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부모의 심리적 통제와 대학생 자녀의 대인관계문제에서 완벽주의적 자기제시와 부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의 매개효과

        주혜원,배희분 한국가족관계학회 2020 한국가족관계학회지 Vol.25 No.2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s of perfectionistic self-presentation and maladaptiv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between parental psychological control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problems. Methods: For this study, a total of 514 students, attending universities located in Seoul, Korea, were analyzed. The resulting data was interpret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correlation analysis,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Results: First, parental psychological control, perfectionistic self-presentation, maladaptiv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problems had a significant positive relationship. Second, perfectionistic self-presentation and maladaptiv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were verified to have mediating effects under the influence of parental psychological control on interpersonal relationship problems. Third, the sequential mediating effects of perfectionistic self-presentation and maladaptiv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were confirmed. Conclusion: The finding hold significance in that they provide a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the interpersonal relationship problems of undergraduate students with corresponding complaints at the site of counseling, while they also work as useful reference in solving these problems. 본 연구는 부모의 심리적 통제와 대학생 자녀의 대인관계문제에서 완벽주의적 자기제시와 인지적 정서조절전략 중 부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의 매개효과를 확인하고 그 경로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지역 4년제 대학교에 재학 중 인 남녀 대학생을 대상으로 부모의 심리적통제척도, 대인관계문제척도, 완벽주의적 자기제시척도,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척도를 사용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최종 514명의 자료를 SPSS 21.0 프로그램과 Mplus 7.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 결과로는, 첫째, 부모의 심리적 통제와 완벽주의적 자기제시, 부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전략, 대인관계문제는 모두 유의한 정적 상관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둘째, 부모의 심리적 통제와 자녀의 대인관계문제에서 완벽주의적 자기제시와 부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의 부분 매개효과가 검증되었다. 이러한 결과로 부모의 심리적 통제는 대학생 자녀의 대인관계문제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칠 뿐 만 아니라, 완벽주의적 자기제시와 부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을 통해서도 자녀의 대인관계문제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한 변인임을 알 수 있었다. 즉 부모의 심리적 통제는 성인형성기의 대학생의 대인관계문제에 중. 고등시기의 자녀와 다르지 않게 여전히 영향을 끼치고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완벽주의적 자기제시와 부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이 부모의 심리적 통제가 있는 대학생 자녀의 대인관계문제의 발생과 유지에 기여하는 주요한 변인임을 확인하였다. 이는 상담현장에서 이러한 대인관계문제를 호소하는 대학생 내담자의 상담 시 환경적 요인이라 할 수 있는 부모의 심리적 통제 보다는 인지적 변인인 부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에 개입하는 것이 대학생의 대인관계문제를 해결하는데 더 효과적일 수 있음을 시사한다. 셋째 완벽주의적 자기제시와 부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의 순차적 매개효과가 검증되었다. 이러한 결과로 부모의 심리적 통제와 대인관계문제관계에서 완벽주의적 자기제시는 부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을 가속화하거나 촉진함으로써 대학생 자녀의 대인관계문제를 심화시키는 변인임을 알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부모의 심리적 통제 수준이 높을수록 성격적 변인인 완벽주의적 자기제시 성향이 높아지고, 높아진 완벽주의적 자기제시성향은 인지적 변인이라 할 수 있는 부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을 높여 결과적으로 대학생 자녀의 대인관계문제가 심화될 수 있다는 것과 성인형성기의 대학생의 대인관계문제에 부모의 심리적 통제는 여전한 영향을 끼치는 주요한 변인임을 이번 연구 결과를 통해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친밀감이 주요 과업인 대학생을 대상으로 대인관계문제에 영향을 끼치는 변인을 종합적으로 살펴 부모의 심리적 통제가 개인의 성격적 변인인 완벽주의적 자기제시, 인지적 변인이라 할 수 있는 부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의 단계를 거쳐 대학생 자녀의 대인관계문제로 이르는 경로를 실증적으로 검증하였다. 이에 대인관계문제를 호소하는 대학생들의 대인관계문제를 상담현장에서 종합적으로 이해하고 그 문제를 해결하는데 적절하고 유용한 자료를 제공할 수 있다는 점에 연구의 의의를 두고자 한다.

