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다산(茶山) 정약용(丁若鏞)의 아동교육(兒童敎育) 개선(改善)에 대한 총체적(總體的) 고찰(考察)

        ( Bong Nam Kim ) 한국한자한문교육학회 2014 漢字 漢文敎育 Vol.33 No.-

        茶山 丁若鏞(1762~1836)이 살았던 19세기 초 조선후기 사회는 깊게 병들어 있었다. 이 시기에 다산은 경상도 장기와 전라도 강진에서 18년 동안 유배되어 있었다. 그러나 그는 세상을 구제하고 백성을 살려 낼 방안을 찾기 위해 힘을 다하였다. 특히 다산은 당시 사회에 만연된 잘못된 학문풍토와 아동교육의 문제점을 개선하고자 하였고, 그것을 통해 대중의 의식을 개조하고 참된 인재를 양성하고자 하였다. 본고는 다산의 아동교육 개선에 대해 총체적으로 고찰하는 것을 목표로 삼았다. 먼저 다산의 아동교육 개선의 발단과 전개과정에 대해 논의한 다음, 개선의 이유와 목표에 대해 조명하였다. 이어서 조선후기 아동교육의 문제점에 대한 다산의 비판과 다산 아동교육방법론의 특징에 대해 논의하였다. 특히 다산 아동교육방법론의 특징에 대해서는 다산의 아동교육 관련 저술을 인성교육·문자교육·지식확충·언어교육의 네 분야로 나누고 각 분야의 특징을 찾아 다산의 아동교육방법론의 특징을 설명하였다. 즉 인성교육 분야에서는 ‘文心을 키워주고 慧竇를 열어주는 교육방법’을, 문자교육 분야에서는 ‘觸類旁通의 교육방법과 字書를 통한 개별 字義 교육방법’을 지식확충 분야에서는 ‘一以貫之를 위한 一以串之식 교육방법’을, 언어교육 분야에서는 ‘改非矯俗식 교육방법’을 특징으로 잡았다. 그리고 맺음말에서는 다산의 아동교육 개선의 의의에 대해 언급하였다. The society of Joseon was deeply plagued in the early 19th century during its latter half when Dasan Jeong Yak-yong(1762~1836) was alive. He was exiled to Janggi, Gyeongsang Province and then moved to Gangjin, Jeolla Province during the times, being detained for 18 years. However, he managed to make the plans of Gyeongsejemin across many different sectors and put them in his 500 books. He particularly intended to correct the wrong academic climate widely spread around the society, improve children`s education with its problems, rebuild the consciousness of the public, and bring up true talents. Under the goal of examining his improvement projects of children`s education overall, this study looked into the initiation and development of his improvement projects of children`s education and shed some light onto their orientation and objectives. The study then criticized the problems with children`s education in the second half of Joseon and discussed the characteristics of his theory on children`s education. His books on children`s education were divided into four areas, namely personality education, letters education, knowledge enhancement, and language education. Each of those areas was examined for its characteristics to explain the features of his educational theories. The area of personality education was characterized by "educational methods to develop the literary mind and open up the source of wisdom"; that of letters education by "educational methods of Chokryubangtong and individual voluntary educational methods through Jaseo"; that of knowledge enhancement by "Iligwanji-style educational methods to penetrate everything with one"; and that of language education by "Gaebigyosok-style educational methods to correct wrong doings and set the mundane world straight." The conclusion mentioned the significance of his improvement projects of children`s education.

