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대상관계이론에 입각한 상담적 관점에 대한 연구

        추정선 부산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4 논문집 Vol.6 No.-

        본 연구는 심리 사회적 관점의 발달과 함께 관심의 대상이 되고 있는 대상관계이론을 소개하고 이 이론이 상담에 어떻게 적용될 수 있는지를 탐색한 것이다. 대상관계 이론은 개인 문제에 대한 탐색을 중심으로 하는 프로이드 이후 정신분석학에서 발전한 이론으로서 (a) 대상관계이론의 기본적인 전제는 초기 양육자와의 관계형성이 개인의 개인내적 관계와 대인간 관계에 결정적 영향을 끼친다고 본다는 점, (b) 생후 3년동안 아동과 어머니와의 상호작용이 중요하며 어린 시절에 형성된 대상관계가 개인의 대인관계 패턴을 결정한다는 점, (c) 대상관계이론에서 말하는 대상이란 단순히 다른 사람, 또는 그에 대한 경험이나 기억을 일컫는 것이 아니고 자아 정신구조의 하나인 내부 대상으로 본다는 점, (d) 대상관계는 개인이 현재에 가지고 있는 사람들과의 상호작용을 형성하는 대인관계로 설명하고 있다. 인간 관계성을 소중히 여기는 우리 한국문화권에서는 대상관계이론이 계속 관심의 대상이 될것이므로 상담의 적용점으로 검토해보는 것은 가치있는 일일 것이다. 본 고 에서는 대상관계이론의 주요 전제 및 기본개념, 주요기법, 그리고 이론에 입각한 상담적 적용들을 간략하게 제시하였다. This research is to introduce the object relation's theory recently interested in, along with the development of psychological sociological point of view, and to examine how this theory can be applied to counseling. The object relation theory, developed from Freud's psychoanalysis, shows that interaction between children and mother during the first three years is important, and that an object relation formed in childhood determines the pattern of individual relation to others. Since object relation theory would continuously be our interest in our Korean culture where people consider human relation as crucial, it would be valuable to go through as one of options of applications in counseling. This thesis shortly presents main basic concepts of the object relation theory, its main methods, and counseling applications based on this theory.

      • KCI등재

        대상관계이론에 근거한 바느질 미술의 치유성

        정영인 한국예술심리치료학회 2015 예술심리치료연구 Vol.11 No.1

        본 연구는 대상관계이론의 관점에서 바느질을 활용한 미술의 치유성을 규명하고, 미술치료 매체로서 바느질의 가능성을 제안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 대상은 페미니즘 작가 Louise Bourgeois, Faith Ringgold, Tracey Emin이며, 문헌을 중심으로 연구되어졌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Bourgeois의 바느질 작품을 ‘부분대상 part object’의 관점으로 볼 때, 어머니에 대한 연민의 감정과 아버지에 대한 분노를 ‘좋은 대상’과 ‘나쁜 대상’으로 전환시켜 치유해 나갔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Ringgold의 작품을 ‘내적대상 internal object’의 근거로 봤을 때, ‘충분히 좋은 어머니 good enough mother’라는 긍정적인 ‘투사적 동일시 projective identification’로 회복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Emin의 작품은 ‘중간대상 transitional object’의 관점에서 어머니의 부재를 ‘안아주는 환경 the holding environment’으로 대체하여 승화시켜나갔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이들의 바느질 작업은 대상관계이론의 관점에서 볼 때 어머니를 떠올리게 하는 매개체로, 자신의 정신적 외상과 결부되어진 어머니와의 관계에서 그 치유적인 요인을 찾을 수 있었다. 또한 바느질 특성인 반복, 해체와 결합, 섬유의 부드러움이 치유적인 요인으로 작용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토대로 향후 바느질을 활용한 체계적인 미술치료 연구의 필요성을 제시하고, 바느질의 치유성을 확장시켜 나가야함을 알리는데 있다. This research aimed to define healing properties of the art, from the perspective of object relations theory, suggesting possibility of needlework as a healing tool. My research focused on the literatures of 3 feminist artists: Louise Bourgeois, Faith Ringgold, and Tracy Emin. The findings of the research are as follows: Bourgeois viewed ‘part object’ in her needlework and attempted to heal by transforming her feelings of pity towards her mother and feelings of hatred towards her father using ‘good object’ and ‘bad object’ in her art works. Also, noticing Ringgold’s needlework using ‘internal object’, she went through healing process by experiencing positive ‘projective identification’ as in ‘good enough mother’. Lastly, Emin’s needlework expressed the absence of mother as in ‘the holding environment’ from the perspective of ‘transitional object’. As mentioned several times, needleworks, viewed as in object relations theory, allowed them to envision mother as a medium, acknowledging their psychological trauma in their relationship with mother were being restored as a healing tool Furthermore, needlework applied its intention of repetition, decomposition, composition, and texture of soft fabrics implying healing properties. Thus,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highlight the needs of future follow-up studies in art therapy using needlework systemically, and to possibly expand its healing properties as well.

