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단원 김홍도의 문화콘텐츠 개발(開發) 전략

        고헌균,안남일 글로벌문화콘텐츠학회 2019 글로벌문화콘텐츠학회 학술대회 Vol.2019 No.1

        본 논문의 목적은 조선 후기 불세출의 천재 화가 단원 김홍도 (1745~1806) 콘텐츠의 가치를 개발 하는 것이다. 경기도의 대표 도시 안산의 문화 자산인 김홍도와 그의 작품에 대한 문화콘텐츠 가치를 새로운 시각과 트랜드를 반영 하여 분석하고 전략적으로 발굴 한다. 더 나아가 One source multi-use (OSMU) 및 Transmedia Storytelling 으로 대중에게 어필할 수 있는 방안모색을 한다. 특히 김홍도의 도시 안산 “단원 미술관” 에는 김홍도 상설 콘텐츠전이 있지만 수백편의 김홍도의 작품 중 진품이 4점뿐인 매우 열악한 상황이고 안산은 단원의 도시임에도 불구하고 정체성이 부족한 상황이다. 프랑스 천재 화가 고흐의 작품과 고흐의 이야기, 영화, 뮤지컬로 인하여 프랑스 “아를 “지역 브랜드 이미지가 상생한 예로 안산도 단원 김홍도의 콘텐츠로 상생을 모색한다. 더 나아가 단원 김홍도, 단원미술관, 안산을 유기적으로 연결시키는 플랫폼의 일환으로 단원 음악 공모전의 필요성을 검토해 본다.

      • KCI등재

        안산시의 김홍도 브랜드 개발에 대하여

        고운기 동아시아고대학회 2015 동아시아고대학 Vol.0 No.37

        안산시는 1990년대에 김홍도 벽화사업을 시작으로, 현재까지 조각공원 조성, 전시관 운영 등의 지역 고유 문 화자산인 김홍도를 활용한 문화콘텐츠산업을 육성하고 있다. 그러나 아직 김홍도가 안산의 대표 브랜드라고 하기에는 부족하다. 안산시가 가지고 있는 차별화된 자산(첨단산업도시)과 김홍도가 가지고 있는 고유한 이미 지(천재화가, 미래지향정신)의 교집합을 찾아, 문화 산업도시로 포지쇼닝(Positioning)하기 위한 실질적인 컨 설팅이 필요하다. 컨설팅을 위해, ‘안산시 브랜드 이미지 및 김홍도 관련성 조사 → 안산 소재 김홍도 관련 문화원형 발굴 조사 → 유사 브랜드 도시 사례 조사 → 컨설팅 밴드를 통한 김홍도 관련 브랜드화 전략 → 김홍도 관련 브랜드化를 위한 활성화 방안 → 안산시 브랜드화를 위한 홍보 방안’의 단계를 설계해 볼 수 있다. 이 설계에 따른 구체적인 컨설팅의 예로 단원미술관을 들었다. 안산은 단원 김홍도가 안산 출신인 데 대해 자신감을 가질 필요가 있다. 비록 그가 안산에서 지속적으로 거주 하지 않았더라도, 안산이 그에 대해 강력한 소유권을 주장하여 이상하지 않다. 그런데 현재 단원미술관에는 정작 단원의 그림 진본이 없다. 이를 극복할 방안은 무엇일까?첫째, 디지털의 여러 방식을 활용한 전시관의 구 성을 추진하는 일. 디지털 미술관의 개발은 현재 세계적인 추세이다. 진품의 구입에 드는 수고와 비용을 줄일 수 있다. 둘째, 김홍도의 그림을 인문학적으로 해석하고 이와 관련된 체험적 요소가 구현되는 디지털 체험관 의 조성. 방문객의 유대감을 진작시키는 이야기를 ‘내가 참여하여 완성하는 이야기’가 될 수 있도록 공간을 구 성하는 것이다. 셋째, 김홍도와 관련 있는 지역과 벨트를 맺고 교류하는 방법. 충북 괴산은 김홍도가 연풍 현 감을, 경북 안동은 안기역 찰방을 지낸 인연으로 안산-괴산-안동의 벨트를 만들 수 있게 한다. Ansan City has built a mural project, sculpture parks, and exhibition halls associated with Kim Hong-do contents business since 1990s. However, merely claiming that Kim Hong-do is Ansan’s brand representative is not adequate. Ansan requires practical consultation. We can design a consulting plan as follows: "Conduct research on the correlation between Kim Hong-do and the brand image of Ansan → Excavation and investigation of Kim Hong-do-related cultural archetypes in Ansan → Case studies → Kim Hong-do-related branding strategy by the consulting band → Revitalization strategy for branding Kim Hong-do → Scheme for brand promotion in Ansan." The Danwon Art Museum is proposed as the example for this process. The city should feel proud that Kim Hong-do is from Ansan. Though he did not live in Ansan throughout his life, it would not be inappropriate for Ansan to claim strong ownership of the artist. However, the Danwon Art Museum currently has no authentic picture of Kim Hong-do. What are some ways to solve these issues?First, Ansan should promote exhibitions utilizing various digital media. Development of digital art galleries is a current global trend. Second, Kim Hong-do’s pictures should be analyzed by humanities experts, and a digital experience center with experiential elements should be built. Third, Ansan should create a business belt with other regions related to Kim Hong-do and engage in mutual exchanges.

