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天符經의 정신철학을 계승한 老子의 道와 철학의 체계적 이해

        김익수 한국사상문화학회 2017 韓國思想과 文化 Vol.89 No.-

        노자(老子)는 기원전 500년전의 인물로 도가(道家)의 창시자라고 전해지고 있다. 노자의 핵심철학이 내재한 저서는 『노자』, 또는 『도덕경(道德經)』이라고 한다. 그 내용이 상하 2편으로 나누어져 있고 내용의 성격으로 보아도 상편을 도경(道經), 하편을 덕경(德經)이라고 분류하였는데 합쳐서 『도덕경』이라고 이름하였다. 주(周)나라가 어지러웠던 춘추시대(B.C.768-B.C.476)에 저술된 노자는 전국시대(B.C.481-B.C.221)의 전란과 고난 속에서 이루어졌다. 중국의 춘추시대는 사상가가 많이 배출되었는데 공자, 맹자 등 유가사상은 황하유역인 북방의 기질을 대변한 사상이라면 노자나 장자를 중심으로 한 도가사상은 장강유역을 중심으로 한 자연의 기질을 대표한 사상이다. 사실상 중국의 양대사상의 골격을 형성하게 된 북방과 남방의 차이는 단지 기후와 자연에 있어서만이 아나라 철학, 문학, 문화, 예술등 전반에 걸쳐서 너무나 판이한 차이를 보이고 있다. 유가사상이 현실적이라면 도가사상은 자연적이고 초현실적이다. 노자는 절대적인 원리로서 도의 추구, 인간의 본연의 이성의 한계성에 대한 각성 끝에 이른바 무(無)의 사상과 자연의 사상을 굳혀갔다. 중국의 상고에도 도덕이 아주 중시되었지만 양대 사상의 골격은 판이하게 달랐다. 중국의 양대 사상가인 노자와 공자는 생각이 서로 달랐다. 노자는 상제중심(上帝中心)의 사회체제와 상위자(上位者) 중심의 도덕체제만으로는 보통사람들의 삶을 온전하게 보장할 수 없고 만족하게 할 수도 없다고 보았던 것이다. 그런 판단으로 자연(自然), 도덕(道德)을 아주 중시하였다. 노자 이전인 상고시대에도 도덕이란 말을 사용했지만 노자가 강조한 도덕은 매우 포괄적이고 깊은 의미가 내재한 특징이 있다. 그것이 바로 천지인(天地人) 및 만물을 모두 포괄한 큰 도덕이다. 동양의 양대 사상이 유가와 도가사상이라고 하지만 사실은 유가도 도가사상의 영향을 받아 더욱 발전할 수 있었던 것이다. 누구나 세상을 살아감에 있어서 이것을 깨달아서 올곧게 살아가면 참된 인간이 될 수 있다고 본 것이다. 이를 통치자가 알아서 국정철학을 삼는다면 국가가 크게 번영할 것이요, 국민이 大道에 따라 살아가게 될 것이니 나라기 태평할 것이요, 교육자가 실행하면 바른 교육이 되어 밝은 미래사회가 열릴 것이다. 보통사람들이 이해한다면 이웃과 사회가 따뜻하게 정을 나누고 인간의 본연대로 순박하게 살아가게 될 것이다. 거듭 말하지만 현대 는 산업사회의 후유증과 과학과 기계화로 인간이 지극히 소외도고 다 종교 다문화시대를 맞아 더욱더 갈등이 심화되어 가고 있다. 더욱이 현대는 ‘무사상 교육부재(無思想敎育不在) 시대요, 동포애도 없어지고 민족정신이 이완되어 핵무기 같은 살상무기를 만들어 동포는 물론 인류의 생명을 위협하고 평화를 분열하고 있다. 현대 학교의 보통교육은 인류대학 진학의 준비기관으로 전락하여 이기심(利己心)만 조장하여 잘못된 경쟁심만 늘어가고 있다. 심지어 청소년들은 점점 포악해져 법을 무시하는 지경에 이르고 있다. 뿐만 아니라 사회교육도 조선조시대의 서원(書院)이나 서당교육에서도 중점을 두었던 효정신과 인성교육은 자취를 감추고 기술이나 기능교육에 급급하고 있을 뿐이다. 사실상 우리는 도덕의 종주국이면서도 서구교육의 시험장이 되어 몹시 혼란을 거듭하고 있다. 인류의 희원(希願)인 현대사... Laotzu is a man of 500BC who established Daoism. Laotzu or Book of Daoism is the book of containing the core of his philosophy. It consists with two parts; the script of Dao as the first part and the script of morality as the second part. These make the title of the book, the Book of Daoism, the book of Dao and Morality. Laotzu lived in the Warring States Period when Zhou dynasty suffered. This book appeared in the later part of this period. During this period, many thinkers appeared compared to any other period. Confucianism of Confucius and Mencius represented the northern thought of Yellow River area while Daoism of Laotzu and Zhuang Zhou represented character of nature in the Yangtze River area. In fact, Those two major schools of Chinese thoughts are not just reflect the climate ana natural differences, but differentiated the wide areas of thoughts, literature, culture, art and so on. While Confucianism reflects practicality, Daoism is natural and supernatural in it character. Laotzu developed thought of nothing and nature after realizing the limitation of the human reason as the fundamental principle. He also believed that the emperor-centered social structure and moral system of the haves could not secure and satisfy the people. Therefore, he emphasized the values of nature and Dao-morality. The value of Dao-morality existed before, but his value is more comprehensive and in-depth. That is, his grand value of thought of morality contains 'heaven-earth-human' and all thing in the universe. Confucianism also was influenced from the thought of Daoism and as a result it developed into a higher level. Everyone realize the morality in everyday life, then they can be the true human beings. When rulers realize this value and make it as a political value, the country will be peaceful. At the same time when educators executed this value, true education promise the brighter future. When common people share this value, society will be pure and safe among neighbors. This is the solution to resolve the conflicts from symptoms of industrialized society and isolated human being from the scientific and materialized world as well as the deepening conflicts from the multi-religious and multi-cultural era. Furthermore, today is a era of no education without any thoughts and that of losing love of people. There is no sense of collective nature of people by threatening people and peace with nuclear weapon. Today's education focuses on the entering of the best universities that spread the selfishness and unfair competitions. Kids are become so violent and barbaric that they are not just neglect education but the legal system. For worse, social education totally lost the value of filial piety and personality education those emphasized by the Seowon and Seodang of Joseon. It only focuses on the teaching on the technical skills. In fact, Korea's education is a arena of testing Western education even though Korea is the birth place of morality. When the comtemporary society becomes more confused and violent, Laotzu's Daoism of Asia is the great value to seek an ego to overcome the crisis. Dao(道) is the core of Laotzu's thought and it was fundamentally inheriting the thought reflected in Cheonbugyeong. The aim of this study is to seek a true nature of human beings by researching philosophical structure of the Book of Daoism.

