수록 매개변인인 전공만족도와 종속변인인 대학생활만족도가 높아지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넷째, 학생 1인당 교내장학금은 매개변인인 전공만족도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며, 종속변인인 대학생활만족도에는 직접적으로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즉, 학생 1인당 교내장학금이 많을수록 대학생활만족도가 낮아지는 연구 결과가 도출되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전공만족도를 매개로 개인 및 대학재정변인이 대학생활만족도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논의 및 결론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무용전공 대학생의 전공만족도와 교수-학생상호작용이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도정님 한국무용과학회 2017 한국무용과학회지 Vol.34 No.4

        본 연구는 무용학과에 재학 중인 대학생의 전공만족도와 교수-학생상호작용이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로 수도권지역 4년제 대학에 재학 중인 무용전공자 345명을 연구대상으로 설문지를 회수하여 연구에 적합하지 않거나 응답이 불성실하다 판단되는 27부를 제외한 318부가 자료 분석을 하였다. 연구의 목적 달성을 위해 전공만족도, 교수-학생상호작용, 대학생활적응의 3가지 변인으로 전공만족도는 일반만족, 인식만족, 교과만족, 관계만족을 하위요인으로, 교수-학생상호작용은 신뢰도와 친밀감을 하위요인으로, 대학생활적응은 개인·정서적 적응, 학업적 적응, 사회적 적응, 학교환경적 적응을 하위요인으로 총 40문항의 설문지를 작성하였다. 분석방법으로는 IBM SPSS Statistics 24.0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전공만족도, 교수-학생상호작용, 대학생활적응간의 관계를 위한 상관분석, 전공만족도와 교수-학생상호작용의 하위요인별 대학생활에 미치는 영향력과 전공만족도, 교수-학생상호작용이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력을 분석하기 위해 중다회귀분석을 사용하였다. 결론은 다음과 같다첫째, 전공만족도, 대학생활적응간의 상관관계는 유의미한 부적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전공만족도의 하위요인인 관계만족과 대학생활적응의 하위요인인 학업적 적응은 낮은 정적 상관관계를 나타냈지만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상관관계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전공만족도의 네 하위요인과 대학생활적응간에는 교과만족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공만족도의 네 하위요인과 대학생활적응 하위요인별 간에는 사회적 적응과 대학환경적 적응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대학생활적응에 대해 대학환경적 적응과 교과만족이 가장 높은 설명력을 보였다. 셋째, 교수-학생상호작용의 두 하위요인과 대학생활적응간에는 신뢰감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수-학생상호작용의 두 하위요인과 대학생활적응 하위요인별 간에는 대학환경적 적응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대학생활적응에 대해 대학환경적 적응과 신뢰감이 가장 높은 설명력을 보였다. 넷째, 전공만족의 총점은 대학생활적응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교수-학생상호작용은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론은 무용학과 대학생들의 전공만족도와 교수-학생상호작용의 하위 요인별에 따라 부분적으로 대학생활적응에 크게 영향을 미친다고 할 수 있다. 무용학과 학생들의 대학생활 적응력을 높이기 위해서는 전공에 대한 만족스러운 교과과정이 제공되어야 하며 교수는 학생들이 신뢰할 수 있는 인격과 자질, 실력을 겸비해야한다고 사료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dance major students' major satisfaction and faculty-student interaction on adjustment to school life. The questionnaire was distributed to 345 students major in Dance in universities located at capital area selected. 27 unreliable responses were excluded and 318 remained were collected for the analysis. Questionnaire was designed to have forty questions regarding three variables such as satisfaction with major, Faculty-student interaction, and adjustment to school life. Sub-factors of satisfaction with major are General satisfaction, recognition satisfaction, Curriculum satisfaction, and Relationship satisfaction. Sub-factors of Faculty-student interaction are reliability and intimacy. Sub-factors of adjustment of school life are affective reaction, major adjustment, social adjustment, and adjustment to school environment. Correlation analysis with IBM SPSS Statistics 24.0 was conducted to find an association among satisfaction with major, Faculty-student interaction, and adjustment to school lif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influence of satisfaction with major and sub-factors of Faculty-student interaction with its sub-factors on adjustment to school life. Detailed results are presented below. 1. The results showed that satisfaction with major had a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with adjustment to school life. relationship satisfaction, a sub-factor of satisfaction with major had a low positive correlation with major adjustment, a sub-factor of adjustment to school life, but it was shown that there was no statistic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them. 2. Among four sub-factors of satisfaction with major and adjustment to school life, only Curriculum satisfaction had a significant correlation statistically. social adjustment and adjustment to school environment had a significant correlation statistically when comparing four sub-factors of satisfaction with major and four sub-factors of adjustment to school life. 3. Sub-factors of Faculty-student interaction had a significant correlation statistically with adjustment to school life. Sub-factors of Faculty-student interaction had a significant correlation statistically with adjustment to school environment. 4. Overall score of satisfaction with major had a significant influence statistically on adjustment to school life. but Faculty-student interaction has no significant influence. In conclusion, major satisfaction of the students influence on the adjustment to school life partially but strongly depending on sub-factors of Faculty-student interaction. In order to enhance the adaptability of school life, appropriate and satisfactory curriculum should be provided and the faculties should be personable, well qualified and competent to build trust with students.

