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노박집람(老朴集覽)중 ‘박통사집람(朴通事集覽)’과 『박통사언해(朴通事諺解)』협주(夾註)의 비교 연구

        김유범 ( Yu Pum Kim ) 민족어문학회 2010 어문논집 Vol.- No.62

        본고에서는 『老朴集覽』중 `朴通事集覽’(中?下)와 `朴通事諺解’(中?下)의 夾註를 비교하고 그 결과를 검토해 보았다. 『朴通事諺解』의 夾註가 `朴通事集覽’을 대본으로 하여 만들어진 것이지만, 협주의 작성 과정은 생각처럼 단순하지 않았던 것으로 보인다. 이 둘은 대체적으로 일치하는 모습을 보이는 것이 사실이나 세부적으로는 차이가 존재한다. 正?異體 및 本?俗字의 대응 양상을 비롯해 異字와 글자의 加減, 표제어와 표제해당어 및 풀이 항목 순서의 차이, 그리고 언문 표기의 차이 등을 볼 수 있다. 이 두 문헌에 대한 이러한 비교 작업을 통해 우리는 부분적이나마 아직 발견되지 않고 있는 飜譯朴通事의 中?下 권에 대한 片鱗을 찾아보게 된다. The aims of this paper are to compare Baktongsajipram(朴通事集覽) in Nobakjipram(老朴集覽) with inserted notes in Baktongsaeonhae(朴通事諺解) and to examine the result on the whole. The contents of these two materials are mainly parallel, but more or less different in details. We could find out some difference as follows: ⅰ) the shape of Chinese characters, ⅱ) the use of different Chinese characters, ⅲ) the addition and subtraction of Chinese characters, ⅳ) disagreement between entry and its corresponding word besides their ordering, ⅴ) the use of different Korean characters. This kind of comparative study enables us to get a glimpse of the second and third volume of BeonyeokBaktongsa(飜譯朴通事), which are not found yet.

      • KCI등재

        『노박집람(老樸集覽)』에 보이는 인용(引用) 서적(書籍) 고찰(1) - 「자해(字解)」와 「노걸대집람(老乞大集覽)」을 중심으로-

        양오진 한국중국학회 2012 중국학보 Vol.65 No.-

        『老樸集覽』是朝鮮時期著名的漢學家崔世珍在飜譯『老乞大』、『樸通事』時, 收集兩書裏不易發音的漢字及難解的詞彙, 進行注音和註釋的壹種漢語學習慘考書. 因此, 本書裏包含著豊富的語學資料和文化史方面的內容, 其學術價値不亞于「老樸」兩書的原文. 但長期以來學界對此資料還不구應有的重視, 缺乏系統的硏究和全面的考察. 崔世珍在編纂此書時爲了方便漢語學習者, 引經據典, 大量列擧了各種文獻, 其範圍和數量超出人們的想象. 本論文著重考察本資料裏出現的慘考文獻及其引用, 以援引例句爲根據, 分析其種類及出處等, 以觀 察此資料的文獻價値. 本硏究不僅有助于加深對『老樸集覽』的理解, 還可以進壹步幇助人們對「老樸」原 文的認識, 而且在編寫現在的外語敎材和慘考書方面也將提供壹定的慘考和啓示. 령外, 通過本硏究還能了解歷史上流入我國的中國書籍的種類及範圍. 當時流入我國的中國書籍除了大量的儒彿道經典外, 還有韻書和辭書類、法律典章類、詩歌小說類、生活指南書等多種, 可以窺見歷史上韓中兩國在文化方面 的交流.

      • KCI등재

        『老朴集覽』에 보이는 인용 예문과 참고 문헌 고찰(Ⅲ)