      • KCI등재

        청소년의 대인관계문제 원형모형: 주 양육자와의 애착 및 기본심리욕구 만족과의 관계

        조영주,서현지 한국상담심리학회 2018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Vol.30 No.2

        This study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interpersonal problems circumplex model, attachment with caregiver and basic psychological need satisfaction. Data was collected from 624 high school students and was analyzed using regression analyses and path analysis.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ttachment anxiety was positively associated with cold interpersonal problems and attachment avoidance was positively related to submissiveness and cold interpersonal problems. Second, autonomy was negatively associated with submissiveness and affiliation interpersonal problems. Competence was negatively related to submissiveness and cold interpersonal problems, and relatedness was negatively related to cold interpersonal problems. Third, the relationship between attachment with caregiver and interpersonal problems were mediated by autonomy, competence, and relatedness. Results, limitations and implications are discussed. 본 연구에서는 복종-지배와 적대-친밀을 두 축으로 한 대인관계문제 원형모형을 바탕으로 청소년의 대인관계문제와 주 양육자와의 애착 및 기본심리욕구 만족과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624명의 고등학생으로부터 수집한 설문 자료를 회귀분석과 경로분석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애착불안과 애착회피가 높을수록 대인관계문제를 많이 보고하였다. 둘째, 애착불안이 높을수록 지배 쪽 대인관계문제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고, 애착회피가 높을수록 복종 쪽 대인관계문제와 적대 쪽 대인관계문제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자율성, 유능감 및 관계성이 낮을수록 대인관계문제를 대체로 많이 보고하였다. 넷째, 자율성이 낮을수록 복종 쪽 대인관계문제 및 친밀 쪽 대인관계문제가 많았고, 유능감이 낮을수록 복종 및 적대 쪽 대인관계문제가 많았으며, 관계성이 낮을수록 적대 쪽 대인관계문제를 많이 보고하였다. 다섯째, 주 양육자와의 애착이 복종-지배 및 적대-친밀 대인관계문제에 미치는 영향은 자율성 만족을 매개하였고, 유능감과 관계성 만족을 부분적으로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연구의 결과를 논의하였고, 연구의 학술적 의의 및 상담에의 시사점과 연구의 제한점 및 추후 연구를 위한 제언을 포함하였다.

      • KCI등재

        성인의 대인관계문제가 대인관계정서 및 대인관계만족에 미치는 영향: 성별의 조절효과

        조영주 한국상담심리학회 2021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Vol.33 No.4

        This study explored the relationships between interpersonal problems(away from people, against people, toward people), interpersonal affect(positive, negative)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satisfaction, as well as the moderating effects of gender. Survey data was collected from 346 adults raning in age from 20 to 60, and it was analyzed using correlation and regression analyses. The study’s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interpersonal problems were partially associated with positive affect, with complex directions of association. Second, interpersonal problems were partially positively related to negative affect. Third, interpersonal problems were partially negatively related to interpersonal relationship satisfaction. Fourth, gender had a significant moder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s between against people problems and negative affect, as well as between toward people problems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satisfaction.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as well as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본 연구는 대인관계문제(멀어짐, 맞섬, 향함), 대인관계정서(긍정정서, 부정정서) 및 대인관계만족 간의 관계와 이들 관계에서 성별의 조절효과를 살펴보았다. 20대에서 60대의 남녀 346명으로부터 수집한 자료를 상관분석과 회귀분석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인관계문제와 대인관계 긍정정서 간의 관계를 살펴보면, 멀어짐 문제는 긍정정서와 부적 관련이 있었고 맞섬 문제는 긍정정서와 정적 관련이 있었으며 향함 문제는 긍정정서와 유의한 관련이 없었다. 둘째, 대인관계문제와 대인관계 부정정서 간의 관계를 보면, 멀어짐 문제 및 맞섬 문제는 부정정서와 정적 관련이 있었고 향함 문제는 부정정서와 유의한 관련이 없었다. 셋째, 멀어짐 문제는 대인관계만족과 정적 관련이 있었고, 맞섬 문제 및 향함 문제는 대인관계만족과 유의한 관련이 없었다. 넷째, 맞섬 문제와 대인관계 부정정서 간의 관계 및 향함 문제와 대인관계만족 간의 관계에서 성별의 조절효과가 유의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논의하였고 연구의 학문적 의의, 상담에의 함의 및 연구의 제한점을 포함하였다.