      • KCI등재

        단원(檀園) 김홍도(金弘道)의 관료행적(官僚行蹟)과 작품에 나타난 윤리의식(倫理意識)에 대한 연구(硏究)

        이근우 ( Lee Keun Woo ) 한국동양예술학회 2017 동양예술 Vol.36 No.-

        2017년은 단원 김홍도 탄신 272년이 되는 해이고 연풍현감에 제수된 지 226년이 된다. 단원 김홍도는 화원(畵員)과 관료(官僚)라는 양립(兩立)하기 어려운 두 역할을 이루어낸 보기 드문 인물 중 한 사람이다. 관료행적으로는 안동 안기(安奇) 찰방(察訪)과 충청도(忠淸道) 괴산군(槐山君) 연풍현감(延豊縣監)을 지냈다. 특히 어진도사(御眞圖師)의 공로를 인정받아 정조(正祖)는 1791년 12월 22일에 연풍현감에 제수(除授)하였고 1795년 1월 7일 해임까지 약 3년간 재직하였다. 기존에 발표된 단원 김홍도에 대한 연구 성과를 살펴보면 회화작품 연구 위주이고 그 연구 성과에 비해 단원 김홍도 관료 행적(行蹟)과 치적(治績)에 대한 연구는 미미한 수준에 머무르고 있다. 그리고 그에 따른 연구자료 출간 및 실증적인 자료 소개의 측면에서의 검토 또한 미흡하고 그가 공직자로서의 윤리의식은 어떠했는지에 대한 연구도 부재하다. 본 논고는 이러한 맥락에서 그간 단원 김홍도 회화작품 위주의 연구에서 벗어나 연풍현감 단원 김홍도 부임 이후의 관료 행적과 치적 및 공정산(公正山) 상암사 중수기(上菴寺重修記)를 통해 단원 김홍도의 윤리의식을 논증하고자 한다. 아울러 윤리의식과 연계해서 볼 수 있는 작품도 살펴보고자 한다. Year 2017 is Danwaon Kim Hong-Do`s 272th birth year and also 226th year, he had been in Yunpoong- Hyeongam. Danwon Kim Hong- Do is a person who had been both artist and government officer at the same time which is hard to be at that time. As a government officer, he has been Chalbang officer in Ahn-dong city, Ahn-ki area, and Yunpoong-Hyeongam in Chungcheong-do, Goesan-gun. Also, he was rewarded by Great King Jung-Jo, by drawing his portrait, he was assigned to be Yunpoong-Hyeongam in 1791 December 22nd and served until 1795 January 7th, for three years. Formal studies about Danwon Kim Hong- Do is about his artistic skills and his painting, but his history as in government officer and his work during the time are very marginal until now. Also, there are insufficient amount of research data and studies about his ethical consciousness as government officer. This study is not only about his art or his artistic skill, however this study is also about proving his ethical consciousness as in government officer. These are the thee point. First, House fire in Ahn-bu station area after Danwon Kim Hong-Do post as a Yunpoong-Hyeongam. Second, Mt. Gong-Jung Sangam Temple restoration monument Third, King`s portrait, Modang-Pyungsaeng-Do, seodang.

