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중국 노동교육의 실태와 문제점

        주야린,송도선 한국정치사회연구소 2023 한국과 국제사회 Vol.7 No.5

        본 연구는 체험교육의 사례로서, 중국 노동교육의 실태와 문제점을 규명하는 데에 목적을 두었다. 노동은 ‘인간이 삶을 유지하기 위하여 육체적, 정신적 노력을 들이는 행위’를 의미하며, 중국의 노동교육은 ‘덕지체미노 등의 다면적인 능력을 키우는 교육활동으로서, 모든 학생이 노동에 대해 올바른 감정, 태도, 지식, 습관, 가치관 등을 육성하는 교육 실천 활동’이라고 할 수 있다. 노동교육의 기원은 토머스 모어(Thomas More), 존 벨러스(John Bellers), 로버트 오웬(Robert Owen), 마르크스(Karl Heinrich Marx)와 엥겔스(Friedrich Engels) 등으로 거슬러 올라가지만, 중국의 노동교육은 제1대 지도자인 마오쩌둥이 마르크스의 ‘교육과 생산 노동을 결합한다’는 사상을 처음으로 중국에 도입하면서 시작되었다. 그 이후로 덩샤오핑, 장쩌민, 후진타오 그리고 시진핑을 대표로 한 중국의 지도자들은 노동교육 사상을 중요한 교육 지침으로 계승하고 발전시켜왔다. 특히 2022년 노동교육은 중국 의무교육 체계에서 독립된 교과목으로 편입됨으로써, 교육시스템에서 노동교육의 위상이 새롭게 높아졌다. 한편 중국의 노동교육에는 상당한 문제점도 나타나는데 필자는 그것을 사회, 학교, 가정이라는 세 가지 측면에서 탐구하였다.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current status and problems of labor education in China as an example of actual experience education. Labor refers to ‘an act of making physical and mental efforts to lead human life,’ and labor education in China is an educational activity that fosters multi-faceted abilities such as Deokjichemino(德知體美勞), and is an educational practice activity that fosters students' emotion, attitudes, knowledge, habits, and values for labor. Labor education dates back to Thomas More, John Bellers, Robert Owen, Karl Heinrich Marx and Friedrich Engels. But Mao Zedong, the first leader of China, introduced Marx's idea of ‘combining education and productive labor’ to China for the first time. Since then, Chinese leaders, led by Deng Xiaoping, Jiang Zemin, Hu Jintao and Xi Jinping, have inherited and developed the idea of labor education as an important educational guideline. In particular, in 2022, labor education was incorporated into an independent subject from the Chinese compulsory education system, raising its status in the education system. Problems in Chinese labor education can be found in three aspects: society, school, and family.

