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이공계대학의 구조변화 추세분석과 경쟁력 확보방안

        민철구,박기범,정승일,정기철 과학기술정책연구원 2010 정책연구 Vol.- No.-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대학 학령인구의 급속한 감소, 인력·교육 시장의 급속한 대외개방으로 우리의 대학은 급속한 구조조정이 요구되고 있어 이 같은 현실에 대한 보다 객관적인 분석 과 현실진단이 필요 · 대학 신입생의 공급감소와 대학정원의 변화추이를 객관적으로 분석함으로써 대학시장이 처하고 있는 위기 현실을 보다 객관적으로 분석 · 이공계 대학경쟁력을 제고할 수 있는 ‘한국형 대학 구조조정 모델’ 개발하여 향후 10년 가까이 지속될 대학의 구조 조정기에 대비한 정부의 바람직한 정책대안을 도출 주요 연구내용· 이공계 대학 관련 환경변화 및 대학개혁의 미래방향 분석- 대학 대내외 환경변화 및 인력수급현황 분석- 대학의 사회적 기능변화 및 대학개혁의 미래방향 분석- 대학 전문화 발전방안 모색 · 정부의 대학지원사업 분석- 우리나라 대학지원사업 현황 분석 및 유형화- 대학 특성화를 위한 재정지원 전략 제시 · 대학의 구조변화 추진현황 분석 · 이공계대학 경쟁력 강화를 위한 구조조정 모델 개발- 대학경쟁력 지표 정립 및 우리나라 대학경쟁력의 현황 파악- 구조조정 유형화 및 방향설정을 통한 한국형 대학 구조조정 모델 개발 · 이공계 대학경쟁력 강화를 위한 주요 정책방안 도출 결론· 대학의 개혁은 대학의 수월성 추구, 특성화, 경쟁화, 개방화, 자율화, 하부구조 구축 등의 관점에서 이루어져야 하며, 대학 특성화 발전의 유형에 기반한 대학 재정지원사업의 큰 틀을 재설계할 필요가 있음 · 대학 구조개혁 추진의 준거로써 대학의 객관적 경쟁력을 교육 경쟁력, 연구 경쟁력, 재정 경쟁력, 권역 내 경쟁력의 4가지 영역에 기초하여 평가하는 것이 필요함. 경쟁력 평가 방안으로 (1) 평가 영역별 우선순위를 고려한 평가 (2) 대학종합경쟁력지수를 활용한 평가 등 2가지를 제안함 · 대학 경쟁력 평가에 기초하여 국공립대학과 사립대학의 구조개혁 추진모델을 개발하였고, 이에 따른 다양한 구조개혁 추진방안을 제시하였음(대학구조개혁 STEPI 모델) · 대학 구조개혁 추진방향은 (1) 대학 구조조정과 특성화 발전 중심의 하드웨어 구조개혁과 (2) 교육내실화와 경영합리화 중심의 소프트웨어 구조개선으로 구분 · 대학 구조개혁의 추진을 위한 정책방향으로 대학 구조개혁 모델의 조속한 개발과 대학 구조개혁 모델과 연계한 대학 지원 체계를 수립하는 것을 제시 정책제언· 대학의 수월성 추구 및 특성화/경쟁화를 통한 대학개혁 방안으로 수월성을 추구하는 대학 league방식 운영제도의 도입, 수요자 중심의 교과과정 개편, 교수 업적 평가제도 개선, 학생의 성취 수준 제고 등에서 구조개편(restructuring)이 요구됨 · 정부의 대학재정지원사업을 대학 구조개혁의 유형화에 기반하여 재정지원사업의 큰 틀을 재설계해야 함. 10~15개 내외의 연구중심대학, 교육연구연계형 대학, 교육 중심대학으로 전체 대학의 구조개혁 유형을 설정하고 대학재정지원사업을 점진적으로 개선 · 대학 구조개혁 모델의 조속한 개발과 공개적 논의를 추진하고, 대학 구조개혁 평가와 연계한 대학 지원 체계 수립. 국공립대학과 사립대학의 차별화된 구조개혁을 추진하고, 대학 특성화 발전과 대학 구조조정의 상호 연계 추진

