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일본어 담화 연구의 동향과 연구방법 고찰

        申媛善(신원선) 한국일본어학회 2011 日本語學硏究 Vol.0 No.31

        본고는 제23회 국제학술발표회에서 개최된 “대학원생을 위한 기획 심포지엄-일본어학연구 어떻게 할 것인가-”에서 발표한 내용을 수정, 가필한 것이다. 본고의 목적은 일본어 연구에 첫 발을 내딛는 대학원생에게 일본어 담화 연구, 그 중에서도 말로 구현된 담화를 대상으로 한 연구를 소개하고 구체적인 연구방법을 제시하는 데 있다. 권유, 토론, 전화, 이야기(物語), 첫대면 등 다양한 장르의 담화를 소재로 한 연구를 개관하고 회화자료의 수집과 문자화 방법을 소개하였다. 마지막으로 담화연구의 필요성과 일본어교육에 대한 응용 가능성에 대해 기술하였다.

      • KCI등재

        분석가담화 기반 회상치료에 참여한 노인 우울증자 담화의 현상학적 연구

        권요셉(Kwon Joseph),김영순(Kim Youngsoon) 한국문화융합학회 2021 문화와 융합 Vol.43 No.12

        본 연구는 ‘분석가담화 기반 회상치료’에 참여한 노인 우울증자들의 담화를 탐색하고 그 의미를 분석한 현상학적 연구이다. Colaizzi의 현상학적 분석방법으로 21개의 의미가 도출되었다. 본 연구에서 노인 우울증자들은 ‘분석가담화 기반회상치료’에 참여함으로, 각자의 생애에 사회적 억압과 강요가 있었음을 회상하였다. 그리고 사회적 억압의 이면에 삶을가치 있게 하는 서사또한 있었음을 발견하였다. 연구참여자들에게 사회적 담화에 나타난 억압이 상흔(STIGMA)으로 남아있으나 그 상흔의 이면에서 자기 자신을 위한 삶과 사랑을 발견함으로 상흔이 성흔(STIGMATA)으로 전환되었다. 사회적담화에 있어서, 4명의 연구참여자가 모두 폭력을 경험하였고, 강제적으로 학업을 중단했으며, 애정의 거절을 경험하였다. 또한, 가족을 위해 어린 나이에 일터로 내몰리거나 병중의 가족을 돌봐야 하는 희생을 감수해야 했고, 사람들의 눈치, 아버지의 눈치, 배우자의 눈치를 봐야 하는 삶을 살았다. 또한 주체적인 담화에서 4명의 연구참여자들 모두 원망과 분노를 통한 감정의 소산이 있었고, 과거를 추억하고 그리워하는 과정이 있었다. 그리고 자기를 사랑하고 감정이 전화되는현상이 있었다. 21개의 의미는 12개의 사회적 담화와 9개의 주체적 담화로 범주화하였고 각각 상흔과 성흔으로 재분류하였다. 노인 우울증자들의 경험과 의미는 우울증을 예방하기 위한 정책과 학문의 자료가 될 수 있으며 사회적 담화와우울증의 관계 연구에 기초자료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노인 우울증자들의 심리적 고통을 이해하기 위한 정보를 제공해줄 수 있으며 노인을 대상으로 상담하는 현장에서 활용할 수 있는 자료가 될 것이다. This qualitative study explored and analyzed the experiences of depressed elderly who participated in the analyst’s discourse based-reminiscence therapy. The phenomenological analysis of Colaizzi has drawn 21 meanings. By participating in the analyst’s discourse based-reminiscence therapy, the depressed elderly recalled their experiences of oppression and coercion but found a narrative that made their life worth while. In social discourse, all four participants lived a life exposed to violence, suffered from academic interruption, and were denied affection by parents or spouses through an affair or ran away. Also, all four participants had to sacrifice to be put to work at a young age for their families or to take care of their sick families and lived a life of seeing people’s, father’s, and spouse’s eyes. The 21 meanings were categorized into 12 social discourses and 9 subjective discourses, and reclassified into stigma and stigmata. They mourn for a loss and discover a new signifier in the discourse that constituted stigmata. This study can be used as basic data for further action research or effectiveness research and provide information to understand their psychological suffering. It is also believed that it can be used to counsel the elderly.

