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아마츄어 레슬링 선수의 성취목표 지향성 및 자기 효능감에 관한 연구

        정필운,임식 한국학교체육학회 2003 한국학교 체육학회지 Vol.13 No.1

        스포츠 성취목표지향성과 신체적 자기효능감의 관계를 규명하기 위하여 대한레슬링협회에 선수등록[2002년도] 되어 있는 레슬링 선수를 표본으로 하여 경기대회에 참가자 중 남자 80명, 여자 80명, 입상자 80명, 비입상자 80명 총 160명을 대상으로 무선표집(random sampling) 추출을 하였다. 따라서 질문지법에 의한 표준화 검사지를 사용하여 조사한 후, 그 결과를 통계적 검증과 분석을 실시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레슬링 선수의 성별에서의 남자가 여자선수보다 과제지향적 성취목표지향성이 높고, 입상경력이 있는 선수가 없는 선수보다 스포츠 성취목표지향성의 자기지향성과 과제지향성이 높았다. 둘째, 레슬링 선수의 남자선수가 여자선수보다 신체적 자기효능감이 높고, 입상실적이 있는 선수가 입상실적이 없는 선수보다 신체적 자기효능감이 높았다. 셋째, 레슬링 선수의 스포츠 성취목표지향성과 신체적 자기효능감의 관계에 있어서 성취목표지향성의 하위변인인 과제지향성이 높을수록 신체적 자기효능감이 높았다. 이상의 결론으로 미루어 보아 레슬링 선수의 성취목표지향성과 신체적 자기효능감의 관계를 규명하는 데 있어서 불안, 경쟁심, 주의력 등의 심리학적 적인 공통된 관련 여부를 고려해야 할 것이다. 또한 선수들의 생활 문화와 표준화된 신뢰성 확보라는 검증된 관린 연구가 요구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mpirically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Amateur Wrestler' Sport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and Physical Self-Efficacy. For accomplishing this purpose of the study, the 160 subject were selected by the stratified cluster random sampling method from the amateur wrestler. The survey questionnaires were used to collect data. The questionnaire for Task and Ego Orientation in Sport Questionnaire developed by Duda and Nicholls(1989) and standardized in Korean language by Kim, Youn Tea(1999) and another questinnaire is a Physical Self-efficacy Questionnaire developed by Mahoney(1988) and standardized in Korean language by Lee, Sang Koo(1998). The statistical methods utilized in this study for analyzing the collected data were reliability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One-way ANOVA, and standar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From the analysis of this study,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obtained: Firstly, amateur wrestlers' sport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are partially different by gender and career. In detail, in task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male wrestlers is higher than female wrestlers. And sports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of prize winner is higher than non-prize winner that. Secondly, amateur wrestlers' sport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are different by gender and career. In detail, physical self-efficacy of male wrestlers is higher than female wrestlers. And physical self-efficacy of prize winner is higher than non-prize winner that. Lastly, amateur wrestlers' sport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partially influence on physical self-efficacy. In detail, the higher the take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of amateur wrestlers, the higher self-efficacy.