      • KCI등재

        무용전공 대학생의 전공만족도와 교수-학생상호작용이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도정임 ( Do Jung-nim ) 한국무용과학회 2017 한국무용과학회지 Vol.34 No.4

        본 연구는 무용학과에 재학 중인 대학생의 전공만족도와 교수-학생상호작용이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로 수도권지역 4년제 대학에 재학 중인 무용전공자 345명을 연구대상으로 설문지를 회수하여 연구에 적합하지 않거나 응답이 불성실하다 판단되는 27부를 제외한 318부가 자료 분석을 하였다. 연구의 목적 달성을 위해 전공만족도, 교수-학생상호작용, 대학생활적응의 3가지 변인으로 전공만족도는 일반만족, 인식만족, 교과만족, 관계만족을 하위요인으로, 교수-학생상호작용은 신뢰도와 친밀감을 하위요인으로, 대학생활적응은 개인·정서적 적응, 학업적 적응, 사회적 적응, 학교환경적 적응을 하위요인으로 총 40문항의 설문지를 작성하였다. 분석방법으로는 IBM SPSS Statistics 24.0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전공만족도, 교수-학생상호작용, 대학생활적응간의 관계를 위한 상관분석, 전공만족도와 교수-학생상호작용의 하위요인별 대학생활에 미치는 영향력과 전공만족도, 교수-학생상호작용이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력을 분석하기 위해 중다회귀분석을 사용하였다.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전공만족도, 대학생활적응간의 상관관계는 유의미한 부적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전공만족도의 하위요인인 관계만족과 대학생활적응의 하위요인인 학업적 적응은 낮은 정적 상관관계를 나타냈지만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상관관계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전공만족도의 네 하위요인과 대학생활적응간에는 교과만족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공만족도의 네 하위요인과 대학생활적응 하위요인별 간에는 사회적 적응과 대학환경적 적응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대학생활적응에 대해 대학환경적 적응과 교과만족이 가장 높은 설명력을 보였다. 셋째, 교수-학생상호작용의 두 하위요인과 대학생활적응간에는 신뢰감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수-학생상호작용의 두 하위요인과 대학생활적응 하위요인별 간에는 대학환경적 적응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대학생활적응에 대해 대학환경적 적응과 신뢰감이 가장 높은 설명력을 보였다. 넷째, 전공만족의 총점은 대학생활적응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교수-학생상호작용은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론은 무용학과 대학생들의 전공만족도와 교수-학생상호작용의 하위 요인별에 따라 부분적으로 대학생활적응에 크게 영향을 미친다고 할 수 있다. 무용학과 학생들의 대학생활 적응력을 높이기 위해서는 전공에 대한 만족스러운 교과과정이 제공되어야 하며 교수는 학생들이 신뢰할 수 있는 인격과 자질, 실력을 겸비해야한다고 사료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dance major students' major satisfaction and faculty-student interaction on adjustment to school life. The questionnaire was distributed to 345 students major in Dance in universities located at capital area selected. 27 unreliable responses were excluded and 318 remained were collected for the analysis. Questionnaire was designed to have forty questions regarding three variables such as satisfaction with major, Faculty-student interaction, and adjustment to school life. Sub-factors of satisfaction with major are General satisfaction, recognition satisfaction, Curriculum satisfaction, and Relationship satisfaction. Sub-factors of Faculty-student interaction are reliability and intimacy. Sub-factors of adjustment of school life are affective reaction, major adjustment, social adjustment, and adjustment to school environment. Correlation analysis with IBM SPSS Statistics 24.0 was conducted to find an association among satisfaction with major, Faculty-student interaction, and adjustment to school lif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influence of satisfaction with major and sub-factors of Faculty-student interaction with its sub-factors on adjustment to school life. Detailed results are presented below. 1. The results showed that satisfaction with major had a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with adjustment to school life. relationship satisfaction, a sub-factor of satisfaction with major had a low positive correlation with major adjustment, a sub-factor of adjustment to school life, but it was shown that there was no statistic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them. 2. Among four sub-factors of satisfaction with major and adjustment to school life, only Curriculum satisfaction had a significant correlation statistically. social adjustment and adjustment to school environment had a significant correlation statistically when comparing four sub-factors of satisfaction with major and four sub-factors of adjustment to school life. 3. Sub-factors of Faculty-student interaction had a significant correlation statistically with adjustment to school life. Sub-factors of Faculty-student interaction had a significant correlation statistically with adjustment to school environment. 4. Overall score of satisfaction with major had a significant influence statistically on adjustment to school life. but Faculty-student interaction has no significant influence. In conclusion, major satisfaction of the students influence on the adjustment to school life partially but strongly depending on sub-factors of Faculty-student interaction. In order to enhance the adaptability of school life, appropriate and satisfactory curriculum should be provided and the faculties should be personable, well qualified and competent to build trust with students.