      • KCI등재

        茶山의 道家易學비판

        방인(Bang In) 대한철학회 2008 哲學硏究 Vol.108 No.-

          본 논문의 연구목적은 조선(朝蘇) 후기(後期)의 실학사상가(實學思想家)인 다산(茶山) 정약용(丁若鏞)의 도가역학(道家易學)에 대한 비판적 관점을 분석하고자 하는 것이다. 왕필(王弼)은 도가역(道家易) 계열의 중심에 서 있는 인물로서, 한대고문경학의 전통을 계승하면서도, 한대상수학의 방법론을 부정한 사상가이다. 왕필역학은 진(晉)의 한강백(韓康伯)에게로 계승되고 있으며, 당(唐)의 공영달(孔潁達)은 왕필(王弼)과 한강백(韓康伯)의 주(注)에 자신의 소(疏)를 덧붙여 『주역정의(周易正義)』를 편찬하였다. 이러한 왕필의 역학은 『사고전서총목제요(四庫全書總目提要)』에서 양파육종(兩派六宗)의 한 갈래로 설정할 만큼 역학사적으로 중요한 의의를 가지고 있다. 그러나 다산은 왕필역학에 대한 비판적 지양(止揚)을 통해서 자신의 역학이론을 형성한 만큼, 다산과 왕필은 방법론적 측면에서나 혹은 철학적 관점에 있어서나 서로 대척점(對蹠點)에 서있다.   필자는 다산의 도가역학에 대한 비판을 분석하기 위해서 『역학서언(易學總言)』을 주로 활용할 것이다. 『역학서언(易學緖言)』은 역학사의 중요사상가들에 대해 다산이 비평적 관점에서 논평한 것을 모아놓은 것으로서, 이 가운데에는 왕필(王弼)과 한강백(韓康伯) 등의 도가역(道家易) 계열의 역학자들에 대한 다산의 비판이 중요한 한 부분을 구성하고 있다. 『역학서언(易學緖言)』중에서 「왕보사역주론(王輔嗣易注論)」은 다산의 왕필비평이 집중적으로 드러나 있는 부분이므로, 가장 중요한 연구대상이 될 것이다. 아울러, 왕필역학의 계승자라고 할 수 있는 진(晋)의 한강백(韓康伯)에 대한 다산의 비판인 「한강백현담고(韓康伯玄談考)」에 대해서도 상세히 분석할 것이다. 「왕보사역주론(王輔嗣易注論)」과 「한강백현담고(韓康伯玄談考)」에 대한 분석을 통해서, 우리는 도가역에 대한 다산의 비판적 관점의 큰 맥락을 이해할 수 있다. 그 밖에 활용할 수 있는 자료로는 「공소백일평(孔疏百一評)」, 「한위유의론(漢魏遺義論)」, 「정강성역주론(鄭康成易注論)」등이 있다. 「공소백일평(孔疏百-評)」은 공영달에 대한 다산의 비평을 담고 있는 글로서, 당(唐)의 공영달(孔潁達)은 왕필과 한강백의 주에 자신의 소(疏)를 덧붙여 『주역 정의(周易正義)』를 편찬한 인물이기 때문에 역시 매우 중요한 인물이라고 하겠다. 그 다음으로 「한위유의론(漢魏遺義論)」은 한(漢)·위(魏) 제가(諸家)의 학설에 대한 다산의 비평이며, 「정강성역주론(鄭康成易注論)」은 정현의 역론에 대한 다산의 비평이다. 아울러, 다산의 역학관련 주저인 『주역사전』 중에서 왕필에 관해 언급된 부분들도 보충적 자료로서 활용할 것이다.   이러한 자료의 분석을 통해서, 다산은 왕필을 위시한 도가계열의 사상에 대해 지극히 비판적 관점으로 맞섰다는 것을 알게 된다. 왕필은 본래 유가의 경전인 주역을 이념적으로 왜곡시켰을 뿐 아니라, 방법론적 측면에서도 한대(漢代)역학의 상수역적 방법론을 역학에서 제거해 버렸다. 왕필의 역학은 한강백에게로 계승되었는데, 이렇게 해서 도가적 이념에 바탕을 둔 역학해석이 일세를 풍미하게 되었다. 그러나 한역의 상수역적 방법론 가운데에는 술수로 치우쳤다는 부정적 측면도 있으나, 거기에는 동시에 고대역학의 정통적 방법론을 원형 그대로 전수해 내려온 긍정적 측면도 있다. 다산은 역학의 정통적 맥이 왕필에 의해 단절되었음을 개탄하면서, 역의 정통성을 회복시키고자 한 것이다. 유가의 경전인 주역을 도가적으로 해석하려는 경향은 후세에 혼융주의적 해석을 크게 유행시켜, 삼교일치론(三敎-致論)의 큰 흐름을 형성하게 되었다. 다산은 이러한 혼융주의적 해석의 근원에 왕필이 있다고 보았기 때문에, 왕필비판을 통해서 이단적 해석의 뿌리를 제거하고, 수사학(洙泗學)의 본원(本源)으로 복귀(復歸)하고자 한 것이다.   In this paper, I dealt with Dasan(茶山) Jeong Yag-yong(丁若鏞)"s criticism on the Taoistic interpretation of the Yijing(易經). Although there were several other scholars who made a Taoistic interpretation of the Yijing, Wang Bi(王弼) is particularly important because he is the person who, for the first rime, made the Taoistic interpretation on the Book of Change. In almost every aspect regarding Yijing, Dasan"s standpoint is diametrically opposed to Wang Bi"s viewpoint. Dasan who was outspokenly critical of Wang Bi"s philosophy, thought that Wang Bi deviated too far from the right path of the orthodox Confucianism. He maintained that Wang Bi had ignored the significance of xiang(象: the image) although it was an indispensible element for deciphering the meanings of the hexagram statement. It is particularly regrettable that Wang Bi"s disregard of xiang lead to the abandonment of the various interpretive skills which belonged to the Xiangshu School of the Han period, such as huti(互?), guaqi(卦氣), guabian(卦變), najia(納甲) theory. Instead, he replaced them with the theory of Xuanxue(玄學, Dark Learning School). However, from Dasan"s point of view, such removal of Xiangshu interpretive methods did nothing but the harm to the history of the Yijing. He considered Han"s Xiangshu methods to be the precious legacies handed down from the earliest period related to the Yijing. In addition, Dasan reproached Xuanxue(玄學)"s ontological view that the nonexistence should be regarded as the source of every existence. Evidently, it is none other than Wang Bi who initiated such Taoistic interpretation. Afterwards, Han Kang-bo(韓康伯), who had much admired Wang Bi, finally completed the annotation of the Ten Wings(十翼, Shi Yi) unfinished by Wang Bi. Although Kong Ying-da(孔潁達) attached much importance to Wang Bi and Han Kang-bo compiling the Zhouyi Zhengyi(周易正義, The Rectifications of Meanings of Zhouyi), Dasan severely reproached Kong Ying-da for giving consent to their authority. But if one goes back to the origin of this syncretic ideology, it is sure that Wang Bi should be more blamed for initiating such a tendency. As a natural consequence, Dasan, who was firmly determined to remain faithful to the orthodox Confucianism, attempted to revert to the pristine message of the Yijing by criticizing Wang Bi and his successors.

