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다문화가정 구성원을 대상으로 한 문학치료 연구

        오정미 ( Oh Jung-mi ) 한국문학치료학회 2021 문학치료연구 Vol.59 No.-

        인간의 관계 속에서 자기서사를 발견하고 건강한 자기서사가 치료의 목표인 문학치료는 다양한 국적과 인종 그리고 문화를 표상하는 다문화사회에서 더욱 필요한 학문이다. 본 연구는 다문화사회, 다문화가정, 다문화인에서 나오는 ‘다문화’라는 용어에 주목하여, 다문화가정 구성원이 한국사회와의 관계에서 갖게 되는 자기서사를 모색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자기 자신을 사회에서의 타자 혹은 소수자의 위치에서 운영하는 이주민 서사를 발견하였다. 인간관계를 중심으로 한 자녀서사ㆍ남녀서사ㆍ부부서사ㆍ부모서사가 보편적 인간관계 속에서 견인한 문학치료의 자기서사라면 이주민 서사는 다문화로 규정된 공동체 속에서 발현되는 유형성 내지 정형성을 지닌 자기서사이다. 자신을 타자화하는 서사가 강하다면 우리는 누구나 이주민 서사를 가질 수 있으며, 특히, 다문화가정 구성원은 한국사회와의 관계 속에서 이주민 서사를 자기서사로 가질 수밖에 없다. 그래서 결혼이주여성 혹은 한국 남편의 부부서사 문제의 심연에는 이주민 서사가 원인으로써 작동할 가능성이 크다. 다문화가정 구성원의 문학치료를 위해서는 무엇보다 그들이 가진 이주민 서사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고, 이에 다문화가정의 구성원인 결혼이주여성, 한국 남편, 다문화가정 자녀들의 이주민 서사를 제시하였다. 그리고 마틴 부버(Martin Buber)의 인간의 관계론, ‘나와 그것’과 ‘나와 너’의 이론을 통해 건강하지 못한 방향과 건강한 방향으로 이주민 서사를 분류하여 제시하였다. 설화 <막산이>를 통해 이용과 목적 수단을 위한 도구의 비인격적 관계, 즉 건강하지 못한 이주민 서사인 ‘나와 그것’을 제시하였고, 설화 <반쪽이>를 통해 직접적이며 순수한 인격적 관계, 건강한 이주민 서사인 ‘나와 너’를 제시하였다. 이주민 서사는 다문화가정 나아가 다문화사회를 구성하는 이주민과 정주민 모두에게 존재할 수 있는 자기서사로, ‘나와 너’의 관계 속 이주민 서사를 통해 문학치료의 지평을 넓히길 기대한다. Literature therapy, whose goal is to discover and promote healthy story-in-depth of self in human relations, is a particularly critical field of study in a multicultural society. This study closely examined the term ‘multi-culture’ from the viewpoints of a multicultural society, multicultural families, and multicultural people. It also, examined the story-in-depth of self that multicultural family members have in their relationships with the Korean society and found the following: An immigrant epic, in which the self is from the perspective of others or minorities was found. If son-daughter, man-woman, husband-wife, and father-mother epics are story-in-depth of self in literature therapy, an immigrant epic is the story-in-depth of self found in multicultural communities. If the epic to make one’s self be an outsider is strong, anyone can have an immigrant epic. In particular, multicultural family members cannot help but have such an immigrant epic as a story-in-depth of self in their relationships with the Korean society. Therefore an immigrant epic can be the primary cause of an immigrant woman's or her husband’s psychological issues. It is important for literature therapy on multicultural families to understand their immigrant epic and further examine it against immigrant women, their husbands, and their children. This study suggested an immigrant epic with healthy and unhealthy aspects through Martin Buber’s Interpersonal Theory (“I-Thou Relations” and “I-It Relations”). It also proposed a non-personal “I-It relation” through the folk tale ‘Maksani’ and a direct and pure “-Thou” interpersonal relation through ‘Banjjogi.’ An immigrant epic is a story-in-depth of self that can be found in both immigrants and settlers in a multicultural society and a multicultural family. It is anticipated that this study will broaden the scope of literature therapy through an immigrant epic with “I-Thou relations”.