      • 대학생들의 대인관계능력과 문제해결능력에 관한 연구

        손경숙 한국임상사회사업학회 2017 임상사회사업연구 Vol.14 No.1

        본 연구는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대인관계능력과 문제해결능력 수준을 파악하고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프 로그램의 기초자료로 활용되는 것에 목적을 두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바탕으로 수립한 구체적인 연구문 제는 첫째, 대학생들의 대인관계와 문제해결능력 실태는 어떠한가? 둘째, 대학생들의 대인관계능력에 따라 문제해결능력은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연구가설을 수립하고 기술통계, 상관관계, 회귀분석 모형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이러한 연구문제를 검증하고자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2016 년 5월 17일부터 5월 31일까지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0.0을 활용하여 분석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문제해결능력을 분석한 결과 문제해결능력 중 문제해결 결과를 문제 해결 결과를 분석하여 대안으로서의 가치 즉 문제해결 수준을 파악하는 능력과 문제인식과 문제해결 하는 데 다른 관점으로 생각할 수 있는 능력이 ‘보통’으로 나타났으며, 주어진 일에 관련하여 문제를 인식하고 논리적으로 생각하고 결정하는 능력, 일의 목적과 제한점을 알고 이해하는 능력, 선택된 대안을 현실적으로 적용하여 문제를 해결하는 능력, 일을 수행에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장, 단점을 비교 분석, 새로운 아이 디어를 만들어내는 능력에서는 ‘그렇다’가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대인관계에서는 공동으로 수행해야 할 과제를 선정, 과제의 중요성과 필요성을 다른 사람에게 이해시키고 이끌어 나가는 능력, 일을 수행함에 있어 협상을 위한 자신의 입장을 파악, 필요한 전략 구사능력, 타인이 무엇을 요구하는지 파악할 수 있고 만족시키려는 자세로 일을 수행하는 능력, 일을 수행함에 있어 사람들 사이의 갈등이 발생할 경우, 이를 원 만히 조절해 나가는 능력, 서로 다른 성격과 다양한 배경을 가진 사람들과도 잘 어울리며 일을 수행하는 능력에서는 ‘그렇다’가 가장 많이 나타나 대학생들의 대인관계능력을 높게 인식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둘째, 대인관계와 문제해결능력에 대해 상관관계분석을 실시한 결과 대인관계능력에 정적인 유의한 상관관 계를 보였다. 즉 대인관계능력이 높을수록 문제해결력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what is the impact on problem-solving skills, depending on the destination of the interpersonal skills to students, and serve as the basis for the work program for university students. Establishing specific research problems based on this research. First, what about interpersonal and problem-solving abilities situation of college students? Second, according to the students' problem solving skills are interpersonal skills How does the impact? To investigate. Establish a hypothesis for this purpose, and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correlation, regression model.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using the SPSS 20.0 were obtained the following results. first. Problem solving ability As a result of problem-solving skills troubleshooting results of the analysis of the troubleshooting results analysis, the ability to think in alternatives as a value that is ability and problem recognition and problem a different perspective to solve the identified problem solving level of ‘normal’ was shown were, the issue capability, one recognizes the problems in connection with the given day capacity, to think logically, and know and understand the purpose and limitations of capacity, to decide to apply the selected solution in reality to solve the problem to perform in the chapter to resolve, the ability to make a comparative analysis, new ideas shortcomings showed the highest number of “yes”. Interpersonal The selected projects have to jointly perform, in the understanding of the importance and necessity of the task to another person capacity and outgoing leads, carrying out one understand their position for negotiation, strategic proficiency necessary requirements what others If you can determine whether and in performing ability, one that you want to do things with an attitude satisfy cause conflict between people, it amicably out to adjust capacity, fits together well with people with different personalities and diverse backgrounds said the day the ability to perform “yes” appeared the most highly recognized and it was found that the students' interpersonal skills social welfare majors. By Education interpersonal skills showed that the relatively high enrichment University, majoring. Second, as a result of the correlation analysis on interpersonal and problem-solving skills it was static correlation with interpersonal skills. That showed that the higher the interpersonal skills with problem solving.

