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외국인 관광객의 농촌관광 선택속성에 따른 만족도 및 충성도 연구

        김기현 ( Ki Hyun Kim ),최연화 ( Yeon Hwa Choi ),윤유식 ( Yoo Shik Yoon ) 대한관광경영학회 2015 觀光硏究 Vol.30 No.3

        본 연구는 외국인 농촌관광 목적지로서 농촌체험마을의 관광자원 및 관광상품의 의미를 재해석하고 중요속성과 만족도의 비교·평가를 통한 향후 외국인 농촌관광의 활성화를 이끄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농촌체험마을을 방문하는 외래관광객들의 관광행동특성을 파악하기 위한 중요도 및 만족도, 행동의도 등 다양한 변수를 이용하였으며, 농촌관광의 서비스 평가에 대한 중요도-만족도 총 17개의 항목에 대해 IPA분석과 요인 및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먼저, 외국인 농촌체험관광에 대한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설정된 중요도-만족도의 각각 17개 항목에 대한 요인분석결과 중요도는 총 4개의 요인(정보안내 서비스 및 특산물, 인적 서비스, 농촌관광 프로그램, 농촌관광 수용태세), 만족도는 총 4개의 요인(농촌관광프로그램, 정보안내 서비스, 농촌관광 수용태세, 인적 서비스)으로 구분되었다· 또한 농촌관광 중요속성에 대한 국가별(중화권, 일본권, 기타)차이분석 결과 각 지역별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만족도에 대한 국가별 차이분석 결과 일본권을 제외한 중화권 및 기타권에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외국인 농촌관광객 활성화 방안의 마련과 농촌체험마을의 전략 수립방안에 유용한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foreign tourists`` rural destination selection attributes that affect travel satisfaction and destination loyalty. Foreign tourists`` perception, attitude, and behavior related to rural tourism destination has not been studied thoroughly and a few studies has been conducted to show foreign tourists`` motivation, benefit sought, and satisfaction. It is important for rural tourism developers and marketers to understand what attributes affect rural destination and satisfaction in foreign tourists in order to promote and develop rural tourism product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result of factor analysis of each of the 17 items. The importance factors were divided into 4 factors(information services and specialties, staff services, rural tourism program, and rural tourism preparedness) and the satisfaction factors were divided into 4 factors(rural tourism program, information services, rural tourism preparedness, and staff services). For improvement of competitive power of rural tourism villages, IPA analysis was conducted. The interpretation of the IPA is graphically presented on a grid divided into four quadrants(Concentrate Here, Keep Up the Good Work, Low Priority and Possible Overkill). In addition, this study was conducted analysis of regional differences(China, Japan, Other regions). By identifying foreign tourists’ needs and expectations, rural tourism village operators will be better able to prioritize tasks, allocate their resources, and develop tailor-made marketing strategies for their target segments.

      • KCI등재후보

        농촌관광 동기가 농촌어메니티자원 선호에 미치는 영향

        민양기,이윤섭 동북아관광학회 2014 동북아관광연구 Vol.10 No.1

        본 연구는 농촌관광 기반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농촌관광 동기이론을 중심으로 농촌어메니티자원과의 관계를 실증적으로 규명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농촌관광 동기는 교육성, 심미성, 일탈성, 체험성 등 4 개의 요인으로, 농촌어메니티자원은자연적자원, 문화적자원, 사회적자원으로 구분하였으며, 실증분석을 위하 여 수도권의농촌관광 잠재관광객을 대상으로 274부를 본 연구에 활용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농촌관광 동기는 농촌어메니티 자연적자원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나타났다. 둘째, 농촌관광 동기는 농촌어메니티 문화적 자원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농촌관광 동기는 농촌어메 니티 사회적 자원에 정(+)의 영향을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과적으로 농촌관광동기는 농촌어메니티자원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러한 연구결과 를 통하여 농촌관광의 기반조성을 강화하기 위한 실무적인시사점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 농촌관광의 6차산업화 비즈니스 모델