      • KCI등재

        일반논문 : 다산(茶山) 정약용(丁若鏞)의 『혼돈록(혼돈錄)』에 대하여

        김언종 ( Eon Jong Kim ),안세현 ( Se Hyun Ahn ) 한국실학학회 2013 한국실학연구 Vol.0 No.26

        본고는 다산(茶山) 정약용(丁若鏞, 1762-1836)의 잡저류(雜著類) 저술인 『혼돈록(혼돈錄)』 현전본의 종류와 주요 내용을 학계에 소개하고, 이 저술이 지닌 자료적 가치를 부각시키는 데에 목적을 두었다. 『혼돈록』은 신조본(新朝本) 『여유당전서(與猶堂全書)』에 수록되어 있지 않으며, 장서각과 규장각에 소장되어 있는 필사본 『여유당집(與猶堂集)』에 각각 수록되어 전한다. 또 1974년에 영인된 『여유당전서보유(與猶堂全書補遺)』 2집에도 수록되어 있다. 조목은 장서각본이 249개, 규장각본이 225개로 장서각본이 24개 더 많다. 보유본은 장서각본을 저본으로 하면서도 규장각본을 섞어 영인한 것이며, 영인 과정의 오류로 244개 조목만 수록되어 있다. 요컨대 장서각본이 규장각본보다 앞선 초본(初本)일 가능성이 높다. 『혼돈록』의 내용을 통해 볼 때, 이 저술은 다산이 1796년(정조 20) 초계문신으로 『사기영선』을 교정한 것이 계기가 되어 본격적으로 시작되었으며, 전체적인 서술은 유배지에서 완성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혼돈록』 권4의 내용이 『아언각비』에 많은 부분 수용된 것으로 보아, 『혼돈록』 저술은 적어도 『아언각비』가 완성된 1819년(순조 19) 이전에 마친 것임에 분명하다. 『혼돈록』은 총4권인데 권1ㆍ2는 모두 사론(史論)이며 권3의 전반부는 사론이고 후반부는 시화(詩話)이다. 권4는 언어문자에 대한 내용이 대부분이다. 전체 249개 조목 중에 136개가 사론으로 큰 비중을 차지하였다. 249개 조목의 제목과 내용에 대해서는【부록】으로 첨부한 <『혼돈록』 249개 조목 내용 일람표>를 참고하기 바란다. 『혼돈록』은 신조본 『여유당전서』에 들어 있지 않기 때문에 그간 학계의 주목을 받지 못하였으나, 그렇다고 해서 『혼돈록』의 자료적 가치가 떨어지는 것은 결코 아니다. 첫째, 『혼돈록』은 절반 이상이 사론으로 채워져 있는데, 이를 통해 다산의 역사인식을 엿볼 수 있다. 특히 숙종과 정조 연간의 사건과 인물에 대한 논의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다산은 역사적 사실에 근거하여 당파에 얽매이지 않고 냉정하게 역사를 평가하였다. 다산이 자기 나름대로 남인이 분열되고 정치적으로 몰락한 과정을 탐색해 본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중국 역사에 대한 단순한 기록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중국과 우리나라를 비교하면서 우리의 현실에 입각하여 비판적으로 역사를 검토하였다. 둘째, 신조본 『여유당전서』에 수록되지 않은 다산의 시론과 시편을 확인할 수 있다. 남인 시맥에 대한 정보나 칠언고시의 율격에 대한 논의는 다산의 시론 연구에 참고할 만하다. 신조본 『여유당전서』에 수록되지 않은 희작 성향이 농후한 잡체시(雜體詩)는 다산 시세계의 또 다른 면모를 보여준다. 「답수차요(踏水車謠)」와 「반지화곡(班枝花曲)」 등에 대한 논의에서는 다산의 실학자적 면모를 엿볼 수 있다. 셋째, 『혼돈록』은 다산의 여러 저작의 원천 자료 역할을 하였다는 점이다. 『혼돈록』은 『아언각비』 저술의 밑바탕이 되었음은 물론이거니와 여타 문장을 짓는 데에도 크게 기여하였다. 「원사(原赦)」라는 글은 『혼돈록』권1의 「왕가종수칠십(王伽縱囚七十)」이 바탕이 되어 완성되었다. 이외에도 「한전(限田)」ㆍ「현령시책(縣令試策)」ㆍ「개천맥(開阡陌)」 등은 『경세유표』에, 「본생부칭백부숙부(本生父稱伯父叔父)」ㆍ「성치(城雉)」 등은 『상례사전(喪禮四箋)』에, 「세실(世室)」은 『춘추고징(春秋考徵)』에 수용되었다. 넷째, 다산의 저술 편찬 경위를 엿볼 수 있었다. 다산은 『혼돈록』 권1의 7조에서 자신이 지은 『맹자차록(孟子箚錄)』이라는 저술을 언급하였다. 『맹자차록』은 현재 전하지 않는데, 본 조목과 관련된 내용은 『맹자요의(孟子要義)』에서 확인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맹자차록』은 『맹자요의』에 앞서 지었고, 이를 바탕으로 『맹자요의』를 저술한 것임을 알 수 있다. 본고가 다산학의 지평을 넓히는 데에 조금이나마 기여하기를 기대한다. This paper is about a book which is named Hondonnok written by Jeong Yak-yong. This article is a kind of miscellaneous records. In this paper, I introduce the value and bibliography of this book. According to the record of this book, Jeong set out to write in 1796 when he was serving as a government official in Kyujangkak. And he completed it before 1819, during his exiled period. This book was composed in 4 volumes. First two volumes are debates about historic issues. And the others are comments on poems and linguistics. For the information, I attached a table at the end of this paper as a supplement. As this book was not included in the complete book of Yeoyoodang(與猶堂全書), no researchers took notice of it for now. But it does not mean this book has no value. I suggest the important facts of this book like following. First, we can grab his view of history through this book. Especially, we need to pay attention to the people and events of the King Sukjong and Jeongjo era. He tried to evaluate historical facts based on objective point of view. Second, we could find out some unexcavated articles from this book. Among them, some arguments about Namin party and poems are particularly important. Third, this book was a raw material for other writings for him. He wrote this book as a memorandum for the future, and he used it in other books actually. Forth, we can reconstruct the details of his writing in the chronological sequence. In this book, he mentioned some titles of his own books, and these are important evidences about his writings. I look forward to lead some new researches from this paper.