      • KCI등재

        기업가적 연구중심대학의 경쟁력 평가: 국내 대학과 해외 대학의 비교 분석

        이윤준,김정호 한국혁신학회 2021 한국혁신학회지 Vol.16 No.2

        This paper comparatively analyzes the competitiveness of Korean and foreign top-level research universities from the perspective of entrepreneurial research university. It evaluates the competitiveness by using indicators for both classical competitiveness, such as academic research impact, and entrepreneurial competitiveness, such as research-based value creation, and statistically tests whether the mean of competitiveness significant differs between the Korean and foreign university groups. Empirical results show the Korean research universities tend to have overall lower competitiveness than foreign ones, but they have comparable competitiveness, depending on types of university and indicators. For example, Korean research universities have lower competitiveness for value creation, measured by technology transfer income and research spin-offs, than foreign ones. The Korean general research universities have lower competitiveness for challenging research, but comparable competitiveness for some indicators of innovation research team (e.g. international collaboration and industry collaboration) and value creation (e.g. basic patents), than corresponding foreign ones. On the contrary, the Korean research universities specialized on science and engineering have comparable competitiveness for some indicators of challenging research (e.g. publications in top journals and citations), innovation research team (e.g. multidisciplinary research and industry collaboration) and for value creation (e.g. commercial impact of research), compared to corresponding foreign ones. 본 연구는 기업가적 연구중심대학의 경쟁력 관점에서 국내의 유수 연구중심대학과 해외 명문 연구중심대학을 비교 분석한다. 이를 위해서 연구의 학술적 영향력과 같은 전통적 경쟁력뿐만 아니라 연구의 가치 창출과 같은 기업가적 경쟁력 측면을 함께 반영한 지표를 이용하여, 국내⋅외 연구중심대학 간에 경쟁력 차이가 유의한지 통계적으로 분석한다. 실증분석 결과에 따르면, 국내 상위권 연구중심대학들은 해외 상위권 연구중심대학들에 비해서 전반적으로 경쟁력이 낮지만, 대학의 유형과 경쟁력의 세부 지표에 따라서 해외 대학과 비슷한 수준의 경쟁력을 갖기도 하였다. 예를 들어, 국내 연구중심대학은 해외 연구중심대학에 비해서 가치 창출 중 기술이전 수입과 연구기반 창업 성과가 낮다. 국내 종합대학은 해외 종합대학에 비해서 도전적 연구의 전반적 지표에서 경쟁력이 낮지만 혁신적 연구 팀의 일부 지표(국제 공동 연구, 산학 연구), 가치 창출의 일부 지표(기본 특허)에서는 해외 대학과 비슷한 수준의 경쟁력을 갖고 있다. 반면, 국내 이공계 특화대학은 도전적 연구의 일부 지표(최상위 저널 논문 게재, 논문의 피인용도), 혁신적 연구 팀의 일부 지표(연구분야 다중성, 산학 연구), 가치 창출의 일부 지표(연구의 상업적 영향력)에서 해외 이공계 특화대학과 비슷한 수준의 경쟁력을 갖고 있다.