      • KCI등재

        대학생의 기업가정신과 대학생활만족도가 창업의지에 영향을 미치는 관계에 관한 연구

        임진혁 인문사회 21 2020 인문사회 21 Vol.11 No.4

        대학이 학생을 선택하는 것이 아니라 학생이 대학을 선택하는 패러다임 전환의 시기, 대학에서는 학생들의 만족도를 높이기 위해 다양한 방법을 고민하고 있기에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를 기반으로 하여 대학생들의 기업가정신이 대학생활만족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대학생활만족도는 학생들의 창업의지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 경기, 충청권에 위한 대학생 213명으로부터 설문을 받아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대학생의 기업가정신(혁신성, 위험감수성)은 창업의지와 대학생활만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고, 대학생활만족도는 창업의지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이를 통해 학생들의 만족도를 높이는 요인으로 기업가정신이 필요하다는 점과 대학생활만족도는 학생들의 창업의지를 고취시킨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어 대학 당국에는 학생들의 만족도를 상승시키기 위한 전략 마련에 본 연구 결과를 활용할 수 있다는 점에서 실무적 기여도를 확인할 수 있었다. 한편 본 연구에서 사용한 일부 통제변수의 경우 만족도와 같은 주관적 변수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는 바 이를 독립 혹은 매개 등의 변수로 활용하여 추가 연구를 진행해 볼 예정이다. This study analyzed how entrepreneurship of university students affects university life satisfaction and how university life satisfaction affects students' start-up intention because universities need to consider various ways to improve students' satisfaction. To that end, we conducted a regression analysis with 213 college students sample. As a result, the entrepreneurship of university students (innovation, risk-taking) had a positive effect on start-up intention and the satisfaction of university life, and the satisfaction of university life had a significant effect on startup intention. Through this, it was confirmed that entrepreneurship was needed as a factor to enhance university life satisfaction, and that university life satisfaction encouraged students' startup intentions. Meanwhile, university authorities can be used the result of this study to come up with strategies to increase students' satisfaction. On the other hand, some of the control variables are considered to have an effect on subjective variables such as satisfaction, so we plan to conduct additional research by using them as variables such as independence or as a medium.

      • KCI등재

        대학생활만족도가 첫 일자리 직무ㆍ전공 적합성, 직업가치, 현 일자리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김희선,송지훈 한국취업진로학회 2021 취업진로연구 Vol.11 No.2