      • KCI등재

        우울취약성과 대인관계문제의 관계에서 능동적, 회피/분산적 정서조절양식의 매개효과

        박송이,채규만 한국인지행동치료학회 2012 인지행동치료 Vol.12 No.3

        본 연구는 우울에 취약한 성격 양식으로 알려진 우울취약성과 대인관계문제의 관계에서 정서조절양식의매개효과를 가정하고 이를 검증해 보고자 하였으며, 서울과 수도권에 위치한 대학교에 재학 중인 대학생400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다. 각 변인을 상관분석한 결과, 우울취약성이 높을수록 대인관계문제를많이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능동적 양식과 지지추구적 양식을 많이 사용하는 경우에는 대인관계문제를 적게 경험하지만 회피/분산적인 양식을 많이 사용하는 경우에는 대인관계에서 더 많은 문제를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경로분석 결과, 자기비판적 우울취약성은 과순응성과 자기희생을 제외한 모든대인관계문제 하위유형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고, 의존적 우울취약성은 자기억제, 비주장성, 과순응성, 자기희생, 과관여 영역에 유의미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반면 통제지배와 자기중심성에는 부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우울취약성과 정서조절양식의 관계에서는 자기비판적 우울취약성은 능동적 양식과 지지추구적 양식에는 부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준 반면 회피/분산적 양식에 정적 영향을 주었고, 의존적 우울취약성은 능동적 양식에는 부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쳤으나 지지추구적 양식에 유의미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우울취약성과 대인관계문제의 관계에서 정서조절양식의 매개효과를알아본 결과, 능동적 양식과 회피/분산적 양식이 우울취약성와 대인관계문제의 관계를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고려할 때, 실제 임상장면에서 다양한 대인관계문제를 예방하고 치료하기 위해, 내담자의 우울취약성 유형을 확인하고 대인관계문제에 기여하고 있는 점을 확인하여 수정하는 것이 유용하며, 내담자의 정서조절양식을 회피/분산적인 양식에서 능동적 양식으로 전환하는 방향으로 초점을 두어 치료할 경우 대인관계문제를 개선하는데 효과적으로 개입할 수 있다는 점을 시사한다. This study examined the mediating effects of Emotional Regulation Style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Vulnerability of depression and Interpersonal Problem. The subjects were 400 College students recruited from the Universities in Metropolitan Seoul and Gyeonggi areas. Depressive Experience Questionnaire(DEQ), Emotional Regulation Strategies Checklist, and Korean Inventory of Interpersonal Problem(KIIP-SC) were administered to the student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correlation analysis showed vulnerability of depression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Interpersonal problem. The vulnerability of depression showed also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avoidant/distractive regulation style, but vulnerability of depression showed a negative correlation with active regulation style. However, only dependency variable of depression vulnerability ha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support-seeking regulation style. Avoidant/distractive regulation style demonstrat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Interpersonal problems. However, active and support-seeking styles were negatively correlated with Interpersonal problem. Second, both self-criticism and dependency of depression vulnerability had significant positive effects on the Interpersonal problem. But, these vulnerabilities had significant negative effects on the active regulation style. However, only self-criticism depression vulnerability variable showed a positive significant effect on the avoidant/distractive regulation style. And dependency depression vulnerability variable showe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the support-seeking style. But self-criticism depression vulnerability variable showed a significant negative effect on that. Third, the active regulation style showed a mediation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depression vulnerability and Interpersonal problems. Also, avoidant/distractive regulation style showed a mediation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depression vulnerability and Interpersonal problems. Finally, based on the finding results,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 KCI등재

        불안애착과 회피애착이 대인관계문제에 미치는 영향: 우울경험양식의 매개효과

        박영주,이영호 한국임상심리학회 2010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Vol.29 No.2