      • KCI등재

        대학광고 매체믹스 유형과 광고량이 대학 경쟁력에 미치는 영향

        정연승(Jung, Yeonsung),노정식(Noh, Jungsik) 한국상품학회 2010 商品學硏究 Vol.28 No.5

        본 연구에서는 국내 대학의 마케팅활동에 있어서 주요 매체인 TV, 라디오, 신문 및 잡지 등을 포함한 4대 매체의 사용현황을 조사.분석함으로써, 매체 관점에서 각각 대학 마케팅의 방향성을 고찰해 보고자 하였다. 세부적으로는 각 대학의 광고 매체믹스 중 TV와 신문 등 방송매체와 신문, 잡지 등 인쇄매체의 광고 사용지출액과 사용개수가 대학경쟁력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으며, 대학 유형(국립/사립)과 대학 위치(수도권/비수도권)에 따른 조절효과도 함께 분석하였다. 이러한 목적을 토대로 본 연구는 Nielsen Media Research, J일보, 사학진흥재단, 대학알리미 등 4개의 데이터 원천(source)을 이용하여 2008년 한 해 동안 168개 대학의 광고매체 사용현황 및 대학경쟁력 등의 데이터를 분석하였다. 과거의 객관적 광고데이터를 바탕으로 위계적 다중회귀분석을 한 결과, 광고매체 유형별 지출액 중 신문광고 지출액 만이 대학경쟁력에 유의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광고매체의 사용개수를 늘이는 것은 대학경쟁력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나 여러 가지 매체를 사용하는 것 보다는 영향력이 높은 한 가지 매체를 사용하는 것이 더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다. 다음으로 광고매체 유형별 지출액이 대학의 유형에 따라 대학경쟁력에 어떤 차이가 있는지, 조절효과를 살펴본 결과, 신문광고의 경우에 국립대학과 수도권에 위치한 대학이 사립대학과 비수도권에 위치한 대학보다 대학경쟁력을 더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168개 대학의 실제 광고와 관련한 객관적 데이터베이스 자료(objective data)를 사용하여 B-to-B 관점에서 대학광고와 대학경쟁력의 관계를 분석하고 광고 전략을 도출하였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다. There has been little research studying advertising for universities to operate efficiently compared to its importance. It is urgent for a university to establish the advertising strategy for securing students and arousing students' interests in fierce competitive circumstances. Therefore, university advertising needs to introduce the strategic variables which are related to university competitiveness. Thus, the aim of this study is to examine which university advertising strategy makes students to have interests in universities and finally lead to raise university competitiveness. Specifically, first, this study examines how university advertising media(TV, Radio, Paper, and Magazine) spending affect university competitiveness. Second, this study investigates how advertising media spending may be moderated with respect to university region(metropolitan area/non-metropolitan area) and type(public university/ private university). To reach these goals, this study used existing database of university advertising and university competitiveness.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on the basis of the results of existing objective donation data was done to analyze. As a result, three among fifteen hypotheses were supported. The results are as follows.First, regarding the effects of advertising media spending on university competitiveness, paper media spending had a positive effect on university competitiveness while other medias(TV, radio and magazine) had no significant effect on university competitiveness. Second, the moderation effects of university region and university type and advertising media spending have significant effects on university competitiveness for paper.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hat this study investigates university advertising and university competitiveness that have rarely been studied in marketing by analyzing existing database.

      • KCI등재

        전문대학의 구조조정이 경쟁력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최종인,김용훈 한국정책과학학회 2008 한국정책과학학회보 Vol.12 No.2