      • KCI등재

        다문화이주여성을 위한 복지선교 연구 -다문화이주여성 면담사례 중심으로-

        박진우 ( Park Jin Woo ) 한국복음주의선교신학회 2016 복음과 선교 Vol.35 No.-

        세계경제의 글로벌화로 인한 경제적인 교류의 확대 그리고 우리나라의 저출산으로 인한 노동력의 감소와 더불어 한국노동자들의 3D 업종 기피등의 사회적인 요인으로 인해 다문화가정이 증가되고 있는 추세이다. 또한 다문화가정의 증가와 더불어 다문화가정에 대한 사회적 차별은 우리사회의 심각한 문제일 것이다. 따라서 본고는 이러한 사회적 현상에 주목하면서 다양한 출신국의 다문화이주여성의 면담을 중심으로 심리사회적 경험을 탐색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 참여한 참여자의 출신국은 태국 1인, 일본 3인, 필리핀 4인이며, 종교는 카톨릭 2인, 기독교 4인, 통일교 2인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2인의 다문화이주여성과의 사전 면담을 통해 반 구조화된 10개의 질문지를 구성한 후, 8인의 면담을 진행하였고, 면담내용을 토대로 분류된 다문화이주여성의 경험은 자녀가 겪는 사회적 어려움을 보게 됨, 자녀의 어려움 앞에 무기력함, 자녀가 사회적 차별을 경험하지 않게하기 위해 노력함으로 나타났으며, 다문화이주여성의 사회적 차별은 지역사회에서 사회적 어려움을 직접 경험함, 한국어 실력 부족으로 인한 어려움을 경험함으로 드러났다. 이러한 사회적 차별로 인한 다문화이주여성의 상한 마음의 해소는 다문화이주여성이 한국사회의 배려를 느낌, 자녀의 모습을 보면서 행복해짐으로 나타났다. 본고는 이와 같은 다문화이주여성과의 면담내용을 근거로 복지선교적 과제를 제시 하였다. The number of multicultural families is increasing due to social factors as increased economic exchanges by globalization of world economy, reduction in the labor force due to low birth rate in Korea, and working population in Korea avoiding 3D jobs(difficult, dangerous, dirty). Also, along with the increased multicultural families, social discrimination against multicultural family would be a serious problem of our society. Therefore, this study paid attention to such social phenomenon to investigate their experiences based on an interview on Multicultural immigrant Women with various native background. Native background of research participants included 1 Thai, 3 Japanese, and 4 Filipino, and 2 participants were Catholic, 4 Christians, and 2 unification church members. This study composed a semi-structured questionnaire with 10 questions through preliminary interview on 2 Multicultural immigrant Women conducted interview on 8 participants, and experiences of foreigners classified through interview contents included experienced social difficulties of children, feel helpless before difficulties, and put effort not to let their children experience social discrimination, and social discrimination of a Multicultural immigrant Women included has experienced social difficulties in local community in person and has experienced social difficulties because of lack of Korean language skills. It was identified that hurt feeling of a Multicultural immigrant Women by such social discrimination got comforted when she felt kind consideration of Korean society and by seeing children grow. This study suggested welfare mission tasks based on the contents of interview with Multicultural immigrant Women.