      • KCI등재후보

        김용준 著 『단원 김홍도』 해제 : 고독한 천재의 눈에 비친 사실주의 화가 김홍도

        김미정(Kim, Mi jeong) 근대서지학회 2020 근대서지 Vol.- No.22

        이 글의 목적은 김용준(金瑢俊, 1904~1967)의 『단원 김홍도』를 해제하고 김용준의 김홍도 연구가 지닌 미술사적 의의를 찾고자 함이다. 2018년 학계에 처음으로 소개된 『단원 김홍도』는 1955년에 북한에서 출판된 단행본이다. 이 책은 조선회화사 연구서를 통틀어 고전 화가를 개별 작가론으로 서술한 가장 이른 사례의 단행본으로 확인된다. 전체 분량은 51쪽으로, 앞표지는 김홍도의 인장과 신선도(神仙圖)로 꾸며졌다. 15점의 작품 이미지와 함께 수록된 작품해설에는 김용준의 빼어난 문장력과 더불어, 그림에 대한 자신의 감성을 충실하게 묘사하는 수필체 미술사 서술의 진면목이 드러난다. 1955년은 북한 미술사학계에서 비정(比定)한 김홍도의 생년에 따라 김홍도 탄생 195주년이 되는 해였다. 이 무렵 미술사 관련 출판물의 수가 늘어났고 각지에서 수집·발굴된 고서화와 문화유산을 소개하는 전람회도 개최되었다. 북한 미술계는 1955년을 전후해 민족 미술에 관한 인식의 변화와 함께 조선화에 적용할 내용과 형식의 변화를 모색했다. 이에 따라 『단원 김홍도』는 민족문화에 대한 관심이 촉발된 시기에 맞춰, 위인의 업적을 기려 대내외에 홍보하려는 목적에서 출판되었던 것이다. 월북 이후 김용준은 김홍도를 단일주제로 여러 편의 글을 저술했다. 일련의 글에서 그는 김홍도를 애국주의 화가이자, 18세기 사실주의 미술 발전의 핵심적 역할을 담당했던 화가로 평가했다. 또 김홍도의 신선도와 인물, 풍속 그림들의 필법에 주목했다. 김홍도의 인물화에서 인물형상의 조형적 특징을 찾으려고 했던 김용준은 전통 회화기법을 조선화 창작에 직접 적용했다. 그는 유려한 선조(線條)와 담백한 색채로 조선화를 창작해 여러 전람회에 출품하면서 조선화가 전근대적 산물이라고 보았던 1950년대 중·후반 북한 미술계의 인식을 개선하고자 몸소 실천했다. 조선회화에서의 독창성과 사실성 탐구에 집중했던 김용준의 미술사 연구는 1950년대 후반 북한미술이 조선화를 바탕으로 민족 형식의 전형을 확립해나가는데 밑거름이 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briefly describe ‘Danwon Kim Hong-do’ written by Kim Yong-jun (金瑢俊 1904~1967) and to understand the art historical implications of Kim Yong-jun’s studies on Kim Hong-do. ‘Danwon Kim Hong-do’ first introduced to academia in 2018 is a book of Korean art history published in North Korea in 1955 and is confirmed to be the earliest book that describes one of the most renowned classical painters based on an individual writer’s theory among all research papers as to the painting history during the Joseon Dynasty period. The year 1955 marks the 195th anniversary of Kim’s birth based on his birth year presumed by the North Korean art history academia. In this light, the publication of ‘Danwon Kim Hong-do’ apparently aimed to commemorate the great achievements of one of the most noteworthy painters in Korean art history at home and abroad at a time of soaring interest in national culture. Following his defection to North Korea, Kim Yong-joon wrote a number of articles dedicated to Kim Hong-do. In a series of his writings, he appraised Kim Hong-do as a patriotic painter who played a key role in developing the realism in the 18th century. He also noted Kim Hong-do’s brush stroke in his famous paintings, including Immortals, portraits, and customs paintings. Kim Yong-jun, who sought to identify the figurative characteristics of the figures in Kim Hong-do’s portraits, applied the traditional painting technique directly to creating the Joseon paintings. He made sincere effort to improve the awareness of the North Korean art academy in the mid- and late 1950s who found the Joseon paintings outdated as he created some Joseon paintings with elegant brush and plain colors and presented them to several exhibitions. Kim Yong-jun’s art history studies, which focused on seeking the originality and realism in Joseon paintings, served as a foundation for the North Korean art world to establish an exemplary model of national formality in the late 1950s based on the Joseon paintings.