      • KCI등재

        기독교 상담에서 대상관계이론 적용에 대한 고찰 : Fairbairn의 대상관계이론과 Hoekema의 개혁주의 인간론을 중심으로

        박안나 한국복음주의상담학회 2019 복음과 상담 Vol.27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the proper use of the Object-Relations Theory for Christian counseling. In order to achieve this goal, this article reexamined Fairbairn's Object-Relation theory in the biblical perspective. As a result of comparison of Fairbairn's theory and 'Created in God's image', a book on biblical humanity written by Hoekema, Reformed theologian, there was a remarkable differences in many aspects. The theory explains that human being desire the relationship and consider mom as a crucial object to divide the self. Therefore the goal of the counseling is to integrate the self. The theory emphasizes therapeutic relationships. However, the Bible regards the mind as the decision maker to satisfy oneself and the dependence on the Holy Spirit is the unit of measure of maturity. The purpose of biblical counseling is the self-denial. In conclusion, there is a serious and critical limitation in using this theory in Christian counseling as a framework of problem analysis because both the theory and the Bible are in opposition to the goal of counseling, despite the commonality of human beings as a relationship-centered entity. Based on these findings, this study suggested that Christian counselors should identify the motive for self-integration and use the theory to strengthen therapeutic-relationships with incarnate attitudes. 본 연구의 목적은 대상관계이론 중 Fairbairn의 이론을 성경적 관점에서 재조명하여 기독교 상담 현장에서 대상관계이론의 올바른 활용에 대해 제언하는 것이다. 대상관계이론을 성경의 충분성에 근거하여 논리적으로 고찰한 것이 본 연구의 의의이다. 이를 위해 Fairbairn의 대상관계이론을 성경의 인간관을 충실히 기술한 Hoekema의 개혁주의 인간론을 중심으로 동기, 결정, 발달, 정신 병리 및 상담 측면에서 비교하였다. Fairbairn은 인간을 관계를 추구하는 존재로 보았고, 어머니를 결정적 대상으로, 성숙은 대상에 대한 의존으로 보아 상담의 목적을 자아의 통합에 두고 상담자를 통한 좋은 경험을 치료 방법으로 제안하였다. 그러나 성경은 인간을 자기의 욕구를 추구하는 존재로 보고 죄된 자기가 결정 주체라고 말하고 있으며, 성숙은 하나님에 대한 의존으로 보아 죄로 물든 자기 욕구의 부인을 상담의 목적으로 하며 상담자의 믿음과 성육신적 희생 자세를 요구한다. 기독교 상담에서 대상관계이론을 문제의 틀로 활용할 때에는 자아 통합의 동기를 고려해야 자기 욕구를 채우는 수단이 되지 않으며, 치료 관계를 중요시하되 내담자가 느끼기에 좋은 관계를 넘어, 사랑과 진리에 기반한 성육신적 자세로 영적인 안정감을 주는 상담을 해야 한다고 제언한다.