        한국 취업시장의 문은 날이 갈수록 좁아지고 있다. 청년들은 성공적인 일자리를 얻기 위해 대학 학 점을 관리하고, 고 스펙을 쌓는 등 취업 준비에 많은 노력을 기울인다. 하지만 취업을 준비하던 기간이 무색할 만큼 입사 직후 이직을 희망하거나 조기 이직을 감행하는 모습을 흔히 볼 수 있다. 또한, 평생 직장의 개념이 사라지면서 개인은 끊임없이 자신의 진로와 직업을 탐색해야 하는 현실과 맞물려 이직 률을 높이고 있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개인들은 단순히 성공적인 취업 방법에 초점을 두기보다 입사 이후 직장의 만족도로 이끌며, 지속적인 경력개발을 위해 개인이 지닌 직업에 대한 가치가 무엇인지 정 확하게 아는 것이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생애주기 상 자신과 적합하다고 판단되는 직업을 탐색하고 선택하여 종사하기 시작 하는 단계인 청년기를 중심으로, 청년기 이후의 삶의 진로발달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개인 및 환경적 요인들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에 상향전이이론, 직업탐색이론, 사회정체성이론을 바탕으로 대학생활 만족도, 첫 일자리 직무 전공 적합성, 직업가치, 현 일자리 만족도의 관계를 밝혔고, 각 요인 간의 영향 관계를 실증 분석한 결과, 첫 일자리 직무 전공 적합성과 직업가치는 대학생활만족도와 현 일자리 만 족도의 관계를 이중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직업가치 탐색 및 확립 시기에 있는 청년들의 진로발달에 있어 성공적인 사 회진출로의 브릿지 역할을 하는 고등교육기관으로서 대학과 기업의 과제가 무엇인지 살펴보고, 첫 일 자리에서의 직무 경험과 직업가치가 이후 진로발달에 미치는 영향의 중요성을 강조하였다. As the job market of Korea get narrower day by day, young people spend a lot of time, effort, and money in preparing for successful employment, such as managing college credits and actively participating outside activities. However, it is often seen that they have intention to quit or turnover immediately after joining the company, as the period of preparation for employment is overshadowed. Also, as the concept of lifelong work disappears, the turnover rate is steadily increasing in line with the reality that individuals must constantly explore their careers. In these situations, it is important for individuals to know exactly what the value of an one's job is for continuous career development, which leads to job satisfaction after entering the company, rather than simply focusing on successful employment ways. Therefore, in this study, we focused on youth between the ages of 19 and 34, which is the stage of exploring and selecting jobs that are suitable for them during the life cycle. Based on bottom-up spill over theory, job search theory, and social identity theory, we explored not only the environmental factors but also personal factors that affect the career development of life after graduation and youth. Using SPSS process Macro, first job-major fit and job value had a dual moderation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atisfaction on college life and job satisfaction. As a higher education institution that serves as a bridge to successful social advancement for young people in the period of exploring and establishing career values, our findings will suggest the challenges of universities and emphasize the importance of job experience and job value in the first job.

      • KCI등재

        전공만족도가 남자 간호대학생의 자아존중감과 대학생활적응 관계 :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김지희,임정희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6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6 No.1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 of major satisfac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esteem and college adaptation in male nursing students. Data were collected from 157 male nursing students at 3 universities located in North Gyeongsang Province and Daegu, from November 17 to December 1, 2014. Results indicated that the relationships among self-esteem, college adaptation, and major satisfaction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Additionally, major satisfaction partia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esteem and college adaptation. Although self-esteem had a direct effect on college adaptation, students showed better college adaptation when major satisfaction was considered a mediating factor. Therefore, interventions that promote male nursing students’ self-esteem and major satisfaction should be developed and implemented so that it can be positioned in the nursing field of after supporting graduating adapt to college life nursing college it is necessary. 본 연구는 남자 간호대학생의 자아존중감, 전공만족도 및 대학생활적응 간의 변수를 확인하여 자아존중감과 대학생활적응의 관계에서 전공만족도의 매개효과를 파악하는데 목적이 있다. 자료수집은 2014년 11월 17일부터 12월 1일까지 대구, 경북에 소재한 3개 대학의 남자 간호대학생 157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자아존중감, 대학생활적응, 전공만족도 간에는 모두 정적인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전공만족도는 자아존중감과 대학생활적응 간의 관계에서 부분매개 효과가 확인되었다. 자아존중감이 대학생활 적응에 직접효과를 나타내지만 전공만족도를 매개하는 경우 대학생활에 더 잘 적응하고 학과수업, 교우관계, 동아리활동 등 적극적인 학교 생활을 하였으며 전반적인 만족도가 높았다. 따라서, 남자 간호대학생의 원활하고 긍정적인 대학생활적응을 돕고 졸업 후에도 간호학 분야에서 자리매김할 수 있도록 남자 간호대학생의 특성에 맞는 중재방안을 연구하고 실행하는 노력이 필요하다.

