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도서관 다문화서비스에 대한 이주민과 다문화전문가 및 사서들의 인식과 요구조사

        구정화,우윤희,신난희,조용완,Koo, Joung Hwa,Woo, Yunhee,Shin, Nanhee,Cho, Yong Wan 한국도서관정보학회 2020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Vol.51 No.2

        본 연구는 도서관 다문화서비스에 대한 이주민, 다문화전문가, 사서의 인식과 요구조사를 통해 다문화서비스 제공을 위한 기본 방향과 방법에 대한 논의를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심층 인터뷰와 포커스그룹 인터뷰 기법을 사용하여 도서관 다문화서비스에 대한 인식과 요구에 관한 데이터를 수집하였다. 조사결과, 이주민들과 사서들의 현재 도서관 다문화 서비스에 대한 주요 요구들과 인식에 있어 의미있는 특징과 차이들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를 바탕으로 도서관 다문화서비스의 개선을 위해 다문화사회와 이주민에 대한 사서의 이해 증진, 수요자 중심적인 도서관 다문화서비스로의 전환, 다문화 유관기관과의 협력 강화, 도서관 협력에 기초한 다문화서비스 지원체계 구축, 도서관 다문화서비스 교육과정의 체계화 등이 요구되었다. The research aims to investigate immigrants', librarians' and multicultural experts' information needs and perception on current multicultural services in Korean libraries, and to suggest the directions for providing multicultural library services. The research collected the data through conducting both in-depth interviews and focus group interviews with immigrants, librarians and multicultural experts. The research found the significant and emergent features on immigrants' and librarians' requests and perception about current library multicultural services. On the analysis of the findings, the research discussed the implications of the policies for library multicultural services and the alternatives to improve library multicultural services and librarians' multicultural competencies.

      • KCI등재

        소외 청소년의 일상적 정보행태: 재미 한인 청소년을 사례로 하여

        구정화,Koo, Joung Hwa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2015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Vol.47 No.2

        이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들이 그들의 가장 중요한 정보원인 또래집단으로부터 소외되었을 때, 그 삶 속에서 당면하고 있는 일상적 고민의 실체와 정보행태적 특징을 파악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최근 미국으로 이민간 16명의 한인 청소년들을 사례로 하여 그들의 이민 과정, 일상적 고민과 정보요구, 정보추구 및 회피과정, 그리고 도서관을 비롯한 정보시스템의 이용 과정에서 드러나는 특징을 조사하였다. 조사 결과 밝혀낸 5가지 정보행태적 특징을 기존 정보이론과 모델에 비교하여 분석함으로써, 또래집단으로 부터 소외된 청소년의 정보행태를 이해하기 위한 이론적 기반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한편, 연구문제를 논의하는데 필요한 데이터는 설문조사와 심층면담을 통해 수집하였고, 이 연구의 의미와 한계 그리고 후속 연구들이 논의되었다.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explore how isolated immigrant adolescents seek and use necessary information when they are unable to use significant information sources-their peer groups-in the period of transition before new peer groups are established. Sixteen recently arrived Korean immigrant adolescents were recruited and a mixed method including surveys and in-depth interviews was used through three research phases. This study gained a preliminary understanding of isolated immigrant adolescents' information world: how they interpret their current situations and daily hassles, seek (or do not seek), and utilize information to cope with their daily life problems, and evaluate their use of information, including library systems and interpersonal sources. Five main emergent themes were analyzed from the findings and pertinent theories/models to interpret these unique features were suggested and discussed. The contribution and limitation of the study and future study are suggested and discussed.

      • KCI등재

        우수 사례 통해 본 공공도서관 건축 경향 분석 - 북미지역 공공도서관을 중심으로 -

        구정화,조용완,Koo, Joung Hwa,Cho, Yong Wan 한국문헌정보학회 2021 한국문헌정보학회지 Vol.55 No.1

        본 연구는 최근 북미지역의 공공도서관 신축과 리모델링을 한 사례들 중에서 우수 건축 및 디자인상을 수상하였거나 우수 사례로 소개된 건축물을 대상으로 건축 경향을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국내 공공도서관의 신축과 리모델링 과정을 위한 시사점들을 도출하여 향후 개관될 공공도서관 건축의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총 90곳의 우수 도서관들의 주요 건축적 특징에 대한 내용분석을 통해 여섯 개의 건축 경향을 도출하고 각 건축 경향별로 구체적인 사례들을 검토하였다. 끝으로 본 연구는 도출된 주요 건축경향이 국내 공공도서관 신축 혹은 리모델링 과정에서 시사하는 점들을 제시하고 관련 후속연구를 위해 몇가지 사항들을 제언하였다. The research aims to analyze the architectural trends of the public library buildings that have recently won the AIA/ALA Library Building Awards, ALA/IIDA Library Interior Design Awards or have introduced as excellent examples among the cases of new construction or remodeling of public libraries in North America. The research seeks to find the implications and guidelines for new constructions or remodeling of Korean public libraries by analyzing the main features of recently awarded library constructions, and to suggest the directions of public library constructions (or remodeling) to be opened in the future. The research found the six significant emergent themes by the content analysis and explained what each theme means with the examples of the libraries. On the basis of the findings, the research suggests the directions of public library designs and constructions in the future, and further follow-up research topics.