        박시현(Park, Si-Hyun) 한국농어촌관광학회 2015 농어촌관광연구 Vol.22 No.1

        농촌관광 6차 산업화 비즈니스 모델은 농촌관광을 경영체의 입장에서 바라보는 것을 기본으로 한다. 우리나라의 농촌관광 특성상 농촌관광 6차산업화 비즈니스 모델은 Kobayasi(2012)가 말한 유통채널형과 교류형에서 교류형에 가깝지만 농촌관광이 지속성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유통채널형 요소를 일부 도입할 필요가 있다. 농촌관광의 6차 산업화 비즈니스 모델은 결국 농촌관광의 산업화를 기반으로 한다. 이를 위해 가장 중요한 것은 우수한 농촌관광 상품 개발이다. 농촌관광 상품의 표준화도 농촌관광 산업화에 중요하다. 농어촌 민박가구 중에서 농어촌관광의 기본 취지에 적절한 민박을 재분류하여 이 들 민박에 대한 정책지원을 강화하는 것도 필요하다. 농촌관광의 산업화를 위해서는 보험, 온라인 예약 및 결제 시스템의 정비가 필요하다. 마을단위 농촌관광 사업의 문제의 발단은 농촌관광 사업을 추진할 수 없는 역량을 갖춘 마을이 정부지원 대상 마을로 선정하는 것이다. 정부 지원 혹은 지정을 받은 마을이 마을 사업을 추진하는 과정에서 사업조직 마케팅 등에 유의해야 한다. 기타 농촌관광 비즈니스 모형으로 중간 매개 조직 혹은 컨설팅 기능 활성화, 농촌관광 주체와 관련기관간의 협력, 농촌관광 국제화, 새로운 라이프 스타일에 대응한 농촌관광 상품개발이 필요하다. This study is aimed toward identifing the condition for Business model of 6<SUP>th</SUP> industry of agriculture for rural tourism. The study covers the following contents: theoretical review of 6<SUP>th</SUP> industry of agriculture and business model, review of current status of Korea rural tourism and the policy direction and tasks in order to invigorate rural tourism for setting out business model of 6th industry of agriculture. As for the policy direction of rural tourism for setting out business model of 6<SUP>th</SUP> industry of agriculture, the following suggestions are made: strengthening of industrial base of rural tourism, ensuring internal stability of rural tourism village project, overhaul of other support systems, expansion of foreign rural tourists, and development of tour packages and products.

      • KCI등재

        농촌관광 체험요인이 지속적인 교류의사에 미치는 영향

        송완구,박정화,조용현 한국관광학회 2011 관광학연구 Vol.35 No.5

        This study conceptualized the component of rural tourism experiences in terms of five dimensions. It also explained their impacts on the tourists' trust in rural residents/ products, satisfaction, and intention of continuous interchange with rural residents. The data used in this study were collected from 189 visitors of rural tourism villages. Results showed that out of five dimensions of rural tourism experience four dimensions made significants impact on trust in rural residents and agricultural products consecutively. Results also indicated that the respondents' level of trust in agricultural products significantly impacted on their trust in residents, satisfaction and intention of continuous interchange with residents.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trusts in agricultural products might be the most important factor to improve agricultural tourism village visitors' intention of continuous interchange with residents. They also propose that rural tourism programs need to be developed to enhance the possible visitor's level of trust in agricultural products and rural residents. 본 연구에서는 농촌관광의 체험요인을 파악함으로써 농촌관광의 성격을 명확히 하고 체험요인과 신뢰, 만족의 영향관계 및 지속교류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함으로써 농촌관광의 지속화 방안을 모색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관광객들은 농촌관광을 통해 주민들에 대한 신뢰와 마을의 농(특)산물에 대한 신뢰를 형성하게 되며 이 신뢰요인은 농촌관광의 지속화에 주요한 영향을 미친다. 즉, 농촌관광마을에서 신뢰하고 믿을 수 있는 농산물을 판매한다면 제공자인 주민을 신뢰하며 결국에는 농촌관광에 대한 만족도 향상으로 이어져 농촌관광의 지속성을 높여주게 되는 것이다. 둘째, 주민신뢰는 관광편의성에 정(+)의 영향을, 지식교육성에는 부(-)의 영향을 받으나 농산물신뢰는 지식교육성의 정(+)의 영향을, 관광편의성에는 부(-)의 영향을 받는다. 한편 주민신뢰와 농산물신뢰는 만족도와 지속의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므로 신뢰향상을 통해 농촌관광을 지속화하기 위해서는 농촌관광마을 운영에 대한 전략적인 접근이 필요하다. 셋째, 지식교육성과 관광편의성은 서로 다른 방향으로 주민신뢰와 농산물신뢰에 영향을 미치고 있으나 신뢰는 모두 지속교류의도에 정(+)의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어 농촌관광 지속화하기 위해서는 적절한 수준의 지식교육성과 관광편의성을 찾아야 한다.