      • KCI등재

        대상관계이론에서 본 관계중독과 회복에 대한 사례연구: Fairbairn과 Winnicott 이론을 중심으로

        신수정(Sujeong Shin) 한국기독교상담심리학회 2023 한국기독교상담학회지 Vol.34 No.3

        본 연구의 목적은 최근 우리 사회에서 큰 주목을 받는 ‘관계중독’을 대상관계이론의 관점에서 고찰하여 관계중독으로 고통받는 내담자들을 심층적으로 이해하고 회복을 도모하기 위한 이론적 토대를 제공하는 것이다. 대상관계이론은 인간의 생애 초기 관계 경험이 개인의 내적, 외적 관계에 핵심적 역할을 미친다고 보는데 이중 Fairbairn과 Winnicott은 인간 행동의 동기가 다른 대상과 관계 맺기를 갈망하는 것에서 비롯된다고 주장한 관계 모델 이론가로서 양육자와의 관계 및 환경의 중요성을 강조했다는 공통점이 있다. 본 연구는 전반부에서는 문헌연구를 통해 Fairbairn과 Winnicott 이론을 중심으로 관계중독 및 회복의 내용을 살펴보고 두 이론가의 주요 개념을 비교함으로써 대상관계이론의 관점에서 관계중독을 심층적으로 이해하고자 시도하였다. 후반부에서는 30대 남성의 상담사례에서 관계중독의 양상이 드러나는 방식 및 회복과정을 사례연구 방법론을 통해 살펴보고 오늘날 상담 현장에서 점차 증가하고 있는 관계중독 내담자들을 심층적으로 이해하여 최선의 상담을 제공하는 데 기여하고자 하였다. 마지막으로 관계중독에 관한 다양한 후속 연구들이 진행되기를 기대하면서 연구의 제한점과 의의 및 제언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examines ‘relationship addiction’, which has recently received a great deal of attention in our society, from the perspective of object-relations theory to provide in-depth understanding of clients suffering from relationship addiction. Object-relations theory believes that early human relationship experiences play a key role in an individual’s internal and external relationships. Fairbairn and Winnicott have in common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relationships with caregivers and argued that the motivation for human behavior stems from longing to relate to other objects. Therefore this study attempted to understand 'relationship addiction' in depth through the perspective of object-relations theory, focusing on Fairbairn and Winnicott theory, and comparing the main concepts of the two theorists'. In addition, through the counseling case of a client, this study tried to contribute to a deeper understanding of relationship addiction client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mplications, limitations, and future research are discussed.

      • KCI등재

        대상관계이론의 상담적 적용에 대한 고찰

        김진숙(Jin Sook Kim) 한국상담학회 2001 상담학연구 Vol.2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최근 국내에서 높은 관심의 대상이 되고 있지만 상담연구자와 실무자들에게 잘 소개되어 있지 않은 대상관계이론을 소개하고, 이 이론이 상담에 어떻게 적용될 수 있는지를 고찰하는 것이다. 대상관계이론은 프로이드 이후 정신분석학 테두리 안에서 발전한 이론으로 고전적 정신분석이론을 보완하는 이론으로 인정받고 있다. 심각한 정신장애를 치료하는 개인치료접근법으로 시작하였으나, 점차 그 적용의 범위를 넓혀나가고 있다. 유아의 초기관계경험이 성격발달과 자아형성에 미치는 영향을 강조하고 상담자-내담자 관계를 치유적 매체로 활용하는 접근이라는 점에서 전통적으로 관계성을 강조하는 한국 문학권에서 그 활용의 정도가 클 것으로 기대된다. 이 글에서는 대상관계이론의 발달배경과 주요 개념 및 치료기법들을 중심으로 이론을 소개하였고, 대상관계이론의 상담적 적용을 내담자 문제와 역동에 대한 심층적 이해와 상담관계의 치료적 활용이라는 두 가지 측면에서 논의하였다. 또한 이 이론의 상담적 적용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 실제 상담사례를 제시하고 적용의 제한점도 살펴보았다.