      • KCI등재

        사서 대상 도서관 다문화서비스 교육과정의 교과목에 관한 연구

        구정화,우윤희,신난희,조용완,Koo, Joung Hwa,Woo, Yunhee,Shin, Nanhee,Cho, Yong Wan 한국도서관정보학회 2020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Vol.51 No.3

        The research aims to develop the courses for librarians' continuing education to build up multicultural competencies in library services.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the study designed the research processes as followings: first, multicultural environment analyses with various materials such as statistics or national reports; second, librarians' and multicultural users' needs analyses of multicultural library services and library works; third, job competency analyses through reviewing related laws, rules, guidelines for library multicultural services, etc. On the basis of the results from the three-step analysis phases, the study deducted the candidate courses for librarians' multicultural education. After testing validity of the candidate courses by expert panels on library multicultural services, the research suggested the final 16 courses and follow-up research projects for designing and implementing the suggested courses in real class fields. 본 연구의 목적은 다문화환경에서 사서들의 다문화 업무에 관한 역량강화에 기여하고자 사서 대상 다문화 교육과정의 교과목을 선정, 개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3단계 분석과정을 거쳤는데, 첫째, 도서관 다문화서비스에 관련된 보고서 및 통계에 기반한 국내 다문화 환경분석을 수행하였다. 둘째, 이주민 대상으로는 도서관 다문화서비스에 대한 요구분석을 실시하였고, 사서대상으로는 다문화업무와 관련된 요구분석 및 다문화관련 교과과정을 수강한 사서들의 수업 만족도를 분석하였다. 셋째, 다문화와 관련된 국내외 지침과 법규, 다문화서비스 가이드라인에 나타난 도서관 다문화서비스 직무역량을 분석하였다. 이 3단계 분석과정을 통해 사서 대상 다문화교육에 필요한 후보 교과목 내용과 교육범위를 도출하였다. 도출된 후보 교과내용과 범위에 대해 도서관 다문화서비스 전문가들의 자문을 거쳐 최종적으로 16개의 교과목 내용과 범위를 도출하여 제시하였고, 도출된 교육과정을 어떻게 구체적으로 운영해 나갈 것인지에 대한 내용은 후속연구 과제로 제안하였다.

      • KCI등재

        교육과정 개정에 따른 초등 사회 교과서 변화에 대한 교사의 인식과 그에 따른 사회 교과의 특성 연구

        구정화 ( Koo Jeong-hwa ),윤준기 ( Yoon Jun-ki ),김세훈 ( Kim Se-hoon ),이바름 ( Lee Ba-reum )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16 교육문화연구 Vol.22 No.4

        이 연구는 교육과정 개정에 따라 초등 사회과 교과서가 변화하는 것에 대한 초등 교사들의 인식을 통해서 초등 교사가 인식하는 사회 교과의 특성을 파악하려는 것이다. 경기 및 인천의 초등 교사 14명을 4개 팀으로 나누어 집단 면담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초등 교사들이 인식하는 사회과의 특성은 다음 세 가지로 요약된다. 첫째, 답이 정해져 있지 않은 교과이다. 둘째, 활동과 자료 의존도가 높은 교과이다. 셋째, 교과 전문성 축적이 힘든 교과이다. 이러한 인식은 여러 과목을 가르쳐야 하는 초등 교사들이 사회과의 내용학적 전문성이 약하다는 측면과 함께 초등 사회과의 교과적 특성이 복합적으로 반영된 결과로 보인다. 초등에서 가르치는 여러 교과 중에서도 사회과는 많은 학문 영역에 기초한 내용을 교과 내용으로 구성하며, 사회 변화를 고려하여 교육과정 개정 시 새로운 내용이 상당 부분 첨가된다. 이런 점을 고려하면 교육과정 개정 시에 사회과 내용과 관련하여 보조 자료나 다양한 재구성 자료 등을 교사에게 자세히 안내하는 등 사회 교과에 대한 전문성 지원 방안을 고려해야 할 것이다. This study is aimed to understand the features of elementary social studies through the perceptions about revised social studies textbook of what elementary school teachers have. For this purpose, the data was gathered from 14 elementary school teachers from Gyeonggi and Incheon who had responded through a focus-group interview. The result of research shows that there are 3 features of the social studies; first, the social studies subject doesn`t contain clear guideline for teachers to reach out to the correct answers. second, the social studies subject is highly dependent on extra readings and activities. finally, the social studies subject has barriers for teachers to establish their own expertise. This last feature has two situations combined result of. The first situation is that elementary school teachers have to teach multiple subjects for the class. The second situation is that it is difficult to learn content knowledge of social studies in their pre-service teacher education. In conclusion, it is recommended that when the curriculum of social studies is revised, the program builder to consider the way to provide enough relevant supplemental materials to assist teachers to have opportunities to build up their expertise.