      • KCI등재

        평생학습 관점에서 고찰한 한국 노동교육 법제의 현황과 발전 방향

        오정록(吳晶祿) 서울대학교 교육연구소 2013 아시아교육연구 Vol.14 No.1

        본 연구는 한국 노동교육 법제의 현재 위치를 조망해 보고 그 문제점을 살펴봄으로써, 근로자의 평생학습기회 확대를 위한 향후 발전 방향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국내에서 노동교육이란 용어는, 외국에서는 노동조합교육을 중심으로 주로 사용되는 것과는 달리, 직업교육과 노사관계교육 등 다양한 용례까지도 모두 포괄하는 노동에 관련된 교육으로 이해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또한 노동교육의 유형은 노사정을 중심으로 한 실시 주체별로 나누어 파악할 수 있다. 노동교육이 국외에서 오랜 역사를 가지고 발전해 왔으며 그에 상응하는 법제화의 단계를 거쳐 온 것처럼, 국내에서도 1960년대 이후 노동교육의 제도화가 이루어졌다. 그런데 한국의 노동교육법제는 직업교육 영역을 중심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정부와 경영자 주도의 노동교육에 편중된 모습을 보인다. 그래서 앞으로는 한국의 노동교육에 있어 학습자 중심의 노동교육 활성화를 위해 근로자가 주도하는 노동교육의 법제화가 보다 필요하고 할 수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평생교육법상 노동조합 부설 평생교육시설의 도입을 검토해 볼 수 있는데, 이는 평생교육기관으로서의 정치적 중립성을 갖춘 노동조합에게는 국가의 행정적?재정적지원을 받을 가능성을 열어주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기 때문이다. 이에 대한 자세한 입법론적 논의를 바탕으로, 평생교육법상 노동조합 부설 평생교육시설에 대한 최종적인 입법안을 근로자 주도 노동교육의 관점에서 제시하였다. This study aims to suggest developmental directions for the legal system of labor education in South Korea by exploring its current state and defects in order to expand workers" opportunities for lifelong learning. In South Korea, the term labor education is broadly understood as a term that includes every type of education related to labor, such as vocational training and industrial relations education, although it is generally used to refer to trade union education in foreign countries. In addition, the types of labor education can be classified by who provides the educational service: workers, employers, or the government. As labor education abroad has had a long history abroad and has developed in connection with various pertinent legal systems, labor education in South Korea has become a social system since the 1960s. However, the current legal system for labor education in South Korea is focused on vocational training and labor education led by the government and employers. Thus, South Korea needs more labor education led by workers to facilitate learner-centered labor education in the future. In this context, trade union-affiliated lifelong education facilities can be considered to be introduced to the Lifelong Education Act in that politically neutral trade unions should be provided with the government’s administrative and financial support. Based on the detailed discussion about the legislation, a final amendment draft of trade union-affiliated lifelong education facilities in the Lifelong Education Act is suggested in terms of labor education led by workers.

      • KCI등재

        뉴스 기사 빅데이터 분석을 통한 노동인권교육 담론 분석

        이서영 한국사회교과교육학회 2021 사회과교육연구 Vol.28 No.4

        This study attempts to examine the discourse of human rights education on labor through big data analysis of news articles, considering recent trend of high interest in human rights education on labor. Using the Korea Press Foundation's BigKinds News Analysis Service, time series data, relationship maps, and related keywords were analyzed, collecting 3,614 articles written by 54 media companies from January 1st, 1990 to September 30th, 2021.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mount of reports increased rapidly, going through each ruling period of the 17th, 18th, and 19th Korean president. Second, there were many articles using 'Labor Act', 'Labor Standards Act', 'High school Students' and 'Laborer' as common keywords; and the 'Ministry of Employment and Labor' and the 'Ministry of Education' as government ministries. Third, various activities for human rights education on labor are being implemented, and the target of human rights education on labor is expanding from vocational high school students to youth. If human rights education on labor contributes to making labor a public agenda for society to discuss and solve together, continuous media reports can also be seen as part of it. 본 연구는 노동인권교육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 상황에서, 뉴스 빅데이터를 분석하여 노동인권교육 담론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언론진흥재단의 빅카인즈 뉴스 분석 서비스를 통해 1990년 1월 1일부터 2021년 9월 30일까지 54개 언론사의 노동인권교육 관련 기사를 대상으로 시계열, 관계도, 연관어 분석을 실시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17대 이명박 정부, 18대 박근혜 정부, 19대 문재인 정부 순으로 점차 노동인권교육 관련 보도가 급증하였다. 둘째, 주요 키워드로는 '노동법', '근로기준법', '노동자', '고등학생'을, 정부 부처로는 '고용노동부', '교육부'를 사용한 기사가 많았다. 셋째, 노동인권교육을 위하여 여러 단체들이 다양한 활동을 시행하고 있으며, 노동인권교육의 대상을 직업계 고등학생에서 청소년으로 확장시키고 있었다. 노동인권교육이 노동을 사회가 함께 논의하고 해결해야 할 공적인 의제로 만드는 데 기여한다면, 지속적인 언론 보도 또한 노동인권교육의 일환이라고 볼 수 있다.