      • KCI우수등재

        농촌관광 호스트와 방문객의 상호작용이 농촌관광 태도와 농촌관광 경험에 미치는 다중매개 효과: 숙박방문객을 중심으로

        박진경,김재학 한국관광학회 2021 관광학연구 Vol.45 No.7

        이 연구의 목적은 농촌관광지를 방문한 숙박 관광객과 호스트의 상호작용이 방문객의 관광 경험과 태도 형성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밝혀내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이 연구에서는 세 가지 연구 목적이 설정되었는데, 첫 번째는 호스트와의 상호작용이 일어나는 장소 및 상황을 파악하는 것이고, 두 번째는 농촌관광객과 호스트의 상호작용이 농촌관광객의 농촌관광 경험과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밝혀내는 것이며, 세 번째는 농촌관광객과 호스트의 상호작용이 농촌관광 경험과 농촌관광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직·간접효과를 검증하는 것이었다. 이러한 목적을 이루기 위해 이 연구에서는 온라인 패널 전문 조사업체에서 제공된 총 200개의 유효한 데이터(숙박방문객)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마을, 숙소, 음식, 프로그램 등의 장소 및 상황은 농촌관광 경험과 태도를 파악할 수 있는 요소로 밝혀졌다. 또한 농촌관광객의 호스트와의 상호작용은 농촌관광 경험과 태도에 직접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선행변수로 밝혀졌다. 무엇보다 이 연구에서는 마을경험과 프로그램경험은 농촌관광객과 호스트와의 상호작용과 태도 간의 영향 관계에서 간접효과를 보여주지만, 숙소경험과 음식경험은 이 두 변수의 관계에 있어 간접효과를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러한 결과는 농촌관광 환경에서 다차원의 농촌관광 경험은 농촌관광 방문객과 호스트와의 상호작용이 있을 때 태도에 미치는 매개효과는 달라질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는 것이라 할 수 있다. 이 연구는 호스트-게스트 상호작용이 농촌관광 경험과 태도 형성에 있어 이론적 실무적인 이해를 가능하게 한다는 것을 밝혔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다. This study explores how agritourism visitors’ interactions with hosts affect their tourism experience and attitude formation. Specifically, three objectives of the study were formulated: (1) to identify where and which situations interactions of the visitors with hosts occur; (2) to identify dimensions of agritourism experiences and attitude; and (3) to test the direct and indirect effects of interaction between agritourism visitors and hosts on their tourism experience and attitude. A total of 200 surveys from overnight agritourism visitors were used in the analysis. The surveys were collected by an online research company. Critical review of previous literature suggests that the places and situations of rural village such as accommodation, food, and on-hand activity program were found to be different dimensions of agritourism experiences. Results revealed that interaction between visitors with hosts made significant effects on agritourism experience and attitude. Moreover, while village experience and on-hand activity program experiences made a significant indirect effect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interaction and attitude, accommodation and food experiences did not have a significant impact. Findings of this study confirmed that different dimensions of agritoruism tourism experiences could make different mediating effects on attitude when interactions between visitors with hosts occur.