        본 연구는 불안애착과 회피애착이 대인관계문제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우울경험양식이 매개 역할을 하는지를 검증하고자, 대학생 455명을 대상으로 성인기 낭만적 애착척도(ECR), 우울 경험 질문지(DEQ), 대인관계 문제 원형 척도(IIP-C)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불안애착은 의존적 우울경험양식의 매개를 거쳐 비주장성, 피착취성, 헌신성, 간섭성 영역인 의존적 대인관계문제에 영향을 주었다. 뿐만 아니라 불안애착은 의존적 우울경험양식의 매개 없이 의존적 대인관계문제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쳤고, 부가적으로 자기비판적 우울양식과 독립적 대인관계문제에도 영향을 미쳤다. 그리고 회피애착은 자기비판적 우울경험양식의 매개를 거쳐 지배성, 적의성, 냉담성, 회피성 영역인 독립적 대인관계문제에 영향을 미쳤고, 자기비판적 우울양식의 매개 없이도 독립적 대인관계문제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쳤다. 즉, 회피애착보다 불안애착이 우울경험양식과 대인관계문제에 대해 폭넓은 설명력을 가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추가적으로 자기비판적 우울경험양식은 독립적 대인관계문제 뿐만 아니라 의존적 대인관계문제에도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의존적 우울양식은 의존적 대인관계문제 뿐만 아니라 독립적 대인관계문제에도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애착이 우울경험양식과 대인관계문제에 미치는 영향과 과정을 논의하였다. 또한 본 연구의 임상적 함의와 제한점, 후속 연구의 필요성이 논의되었다.

      • KCI등재

        청소년의 복합 및 다중외상 경험과 대인관계문제 사이에서 초기부적응도식의 매개효과

        이현정,장희순 한국인지행동치료학회 2014 인지행동치료 Vol.14 No.1

        본 연구에서는 외상의 유형에 따라 초기부적응도식 및 대인관계문제에 차이를 보이는지 확인하고, 복합외상을 경험한 경우 어떠한 심리내적 과정을 거쳐 대인관계 문제가 유발되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복합외상과 대인관계문제 사이에 초기부적응도식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이러한 연구문제를 위해 3개 도시의 고등학교 7곳, 청소년 상담센터 4곳의 청소년을 대상으로 스트레스 생활사건 질문지, 복합외상 척도, 대인관계문제 척도, 초기부적응도식 척도로 구성된 질문지를 사용하여 총 776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시행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우선, 외상경험에 따라 외상이 없는 집단, 단순외상 집단, 대인간외상 집단, 복합외상 집단, 다중외상 집단으로 구분한 후 외상유형에 따른 초기부적응도식 및 대인관계문제의 차이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 다중외상 및 복합외상 집단으로 분류된 청소년이 외상이 없음, 단순외상, 대인간외상 집단보다 거절이나 단절과 관련된 초기부적응도식이 더 많이 나타나고 대인관계문제도 더 큰 것으로 나타나, 외상 경험의 유형에 따라 초기부적응도식과 대인관계문제에서 집단 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음이 입증되었다. 다음으로, 복합외상 및 다중외상 집단만을 대상으로 외상경험과 대인관계문제 관계에서 초기부적응도식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직,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이론적 경로구조모형을 설정하고 이를 검증하였다. 자료분석 결과, 초기부적응도식이 외상경험과 대인관계문제의 두 변인사이를 부분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위의 결과들을 바탕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에 대해 논의하였다. This study has tried to clarify what influence types of traumatic experiences in adolescence have on early maladaptive schemas and interpersonal relations, and what this study has tried to verify are the following two points. First, it has clarified what differences adolescents show in early maladaptive schemas and problems with interpersonal relations due to types of traumatic experiences. Second, in order to clarify the path of the causation of problems with interpersonal relations through some psychologically internal course, this study has verified mediation effects of early maladaptive schemas between complex traumas and problems with interpersonal relations. For this, the study carried out a questionnaire survey consisting of life event questions, a complex trauma scale, interpersonal relation scale, and an early maladaptive schema scale on adolescents from 7 high schools and 4 youth consulting centers in three cities, and then a total of 776 adolescents’data were used for the study. First of all, the subjects were classified on the basis of their traumatic experiences into the trauma-less group, the simple traumatic group, the interpersonal traumatic group, the complex traumatic group, and multiple traumatic group. Then, as a result of the examination of differences in early maladaptive schemas and problems with interpersonal relations due to types of trauma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shown among the groups in early maladaptive schemas and problems with interpersonal relations due to types of traumatic experiences. That is to say, it turned out that groups with multiple or complex traumatic experiences showed more and greater problems with interpersonal relations in early maladaptive schemas than groups with simple or interpersonal traumatic experiences. Next, in order to verify mediation effects of early maladaptive schemas on traumatic experiences and problems with interpersonal relations only in groups with complex or multiple traumatic experiences, this study established some theoretical models of path structure influencing them directly or indirectly, and verified them against the data. As a result of the data analysis, it turned out that early maladaptive schemas partially mediated the two variables, complex traumas and problems with interpersonal relations. On the basis of the above results, the significance, limitations,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discussed.