      • KCI우수등재

        데이터 홈쇼핑 규율의 현황과 그에 대한 평가

        정필운 한국공법학회 2019 공법연구 Vol.47 No.3

        이 글은 데이터 홈쇼핑을 규율하는 법제의 현황과 문제점을 정리하고, 그것이 방송서비스 환경 변화에 대응하기 위하여 어떠한 방향으로 변화하여야 하는지 제안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우선 데이터 홈쇼핑을 규율하는 법령 현황을 정리하여 제시하였다(Ⅱ). 그리고 그 문제점과 개선 방안을 제시하였다(Ⅲ). 마지막으로 이러한 논의를 정리하며 글을 맺었다(Ⅳ). 논의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융합 환경에서 방송통신법은 전 세계적으로 수평적 규율체계로 나아가고 있다. 이 체계에서 방송통신사업자의 분류는 수평적으로 분류하여 규율하며 사업자의 지위를 상대적으로 대분류하여 규율하고, 진입은 상대적으로 쉽게 한다. 융합서비스가 방송서비스와 통신서비스 모두의 특성을 가져 중복 규제를 받는 경우 단일 규제로 개선하여야 한다. 진입과 개별적 행위 규제 등 모든 영역에서 동일 서비스는 동일 규율하는 것이 원칙이다. 이렇게 보았을 때 TV홈쇼핑과 데이터 홈쇼핑은 기술적 차이에도 불구하고 현재 방송통신현황에서 원칙적으로 동일 계층에서 제공하는 동일 서비스이므로 동일 규율을 하여야 한다. 또한 전용 데이터 홈쇼핑 사업자가 현행 「방송법」과 같은 법 시행령에 따르면 방송채널사용사업자 중 데이터방송채널사용사업자로, 「인터넷 멀티미디어 방송 사업법」에 따르면 인터넷 멀티미디어 방송 콘텐츠사업자로, 「전기통신사업법」에 따르면 부가통신사업자로 분류되어 각각 진입 규제, 개별적 행위 규제받는 것은 개선되어야 한다. 이와 관련하여 현행 「방송법」은 역무와 그 역무를 제공하는 사업자에 대한 구분이 지나치게 세밀하여 방송통신융합 환경에 적합하지 못하다. 따라서 앞으로 전용 데이터 홈쇼핑 사업과 그 사업자에 대한 규율은 현행 「방송법」보다는 역무와 그 역무를 제공하는 사업자에 대한 구분에 있어 좀 더 개괄적인 구분이 필요하다. 둘째, 현행 「방송법」에 따르면 전용 데이터 홈쇼핑 사업자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의 승인을 받아야 한다. 이것은 일반적인 방송채널사업자에 비하여 시청자와 소비자에게 미치는 사회적 영향력이 크기 때문에 요청되는 것으로 원칙적으로 타당하다. 다만 시장이 성숙하면 경쟁을 촉진하기 위하여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에게 등록하도록 개정하는 것도 고려할 필요가 있다. 한편, 「인터넷 멀티미디어 방송 사업법」 제18조 제3항과 같이 승인 의제도 타당하다. 하나의 절차에서 필요한 심사를 모두 할 수 있도록 개선하는 것을 전제로 「전기통신사업법」도 이를 본받아 부가통신사업자 신고 의제를 규정하는 것이 타당하다. 셋째, TV홈쇼핑과 데이터 홈쇼핑은 원칙적으로 동일 서비스로 동일하게 규율하여야 한다. 다만 각 사업과 사업자의 등장과 발전을 거치며 생성된 미디어 규율을 이유로 매체간 차별적 규율이 정당화될 수 있다. 국가는 이러한 규율에서 사회적 영향력, 후발 사업자 보호, 경쟁 정책과 산업 진흥적 관점을 고려할 수 있다. 그럼에도 헌법 제11조 평등권, 제37조 제2항 기본권 제한의 요건과 한계를 준수하여야 한다. 이러한 관점에 비추어 보았을 때 현재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의 TV홈쇼핑과 데이터 홈쇼핑 정책에는 약간의 문제가 있다. 넷째, 국민의 권리와 의무에 관한 사항은 국민의 대표로 구성된 국회가 법률로써 제한하여야 한다. 이러한 관점에...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aim to present situation and problems of legislation regulating data home shopping, and to propose which direction it should change to respond to changes of broadcasting service environment. To achieve this goal, the present state of the laws and policies governing data home shopping was first presented (II). It also presented its problems and suggestions for improvement (III). Finally, the article was concluded by putting these discussions together (IV). The results of the discussion are as follows: First, Broadcasting Law and Telecommunication Law is moving toward a horizontal regulation system all over the world in a converged environment. In this system, the classification of broadcasting and telecommunication service business operators shall be regulated by classifying them horizontally and by classifying the status of business operators relatively large, and entry shall be made relatively easy. If converged services have the characteristics of both broadcasting and telecommunication services and are subject to redundant regulations, a single regulation should be improved. the same service should be regulated same in all areas, including entry and individual action regulations. In this view, TV home shopping and data home shopping, despite the technical differences, can be said to be the same service provided by the same layer in the current communication status, and principle of equal regulation for the same service should be applied. In addition, It should be improved that data home shopping business operators are classified as data programming provider among program provider under the Broadcasting Act and the Enforcement Decree of the Broadcasting Act, and as Internet multimedia broadcast content providers under the Internet Multimedia Broadcast Service Act, and as value-added telecommunications service providers under the Telecommunications Business Act. In this connection, the current Broadcasting Act is not suitable for converged environments because the distinction between service and service providers is too detailed. Thus, in the future, data home shopping businesses and operators require a more comprehensive distinction in the classification of service and service providers to provide services rather than the current Broadcasting Act. Second, dedicated data home shopping businesses must be approved by the Minister of Science and Information Communication Technology(ICT), as program provider under Broadcasting Act. Approval here is deemed to mean relaxed patent or discretionary permission as stated in administrative law theory. This is considered reasonable because of the large social impact on viewers and consumers compared to general broadcasting channel operators. However, when the data home shopping market is matured, it needs to be considered proactively to revise the data home shopping service provider to register the minister of science and technology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o enter the market in order to promote market competition. Meanwhile, the approval agenda is valid, as in Article 18 paragraph 3 of the Internet Multimedia Broadcast Service Act. It is reasonable to define an agenda for reporting value-added telecommunications service providers on the condition that all necessary screening can be improved in a single procedure. There is also a clear limitation of requiring the government which has granted approval under the Broadcasting Act to protect the business interests enjoyed through approval. Broadcasters using broadcasting channels should obtain profits through competition in the market and not seek to pursue rent in favor of government’s media policies. Third, TV home shopping and data home shopping are the same service provided by the same layer, so the same regulation principle should be applied in principle. However, discriminatory discipline between media can be justified due to the emergence and development of each business and business op...