      • KCI등재후보

        지속가능한 농촌관광 활성화 방안 연구: 나주시 농촌을 중심으로

        강대훈 융합관광콘텐츠학회 2022 융합관광콘텐츠연구 (JCTC) Vol.8 No.2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ways to revitalize rural tourism in Naju City, Jeollanam-do, in order to maximize the value of rurality for sustainable rural tourism. Methods: 3 companies that carry out the accommodation and travel business affiliated with Chunnam Tourism Company were selected, and 2 people from the academic and professional groups related to Chonnam Tourism were selected and conducted by interview. Results: For sustainable rural tourism in rural Naju City, first, we must develop an identity with the unique characteristics of rural villages. Second, we must develop the commercialization of rural tourism by the main body of rural residents. Third, the tourism content of various rural villages should be developed. Fourth, damage to rural natural landscapes and local cultural resources should be minimized. Fifth, a portion of the revenue generated from rural tourism should be returned to the succession of the traditional culture of the region. Finally, you need to develop strategies to increase customer satisfaction. Conclusion: Although this study presents policy implications and practical implications for the sustainable tourism development and operation of rural Naju City, due to the limitation of not being able to make a practical empirical analysis of the field, it is necessary to analyze the effectiveness based on real cases in future research to try to propose a feasibility verification as claimed in this study, and due to the limitation of the selection and number of interviewees, it is necessary to collect more objective data by soliciting various opinions from rural residents and rural tourism experts.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지속가능한 농촌관광을 위한 농촌다움의 가치를 극대화하기 위해 전라남도 나주시의 농촌관광 활성화 방안을 제언하고자 한다. 방법: 전남관광업체에 가입된 숙박업과 여행업을 수행하는 업체 3개를 선정하였고, 전남관광 관련 학계 및 전문가집단 중 2명을 선정하여 인터뷰 방식으로 진행하였다. 결과: 나주시 농촌의 지속가능한 농촌관광을 위해서는 첫째, 농촌마을의 고유한 특성을 가진 정체성을 개발해야 한다. 둘째, 농촌주민 주체의 농촌관광 사업화를 개발해야 한다. 셋째, 다양한 농촌마을의 관광 컨텐츠를 개발해야 한다. 넷째, 농촌의 자연경관과 지역문화자원의 훼손을 최소화하여야 한다. 다섯째, 농촌관광 사업에서 발생한 수익 일부를 지역의 전통문화계승에 환원해야 한다. 마지막으로, 고객만족도를 높이는 전략을 개발해야 한다. 결론: 본 연구는 나주시 농촌의 지속가능한 관광개발 및 운영을 위한 정책적 함의 및 실무적 시사점을 제시하고 있지만, 현장의 실무적인 실증분석을 하지 못했다는 한계가 있어 향후 연구에는 실제 사례를 바탕으로 효과를 분석하여 본 연구에서 주장하는 타당성 검증의 제안을 시도할 필요가 있으며 인터뷰 대상자의 선정과 횟수의 한계로 인해 다양한 의견을 수렴하지 못한 한계를 가지고 있어 향후 연구는 농촌주민과 농촌관광 전문가의 여러 의견을 청취하여 보다 객관적인 자료를 수집할 필요가 있다.

      • KCI등재후보

        농촌관광 선택속성의 중요도-만족도에 관한 연구

        서철현,김보미,박혜준 동북아관광학회 2015 동북아관광연구 Vol.11 No.4

        여가시간의 증대와 건강·교육·환경에 대한 관심 증대, 정신적 풍요를 추구하는 새로운 가치관의 확대 등으로 인하여 농촌지역이 관광의 대상으로 그 가치를 인정받고있다. 농촌관광은 시골이나 지방에서 발생하는 관광으로 농촌지역에서 행해지는 관광행위이며, 농촌의 자연경관과 전통문화, 생활과 산업을 매개로 하는 체재형 여가활동이다. 따라서 농촌관광 선택속성은 목적지인 농촌지역에서 관광객이 보고, 느끼고, 경험하고 체험함으로써 인지하는 관광과 관련된 물리적·사회적·행동적 특징을 포함한다. 관광객은 관광지를 선택하는데 있어 농촌관광의 속성과 평가를 통해 최대 효용을얻을 수 있는 농촌관광목적지를 최종 선택하게 된다. 이에 본 연구는 농촌체험마을 방문객을 대상으로 농촌관광 선택속성에 대한 중요도와 만족도를 IPA기법을 적용하여 비교·분석하고, 향후 농촌체험마을의 품질향상과지속적인 방문객 유치 방안의 마련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하였다. 농촌체험마을 방문객 246명을 대상으로 농촌관광에 대한 중요도와 만족도를 측정한결과, 25개의 선택속성 문항 모두 중요도에 비해 만족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중요도와 만족도의 차이가 가장 큰 항목은 자연교육적인 프로그램 구성 항목이었고, 차이가 가장 적은 항목은 대중교통의 편리함 항목이었다. 다음으로 농촌관광 선택속성을 접근성, 장소성, 서비스성, 시설성, 체험프로그램 등5개의 요인으로 분류하여 각 측정문항별 중요도-만족도 분석을 실시한 결과, 농촌체험마을 방문객들은 운영시설에 대해 전반적으로 높은 중요도와 만족도를 형성하고 있었다. 체험프로그램 중 자연교육적 프로그램은 중요도에 비해 만족도가 낮은 것으로, 기타 체험프로그램의 경우 중요도와 만족도가 모두 낮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지역주민의 환대성에 대해서는 중요도에 비해 높은 만족도를 형성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It would be necessary to analyze factors that can improve customer satisfaction for rural tourism villages to provide differentiated rural tourism and understand what users are craving for to establish the development strategy. The research results through empirical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comparing the importance and satisfaction level of selection attributes, a category of greatest difference between importance and satisfaction level was the nature educational program component category. Meaning, it is necessary to increase the satisfaction level of visitors by developing nature educational program. Secondly, the result of analyzing the importance and satisfaction level of the selection attributes of rural tourism are as follows. It is considered necessary for operators to make continuous investment and management regarding the quadrant I attributes in the future. For quadrant II, operators need to develop a program of nature and education harmonizing together that emphasizes characteristics of the village. If ways to increase the satisfaction level of categories of the quadrant III are suggested and conducted, visitors would be impressed with unexpected areas. Lastly for quadrant IV, it is considered appropriate to decrease investment or management and increase investment or management for quadrant II categories.