        This study was to enhance the losing college competitive power due to reducing of matriculation. For this purpose, this study analyzed the current situation and problems of colleges and the disputed points with real evidence for their restructuring strategy. From all of these, giving the suggestion for private college's policy direction is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This study was proceeded with analysis of related document, related laws and practices and preceded researches. Through the interviews of the faculty of college and the officers of related problems, education scholars, representatives of industry gave the suggestion for better direction of future. Also, visiting the conference of Korean colleges we analyzed the accumulated documents and practical analysis was used to collected data. By taking lessons from the disputed points and current situation of the colleges, finding the ways for enhancing the competitive power of college are following; Firstly, educational programs and courses must be reformed with the changes of the generation. To make educational revolution with its competitive power for each colleges, they should provide with variety of departments such as help getting certificates and whatever the needs of the times. Secondly, colleges must struggle for its competitive power through reducing their staffs and should show efforts for securing fund by having a realistic and well-articulated marketing strategy to make some profit. Finally, the ways of securing and evaluating professors must be revised. As the main purpose of the colleges is graduating students who could become professional or specialist on their field. Therefore, professors who teach students on the field should be evaluated higher than professors who teach students in the class. 이 연구는 전문대학의 구조조정 노력이 경쟁력에 어떠한 영향을 미쳤는지를 실증적으로 분석하여 학령인구의 감소에 따른 위기를 극복하고 대내외적 환경 변화에 대응한 질적 경쟁력을 갖출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먼저, 전문가 집단을 선정하여 전문대학의 구조조정 노력으로 적합하다고 판단되는 항목을 선정하였다. 또한, 34개 수도권 전문대학을 선정한 후, 각 대학의 구조조정 노력지수를 산출하였다. 산출된 구조조정 노력지수를 근거로 전문대학의 구조조정이 경쟁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가를 규명하였다. 수집된 자료의 분석을 위해 중다회귀분석을 하였으며 가설 수락을 위한 기준은 .05로 설정하였다. 한편, 문헌분석을 통해 실증분석 결과를 보완하였으며 향후 전문대학의 경쟁력을 높이기 위한 대안을 제시하였다. 이 연구에서 문헌 분석과 실증 분석의 결과로부터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국내의 학부모와 학생들의 교육목표가 상당히 변하고 있음을 인정해야 한다. 즉, 출산 자녀수가 적어지면서 전문대학 입학자원도 줄어들게 되고 이에 따라 입학생의 질적 능력도 지속적으로 떨어지고 있다. 또한 학생들의 상급교육을 열망하는 욕구는 갈수록 커져 전문대학을 선호하지 않고 있음을 직시하고 이에 대한 장・단기적 대책을 마련하고 road map을 만들어야 한다. 둘째, 특성화와 전문화, 실용화를 통한 활로를 모색해야 한다. 예를 들어, 공무원 취업 중심, 특정 기업의 주문식 교육, 특정 직종의 주문식 교육 등이 있을 수 있다. 이를 위해 기존의 커리큘럼에서 재래식 과목을 과감히 축소 또는 폐지하고 첨단 과목과 새롭게 개척되고 있는 장래에 유망한 분야의 과목을 신설하여 고급 전공을 확보해야 한다. 이를 위해 새로운 분양의 교수인원을 충원하고 현재 부족한 학생 100명당 교수비율을 대학 재정의 범위 내에서 최대한 충족시켜야 한다. 셋째, 본 연구의 결과에서 확인 되었듯이, 대학의 규모나 접근성은 학생의 지원율에는 영향을 미치지만 취업률과는 관계가 없었다. 특히, 정원조정과 같은 대학 자체의 구조조정 노력은 취업률과 높은 정적 관계가 있음이 확인되었다. 최근 전문대학들이 입학자원 감소를 이유로 학생 선발에 주력하는 경향을 보이는데, 이는 중・장기적으로 대학의 경쟁력을 떨어뜨리는 결과를 초래할 것이다. 따라서 적절한 정원조정과 학과의 통폐합을 통해 대학을 특성화 시키고 경쟁력을 강화시키는 것이 지금과 같은 무한 경쟁시대에서 최상의 생존전략이라 사료된다.