      • KCI우수등재

        대상관계 이론과 유식학에 나타난 주체와 객체에 대한 고찰 - 분리․개별화와 유식 30송을 중심으로 -

        박지현(Park, Ji Hyun),최태산(Choi, Tae San) 불교학연구회 2015 불교학연구 Vol.43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between Yogācāra Buddhism and object relations theory on concepts related to the subject and object, and to clarify how Yogācāra Buddhism and object relations theory are similar or different in viewing human existence. The concepts of self, object, representation, and developmental theory of object relations are examined in the area of object relations theory. In Yogācāra Buddhism, we examine no-self, the theory of three natures, and the four wisdom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Yogācāra Buddhism and object relations theory share commonalities in that human beings perceive representations of subject and object. They differ in accepting whether the subject and object have unique and eternal natures or not. Second, according to object relations theory, mental health depends on objective and comprehensive perception. But Yogācāra Buddhism mentions that human beings suffer from the way of perceiving, i.e. from subject-object discrimination. Third, the fundamental purpose of object relations theory is to acquire individuality and object constancy, and that of Yogācāra Buddhism is to realize wisdom.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o show a partial answer for the inevitable questions about human existence in integrating western counseling theories and eastern wisdom by comparing the monism of Yogācāra Buddhism and the dualism of object relations theory. 본 연구는 서양의 대상관계이론과 동양의 유식학에서 주체와 객체에 대한 내용을 중심으로 고찰하고 두 이론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비교함으로써 각 이론이 인간존재에 대해 어떠한 관점을 취하는지 밝히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대상관계이론에서는 자기(self), 대상(object) 및 표상의 개념과 마거릿 말러(Margaret S. Mahler)의 분리․개별화 이론을 살펴보았다. 유식학에서는 유식 30송의 내용을 살펴보았다. 이에 대한 결론은 첫째, 두 이론은 인간이 인식하는 대상은 ‘표상’이라는 점에서 일치하지만 주체와 객체의 개별적 실체성을 인정하는가의 여부에 있어 서로 다르다. 둘째, 존재의 실체성에 대한 두 이론의 차이는 정서적인 괴로움과 같은 심리적 문제의 원인과 심리적으로 건강한 상태에 대한 견해의 차이로 이어진다. 셋째, 존재 즉 자아의 실체성을 인정하는 대상관계이론과 자아의 실체성을 인정하지 않는 유식학의 근본적인 차이는 이상적인 인간의 상태에 이르기 위해 자아를 강화시켜야 할 것인지 버려야 할 것인지의 차이로 귀결된다. 넷째, 대상관계이론과 유식학이 서로를 보완해 줄 수 있는 영역에 대해 비교하면, 대상관계이론의 발달이론과 유식학의 지혜를 들 수 있다. 본 연구는 대상관계이론과 유식학의 근본적인 차이점인 이원론적 관점과 일원론적 관점의 차이를 통해 향후 동양과 서양의 마음의 치유에 관한 이론을 통합하는데 있어 피할 수 없는 물음인 주체로 인식되는 ‘나’와 객체로 인식되는 ‘너’를 어떻게 이해할 것인가에 대한 부분적인 탐색을 시도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 KCI등재

        정신분석 이론과 종교이해에 대한 신학적 고찰 프로이트와 대상관계 이론을 중심으로

        윤철호 ( Chul Ho Youn ) 한국조직신학회 2013 한국조직신학논총 Vol.35 No.-

        이 글은 정신분석과 신학 사이의 상이성 안의 유사성과 공명의 가능성을 발견하고, 정신분석 이론과 종교이해에 함축된 신학적, 구원론적 의미를 밝혀보기 위한 하나의 간학문적 연구이다. 정신분석은 프로이트에 의해 창시된 정신의학으로서, 오늘날에는 정통 프로이트 학파와 후기 프로이트 정신분석 이론인 대상관계 이론이 공존하고 있다. 그러나 하나의 통일된 대상관계 학파가 확립되어 있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대상관계 이론들이 존재한다. 이 글에서는 프로이트와 몇몇 대표적인 대상관계 이론가들의 정신분석 이론과 종교 이해를 비교, 고찰하고 특히 치료적 전이에 나타나는 신학적, 구원론적 함의를 규명하고자 한다. 먼저 프로이트의 정신분석 이론과 대상관계 분석가들의 정신분석 이론을 차례로 고찰하고, 그 후에 이들의 종교 이해를 고찰한다. 그리고 치료적 전이와 종교적 역동, 정신분석 치료를 통한 자기의 변화와 하나님 이미지(관계)의 변화 사이의 유사성을 대상관계 이론과 임상사례를 통해 고찰한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정신분석 이론과 임상사례를 통해 나타난 주요 내용들, 즉 정신분석의 인간 이해, 전이 투사로서의 하나님 이해, 치료적 전이와 하나님 이미지 또는 하나님 관계 이해의 유사성, 공감적 이해를 통한 분석치료 등의 신학적 의미에 대하여 고찰한다. 이 글의 결론은 십자가에 나타난 하나님의‘함께 고통당하는 공감적 사랑’에 의한‘즐거운 교환’에 궁극적인 인간의 치료적 전이와 구원의 길이 있다는 것이다. This writing is an interdisciplinary study which intends to find the similarity in dissimilarity and the possibility of resonance between psychoanalysis and theology and finds the theological significance implied in the theory of psychoanalysis and its understanding of religion. Psychoanalysis is the mental medicine originated by Sigmund Freud. Today, the orthodox Freudian school and the post- Freudian object relation theories coexist. There is, however, no one uniformed object relation school but are diverse forms of object relation theories. In this study I, focusing on Freud and several representative object relation theorist, intend to investigate psychoanalytic theories and their understanding of religion and especially to figure out the theological and soteriological implication found in the therapeutic transference. First, I enquire into Freud`s psychoanalytic theory and object relation theorists` psychoanalytic theories, and then their understandings of religion in order. Next, I explore the parallel between the therapeutic transference and the religious dynamic, the transformation of self through psychoanalytic treatment and the change of God`s image or God relation by means of the object relation theory and clinical cases. And finally, I investigate into the theological significances of the core contents manifested through the psychoanalytic theory and clinical cases, that is, the understanding of human beings in psychoanalysis, the understanding of God as transferential projection, the parallel between therapeutic transference and God`s image or God relation, and psychoanalytic therapy through empathic understanding. The conclusion of this writing is that the ultimate way towards the therapeutic transference and salvation of human beings is in the “happy exchange” engendered by the “com-p a s s i o n a t e-e m p h a t i c love of God” as manifested in the cross.