      • KCI등재

        다문화가정의 이주여성 폭력피해 방지를 위한 경찰활동 방안 : 제주지역을 표본으로

        김윤영,김정규 한국치안행정학회 2013 한국치안행정논집 Vol.10 No.3

        본 연구에서는 한국인 남편에 의한 이주여성의 가정폭력 문제를 개선하기 위한 경찰정책의 개선방안을 네 가지 측면으로 제안하였다. 첫째, 결혼이주 여성에 대한 경찰신고 활성화를 추진해야 한다. 이주 여성의 신고율이 낮은 원인으로 언어의 문제와 경찰의 사건대응에 대한 부정적 인식을 지목할 수 있다. 언어의 문제로 인한 가정폭력 신고의 어려움을 해소하기 위해서는 이주여성 담당 경찰관을 통한 적극적인 홍보활동이 요청된다. 아울러 경찰의 신고 출동시 적극적이고 엄정한 처분과 함께 실질적인 피해자 지원을 연계해야 할 것이다. 둘째, 경찰과 다문화 가정폭력 예방기관과의 상호 보완과 협조관계 구축해야 한다. 경찰의 다문화 가정지원을 위한 자원의 한계를 인식하고 여타 정부기관과의 협조적 측면에서의 연계를 통한 시너지 효과를 배양시켜야 할 것이다. 셋째, 경찰관에 대한 다문화 가정폭력 사건처리에 대한 실효성 있는 교육이 필요하고 이를 통해 다문화가정이 참여하는 가정폭력 예방활동도 전개될 필요가 있다. 넷째, 다문화가 선행된 외국의 경우 소수민족 등을 배려하기 위한 국적별 채용을 시행하여 조직에 다문화 지원 역량을 확보하고 있다. 한국에서도 결혼이주민에게 실질적인 경찰지원을 위해 이주여성의 경찰채용이 확대되어야 할 것이다. 한국사회의 다문화 상황은 아직 낙관할 수 없는 상황이다. 다문화 사회를 이루는 기초영역인 다문화 가정은 반드시 보호되어야 한다. 경찰은 온전한 다문화 가정을 유지하는데 심각한 위해를 초래하는 가정폭력 문제에 대해 그 심각성을 재인식하고 적극적인 대응방안을 지속적으로 추진해야 할 것이다. 이러한 경찰의 노력은 향후 다문화 사회의 안정적 정착에 중대한 기여를 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mprove of multi-cultural families immigrant women issues. This paper proposed that the four improvement plans of police policy about multi-cultural families violence. First, police report should activate for the victim of domestic violence about multicultural migrant women. Immigrant women of multi-cultural families do not report to the police because they have negative perceptions of the police and can’t be able to communicate.The police officer in charge of migrant women should help to report about domestic violence. In addition, the police officer must respond strongly against assailant and victims should be protected substantially. Second, police and domestic violence prevention organization should be established. Police do not have enough resources to support multicultural families so police cooperate with other government agencies to support effective multicultural family. Third, training for police officers must carried out multicultural domestic violence cases. Multicultural families involved domestic violence prevention activities need to be developed. Finally, polices should employ migrant women that is to give practical help for them. Korea's multicultural society is not optimistic the situation up to the present. Forms the basis for the settlement of a multicultural society is the famil. Therefore multi-cultural families must be protected. The reform of police policy about multicultural domestic violence will make stable multicultural society in korea.

      • KCI등재후보

        지방의 다문화가정을 위한 지원정책에 관한 연구

        곽영길,곽영길,오세연 한국자치행정학회 2010 한국자치행정학보 Vol.24 No.1

        다문화 사회로의 현상은 우리나라뿐 아니라 전 세계의 공통적인 현상이다. 현재 국내 체류 외국인은 110만 명을 넘어섰고, 그 중 대부분은 결혼과 취업을 위하여 국내에 유입되었다. 특히 주변의 동남아시아에서 국내의 한국남성과 결혼하기 위하여 한국에 오는 경우는 해마다 증가추세이고, 이 결과 다문화가정을 형성하는 경우도 크게 늘고 있다. 그러나 우리나라는 다문화가정의 결혼이주외국인여성에 대한 사회 내 적응정책에 대한 구체적인 시스템의 구축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아 많은 문제를 안고 있는 실정이다. 더욱이 다문화가정의 특성을 고려하지 않은 일방적이고 획일적인 정부의 정책은 다문화가정의 이주여성과 자녀들이 한국에 적응하기 어려운 상황을 만들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지방의 다문화가정의 지원정책에 대한 문제점을 살펴보고 이에 대한 대책방안을 논의하고자 한다. 다문화가정의 문제점으로는 첫째, 대부분의 정책이 한국어 교육과 단순 직업에 종사할 수 있는 직업프로그램이어서 전문적인 직업을 갖거나 경제적인 수입을 늘릴 수 있는 기회가 적어서 결혼이주외국인여성의 자립을 힘들게 하고 있다. 둘째, 경제적인 자립의 어려움은 다문화가정의 결혼이주여성들이 남편에게 전적을 경제성을 의존하게 되고 이는 곧 남편이 폭력을 휘둘러도 참고 살 수밖에 없는 상황에 놓이게 하고 있다. 셋째, 법적 제도에 있어서도 국적취득과 자녀의 양육권, 이혼 등이 다문화가정의 이주여성에게는 거의 불리하게 작용되기 때문에 불법체류자로 전락하거나 자녀를 두고 고국으로 돌아갈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토대로 지방의 다문화가정의 해체를 막고 우리나라 사회에 온전하게 하나의 구성원으로서 자리 잡을 수 있도록 여러 가지 지원정책이 이루어져야하며, 또한 지방정부와 중앙정부와의 연계를 통한 적극적인 노력도 있어야 할 것이다. 이러한 노력의 일환으로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일괄적이고 형식적인 제도에서 벗어나 다문화가정의 욕구를 고려하여 단계적이고 체계적인 여러 가지 제도와 정책이 마련되어야 한다.