      • KCI등재

        문식성(literacy) 교육 연구에서 담화 분석 활용 동향과 시사점

        이용준 고려대학교 한국어문교육연구소 2022 한국어문교육 Vol.40 No.-

        Only a few studies have been conducted on or through discourse analysis. With this fact as background, this study aims to present the topical patterns of discourse studies and to suggest general directions for future studies. The study categorized the discourse studies and the results are as follows. In terms of themes, they were categorized into seven; a) instructional practices, b) identities’ formation and enactments, c) characteristics and roles of discourse content areas or disciplines, d) adults’ literate characteristics, e) social/cultural characteristics surrounding discourses and their effects, f) the effects of out-of-school literacy, and g) discourses in digital contexts. From these themes and patterns, the study discussed three directions for future studies―dimensionality and clarification of discourse analysis foci, diversification of discourse analysis uses, and recognition and complement of discourse analysis limitations. 담화 분석을 통한 연구가 많지 않은 상황에서, 본 연구는 담화 분석을 활용한 연구들의 연구 주제 경향을 탐색하고 후속 연구를 위한 방향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물들을 범주화한 결과, 7가지 주제들로 범주화할 수 있었다. 각 주제 범주들은 1) 교수적 실천, 2) 정체성의 형성 및 발현, 3) 교과나 학문 속 담화 특성 및 역할, 4) 학교 밖 학생 및 성인의 문식 특성, 5) 담화를 둘러싼 사회적·문화적 특성과 그 영향, 6) 학교 밖 문식성의 영향, 7) 디지털 맥락에서의 담화였다. 이러한 주제 및 경향들로부터 후속 담화 연구를 위한 제언 및 시사점으로, 담화 분석 초점의 입체화와 명료화, 담화 분석 활용의 다양화, 담화 분석 한계의 인식 및 보완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담화/담론연구의 이론적 토대 탐색 : 학제간/통합적 연구방법론으로 확장하며

        신동일(Dongil Shin) 한국질적탐구학회 2020 질적탐구 Vol.6 No.1

        본 연구의 목적은 학제간/통합적 ‘연구방법론’으로서 담화/담론연구의 이론적 토대를 탐색하고 구체적인 ‘연구방법’으로 갖는 확장가능성과 한계점을 (비판적) 응용언어학자의 시선과 관련 연구문헌으로 논의해보는 것이다. 지금까지 담화/담론연구는 언어와 사회, 텍스트와 콘텍스트, 이론과 현장, 사회적 현실과 담론의 매개, 미시적 언어 장치와 거시적 권력관계 등의 이항 중 한편에 갇혀 있었기에, 다양한 인문사회 학술 분야에서 서로 다른 이론적 토대를 탐색하면서 보다 다층적이면서도 통합적인 학제간 연구방법론으로 다시 타당화시킬 필요가 있다. 담화/담론연구의 이론적 토대를 점검하기 위해 본 연구는 형태/구조, 기능/사용, 사회적 실천에 관심을 둔 서로 다른 접근방식을 먼저 구분한다. 그런 다음에 담화/담론이 매개하는 네 가지 연구방법(비판적 담론연구, 비평적 텍스트분석, 사회적 구성 텍스트분석, 사회적 구성 담론연구)을 비판적-구성주의적, 콘텍스트-텍스트 지향성의 이항 축으로부터 조합하여, 국내 응용언어학/언어교육 연구사례와 함께 부연하도록 한다. 아울러 담화/담론연구의 확장가능성과 한계점을 간략하게 열거하고 관련 연구자들이 앞으로 감당해야 할 역량과 역할 역시 다뤄보기로 한다. This study is intended to investigate theoretical foundations of discourse analysis as an interdisciplinary research methodology in the eye of a (critical) applied linguistics. It focuses on the status as a research methodology, rather than just one of the methods to analyze qualitative data. The historically categorized foundations will be discussed on different approaches to discourse studies: formal, functional, social. The four major research perspectives, elaborated with empirical studies of mostly applied linguistics and language education in Korea, will then be divided into (1) critical discourse analysis, (2) critical linguistic analysis, (3) social linguistic analysis, (4) interpretive structuralism. The strengths as well as the limitations of discourse analysis (methodology) will also be discussed. This article will conclude with some suggestions for future directions of methodological development. It is expected that this study fills the gap between linguistics and social approaches to discourse analysis, by providing a systematic frame for embracing a strong social constructivist view of social world.