      • 해군 리더십교육 장면에서의 교류분석과 대상관계이론 적용 방안

        김의진 한국교류분석학회 2008 교류분석과 심리사회치료 연구 Vol.5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성격관련 리더십교육의 발전 방향으로 대상관계이론 적용 방안을 모색하는 것이다. 현재 해군 충무공 리더십센터는 교류분석(Transactional Analysis)이론을 도입, 성격관련 리더십 교육의 이론적 배경중 하나로 활용하고 있다. 이번 연구에서는 현재의 성격관련 리더십교육을 토대로 보다 심화된 성격 교육 과정을 마련하기 위해 대상관계이론의 주요 내용을 근거로 성격관련 심화 교육 과정 개발과 활용 방안을 검토해 보았다. 이를 위한 이론적 배경으로 유아기 성격발달과정 및 성격장애행동 유형 등에 대한 임상적인 이론 근거를 제시하고 있는 대상관계이론의 주요 내용을 소개 했다. 이어서 현 성격관련 리더십 교육에 대상관계이론을 적용해야 하는 방안의 필요성과 근거를 제시했으며, 이를 바탕으로 대상관계이론을 적용한 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대략적 개념과 교육 내용을 정리하고 이에 따른 기대효과를 검토해 보았다 본 연구를 통해 제시된 심화학습 교육 프로그램 모델 즉, 교류분석을 중심으로 한 1단계 교육과 대상관계이론을 중심으로 한 2단계 교육이라는 단계별 성격 교육은 해군의 리더십 교육 수준을 한 단계 높이는 방안이 될 것이다.

      • KCI등재

        한강의 「채식주의자」 부부 관계 분석 : 대상관계이론을 중심으로

        최지원(Ji-Won Choi) 한국콘텐츠학회 2020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20 No.12