      • KCI등재

        일반논문 : 다문화가정의 가정폭력에 대한 경찰활동방안 -심층면접을 중심으로-

        박진희 ( Jin Hee Park ) 한국경찰학회 2012 한국경찰학회보 Vol.14 No.2

        세계적인 국제화 흐름 속에 국내의 외국인 증가에 따른 현상과 문제점들이 발생하고 있다. 특히, 결혼이민자의 폭발적 증가로 인한 다문화가정의 문제가 최근 몇 년 사이 매우 중요한 사회적 이슈가 되고 있다. 다문화 가정의 가정폭력은 끊임없이 증가하고 있으며 그로 인한 대응 방안은 주로 사회복지적 측면에서 이루어지고 있어 형사법적인 대응책 마련이 시급하다. 이에 이 연구에서는 다문화가정의 가정폭력에 대한 경찰활동방안을 연구하고자 하였다. 먼저 다문화가 정의 가정폭력에 대응하는 경찰활동의 실태를 파악하기 위해 2011년 10월 31일에서 11월 14일까지 충남 지역의 다문화가족지원센터, 이주여성 긴급지원센터와 경찰서에 의뢰하여 이주여성 긴급지원센터 근무자 6명과 경찰 5명을 대상으로 심층면접을 하였다. 그 결과 다문화가정의 가정폭력에 대한 경찰활동의 문제점은 이주여성에 대한 차별적 편견과차별적 대우, 이주여성 수사에 대한 전문성 부족, 경찰관의 소극적 태도, 다문화가정의 가정폭력 대응을 위한 교육의 부재로 나타났다. 이에 다문화가정의 가정폭력에 대한 경찰활동방안은 다음과 같다. 첫째, 다문화가정에 대한 인식개선을 하여야 한다. 이를 위해 멘토링 제도와 다문화가정이 참여 할 수 있는 범죄예방프로그램 등이 개발되어야 할 것이다. 둘째, 이주여성 경찰관을 활용하고 외사경찰의 내실화와 다문화가정의 가정폭력전담반을 설치·운영하여 경찰의 전문성을 제고하여야 한다. 셋째, 가정폭력의 범위 명확화 등 가정폭력에 대한 올바른 인식제고와 경찰의 적극적인 홍보가 필요하다. 넷째, 다문화 가정의 가정폭력의 입증 절차를 간소화하고 긴급임시조치권을 적극 활용하여 경찰의 가정폭력에 대한 적극적 대응을 하여야 한다. 마지막으로 다문화가정의 가정폭력에 대응하기 위한 경찰의 장기적이고 전문적인 교육이 강화되어야 할 것이다. International flow of foreigners in the domestic world of phenomena and problems are due to the increase is occurring. In particular, due to the explosion of immigrant women in multicultural family issues in recent years has become a very important social issues. The ever-increasing multi-cultural family violence and the resulting social welfare countermeasures mainly takes place in the intellectual aspects of the preparation of a criminal countermeasures is urgently needed. In this study of this multi-cultural families on domestic violence was to study ways to police activities. First, to respond to domestic violence in multicultural families the reality of police activities to identify 2011 for October 31-November 14, Chungnam area`s multicultural family support centers, Migrant Women`s Emergency Support Center and the Migrant Women`s Emergency referral to the police. Support workers in six and a police officer, 5 patients were in-depth interviews. As a result of multicultural families of police activities on domestic violence issues for migration, discriminatory prejudices and discriminatory treatment of women, migrant women`s lack of expertise in the investigation, the officer`s passive attitude, multicultural family support for domestic violence appeared to lack of education. This multi-cultural family violence measures for police activities are as follows: First, to improve awareness of multicultural families should be To this end, mentoring programs and to participate in multi-cultural families and crime prevention programs should be developed. Second, take advantage of immigrant women and foreign affairs police officer hwawa boudoir Domestic Violence Task Force and the installation of multi-cultural families · enhance the professionalism of the police operation should be. Third, clarify the scope of domestic violence, domestic violence, including awareness raising and active promotion of the police is required. Fourth, multicultural family of domestic violence and emergency temporary measures simplify the process of proving the right to take advantage of the police response to domestic violence should be a positive. Finally, in response to domestic violence in multicultural families in the long-term and specialized training for the police should be strengthened.