      • KCI등재

        성호학파에서 다산 정약용(茶山 丁若鏞) 역학(易學)의 성립과정(Ⅲ) ― 이익, 신후담의 역학에서 정약용의 역학으로 ―

        서근식 ( Seo Geun-sik ) 한국철학사연구회 2017 한국 철학논집 Vol.0 No.53

        성호학파에서 다산역학이 어떠한 과정을 거쳐서 성립되었는지를 살펴보았다. 다산의 역학은 성호와 하빈으로부터 호체와 효변의 방법을 물려받았고, 다산은 이러한 1가지 방법으로 『주역』을 아우를 수 없다고 생각하였다. 이에 역리사법이라고 하는 4가지 방법을 제시하였고, 「독역요지」를 통해 18가지 방법으로 보완하였다. 이에 다산의 역학이 성립하게 되는 과정을 차례차례 살펴보았다. 성호학파의 종장(宗匠)인 성호 이익으로부터 다산은 호체의 방법을 물려받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다산은 호체의 방법은 주자에게서 왔다고 하고 있다. 이러한 다산의 주장은 정조의 학술정책에서 비롯된 것으로 보인다. 다산은 『주역』을 해석하는 방법으로 하빈으로부터 효변의 방법을 물려받는다. 그러나 다산은 효변을 주자의 뜻이라고 하고 있다. 이 부분은 정조의 학술정책 때문에 어쩔 수 없는 그런 것이다. 다산은 성호로부터는 호체의 방법을 물려받았고 하빈으로부터는 효변을 물려받았지만 다산은 역리사법이라고 하는 4가지 핵심적인 방법을 제시한다. 다산의 현대적 관점은 모기령과 비슷하게 역학사상을 전개했다는 점이 여러 연구자들에게 있었다. 그러나 이러한 관점은 다산 스스로가 서하의 경학관을 비판한 것에서 알 수 있듯이 비슷하다고 보기 힘들다. The formation process of Dasan(茶山)`s Yi Xue(易學) in Xinghuxuepai(星湖學派) was examined. Dasan(茶山)`s Yi Xue(易學) succeeded to the methods of Huti (互體) and Yaobian(爻變) from Seong-ho(星湖) and Ha-bin(河濱), and Dasan(茶山) thought that he couldn`t cover Zhouyi(『周易』) just with this one method. So he suggested the four methods called Yilisifa(易理四法), and supplemented it with 18 methods through Duyiyaozhi(「讀易要旨」). Accordingly, the process of how Dasan(茶山)`s Yi Xue(易學) was established was examined one by one. Dasan(茶山) succeeded to the method of Huti(互體) from Seong-ho Lee Ik(星湖 李瀷), the leading master of Xinghuxuepai(星湖學派). Nevertheless, Dasan(茶山) argued that the method of Huti(互體) had been from Zhu Xi(朱子). However, this argument of Dasan(茶山)`s seems to have resulted from Zhengzu(正祖)`s academic research policy. As a way to interpret Zhouyi(『周易』), Dasan(茶山) succeeded to the method of Yaobian(爻變) from Ha-bin(河濱). However, Dasan(茶山) argued that Yaobian(爻變)was Zhu Xi(朱子)`s intention. He had no choice but this because of Zhengzu(正祖)`s academic research policy. Dasan(茶山) succeeded to the method of Huti(互體) from Seong-ho(星湖) and Yaobian(爻變) from Ha-bin(河濱), but Dasan(茶山) proposed the four key methods called Yilisifa(易理四法). Many researchers have argued that, as for Dasan(茶山)`s modern viewpoint, Dasan(茶山) developed Yi Xue(易學) in a similar way as Xihe Mauqiling(西河毛奇齡). However, this viewpoint cannot be judged to have been similar as it was expressed when Dasan(茶山) himself criticized Xihe(西河)`s Jingxueguan(經學觀).

      • KCI등재

        茶山의「和蘇長公東坡八首」攷

        김상홍 동아시아고대학회 2009 동아시아고대학 Vol.19 No.-

        東坡는 黃州로 貶謫된 지 2년이 되는 1081년에 「東坡八首」를 썼다. 724년이 지난 1805년 조선의 다산은 유배지 康津에서 「동파팔수」에 화운한 「和蘇長公東坡八首」를 썼다. 이 2편에는 時空을 초월하여 유배객의 궁핍한 삶과 애잔한 꿈을 노래한 비애가 공존하고 있다. 다산은 유배지에서 東坡처럼 채소농사를 짓고 싶었다. 그러나 다산은 康津에 유배된 지 5년이 되었으나, 세상이 비루해지고 의리가 퇴색하여, 동파에게 황무지를 빌려 농사를 짓도록 주선한 馬夢得과 같은 사람을 만날 수 없음을 슬퍼하여 「和蘇長公東坡八首」를 지었다. 동파와 다산은 다같이 유배생활을 했지만 귀양지에서의 삶은 큰 차이가 있었다. 다산은 이 시에서 채소농사에 강한 집착을 보였다. 그리고 채소를 가꿀 수 없는 아픔과 궁핍한 삶을 형상화 하였다. 귀양지에서 채마밭을 가꾸는 것은 좋은 消日거리이자 유배의 아픔을 잠시라도 잊을 수 있기에, 다산은 오매불망 그 꿈을 버리지 않았다. 다산은 이 시에서 평생에 채소 먹고 싶은 뜻을 후손에게 유언으로 남겨야 하느냐고 한탄하였다. 이는 유배의 처절한 아픔을 우회적으로 형상화한 것이다. 한편 동파가 유적지 황주의 동쪽 언덕(東坡)을 취하여 호를 “東坡”라 하였듯이, 다산도 萬德寺 서쪽의 茶山으로 거처를 옮기고 난 후에 山 이름[茶山]을 취하여 호를 “茶山”으로 하였다. 이 하나만을 보더라도 다산은 동파를 酷好한 것을 알 수 있다. Dongpa(東坡) wrote Dongpapalsu(東坡八首) in 1081, 2 years after from when he had been exiled to Hwngju(黃州). After 724 years from that time, in 1805, Dasan in Chosun kingdom wrote Hwasojangongdongpapalsu(和蘇長公東坡八首) following Dongpa's rhymes at Gangjin where he was exiled. These two verses deal with an exile's life of distress and his sorrowful dream that correspond with each other transcending the time and space. Dasan wanted to farm vegetables in the place of exile as Dongpa had done. But in Gangjin(康津) he waste 5 years meaninglessly and sorrowed the inevitable reality that the justice had disappeared in this base world and so can't meet the person like Mamongdeuk(馬夢得) who had lent Dongpa a waste land to farm. In Hwasojangongdongpapalsu Dasan described that sorrow. Dongpa and Dasan equally were exiled but their life in the place of exile were deeply different. In that verse Dasan clung to the farming of vegetables. And he expressed his sorrow for the actual in which he can't farm and his life of distress. Dasan remembered when awake or asleep the dream for farming because that to exiled man the farming was a good pastime and that by farming he could forget the pains of the exiled life. In this verse, Dasan deplored that he should make a will to descendants his hope of eating vegetables. These expressions mean the extreme pains in the place of exile. On the other hand, as like Dongpa who made his pen name from Dongpa(東坡) which was the east hill of the historic scene Whangju, Dasan also made his pen name from Dasan(茶山) which was the west mountain from Mandeuk temple after moving. Only by this one fact, we could understand Dasan's respect for Dongpa.