      • KCI등재

        老子『道德經』에 비춰진 태권도의 ‘道’

        류봉선,김동규 한국체육철학회 2012 움직임의철학 : 한국체육철학회지 Vol.20 No.3

        이 연구는 老子『道德經』에 비춰진 태권도의 ‘道’를 탐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흔히 태권도 수련의 궁극적인 목적은 자아의 깨달음, 즉 ‘道’의 체득에 있다고 한다. 그러나 태권도의 ‘道’에 대한 일련의 연구들은 ‘道’의 사상적인 구분 없이, ‘道’의 체득에 대한 막연한 주장들을 펼치고 있다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태권도 ‘道’의 탐색과 관련하여, 첫째, 태권도 ‘道’의 탐색은 道家思想에 근거해야 본질규명이 가능하며, 둘째, 老子『道德經』의 ‘道’에 기반 한 태권도의 ‘道’는 인위적인 윤리․도덕적 차원으로 접목하는 것은 무리가 있으며, 셋째, 老子『道德經』의 ‘道’에 근거한 태권도의 ‘道’는 無爲․自然, 不爭, 素樸 등을 바탕으로 하고 있다는 점이다. 이러한 전제를 바탕으로 이 연구에서 논의된 바는 다음과 같다. 첫째, 老子『道德經』의 핵심사상인 無爲는 ‘하지 않음’을 의미하지만 수수방관이 아니라 有爲보다 오히려 적극적인 행위로서, 태권도에 있어서는 無爲의 형상화에 기반 한 自然의 ‘道’를 지향하고 있다. 둘째, 不爭은 다투어야 할 것을 다투지 않는 것이 아니라, 다툴 필요가 없는 환경과 심리상태를 만들어 내는 것을 의미하며, 태권도에 있어서는 조화의 체득을 통해서 不爭을 구현할 수 있다. 셋째, 素樸은 인위적이지 않은 자연 상태를 의미하는데, 태권도에 있어서는 단순한 동작들과 養生을 위한 소박함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Dao(道)' of taekwondo reflected in Laozi(老子) 『Dao De Jing(道德經)』. Ultimate purpose of taekwondo training is generally known to lie in enlightenment, or learning of 'Dao'. However, Series of studies on ‘Dao' of taekwondo are limited to vague arguments on acquisition of ‘Dao' without ideological classification of 'Dao.' Accordingly, following presumptions were made in this study in relation to exploration of ‘Dao' in taekwondo: First, exploration of ‘Dao' in taekwondo can only be established based on Dao ideology; Second, it is difficult to consider 'Dao' of taekwondo based on Laozi 『Dao De Jing』 under artificial ethics and morals; Third, 'Dao' of taekwondo based on Laozi 『Dao De Jing』 has its background in nothingness and nature, non-competition, and little happiness. Discussions of this study under such presumptions are as follows. First, the core ideology of Laozi 『Dao De Jing』‘nothingness' refers to ‘doing nothing,' but this is actually a more enthusiastic action than doing rathern than idleness. In taekwondo, ‘Dao' of nature based on embodiment of nothingness is pursued. Second, non-competition does not refer to non-competition on matters to be competed but refers to the conditions and mental state in which competition is unnecessary. In taekwondo, non-competition can be realize through acquisition of harmony. Third, little happiness refers to natural and non-artificial state. In taekwondo, this state can be achieved through simpleness of motions for curing.