      • 대학직원들에 대한 인적자원관리 실행과 조직성과 간의 관계에 관한 연구

        서인덕,이승환 한국인사조직학회 2009 한국인사ㆍ조직학회 발표논문집 Vol.2009 No.2

        지식기반 경제사회로의 변화는 국가와 기업으로 하여금 지식기반 경제사회의 활동원천인 인적자원을 양성하는 대학에 대한 많은 기대와 요구를 갖게 하였다. 하지만, 글로벌 금융위기 및 대학 통폐합, 그리고 입학정원수의 감소 등 대학이 처한 국내외 환경의 변화로 인해 우리 대학은 교육성과뿐만 아니라 경쟁력도 많이 상실한 상태이다. 이에 대학은 지속적인 경쟁력 확보와 성과향상을 위해 기업의 경영관리기제 중 하나인 인적자원관리의 도입이 절실하며, 본 연구에서는 대학조직에서실시하고 있는 인적자원관리와 조직성과, 그리고 구성원들의 조직공정성 지각 간의 관련성을 회귀분석을 통해 측정하고 있다. 실증분석 결과, 우선 인적자원관리 관행 중 채용관리와 경력관리, 그리고 보상관리 만이 조직성과, 즉 조직몰입과 대학경쟁력 지각 변수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인적자원관리 중 채용관리 및 경력관리, 그리고 보상관리만이 대학직원들이 조직성과 향상을 위해 필요한 관행이라 생각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으며, 대학조직에서는이러한 인적자원관리 관행을 실행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이와 더불어, 대학직원들의 배공정성 지각은 경력관리 및 보상관리와 조직몰입 간의 관계, 그리고 채용관리 및 보상관리와 대학경쟁력 지각 간의 관계를 조절해주었으며, 절차공정성 지각은 경력관리 및 보상관리와 조직몰입간의 관계와 채용관리 및 경력관리와 대학경쟁력 지각 간의 관계를 조절해주었다. 이는 대학조직의 인적자원관리의 실행이 조직성과에 영향을 미치는데 있어 대학직원들의 조직에 대한 공정성 지각이 이들 관계를 변화시켜줄 수 있음을 보여주고 있으며, 대학직원들의 공정성지각을 향상시켜줄수 있는 다양한 프로그램의 개발이 절심함을 시사하고 있다. The change of knowledge based economy would make countries and firms have more expectation and needs about universities cultivating human resources, the principle source of knowledge based economic society; however, due to global financial crisis, mergers and acquisition among universities, and decrease of the entrance quota, most universities forfeited their competitiveness as well as decreased their performance. It is essential to introduce HRM (Human Resource Management) for universities to improve their performance and competitiveness. Therefore, this study investigates the relationships among HRM, organizational performance (e.g.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perceived competitiveness of universities), and organizational justice by utilizing regression.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research, firstly, three important sub-variables of HRM, employment management, career management, and reward management have a positive and significant effects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perceived competitiveness of universities. Second, it was found that distributive justice moderated both the relationship between career and reward management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employment and rewardmanagement and perceived competitiveness of universities. Finally, it was found that procedural justice moderated both the relationship between career and reward management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employment and career management and perceived competitiveness of universities. Above results indicate that if workers would not improve organizational justice, the HRM practice could not control organizational performances such as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perceived competitiveness of universities. As well, Several implications for researchers and practitioners, limitation of this study and future direction were suggested.