      • KCI등재후보

        문화상대주의와 인권의 보편성 논쟁 - 인권이론과 인권교육에 대한 시사점을 중심으로 -

        정필운,박선웅 연세법학회 2019 연세법학 Vol.34 No.-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suggest what implications of cultural relativism and universality of human rights debate have on human rights theory and human rights law. In order to achieve this purpose, we first examined where the universality of human rights debate originated, and how cultural relativism raised the universality of human rights (II). In addition, this article presents concretely the implications of the debate on universality of human rights theory and human rights law (III). Finally, I concluded the above discussion (IV). The above discussion is summarized as follows: First, what human rights are is defined by culture. Second, it is controversial whether human rights have universal and general characteristics, but there is no theory that human rights inherently pursue universality. Third, there is no conflict between the nature of human rights and the pursuit of universality inherently in human rights. In order for human rights discourse to exert its power, human rights must constantly pursue universality. Fourth, the government should pursue human rights universality, not cultural relativism, in the establishment, enforcement and application of domestic human rights law. In particular, the judiciary should, in principle, make judgments in terms of universality of human rights in the application of domestic human rights law. Fifth, the concept of human rights is based on ambiguity. Habermas's theory of communication provides a procedure for pursuing universality of human rights. Human rights education raises the possibility that members of the community can form and fill human rights without exception. In this sense, the significance of human rights education must be recognized. 이 글은 인권이론과 인권교육의 체계화를 위하여 문화상대주의와 인권의 보편성논쟁이 인권법을 포함한 인권이론과 인권교육에 어떠한 시사점을 주는지 제시하는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우선 인권의 보편성 논쟁의배경을 검토하고, 어떤 맥락에서 문화상대주의가 인권의 보편성에 문제 제기를 하였는지 짚어본 후 인권이 보편화될 수 있는지 혹은 어떤 조건 하에서 보편화 될 수있는지를 논의하였다. 이러한 논의를 바탕으로 인권의 보편성 논쟁이 인권이론과인권교육에 시사하는 점을 구체적으로 제시하였다. 이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인권이 무엇인지는 문화에 의해 규정된다. 둘째, 인권이 보편적이고 일반적인특성을 갖는가에 대해서는 논란의 여지가 있지만 그것이 개념내재적으로 보편성을추구한다는 데는 이론의 여지가 없다. 셋째, 인권이 문화에 의해 규정되면서 보편적인특성이 있다는 것과 인권이 개념내재적으로 보편성을 추구한다는 것은 서로 충돌하지않는다. 인권 담론이 그 힘을 발휘하기 위해서 인권은 끊임없이 보편성을 추구하여야한다. 넷째, 정부는 국내 인권법의 제정과 집행, 적용에 있어 문화상대주의가 아닌인권 보편성을 추구하여야 한다. 특히 사법부에서는 국내 인권법의 적용에 있어원칙적으로 인권의 보편성의 관점에서 판단하여야 한다. 다섯째, 인권 개념은 본질적으로 모호하다는 전제 하에 하버마스의 의사소통행위론은 그 모호성을 보편성으로전환할 수 있는 절차를 제시하였다. 그리고 인권교육은 공동체 구성원이 그 모호성을인식하고 이를 부단히 구성하고 채우도록 독려하고 지원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에인권교육의 중요성과 정당성이 있다.

