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明淸時代 對外關係史의 成果와 課題

        崔韶子 명청사학회 2003 명청사연구 Vol.19 No.1

        韓國歷史學界在剛過去的二十世紀有關中國史著硏究累積了輝煌的成果, 尤其是有關明淸時期中國與周圍國家和民族之間的直接和間接關係,多注意硏究和發展了許多專論, 探討的範圍包括了政治,外交, 軍事, 經濟關係, 文化交流以及其衍生的種種問題. 這日篇論文主旨在於,要將韓國學界至今有關明淸時代對外關係史的大約850餘篇硏究論著進行檢討和展望未來硏究課題. 這篇論文大分爲三個章而成, 前兩個章分別前時代和近代來檢討了中外關係的硏究成果和中朝關係的硏究成果, 後一個章是, 筆者簡單地回顧了自從1960年代後半以來一直硏究中外交流史的個人硏究歷程. 首先, 有關縱 關係的硏究論者而言, 屬於前近代時期的論者大約100多篇, 而探討近代中外關係的論著則多達170餘篇. 有關前近代中外關係的大部分論著, 其焦點多集中於英國對中國的交涉之上, 此外還有主要透過基督敎的傳敎和傳敎士的活動事迹來探討了明淸時期中西文化交流和互相認識的問題, 主要問題可說是漢人知識分子對西學的認識, 基督敎的受容和反應, 中西思想的相見以及中國文化向西方的傳入. 又關於近代中外關係的硏究論著而言, 其硏究時段多集中於阿片戰爭時期, 洋務運動時期以及淸日戰爭時期, 來深入硏究了有關國際關係, 淸朝與西歐列强之間的外交政策, 各個範圍上的活動, 互相認識的問題, 以及引進西歐思想的問題, 例如宗敎問題. 近代中外關係的主要硏究特色可說是, 比文化方面更傾向於由政治, 國際關係派生出來的懸案問題. 此中有關文化方面的硏究觀心, 都集中於多姿多樣的反基督敎運動在中國現代化過程當中起了什마樣的作用, 此外還有一些探討西歐思想引進當中有關社會進化論的硏究, 又最受注意硏究的人物便是梁啓超一人. 其次, 關於中朝關係的硏究論著而言, 有關前近代時期的論著多達380餘篇, 主要是明朝與朝鮮之間的關係,後金和淸朝與朝鮮之間的關係, 探討了政治, 軍事, 經濟方面的中朝關係, 此中有關倭亂的兩國關係和長白山定界碑的論著特別多, 還有文化方面的硏究也占有一半. 値得注意的是, 大部分論著都將硏究焦點置之於從韓國觀點看中國的關係之上, 而站在中國立場看中國的關係之硏究却不多. 關於兩國文化交流而言, 此一時期中國認識朝鮮文化的水平比較低, 而中國文化影響朝鮮的程度亦到17,18世紀替之際以來生産了由盛而衰弱的局面. 又 進入近代時期以後, 中朝關係亦反映出來比較複雜的兩國關係, 其重點由從前的文化方面轉移到外交和通商狀況, 除此之外, 還有隨著朝鮮與西歐列强和日本的關係之進展而中國的介入干涉也更爲深入, 留下了豊年的硏究資料. 特別是有關19世紀後半時期以後的硏究, 大部分集中於淸朝對朝鮮的政策, 從朝鮮觀點看的朝鮮對淸朝的認識和政策以及朝鮮對外的危機認識. 又隨著朝鮮與西歐列强締結外交關係的進程而淸朝從中扮演了種種角色, 起了一些作用和結果, 有關這一方面的深入硏究累積了可觀的成果. 綜合而言, 有關兩國關係的硏究, 除了政治以外, 還擴大到經濟和文化方面, 生産了各個方面的硏究成 果. 其三, 筆者從進學硏究所以來一直主義硏究了, 西歐在中國所起的意義和中國對此認識如何, 到1987年將這些硏究結果整理和出版了傳書, 就是《東西文化交流史硏究-明淸時代西學受容》(漢城, 三英社), 此中除了韓中關係之外, 筆者還注意了中韓關係, 從這一觀點去硏究了從明末淸初到18世紀末的中韓關係. 當初在1960年代, 筆者爲了企圖突破那一些繼承朝鮮時期漢學傳統的從前硏究範圍去出發, 不僅選擇16世紀末, 17世紀前半時期發生的倭亂和胡亂, 又比政治或者經濟方面注意文化交流方面來開始硏究, 將這些硏究結果整理出來《明淸時代中韓關係史硏究》(漢城, 梨花女子大學出版部, 1997年). 近幾年以來, 筆者又在中國與韓國的關係史當中國注意於中國與韓國之間互相認識的觀點去硏究了, 18世紀淸朝對朝鮮的政策, 此一時期朝鮮人對中國的認識, 中國文獻所反映的有關朝鮮之認識, 燕行錄所記載的朝鮮知識분子有關18世紀中國的認識, 英國使行馬알爾尼來訪中國的報告, 以及有關朴趾源《熱河日記》(1780年)的比較分析, 都置重於文化方面. 最後, 據如上所述硏究成果來展開未來硏究課題而言, 韓國歷史學界內有關中國對外關係史的硏究者, 目前仍占有少數, 不僅如此, 有關硏究資料亦不多, 此後希望這兩個方面的改善. 又, 有關對外關係史的硏究, 也與其他方面的硏究一般, 奠基於史實考證之上才能升入其探討全般的議論階段, 目前從這一觀點來看, 韓國學界有關中國對外關係史的整個硏究, 將此從前那些從韓國觀點去硏究韓中關係史的硏究比較起來, 的確有持長期改善的積累. 如此改善當中, 韓國學界應當據中國與韓國之間關係的硏究成果去, 深入比較硏究中國餘其他國家或者其他民族之間的關係史, 才能達到最有理想的中國對外關係史硏究.