      • KCI등재

        담화분석 연구 동향 분석 -2000~2016년 언어학 관련 학술지 논문을 중심으로-

        김병건 ( Kim Byeong-keon ) 한국문학언어학회(구 경북어문학회) 2017 어문론총 Vol.73 No.-

        본 논문은 2000년에서 2016년까지의 언어학 관련 학술지에 발표된 논문을 중심으로 그간의 담화분석 연구의 성과를 반성적으로 되돌아봄으로써 언어학에서의 담화분석에 대한 이해도를 높이고, 향후 나아갈 방향을 모색해보고자 했다. 이를 위해 2장에서는 담화분석 연구의 범위를 획정(劃定)하고 분석 절차를 간략하게 소개했으며, 3장에서는 연구 대상 논문들을 `연구 자료, 연구 방법, 연구주제`로 나눠 분석한 결과를 바탕으로 연구 성과들을 소개했다. 마지막 4장에서는 논의 및 결론으로 향후 연구 과제에 대해 논했다. 논의 결과, 언어학에서의 담화분석 연구들은 연구 방법이나 연구 주제 면에서 다각도로 의미 있는 연구 성과들을 도출해 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하지만 양적으로 크게 부족했으며, 신문 텍스트에 집중된 경향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담화분석 연구는 향후 언어학이 중심이 되어야 할 것으로 본다. 문법론, 의미론, 화용론, 텍스트언어학 등의 방법론 원용(援用)은 담화분석에 연구자 개인에 좌우되지 않는 `엄격함`과 주변 학문 분야와 차별되는 `독창성`을 제공해 줄 것으로 기대한다. 그리고 담화에 스며들어 숨어 있는 권력과 이념을 가시적으로 만들 수 있게 되며, 독자들에게 새로운 비판적 자각을 제공할 수 있게 될 것이다. This paper aims to enhance an understanding of discourse analysis in linguistics and to explore a future direction by looking back upon the outcomes of discourse analysis researches reflectively, focusing on the linguistics-related papers in academic journals published from 2000 to 2016. For achieving this purpose, Chapter 2 defines the scope of discourse analysis researches and introduces the analysis procedure briefly, and Chapter 3 introduces the outcomes of researches by classifying the relevant papers into `research data`, `research methods` and `research topics`. Lastly, Chapter 4 presents a discussion and a conclusion and discusses future research tasks. The discussion finding showed that the existing discourse analysis researches in linguistics have produced meaningful outcomes from various angles, in relation to research methods and research topics. It is considered that discourse analysis research needs to center on linguistics in future. It is anticipated that the application of methodologies, including grammar, semantics, pragmatics and text linguistics would provide `rigorousness` not to depend on individual researchers for discourse analysis and `originality` to differentiate from surrounding fields of study. Moreover, it would be possible to visualize power and ideology hidden in discourse and provide a new critical awakening to readers.

      • KCI등재

        한국어교육에서 학술 담화(academic discourse) 연구의 동향 분석 - 체계적 문헌 고찰의 방법을 통하여 -

        양길류,진춘기 연세대학교 언어연구교육원 한국어학당 2023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 Vol.71 No.-