      • KCI등재후보

        천부경(天符經)의 정신철학을 계승한 노자(老子)의 도(道)와 철학의 체계적 이해

        김익수 ( Kim Ik-soo ) 한국사상문화학회 2017 韓國思想과 文化 Vol.89 No.-

        노자(老子)는 기원전 500년전의 인물로 도가(道家)의 창시자라고 전해지고 있다. 노자의 핵심철학이 내재한 저서는 『노자』, 또는 『도덕경(道德經)』이라고 한다. 그 내용이 상하 2편으로 나누어져 있고 내용의 성격으로 보아 상편을 도경(道經), 하편을 덕경(德經)이라고 분류하였는데 합쳐서 “도덕경(道德經)”이라고 이름하였다. 주(周)나라가 어지러웠던 춘추시대(B.C.768-B.C.476)에 저술된 노자는 전국시대(B.C.481-B.C.221)의 전란과 고난 속에서 이루어졌다. 중국의 춘추시대는 사상가가 많이 배출되었는데 공자, 맹자 등 유가사상은 황하유역인 북방의 기질을 대변한 사상이라면 노자나 장자를 중심으로 한 도가 사상은 장강유역을 중심으로 한 자연의 기질을 대표한 사상이다. 유가사상이 현실적이라면 도가사상은 자연적이고 초현실적이다. 노자는 절대적인 원리로서 도(道)의 추구, 인간의 본연의 이성의 한계성에 대한 각성 끝에 이른바 무(無)의 사상과 자연의 사상을 굳혀갔다. 중국의 상고에도 도덕이 중시되었지만 양대 사상의 골격은 판이하게 달랐다. 노자는 상제중심(上帝中心)의 사회체제와 상위자(上位者) 중심의 도덕체제만으로는 보통사람들의 삶을 온전하게 보장할 수 없고 만족하게 할 수도 없다고 보았던 것이다. 그런 판단으로 자연(自然), 도덕(道德)을 아주 중시하였다. 노자 이전인 상고시대에도 ‘도덕’이란 말을 사용했지만 노자가 강조한 도덕은 매우 포괄적이고 깊은 의미가 내재한 특징이 있다. 그것이 바로 천지인(天地人) 및 만물을 모두 포괄한 큰 도덕이다. 동양의 양대 사상이 유가와 도가사상이라고 하지만 사실은 유가도 도가사상의 영향을 받아 더욱 발전할 수 있었던 것이다. 누구나 세상을 살아감에 있어서 이것을 깨달아서 올곧게 살아가면 참된 인간이 될 수 있다고 본 것이다. 이를 통치자가 알아서 국정철학을 삼는다면 국가가 크게 번영할 것이요, 국민이 大道에 따라 살아가게 될 것이니 나라기 태평할 것이요, 교육자가 실행하면 바른 교육이 되어 밝은 미래사회가 열릴 것이다. 보통사람들이 이해한다면 이웃과 사회가 따뜻하게 정을 나누고 인간의 본연대로 순박하게 살아가게 될 것이다. 거듭 말하지만 현대는 산업사회의 후유증과 과학과 기계화로 인간이 지극히 소외되고 다 종교 다문화시대를 맞아 더욱더 갈등이 심화되어 가고 있다. 현대 학교의 보통교육은 인류대학 진학의 준비기관으로 전락하여 이기심(利己心)만 조장하여 잘못된 경쟁심만 길러가고 있다. 심지어 청소년들은 점점 포악해져 법을 무시하는 지경에 이르고 있다. 뿐만 아니라 사회교육도 조선조시대의 서원(書院)이나 서당교육에서도 중점을 두었던 효정신과 인성교육은 자취를 감추고 기술이나 기능교육에 급급하고 있을 뿐이다. 사실상 우리는 도덕의 종주국이면서도 서구교육의 시험장이 되어 몹시 혼란을 거듭하고 있다. 인류의 희원(希願)인 인륜사회가 혼탁해지고 전 세계가 험난해 질수록 더욱더 인간의 예지가 담긴 위대한 사상으로 가치를 지니고 있는 노자는 우리 동양인은 물론 세계인이 자아(自我)를 되찾아 위기시대를 극복할 수 있다고 판단되는 사상이요 문화유산이라고 볼 수 있다. 그런데 이 사상의 단초(端初)가 된 것을 보면 『천부경(天符經)』에서 홍익인간 이화세계의 사상이 바탕이 되고 있음을 잘 알 수 있다. 현대 우리에게 크게 깨우침을 줄 수 있는 노자의 사상은 본원적으로 가장 한국적이면서 세계적인 철학의 종원(宗源)인 『천부경(天符經)』을 계승하여 형성되었다고 본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해 인간의 위기시대에 처하여 인간의 본연(本然)을 되찾아 사람답게 사는 세상을 이루고자 하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Laotzu is a man of 500BC who established Daoism. Laotzu or Book of Daoism is the book of containing the core of his philosophy. It consists with two parts; the script of Dao as the first part and the script of morality as the second part. These make the title of the book, the Book of Daoism, the book of Dao and Morality. Laotzu lived in the Warring States Period when Zhou dynasty suffered. This book appeared in the later part of this period. During this period, many thinkers appeared compared to any other period. Confucianism of Confucius and Mencius represented the northern thought of Yellow River area while Daoism of Laotzu and Zhuang Zhou represented character of nature in the Yangtze River area. In fact, Those two major schools of Chinese thoughts are not just reflect the climate ana natural differences, but differentiated the wide areas of thoughts, literature, culture, art and so on. While Confucianism reflects practicality, Daoism is natural and supernatural in it character. Laotzu developed thought of nothing and nature after realizing the limitation of the human reason as the fundamental principle. He also believed that the emperor-centered social structure and moral system of the haves could not secure and satisfy the people. Therefore, he emphasized the values of nature and Dao-morality. The value of Dao-morality existed before, but his value is more comprehensive and in-depth. That is, his grand value of thought of morality contains 'heaven-earth-human' and all thing in the universe. Confucianism also was influenced from the thought of Daoism and as a result it developed into a higher level. Everyone realize the morality in everyday life, then they can be the true human beings. When rulers realize this value and make it as a political value, the country will be peaceful. At the same time when educators executed this value, true education promise the brighter future. When common people share this value, society will be pure and safe among neighbors. This is the solution to resolve the conflicts from symptoms of industrialized society and isolated human being from the scientific and materialized world as well as the deepening conflicts from the multi-religious and multi-cultural era. Furthermore, today is a era of no education without any thoughts and that of losing love of people. There is no sense of collective nature of people by threatening people and peace with nuclear weapon. Today's education focuses on the entering of the best universities that spread the selfishness and unfair competitions. Kids are become so violent and barbaric that they are not just neglect education but the legal system. For worse, social education totally lost the value of filial piety and personality education those emphasized by the Seowon and Seodang of Joseon. It only focuses on the teaching on the technical skills. In fact, Korea's education is a arena of testing Western education even though Korea is the birth place of morality. When the comtemporary society becomes more confused and violent, Laotzu's Daoism of Asia is the great value to seek an ego to overcome the crisis. Dao(道) is the core of Laotzu's thought and it was fundamentally inheriting the thought reflected in Cheonbugyeong. The aim of this study is to seek a true nature of human beings by researching philosophical structure of the Book of Daoism.