      • KCI등재

        특집 : 다산 정약용의 교육사상과 공부법 ; 다산의 강진 강학과 제자 교학방식

        정민 ( Min Jeong ) 다산학술문화재단 2011 다산학 Vol.- No.18

        다산은 1801년 강진으로 유배와서 1818년 두릉으로 돌아갈 때까지 많은 제자들을 길러냈다. 또한 이들을 훈련시켜 500권이 넘는 엄청난 저작들을 쏟아냈다. 다산은 어떤 프로그램으로 학문의 불모지였던 강진의 제자들을 최고의 학술집단으로 변모시킬 수 있었을까? 다산은 다양한 방식과 효율적인 프로그램으로 제자들을 훈련시켰다. 본고에서는 다산의 제자 교학방식을 단계별, 전공별, 맞춤형, 실전형, 토론형, 집체형 등 여섯 범주로 나누어 살폈다. 다산은 제자들의 단계와 수준에 따라 효과적인 학습의 로드맵을 제시하고, 제자의 개성을 고려하여 문예와 학술로 구분하여 전공을 정해주었다. 또한 성격이나 신분을 따져 각자에게 맞는 맞춤형 프로그램을 제시했다. 이와 아울러 구체적인 작업 매뉴얼을 제시하여 실전을 연습하게 하고, 성취는 고무시키고 태만은 매섭게 야단쳤다. 일상적인 토론을 통해 문제의식을 예각화하고, 작업의 핵심가치를 장악하게 했다. 그리고는 조직적인 시스템을 갖추어 집체 작업을 동시다발적으로 여러 가지 작업들을 대단히 효율적으로 완수해냈다. 그 결과 다산의 제자들은 어디에 내놓아도 조금도 손색이 없는 큰 학자로 성장할 수 있었다. 다산의 제자들의 훈련과정을 자신의 작업과 일치시킨 점도 대단히 높이 평가할만 하다. 다산은 작업의 원동력을 제자를 통해 얻었고, 제자들은 스승의 방법론과 작업 과정에 동참하면서 작업의 노하우를 익혔다. 서로 윈윈의 모양새를 갖추었던 것이다. 이러한 여섯 가지 교학방식의 이상적인 조합을 통해 다산은 작업의 효율성을 극대화하고 시너지 효과를 창출하는 데 성공했다. 다산의 교학 방식은 오늘날 교육학의 관점에서 보더라도 대단히 체계적이고 합리적인 방법으로 보인다. 그 교육학적 함의와 현재적 적용에 대해서는 앞으로 더 활발한 논의가 이어지기를 기대한다. Tasan had trained many disciples from 1801 when he was exiled to Gangjin to 1818 when he returned to Dureung. Also he produced more than 500 books through training his pupils. Then, what programs did he use and how did he transfigure from disciples in Gangjin where was wasteland of the study to the best school? He had trained pupils with various methods and efficient programs. This paper divided his education methods to six categories which are type for each level, major, proper methods, practice, debate, and group. He presented effective road maps according to each pupil`s level and degree. He determined their majors into literature and scholarship considering personality of pupils. In addition, he offered proper programs to each disciple figuring their characters of status. He presented concrete working manuals for practicing, encouraged accomplishments and scolded negligence. He sharpened critical minds through common-or-garden arguments, and let his pupils seize core values of working. Then being equipped to organized system he efficiently completed several works which were made by teamworks all-at-once. As a result, pupils of Tasan had become famous scholars who didn`t suffer by comparison. He came into line discipline courses of pupils with his works. Which deserved to highly appreciate. He gained source of his works from his pupils, and they mastered working knowhow joining teacher`s methods and process of his works. They made shape of Win-Win one another. Tasan achieved creating synergy effect and maximizing work efficiency through ideal combination of these six education methods. His education methods appear very systemic and reasonable even in the view of today`s pedagogy. In further active debates on pedagogic undertone and appling to present are expected.