      • KCI등재

        북한 『조선력사』(상)(1963) 교과서의 대외관계사 서술 검토

        박찬흥(Park Chanheung) 백산학회 2021 白山學報 Vol.- No.119

        『조선력사』(상)(1963)에서 대외관계사와 관련된 서술은 약 40.8%를 차지하여 그 비중이매우 높다. 대외관계사 가운데 외적의 침입에 대항하는 반침략투쟁사 부분이 가장 많고, 대외무역과 문화적인 교류는 분량이 매우 적다. 고조선과 한나라의 전쟁, 고구려와 수나라‧당나라의 전쟁, 고려와 거란‧몽고와의 전쟁은 대외항쟁사로서 양적‧질적으로 매우 중요하게 서술되었고, ‘침략자인 한나라, 수나라‧당나라, 거란‧몽고’와 이에 대항하는 ‘고조선, 고구려, 고려의 애국적인 인민들의 투쟁’이라는 구도로 서술되었다. 고구려와 고려가 승리할 수 있었던원인으로는 ‘애국적인 인민들의 투쟁’과 ‘을지문덕, 연개소문, 양만춘, 강감찬 등의 활약’ 때문이라고 평가하였다. ‘애국주의’를 강조한 것은 역사교육을 위한 교과서로 편찬되었기 때문인 듯하다. 하지만, 지나치게 애국주의를 강조하는 과정에서 몽고에 항복한 고려에 대해서 오히려애국적인 고려 인민들의 투쟁으로 몽고를 물리쳤다고 반대로 서술하기도 했다. 대외무역에대한 서술은 대체로 간략히 기술하였다. 문화 부분에서는 외래문화의 영향은 의도적으로 감추고, 독창적인 요소를 강조하고 특히 일본 등에 끼친 영향에 의미를 부여하였다. 몇 가지 한계성에도 불구하고, 식민사학을 극복하고 대외항쟁을 강조하려 했던 당시 북한 역사학계의 현실을고려할 때, 한계보다는 긍정적인 측면이 더 많다고 평가할 수 있다. Descriptions related to external relations in 『The History of Joseon』 account for about 40.8%, and the proportion is very high. Among the foreign-affiliated history, the part related to the anti-aggression struggle against the invasion of external enemies is the most, and the amount of foreign trade and cultural exchange is relatively small. The war between Gojoseon and the Han Dynasty, the war between Goguryeo and the Sui Dynasty, the war between Goguryeo and Tang Dynasty, the war between Goryeo and Qiran, and the war between Goryeo Mongolia were described as very important quantitatively and qualitatively as a history of external struggle. These contents were described in the composition of “the patriotic people s struggle against the invaders”. It was assessed that the reasons why Goguryeo and Goryeo were able to defeat the invaders and triumph were “the struggle of the patriotic people” and “the activities of Eulji Mundeok, Yeongaesomun, Yang Manchun, and Kang Gamchan”. However, there is also an erroneous description that Goryeo, who surrendered to Mongolia by emphasizing patrioticism, defeated Mongolia by the struggle of the patriotic people of Goryeo. The description of foreign trade is generally small, and only the foreign trade of Baekje in the 6th century, Silla in the 9th century, and Goryeo is described briefly. In culture-related descriptions, the influence of foreign cultures was intentionally concealed, ingenious elements were emphasized, and meaning was given to the influences that influenced foreign countries such as Japan.