      • KCI등재

        노동인권교육의 원칙 및 내용체계에 관한 기초 연구

        설규주,옹진환,정수진 한국사회과교육학회 2019 시민교육연구 Vol.51 No.4

        Numerous reports and surveys have highlighted the human rights on labor, especially for young people, as an important social issue. This issue has to be discussed and debated through human rights education on labor in schools. Therefore, this study attempted to link human rights education on labor with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 curriculum in order to improve the youth's recognition of labor human rights and strengthen their competencies to solve labor problems. For this purpose, this study performed the following work. First, the meaning and significance of labor and human rights education on labor were presented. In particular, the human rights education on labor was examined in terms of democratic civic education and social studies education. In the process of specifying human rights education on labor curriculum, the Philadelphia Declaration and the Beutelsbach consensus were reviewed, and the meaning, direction and teaching and learning principles of human rights education on labor were proposed in connection with the current curriculum. This could be the base for improving the effectiveness of human rights education on labor and enable stable teachings in school. Lastly, an alternative curriculum was proposed to strengthen the contents of the human rights education on labor by conducting FGI(focus group interview) with experts in human rights on labor and curriculum. Through this, we expect that this study could be used as the basic data for the development of curriculum revised and textbooks as well as the development of school-level educational materials for the human rights education on labor. 청소년들의 노동인권과 관련된 여러 가지 문제가 드러나면서 학교 노동인권교육의 필요성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그동안 우리 사회에는 노동이라는 용어를 금기시하거나 불편해 하는 시선도 있어서 노동 관련 내용이 교육과정에서 충실하게 다뤄지는 데 한계가 있었다. 이러한 현실을 고려하여 이 연구는 노동인권에 관한 청소년들의 인식 개선 및 노동문제 해결 역량 강화를 목적으로 노동인권교육의 원칙과 내용체계를 수립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우선 기존 문헌을 살펴보면서 노동 및 노동인권교육의 의미와 의의를 제시하였다. 특히 노동인권교육을 민주시민교육과 사회과교육의 차원에서 조명하면서 그 시의성과 교육적 의의를 고찰하였다. 노동인권 교육과정을 구체화하는 과정에서는 필라델피아 선언 및 보이텔스바흐 합의를 검토하였고 현행 교육과정과의 연계 속에서 노동인권교육의 의미, 방향, 교수학습원칙을 제안하였다. 이는 노동인권교육의 실효성을 높이고 학교 현장에서 안정적인 수업을 가능하게 하는 기반이 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노동인권 및 교육과정 전문가들과 협의회를 거쳐 노동인권교육 내용을 강화한 대안적 교육과정(안)을 제시하였다. 이를 통해 이 연구가 향후 노동인권교육을 위한 학교급별 자료집 개발은 물론 개정 교육과정 및 교과서 개발의 기초 자료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 KCI등재