      • KCI등재

        『노자』에 대한 박세당의 이중성과 그 주석 시기

        김학목(Kim, Hak-mok) 한국고전번역원 2020 民族文化 Vol.56 No.-

        박세당은 그의 연보와 『장자』 주석에서는 노자에 대해 부정적으로 비판하고 있지만 정작 『노자』 주석에서는 그렇게 말하지 않는다. 그래서 논자는 노자에 대한 그의 이중성을 살펴보고, 또 그가 『노자』를 주석한 시기를 고찰하고자 한다. 서계의 편지 글로 볼 때, 1678년이나 그 이전에 이미 『노자』 주석이 있었고, 그의 『장자』 주석 「서문」으로 볼 때, 1680년에 『장자』 주석이 있었다. 그런데 『장자』 주석보다 먼저 완성된 『노자』 주석에 노자에 대한 비판이 없다면, 그 이유는 그가 노자에 대해 점차 긍정적으로 변해 부정했던 부분을 그 후 다시 수정했다는 것이다. 그의 『노자』 주석 「서문」이 그 주석과 함께 있지 않고, 또 그 「서문」에서 그 주석 시기가 기록되지 않은 것도 그 증거이다. 그가 비록 『노자』를 주석했지만 일관되게 완성하지 못해 「서문」을 함께 넣지 못했고 그 시기를 기록할 수 없었다는 것이다. 서계가 『사변록』에서 원시유학을 근거로 주자성리학을 신랄하게 비판하는 것으로 볼 때, 그는 당시 사대부들이 허례허식에 빠진 원인을 주자의 형이상학적 사유방식에 있다고 보았다. 그래서 그는 그 병폐 치료를 위해 질박함을 강조하는 『노자』를 주석했던 것이다. 그런데 그는 자신이 그토록 부정한 주자의 사유방식으로 『노자』를 주석했으니, 그 이유는 두 가지이다. 그 하나는 당시 사대부들이 가장 익숙한 사유방식으로 질박함의 중요성을 깨닫게 하려는 것이고, 다른 하나는 주자의 형이상적인 사유방식은 『노자』처럼 어려운 책의 주석에나 적당하다고 암암리에 비판하기 위함이다. 서계는 한마디로 『노자』 주석을 통해 당시 주자의 사유방식에 익숙한 사대부들과 한 판의 승부를 겨루며 비판하느라고 『장자』 주석 이후에도 일정 시기 또는 평생 그 주석을 계속 치밀하게 갈고 닦았다는 것이 이 논문의 결론이다. Park Se-dang criticized Laozi negatively in his annals and his annotation of Zhuangzi(壯者), but actually he did not criticize him so much in his annotation of Laozi(老子). So, I would like to take a look at his dual attitude toward Laozi(老子)and the time when he criticized Laozi. According to the letter of Park Se-dang, there was already an annotation of Laozi in or before 1678, and in 1680 there was an annotation of Zhuangzi(壯者) found in the preface to his annotation of Zhuangzi(壯者). However, if there is no criticism of Laozi in the annotation of Laozi completed before his annotation of Zhuangzi(壯者), the reason is that he gradually changed positively toward Laozi and then revised the part he denied. It is evidence that his preface to the annotation of Laozi is not found in his annotation of Laozi, and that the period of his annotation of Laozi is not recorded in the preface. Although he commented on Laozi, he could not put the preface together because he could not consistently complete the comment of Laozi, so he could not record the period of his annotation of Laozi. Park Se-dang criticized the ideology of Neo-Confucianism of the ZhuXi(朱子) school on the basis of Confucianism. He thought that the bureaucrats and scholars fell into a hollow cause of the day because of XhuXis metaphysical way of thinking. Thats why he commented on Laozi, who emphasizes simpleness for eradicating such a social disease. Nonetheless, he commented on Laozi from the perspective of ZhuXis metaphysical way of thinking that he did not prefer. There are two reasons he did so. One reason is that he wanted to make the scholar-gentry class in the Joseon period realize the importance of simpleness in the most familiar way of thinking at that time; the other reason is that he want to criticize that ZhuXis metaphysical way of thinking is appropriate only for the annotation of difficult books like Laozi. In short, the conclusion of this paper is that Park criticized and competed with the bureaucrats and scholars familiar with ZhuXis metaphysical way of thinking at that time through the annotation of Laozi, and he continued to revise his Annotation of Laozi for a certain period or a lifetime after his annotation of Zhuangzi in 1680.