      • KCI등재

        ‘대외관계사’와 ‘국제관계사’의 경계에서-김진한, 『고구려 후기 대외관계사 연구』, 한국학중앙연구원출판부, 2020-

        권순홍 고조선단군학회 2021 고조선단군학 Vol.44 No.-

        This article aims at introducing the Research on the History of Foreign Relations in the Late Goguryeo Period (『고구려 후기 대외관계사 연구』) by Kim Jinhan and evaluating its place and meaning in the history of historiography. This book stipulates that the late Goguryeo period is from the reign of King Jangsu of 5th century to 668 when Goguryeo fell, and analyzes the international relations of East Asia during this period from the perspective of Goguryeo. The core argument of the book is that foreign relations are an extension of the domestic politics. Considering that the current research of international relations tends to criticize and overcome the Theory of an East Asian World started from Nishijima Sadao, the book also shares the trend in two aspects. The first is to broaden the perspective of international relations beyond East Asia, which was limited to the movement of the Hexi Corridor, to the Eurasian Steppe such as Rouran and Turks. The second aspect is that ancient East Asia is interpreted as a pluralistic world, rather than as a unitary order of domination and subjugation which is Chinese-centered. However, this article raises question whether the only alternative to the Theory of an East Asian World should be a return to national history. The book uses the narrative structure of national history started from Lee Ki-baik to classify the period and organize the table of contents. Furthermore, the relationship between Buyeo, Kitan, Shiwei, Wuji, Gaya, which are excluded from or classified as the periphery of the modern national history system of Korea, China, and Japan, is roughly summarized. This narrative is in line with the Theory of East Asian World in that it assumes a unitary relationship between the center and the periphery for systematic structure and otherizes the periphery. 이 글의 목표는 김진한의 『고구려 후기 대외관계사 연구』를 소개하고, 이 책의 사학사적 위치와 의미를 평가하는 것이다. 이 책은 5세기 장수왕대부터 668년 고구려가 멸망할 때까지를 고구려 후기로 규정하고, 이 기간의 동아시아 국제관계를 고구려 관점에서 분석하고 있다. 대외관계는 국내 정치의 연장선에 있다는 것이 책의 핵심 주장이다. 국제관계에 관한 최근의 연구경향이 니시지마 사다오 이래의 동아시아 세계론에 대한 비판과 극복에 있다는 점을 고려하면, 이 책 역시 두 가지 측면에서 이러한 흐름과 같은 맥락에 있다. 첫째, 하서회랑 이동으로 한정된 동아시아를 넘어 유연과 돌궐 등 유라시아 초원까지 국제관계의 시야를 넓혔다는 점이다. 둘째, 고대 동아시아를 중국 중심의 지배-복속이라는 일원적 질서로 보지 않고, 고구려 중심 등 다원적 세계로 해석했다는 점이다. 단, 동아시아 세계론의 대안이 다시 민족사/국가사로의 회귀일 수밖에 없는지는 의문이다. 이 책은 이기백 이래의 민족사/국가사 서사구조를 차용하여 시기 구분과 목차 구성을 했을 뿐만 아니라, 현대 한중일의 민족사 체계 밖에 있거나, 주변으로 분류된 부여, 거란, 실위, 물길, 가야 등과의 관계는 소략하게 다루었다. 이러한 민족사/국가사 서사는 그 구조의 체계성을 위해 중심과 주변이라는 일원적 관계를 상정하고, 주변을 타자화한다는 점에서동아시아 세계론과 다르지 않다.