      • KCI등재

        행정정보 데이터베이스의 관리 : 헌법규범적 의미와 요청 및 생명주기에 따른 관리

        정필운 法務部 商事法務課 2007 선진상사법률연구 Vol.- No.39

        This paper identifies ways to improve on institutions related to building, using, sharing, archiving, deleting, standardization of public administrative information database(PAIDB), and also addresses strategies for their legislation. PAIDB refers to a collective database for the gathering and subsequent advanced structuralization of administrative information to enable efficient data search and updates. By building and utilizing PAIDB, linkages among information are enhanced by large scale integration of information and leads to improvements in efficiciency of search and updates, which in turn, will encourage usage and acceleration of the update process. It will also function as a basis for shared usage of information, thereby lowering costs. The government of Korea, fully aware of the importance of the PAIDB, has put much effort into this. However, government wide PAIDB has yet to be completed, and systematic management and efficient usage of already built PAIDB has yet to be achieved. Furthermore, regulations for the management of the PAIDB are scattered around various acts and ordinances such as the "E-Government Act". In light of this, there has been much demand from the working levels of government to design and set up a systematic process for gathering administrative information into the PAIDB while eliminating redundancies, and to codify the process into a law. This article seeks to address this demand, and provide a way of achieving the desired result. 행정정보 데이터베이스란 행정기관 및 공공기관이 직무상 작성·취득하여 유지·관리하는 부호·문자·음성·음향·영상 등의 자료의 모음으로 그 내용을 고도로 구조화함으로써 검색과 갱신의 효율을 도모한 자료의 집합을 말한다. 행정정보를 DB로 구축하여 이용하면 정보의 대량집적으로 정보간의 관련성을 높여 효율적 검색과 갱신이 가능해져 이용을 활성화하고 갱신이 원활해진다. 이용·공동이용·보존비용이 낮아지고, 행정정보 공동이용의 기반으로서의 기능을 한다. 나아가 정보 자체 뿐 아니라 다른 행정자원을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기반으로서 기능한다. 국가도 이러한 행정정보DB의 중요성을 충분히 인식하고, 행정정보DB화에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으나, 아직 필요한 행정정보가 충분히 DB로 구축되지 못했고, 구축된 DB의 효율적 이용을 비롯한 관리도 체계적으로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다. 행정정보DB의 관리를 위한 규정도 '전자정부법'을 비롯한 각종 법령에 산재하여, 행정정보를 수집하고 이를 DB로 구축하여 폐기하는 일련의 과정을 체계적으로 설계하고, 이를 법제화하여야 한다는 실무의 요구가 있어왔다. 이 글은 이러한 실무의 요구에 부응하여 그 처방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우선 행정정보DB의 의의 및 관리 현황과 규율 현황을 간단히 살피고, 행정정보DB의 관리가 헌법적 관점에서 어떤 의미를 가지며 그것을 제도화하는데 어떤 규범적 요청을 하고 있는지 탐색하였다. 이러한 바탕하에 정보자원관리의 관점에서 행정정보DB의 특성을 고려하여 생명주기에 따른 행정정보DB 관리절차를 정립하고, 기초정보의 수집, DB의 구축, 이용, 공동이용, 보존, 폐기라는 6단계, 그리고 이와는 다른 평면에서 존재하는 표준화라는 1쟁점에 관한 구체적 제도개선방안을 도출하고, 이를 법제화하기 위한 입법추진전략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후보