      • KCI등재후보

        여자 중학생의 대인관계문제와 섭식문제의 관계에서 긍정반응경향의 매개효과

        신현숙,이해경 한국코칭학회 2016 코칭연구 Vol.9 No.4

        연구의 목적은 여자 중학생의 대인관계문제가 섭식문제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의 이면기 제를 밝히고자 대인관계문제와 섭식문제의 관계에서 긍정반응경향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데 있다. 대전 및 충청권에 거주하는 여자 중학생 712명으로부터 자기보고식 질문지 자료를 수집 하고 구조방정식모형(structural equation modeling) 분석을 실행하였다. 긍정반응경향이 대인 관계문제와 섭식문제의 관계를 매개하는 관계모형의 적합도를 검증하고, Sobel 검증을 사용하 여 긍정반응경향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첫째, 연구모형(부분매개모형)에 비해 경합모형 (완전매개모형)의 적합도가 더 양호하였다. 둘째, 대인관계문제와 섭식문제의 관계에서 긍정 반응경향의 매개효과가 유의하였다. 긍정반응경향이 매개변인으로 설정되면, 대인관계문제가 섭식문제에 직접 영향을 주기보다는 긍정반응경향을 통해서 간접적으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대인관계문제의 수준이 높을수록 긍정반응경향의 수준이 낮고, 긍정반응경향 의 수준이 낮을수록 섭식문제의 수준이 높았다. 이러한 결과는 여자 중학생의 대인관계문제가 긍정반응경향의 감소라는 매개과정을 통해 섭식문제를 증가시킬 가능성을 시사한다. 마지막으로, 이 연구가 이미 섭식문제를 겪고 있거나 섭식문제를 겪을 위험에 놓인 여자 중학생들을 위한 개입과 예방 및 코칭 프로그램 개발에 가지는 시사점, 연구의 제한점,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how interpersonal relationship problems trigger eating problems in middle school girls. Self-report questionnaires were administered to 712 7th~9th graders residing in Daejeon City and Choongchung Do.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as conducted to test the mediating effect of positive responding tendency on the association between interpersonal relationship problems and eating problems. First, the complete mediation model fit the data better than the partial mediation model. Second, the mediation effect of positive responding tendency was found to be significant. Thus, the direct effect of interpersonal relationship problems on eating problems was no longer significant after positive responding tendency was taken into account as a mediator. Third, the higher the level of interpersonal relationship problems, the lower the level of positive responding tendency. Then, the lower the level of positive responding tendency, the higher the level of eating problems. The results imply that interpersonal relationship problems may indirectly influence eating problems through the mediation of reduced positive responding tendency. Finally, practical implications for developing interventions and coaching programs for middle school girls suffering from eating problems or those at risk for eating problems,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suggestions for further research were discussed.

      • KCI등재후보

        성격장애성향의 대인관계 문제: 자기-타인지각 비교

        진하영 ( Ha Young Jin ),권은정 ( Eun Jeong Kwon ),권지은 ( Ji Eun Kwon ),황순택 ( Soon Taeg Hwang ) 서강대학교 학생생활상담연구소 2010 人間理解 Vol.31 No.2