      • KCI등재

        다산과 연담 유일

        정민 재단법인다산학술문화재단 2021 다산학 Vol.- No.38

        This paper examines the relationship between Tasan Jeong Yakyong and Yeondam, a Buddhist monk of Daedunsa Temple. We would like to collect various materials left by Tasan in his own handwriting, restore the meeting between the two, which has not been confirmed before, and confirm the meaning thereof. Tasan continued his friendship with monks from Daedunsa Temple and Mandeoksa Temple during his exile in Gangjin. Through this work, he led the organization of the temple’s history, including Daedunsaji and Mandeoksaji, and left a number of Buddhist-related poems that were not left out in his collection. Tasan’s relationship with the Buddhist monks was ostensibly the starting point of his friendship with Aam Hyejang. However, the relationship between Tasan and Yeondam, who met when he was studying in his father’s post, who was down to Hwasun at the age of 16, became the medium of connecting Tasan with Buddhism. Yeondam was the teacher of Aham’s teacher, and Aham himself learned from him. Tasan first met Yeondam in 1777, when he was 16 years old. He was well-known as a famous lecturer and was good at poetry. There are many poems exchanged with Yeondam in the literary collection of his father, Jeong Jae-won, and there are still poems left in the literary collection of Yeondam. It also contains poems given to young Tasan during this period. Tasan also expressed his deep respect for his noble appearance in his literary collection. Yeondam provided a place for the Tasan brothers to study for their past exams, visited frequently, and encouraged them. 24 years later, in 1802, when Tasan, who came down to exile at Gangjin, asked about him, Yeondam had already passed away. In response, Tasan, who obtained and read his literary works, expressed disappointment with the editing, and insisted on correcting the errors and publishing them anew. As a result, the new edited version was prepared directly, and several letters and prose writing this process remained as handwritten letters. Most of these materials were omitted from Tasan’s collection, apparently because they were reluctant to engage with monks closely. Tasan’s counterpart in discussing the publication of Yeondam’s literary works was Wanho, a disciple of Yeondam, and Hoyi, a disciple of Wanho. However, the publishing a new collection of literary works probably did not pay off due to financial problems. Tasan put Yeondam on the central stem of the Honam instructor’s genealogy, and saw that the central genealogy from the great Monk Seosan led to Yeondam. Considering that he had established the central genealogy and that Aam and Choyi had been established again, he wanted to establish the legitimacy of the the central genealogy. This is complicatedly intertwined with the complex compositional arrangement of the Daedunsa central genealogy. This Paper is a prerequisite discussion to collect and introduce various verses left by Tasan in one place and to deepen discussions related to the future. 이 논문은 다산 정약용과 대둔사 승려 연담과의 교유와 인연에 대해살핀 글이다. 다산이 친필로 남긴 여러 자료를 수집하여, 그간 확인되지 않았던 두 사람의 만남을 복원하고, 그 의미를 확인코자 한다. 다산은 강진 유배 시절 대둔사와 만덕사 승려들과 벗 또는 사제의 인연을 이어갔다. 이를 통해 『대둔사지』와 『만덕사지』 등 사찰의 역사를 정리하는작업을 지휘했고, 문집에는 누락되고 없는 수많은 불교 관련 시문들을남겼다. 다산이 불승들과 인연을 맺게 된 것은, 표면적으로는 아암 혜장과의교유가 출발점이었다. 하지만 다산이 16세 때 화순 현감으로 내려가 있던 아버지의 임소에서 과거 공부를 할 때 만났던 연담과의 인연이 다산과 불교의 고리를 이어주는 매개가 되었다. 연담은 아암의 스승의 스승이었고, 아암 자신이 연담에게 직접 배운 인연이 있다. 다산은 16세 때인 1777년에 연담과 처음 만났다. 그는 대강백으로 명성이 높았고, 시문에도 능했다. 부친 정재원의 문집에 연담과 주고받은시가 적지 않고, 연담의 문집에도 화답시가 남아 있다. 또 이 시기 어린다산에게 준 시도 실려 있다. 다산도 자신의 문집에 연담과 주고받은 시를 실어, 그의 고결한 모습에 대한 깊은 존경을 표시했다. 연담은 다산형제의 과거 시험 공부를 위해 장소를 제공해주고, 자주 찾아보며 형제를 북돋워주었다. 이후 24년 뒤인 1802년에 강진으로 귀양을 내려온 다산이 연담을 찾았을 때, 연담은 이미 세상을 뜬 뒤였다. 이에 그의 문집을 구해 읽은 다산은 그 체제와 편집에 실망을 표시했고, 오류를 바로 잡아 새로 간행할것을 주장했다. 이에 따라 새로운 편집본의 작성을 직접 진행했고, 이과정을 적은 여러 통의 편지와 산문이 친필로 남아 전한다. 이들 자료의대부분은 다산의 문집에는 누락 되었는데, 승려들과 가깝게 교유했다는 혐의를 꺼렸던 이유로 보인다. 다산과 연담의 문집 간행을 상의한 상대는 연담의 제자인 완호와, 그의 제자인 호의였다. 하지만 연담 문집의재간행은 아마도 재정적인 문제로 인해 결실을 맺지는 못했던 것 같다. 다산은 연담을 호남 강맥의 중심 줄기에다 놓고, 서산대사에서 내려온 도맥이 연담으로 이어졌다고 보았다. 이렇게 嫡傳의 계보를 설정하여, 그를 다시 아암과 초의가 이었다고 보아, 도맥의 정통성을 분명하게세우고자 하였다. 여기에는 대둔사 도맥의 복잡한 구도 정리 문제가 복잡하게 얽혀 있다. 본고는 연담에 대해 다산이 남긴 각종 시문을 한 자리에 수집해서 소개하고, 향후 도맥과 관련된 논의를 심화하기 위한 전제적 논의에 해당한다.