        梁伍鎭 국어사학회 2013 국어사연구 Vol.0 No.17

        老朴集覽 은 조선시대 한학자인 최세진이 老乞大 와 朴通事 의 학습을 위하여 편찬한 일종의 사전류 참고서이다. 본 연구에서는 老朴集覽 의 주석 부분에 보이는 인용 예문과 참고 문헌의 출처 등에 대한 고찰을 진행하였다. 본 고찰에 의하면 이 자료에는 100여 종의 참고 문헌이 등장하는데 그 종류를 살펴보면 經典類(儒佛道)․史書類․百科全書類․韻書類․辭書類․禮儀․日用生活指南․法律典章類․傳記,․隨筆集․小說․占書․醫書․詩經註釋書․圖書目錄書 등 다양한 종류가 포함된다.따라서 이 자료에는 소중한 언어학적 자료뿐만 아니라 풍부한 문화사적 내용을 담고 있어 귀중한 학술적 가치를 지닌다. 본 고찰을 통하여 우리는 한 언어를 습득함에 있어서 단순히 그 말 자체만을 배우는 데 그치는 것이 아니라 해당 민족의 풍속과 문화 등 배경지식을 습득하는 것이 더없이 중요함을 다시 한 번 실감하게 된다. 아울러 譯學{書敎材의 참고서 편찬에 있어서 저자의 신중하고도 학구적인 태도는 오늘날 우리의 外國語敎材 및 참고서의 편찬에도 좋은 참고가 될 것이다. Nobakjipram is a kind of dictionary reference book published for the study of Nogeoldae and Baktongsa by Sejin Choi, the scholar of Chinese classics of the Joseon dynasty. This study process the study on the quotation example appeared at the annotation and the source of references of Nobakjipram. According to this study, the data contains hundreds of various kinds of references, which are scriptures (Confucianism, Buddhism, and Daoism), historical records, encyclopedias, rhyming dictionaries, dictionaries, courtesy guidance, routine daily-life guidance, legal documents, biographies, essays, novels, fortune-telling books, medical books, annotation books of The Shih Ching(Chinese book of poetry) and catalog of books. Therefore, it is figurative that this data has the precious scientific value as containing not only the valuable philological data but also contains abundant cultural historical contents. Through this study, we could notice the importance of acquiring backgrounds, such as customs and cultures of relevant nation and people, again as not just simply stop at learning the language when acquiring a language. Furthermore, the considerate and academic attitude of the author in publication of a reference book for Chinese textbook will be the great example in publication of our foreign language textbooks and reference books today.

      • KCI등재

        산기문고(山氣文庫) 소장 {산개} (刪改) <로걸대(老乞大)>에 대하여

        정광 ( Chung Kwang ) 한국어문교육연구회 2007 어문연구(語文硏究) Vol.35 No.1

        이 논문은 산기문고에 소장된 嘉靖本 <노걸대>에 대한 연구다. 이 책은 嘉靖年間(1522~1566)에 간행되었으며 한어를 공부하려는 어느 文臣이 적어도 1548년까지는 실제로 사용한 책이다. 따라서 최세진의 『老朴集覽』에 명기된 <舊本 老乞大>를 成宗 때에 葛貴 등이 刪改하였고 이를 甲寅字로 간행하였는데 山氣문고에 수장된 嘉靖本 <노걸대>는 刪改本의 覆刻本임을 밝혔다. 이 책을 소유한 사람은 여기저기에 한어를 학습하기 위한 주석을 남겨 놓았다. 특히 주요한 것은 한자와 한글로 된 구결을 붙였으며 언해본 <노걸대>를 참고하여 곳곳에 그 뜻을 옮겨 적었다. 이를 통하여 우리는 실제로 필요에 의하여 어떻게 구결이 삽입되었는지를 알게 하고 당시 구결에는 한글 吐와 한자 吐가 倂用되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老朴集覽』의 難解語, 難解句를 해당 어휘나 구절의 欄上에 記入하였다. 우리는 이 자료를 보면서 당시 한어 교육의 과정을 窺知할 수 있다. This paper is a research on Lao Qida published in the Jiajing(嘉靖) age, which is in the collection of Sangi Mungo. The book was used by a government official at least until 1548, so it can be assumed that it was published at least before 1549. The one who had owned it left annotations which were useful for learning Chinese on many pages of the book. Especially, the notable thing is that he put Kugyeol written in either Hangeul or the Chinese character on many parts of the original text and also translated many passages of the original text in Korean, referring to a Korean version of Lao Qida. With this material, we can figure out how Kugyeol was really used, and the fact is that at that time, both Hangeul-to and Chinese character-to were jointly used. Additionally, the annotations for difficult words or passages, mainly quoted from Nobakjipram(老朴集覽), were written in the upper margin of the pages in which they locate. Studying this material, we could get a glimpse of how Chinese was taught during that period.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老朴集覽』에 보이는 인용 예문과 참고 문헌 고찰(Ⅱ)– <朴通事集覽>(上)을 중심으로 –