      • KCI등재

        노자의 『도덕경』에 담긴 '무(無)'의 교육적 함의

        송도선(Song, Do-Seon) 한국교육사상연구회 2013 敎育思想硏究 Vol.27 No.2

        본 논문의 목적은 『도덕경』에 나타난 '무(無)'의 개념을 탐구하고, 그 속에 담긴 교육적 함의를 밝히는 데 있다. 노자에게서 도(道)는 무한성, 무작위성, 무규정성, 세 가지 차원에서 검토할 수 있으며, 이들을 관통하는 개념은 '무'이다. 첫째, 노자에게 있어 도는 형이상학적인 개념으로서 만물 속에 내재한 보편 원리이고, 만물을 생성하고 육성하는 작용을 한다. 그 속에는 무와 유가 뒤섞여 있고, 끝없이 작용하는 운동성을 가지고 있어 그 한계를 알 수 없다. 결국 도는 '무한성'을 특징으로 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둘째, 노자는 도에 깃들어 있는 '무위자연'을 인간이 추구해야 할 최고의 가치로 간주하고 있다. 그는 그 특징을 설명하기 위해 순리, 낮춤, 유약함을 가진 물(水)을 예시한다. 그리고 노자는 배움과 유가에서 중시하는 인ㆍ의ㆍ예는 모두 자연의 순리에 위배된다는 이유로 비판하였다. 따라서 노자에게서 도는 '무작위성'을 함축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된다. 셋째, 노자에게 있어 도의 본성은 특정한 모양이 없이, 자유롭게 만물을 두루 운행하는 것이다. 따라서 도에 대한 그 어떤 묘사도 그 본질을 제한하고, 실제 본질과는 거리가 멀어지게 한다. 따라서 노자는 언어, 이름, 지식 등에 대해서는 부정적인 태도를 취한다. 결국 도라는 것은 '무규정성'을 특징으로 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마지막으로, 노자가 무 사상을 설명하기 위해서 비유로 사용한 빔, 통나무, 갓난아이 등의 공통적인 의미는 '가능태'이다. 이것은 교육학적으로는, 듀이의 '미성숙' 개념에 담긴 의미와 같이, 아동의 '잠재가능성'의 의미로 해석할 수 있다. 무의 가능태는 그 자체로도 가치 있고, 작용을 일으키는 효용 가치도 갖고 있다. 따라서 채움과 전문성을 특징으로 하는 현대의 교육 실태는 노자 사상과 상반된 것으로, 근본적인 고민과 반성의 여지를 던져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present educational implications in the Tao Te Ching(道德經) by searching for the concept of 'nothingness' within the book. The Tao(道) in Lao-tzu(老子) is considered at three dimensions-infinity, in-artificiality, non-regulation. First, Tao of Lao-tzu is metaphysical concept that is an universal principle in all things. It works on all things to be created and to be promoted. In Tao, 'nothing' and 'something' is mixed together and there exits infinitive mobility, which makes it limitless. Therefore, Tao is characterized by infinity. Second, Lao-tzu thinks 'Wuwei-Ziran(無爲自然)'. He exemplifies the water that is characterized by the ways of nature, taking down, weakness, to explain the characteristics of the Tao. Thus, the notion of the nothing is considered that it implies in-artificiality. Third, the nature of the Tao of Lao-tzu has no specific shape and it freely operates on all things. Accordingly, any descriptions of the Tao restrict the essence. Thus, Lao-tzu has negative attitude toward language, name, knowledge. Eventually, it proves the Tao of Lao-tzu features non-regulation. Finally, the common meaning of the metaphors used to explain idea of nothing are void, a log, infant is dynamis. This is pedagogically interpreted as potentiality of children. The potentiality of nothing is valuable itself and has the effective value. The actual condition of modern education which features filling up and specialization is opposed to the Tao of Lao-tzu.

      • KCI등재

        학술발표논문 : 박세당(朴世堂) 『신주도덕경(新註道德經)』도론(道論)의 유가철학적(儒家哲學的) 이해(理解)