        헌법 제22조 제2항 연구

        정필운 연세대학교 법학연구원 2010 法學硏究 Vol.20 No.1

        This is a study on Article 22 Clause 2 of the Constitution of Republic of Korea which is Creator Protection Clause. This Article 22 Clause 2provides that “[t]he rights of authors, inventors, scientists, engineers, and artists shall be protected by Acts.”First of all, this paper reviews the revision history of this clause and similar constitutional provisions of other countries in comparative perspective. Secondly, this paper explores the relevant meanings of constitutional terms such as “rights”, “authors, inventors, scientists, engineers, artists”, and “being protected by Acts” and establishes requirements of Article 22Clause 2. Specially, this paper proposes that the purpose of this Creator Protection and limited time for such protection is admitted to requirements of Article 22 Clause 2. Thirdly, this review examines the relationship between Article 22 Clause 2 and (i) property rights enumerated in Article 23, (ii) human dignity set forth in Article 10, (iii) the obligation of the State to develop information in Article 127 Clause 1. Finally, this review summarizes results of this research. This paper clarifies that the structure and meaning of Clause 2 of Article 22, and proposes that Article 22 Clause 2 should be called as Creator Protection Clause. 이 글은 헌법 제22조 제2항 “저작자ㆍ발명가ㆍ과학기술자와 예술가의 권리는법률로써 보호한다”는 규정의 의미를 탐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먼저 이 규정의 개정사를 살펴보고, 미국, 독일, 일본 등각 국 헌법을 비교헌법론적 시각에서 살펴보았다(Ⅱ). 그리고 제22조 제2항에서사용된 헌법상 용어를 분석하며 이 규정의 구성요건을 정립하고(Ⅲ), 적용범위를 확정하였다(Ⅳ). 그 결과 헌법 제22조 제2항에서 사용된 ‘저작자’, ‘발명가’, ‘과학기술자’, ‘예술가’, ‘권리’, ‘법률로써’, ‘보호한다’라는 헌법상 용어의 의미를 분명히 하였고, 헌법 제22조 제2항에는 명시적으로 기술되어 있지 않지만 보호의 목적과 제한된기간 등은 구성요건으로 인정하여야 한다고 주장하고, 그 의미를 규명하였다. 그리고 헌법 제22조 제2항, 제23조 재산권 규정과의 관계, 제10조 인간의 존엄과 가치 규정과의 관계, 제127조 제1항 국가의 정보개발의무 규정과의 관계 등을 규명하면서 헌법 제22조 제2항의 적용범위를 명확히 하였다.