        본 연구의 목적은 한강의 소설 「채식주의자」에 등장하는 인물의 심리 역동과 체계 속에서의 관계 패턴을 위니컷의 대상관계이론을 적용하여 분석하고자 한다. ‘채식주의자’는 이미 다양한 각도로 분석되고 재해석된 바 있으나 대상관계이론을 적용하여 살펴본다면 가족 체계 안에서의 인물 심리 분석과 부부 관계 역동, 세대 간에 걸친 필연적 역사를 이해할 수 있다. 먼저 채식주의자 인물의 대사 속에서 표현되는 각 인물의 성격과 심리역동을 탐색하고 대상관계이론과 개념으로 부부관계를 분석할 것이다. 실제 임상 사례가 아닌 소설 속 인물을 이론에 근거하여 심리 분석 및 탐색하는 과정은 추후 임상 장면에서 상담자가 내담자들의 삶의 스토리를 재해석하는데 근거 자료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더불어 실제 사례만이 아니라 예술을 활용하여 인물 및 관계 분석을 함으로써 윤리적이고 실천적인 임상 교육을 실현할 수 있을 것이다. 문화적으로 다양한 인물분석을 통한 의미 탐색이 누적될 때 임상 실천의 장 또한 함께 확장된다고 제언하고자 한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analyze the psychological dynamics of the characters in the novel vegetarian of the Han Gang and the relationship patterns in the system by applying object relation theory. Vegetarianism has already been analyzed and reinterpreted in various angles, but if you look at it from the object relationship theory and the systematic perspective, you can understand the inevitable history of the generation through psychological analysis and relation dynamics of the person. First, we will analyze the psychological dynamics of the characters by analyzing the meanings and exploring the meaning with the object relation theory and concept. The psychological analysis and the search process of the characters based on the theory are enough evidence for the counselor to reinterpret the life story of the client in the future clinical scene. In addition, in order to realize ethical but practical clinical education, the field of clinical practice will be extended when analyzing the characters using art. It is suggested that the meaning search through various character analysis needs to be accumulated culturally.

      • 공격성의 발현 및 통합에 대한 대상관계이론의 설명

        임은미(Eunmi Lim),권애경(Aekyung Kwon) 전북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2010 교육문제연구 Vol.15 No.1

        이 연구는 청소년 비행의 핵심기제인, 공격성이 어떻게 발현되는가, 공격성이 적절히 통합되지 않는 경우 삶에 어떤 영향을 끼치는가, 공격성이 적절히 통합되기 위해 어떤 환경이 제공되어야 하는가에 대한 대상관계이론(Object Relations Theory)의 설명을 제시한다. 대상관계이론은 고전적정신분석학에서 발전되었으며, 인간행동의 발현과정을 태아기부터 설명하려는 시도를 통해 문제의 근원을 심도 있게 이해하는데 도움을 주는 정신분석학으로 각광받고 있다. 이런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본 연구는 공격성에 대한 대상관계이론가들의 견해를 기술하고, 현대정신분석에서 가장 혁신적 이론가인 Winnicott의 광의의 공격성(삶의 본능)과 좁은 의미의 의도되지 않은 공격성(파괴본능)을 검토하였다. 공격성통합의 실패는 인격분열과 발달왜곡을 초래하며, 그 주요한 증상들은 거짓자기(인격)형성과 반사회적 행동들로 나타난다. 대상관계이론에 따르면, 이유 없는 파괴본능으로부터 견뎌내고 살아남도록 하기 위한 안아주기, 반영해주기, 전능환상충족, 현실감각 발달, 대상제공, 대상사용 및 놀이하기가 제공되는 촉진적 양육환경이 공격성을 통합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다. 인격 안에서의 공격성의 통합은 참자기의 삶으로 나아가게 만들어준다. 이 연구는 치료자들이 우울증과 거짓자기 인격을 드러내는 병리적 공격성과 관련된 내담자들을 치료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더불어, 청소년 비행과 관련하여 본 연구는 치료자들로 하여금 내담자들의 공격적인 행동들을 이해하고, 공격성을 통합하여 건설적인 삶을 살도록 돕는데 있어 어떤 방법을 어떻게 적용할 것인지를 보여준다. This study is to explain on the revelation and integration of aggression and provide counselors with the way to help the clients integrate their aggression successfully. To achieve this purposes, this study explored the definition of aggression, the revelation and effects of aggression, and the ways of integrating aggression into personality. Finally, this study discussed the counselors’ roles to help clients overcome destructive instincts and integrate their aggression. According to the Object Relations Theorists, the failure of integrating aggression causes character split and developmental distortions, whose major symptoms are false-self personality formation and antisocial behaviors. To overcome these symptoms and form healthy personality, clients need facilitative nurturing environments. Facilitative nurturing environments consist of holding, omnipotent fantasy fulfillment, reality sense development, mirroring, object utilizing and providing, playing and spontaneity. Object utilizing to endure and survive from the ungrounded destruction instinct can be helpful for integrating aggression. Aggression integration into personality makes advance for the life of true self. This theoretical study may help therapists treat the clients who are in pathologic aggression revealing depression and false-self personality. This study, with regard to clients’ delinquency, may also show therapists how to understand the clients’ aggressive behaviors and help integrate aggression into healthy personal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