      • KCI등재

        농산물 직거래에 대한 농촌관광의 효과 - 농촌관광의 내생성 검증을 중심으로 -

        박상곤,박석희 한국관광학회 2011 관광학연구 Vol.35 No.2

        This study analyzed the relationship between rural-tourism and farm-to- consumer direct transaction using the survey data of 36,989 responses obtained from the 2009 Social Statistics Survey. Previous literature examined the determinants of farm-to-consumer direct transaction, and pointed out that the rural- tourism might suffer from the endogeneity problem. If there is endogeneity in rural-tourism as explanatory variables, the effects of rural- tourism on farm-to-consumer direct transaction may be insignificant or the estimates may be wrong-signed. To solve this problem, this study employed the endogenous switch probit model. With this model, this study tested whether the rural-tourism was endogenous.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consistent estimates for the effects of rural-tourism on farm-to-consumer direct transaction. Results also indicated that on average, the rural-tourism increased the farm-to-consumer direct transaction by 17.4%. This suggests that rural-tourism does not suffer from the endogeneity problem. 이 연구는 2009년 사회통계조사 응답자 36,989명의 응답결과를 이용하여 농촌관광과 농산물 직거래에 대한 관계를 분석하였다. 이 주제에 대한 직접적인 연구가 없는 사항에서 기존 관련 연구들의 암묵적 논의는 농산물직거래에 대한 결정요인으로 으로써 농촌관광이 핵심 변수 중 하나라는 점이다. 그러나 농촌관광이 농산물에 대한 효과 추정에 있어 가장 큰 걸림돌은 농촌관광의 내생성에 기인한다. 만약 설명변수로써 농촌관광이 내생적이라면 농산물 직거래에 대한 농촌관광의 효과 추정치는 일치추정치도 아니며 그 부호의 방향마저 바뀔 수 있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 연구는 내생전환 프로빗 모형을 적용하여 농촌관광의 내생성 문제를 검증한 후 농촌관광이 농산물에 대한 일치 추정량을 구하였다. 실증분석 결과는 첫째, 농촌관광의 내생성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고, 둘째, 평균적으로 농촌관광은 농산물 직거래를 17.4%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농촌관광마을 운영자 실태 및 개선방안 연구