      • KCI등재

        일반논문 : 대졸 결혼이주여성의 한국 사회에 대한 이해와 다문화교육에의 함의

        구정화 ( Jeong Hwa Koo )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11 교육문화연구 Vol.17 No.3

        이 연구는 대졸 결혼이주여성이 한국사회를 어떻게 이해하는 지를 살펴보기 위하여 개방형 질문지법을 이용하여 자신이 느낀 한국사회에 대한 독특한 점을 기록하게 한 후 그 내용을 분석하고 이에 따라 다문화교육에 주는 함의를 찾고자 한 것이다. 41명의 수도권 지역에 사는 대졸 결혼이주여성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이들이 가장 관심을 가진 한국 사회의 독특성은 주로 가족, 민속과 종교, 교육 영역인데, 이것은 이들의 결혼, 이주, 여성으로서 정체성을 반영한 결과라고 볼 수 있다. 둘째, 응답 내용 중 가치가 반영된 서술을 분석한 결과 이들이 한국에 대하여 독특하게 이해하는 내용은 위계와 서열, 차별, 우리와 타자화 등으로 개념화할 수 있다. 이러한 대졸 결혼이주여성의 한국 사회의 인식에는 대졸 국제결혼여성이 한국에서 경험하는 차별과 타자화 등이 반영된 것으로 문화간 차이 인식뿐만 아니라 문화간 불평등 인식이 담겨 있다고 볼 수 있다. 이러한 인식을 고려하면 다문화교육이 단순히 문화간 차이 이해만을 고려할 것이 아니라 문화간 불평등 문제와 개선 방안도 고려해야 할 것이다.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awareness of college graduate married immigrant women in Korean culture and propose the multicultural education implication. For this purpose, the data was gathered from 41 college graduate married immigrant women from capital area who had responded through an open ended questionnaire, and the data was analyzed by frequency analysis and content analysis. Th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 domains of Korean culture that the subjects of this study have described chiefly are ``family``, ``custom and folk religion``, and ``education system``. Second, the meanings of awareness of college graduate married immigrant women in Korean culture is conceptualized ``hierarchy and grade``, ``discrimination``, and ``we-group and stranger``. This result shaw two perspectives of cultural relativism and cultural politics in the awareness of the subjects of this study. Therefore the multicultural education implication is as follow: the multicultural education at the schools basically has not only aimed to facilitate the recognition of cultural difference for the development of cultural identity and a better understanding of other cultures, but also focused of the problem of the cultural inequality and it`s solution.

      • KCI등재

        초등 사회과 교육과정과 교과서에서 묘사하는 인권과 법의 관계 : ‘인권존중과 정의로운 사회’ 단원을 중심으로

        구정화 ( Jeonghwa Koo ) 한국법교육학회 2020 법교육연구 Vol.15 No.2

        이 연구의 목적은 2015 개정 초등 사회과 교육과정과 교과서에서 인권과 법을 가르치도록 되어 있는 단원에서 인권과 법의 관계를 어떻게 묘사하고 있는지를 분석하는 것이다. 이에 교육과정과 초등 사회 5-1 교과서 ‘인권존중과 정의로운 사회’단원의 내용체계와 성취기준, 그리고 교과서 내용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육과정의 내용체계를 보면 인권은 법의 하위 영역으로 구성되어 있다. 둘째, 교육과정의 성취기준에서는 법과 인권이 헌법의 기본권에 의해 연결되도록 내용을 구성하고 있다. 셋째, 교과서내용을 보면 권리 측면에서 인권과 법이 연결되도록 내용을 구성하고 있다. 넷째, 교과서 내용에서 법과 인권을 강조하는 각 단원은 법과 인권 모두 인간의 권리라는 점과 권리문제에 국가와 개인들이 연계되어 있다고 설명하는 점에서 공통점을 보인다. 다섯째, 교과서 내용에서 법과 인권을 강조하는 각 단원에서는 권리 주장의 근거가 되는 문서 제시와 권리 사례의 권리 침해자 제시 부분에서는 차이를 보인다. 이런 결과를 고려하면 현재 초등 사회교육과정과 교과서에서 설명하고 있는 인권과 법의 관계는 다양한 측면에서 불일치 양상을 보이며, 이로 인해 둘의 관계 설명 내용 또한 모호하게 제시되고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법과 인권이 사회과교육의 내용으로서 갖는 의미를 고려하면서 두 내용을 잘 연계할 수 있는 방안을 검토할 필요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how the relationship between human rights and law is described in the unit that is supposed to teach human rights and law in the 2015 revised elementary social studies curriculum and textbooks. Accordingly, the content system and achievement standards in 2015 revised elementary social studies curriculum and contents of elementary social studies textbook(5-1) unit(Respect for Human Rights and Righteous Society) were analyzed.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content system of the curriculum, human rights are presented as the content of the sub-domain of the law. Second, it suggests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law and human rights is linked by the basic rights of the Constitution according to the achievement standards of the curriculum. Third, looking at the results of the analysis of the composition of textbook units, human rights and laws show a structure that is related to the concept of rights. Fourth, each unit emphasizing law and human rights in the textbook contents has a common point in the explanation that humans have rights and that states and individuals are linked to the issue of rights. Fifth, each unit emphasizing law and human rights in the textbook contents reveals differences in presenting documents that are the basis for claiming rights and presenting victims of cases of rights. Considering these results, the relationship between human rights and law in the elementary social studies curriculum and textbooks shows a disagreement in various aspects, and the explanation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is also ambiguous. In order to solve these problems, it is necessary to consider the consistent means of constructing new educational contents while considering the meaning of law and human rights as the contents of social studies education.