        조민환 ( Min Hwan Jo ) 한국공자학회 2012 공자학 Vol.23 No.-

        박세당은 『신주도덕경』을 통해 『노자』에는 유가의 성인이 지향하는 修己治人의 논지를 담고 있다고 본다. 그런데 박세당이 노자사상의 핵심을 수기치인으로 본다는 것의 형이상학적 근거는 易理적 사유에 바탕한 道器論, 太極陰陽論 및 易理적 입장에 근간한 有無論 및 體用一源의 측면에서 분석하는 것으로 나타난다. 특히 周濂溪 『太極圖說』의 "無極而太極"과 『周易』의 "易有太極, 是生兩儀"의 틀을 통하여 『노자』를 이해하는 것을 많이 발견할 수 있다. 박세당이 『노자』를 이해함에 가장 문제삼는 것 중 하나는 晉代에 행해진 玄虛無實한 담론과 묘茫不可涯한 학설을 통한 惑世誣民은 老莊의 ``往而不返``의 사유와 관련이 있다. 이런 점을 박세당은 憤世 의식과 연결하여 이해하면서,``往而歸``의 철학으로서의 『노자』 이해를 꾀하고 있는데, 그 꾀함은 노자사상을 유가 우주론적 사유로 이해함으로 나타난다. 즉 노자사상에서의 修己治人 요소를 찾는 사유를 형이상학적 측면에서 접근하면 유가의 우주론으로 『노자』 도론을 이해하는 것으로 나타난다는 것이다. 박세당은 『노자』 도론을 유가철학에서의 體用論을 통해 이해하는데, 특히 ``通``과 ``久``로 풀이한``常``자를 통해 도의 운동변화성과 항상성, 영원성을 말하는 점에 그 특징이 있다. 이런 이해는 유가의 우주론을 통해 『노자』의 도를 이해한 것이다. 박세당은 『노자』의 도의 無聲無臭를 虛로 본다. 도를 虛로 볼 때, 虛無寂滅의 虛인지 아니면 道體의 인식할 수 없는 미묘한 것을 虛로 본 것인지를 구별해야 한다. 박세당이 말하는 道體의 虛는 후자에 해당한다. 인식불가능한 形而上者로서의 도는 無狀之狀, 無象持象으로 표현되며, 이때 虛가 갖는 무궁한 生生之意는 虛無寂滅의 墟와 다르다고 보며, 이런 점에서 道體의 본질을 이해하고 있다. 즉 『노자』의 道體를 설명하는 虛나 無는 虛無寂滅의 虛가 아니라 無聲無臭로서의 道의 ``至虛而至實``을 설명한 것이라 할 수 있다. 이같은 박세당의 『노자』 인식은 당시 17세기 사상계의 전반적인 경향인 주자성리학의 문화적 성숙의 측면과 주자 성리학 일변도의 문화적 획일성에 반성을 제기하여 새로운 학문 연구에 대한 요구를 부각시킨 긍정적인 측면이 있다. This essay is an analysis of ParkSeDang`s 『New commentary of Tao De Jing』 which has builted up some theory and structure. In his 『New commentary of Tao De Jing』 he argued Laotzu`s thought basically follows 『the Book of Changes』 theory and structure. A term used in 『The Book of Changes』 to refer to the source or the fundamental principle of all things, in which 『New commentary of Tao De Jing』 is no exception to this rule. We particularly pay special attention to as a Confucian scholar in the Joseon Dynasty period who learned the importance of Lao-Zhuang`s thought. ParkSeDang is one of the Joseon scholars who emphasized practical learning and an open-minded person. To put it concretely, it is substantially as follows. In all points, ParkSeDang really want to stress the Laotzu thought follows 『The Explanation of the Diagram of the Supreme Ultimate』 allotype, particularly adopt an ``ultimate of nonbeing is also called supreme ultimate`, also follows ``the substance and phenomenon are same root allotype` and ``Pinciple is one but its manifestations are many`, "In the Changes, there is the Supreme Ultimate, which produce the two forms. The two forms produce the four emblems." etc. Now to conclude, his thought about Laotzu`s thought basically follows Ned-confucianism`s structure and allotype. His thought about Laotzu`s thought like this understanding shows a Laotzu`s thought is not nothing further regard a doctrine as heresy.

      • KCI등재

        노자(老子) 사상의 문학 수용 양상과 그 의미 -연암 박지원의 문학 작품을 중심으로-

        박수밀 ( Park Sumil ) 온지학회 2020 溫知論叢 Vol.0 No.62

        본 논문은 문학의 관점에서 조선 시대 노자 사상이 조선 지식인에게 끼친 영향을 탐구한 것이다. 노자와 장자를 함께 묶어서 노장으로 부르던 기존의 접근 태도에서 벗어나 노자의 개별성에 주목해 보고자 했다. 이를 위해 먼저는 노자의 조선조 수용 양상을 정리하고 이에 대한 연구자들의 논의를 살펴 그 성과와 한계를 점검해 보았다. 조선 시대 노자연구는 노자 주석서와 『독노자오칙(讀老子五則)』에 집중되었다. 그 연구태도에서는 노자의 개념어와 유학의 개념어를 비교해가며 철학적 의미를 밝히는 논의가 주를 이루어왔다. 주석자들의 노자 이해가 그의 삶과 문학, 세계관 속에 어떻게 조응되고 연결되는지에 대한 관심은 약했다. 노자는 공자를 조롱하고 성인의 가르침을 끊으라고 하고 유위(有爲)를 극력 배격한 사람이라서 유학의 세계에선 곧바로 수용되기가 어려웠다. 하지만 조선 후기의 연암 박지원은 노자를 충분히 이해하고 작품에 수용하였다. 그리하여 연암 박지원이 말한 무지(無知)와 「허생전」에 나타난 무인도에 주목해 연암 문학에서 노자 사상의 흔적을 찾아보았다. 지식과 문자에 대해 의문을 품는 연암의 시선에서 노자의 무지와 연결되는 지점이 있었다. 연암이 문자를 회의(懷疑)하고 지식을 비판한 것이 노자의 무지와 똑같은 것은 아니었다. 하지만 고전 시대 유학자 가운데 지식에 의문을 품고 문자를 회의(懷疑)한 이는 연암 외엔 찾기가 힘들었다. 두 번째로 『옥갑야화』의 허생이 건설한 무인공도(無人空島)에서 노자 사상의 흔적을 살폈다. 허생이 세운 무인도는 노자의 소국과민(小國寡民)과 많이 닮아 있었다. 하지만 완전히 일치하는 것은 아니었고 허생의 섬은 연암이 독자적으로 만든 연암만의 이상 세계였다. 그 꿈 가운데 노자의 이상향이 녹아 있었다. This study is to reveal the influence of Noja’s thought to the intellectual of Chosun dynasty in terms of literature. Scholars usually have divided Noja and Changja, for so far they have been studied at once so called No-Chang, yet, this study avoids such a previous approach and focuses on the unique of Noja. First, for this it reviews the aspect of understanding Noja in Chosun dynasty, its opinions of researchers, and realizes its achievement and limitation. The study of Noja in Chosun dynasty was done mainly in his commentaries and ‘DokNojaOch’ik’. Its approach was to compare the conceptional words of Noja and those of Confucianism, to find the philosophical meaning of theirs. The understanding of those commentators was not deeply involved in the concern of connecting with Noja’s life, literature and his outlook on the world. Noja insisted on cutting Confucian and his teachings, rejected the efficiency, so it was difficult to receive him in the world of Confucianism. However YeonAm, Park Jiwon fully understood him in the latter of Chosun dynasty. In this sense this study searches for the hints of Noja’s thought in YeonAm literature, mainly in his works of ‘HeosaengJeon’ and ignorance mentioned by him. In his insight of doubting knowledge and letter, there is connecting point with the ignorance of Noja. YoenAm’s pessimistic approach to letter and critical attitude to knowledge are not exactly the same as Noja’s ignorance. Yet there was no one except YoenAam who had doubted knowledge and challenged letter. Second, Noja’s thought could be found in Muingongdo built by Heosaeng of ‘Okgapyahwa’. There were previous studies that YeonAm’s desert island looks similar to Sokukgwhwamin of Noja, now this study develops that point more deeply. The desert island built by Heosaeng is not completely the same as Sokkukmin of Noja. The Island of Heosaeng is the unique ideal world created by YeonAm. This dream contains the Utopia of Noja.