      • KCI등재

        구로이타 가쓰미(黒板勝美)의 외교사・대외관계사에 대하여

        Teshima Takahiro 한국일본사상사학회 2016 일본사상 Vol.0 No.30

        본고는 구로이타 가쓰미(黒板勝美, 1874-1946)를 통하여 외교사・대외관계사라는 연구 분야가 근대 일본 국사학의 일부로 생성된 과정에 대하여 고찰한 것이다. 구로이타는 국사학의 틀을 완성한 주요 인물의 한 명으로 알려져 있는데, 그는 그 틀 안에서 외교사 분야를 정립하고 학문상의 의의를 부여한 인물로, 1913년 (주저인 『국사의 연구』재정판 간행 시점)까지는 '국사'가 '국토의 역사가 아니라 국민의 역사' 라는 생각을 정립시켰다. 즉, 일찍이 일본인이 해외에서 활약한 지역을 '국사의 범주'로 간주하였는데, 이에 관하여 논하는 연구야말로 외교사 안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는 연구라고 본 것이다. 또한 그는 1927년에 동남아시아에서 직접 사적(史蹟)・사료 조사를 하는 등 이 분야의 연구 활동에도 적극적으로 참여하였다. 본고에서는 특히 그의 베트남 호이안(Hoi An) 사적 조사에 주목했는데, 그는 이와 같은 현지 조사를 바탕으로 강연 기록・논문 등을 많이 발표하였다. 이를 통하여 단지 16-17세기에 일본인의 해외 활동에 대한 현창(顕彰)이 아니라 그들의 해외 진출이 활발할 수 있었던 조건과 한계점 등을 고찰하였다. 그리고 1920년대 전후 일본의 현실적인 과제(동남아시아에서의 경제적 발전 등)를 염두에 두고 그는 '일본의 대외 전개에는 국가적 후원이 반드시 필요하다'고 결론지었다. 즉 구로이타는 대외관계사의 국책으로서의 대외 정책에 기여하는 역할을 중시한 것이다. In this paper, we examine specifically the beginning and establishment of the field of study that deals with the history of Japan's external relations. Katsumi KUROITA(1874-1946), who made the framework of modern Japan's national history, also groped to define the field above under his framework. By 1913 when his major work "Kokushino Kenkyu" was revised, he had thought that national history was not the history of the land but the history of the people. Then he regarded foreign places where Japanese people expanded in the past as a territory of national history. Also he supposed that issues about activities of the Japanese overseas should be included in the field of study that deals with the history of Japan's external relations. In addition he prosecuted the study about Japan's foreign relationship actively. He visited Southeast Asia to explore historical sites and records in 1927 and published some papers about that. Through the study about them, he not only described Japanese merchants' activities in the 16th and 17th centuries but also deliberated on the limitation or weakness of them. As a result he was able to gain the conclusion that Japanese people went overseas successfully only under the support of the state. Based on the above, it could be said that he expected the field of study above to take a role of solving real problems in 1920s like Japan's economic advance in Southeast Asia.