      • KCI등재

        다문화가정 이주여성의 한국어능력이 자녀의 한국어능력 발달에 미치는 영향

        최현욱 ( Hyun Wook Choi ),황보명 ( Bo Myung Hwang )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2009 특수교육저널 : 이론과 실천 Vol.10 No.4

        다문화가정 아동들의 언어능력에 대한 관심이 급증함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이들의 한국어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으로 어머니인 다문화가정 이주여성의 한국어능력과 기타 관련변인들(부모의 교육수준, 가족의 월 소득수준, 아동의 연령, 가족형태)을 살펴보았다. 연구 대상은 결혼으로 인하여 한국으로 이주한 이주여성 24명과 그 자녀 24명(생활연령 M=5세 2개월, SD=9.08개월, 남아 10명, 여아 14명)이었다. 다문화가정 이주여성의 한국어능력은 그림어휘력검사, 구문의미이해력검사, 한국판 보스톤이름대기검사, 우리말 조음ㆍ음운평가를 이용하여 수용언어능력 측면에서 수용어휘력과 구문의미이해력을, 표현언어능력 측면에서 표현어휘력과 자음정확도를 살펴보았다. 다문화가정 자녀의 한국어능력은 그림어휘력검사, 아동용한국판보스톤이름대기검사, 우리말 조음음운평가를 이용하여 수용언어능력 측면에서 수용어휘력을, 표현언어능력 측면에서 표현어휘력과 자음정확도를 살펴보았다. 다문화가정 이주여성의 한국어능력과 함께 기타 관련변인들이 그 자녀의 한국어능력과 어떠한 상관이 있는지 살펴보기 위하여 Pearson 상관분석을 이용하였다. 연구 결과, 다문화가정 이주여성의 한국어능력 중 수용어휘력은 4세 ~ 4세 5개월 수준으로, 구문의미이해력은 5세 수준으로 나타났고, 표현어휘력 또한 5세 수준이었으며 자음정확도는 94.98%로 나타났다. 다문화가정 자녀의 한국어능력 중 수용어휘력과 표현어휘력은 4세 ~ 4세 5개월 수준, 자음정확도는 89.02%로 생활연령에 비교하여 1세 정도 낮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다문화가정 이주여성의 한국어능력과 그 자녀의 한국어능력 간의 상관을 살펴본 결과, 어머니의 자음정확도는 아동의 자음정확도와 표현어휘력과 높은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수용어휘력과는 낮은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어머니의 표현어휘력은 아동의 표현어휘력과 높은 상관을 나타내었다. 그리고 어머니의 구문의미이해력은 아동의 자음정확도와 가장 높은 상관을 나타내었다. 기타 관련변인들 중에는 아동의 연령이 아동의 수용어휘력, 표현어휘력, 자음정확도와 높은 상관을 나타냈으며 아버지의 교육수준이 아동의 수용어휘력, 자음정확도와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다문화가정 아동들의 언어능력 이해에 기초자료를 제공한다는 측면에서 의의가 있다. This study attempted to investigate variables(mother’s Korean abilities and association variables) related to Korean abilities of children in multi-cultural family.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24 children(mean of chronological age: 5years 2month and boy 10, girl 14) and 24 their mothers in multi-cultural family. We used for all subjects the questionnaire and formal language tests to identify variable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Korean abilities of mothers in multi-cultural family were very low. And the Korean abilities of children in multi-cultural family were lower than that of children in single-cultural family. Second, the Korean abilities(receptive vocabulary ability, expressive vocabulary and percent of correct consonants) of children in multi-cultural family were in a significantly positive correlation with the Korean abilities(understanding about syntactic meaning and percent of correct consonants) of mothers. Third, the chronological age and father’s educational level of children in multi-cultural family were in a significantly positive correlation with their Korean abilities(understanding about syntactic meaning and percent of correct consonants).