        노동인권교육 조례의 교육적 개선 연구

        이서영 한국사회과교육학회 2022 시민교육연구 Vol.54 No.3

        Diverse efforts for labor human rights education are being made by various institutions, including the administration department. Local governments are enacting ordinances for the protection of youth labor rights and ordinances for the promotion of labor human rights education. Since the social, cultural, and economic environment of each community where students live and work is different, it is necessary to enact ordinances that reflect the environment and needs of the local community. Based on the results of comparative analysis of the Labor Human Rights Education Ordinance enacted by 13 education offices, the following four improvement measures were derived. First, the provision of student education and teacher training should be compulsory. Second, the definitions prescribed in the ordinance on Labor Human Rights Education shall be reviewed in detail. Third, the subject of labor human rights education should be expanded to be inclusive. Fourth, in the basic principles of labor human rights education, the purpose, content, and method should be explicitly presented. In addition, the current ordinance rarely reflects regional characteristics and is enacted with similar content, so it needs to be revised to express more specific and practical will. 노동인권교육을 위한 다양한 노력이 행정부처를 비롯한 여러 기관에서 실시되고 있다. 지방자치단체에서는 청소년 노동인권 보호를 위한 조례와 노동인권교육 활성화 조례를 잇달아 제정하고 있다. 학생이 생활하고 노동하는 지역사회마다 사회‧문화․경제적 환경이 다르므로 노동에 관한 문제를 인식하거나 대응하는 방식이 다르게 나타날 수밖에 없으므로 지역사회의 환경과 요구를 반영한 조례 제정이 필요한 상황이다. 13개 교육청이 제정한 노동인권교육 조례를 비교 분석한 결과를 토대로 다음 네 가지 교육적 개선 방안을 도출하였다. 첫째, 노동인권교육 실행이 자발적으로 이뤄질 수 있는 토양이 만들어질 수 있도록, 지속적인 노동인권교육과 교원연수가 제공될 수 있게 학생 교육 및 교원연수 조항을 강제조항으로 만들어야 한다. 둘째, 노동인권교육 조례에서 규정한 ‘정의’에 대하여 세밀하게 검토해야 한다. 셋째, 노동인권교육의 적용 대상을 다양한 방면으로 확장하여 포함시켜야 하다. 넷째, 노동인권교육의 기본 원칙에서는 교육을 통해서 얻고자 하는 바와 ‘무엇을’ ‘어떻게’가 대등한 위계와 성격을 띠고 명시적으로 제시되어야 한다. 이에 더하여 현재 지역별 노동인권교육 조례는 지역적 특성이 거의 반영되어 있지 않고 유사한 내용으로 제정되어 있어 더욱 구체적이고 실제적인 노동인권교육 보장의 의지가 표현될 수 있는 행정규범이 담기도록 개정될 필요가 있다.

      • KCI등재

        영국의 노동인권교육 현황과 수업자료 분석 -내용과 교수학습방법론의 특징을 중심으로-

        이수경,정필운,이서영,이규환 한국사회교과교육학회 2022 사회과교육연구 Vol.29 No.1

        본 연구는 우리나라보다 노동인권 보장 수준이 높은 영국의 노동인권교육에서 사용하는 지도자료를 분석하여 우리 노동인권 지도자료를 개선하는데 시사점을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우선 영국의 노동인권교육 현황을 검토하였다(II). 그리고 영국의 노동인권 지도자료 중 <시작해요! 나의 노동권과 책임>을 소개하고 분석하였다(III). 마지막으로 이상의 논의를 정리하며 영국의 노동인권교육 현황과 지도자료가 한국의 노동인권교육에 시사하는 바를 정리하여 제시하며 글을 마쳤다(IV). <시작해요! 나의 노동권과 책임>을 통해 학생들은 (i) 노동관계의 주체를 다원화하여 다양한 근로형태의 노동자로서 보장받아야 할 권리, 사용자가 노동자에 대하여 갖는 책임, 노동조합의 역할을 경험할 수 있다. (ii) 차별 문제, 직장 내 괴롭힘 등 노동 문제의 현실과 대처방안을 구체적으로 제시하였다. (iii) 공감과 문제해결 과정을 활용하여 체계적인 교수학습을 구성하였다. 본고에서 살펴본 영국의 노동인권 지도자료는 학생들이 사회에서 만나게 될 노동 문제를 미리 경험하고 그 해결방안까지 제시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는 점에서 큰 장점이 있다. 이에 더하여 개념보다는 문제를 먼저 제시한 후 이를 해결하기 위한 정보를 제공하는 방식으로 자료를 구성함으로써 학생들에게 실제적인 노동인권교육을 제공할 수 있다.

      • KCI등재

        노동조합 활동과 자녀 사교육

        김혜진(Haejin Kim),진숙경(Sook-Kyung Jin),송태수(Tae-Soo Song) 한국고용노사관계학회 2015 産業關係硏究 Vol.25 No.4