        본 연구는 한국어교육 분야 학술 담화 관련 연구물들을 분석하여 연구의 경향성을 확인하고, 향후 과제 및 방향성에 대한 제언을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체계적인 문헌 고찰이라는 연구 방법을 통해 선정된 153편의 학술지 논문과 박사학위논문을 대상으로 삼아 연구 시기, 연구 대상, 연구 방법 및 연구 내용에 따라 면밀히 분석을 진행하였다. 분석 결과, 그동안 한국어교육 분야에서 학술 담화 관련 연구는 다양한 담화 유형 및 담화 장르를 대상으로 삼아, 풍부한 주제로 연구를 진행해 온 만큼 단기간에 많은 연구 성과를 축적해 왔다. 한국어교육 분야에서 학술 담화에 대한 초기의 연구들은 주로 범언어적 또는 사용역의 형식적인 특징에 대한 연구에 초점을 맞춰 진행되었다가 특히 최근 몇 년간에 그 연구의 내용이 점점 더 구체적이고 초점화된 경향이 눈에 띄며, 연구의 방법 또한 다양해졌다는 특징이 보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연구 대상, 연구 방법, 연구 내용 등 모든 측면에 걸쳐 편중화 현상이 나타나고 있으며, 연구 자료의 균형성 및 객관성에도 적절하지 못한 부분이 있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를 토대로 본고에서는 해당 분야의 향후 연구 과제 및 방향을 구체적으로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한국어교육 분야 학술 담화에 대한 전반적인 연구 동향을 체계적인 방법을 바탕으로 분석함으로써 향후 연구의 과제 및 방향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e primary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scholarly articles and research materials in the domain of academic discourse within Korean Language Education. This aims to identify current trends and suggest avenues for future research. A systematic review was executed on a curated corpus of 153 academic journal articles and doctoral dissertations, rigorously assessed for research period, subjects, methodologies, and content. The analysis shows that the field has yielded a diverse and significant body of research in a relatively short time span, initially focusing on panlinguistic or usage-based features but gradually diversifying in both topics and methods. However, the study also reveals imbalances in research focus, methodology, and content, thereby questioning the corpus’s representativeness and objectivity. Based on these findings, targeted recommendations for future research are outlined. The significance of this work lies in its comprehensive analysis of existing trends, serving as a guide for future endeavors in academic discourse within Korean Language Education.

      • KCI등재

        화용신분 이론에서 본 중국인 연구자와 한국인 연구자의 학술지 논문 초록 메타담화 대조 연구-국어국문학 영역의 논문을 중심으로-

        진염평,왕신 한국어학회 2022 한국어학 Vol.96 No.-

        Drawing upon the metadiscourse classification framework and pragmatic identity theory, this paper compares both qualitatively and quantitatively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Chinese and Korean researchers in using metadiscourse for identity construction in Korean abstracts of academic journal papers. The results show that both Chinese and Korean researchers tend to construct identity of the same type and priority, namely in the order of narrator, organizer, interlocutor and evaluator. In terms of interlocutors, both tend to refer to themselves than to readers, and Chinese researchers use less engagement markers than Korean researchers. In terms of evaluators, compared with Korean researchers, Chinese researchers have less evaluation on things or people related to research.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this paper also puts forward some educational enlightenment, such as identity construction of more clearly revealing the author, the explanation of transitions markers, code glosses, attitude markers, engagement markers, and the explanation of the similarity between Chinese and Korean in abstract writing. 본고는 메타담화 이론 및 화용신분 이론을 감안하여 코퍼스 자기 구축 방법, 질적과 양적 분석 방법을 결합시켜 학술지 논문 한국어 초록에서 중국인 연구자와 한국인 연구자 간 메타담화 및 신분 구축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탐구하였다. 연구 결과, 중국인 연구자와 한국인 연구자가 구축한 신분은 모두 진술자, 조직자, 대화자, 평가자의 순이었다. 대화자의 경우, 양국 연구자는 모두 독자 언급 대화자보다 자기 언급 대화자를 더 많이 구축했는데 중국인 연구자는 한국인 연구자 비해 독자 참여 표지를 덜 사용했다. 평가자의 경우, 중국인 연구자가 한국인 연구자 비해 연구와 관련된 사물 또는 인물에 대해 덜 평가했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하여 필자 존재를 더 명확하게 표출하는 신분 구축 교육, 접속 표지, 환언 표지, 태도 표지, 독자 참여 표지 등 메타담화에 대한 설명, 중한 초록 쓰기의 유사성 설명과 같은 교육적 시사점도 제시했다.