      • KCI등재

        도시형 다문화가정 결혼이주여성의 문화적응과 식생활행태 분석

        김정현 한국가정과교육학회 2015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Vol.27 No.4

        한국 사회는 국제결혼 등의 원인으로 다문화사회로 급변하고 있다. 본 연구는 도시형 다문화가정 결혼이주여성의 문화적응과 식생활행태를 분석하고, 어떤 관련성이 있는지에 대해 규명하였다. 조사대상은 대전시 거주 다문화가정 89가구의 결혼이주여성을 대상으로 하였다. 이는 우리나라 다문화가정 결혼이주여성의 출신국의 비율과 유사하게, 중국(39.3%), 베트남(28.1%) 그리고 일본을 제외한 기타 국가로 나타났다. 도시에 거주하는 다문화가정 결혼이주여성의 문화적응 유형은 연령이 높을수록, 거주기간이 길수록, 자녀가 있을수록 통합유형 성향이 유의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거주기간과 자녀의 유무는 동화유형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로 나타났다. 베트남 출신 결혼이주여성의 경우 다른 집단에 비해 주변화유형으로 나타났다. 문화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식생활행태 관련 변인을 분석한 결과, 식사 태도, 식사의 다양성 그리고 생활과의 균형성 및 식생활행동은 문화적응 유형 중 통합유형과 유의적으로 관련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인구학적 변인과 식생활행태 변인의 문화적응에 대한 영향력 분석을 한 결과, 통합유형인 문화적응에서 거주기간(31.4% 설명력), 한국어 사용 능력(34.2% 설명력), 그리고 식사의 다양성(33.5% 설명력)이 유의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도시형 다문화가정 결혼이주여성의 문화적응은 통합유형에 있어, 식생활행태가 중요한 변인으로 작용함을 알 수 있었다. 이에 도시형 다문화가정 결혼이주여성의 긍정적인 문화적응은 올바른 식생활행태 확립이 요구되며, 이를 위하여 관련 분야에서의 다양한 연구 및 프로그램 개발 및 실행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The Korean society has been dramatically changed in its population, with rapidly increasing number of multicultural families through international marriages. The objective is to investigate the dietary patterns as an acculturation for multicultural families in urban area. The research target was 89 marriage immigrant females in Daejeon, in whom 50.6 % was in their twenties and 49.4 % was in their thirties to forties. 39.3% of the subjects was from China and 28.1 % from Vietnam, which showed similar pattern to the ratio of marriage immigrants’ homeland in Korea. As age goes higher, cultural adaptation in Korea was the integration pattern. Marriage immigrant females from Vietnam showed the highest rates of marginalization pattern as cultural adaptation. Moreover, those with longer marriage duration and with children tend to show higher rates of integration pattern. ‘Food attitude’, ‘food diversity’, and ‘balance life’ as eating behaviors are related with acculturation. In conclusion, the multicultural families in urban area showed integration acculturation patterns, which could be influenced by their socioeconomic factors, such as residence period and Korean language ability and food diversity as dietary patterns factors. Further study with a quantitative analysis is needed in order to understand the effect of dietary patterns on acculturation in the multicultural families.