      • KCI등재

        전파의 국가 규제에 대한 공법이론적 연구 : 규제의 정당화근거 및 할당제도의 설계를 중심으로

        정필운 한국공법학회 2010 공법연구 Vol.38 No.3

        This is a study about justifying grounds on Radio Waves Regulations and the radio spectrum assignment methods from the perspective of public law and public policy, in order to provide theoretical, practical advices. First of all, the people have the freedom and rights to use the radio waves for the sake of transfer of information, delivery of energy, and detection of such radio waves. These freedoms and rights can be found, under the Constitution of Republic of Korea(ROK), in Article 18 on freedom of communication, Article 21 on freedom of expression, Article 15 on the Freedom of Occupation, Article 37 Clause 1 and Article 10 on freedom of liberal behavior. Secondly, in order to seek specific grounds to justify the government regulations on radio waves, this paper categorizes the existing discussions into the scarcity rationale, economic efficiency rationale and government property rationale and looks into their details. And then this paper continues to criticize that such discussion only reflects partial justifying grounds out of other general justifying grounds for the government regulation on the radio waves. Eventually, it proposes the other justifying grounds from different perspectives such as efficient use through the prevention of interference on the government regulatory scheme of radio waves, protection of people’s lives, safety, and property, and protection of public interest. This research concludes that the constitutional basis for government regulation of radio waves Article 37 Clause 2, the government obligation to protect fundamental rights, and Article 120 Clause 1. Thirdly, the current radio waves regulations have been established to get assignment for the radio spectrum and get a permit or file a report for the installation of radio station. With regard to this scheme, there is contradicting theories. One is a argument that everybody should be guaranteed the freedom of access with providing minimum rules on radio spectrum. Another is a market-based radio waves policy which argues a radio spectrum auction. In this paper, it determines that it should be resolved within the power of legislative discretion and propose the issues from the perspectives of public laws and public policies. 우리 일상생활에서 다양한 용도로 이용되고 있는 전파가, 유비쿼터스 환경을 구현하기 위하여 핵심적인 기능을 수행할 자원으로 새삼 주목받고 있다. 최근 무선통신기술 및 주파수 공유기술이 발전하면서, 전파법에 새로운 문제를 제기하고 있다. 이러한 새로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전파에 대한 법이론적 연구가 절실하다. 그러나 국내외적으로 대표적인 기술법의 하나인 전파법에 대한 법이론적인 연구는 미미하였다. 이 글은 전파에 대한 국가의 규제를 정당화하는 근거를 정립하고, 주파수대역 할당을 둘러싼 현재의 논의를 공법이론적 관점에서 검토하여 이에 관한 실천적 조언을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순서로 논의를 전개하였다. 우선 전파에 대한 국가의 규제를 정당화할 수 있는 이론적 근거는 무엇인지에 관하여 기존의 견해를 정리하고, 필자의 견해를 제시하였다(Ⅱ). 주파수대역할당을 둘러싼 현재의 논의를 전파의 이용관계의 설정을 위한 제도 설계의 관점에서 간략히 정리하고, 전파에 대한 국가 규제의 정당화 근거에 부합하면서 새로운 환경에 조응할 수 있는 주파수대역 할당제도의 윤곽을 제시하였다(Ⅲ). 이러한 논의를 통하여 도출한 결론을 간략히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국민은 정보의 전송, 에너지 전달, 탐지 등을 위하여 전파를 사용할 수 있는 자유와 권리가 있다. 이러한 자유와 권리는 그 이용방법에 따라 우리 헌법상 제18조 통신의 자유, 제21조 표현의 자유, 제15조 직업의 자유, 제10조와 제37조 제1항에 근거하여 인정되는 일반적 행동자유권에 의하여 보호된다. 그러나 이러한 자유와 권리는 절대적으로 보장되는 것이 아니므로, 제37조 제2항에 의하여 제한할 수 있다. 전파에 대한 국가 규제를 정당화하는 구체적 근거를 찾기 위하여, 기존의 논의를 희소성이론, 경제적 효율성이론, 국유재산이론으로 분류하고, 그 내용을 살펴보았다. 그리고 이와 같은 논의는 전파에 대한 국가 규제의 정당화근거라는 거시적인 입장에서 보면 ‘부분적인’ 정당화근거에 지나지 않는다고 비판하고, 전파에 대한 국가의 규제를 혼신의 방지를 통한 효율적인 이용과, 국민의 생명 또는 안전, 재산의 보호 및 국가안전보장, 질서유지, 공공복리의 보호 등 여러 차원에서 정당화하는 다원설을 제시하였다. 그리고 이와 같은 전파에 대한 국가 규제의 정당화근거를 바탕으로, 전파에 대한 국가 규제의 헌법적 근거를 고찰하여, 국가안전보장, 질서유지, 공공복리를 위한 국가 규제는 헌법 제37조 제2항에 근거하고, 국민의 생명이나 안전, 재산 등을 보호하기 위한 국가의 규제는 기본권 보호의무에 근거하며, 주파수대역관리를 위한 국가의 규제는 헌법 제120조 제1항에 근거한다고 결론지었다. 현행 전파법은 전파를 이용하기 위해서는 주파수할당을 받고 무선국 개설의 허가나 신고를 하도록 규정되어 있다. 이에 대해서는 주파수대역할당은 시장에서 경매를 통하여 할 것을 주장하는 경매할당제와 주파수대역을 최소한의 규칙만 부여하여 누구에게나 자유롭게 사용하도록 하자는 주파수대역공유제라는 상반된 반론이 있다. 이 글에서는 그 각각을 독자적 체계를 갖춘 주파수대역 관리제도의 하나로 전제하고 상호간 패러다임의 대결로 보는 시각을 지양하고, 입법자가 어떤 방법으로 주파수대역의 이용관계를 설정할 것인지에 관한 방법의 문...