      • KCI등재

        대학생이 지각한 대학교수의 감성리더십, 교수신뢰, 수업몰입이 대학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김혜경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2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2 No.17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n the campus-life satisfaction by the professor’s emotional leadership, the professor trust and the class concentration. Methods A survey was held to the university students living in Seoul and Chungcheong cities from June 10 to 21, 2021. 196 copies were in the final analysis for data analysis,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d hierarchical regressions was used. Results As a result, the professor’s emotional leadership, the professor trust and the class concentration in university students all showed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with one another. accounted for 41.6% of the total variance in the campus-life satisfaction among university students. Conclusions Therefore, this study could be used as a basic data for the counseling and developing and activation education programs to increase satisfaction with campus-life, to promote interaction with professors and to immerse in the class. 목적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이 지각한 대학교수의 감성리더십, 교수신뢰 및 수업몰입이 대학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각 요인 간 영향을 분석함으로써 대학생들이 좀 더 건설적으로 전공학문탐구와 연구에 흥미를 느끼고, 교수님과의 교류를 활성화시키며 대학생활의 만족도를 높이기 위한 상담 및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있어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시행하였다. 방법 연구대상자는 서울과 충청권 거주 대학생으로 2021년 6월 10일부터 21일까지로 총 196부의 자료를 통계프로그램 SPSS 21.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감성리더십, 교수신뢰, 수업몰입 간의 상관관계는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로, 대학생활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위계적 다중회귀 분석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연구결과 대학생이 지각한 대학교수의 감성리더십, 교수신뢰, 수업몰입은 대학생활만족도와 양의 상관관계(r=.585 p<.000, r=.496, p<.000, r=.536, p<.000)가 있었고, 대학생활만족도를 41.6%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따라서 본 연구는 대학생활만족도를 높이기 위해 교수와의 교류를 활성화시키고 수업몰입을 위한 상담 및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는 자료로 활용하기에 유용할 것으로 예상된다.

      • KCI등재후보

        간호대학생의 전공만족도와 셀프리더십이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이연실(Yonsil Lee),이명희(Myounghee Lee) 중앙사회복지연구회 2023 사회와복지 Vol.5 No.2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전공만족도 및 셀프리더십과 대학생활적응의 관련성을 파악하고, 대학생활적응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분석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한 연구대상은 간호대학생 368명에게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자료분석방법은 IBM SPSS 25.0 프로그램을 활용하였다. 이에 따른 연구의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간호대학생의 전공만족도와 셀프리더십은 성별, 연령, 학년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 대학생활적응은 연령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간호대학생의 전공만족도, 셀프리더십, 대학생활적응은 정적인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간호대학생의 전공만족도 및 셀프리더십은 대학생활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간호대학생의 긍정적 대학생활적응 향상을 위한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이론적 기초자료에 필요한 근거가 되기를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relationship between major satisfaction and self-leadership of nursing students and adaptation to college life, and to analyze the factors that influence college life adaptation. For this, data were collected from 368 nursing students, and the data analysis method used the IBM SPSS 25.0 program. The main results of the study according to this are as follows. First, nursing students' major satisfaction and self-leadership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gender, age, and grade, and college life adaptation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age. Second,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nursing students' major satisfaction, self-leadership, and college life adaptation. Third, it was found that nursing students' major satisfaction and self-leadership had an effect on college life adaptation. Through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is expected that it will serve as a necessary basis for the development of educational programs and theoretical basic data to improve positive adaptation to college life for nursing students.

      • KCI등재

        장애대학생의 대학생활만족도와 진로결정효능감이 진로결정수준에 미치는 영향

        백수진,안성우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0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0 No.2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tudy the university life satisfaction and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that affect the career decision level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To this end, a survey was conducted on 106 students with disabilities in universitys in Busan and Chungcheong-do.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descriptive statistics of SPSS 23.0,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level of career decision-making, university life satisfaction, and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of university students with disabilities were all higher than the average. Second, it was found that only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of university life satisfaction and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had an effect on the career decision-making level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Among the sub-factors of the career decision level, the level of career confidence had an effect on both university life satisfaction and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Among the sub-factors of the career decision level, the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of university students with disabilities was found to have an effect on the career undecided level. 본 연구는 장애대학생의 진로결정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대학생활만족도와 진로결정자기효능감에 대해 연구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부산광역시와 충청도 지역의 대학교에 재학 중인 장애대학생 106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3.0의 기술통계, Pearson 상관분석과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장애대학생의 진로결정수준, 대학생활만족도, 진로결정자기효능감에 대한 수준은 모두 평균보다 높은 수준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장애대학생의 진로결정수준에 대학생활만족도와 진로결정자기효능감 중 진로결정자기효능감만 영향이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진로결정자기효능감 하위요인들 중에서는 목표설정과 계획수립이 장애대학생의 진로결정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진로결정수준의 하위요인 중 진로확신수준에서는 대학생활만족도와 진로결정자기효능감 모두 영향을 미쳤다. 대학생활만족도의 하위요인 중 전반적인 대학생활과 대학 교육의 질이 진로확신수준에 영향을 미쳤고,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의 하위요인 중 목표설정이 장애대학생의 진로확신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진로결정수준의 하위요인 중 진로미결정수준에 장애대학생의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각 독립변인의 하위요인들 중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의 목표설정과 계획수립이 장애대학생의 진로미결정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대학지원의 진로지원체계의 실제적인 자료가 되어 교육적 시사점을 제시하였고 그에 따른 방안을 모색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