      • [기조강연] 다산과 강진 - 다산학과 강진의 다산문화

        임형택(Lim, Hyung-taek) 연세대학교 강진다산실학연구원 2020 다산과현대 Vol.13 No.-

        다산은 강진으로 유배를 가서 지내는 동안 제자들을 양성하며 저술작업을 하였다. 그리하여 강진 지역을 중심으로 다산학단이 형성되었고 이곳이 다산학의 산실이 되었다. 이런 점에서 ‘강진의 다산문화’를 고려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나아가서 그것을 실천적 과제로 중시할 필요가 있다. 이에 본고는 ‘다산과 강진’을 테마로 설정, 강진에서 다산의 삶과 만난 사람들을 찾아보았다. 그리고 다산학단에서 실시했던 특유의 교육방법론을 ‘독서지도’와 ‘생활지도’의 양면으로 나누어 설명하였다. 끝으로 다산문화를 어떻게 창조적으로 계승할 것인가 하는 문제를 떠올려 다산학단에서 이강회란 존재를 언급하였다. In his exile in Gangjin, Dasan educates pupils and writes numerous researches. Since Dasan School is originated, centering Gangjin as the nursery home, Dasan culture in Gangjin can be regarded academically and practical matter. In this paper, I display his living and encountering specific individuals in it. Moreover, I present his educational methodology as learning guidance and life guidance and his pupil I Ganghoe as the creative successor of Dasan School.

      • KCI등재

        자유주제 : 장기(長基) 유배기 다산(茶山) 시의 성격

        金潤圭 ( Yun Kyu Kim ) 동방한문학회 2013 東方漢文學 Vol.0 No.57

        다산의 장기 유배기간은 그의 삶이 크게 굴절된 시기였다. 그러므로 비교적 짧은 기간이지만 이 시기가 그의 활동적이고 진취적인 삶이 좌절되고 강제로 정지된침음한 삶으로 바뀌는 변곡점이라는 뜻으로는 중요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다산의 이 시기 시들은 그의 전 생애를 통틀어 중요한 변모를 보여주고 있다. 다산의 이전 시기 시들이 형통한 삶이나 진취적인 학문의 생동감을 노래하고 있다면, 이 시기에는 좌절감과 연군의 회상, 문제있는 현실에 대한 발견과 응시를 주 내용으로 하고 있다. 다산은 유배가 시작되면서 시를 짓기 시작하여, 유배지 장기에 도착하면서, 장기에 정착하면서, 정착해서 무료한 날들을 보내면서, 다시 장기를 떠나면서까지 멈추지 않고 시를 지었다. 그 시들은 그의 관찰력을 따라 장기의 풍물을 섬세히 노래하기도 하고, 자신의 삶에 닥친 고난과 좌절감을 가감없이 드러내기도 하고, 지난 왕과의 아름다운 인연에 대한 그리움이 나타나는가 하면, 농어민의 괴로운 삶에 대한공감을 표현하기도 하였다. 그러면서 이 시기 시들을 통해 다산의 시는 현실적 감흥을 획득하고 있다. 이전시기의 시들이 비교적 관념적인 서정시였다면, 이 시기부터는 실제적 사실과 사물에 의한 현실적인 서정의 세계로 전환하게 되는 것이다. 다산은 이 시기에 민중의 고난과 삶의 부조리를 직접적으로 관찰하고 묘사하였다. 그의 시에 의하면 위정자들은 탐욕스러웠고 제도는 미비하였다. 민중은 이런가운데 성실히 살고도 가난과 핍박을 견뎌내고 있었다. 다만 이 시기 다산시는 현실의 문제점을 인식하고 응시하는 경향은 있지만, 다른 시기의 시들에 비해 적극적인 분개가 나타나지 않고 수동적으로 침묵하는 경향은 있다. 그것은 이 시기가 다산에게 갑자기 닥친 고난의 시기였으며, 생사의 전망조차도 불확실한 기간이었음을 감안하여 읽을 부분이 될 것이다. 다산의 장기 유배기 시들은 한국문학사에서 중요한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연구될 필요가 있다. 다산의 시 세계 전체에서 이 시기 시들은 개인적으로 중요한 전환점을 보이기도 하지만, 19세기 현실주의 시의 태동에 이 시기 다산시들은 확실한 기여를 보이고 있기 때문이다. Dasan`s banishment period in Jang-gi was relatively short, being less than one year. So it is not proper to study his whole life or literature with this period alone. However, this period has an important meaning as a turning point, when his active and progressive life had been discouraged and forcibly turned into stationary and gloomy life. In literary aspect as well, the poems of this period shows important change in throughout his whole life. The poems before the period sing prospering life or vitality of progressive academics, whereas poems of this period mainly sing frustration, retrospect of beloved king, or recognition and observation of problematic reality. Dasan started writing poems as the exile period began, and he continuously wrote poems as he arrived in Jang-gi, his banishment region, as he settled in Jang-gi, as he spent tedious days after settlement, and even as he was leaving Jang-gi. Those poems depicts scenery delicately according to his observation, or exhibits sufferings and frustrations he is facing, or shows his longing for precious relationship with the former king, or expresses sympathy with farmers and fishmen`s harsh life. Through the poems of this period, Dasan`s poems gain The study is the result of one of his literature said. Specifically, this study began with an examination on Yoo, In-seok(柳麟錫)`s poem of Interest for nature. He left the _Euiamjip(毅菴集_), which contained 57volums, and investigated 690 pieces of his poetry. His work has been in poetic world his self-recognition as a Confucian scholar. Today, we memory on Euiam(毅菴) Yoo, In-seok(柳麟錫) as a symbolic person who kept fighting against Japan systematically, suffered the pain of the nation. They have studied about him as researching the independence movement and achieved a good result. But he was literature and intellectuals. There are a lot of nature poetry in his work. Especially active in the work several times and left a cruise. He traveled to Mt. Geumgang(金剛山) and the eight famous spots in Eastern Korea(關東八景). and during travel, and he left a lot of work. Spare time, he left a piece of material nature. And his work is left to preside over daily life and Interest in nature comes. Through these results, he is great literature. Independence movement, as well as contemporary literature only was famous. However, in the meantime his literary studies has been very limited. But new research has revealed his literary future should be.realistic inspiration. If the previous poems were comparatively ideational lyric poems, beginning from this period, the poems enter the lyrical world of reality through practical facts and objects. Though ideational statements still appear in the poems of this period, it could gain reality because before this statement were realistic description of barley threshing. Dasan observed and described people`s sufferings and uncertainties of life in this period. According to his poems, authorities were greedy and systems were lacking. People were facing poverty and persecutions in this situation even though they tried to live diligently. Dasan`s poems of this period tend to recognize and observe the problems of the reality, but compared to poems of other period, aggressive anger does not seem to appear and it tend to stay silent. It should be considered when reading that this period was the sudden suffering period for Dasan, and that for him, even matter of life and death was uncertain. Dasan`s poems of banishment in Jang-gi should be examined seriously in history of Korean Literature. Not only it is personally important for Dasan`s poems as a turning point, but also Dasan`s poems of this period give huge influence to the earliest moves of realism poems of 19 century. More importantly, poems of Dasan, who experienced life of the highest policy maker`s to the lowest farmers and fishmen`s, have much more realistic values than other realism poems.