      • KCI등재

        단원 김홍도의 화폭에 나타난 불교 미학의 세계

        조정육 동방문화대학원대학교 불교문화예술연구소 2014 불교문예연구 Vol.3 No.-

        한국회화사(韓國繪畵史)에서 가장 위대한 화가로 알려진 김홍도(金弘道, 1745~1806)는 여러 장르의 그림을 남겼는데 그가 성취한 업적은 그가 활동했 던 영조(英祖: 재위 1725~1776)와 정조(正祖: 재위 1777~1800) 년간의 정치적 안정과 경제적 번영을 바탕으로 꽃피울 수 있었다. 김홍도에 관한 연구는 당대 에 그와 함께 활동했던 강세황(姜世晃: 1713~1791)을 필두로 현재까지 많은 연구자들에 의해 활발하게 추진되어 왔다. 그 결과 김홍도의 생애(生涯)와 작 품세계(作品世界)에 대한 이해는 상당히 진전되어 그동안 밝혀지지 않았던 부 분까지 복원할 수 있게 되었다. 이런 연구를 바탕으로 최근에는 김홍도의 불교 인물화(佛敎人物畵)에 대한 논문이 발표되어 주목된다. 김홍도는 정조의 명으 로 용주사 불화(龍珠寺佛畵)를 제작한 1790년(46세) 이후 급격하게 불교에 심 취한 듯 여러 점의 훌륭한 감상용 불교회화를 남겼다. 김홍도가 그린 감상용 불교회화는 대략 30점 정도가 남아 있는데 그가 겪은 인생 말년의 불행을 종 교적으로 승화시켜 다른 어떤 작품보다도 깊은 여운과 감동을 전해 준다. 다양한 분야에서 발군의 기량을 발휘한 김홍도는 주옥같은 명작을 많이 남 겼다. 그 중에서도 특히 김홍도는 여러 점의 도석인물화를 제작했는데「군선 도」같은 신선도는 젊은 시기에 치우친 반면 불교회화는 인생의 후반기에 많 이 제작했다. 김홍도는 46세 때 용주사불화의 제작에 참여한 것이 인연이 되 어 진심으로 불교에 귀의하게 되었다. 김홍도가 인생의 황금기 때 제작한「남 해관음」이나「혜능상매」는 그의 예술적인 기량과 종교성이 합치돼 탄생한 수 작이라 할 수 있다. 그러나 작품에서 느껴지는 감동은 오히려 실의와 병고 속 에서 탄생한「염불서승」과「노승염송」이 훨씬 더 강하다고 할 수 있다. 이것 은 작가에게 행복하고 즐거운 시간뿐만 아니라 어렵고 힘든 시련조차도 예술 가를 키울 수 있는 자양분이 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런 의미에서 김홍도의 불교 회화는 종교인으로 살아가는 우리에게 많은 시사점을 준다 하겠다. Kim Hongdo(1745~1806), evaluated as the greatest Painter in Korean painting history made various genres of pictures and it was possible thanks to political stability and economic prosperity during the reign of Yeongjo(1725~1776) and Jeongjo(1777~1800). Study on the brillant Court Painter have been actively carried on from even his colleague, Kang Saehwang(1713~1791) who painted together in the same era to present scholars. As a result, many things about his life and works have been discovered and could go so far as to restore unrevealed works. Following King Jeongjo’s order, Kim Hongdo drew Buddhist painting at Yong-ju Temple in 1790(at the age of 46). Since then, he was deeply turned to Buddhism and left behind about 30 pieces of magnificent Buddhist paintings. He was ill-fated in his late years therefore became very religious, devoted himself to these works hence they impress than any other paintings. He drew several Taoism-Buddhism Paintings of pictures. His Taoist Immortal paintings were completed in his early days while many of Buddhist paintings were done in his declining years. Danwon, a pen name of the Painter, finished 『Bodhisattva』and 『Apricot flower watching by Haeneung』in his golden era and they are recognized as best among his whole works. His two works,『 Invocation of the Buddha’s name to live eternal life in peace』and 『Recitation of the Buddha’s name by old monk』, which were created when he was in a period of adversity and illness strike more on one’s mind than any other works. A pleasant time and even hardship can be nourishing for a painter. In that sense, Buddhist paintings by Danwon draw implications for us.