      • KCI등재

        교과서의 고려시대 대외관계사 쟁점 연구

        金順子(Kim, Soon-Ja) 역사교육연구회 2017 역사교육 Vol.143 No.-

        This study aims to review the historiographic characteristics of the foreign relations of Goryeo period in the high school Korean History textbook used from 2014 and to suggest a new historiography. The current studies on the foreign relations of Goryeo period consist of three aspects: (1) investiture and tribute relation with Chinese dynasties ; (2) anti-invasion history ; (3) international exchange history. The proportions of (1), (2), and (3) in the current Korean History textbooks are 2.2~7.8%, 55.8~58.0%, and 36.4~39.8%, respectively. This results show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proportions of three aspects and indicate the nationalistic approach to foreign relation history in Goryeo period. This analysis recommends five historiographic approaches, as follow. First, Korean historians have been avoiding writing on (1), while emphasizing (2). Further writing is required to increase the proportion of (1) and to describe (1) as a diplomatic system. Second, current studies have excessively focused on anti-invasion history from Khitan Liao, Jurchen Jin and Mongol Yuan. Further textbook needs to be written on peace-period with Khitan Liao and Mongol Yuan and to refrain from regarding Jurchen as an enemy. Third, multi-states system and Goryeo’s emperorship structure should be stated more importantly. Forth, the writing on Goryeo-Ming relation during the late Goryeo is required. Lastly, Goryeo’s perception of foreign countries and tribes needs to be written more importantly and objectively, as a country’s diplomatic policy is based on its perception of external countries and tribes.

      • KCI등재

        동북공정 종료 후 중국학계의 고구려 ‘대외관계사’ 연구 동향

        이준성(Lee Jun-Sung) 한국고대학회 2017 先史와 古代 Vol.- No.53

        동북공정이 종료된 2007년 이후 중국 학계에서 제출된 고구려 ‘대외관계사’ 논문은 동북공정 기간 정리된 ‘번속체제’의 영향을 크게 받았다는 특징을 지닌다. 대다수의 연구는 고구려와 중국 왕조의 관계가 ‘일국관계’임을 전제로 진행된 것이다. 반면 조공책봉제도의 성격과 관련 하여 그것을 고대 동아시아의 지역질서로 파악하는 연구들도 일부 있다. 그러나 이 경우에도 동아시아 세계의 성립과 발전을 오직 漢化라는 입장으로만 설명하여, 중국 중심사관에서 벗어나지 못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었다. 한편, 돌궐이나 유연 등 북방민족과의 관계와 관련된 연구는 여전히 미흡하다는 점 역시 중국 학계의 인식이 여전히 중원왕조 중심의 관계 해명에 치중되어 있음을 방증한다. 이는 동아시아 세계가 중국 중심의 일원적 국제질서가 아닌 복수의 국제질서로 구성되어 있었다는 점을 시야에 넣지 못한 한계로 생각할 수 있다. The studies on Goguryeo’s ‘History of Foreign Relations’ submitted to the academic circles of China after 2007 when the Northeast Project of China ended show the characteristic that they are all greatly influenced by the ‘Fanshu Theory’ which was established during the Northeast Project period. Most studies were conducted based on the premise that the relations between Goguryeo and Chinese Dynasties were ‘One Country Relations.’ On the other hand, there are studies that see the characteristic of the Tributary Appointment System as the regional order of the ancient East Asia. However, such studies also explained the formation and development the East Asian world only based on the sinicization, failing to move away from the Sinocentric historical view. The fact that there are still not many studies about the relationship with northern races such as Gokturks or Rouran Khaganate also circumstantially evidence that the Chinese academic circles still focus on elucidating the relations centering on the Central Plains Dynasties. This can be attributed to the limit that Chinese academic circles have due to the exclusion of the idea that the East Asian world was under the influence of multiple international order not under the unitary international order centering on China in their vision.