        한국의 사교육 문제는 공교육의 약화와 양극화의 구조화 등이 개선되기보다는 부작용이 갈수록 심해지고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사교육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한 주체로서 노동조합의 역할에 대한 탐색적 접근으로, 교사들의 자녀 사교육 현황을 살펴보고, 이들 교사들의 노동조합 활동이나 정치적 성향과 사교육 의존도를 살펴보고자 한다. 경기도 교사들에 대한 설문조사 결과, 공교육의 일선에 있는 교사들도 자녀들에 대한 사교육을 많이 시키고 있는데, 초·중·고 자녀 1인당 사교육비는 정치적 성향과 관련성이 있는 반면, 노동조합 가입 여부는 부가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노동조합들이 집단적 주체로서 사교육 문제 해결에 나서고 있지 않다는 것을 유추할 수 있다. 이에 대해 노동조합원인 교사들은 노동조합에서 사교육 문제 해결을 위해 활동할 필요성에 대해서는 인식하고 있었지만, 눈앞의 복지기금이나 임금인상분 일부를 지역 교육 사업에 사용하는 것에 대해서는 미온적인 태도를 보이고 있었다. 노동조합이 조합원들의 이해대변집단을 넘어 사회 전반의 변화 주도세력으로 인식되고 자리매김하기 위한 한 방안으로 교육문제 해결에 앞장설 것이 요구되며, 이는 동시에 조합원들의 노동조합에의 참여를 높일 수 있는 계기가 될 수도 있다. The private education problem in Korea has only been growing with the continual weakening of public education and the structuralization of polarization in education. This research explores the trade union"s role as one of the main agents in combating the problem of private education by investigating the current state of private education and the relationships between trade union membership, political inclination, and dependence on private education of public school teachers for their children. The results of the survey of teachers in Gyeonggi-Do show that public school teachers have had their children take private education in many cases. The money they spend on private education per grade school child is found to be associated with their political inclination, but not additionally affected by their union membership. This means that trade unions as a collective force have yet to solve the private education problem. Even though unionized teachers have been perceiving the active role of trade unions, they show apathy when it comes to spending from their benefit fund or from their wage increase for regional education projects. It is time for trade unions to take a leading role in combating the private education problem, which would valuate them as a main force for social change far beyond just an interest group that only serves their members. At the same time, through this course of action to solve the private education problem, trade unions have a great opportunity to bolster active participation in union activities from their members.

      • KCI등재

        Labor union associates' perception and participation on the safety and health education at work

        Park, Kyoung-Ok Korean Society for Health Education and Promotion 2007 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지 Vol.24 No.5

        연구목적: 본 연구는 제조업과 건설업 사업장 노동조합관계자들의 사내 안전보건교육에 대한 인식과 참여정도를 파악하고 이들 간의 관련성을 분석하는데 그 목적을 두었다. 연구방법: 본 연구의 대상은 103명의 노동조합 관계자들(78개 제조업 산업장의 91명, 12지역의 12건설업 노동조합관계자)이었고 이들을 대상으로 자기기입식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전국기업체산업안전협의회의 회원사들을 중심으로 우리나라 전역의 제조업과 건설업 사업장을 임의로 선정하고 선정된 사업장별로 설문지 2부, 노동부의 설문조사 협조공문, 설문조사 안내문, 설문회수용 봉투로 구성된 우편물을 사업장 노동조합사무실로 배달하는 방식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80% 이상이 소속 사업장 규모가 50인 이상이었고 대부분이 결혼한 남자로 구성되어 있었다. 설문조사 내용은 대상자와 대상사업장의 일반적 특성, 사업장의 안전보건교육 특성, 노동조합의 사내 안전보건교육 참여도, 노동조합의 사내 안전 보건교육에 대한 인식으로 구성되었다. 연구결과: 전체적으로 제조업사업장에 건설업 사업장에서보다 사내 안전보건교육에 대한 인적, 물적 인프라가 잘 구축되어 있었고 사업주의 사내 안전보건교육에 대한 지원도가 높았으며, 사내 안전보건교육 담당자들의 교육역량에 대한 인식도가 더 높은 경향을 보였다. 이러한 인적, 물적 인프라는 사업장내 노동조합의 안전보건교육 참여도와 정의 상관관계가 있었으며 그 정도는 중등도 이상의 수준이었다. 결론: 이상의 결과를 토대로 볼 때, 사업장 안전보건교육에 대한 노동조합의 참여와 지지를 확충하기 위해서는 사업장 조직적으로 안전보건교육 실시에 대한 지원이 선행되어야 함을 알 수 있었다. 아울러 안전보건관리자들을 대상으로 근로자 산업재해에 대한 지식뿐만 아니라 사내 안전보건교육을 수행관리할 수 있는 '교육역량'을 기를 수 있도록 연수프로그램을 확충할 필요가 있겠다. Objectives: This study identified the labor union associates' perception and participation status on SHEW and analyzed these two Constructs correlations with Safety and health education at work(SHEW) in manufacture and construction industries. Methods: Self-administered survey was successfully finished by 103 labor union associates (91 employed in 78 manufacturing companies and 12 employed in 12 constructing companies over 12 areas). Two questionnaires, survey direction slip, the official letter to ask survey participation from Korea Ministry of Labor, and a posted envelop to return were delivered to each workplace labor union office in conveniently selected companies. Most participants' companies were at least medium to large in manufacturing industry and most associates were men and married. A survey questionnaire examined demographic characteristics, SHEW status (participation status included), and perceptions of SHEW. Results: Overall, manufacturing companies had better infrastructures for SHEW, employer support for SHEW, and current educators' competencies than constructing companies. These infrastructures for SHEW were closely correlated with company labor union participation on SHEW and the correlation coefficients were greater than any other expectations or needs variables for SHEW. Conclusions: The primary strategies for better participation and support from labor union need to be developed in supporting for organizational infrastructures related to SHEW and strengthening safety and health education training programs for supervisors or educators at work.