      • KCI등재

        ≪단원풍속화첩≫ 진위 문제에 대하여

        이중희 ( Jung Hee Lee ) 한국동양예술학회 2013 동양예술 Vol.21 No.-

        본고는 중앙박물관소장 ≪단원풍속화첩≫ 25매가 단원의 친필이 아니라는 학설에 대한 반론형식으로 논술된 것이다. 그간에 제기된 단원필 부정의 주된 논거는 첫째, 단원의 친필 인물 묘사에서는 오류나 실수가 전혀 용납될 수 없고 반드시 정확해야 하며, 화풍이 일정수준 이상이어야 한다는 전제에 의거하고, 둘째 단원의 친필이라면 인물도상의 묘사상의 線質이 모두 일정해야 한다는 가설에 근거하고 있다. 그런데 부정론의 결정적인 결함은 단원화첩만의 특수한 편집상황이나 예술성을 도외시하고 있는 점이다. 단원화첩의 이러한 특수성을 일절 고려하지 않은 채, 직관적인 사생으로 제작된 단원의 친필 화풍과 수평적인 단순비교 방법으로 판단하고 있다. 무엇보다도 25매의 ≪단원풍속화첩≫의 편집의도나 화풍은 현장성 짙은 단원 진적그림과는 제작의도에서 확연히 다르며 다음과 같은 특수성이 있다. ① ≪단원풍속화첩≫ 25매 그림은 현장성이 강한 1차적인 화풍의 단원의 진적 그림(1778년 작≪무술년풍속병풍≫, 1795년 작≪을묘년풍속병풍≫)과는 다르게, 현장에서 떠나 실내에서 특정주제에 따라 주도면밀하게 편집된 2차적인 화풍이며, 각각 독자적이면서도 고차적인 예술세계를 가진다. 그러므로 다소간의 묘사상의 오류가 충분히 발생할 수 있는 것이다. ② 단원의 인물묘사에는 線質이 서로 다른 모필과 竹筆(대나무펜)을 병용하여 사용하였기 때문에 마치 복수의 화가가 그린 것처럼 오해받기 쉽다. ③ ≪단원풍속화첩≫은 만년에 이르러 풍속표현을 집대성하려 을묘년풍속병풍≫(1795, 51세)의 제작시기와 유사하여 필치에서는 젊은 날의 생동감 있고 활달한 선묘와는 다르게 노년기의 조심성 있고 흐느적거리는 취약한 선질이 부쩍 증가해 있다. 이상의 특질 외에도 단원화첩의 진면목은 무엇보다도 인간미물씬 풍기는 해학적 화풍이다. 손기술로 제작된 것이라기보다는 마음으로 어루만진 맛있는 화풍이다. 이 풍속화첩에 빨려들게 하는 원천이 바로 여기에 있다고 본다. 인물들 속에서 애정 어린 마음으로 포착한 정감을 듬뿍 느끼게 하는 것이 본 화첩의 첫째 특장이라 할 수 있다. 단원화첩의 이런 진가를 무시하고 극히 지엽적인 문제로서 오로지 도상이나 묘선의 錯亂 여부만을 파헤쳐 작가의 진위를 특정하려고 한다면 자연히 결론도 달라질 것이다. This paper was written in the form of objection to a theory where 25 pieces of paintings in <Album of Genre Paintings by Danwon> owned by the National Museum of Korea are claimed not to be painted by Danwon. The grounds for such claim that has denied the authenticity of Danwon``s painting are based on the hypothesis that i) every portrait painted by Danwon should be precise and never accepting any errors and mistakes, and in accordance with the premise that the style of painting should be over a certain level; and ii) every painting by Danwon should have a consistent line quality. However, there is a decisive flaw in such negative argument that the album``s exclusive compilation background and artistic value are neglected. After completely ignoring such specialty, the album is only judged by a simple horizontal comparison with Danwon``s painting style with his intuitive sketches. Above all, the compilation intention and painting style of 25 pieces of paintings in <Album of Genre Paintings by Danwon> are clearly different from the vividly depicted paintings painted by Danwon in terms of the painting intention. The album has three significant specialties as follows: ① Unlike Danwon``s previous paintings with vivid touches as a primary painting style in <Genre Painting Folding Screen in the Year of Musul> in 1778 and <Genre Painting Folding Screen in the Year of Eulmyo> in 1795, 25 pieces of paintings in <Album of Genre Paintings by Danwon> have a secondary painting style thoroughly edited under a certain theme that delivers an individual and high-level world of art in each painting, ② Since Danwon``s portraits of people were painted by alternatively using the paint and bamboo brushes that have different line qualities, it is easy to misunderstand the paintings were completed by multiple painters. ③ <Album of Genre Paintings by Danwon> was compiled for a long period of time of at least 4-5 years under the intention to compile all descriptions of custom in Danwon``s later years. Since the album was compiled in the similar period when the <Genre Painting Folding Screen in the Year of Eulmyo> (1795, age 51) was completed, the touches of the album show an increasing number of careful, fluttering and vulnerable lines in old age unlike the lively and dynamic drawing of youth. Aside from the above mentioned specialties, the true color of the album is the humorous painting style with touches of humanity. It is a tasty painting style soothed by heart, rather than handwork. This is the source that gets us absorbed into the album of genre paintings. If it is intended to determine the authenticity of Danwon``s paintings only by digging up the derangement of icon and lines which is an extremely minor issue and ignoring the true value of the album, it is only natural to reach a different conclusion.