      • 교원노조의 조합원 자격 제한 규정에 대한 헌법이론적 검토: 헌재 2015. 5. 28. 2013헌마671등 결정에 대한 평석

        정필운 헌법재판연구원 2015 헌법재판연구 Vol.2 No.2

        The Constitutional Court decided the constitutionality of Article 2 of the 「Act on the Establishment, Operation, etc. of Teachers’ Unions」 which provides the term “teacher” in the Act refers to a teacher prescribed in the Elementary and Secondary Education Act, thus dismissed persons with the qualifications can not be members of teachers' unions on last May 28th, 2015. This study examined the decision constitution-theoretically to find issues and to suggest alternatives. For this purpose, it examined the facts and the contents of the decision (II), then analyzed it based on theories, court cases and the current law of labor (III). Finally, it summarized the discussions above (IV). Through the review, the study showed that the dissent opinion of the decision is more concrete based on the constitutional theories. Furthermore, it suggested that Article 2 of the Act is unconstitutional and needs to be revised in accordance with the theories for constitution interpretation and the current labor law, because the Article overly limits the right of collective bargain of the union and the right of organization of individuals. Teacher unions should not be neither so-called ‘bogus teachers’ unions' which do not aim to improve the working conditions, nor ‘government-patronized teachers’ unions’ which do not have independency. The active involvement of the government which has the obligation to keep the neutrality (Neutralitätsgebot) between workers and capitalists seems to do more harm than good. 헌법재판소는 지난 2015년 5월 28일 교원노조에 현직 교원만이 교원으로 규정하여 교원자격증을 가지고 있고 근로의사는 있으나 현재 실업 중이거나 해고된 교원 등은 교원노조의 노조원이 될 수 없도록 한 「교원의 노동조합 설립 및 운영 등에 관한 법률」 제2조에 대하여 합헌 결정을 하였다. 이 글은 이 결정례를 헌법이론적으로 검토하여 그 문제점과 대안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우선 헌법재판소의 결정례의 사실관계와 결정 내용을 살펴보았다(Ⅱ). 그리고 노동3권과 근로자에 대한 헌법이론, 노동법이론과 현행법령 및 판례에 입각하여 이에 대하여 비판적으로 검토하였다(Ⅲ). 마지막으로 이상의 논의를 정리하며 글을 마쳤다(Ⅳ). 이러한 검토를 통하여 필자는 이 결정의 법정의견이 그동안 우리가 구축하고 있는 헌법이론에 충실하지 않은 문제점을 드러내고, 상대적으로 반대의견의 판단이 헌법이론에 충실하다는 것을 논증하였다. 나아가 대상 조항은 교원자격증을 가지고 있고 근로의사는 있으나 현재 실업 중이거나 해고된 교원 등의 개별적 단결권과 이들을 조합원으로 가입・유지하려는 교원노조의 집단적 단결권을 지나치게 제한하여 과잉금지원칙에 위반하여 위헌이라고 판단하고, 이를 기존의 헌법학계의 헌법해석론과 현행 노동조합법에 충실하게 개정할 것을 제안하였다. 교원노조가 근로조건의 유지, 개선을 주된 목적으로 추구하지 않는 이른바 ‘사이비 교원노조’가 되어서는 안되고, 자주성을 갖추지 못한 이른바 ‘어용 교원노조’가 되어서도 안된다. 그렇다고 근로자와 사용자 사이에서 중립을 지켜야 할 의무(Neutralitätsgebot)가 있는 국가가 이를 지나치게 염려하여 적극적인 개입을 하는 것은 득보다 실이 많다.