      • KCI등재

        고등학생의 노동인권의식에 대한 노동인권교육 내용별 영향에 관한 연구 : 경남지역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구정화(Koo, Jeong-hwa) 성신여자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2021 교육연구 Vol.81 No.-

        이 연구의 목적은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하여 노동인권교육 및 세부 교육내용이 그들의 노동인권의식에 영향을 주는지를 살펴보려는 것이다. 관련 이론 검토를바탕으로, 노동인권교육 정도 및 노동인권교육의 세부 내용별로 우리 사회의 노동인권의식 수준 평가, 학생 자신의 노동인권감수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가설을 설정하였다. 경남지역의 고등학생 6천여명을 대상으로 질문지 조사를 하였으며, 수집한 자료에 대하여 통계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노동인권교육 정도는 ‘우리 사회의 노동인권의식 수준 평가’에 정(+)적인 영향을 갖는다. 둘째, 노동인권교육 세부 내용 중에서 ‘노동권리 정보 교육’과 ‘노동권리 구제방식 교육’은 ‘우리사회의 노동인권의식 수준 평가’에 정(+)적인 영향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노동인권교육 정도는 ‘학생 자신의 노동인권 감수성’에 정(+)적인 영향을 갖는 것으로나타났다. 넷째, ‘노동인권 존중 교육’은 ‘학생 자신의 노동인권 감수성’에 정(+)적인영향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고려할 때, 고등학생의 노동인권의식을 높이기위해서는 노동인권교육의 강화만이 아니라 노동인권교육의 목적을 고려하여 세부내용을 설정할 필요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impact of labor rights education and its details on their labor rights consciousness on high school students in Gyeongsangnamdo. Based on the review of related theories, hypotheses on the impact of labor rights education and detailed education on perspective of labor rights in Korean society and student s own sensitivity of labor rights were established. Statistical analysis was conducted on the questionnaire survey data.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degree of education on labor rights has a positive effect on the ‘perspective of labor rights in Korean society’ of high school students. Second, among the details of labor rights education, ‘education on labor rights information’ and ‘education on labor rights relief method’ have a positive impact on ‘perspective of labor rights in Korean society.’ Third, the degree of education on labor rights has been shown to have a positive impact on the sensitivity of high school students to their own labor rights. Fourth, education for respecting labor rights was found to have a positive impact on high school students own sensitivity of labor rights. In order to enhance high school students labor rights consciousness, it is necessary to not only strengthen education on labor rights but also set details in consideration of the purpose of educ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