      • KCI등재

        노자 도덕경에 나타난 사회복지사상: 정부 관리의 기술을 중심으로

        이미애 ( Lee Meeae ) 한국행정사학회 2016 韓國行政史學誌 Vol.39 No.-

        노자도덕경을 정부관리의 기술을 중심으로 요약하자면 개인은 결코 집단적 방법으로서는 행복의 총량을 극대화할 수 없다는 것이다. 도덕경에 나타난 궁극적 지향점은 인간의 개체성 회복이다. 개체성 회복은 인간이 각자 가진 개성에 따라 산다는 것을 의미하는데 그렇게 살기 위해서는 자유가 필요조건인 것이다. 특히 규범의 보편성과 제도의 합리성을 전제로 순응을 강조하는 집단주의적 방법으로는 자유에 이를 수 없다는 것이다. 노자도덕경에서 피력하고 있는 도의 지향점은 개인의 개체성 회복이고 이는 에릭슨의 자아통합, 융의 자기실현, 붓다의 깨달음, 기독교의 구원과 의미에 있어서는 크게 다르지 않다고 본다. 노자도덕경은 사회구성원이 행복해 지기 위해 필요한 정부관리의 기술을 다음과 같이 피력하고 있다. 첫째 노자는 어떤 공동체도 개인에 우선하여 존재하는 것으로 보지 않았다. 노자는 공동체에 대한 지나친 강조는 개인의 개체성과 자유를 위협하여 전체주의적 위험에 빠질 수 있음을 통찰하고 큰 정부보다는 작은 정부를 이상사회로 보았다. 둘째, 노자는 생명을 유지하기 위해 필요한 물질을 채우는 것을 욕구로 규정하고 정부관리의 역할을 욕구를 채워주는 것으로 제한하였다. 반면 욕망에 대해서 항상 경계할 것을 권고하였다. 과욕은 정신을 어지럽혀서 마음의 평화를 해치므로 中道와 無爲라는 자기수양을 통해 욕망을 덜어내도록 백성들을 이끌고 지도자들도 욕망을 부추기지 않도록 유의하여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마지막으로 사회복지의 핵심이라고 할 수 있는 소득재분배에 대해서 노자는 가진 자와 가지지 않은 자라는 상대적인 분별로써 편가르기(faction)를 조장하지 않는다. 화 옆에는 복이 기대어 서 있고 복 속에는 화가 숨기어져 있다고 피력하면서 노자는 소득재분배를 사회적 강자에게 노블리스 오블리제라는 일종의 의무로써 부과되는 것이 아니라 물이 차면 넘쳐 흐르듯이 평형점으로 가는 자연적인 일련의 현상으로 보았고, 쌓아두지 않고 남에게 더 많이 줄수록 더 행복해지고 더 부유해진다고 보았다. 또한 사회적 약자에게도 실패에 대해 다른 사람 탓을 하지 말고 도움을 받기 전에 스스로 해야 할 일은 꼭 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노자도 덕경은 서술하고 있다. While government expenditures on social welfare are increasing rapidly, the well-being of people in Korea does not seem to improve. This phenomena raises the following question, why do the people in Korea not feel happy? The author tyries to find the answer to the above question from Lao Tzu`s Tao Te Ching. First, Collective efforts might have limitations in raising happiness because happiness is more likely an individual matter rather than collective ones. Therefore, collective efforts may have risk to force authoritarian factors, violating one`s liberty. Second, Lao Tzu discerns needs from desires. It is needs that government has to take care of; but for desires, government has to attmpt to discourage. Finally, justice on Western Thoughts is like to get by struggling, but Lao Tzu regards justice as natural thing rather than the result of conflict betwee the haves and the have-nots.