      • KCI등재

        대학법인화와 대학경쟁력 ― 독일의 재단형대학과 사단형대학을 중심으로 ―

        이기우 한국공법학회 2011 공법연구 Vol.40 No.2

        Seit 90er Jahre gibt es in Korea eine heftige Auseinandersetzung über die Einführung der Rechtspersönlichkeit an der Universität. Die Regierung bemühen sich die Rechtspersönlichkeit der Universität einzuführen. um die Wettberwerbsfähigkeit der Universität stark zu machen. Meisten der Hochschullehler und Studenten der nationalen Universitäten sind dagegen. Am Ende der 1980er Jahre hat diese Diskussion begonnen in Korea als Reformvorhaben der Universität. Mit der Globalisierung und Finanzkrise haben die Regierung und Politiker der Regierungspartei versuchen diese Reformsvorhaben zu realisieren seit 2000. Die Gegner dieses Reformvorhabens haben Angst vor finanzieller Schwirigkeit als Folge der Reform aufgrund der negativen Erfahrung von Japan. Es gibt einige Abhandlungen und Berichten über die japanische Universitätsreform durch die Einf ührung der Rechtspersönlichkeit. In Deutschland gab es auch wichtige Hochschulreformen seit 90er Jahren. Insbesondere die Einführung von verschiedener Rechtsformen der Universität beispielsweise Stiftungsuniversität in Niedersachen u.a. und Körperschftsuniversität in Nordrhein-Westfalen. Deutsche Erfahrungen können bieten uns eine Gelegenheit unsere Lösungen zu finden. In dieser Abhandlung sind die Hintergründe der Hochschulreform dargestellt. Die Einführung der Rechtspersönlichkeit der Universität ist ein Mittel der Stärkung der Wettbewersfähigkeit der Universität in Deutschland durch die Selbständigkeit und Dezentralisierung, Entstaatlichung, Deregulierung. Verschiedene Rechtsformen der deutschen Universität ist dagestellt. Nach der deutschen Erfahrung die Rechtsformen der Universität ist zwar wichtig aber die konkrete Gestaltung von Verhältnisse zwischen Staat und Universität ist noch wichtiger. 국립대학 법인화를 둘러싼 찬반의 대립이 심각한 수준에 이르고 있다. 정부를 중심으로 국립대학법인화를 추진하려는 측과 국립대학의 교원과 학생들을 중심으로 하는 반대측이 팽팽하게 대립하고 있다. 한국에서 국립대학법인화문제는 이미 1980년대 말에 시작되었으나 세계화와 금융위기를 거치면서 2000년대에 들어 본격적으로 주장되고 추진되기 시작했다. 학설에 따라서는 일본의 국립대학 법인화사례를 분석하여 그 부정적인 면을 강조하면서 반대의 논거로 삼고 있다. 이에 대해서 찬성하는 측에서는 대학의 법인화는 세계적인 추세이고 시대적인 요구라는 점을 들어 이를 추진하려고 한다. 대학의 경쟁력강화를 위한 대학자치의 강화, 분권화, 탈규제화, 자기책임성의 강화는 불가피한 시대적인 요구라는 점을 부정하기 어려운 측면이 있다. 이에 국내에서 추진되고 있는 국립대학법인화의 구체적인 내용과 평가를 하기에 앞서 다른 나라에서 추진되고 있는 대학개혁의 흐름과 주요쟁점을 이해하는 것이 우리의 시행착오를 줄이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본다. 일본의 국립대학법인화에 대해서는 많은 연구가 있었으나 독일의 법인화사례에 대한 소개는 많지 않은 편이다. 이에 먼저 독일에서 대학경쟁력에 대한 정책이 추진된 배경과 주요 요소를 알아본다. 다음으로 독일에서 추진되고 있는 법인화로서 재단형대학을 먼저 알아보고, 이어서 사단형대학에 대해서 알아본다. 이어서 국내에서 진행되고 있는 법인화의 주요내용을 개관하고, 마지막으로 독일의 대학법인화와 한국의 대학법인화를 비교하면서 시사점을 찾아보기로 한다. 대학을 법인화하든지 아니든지 대학에 대한 법적규율의 내용이 중요하다. 대학과 국가와 관계에서 탈규제와 분권화, 탈관료화가 되어야 하며 내부관계에서 민주적이고 효율적인 의사결정이 가능하도록 하여야 한다. 대학이 법인화한다고 하여 특혜를 베풀거나, 대학을 법인화하지 않는다고 하여 법률상 사실상의 불이익을 결부시키려는 발상자체가 대학의 탈국가화, 분권화, 탈규제화, 탈관료화, 자기책임성 증대를 통한 경쟁력을 강화하려는 목적에 반한다.

      • KCI등재

        세계 주요국의 대학구조개혁 동향

        신현석(Hyun-Seok Shin) 한국교육행정학회 2006 敎育行政學硏究 Vol.24 No.2

        정부가 2004년 12월 「대학 구조개혁 방안」을 확정·발표한 이래 전국의 대학들은 또다시 개혁과 변화의 몸살을 앓고 있다. 대학의 경쟁력 강화를 위해 필요한 정책이라는 공감과 함께 대학의 자율성에 대한 침해라는 주장이 첨예하게 대립각을 세우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본 연구는 주요 선진국의 대학 경쟁력 강화를 위한 구조개혁이 어떠한 배경에 의해서 무슨 목적으로 시작되었는지, 구조개혁의 주된 내용과 추진 방법은 무엇인지, 그리고 구조개혁의 성과와 문제점은 어떻게 나타났는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미국, 독일, 일본은 저마다 고유한 역사적 전통과 배경 하에서 대학이 발전해 왔고, 구조개혁의 추진 동기와 추진 방식도 각기 특색이 있었다. 그럼에도 이들 3국의 대학 구조개혁동향으로부터 공통점을 찾을 수 있었는데, 그것은 ① 대학 경쟁력 강화에 목표를 둔 구조개혁, ② 대학의 양적 팽창에 기인한 구조개혁, ③ 특성화를 통한 대학 경쟁력 강화의 수단으로서 구조개혁이다. 이와 같은 대학 구조개혁의 공통적 특성에 따른 우리나라 대 학 구조개혁 정책에의 시사점이 제시되었다. The nation's universities have faced the difficulties of changes since the promulgation of the「University Structural Reform」proposal in December, 2004. While some agree with the proposal that is necessary for strengthening the competitiveness of higher education, others disagree with the proposal that hampers the autonomy of universities. This study is intended to clarify the backgrounds and objectives of structural reform, to find its main contents and methods, and to examine its performances and limitations. As a result, American, German, and Japan universities have prospered in distinction up to today under the unique historical traditions and backgrounds. Their motives and implementation of structural reform have their own characteristics under the influence of their traditions and backgrounds. In spite of their own different trends as such, the nations appear to have the following common features : 1) the structural reform for attaining the goal of strengthening the competitiveness for universities, 2) the structural reform caused by the quantitative expansion of universities, and 3) the structural reform as a means to strengthen the nation's competitiveness through the specialization of universities. According to these common features, some implications for Korean policy of university structural reform are suggested.