      • KCI등재

        다문화가정 이주여성의 여가관 분석

        윤민숙(Min-Sook Yun),이정흔(Jeng-Heun Lee),김정련(Jeong-Ryeon Kim) 한국콘텐츠학회 2011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1 No.6

        연구의 목적은 다문화가정 이주여성의 여가관 분석을 규명하는데 있다. 이 연구는 2010년 경기도·대전·충남·충북 지역 소재 다문화가정지원센터 프로그램에 참가하고 있는 이주여성들을 모집단으로 선정한 다음 유의표집방법(purposive sampling method)을 활용하여 140명의 연구대상을 표집 하였다. 최종분석에 사용된 사례수는 총 89명이다. 설문지의 신뢰도는 Cronbach’s α 값이 .613이상으로 나타났다.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다문화가정 이주여성들의 평일 여가시간은 ‘1~2시간’이 가장 많다. 둘째, 다문화가정 이주여성들의 주말 여가시간은 ‘1~2시간’이 가장 많다. 셋째, 다문화가정 이주여성들의 여가활동만족은 ‘보통’이 가장 많다. 넷째, 다문화가정 여가활동 선호도는 ‘여행’이 가장 많다. 다섯째, 다문화가정 이주여성들의 여가활동 동반자로는 ‘배우자’가 가장 많다. 여섯째, 연령, 학력, 국적, 기간에 따라 다문화가정 이주여성들의 여가제약은 차이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elucidate the analysis on leisure viewpoint of immigrant female of multi-cultural families. This survey research have been performed with 140 of immigrant females who participate to the program of multi-cultural families support center located in Kyungki-do, Taejeon city, Chungnam-do and Chungbuk-do in 2010 by purposive sampling method. The final analysis was obtained from the survey results of total 89 immigrant females and the credibility of this survey represented Cronbach’s α value above .613. The apparent results were the follows: First, the major leisure time of immigrant females of multi-cultural families on week days as well as weekend represented to be 1~2 hours. Second, the satisfaction on leisure activity of immigrant females was average level. Third, the best preference as leisure activity was travel. Fourth, their husbands were the favor partner for leisure activity of immigrant females. Fifth, the restriction on leisure activity of immigrant females showed some differences based on age, academic background, nationality and residence period. That is, personal restriction of age was below 25 years old, the highest personal and relative restriction of academic background represented in immigrant females below middle school graduator. Furthemore, the structural restriction and personal restriction on nationality showed the highest in the china and phillippine females, relatively. Personal restriction on residence period was mainly represented in immigrant females residing during 2.1~4 years.