      • KCI등재

        語用論 ·社会言語学研究の現状と展望

        李吉鎔(이길용) 한국일본어학회 2017 日本語學硏究 Vol.0 No.51

        본고에서는 화용론·사회언어학 분야에서 2015-16년도에 한국에서 발표된 122개의 연구 논문을 대상으로 전망한다. 대상 논문의 키워드를 분류해보면 〈한국어와 일본어의 대조담화분석〉이라는 한국에서의 화용론 연구·사회언어학 연구의 특징이 부각되고 (1)한일 간 커뮤니케이션의 기능 (2)첫대면 접촉장면에서의 발화행위의 전략, (3)제2언어습득 분야의 키워드가 많은 것을 알 수 있다. 한일 간 대조담화분석 연구분야에서는 의사소통상의 오해나 마찰의 해소에 도움이 되고자 하는 사회적 유용성을 연구의 의의로 언급한 논고가 많다. ‘어떤 내용을, 어떻게 말하는가’에 착안한 실태기술형 대조연구가 진행되어 왔는데 공손이론을 이론적 배경으로 하여 언어적 전략을 파악한 연구는 많은 반면, 한 명의 화자가 여러 상황에서 어떤 변종을 사용하는가 하는 변이이론의 관점에서 논의한 것은 적다. 한편 한국인에게는 너무나 당연해 의식되지 않는 실태를 거론하며 한일 간 사과문화의 차이를 파고든 것으로 한국에 거주하는 일본인 연구자에 의한 문화론적 연구는 언어이론에 매몰되지 않은 것으로 신선함이 돋보인다. 제2언어습득 연구는 학습자언어에 있어서의 규칙 발견을 기본적인 목표로 하여 습득에서 유지, 그리고 마멸에 대한 연구로 발전하고 있다. 그러나 사회언어능력의 습득연구는 아직 부족하다. 일본어 학습자가 일본어를 사용하여 대인관계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유지하는 데 중요한 능력이므로 연구가 시급하다. 많은 연구자의 노력으로 한국인과 일본인의 언어행동의 구체적인 모습이 밝혀지고 있지만 ‘실증적 언어행동의 한일대조 연구는 질적으로도 양적으로도 아직 부족하다’는 원로 연구자의 지적은 여전히 유효한 것으로 보인다. 그리고 특정 언어행동의 관찰과 묘사를 목적으로 하는 것이 많은 반면, 왜 그런 모습을 하고 있는가 하는 요인분석형 연구가 적다는 것이 과제로 남는다. This paper reviews researches of pragmatics/sociolinguistics through analysis of 122 research articles published in 2015 and 2016 in Korea. Classification of keywords of these articles reveals that ‘Contrastive discourse analysis between Korean and Japanese’ is a characteristic of researches on pragmatics/sociolinguistics in Korea. It further shows a tendency for many keywords to be related to the field of (ⅰ) communicational functions between Korean and Japanese, (ⅱ) speech act strategies in a first-meeting contact situation, and (ⅲ) second language acquisition. In the area of Contrastive Discourse Analysis, many studies regard the social practicality as their research significance, for their findings can help resolve issues of conflict or misunderstandings in communication. The trend has been situation-descriptive contrastive research that is motivated by ‘what and how speakers utter’. While a large portion of these researches are devoted to exploring linguistic strategies on the basis of the Politeness Theory, only few researches take an approach of the Variation Theory in terms of how a speaker choose different linguistic forms in diverse situations. Further, there are some studies authored by Japanese researchers who live in Korea which investigate the differences between Korean and Japanese in the culture of apology by addressing common trends that are often unnoticed by Korean people. These studies are innovative in the sense that they constitute cultural research without much influence from linguistic theories. Research of Second Language Acquisition (SLA) has developed from acquisition to maintenance and attrition, based on a fundamental goal to discover rules in the interlanguage of learners. However, research on acquisition of sociolinguistic competence is yet to be explored. Its research is an urgent matter for the SLA literature since it is an important competence for Japanese learners to establish and maintain interpersonal networks using Japanese. A veteran researcher once said “Contrastive research of empirical linguistic behaviour between Korean and Japanese is still lacking both in terms of the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points of view”. This seems still to be valid even though many detailed aspects of linguistic behaviour in Korean and Japanese people have been made clear through the efforts of numerous researchers. Further, while there are many researches that aim to observe and describe particular linguistic behaviours, little attention has been paid to ground-analysis-type research as to how and why those languages behave in such a way.