      • KCI등재

        연구중심대학의 도서관 지원과 연구경쟁력에 관한 연구

        한혜영,Han Hye-Young 한국문헌정보학회 2005 한국문헌정보학회지 Vol.39 No.4

        지식기반사회에서 대학의 연구기능 강화에 대한 필요성이 증대됨에 따라 연구중심대학 육성에 대한 관심이 높으나, 국내의 경우는 연구중심대학을 구분하는 객관적이고 구체적인 기준이 마련되어 있지 않으며 또한 연구중심대학의 핵심 지원체계로서 도서관에 대한 역할도 정립되어 있지 않은 상태이다. 본 연구에서는 세계 국가 경쟁력 1순위인 미국의 연구중심대학 선정 기준을 만족하는 국내 연구중심대학을 선별하고 한국과 미국 연구중심대학의 전반적인 현황 및 이들 대학도서관의 세부적인 현황을 비교${\cdot}$분석하였다. 연구중심대학 도서관이 갖추어야 할 각종 예산 인원, 그리고 정보자원에 관하여 국내 대학의 현황을 파악하고 추후 연구중심대학으로서 연구경쟁력을 제고할 수 있는 지원체계 구축에 필요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아울러 대학도서관에 대한 각종 투자가 궁극적으로 대학의 연구경쟁력을 제고한다는 점을 입증하기 위한 도서관 투자와 연구논문발표 실적과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연구중심대학 도서관으로서의 우리나라 현황을 분석한 본 연구 결과가 향후 국제적인 연구경쟁력 확보를 위한 대학도서관의 역할 정립 및 육성에 대한 필요성을 인지하는 계기가 되기 바란다. Research is one of main roles of university and its importance has been emphasized gradually since a few decades ago. Yet, the objective and concrete criterion lot the definition of the research university is not available in Korea, Accordingly, the role of the research university library is not established as a key system for research university. In this study the criterion for the United States research university is applied to domestic universities, thereby current status of research universities and their libraries between the United States and Korea is analyzed comparatively. Fundamental data including budget, employees and information resources for pursuing high research competitiveness necessary for the research university library are provided based on comparative analysis of 98 research university libraries in the United States and 38 domestic research university libraries. Correlation analysis data between library investment and research Publication are also provided. Finally this study can be used, hopefully, as a milestone for the establishing strategy of domestic research university libraries.