      • KCI등재

        우리시대의 그림 풍속화: 강세황의 비평활동과 김홍도의 행려풍속도

        이경화 ( Kyung Hwa Lee ) 미술사와 시각문화학회 2015 미술사와 시각문화 Vol.15 No.-

        강세황(姜世晃, 1713-1791)의 회화비평은 창작과 대별되는 부분에서 그가 18세기 문화사와 상호작용하는 면모를 보여 준다. 강세황의 회화비평에서 우리는 비평가로서 심미적 의식뿐 아니라, 한발 나아가 자신이 속한 시대와 사회를 이해하는 시선까지 파악할 수 있다. 강세황의 문예활동 중 그의 사회적 감각을 가장 선명하게 헤아릴 수 있는 부분은 바로 김홍도(金弘道, 1745-1803 이후)의 작품에 대한 평가이다. 강세황은 「단원기(檀園記)」라는 김홍도를 위한 기문을 지어 중인출신의 화원으로서는 예외적으로 일생에 관한 상세한 기록을 역사에 전하도록 하였다. 그가 쓴 두 개의 「단원기」는 김홍도의 전기인 동시에 그 예술세계에 대한 기록이자 평가서이기도 하다. 강세황은 김홍도를 모든 장르의 그림에서 고루 뛰어나며, 조선 회화의 새로운 세계를 열었던 ‘파천황(破天荒)’으로 평가한다. 그러나 강세황이 가장 높은 의의를 부여한 장르는 바로 김홍도의 풍속화이다. 김홍도의 전 생애를 통해 볼 때, 강세황과 적극적으로 교류했던 10여년은 폭발적인 에너지로 독창적인 작품세계를 전개했던 시기였다. 이 기간에 제작한 <서원아집도(西園雅集圖)>(1778), 《행려풍속도병(行旅風俗圖屛)》(1778), 《신선도팔폭병풍(神仙圖八幅屛風)》(1779) 등은 김홍도의 예술세계를 대표하는 작품들이다. 여기엔 예외 없이 강세황의 화평이 곁들여졌다. 강세황의 글은 그림의 의미를 지적하고 그 품격을 평가하는 비평인 동시에 서예로서 작품의 형식적 요소에 통합되어 작품과 불가분의 관계를 가진다. 강세황의 화평이 곁들여진 작품은 그들이 함께 제작한 ‘합작(合作)’의 의미를 가진다. 선비와 장사군, 나그네와 규방, 농부와 시골 여성, 길거리, 나루터, 가게, 시험장 등 그들과 같은 시대를 살아가는 조선 사람들의 일상적인 모습을 그린 김홍도의 그림에 대해 강세황은 ‘이전에 보지 못했던 그림’으로서 평가한다. 강세황은 풍속화를 이전 시대와 달라진 그들 시대의 새로움에 대한 인식이며 그에 대한 예술적 대응으로서 파악하였던 것이다. 강세황과 김홍도의 작품이 이룬 예술적 성과가 아무리 높다 해도 그들의 활동만으로 풍속화를 창안하거나 풍속화의 유행을 불러온 것은 아니다. 그 보이지 않는 배경에는 조선 사회의 변화가 자리하고 있었다. 누구보다 정확하게 속화(俗畵)라고 불리며 폄하되었던 그림의 미학적, 시대적 가치를 인식하였으며 비평가로서 적극적으로 이에 대한 의견을 개진했던 강세황을 18세기 풍속화의 옹호자로서 규정해도 무리가 없을 것이다. Kang Sehwang (1713-1791), a representative literati painter in the eighteenth century of Joseon Korea, was also a leading art critic. Along with his own literary painting, his art criticism reveals his aesthetic consciousness, and furthermore his involvement with time and society in which he lived. It is in his art writing and criticism of the paintings of Kim Hongdo (1745-ca.1803) that we can explore the way in which Kang Sehwang understood and interacted with his time and society. Kang Sehwang wrote two Danwon-gi (writings of Danwon) for Kim Hongdo. Danwon was Kim Hongdo`s garden, meaning the garden in which birch tree planted, and also became Kim`s sobriquet name. Danwon-gi is a rare and exceptional biography of the professional painter from middle-class in Joseon dynasty. In the writings, Kang celebrated Kim Hongdo, “the painter who established a new stage in the four hundred years of Joseon paintings,” accomplished in all genres, including figures, landscapes, Buddhist and Daoist themes, as well as bird, flowers, and animals. However, it is the genre painting that Kang praised as the most remarkable achievement of Kim Hongdo, by noting that Kim`s genre paintings conveys contemporaneity in everyday life of Joseon people, the sense of liveliness in its detailed depictions, and humor and wit in its narratives. During the ten years that Kang Sehwang as an art critic and Kim Hongdo as a painter worked together, Kim Hongdo produced some of his most remarkable paintings, such as Painting on the Elegant Gathering in the Western Garden (1778), Pictorial Records of Travel (1778), Taoist Immortals in Eight Panels (1779), and so forth. And all of the paintings accompany with Kang`s inscriptions and their calligraphies are deeply related with the composition of the paintings. These works could be considered as their true collaboration, in which Kang`s inscriptions play an integral role both in the form and content of the works, thus could not be separated from the paintings. Kang Sehwang esteemed Kim Hongdo`s genre paintings that “it had not existed before.” Kang considered the genre painting as a portrait of his own time that differed from previous time, and the response to the newness of his era in art. In fact, prior to eighteenth century genre paintings existed but only regarded as vulgar subjects. Kang gave attention to the aesthetic value and the sense of contemporaneity of genre paintings, and offered criticisms in Kim Hongdo`s genre paintings. In this sense, Kang Sehwang can be evaluated as “the guardian of genre painting” in the eighteenth century Joseon dynasty.