      • KCI등재

        학문 목적 한국어 말하기 연구의 동향 분석

        주월랑(Ju, Woal Rang),강병헌(Kang, Byoung Houn) 다빈치미래교양연구소 2021 교양학연구 Vol.- No.15

        본 연구의 목적은 학문 목적 한국어 말하기 연구의 동향을 살피고, 그 결과를 바탕으로 학문 목적 한국어 말하기 연구의 방향을 제언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2020년까지 국내에서 발표된 석・박사 학위 논문과 학술지 게재 논문 중에서 학문 목적 한국어 말하기 관련 연구 113편을 선정하였다. 이후 연도별, 연구 주제별, 담화 유형별, 연구 방법별 및 워드 클라우드(Wordcloud) 분석을 실시하여 연구 동향성을 분석하였다. 먼저 연도별 추이를 살핀 결과, 학문 목적 한국어 말하기 연구는 2020년 현재까지 양적으로 많은 성과물이 있지는 않으나,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어 향후 꾸준히 증가할 것으로 예측된다. 연구 주제별 분석 결과, 가장 많은 논의가 이루어진 주제는 한국어 말하기의 교육 방안에 관한 것이었다. 말하기 담화 유형별로 분석한 결과, 대부분의 연구들이 학습자의 발표와 토론 자료를 중심으로 논의가 이루어진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단, 학술지 게재 논문의 경우에는 평가와 관련된 논의가 많이 이루어졌다는 점이 특징적이었다. 연구 방법별 분석 결과, 학술지 게재 논문의 경우에는 연구 방법으로 조사 연구를 채택한 논문이 많았지만, 학위 논문의 연구 방법으로는 교재 연구가 가장 활발하게 이루어졌다. 워드 클라우드 분석 결과, 학위 논문과 학술지 게재 논문 모두 교육 방안에 초점을 둔 연구들이 주를 이루고 있고, 특히 한국어 학습자의 발표와 토론 자료를 중점적으로 논의하고 있음을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esearch trends on Korean speaking for academic purposes and to suggest a research direction for this area of the studies in the future. For these purposes, we selected 113 previous studies on Korean speaking competence for academic purposes including the master and doctoral dissertations and the academic journals from the year 2003 to 2020 which are available in the RISS system. Afterwards we analyzed them by various categories such as a year, a research subject, a discourse pattern and a research method and finally by the Word Cloud program. Based on the analysis result by year, there are only a few studies conducted on Korean speaking for academic purposes until now. However it also shows a constant increase in recent years and this trend is expected to continue steadily in the future. The analysis results by research subjects showed it was the education methods that the majority of studies focused on as the main research subject. According to the analysis results by discourse patterns, most of the studies selected the presentation and the discussion pattern respectively as the main discourse patterns to discuss. The analysis result by research methods showed that the studies in the academic journals mainly adapted the research study method and whereas the dissertations adapted the teaching material analysis as the main research method. The result of using the Word Cloud program visually presents that both the dissertations and the studies in the academic journals were all focused on the curriculum development focusing on the presentations and the discussions. These above mentioned analysis results suggest that the future studies on Korean speaking for academic purposes should be diversified in discussing various discourse patterns and als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the current education methods. In conclusion, this study identified the up-to-date research trends and suggest the direction for future studies on Korean speaking for academic purposes.