      • KCI등재

        다산 정약용의 문예미학 고찰

        박수밀 재단법인다산학술문화재단 2023 다산학 Vol.- No.43

        본 논문은 그동안 조명받지 못했던 다산의 미적 태도를 살핌으로써 다산을 더욱 깊이 이해하고자 한 것이다. 먼저는 미美와 선善에 대한 다산의 심미 태도를 살펴보았다. 다산의 아름다움은 기본적으로 도덕적 선과 관련이 깊다. 선善은 악惡에 대응되는 의미를 지니면서 한편으로는 현실을 개선한다는 의미도 있다. 다산은 아름다움(美)과 선善은 이곳에 있으므로 이곳에서 최선을 다하는 것이 가장 좋은 것이라 생각했다. 다산은 원시 유가 경전으로 돌아가 자신의 혜안으로 그 정신을 재해석 한 후에 지금의 일상과 현실에 미와 선을 적용하고자 했다. 이를 바탕으로 다산의 문예 미학을 살펴보았다. 다산은 문학은 도와 덕을 싣는 도구이어야 한다고 생각했다. 문학은 기교를 구사하거나 음풍농월이나 유희를 읊어서는 안 되며 예禮를 돕고 나라와 백성을 구제해야 한다고 생각했다. 다산은 도는 한 세상을 바로잡아 구제하는 것이라고 말함으로써 개인의 내면 수양을 강조하는 전통 성리학자들과 달리 사회와 현실에 관심을 두었다. 다산은 문학의 가치가 사회적 약자의삶에 공감하고 이들 옆에 있으면서 이들의 목소리에 귀를 기울이며 도와주는 데 있다고 보았다. 세상과 인간을 향한 바로 이 지점에 다산의아름다운 심미 태도가 빛을 발한다. 다산은 권력과 부당한 현실에 대해서는 격발하고 분노했지만 사회적 약자에 대해서는 한없이 너그럽고따뜻했다. 고통받는 백성과 소외된 인간에 대해서는 연민과 공감의 시선을 보냈다. 그리하여 다산의 문학은 격발하면서도 온화하고 풍자적이면서도 따뜻하다. 인간과 사회를 고쳐서 더 나아진 세계를 만들어 가는 것이 다산의 선善이고 미美였다. 다산은 세속(일상)과 문예를 통일하여 청淸과 아雅의 미의식을 지향했다. 다산은 지금 세속이라는 공간에 애정을 갖되 문학으로 형상화할 때리俚와 탁濁으로 흐르는 것을 경계하고 맑은 운치를 지닐 것을 요구했다. 속俗에서 아취雅趣를 기르기 위해 고古를 배울 것을 요청했다. 18세기 후반 실학자들의 시풍이 대체로 기궤첨신奇詭尖新의 시풍을 지향한 것과 비교해 보면 다산의 문예 정취가 갖는 특성이 더욱 선명하게 드러난다고 하겠다. This paper aims to deepen our understanding of Tasan Jeong Yak-yong by examining the aesthetic attitudes of his that has been neglected. First, it examined Tasan’s aesthetic attitudes toward beauty and goodness. The beauty of Tasan’s is fundamentally related to moral goodness. Goodness is the counterpart of evil, but it also means improving reality. The idea is that beauty and goodness are here at once, so it’s best here to make the best effort. Returning to the original Confucian scriptures and reinterpreting their spirit with his own insight, Tasan sought to apply beauty and goodness to the present day and reality. This brings us to Tasan’s literary aesthetic. He believed that literature should be a tool of help and virtue. He believed that literature should not be skilful, nor should it recite merrymaking, but should help with virtue and save the country and its people. Tasan was concerned with society and reality, unlike traditional Confucian scholars, who emphasized the inner cultivation of the individual by saying that the truth is to rectify and save the world. He saw the value of literature as empathizing with the lives of the marginalized, standing beside them, listening to their voices, and helping them. It is at this point that Tasan’s beautiful aesthetic attitude towards the world and human beings shines through. While he was furious and angry about power and injustice, he was generous and warm toward the underprivileged. He was compassionate and empathetic toward the suffering people and marginalized human beings. Thus, his literature is fiery yet gentle, satirical yet warm. It was the goodness and beauty of Tasan’s to fix human beings and society to create a better world. By unifying the secular (everyday life) and the literary, Tasan aimed for Cheong (淸) – clearness- and Ah (雅) -elegance- aesthetic. Tasan demanded that one should have affection for the secular world, but be wary of flowing into Li(俚)-coarse- and Tak (濁)-cloudy- when expressing oneself in literature, and have a clear mind. He asked them to learn the classics in order to cultivate elegance(雅趣) in the secular world. Compared to the poetic style of the late 18th century, which was largely oriented toward Kigeyichoemshin(奇詭尖新= so fresh and strange, as cutting-edge and new), the characteristics of the literary style of Tasan can be more clearly see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