      • KCI등재
      • KCI등재

        사진미학으로 읽는 단원풍속도첩

        권해일 한국국제미술교육학회 2015 미술과 교육 Vol.16 No.4

        본 연구는 옛 그림을 오직 회화사적으로만 접근하는 연구방법이 그림의 풍성하고 다양한 해석을 도리어 좁히는 것이 아닐까 하는 인식에서 시작되었다. 그래서 단원의 『단원풍속도첩』을 사진의 관점에서 재해석하였다. 이를 위해 사진의 역사에서 주요 사진 미학을 정리하고, 김홍도 및『단원풍속도첩』을 연구하였다. 그 연구를 바탕으로『단원풍속도첩』을 사진적 관점에서 재해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시대의 목격자로서의 단원 김홍도와 풍속도첩의 가치가 높다. 그림을 그린 목적이 단순히 서민 감상용이었다 할지라도 결과적으로 시대의 목격자로서 시대를 조망하였다. 둘째,『단원풍속도첩』에는 사진적 위트가 배어있다. 조선 후기 요동치는 신분제 속에서 날 선 비판을 대신해 작가는 작품 전체에 위트를 발휘했다. 셋째, 사진과 같은 결정적 순간이 돋보인다. 우연적으로 찾아오는 결정적 순간을 적극적으로 포착함으로서 시대의 모습을 정지시켰다. 넷째, 곳곳에서 드러나는 표현이 사진 표현 방법과 유사하다.『단원풍속도첩』에는 피사계심도, 역초점 효과, 준망원 효과, 연속사진 등의 사진적 요소가 풍부하다. 다섯째, 증거로서의 가치가 사진과 유사하다. 시간이 흐름에 따라 증거로서의 가치가 상승한다. 세상을 바라보는 창에 그치지 않고, 작가가 바라보는 시대적 상황과 변화의 모습을 은은하게 드러낸 단원의 풍속화는 사진의 거울과 창이라는 사진의 양쪽 미학을 넘나들고 있다. The start of this study is the old picture only as the art historical research approach can be rather narrow rich and diverse interpretation of the figure. So I reinterpret ‘The Album of Danwon’s Genre Painting’ in view of the pictures. To this end, it was extracted main picture aesthetics in the history of photography and studied about Kim, Hong-do and his ‘The Album of Danwon’s Genre Painting’. Through the process, reinterpreted the album through the picture as a results is as follows. First, Kim, Hong-do and his Album are highly valuable as a witness of the times. As a result, he captured the ages as a witness of the times even though the picture was painted purpose is simply ordinary people appreciating. Second, the album has soaked the photographic wit. He exhibited wit On behalf of the sharp criticism in the turbulent caste system late Chosun Dynasty . Third, the decisive moment stands out, such as pictures. By actively incidental capture the decisive moment coming to find, he paused aspect of Chosun era. Fourth, the expression is similar to the picture in places exposed expression. His Album is rich the photographic elements, such as depth of field, inverse focus effect, semi-telephoto effect, continuous pictures. Fifth, the Album has value as evidence is similar to the pictures. The value increase over time as evidence. Beyond the window looking at the world, Danwon’s genre art which shows softly looking at the contemporary situation and change in appearance crossover both the esthetics of the pictures which has the mirrors and windows.