      • KCI등재

        현대 대외관계사 및 북한사 연구성과와 과제

        조수룡 한국근현대사학회 2022 한국 근현대사 연구 Vol.100 No.-

        This paper reviews the studies on the history of foreign relations and the history of North Korea among the articles in the field of contemporary history published in Journal of Korean Modern and Contemporary History . It dealt with the studies on the history of contemporary foreign relations were divided into Korea-US relations, Korea-Japan relations, Korea-China relations, and the issue of the return and not returned of Koreans abroad. Although there are not many studies on Korean contemporary history published in JKMCH , issue of the return and non-return of Koreans after liberation has greatly contributed to the development of related research. Also, in Korea-U.S. relations, studies on American propaganda policies and studies abroad in the U.S., studies on Japanese historical perception and the situation of Zainichi Koreans in Korea-Japan relations, and studies on the formation and change of Yanbian Korean society in Korea-China relations, etc. made an important contribution. In the field of North Korean history, studies that approached social history and everyday life history as well as historiography draw attention. 이 글은 ≪한국근현대사연구≫ 1~ 99집에 게재된 현대사 분야 논문 중 대외관계사 및 북한사를 다룬 연구성과를 검토하였다. 현대 대외관계사에 관한 연구성과를 한미 관계, 한일 관계, 한중 관계 그리고 해외 한인의 귀환과 미귀환문제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또한 남한과의 특수한 관계를 감안하여 북한사 연구성과를 함께 다루었다. ≪한국근현대사연구≫에 게재된 한국 현대사 분야 연구성과의 양적 비중은 크지 않으나, 해방후 한인의 귀환 및 미귀환 연구 등은관련 연구의 심화에 크게 기여하였다. 한미 관계에서는 미국의 대한 선전정책과도미 유학 등을 주제로 한 연구, 한일 관계에서는 일본의 역사 인식과 재일조선인의 처지를 다룬 연구, 한중 관계에서는 연변 조선인 사회의 형성과 변천에 관한 연구 등이 중요한 기여를 하였다. 북한사 분야에서도 사학사를 비롯하

      • KCI등재

        개항기 대외관계사 연구 현황(2000~2021)과 과제

        한승훈 고려대학교 역사연구소 2022 사총 Vol.107 No.-

        This article started with the purpose of seeking out the research history and prospects of foreign relations during the recent port opening period. Academia has defined the “period of port opening” as an era in which Korea can transform into a Western-style modern society and aggression and response from foreign powers. Among them, the study of foreign relations during the port opening period was mainly in charge of 'aggression'. In the process, foreign powers were assumed as an absolute strong force, and Korea was portrayed as an immature entity learning Western-style modernity. However, around 2000, a new trend appeared in the study of the history of foreign relations during the port opening period. Specifically, a study that highlights Gojong's diplomacy as the supreme decision maker of foreign policy, a study that attempts a critical analysis of the "orthodox" in the history of foreign relations during the port opening period, and a study that examines the relationship between Korea and foreign powers as a historical entity and Korea's existence as an actor research was carried out. 이 글은 최근 개항기 대외관계사의 연구사 정리와 전망을 모색하는 목 적에서 출발하였다. 학계에서는 “개항기”를 한국이 서구식 근대사회로의 전환 가능성과 외세의 침략과 이에 대응한 시대로 규정해왔다. 그 중에 서도 특히 개항기 대외관계 연구는 주로 ‘침략’을 담당하였다. 그 과정에 서 외세를 절대적인 강자로 상정하였으며, 한국은 서구식 근대를 배워가 는 미숙한 존재로 그려냈다. 하지만 2000년을 전후로 개항기 대외관계사 연구에 새로운 경향이 나타났다. 구체적으로는 외교정책의 최고 결정권 자로서 고종의 외교를 부각하는 연구, 개항기 대외관계사의 “통설”에 대 한 비판적 분석을 시도한 연구, 역사적 실체로서 한국과 외세의 관련성 및 행위주체로서 한국의 존재를 규명하는 연구가 진행되었다.