      • KCI등재

        국어교육과 디지털 리터러시 ; 문서 자동 요약 기술의 발전을 위한 학제적 접근의 필요성과 과제

        서혁 ( Hyuk Suh ) 국어교육학회 2010 國語敎育學硏究 Vol.39 No.-

        국어교육에서 학습자의 언어처리 과정에 대한 과학적 탐구는 기여할 수 있는 바가 크다. 컴퓨터 언어처리 모형의 기본 원리 역시 인간의 언어 처리 과정을 기반으로 하고 있는 측면이 많기 때문이다. 따라서 학습자의 국어 학습 과정, 이해와 표현 과정에서의 실수와 오류, 사실적·추론적·비판적 이해와 표현의 인지적 사고 발달 과정을 핵심으로 하는 국어교육의 연구 내용은 컴퓨터 언어 처리에 기여할 수 있는 바가 크다. 지금까지 언어와 관련하여 이루어져 온 음운, 어휘, 형태, 통사, 담화·텍스트 구조, 담화·텍스트의 이해와 처리 과정, 인지 언어학 등 모든 연구들이 문서 자동 요약 연구에만도 관련되지 않는 부분이 없을 정도이다. 그리고 생략, 지시, 대용 이론, 스키마와 개념망 이론 등이 완성될 때 문서 자동 요약을 비롯한 컴퓨터 언어 처리에 대한 과제가 좀 더 완전하게 해결될 수 있다는 시각이 일반적이다. 이는 인간의 언어이해와 표현의 정밀한 과정이 해결되어야만 문서 자동 요약은 물론 컴퓨터 언어 처리가 좀 더 완벽해질 수 있다는 뜻이다. 따라서 학습자의 언어 이해와 표현 과정에 대한 보다 정밀한 탐색과 연구는 국어교육은 물론 컴퓨터 정보 처리 연구에도 중요한 자산이 되며, 여기에 상호 학제적 연구의 필요성과 중요성이 존재한다. 지금까지 논의한 결과를 바탕으로 학제적 관점에서 문서 자동 요약이 주는 시사점을 간단히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맥락정보 기반 접근법 활용의 필요성과 가능성이다. 제목이나 문맥 단서 뿐만 아니라 담화·텍스트의 상황맥락, 사회문화적 맥락 등의 맥락 정보 활용 가능성을 고려해야 할 것이다. 특히 발신자, 수신자, 더 나아가서는 의도, 목적, 메시지, 관련지식(스키마)을 종합적으로 고려할 수 있는 방안이 온톨로지의 구축과 함께 고려되어야 할 것이다. 둘째, 담화 표지와 텍스트의 구조를 좀 더 적극적으로 활용하는 방안이 모색되어야 할 것이다. 기존의 담화 표지에 대한 연구 성과의 반영도 아직은 미흡한 수준으로 보이며, 특히 텍스트의 구조(초구조, 거시구조, 담화·텍스트 차원의 수사적 호응 관계) 등은 아직도 거의 반영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특히 텍스트 전개 구조를 참조한 입체적 벡터의 개념(텍스트 전개 방향, 텍스트 부분의 중요도)이나 등간격 지향성의 원리(첫째, 둘째, 셋째 등)은 구체적으로 공동 연구가 필요한 부분으로 생각된다. This thesis suggests some ideas on the interdisciplinary approach for the research of Auto Document Summarization(hereafter ADS) between Korean Education(hereafter KE) and Computer Engineering. The principles of language processing in computer are fundamentally based on the cognitive process of human. Therefore, the contents and results of KE which is interested in reading comprehension and expression including summarization contribute a great deal to ADS. The results of researches accomplished in KE are accumulated so much so far such as text comprehension, discourse and text structure, word acquisition, etc. The research on ADS will be more concrete when it refer to the process of text comprehension and expression of human being including learners. Therefore, interdisciplinary approach between KE and CE cannot be emphasized too much. In this point some suggestions and prospects on ADS research are presented as follows. Firstly, the need and possibility of context-based approach on ADS. When we research on ADS, we need to consider on sociocultural context as well as context of discourse and text, furthermore addressor, addressee, intention, purpose, message and schemata when we construct ontologies. Secondly, we need to consider the discourse marker and text structure more deeply and precisely, including micro-structure, macro-structure, super-structure and sequences of rhetorical expressio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