      • KCI등재

        노자 『도덕경』에서 물에 대한 은유 및 관점: 수자원정책 및 관리에 주는 함의와 시사점을 중심으로

        배수호,한준섭 한국행정학회 2012 韓國行政學報 Vol.46 No.2

        동양의 대표적인 고전 중의 하나인 노자 『도덕경(道德經)』은 여러 가지 사물의 상징, 그리고 은유와 비유를 통해 그의 중심사상인 道와 德, 그리고 ``스스로 그러함`` 등을 설명하고 있다. 본 연구는 노자 『도덕경』에서 나타나는 물의 상징, 그리고 은유와 비유들을 유형화·범주화하여 노자사상을 환경철학적 관점에서 고찰하는 것이 주된 목적이다. 그리고 이러한 환경철학적 논의에 기초하여 오늘날 수자원관리정책에 던져주는 정책적 함의와 시사점이 무엇인지 도출하고자 한다. 노자 『도덕경』은 물, 다듬지 않은 통나무(``樸``), 갓난아이(``瓔兒``), 계곡, 여성, 새싹, 수레, 풀무(``蘇蒻``), 추구(``芻狗``), 작은 생선 등 여러 뿌리은유(root metaphor)를 통해 道와 德, 그리고 ``스스로 그러함`` 등을 설명하고 있다. 특히 노자 『도덕경』에 나타난 물에 대한 상징, 그리고 은유와 비유는 ``스스로 그러함``(자연주의), 만물의 근원 및 모든 생명의 근원, 높은 곳에서 낮은 곳으로 흐르는 물, 보편성 및 편재성, ``역설적위력``, 여성성, 자정능력 및 치유능력, 평형작용 및 형평성, 포용성 및 무차별성, 비작위성 및 비인위성 등으로 요약할 수 있다. 본 논문은 이러한 물에 대한 상징, 그리고 은유 및 비유를 모든 생명의 근원, 자연스러움, 순환적 반복성, 평형작용 및 형평성 등으로 범주화하였다. 오늘날 수자원정책 및 수자원관리는 노자 『도덕경』이 물을 바라보는 은유와 환경철학적 관점과는 크게 상이하게 이뤄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 KCI등재

        노자(老子)의 ‘몸’에 관한 연구 − 생명적 측면과 심신일원적(心身一元的) 특성을 중심으로 −

        김정희 한국철학사연구회 2023 한국 철학논집 Vol.- No.79

        본 논문은 노자(老子)의 ‘몸’에 관한 사유를 생명적 측면과 심신일원적 특성을 중심으로 고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도덕경(道德經) 에서 언급된 신(身)에 관련한 사유를 중심으로 논의를 진행한다. 동양에서 전통적으로 몸은 정신적인 것과 물리적인 것이 분리되지 않은 일원적 존재였다. 노자의 몸과 관련한 선행연구들을 보면, 대체로 도덕경 의 신(身)을 물리적 측면과 정신적 측면이 분리되지 않은 하나인 일원적 존재로 간주하고 있다. 그러나 신(身)을 일원적 존재로 간주하면서도 신(身)의 정신적 부분을 우위에 두고 진행한 연구가 대세였다고 할 수 있는데, 이에 본 논문은 신(身)의 정신적 부분과 육체적 부분 중의 한쪽에 우위를 두지 않고, 심신이 하나인 일원적 생명체로 간주하여 연구를 진행한다. 본문에서 노자의 몸에 관한 사유는 ‘몸의 중요성’, ‘몸의 생명 순환적 특성’, ‘심신일원적 몸’의 세 가지의 측면에서 논의한다. 도덕경 의 신(身)과 관련하여 나타난 몸의 ‘생명순환적 특성’과 ‘일원적 특성’은 장자(莊子) 의 몸에 관한 사유와 연결된다고 볼 수 있다. 그러므로 도덕경 에 나타난 몸에 관한 사유를 고찰하는 것은 장자(莊子, B.C.369?∼B.C.289?)와 도가철학이 추구하는 몸의 개념을 이해하는 중요한 단서가 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Laozi(老子)'s thoughts on ‘the body’, focusing on the vital aspect and the unitary characteristics of mind and body. In order to discuss this, this paper conducts the research centering on the thoughts related to the body in Tao-Te-Ching(道德經). In the preceding studies on the body of Tao-Te-Ching, most researchers generally regarded the body, Shēn(身), as a unitary existence in which the physical and mental aspects are one. However they considered Shēn(身) giving priority to the mental aspect of the body. This was the main stream to understand the Laozi's body in the past. Therefore this paper does not focus on the mental or the physical aspects of the body. Instead of that, it proceeds the research by considering Shēn(身) as a unitary living organism in which the two aspects are one. In this paper, Laozi's thoughts on the body is discussed in three aspects: ‘the importance of the body’, ‘the characteristics of life cycle of the body’ and ‘the mind-body unity’. It can be said that ‘the characteristics of life cycle’ and ‘the characteristics of mind-body unity’ of Shēn(身) in Tao-Te-Ching is related to the thoughts on the body in Zhuangzi. Therefore I believe that examining the thoughts on the body in Tao-Te-Ching can be an important clue to understand the philosophy on the body of Zhuangzi(莊子, B.C.369?∼B.C.289?) and Taois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