      • KCI등재

        세계 대학 평가 순위 변동에 대한 비교분석

        이호섭(Lee, Ho-Seub) 한국비교교육학회 2014 比較敎育硏究 Vol.24 No.1

        이 연구에서는 대학 경쟁력의 국가적ㆍ시대적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는 점을 고려하여 대학의 경쟁력을 가늠할 수 있는 대표적인 지표인 세계 대학 순위평가 결과를 대상을 대학별 순위의 변화 정도와 영향요인에 대한 종단분석을 실시하였다. 'THE' 세계 대학 순위평가의 순위를 분석한 결과, 상위 그룹 내의 순위 변화는 크지 않으며, 100∼200위권 대학의 순위 변동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개별 대학의 순위와 순위 변화량에는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대학의 순위 변화에 영향력이 높은 평가 지표는 연구실적과 논문 인용 등 연구 영역으로 나타났다. 또한 세계 대학 순위평가의 대학별 순위는 연구 실적이 높은 대학을 중심으로 상위권이 고착화되는 경향이 있으며, 연구에 비해 교육과 산학협력 등의 평가지표가 미치는 영향력은 상대적으로 낮았다. 이러한 결과는 세계 대학 순위평가의 순위가 대학의 연구역량과 실적에 의해 결정된다는 선행연구의 결론이 종단적 분석을 통해서도 확인되고 있음을 의미한다. 따라서 향후 세계대학순위평가에서 정의하는 대학의 경쟁력에 대한 재개념화와 경쟁력 평가를 위한 방법의 개선에 대한 논의가 평가결과에 대한 분석 등을 근거하여 구체적으로 전개될 필요가 있다. This study is intended to conduct the longitudinal analysis of the rankings, changes to competitiveness and influence factors through the world university rankings, which serve the barometer in representing the competitiveness of the universities, taking into account of the increasing national and timely importance of university's competitive strength.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changes in rankings among universities based on world university rankings, significant changes in the group ranked 150th to 200th were monitored while the change in top ranking group was insignificant. And the meaningful difference was found between individual ranking and change in ranking and the evaluation territory which had higher effect on change in ranking includes such research effect as research performance record and use. Thus the top ranking group tends to be stable with the universities with higher research record whereas the influence on evaluation index by education and industry-university cooperation was found relatively lower, indicating such tendency of research-centered evaluation in world university rankings was also confirmed by longitudinal analysis. Hence, it's necessary to reestablish the definition of university's competitiveness as well as the evaluation approach as defined in the world university rankings.

      • 전략적 교수업적평가제도 구축 사례

        박준완 전주대학교 산업경영연구소 2000 産經論叢 Vol.18 No.-

        본 연구의 사례는 J대학에서 지난 1년 동안 전략적 측면에서 교수업적평가제도를 구축한 것이다. 교수업적평가제도는 대학경쟁력을 강화시키기 위한 대학조직개편, 행ㆍ재정제도의 초석이 되기 때문에, J대학은 특히 교수업적평가제도를 단수하게 교수인사고과제도로 간주하기보다는 장기적 대학경쟁력 강화수단의 하나로 간주하여 구축했다. 교수업적평가제도의 궁극적 목적은 대학경쟁력의 강화에 있고, 각 대학이 처한 상황은 각기 다르기 때문에, 대학경쟁력 강화수단의 하나인 교수업적평가제도의 내용도 달라야 한다. 그러나 최근 각 대학의 교수업적평가제도 연구업적, 교육업적 및 봉사업적을 중심으로 각 항목별 가중치만 다를 뿐, 기본적인 골격은 대동소이한 것이 현재의 상황이다. J대학의 교수업적평가제도는 특징은 다음과 같다. 첫째, 타 대학의 업적평가 항목인 연구, 교육 및 봉사 이외에 학과(부) 경쟁력 항목을 포함시켰다. 이는 대학구조조정을 유도하기 위한 방안으로, 학과경쟁력은 신입생 실질경쟁율, 신입생 수능평균점수(상위 30%), 재학생 이탈율, 졸업생 취업률 및 학과교수 평균연구실적으로 측정한다. 둘째, 직급별 가중치를 도입하였다. 이는 교수 직급별 역할분담을 유도하기 위한 방안으로, 연구 및 기타 항목간의 가중치를 부교수 직급까지는 6 : 4, 정교수 직급의 경우에는 4 : 6으로 가중치를 달리하였다. 셋째, 우수신임교수의 초빙 및 육성을 위해 계약직 조교수제를 도입하고, 계약직 조교수의 경우에는 연구업적 요구량을 기존 교수의 2배로 강화시키는 한편, 최대강의시간을 기본강의시간으로 제한하고, 교내 위원회 활동 등을 제한하여 연구활동에 주력하도록 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