        본 연구는 성격장애성향에 따라 대인관계 양상에 차이가 있는지, 대인관계문제에 대한 자기보고와 타인보고에 차이가 있는지 검증하였다. 성격장애 진단검사와 대인관계문제 검사 원형척도를 실시하였으며, 대학생 및 일반 성인 총 263명의 자료가 분석되었다. 대인관계문제에 대한 분석 결과, 각 군집별, 성격장애성향별로 특징적인 대인관계 양상이 나타났다. 또한 각 성격장애성향 및 군집별로 자신이 보고한 대인관계문제와 타인이 보고한 대인관계문제를 차이검증한 결과, 전체적으로 대인관계문제척도에 대해 타인보고 점수보다 자기보고 점수가 더 높았으며, 자기보고와 타인보고의 대인관계문제 유형은 유사하였지만 지각의 정도에 있어서는 차이가 있었다. A군집은 자신의 의견을 주장하고 타인을 통제하려 하며, 타인을 불신하고 친밀한 관계를 유지하는데 어려움이 있고, 낯선 사람들과의 접촉을 피하거나 혹은 타인에게 필요이상으로 관대하며, 지나치게 참견을 하는 등의 대인관계문제 모든 영역에서 차이가 있었고, B군집은 타인에게 지나치게 참견을 하며 자신의 신념을 주장하고 타인을 통제하는 행동에서 차이가 있었다. C군집은 낯선 사람들 앞에서 불안하거나 회피하려 하며, 자신의 의견을 표현하는데 어려움을 느끼고, 대인관계의 독립성을 유지하는데 어려움이 있으며, 타인에게 순종적이고, 필요이상으로 관대하고 배려하는 행동에서 차이를 나타냈다. 끝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 및 추후연구를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examine if interpersonal problems varied according to different types of personality disorders. Also, the authors attempted to see whether there were differences between self- and peer ratings of interpersonal problems. A battery of paper-and-pencil measures were administered to college students and normal adults (N = 263), including the Diagnostic Test of Personality Disorder and the KIIP-C (Korean Inventory of Interpersonal Problem-Circumplex Scale). Overall, distinct patterns of interpersonal problems emerged, which varied according to personality disorders. Even though self-ratings of perceived interpersonal problems were found to be greater than peer ratings of interpersonal problems, the two ratings showed similar patterns of interpersonal problems. Study limitations, clinical implications, and future directions for research are discussed.

      • KCI등재

        거부민감성과 대인관계문제의 관계: 정신화와 정서조절곤란의 매개효과

        박영숙,김보영 한국재활심리학회 2023 재활심리연구 Vol.30 No.3

        본 연구는 거부민감성, 정신화, 정서조절곤란, 대인관계문제의 관련성을 알아보고, 거부민감성이 대인관계문제에 영향을 미칠 때 정신화와 정서조절곤란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만 18세에서 39세의 성인초기 남녀 432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을 실시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SPSS 22.0과 SPSS PROCESS Macro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상관분석 결과 거부민감성, 정신화, 정서조절곤란, 대인관계문제 모든 변인 간에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둘째, 거부민감성과 대인관계문제의 관계에서 정신화의 매개효과가 유의하게 나타나지 않았다. 셋째, 거부민감성과 대인관계문제의 관계에서 정서조절곤란의 매개효과가 나타났다. 넷째, 거부민감성과 대인관계문제의 관계에서 정신화와 정서조절곤란의 순차적 이중매개효과가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초기 성인의 거부민감성이 정신화와 정서조절곤란을 통해 대인관계문제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거부민감성이 대인관계문제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인이며, 거부민감성이 정신화의 어려움에 영향을 미치고 이는 정서조절곤란으로 이어져 궁극적으로 대인관계문제로 이어질 수 있음을 의미한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에 대해 논의하고 후속 연구에 대해 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mediating effect of mentalization and emotional dysregula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rejection sensitivity and interpersonal problems. A survey was conducted among 432 adults aged 18 to 39, an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22.0 and SPSS PROCESS Macro programs. First, the correlation analysis revealed a significant correlation among all variables. Second, no mediating effect of mentalization was foun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rejection sensitivity and interpersonal problems. Third, a mediating effect of emotional dysregulation was foun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rejection sensitivity and interpersonal problems. Fourth, sequential mediating effects of mentalization and emotional dysregulation were foun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rejection sensitivity and interpersonal problems. Finally, the significance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and suggestions for follow-up studies were provid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