      • KCI등재

        왜 모의선거교육인가? ― 모의선거교육의 필요성과 입법적 개선 방안 ―

        정필운 연세대학교 법학연구원 2022 法學硏究 Vol.32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issues surrounding mock election education, to review the need for improvement of the current system, and to suggest improvement measures. To achieve this objective, the necessity of mock election education and the issues surrounding it under the current 「Public Official Election Act」 were examined(II). In addition, a form of mock election education that will not undermine the fairness of the election while maximizing the educational effect of the mock election education was specified, and improvement measures such as the 「Public Official Election Act」 were presented to implement it in the field(Ⅲ). Finally, the article concludes by summarizing the above discussion (IV). As a result of the discussion, mock election education can improve the ability to solve problems in an actual election by having them practice the election in a situation similar to an actual election, and can arouse interest because the learner takes the initiative. In addition, it is effective in increasing the participation rate of citizens in elections, and it is also effective in improving the ability to elect the best representatives and to be the best representatives. However, some actions in the process of mock election education may conflict with the current 「Public Official Election Act」. In such an unstable situation, it is not desirable to have field teachers conduct mock election education. Therefore, it is clear that there are limits to allowing mock election education through interpretation.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seek a legislative alternative. In this article, I review the subject, content, method, and timing of effective mock election education, and propose legislative alternatives for effective mock election education accordingly. A proposal was presented to reflect these discussions in the 「Public Official Election Act」, the 「Election Commission Act」, and the 「Framework Act on Education」. 이 글은 모의선거교육을 둘러싼 쟁점을 살펴보며, 현행 제도의 개선 필요성을 검토하고 개선 방안을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우선 모의선거교육의 필요성을 검토하고 이와 저촉될 염려가 있는 「공직선거법」의 쟁점을 살펴보았다(Ⅱ). 그리고 모의선거교육의 교육적 효과를 살리면서도 선거의 공정성을 해하지 않을 모의선거교육의 형태를 구체화하고 이를 현장에서 구현하기 위한 「공직선거법」, 「선거관리위원회법」, 「교육기본법」의 개선 방안을 제시하였다(Ⅲ). 마지막으로 논의를 정리하여 제시하였다(Ⅳ). 논의 결과 모의선거교육은 실제 선거와 유사한 상황에서 선거를 연습해 보게 함으로써 실제 선거에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고, 학습자 자신이 주도적으로 활동하기 때문에 흥미를 유발할 수 있다. 그리고 시민의 선거 참여율 제고에 효과가 있으며, 최적의 대표자를 선출할 수 있는 능력을 향상하는데도 효과가 있다. 따라서 모의선거교육은 선거교육의 목적을 가장 효과적으로 달성할 수 있는 교수학습방법 중 하나이다. 그러나 모의선거교육을 하는 과정에서 일부 행위는 현행 「공직선거법」에 저촉될 여지가 있다. 이와 같은 불안정한 상황에서 현장 교사가 모의선거교육을 하도록 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따라서 해석론을 통해서 모의선거교육을 허용하는 것은 한계가 분명하다. 따라서 입법적 대안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이 글에서 필자는 효과적인 모의선거교육의 주체, 내용, 방법, 시기를 검토하고, 그에 따라 효과적인 모의선거교육을 하기 위한 입법적 대안을 제시하였다. 이러한 논의를 「공직선거법」과 「선거관리위원회법」, 「교육기본법」에 반영하기 위한 시안을 제시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