      • KCI등재후보

        단원 김홍도 화제(畫題)의 서체와 낙관인

        손환일 한국사상문화학회 2019 韓國思想과 文化 Vol.100 No.-

        Kim Hong-do had a great influence on painting and calligraphy. He had learned from Kang Se-hwang, a representative painter, calligrapher of Joseon period; however, the variety of painting was from the genius of Kim Hong-do. The handwriting style of Kim was following Cursive script(Choseo), Semi-cursive script(Haengseo), Regular script(Haeseo), Palbun(a kind of Clerical script) and Seal script(Jeon-seo). Cursive script(Choseo) and Semi-cursive script(Hangseo) of Kim Hong-do followed the Semi-cursive script(Haengseo) writing style of Wang Xizhi as Kang Se-hwang. Also Kim Hong-do was following the style of small-letter-Regular-script(Haeseo) writing style of Wang Xizhi as Kang. However for the big-letter-Regular-script(Haeseo) writing style, Kim Hong-do accepted the style of Aekche(額體: writing style used in Pyeon-aek, a signboard) of Lee Bugwang of Yuan Dynasty; he used the writing style of Yan Zhenqing, a Chinese calligrapher, of Tang Dynasty, in contrast with Kang Se-hwang. For 전서, Kim followed Lee Han-jin(a calligrapher of Joseon) and Im Deuk-myeong(a painter of Joseon) in part; however, he added the pictorial feature, it was the different point from Lee Han-jin. For Palbun(a kind of Clerical script), he learned from Yu Hanji(a calligrapher of Joseon). Through the pen name and the seal of Kim Hong-do, it is possible to guess his age, personal situation, residential area and so on. The pen name ‘西湖(Seo-ho)’ showed ‘his Seoul life, leaving Ansan area’, the seal ‘士能(Sa-neung)’ showed his youth, the pen name using ‘翁(Ong)’ suggested his old age. Also the pen name ‘檀園(Dan-won)’ and ‘小檀(So-dan)’ reflected his respect to Li Liufang(Yi Yu-bang) of Ming Dynasty, thinking of himself as a disciple of Li; it showed that Kim Hong-do was influenced by the style of Li Liufang. Kim Hong-do used various style of Signature Seal(落款印: Nakgwanin), using the technique of ‘depressed(intaglio) engraving’ and ‘embossed(relief) carving’, and with the circular shape and the square shape. Kim used the depressed(intaglio) engraving seal. The signature seal ‘臣弘道(Shinhongdo)’ and ‘士能(Sa-neung)’, of <Jeon Kim-Hong-do Chu-seong-bu-do(a painting by Kim Hong-do, expressing the poetry of Song Dynasty)>, had confirmed the painting as a genuine work of Kim Hong-do. On the contrary, some paintings with unfamiliar signature seal were difficult to be considered as the works of Kim Hong-do; Kim Hong-do has a significant feature of calligraphy and seal of his own. At the contents of Du-in(頭印: a seal used to beginning of the work), it is possible to guess his taste and tendency. Among the frequently used Du-in, ‘一卷石山房(Ilgwonseoksanbang)’ meant his self-portrait, ‘心醉好山水(Simchwihosansu)’ reflected his landscape paintings. As can be seen, Signature Seal was important to show the feature of artist through writing style and seals. Someone can draw the painting similarly, however it is hard to copy the same calligraphic style. 김홍도는 강세황에게 배워 서화에 미친 영향이 크다. 그러나 그림의 다양성은 그의 천재적 기질에서 발현된 것이다. 김홍도가 구사한 서체는 초서와 행서, 해서, 팔분과 전서 등이 있다. 초서와 행서는 강세황과 함께 왕희지 행서필법을 따랐다. 소자(小字) 해서도 강세황과 같은 왕희지의 소자 해서를 썼다. 그러나 대자(大字) 해서는 원나라 이부광의 액체(額體)를 따랐고, 화제에도 당나라 안진경체를 따른 점이 강세황과 다른 점이다. 전서는 이한진과 임득명을 따랐으나 글자에 회화성을 가미한 점이 이한진과 구별되고, 팔분은 유한지를 배웠다. 김홍도의 아호와 인장은 당시 나이, 개인적 상황, 주거지역 등을 엿볼 수 있다. ‘서호(西湖)’에서는 안산을 떠난 서울생활, ‘사능(士能)’에서는 청년 시절, ‘옹(翁)’에서는 노년, ‘단원(檀園)’, ‘소단(小檀)’에서는 명나라 이유방(李流芳)의 제자임을 자처하여 화법에 영향을 받았음을 알 수 있다. 김홍도의 낙관인은 음각과 양각, 그리고 방인(方印, 네모인장)과 원인(圓印, 둥근인장)을 사용하였다. 주로 음각을 많이 사용하였다. <전김홍도추성부도>는 날인된 낙관인 ‘신홍도(臣弘道)’와 ‘사능(士能)’을 통하여 김홍도가 그린 그림임을 확인할 수 있다. 반면에 낙관인과 관지(款識)의 서체가 생소한 그림들은 김홍도의 그림으로 보기 어려운 요건들이 있다. 낙관(落款)의 서체와 인장에 김홍도의 특징이 있기 때문이다. 두인의 내용에는 그의 취향과 성향이 나타나있다. 많이 사용한 두인 중 ‘일권석산방(一卷石山房)’은 그의 자화상, ‘심취호산수(心醉好山水)’는 그의 산수화를 연상하게 한다. 이와 같이 낙관에는 서체와 인장에서 작자의 특징이 잘 나타나 있기 때문에 중요하다. 그림은 유사하게 그릴 수 있으나, 글씨를 같게 하기는 어렵기 때문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