      • KCI등재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고등학교 한국사 교과서(2014.3 적용)〈고려 귀족 사회의 형성과 변천〉 영역 분석

        李美智(LEE, Miji),吳致勳(OH, Chi Hoon) 한국사학회 2014 史學硏究 Vol.- No.115

        이 글은 2014년 3월부터 고등학교 1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적용된 8종의 고등학교 한국사 교과서의 고려시대사 서술을 분석한 글이다. 고려시대사는 교육과정의 영역 구분에 따르면 〈고려 귀족 사회의 형성과 변천〉에 해당되는데, 이는 교과서 목차 상 두 번째 대단원으로 구성되어 있다.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사회과 교육과정은 고등학교 한국사 교과의 내용을 사회ㆍ경제사, 사상사 및 대외관계사를 중심으로 구성하도록하고 있다. 본고에서는 현 교과서의 목차 구성을 준용하여 대외관계사와 경제사, 사회사ㆍ사상사ㆍ문화사를 중심으로 각 교과서 상 고려시대사 서술과 구성의 장ㆍ단점을 분석하였다. 대외관계 부분에서는 세계사와의 연관 속에서 한국사를 이해하도록 설정한 교육과정 상의 교과 목표에 따라 다양한 학습 보조 자료가 제시되었으며 새로운 설명 방식이 시도되기도 하였다. 다만 송 중심의 외교 관계 서술이 여전히 두드러진다는 점과 전쟁사 위주의 거란관계사 서술, 금과의 사대 관계 평가 문제, ‘여원연합군’ 용어 문제, 10~12세기 동아시아외교 관계 개념도 등은 반복적으로 나타나는 문제점이었다. 경제사 분야에서는 8종 교과서의 목차 구성과 서술 방식이 상당히 유사하게 나타났는데 그러면서도 서술형 소제목을 택한다던가, 대외 무역에 관한 내용을 경제사의 소단원으로 구성한다든지, 혹은 신분제도와 사회모순을 함께 구성하는 등 획일적인 구성에서 벗어나 교과서를 실제로 사용하는 학습자와 교수자의 편의를 배려하려는 시도가 나타나기도 했다. 문화사 영역과 관련하여서는 교육과정과 집필기준에서 ‘교류’의 의미를 지나치게 제한적으로 규정한데서 연유한 구성 상의 문제점을 집중적으로 살펴보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여러 한국사 교과서에서 교류의 여러 측면을 생생하게 보여주는 다양한 사례와 서술 방식을 시도하였다는 점에서 교과서 검정 제도의 긍정적인 기능이 확인되었다고 생각된다. New textbooks for Korean History from eight different publishers have been released to the first year students of high school as of March 2014. The new textbooks were technically re-written in conformity with the Proclamation of the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and the Annex 7 (Social Studies Curriculum) #2009-41 (Feb. 26, 2008) and have been authorized by the National Institute of Korean History in 2013 who has been delegated of pertinent authority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This article is an outcome of a project to analyze how the new school curriculum has been implemented in the new Korean History textbooks and, as a result, how it affected the narrative of the textbooks mainly in the sections of the diplomatic relations, the economic affairs, and the socio-cultural domain of history of the Koryo dynasty. Even though several mistakes and minor errors survived through the former revisions accompanied by the revisions of the school curriculum, it is certain that the new textbooks generally proved many positive potentials of the textbook authorization system in several areas: diverse learner-centered learning materials, various approaches to different historical interpretations, high-quality visual materials, and user/ reader-oriented editing techniques. In addition, in order to make this analysis useful also in the area of the study of teaching, the authors introduced better examples of presentation among the eight textbooks; in some cases, rough directions of supplementation were also suggested.