      • KCI등재

        다문화 가정의 부부 교육 방안 -<김현감호(金現感虎)>와 사례를 중심으로-

        조광국 한중인문학회 2009 한중인문학연구 Vol.28 No.-

        본 논문은 다문화 가정의 부부를 위한 실제적인 교육 방안을 모색하는 데 목적을 둔다. 문학작품을 통한 교육 단계와 사례를 통한 교육 단계를 마련하고, 이 둘을 통합하는 방안을 마련해 본다. 구체적으로는 문학교육이 사례교육으로 이어지게 하고, 사례교육에서 문학교육의 내용을 환기ㆍ심화함으로써 양자가 상호 보완성과 논리적 일관성을 갖추도록 한다. 제 1단계. <김현감호>의 독법을 부부 이야기로 맞추고, 그 이야기가 다문화 가정의 부부생활과 통한다는 점을 짚어준다. 김현 이야기와 신도징 이야기의 ‘남편-호녀’ 혹은 ‘남편-호녀-친정가족’ 부부서사가 오늘날 다문화 가정의 ‘한국인남편-이주여성’ 혹은 ‘한국인남편-이주여성-친정가족’ 부부서사와 통한다는 점을 알아차리게 하는 것이다. 그 과정에서 한국인남편과 김현ㆍ신도징의 모습을 대응시킴으로써 한국인남편의 부족한 점을 우회적이고 간접적으로 성찰하게 하는 계기를 제공한다. 그리고 두 이야기에서 호랑이는 부부 사이에 존재하는 실제적이고 심리적인 거리감을 의미하는 이미지이고, 그런 호랑이의 이미지와 같은 것이 다문화 가정의 부부 사이에도 존재할 수 있음을 깨닫게 해준다. 제 2단계. 다문화 가정의 부부 사례를 활용하는 교육 단계인데, 세부적으로 두 과정을 둔다. 첫째 과정에서는 제 1단계의 두 이야기에서 추출한 ‘남편-호녀’의 부부서사를 환기하면서, 다문화 가정의 ‘한국인남편-이주여성’ 부부서사에서의 문제점을 객관화하는 교육을 실시한다. 둘째 과정에서는 다문화 가정의 ‘한국인남편-이주여성-친정가족’ 부부서사에 초점을 맞추어 ‘이주여성-친정가족’의 연결고리 확보의 중요성을 언급한다. 한편으로 이주여성의 한국인남편에 대한 이해와 배려의 필요성을 보완함으로써 부부문제 해법에서의 균형성을 갖춘다. 부부가 서로 배려하고 사랑하는 실제적인 행위가 뒤따라야 하며, 그런 노력들이 고귀하다 는 결론을 내린다. This paper aims at groping a method of the multicultural couple education. To put it concretely, first I draw up the literature education and form the case education about the multicultural couple, at last join the literature education and the case education together. On first education stage is as follows. we extract the narrative of a married couple in Kimhyenkamho, and evoke attention as following. There is a similarity of the married-couple-narrative of a between Kimhyenkamho and multicultural family. Going through the process stage of comparing korean husband with two heros in Kimhyenkamho, we point out the shortage and deficiency of korean husband. And we indicate the point that the tiger is the image of the practical and psychological sense of distance between husband and wife, and indicate the point that the tiger’s image can exist in korean husband and immigrant wife of multicultural family. On second education stage is as follows. That is the application education through the cases of korean husband and immigrant wife in multicultural family. Here are two processes; one is objectifing the troubles between korean husband and immigrant wife, the other is considering the importance of securing connection wife with her parents’ home. And we take complementary measures that immigrant wife needs have comprehension and consideration about her korean husband, and then we can make them desire happy life. At last we conclude that korean husband and immigrant wife must a practical deed of regarding each other and loving each other, such deed is valuable.

      • KCI등재후보

        그림책 읽기 프로그램의 적용과정에서 표출된 다문화가정 이주여성의 반응양상

        김정원 ( Jung Won Kim ),남규 ( Gyu Nam )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2009 어린이문학교육연구 Vol.10 No.2

        본 연구의 목적은 그림책 읽기 프로그램 적용과정에서 나타난 다문화가정 이주여성의 반응양상을 알아보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서울 N구에 거주하는 다문화가정 이주여성 4명을 대상으로 19권의 그림책으로 하는 그림책 읽기 프로그램을 주 1회씩 총 12회를 실시하였다. 다문화가정 이주 여성의 반응 양상을 알기 위하여 전사자료, 연구자관찰일지, 이주여성과의 상담 자료, 이주여성의 활동결과물 포트폴리오를 수집하였으며, 이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다문화가정 이주여성들은 그림책 함께 읽기 과정을 통하여 다양한 문화를 경험하였으며 자신의 모국 문화에 관해서도 자부심을 가지고 보다 긍정적인 마음으로 접근하게 되었다. 둘째, 다문화가정 이주여성들은 그림책을 읽으며 보다 흥미롭고 재미있는 방법으로 한국어를 학습하게 되었다. 셋째, 다문화가정 이주 여성들은 그들이 떠나 온 모국의 가족들과 새로이 형성한 한국의 가족 모두에 대한 사랑의 감정을 표출하였다. 넷째, 다문화가정 이주여성들은 그림책을 함께 읽는 경험을 통하여 자녀 교육에 많은 도움을 받고 부모로서의 효능감이 향상됨을 표현하였다. This study examined the responses of females who have multi-cultural background in the process of picture-book reading.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4 migrant females. To analyze the responses of migrant females, observational records, video tapes, interview reports, and portfolios were collected and analyzed. Results showed that (1) migrant females experienced various cultures without prejudice through multicultural picture-book reading and they represented positive attitude and pride toward their own cultures: (2) migrant females have learned Korean through a lot more interesting teaching-learning methods. (3) migrant females represented affection towards their families both in their own country and in Korea. (4) migrant females attained meaningful help to teach their children and they expressed their feeling of effectiveness as paren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