        김지효,손호기,김상범 동북아관광학회 2018 동북아관광연구 Vol.14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지속가능한 농촌관광을 위해서 농촌관광마을 운영자 실태조사를통해서 운영자의 역량강화 및 운영방안은 물론, 체계적인 관리와 정책제안의 근거자료로 활용하기 위함이다. 농촌관광마을 운영 관계자 72개소의 운영자 및 대표를 대상으로 전자우편조사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실태조사를 분석한 결과, 정부·지자체의농촌관광관련 정책과 제도 및 지원(예산, 교육 관련 등)의 개선이 필요하며, 마을 운영 부문에서 농촌관광개발사업을 시작하게 된 동기에 대해 ‘농촌관광의 미래 성장 가능성’과 ‘농외소득을 추구’로 나타났다. 또한 농촌관광마을의 활성화를 위해 운영자가가장 주력하는 분야로 ‘체험프로그램 운영’과 ‘농촌경관’이었다. 그리고 운영자의 향후농촌관광사업 및 마을 운영 의지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마을 운영상의 비용 및 수익창출의 경제적 문제, 정부지원의 정책 미흡(일회성 개발), 운영자 및 인적자원(노동력) 부족 등의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정책 및 제도 개선이 시급할 것으로 사료된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농촌관광산업을 한층 더 발전시키고 지속가능하게 할 수 있는 농촌관광 운영 활성화에 유용한 정책 및 제도적 개선을위한 기초자료로 사용될 것을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not only to strengthen the capacity of the management staff and manage the operation through rural tourism village operator actual situation survey which is important for sustainable rural tourism but also to utilize it as a basis for systematic management of rural tourism and policy proposal Therefore. Data were collected through e-mail survey of 72 operators and representatives of rural tourism village.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survey results, it is necessary to improve the policies and systems and support (budget, education, etc.) related to rural tourism in the government and local governments. And 'seeking out-of-farm income'. In order to revitalize the rural tourism villages, the operators were the most focused areas of 'experience program operation' and 'rural landscape'. And despite the operator's future rural tourism and village management willingness, the economic problems of cost and revenue on town management, inadequate government support policy(one time development), leader (representative) And the lack of human resources(labor force). Policies and institutional improvements that can solve these problems will be urgent.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we hope to further develop the rural tourism industry and use it as a basic material for improvement of policies and institutions useful for revitalizing rural tourism management which can make it sustainable.

      • KCI등재

        농촌관광 자원을 활용한 의료관광 활성화 방안

        전명숙 ( Myung Sook Jeon ) 한국사진지리학회 2014 한국사진지리학회지 Vol.24 No.4

        농촌관광과 의료관광을 연계한 K-FARM NURI 사업이 대전시와 충청지역을 중심으로 진행 중이다. K-FARM NURI 사업은 도시의 의료관광 인프라와 농촌의 지역성을 결합하여 의료관광객에게 질병치료 및 예방과 한국의 전통문화체험을 동시에 경험할 수 있는 특성이 있다. 또한 농촌의 자연환경과 농촌체험위주의 관광활동과 도시의 의료관광과의 결합을 통하여 새로운 농촌형 관광 상품 개발방안을 제시한다는데 그 의의가 있다. 농촌관광은 외래 관광자의 감성을 충족시키며 정신적 스트레스를 완화하는 휴양과 치유를 목적으로 한다는 면에서 의료관광과 맥락을 같이하며 이를 활성화하기 위하여 농촌지역 어메니티의 특성을 보존하며 심리적인 안정감을 제공할 수 있는 문화원형을 발굴하고 스토리텔링 기법을 개발하는 다각도의 과정이 필요하다. 본 연구를 진행하기 위하여 농촌관광자원 유형과 농촌관광개발방안 관련 개념을 이론적 배경을 제시하였으며 K-FARM NURI 사업의 사례를 분석하여 이와 관련된 문제점을 살펴보고 농촌관광과 의료관광이 좀 더 발전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한 결과 해당 농촌지역의 정체성 확립을 통한 어메니티 발굴과 농촌유산의 보존, 의료관광 전문 인력 확보 등이 중요한 요소로 대두되었다. This study attempted to investigate the K-FARM NURI Medical Tourism Project which is proceeding in Daejon city and Chungcheng area. K-FARM NURI Project is a Medical Tourism development project which is combine through rural tourism resources. It has characteristic point of provide to protect from the illness and to experience Korean traditional culture to the tourists. And it has meaning that to suggest a new paradime of a rural medical tourism products. Agricultural tourism resources development should consider of preservation of natural resources and rural amenities. Rural amenities such as designated as national agricultural heritages and rural amenities are the main resources of agricultural tourism development. And the development of Medical Tourism which is based on rural tourism resources basically requires regional identity and storytelling technique, regional tourist``s participation programme, and region representative food mene development at the same tim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