      • KCI등재

        일반논문 : 1930년대 문일평의 "문화민족주의"사학의 시대사상: 대외관계사를 중심으로

        안종철 ( Jong Chol An ) 한국사상사학회 2010 韓國思想史學 Vol.0 No.36

        이 글은 근대 민족주의 내지 `문화민족주의` 사학의 대표적인 인물인 호암 문일평의 업적과 대외관계사를 다루었다. 이 글이 새롭게 주목한 지점은 다음의 몇 가지로 정리할 수 있다. 첫째, 호암 문일평은 개화기 기독교가 강했던 서북의 국경관문 의주출생으로 생애 초기에 미국 유학을 시도 했지만 여의치않자 그 대안으로 일본에 유학한 인물이다. 이것은 그가 초기에 한국민족주의와 더불어 근대서구문명에 노출되었음을 보여준다. 둘째, 그는 20대 초반에 일본과 중국에서 20세기 초 한국에서 활동한 박은식, 신채호, 정인보, 홍명희 등 민족주의자들과 교류하게 되었다. 그것은 그가 서구문명과는 달리 한국문화에 관심을 기울이게 된 배경이 되었다. 셋째, 호암은 다른 일본의 식민사학자나 이들과 대결한 한국인 민족주의 역사학자와는 달리 한국민족의 기원이라든가 고대 한일관계내지는 조선후기 `실학`문제에 그다지 집중하지 않았다. 흥미롭게도 그는 고려 중엽 이후부터 조선시대를, 정치적으로 문제점이 있었지만 `문화`의 관점에서 역사의 진보가 있었다고 보았다. 넷째 그는 대외관계사에서 한국과 다른 지역과의 교류, 예를 들면 유학생, 문물교류 등에 주목했다. 다섯째로 그의 연구는 식민지시기에 매우 드물게도 개항기 이래의 한국의 대외관계, 특히 한미관계를 다루었다. 그리고 선교사, 한인교민, 그리고 유학생 등이 한국의 발전에 미치는 영향 등에 초점을 맞추었다. 그는 이러한 대외교섭이 `문화`의 형태로 한국사회를 변화, 발전시킬 가능성에 주목했다. 이러한 문일평의 `문화민족주의`사학은 한국사를 외부와 끊임없이 교류해온 발전의 역사로 상정했다는 점에서 시대적 의의가 있다. This article deals with Hoam (penname) Mun Il-Pyong`s life and works. Mun was one of the distinguished modern nationalists in the realm of "Cultural Nationalism." New Points that this article focus on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ly, Mun was born in Uiju, northwestern border town in Korea where Christianity was strong. He tried to study abroad just after the outbreak of the Russo-Japanese War. However, he failed and instead went to Japan for study. This shows that he was exposed to western civilization as well as Korean nationalism. Secondly, while staying in Japan and China in his twenties, he met several prominent Korean nationalists such as Hong Myong-hui, Park Un-sik, Chong In-bo, and Sin Chae-ho etc. This contact seems to make him lean toward Korean Studies rather than western culture. Thirdly, Mun did not focus on the origins of the Korean nation or ancient Korean-Japanese relations as Japanese colonial scholars and Korean counterparts did. Rather, he argued that while there were political problems since mid-Koryo up to the Choson dynasty, Korean society did show progress in term of culture. Fourth, he paid attention to Korean foreign relations such as Korean study abroad students and cultural exchanges etc. Fifthly, Mun focused on Korean-American relations as a part of modern foreign relations since the enlightenment period. Specifically, he dealt with American missionary, Korean emigrants, and Korean study abroad students etc. As important factors for Korean progress and cultural transformation, Mun considered these encounters to be very critical. It is meaningful that Mun`s cultural nationalistic works put Korean history as a developing one with incessant encounter with outer worl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