        梁伍鎭 국어사학회 2012 국어사연구 Vol.0 No.15

        『老朴集覽』은 조선시대 한학자인 최세진이 『老乞大』와 『朴通事』의 학습을 위하여 편찬한 일종의 사전류 참고서이다. 본 연구에서는 『老朴集覽』의 주석 부분에 보이는 인용 예문과 참고 문헌의 출처 등에 대한 고찰을 진행하였다. 본 고찰에 의하면 이 자료에는 100여종의 참고 문헌이 등장하는데 그 종류를 살펴보면 經典類(儒佛道)·史書類·百科全書類·韻書類·辭書類·禮儀·日用生活指南·法律典章類·傳記·隨筆集·小說·占書·醫書·詩經註釋書·圖書目錄書 등 다양한 종류가 포함된다. 따라서 이 자료에는 소중한 언어학적 자료뿐만 아니라 풍부한 문화사적 내용을 담고 있어 귀중한 학술적 가치를 지닌다. 본 고찰을 통하여 우리는 한 언어를 습득함에 있어서 단순히 그 말 자체를 배우는 데 그치는 것이 아니라 해당 민족의 풍속과 문화 등 배경지식을 습득하는 것이 더없이 중요함을 다시 한 번 실감하게 된다. 아울러 역학서교재의 참고서 편찬에 있어서 저자의 신중하고도 학구적인 태도는 오늘날 우리의 외국어 교재 및 참고서의 편찬에도 좋은 참고가 될 것이다. Nobakjipram is a kind of dictionary reference book published for the study of Nogeoldae and Baktongsa by Sejin Choi, the scholar of Chinese classics of the Joseon dynasty. This study process the study on the quotation example appeared at the annotation and the source of references of Nobakjipram. According to this study, the data contains hundreds of various kinds of references, which are scriptures (Confucianism, Buddhism, and Daoism), historical records, encyclopedias, rhyming dictionaries, dictionaries, courtesy guidance, routine daily-life guidance, legal documents, biographies, essays, novels, fortune-telling books, medical books, annotation books of The Shih Ching(Chinese book of poetry) and catalog of books. Therefore, it is figurative that this data has the precious scientific value as containing not only the valuable philological data but also contains abundant cultural historical contents. Through this study, we could notice the importance of acquiring backgrounds, such as customs and cultures of relevant nation and people, again as not just simply stop at learning the language when acquiring a language. Furthermore, the considerate and academic attitude of the author in publication of a reference book for Chinese textbook will be the great example in publication of our foreign language textbooks and reference books today.

      • KCI등재

        『번역박통사(飜譯朴通事)』 편찬자에 대한 재고(再考)

        장향실 ( Hyang Sil Jang ) 민족어문학회 2008 어문논집 Vol.- No.57

        본고는 1510년경에 최세진에 의해 편찬되었다고 알려진 『飜譯朴通事』가 최세진의 편찬으로 볼 때 야기되는 여러 문제점을 살폈다. 이를 바탕으로 현존 『飜譯朴通事』가 최세진이 언해한 것이 아닐 가능성을 제기하였다. 현존하는 『飜譯朴通事』에는 책의 간행 연대나 저자를 추정할 수 있는 어떤 기록도 없다. 『飜譯朴通事』가 최세진의 것이라고 단언할 근거가 없음에도 불구하고 그간 학계에서는 오랫동안 최세진의 것으로 믿어 의심치 않았다. 하지만 『飜譯朴通事』 6葉에 나오는 『老朴凡例』에 대한 내용, 『飜譯朴通事』의 번역과 『老朴集覽』 풀이의 불일치, 『四聲通解』에 실린 飜譯老乞大朴通事凡例의 설명과 맞지 않는 『飜譯朴通事』의 형식 및 書名, 『飜譯朴通事』의 서지적 정보 등을 고려해보면 최세진 편찬설을 준신하기 어렵다. 오히려 『飜譯朴通事』를 최세진이 편찬한 것이 아니라고 보았을 때 이러한 문제들은 적절히 이해될 수 있다. 현전하는 『飜譯朴通事』는 최세진의 것이 아닐 수 있다. 물론 본고에서 제기한 문제들이 『飜譯朴通事』가 최세진이 편찬한 것이 아님을 확증케 하는 결정적 증거가 될 수 있는가라고 의문을 제기할 수도 있다. 하지만 적어도 본고에서 제기한 문제들이 해결되지 않는 한 최세진 편찬설 또한 설득력을 가질 수 없는 것도 사실이다. This thesis studied on the Beonnyeok-Baktongsa which edited in 1510 or thereabouts. The editor of Beonnyeok-Baktongsa widely known as Choi, Se-jin. But it also raised several severe questions. So this researched questions and presented the possibility that the editor of Beonnyeok-Baktongsa existing is not Choi, Sejin. There is no proof which the Beonnyeok-Baktongsa existing edited by Choi, Se-jin. Even though this fact the editor of Beonnyeok-Baktongsa widely and firmly known as Choi. This thesis presented several questions concerning the editor of Beonnyeok-Baktongsa. These are the record of 6th page about Nobak-beomnye in Beonnyeok-Baktongsa and contradictions of explanations between Beonnyeok-Baktongsa and Nobakjimnam. And also there are some disconcord between the Beonnyeok-Baktongsa existing and records in Beonnyeok-nogeoldae -baktongsa-beomnye, especially the title and construction of the Beonnyeok-Baktongsa. These problems make it impossible that believe Choi as the editor of the Beonnyeok-Baktongsa. The editor of the Beonnyeok-Baktongsa existing is possibly not Choi. Of course, up to now it in not clear who is the editor of the Beonnyeok-Baktongsa existing. But at least, we have to wait until some questions this thesis presented are solved.

      • KCI등재

        ≪朴通事≫ 회화 속 話者의 관직 호칭 연구 — ≪老朴集覽≫의 풀이를 중심으로

        이순미 중국어문연구회 2018 中國語文論叢 Vol.0 No.90

        Baktongsa provides the valuable informations not only in study of the modern Chinese but also in study of culture and history. This paper researched the official titles of the speakers and all the usages of each word in Baktongsa.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words like yuanpan (院判), langzhong (郎中), sheren (舍人), dashe (大舍), xianggong (相公), xiucai (秀才), huishi (揮使), tongzhi (同知), jiaoshou (敎授) are used as the official titles of speakers who lead the conversation. Their positions range between intermediate and low classes, and they appears as speakers in the situations that could be experienced when someone perform his official duties in the Yuan Dynasty. Second, the words like yuanpan (院判), sheren (舍人), xiucai (秀才) are used as the official titles for Goryeo people in Baktongsa. Through them we could look into Goryeo people’s life and their social relationships in the Yuan Dynasty. Third, the tentative titles that honor each other were used more often than the real official titles. Fourth, No Bak jimnam provides the detailed commentaries for the official titles in Baktongsa, which help people understand the contents of Parktongsa.

      • KCI등재

        최세진의 輯覽類 사전에 대하여

        양오진(Yang, O-jin) 한국사전학회 2015 한국사전학 Vol.- No.26

        This paper focuses on Choe Sejin(崔世珍)’s “Nobakjimnam” and “Imunjimnam”, both varieties of ‘Jimnam(輯覽)’ dictionaries, and looks at the system and background of their compilation. Through considering their special features, this paper also analyzes Choe Sejin’s contributions to Chinese and Imun education. If the “Nobakjimnam” was a reference for colloquial Chinese from the original texts of the Chinese conversation teaching materials “Nogeoldae(老乞大)” and “Baktongsa(朴通事)”, then the “Imunjimnam” was a reference for official Chinese from the original text of “Imun”, a diplomatic document. During the Joseon era, the national policy towards China was one of subservience, and as a result of the need for exchange with China the acquisition of Chinese and Imun was incredibly important from a national perspective. A reference book responding to the chronological changes of the Chinese language was urgently needed, and Choe Sejin, the best scholar of Chinese from the Tang era, responded to this demand by compiling the variety of ‘Jimnam’ dictionaries. Choe Sejin, as a scholar with incredible ability in terms of Chinese and Imun, was irreplaceable, and he was unrivaled to the extent that there were always worries in the royal court. His deep knowledge of Chinese and Imun can also be sufficiently confirmed through the large number of books referred to in the “variety of Jimnam(輯覽)” dictionaries. The exchange of linguistic communication and diplomatic documents with China was an extremely important task that could not possibly be dealt with carelessly. Thus, no matter how much praise these two dictionaries receive for the importance of their compilation and their value as reference books, that praise could never be called excessiv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