      • KCI등재

        2015 개정 중학교 사회과 교육과정에서 개념 관련 성취기준의 제시 유형과 개선 방안 : 역량기반 교육과정을 지향하는 측면에서

        구정화 ( Koo Jeonghwa ) 한국사회과교육학회 2021 시민교육연구 Vol.53 No.3

        이 연구의 목적은 역량기반 교육과정을 표방한 2015 개정 사회과 교육과정에서 개념을 다루는 성취기준의 진술을 분석하여 그 유형적 특징을 파악하고 개선 방안을 논의하려는 것이다. 이론적 논의에서는 사회과에서 전통적으로 강조해왔던 학습내용인 개념의 의미, 사례의 범주화에 초점을 둔 개념학습모형, 그리고 이러한 개념학습이 갖는 한계를 역량기반 교육과정과 연계하여 살펴보았다. 이를 바탕으로 2015 개정 중학교 사회과(일반사회 영역) 교육과정 문서에서 개념을 다루는 성취기준의 유형을 분석하기 위해 성취기준 코드와 그에 따른 해당 개념을 추출하였다. ‘코드화된 성취기준’, ‘교수·학습 방법 및 유의사항’, ‘평가 방법 및 유의사항’의 진술 내용에서 강조하는 개념 이해의 방향을 분석하여 성취기준 제시 유형을 구분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성취기준에 나타난 개념 이해의 방향을 바탕으로 개념을 다루는 성취기준의 제시방식은 5가지 유형으로 나타났다. 둘째, 5가지 유형 중에서 ‘개념 자체의 이해’와 ‘교과역량의 학습’을 함께 강조하는 경우가 많이 나타났다. 셋째, 5가지 유형 중에서 교과역량의 학습을 특히 강조하는 개념 제시 유형은 상대적으로 많지 않았다. 이러한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사회과 교육과정에서 개념을 교과역량과 연관하여 학습할 수 있게 안내하는 성취기준 개선 방안을 제안하고 수정예시를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statements of achievement standards dealing with concepts relating to the 2015 revised social studies curriculum advocating competency-based curriculum and to identify its tangible characteristics. In a theoretical discussion, the meaning of concepts as learning contents that have traditionally been emphasized in social studies, conceptual learning models focusing on categorization of examples, and the limitations of these conceptual learning were examined in connection with competency-based curriculum. In order to analyze the types of achievement standards that deal with concepts in the 2015 revised middle school social studies curriculum document, the achievement standard code and the corresponding concepts were extracted. The types were classified according to the direction of understanding the concepts emphasized in the statements of 'Coded Achievement Standards',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and Precautions', and 'Evaluation Methods and Precautions'. The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five types of presentation of achievement standards dealing with concepts based on the direction of concept understanding shown in the achievement standards. Second, among the five types, there were many cases where 'understanding the concept itself' and 'learning of subject competency' were emphasized together. Third, among the five types, there were relatively few types of concept presentations in which subject competency particularly emphasized learning.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an improvement plan was proposed for achievement standards that guide the concepts in the social studies curriculum to be learned in relation to subject competency, and an amendment was proposed accordingly.

      • KCI등재

        청소년의 창업 의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구정화 ( Jeonghwa Koo ),한진수 ( Jinsoo Hahn ) 한국경제교육학회 2016 경제교육연구 Vol.23 No.2

        이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을 대상으로 창업 의지를 파악하고, 그들의 창업 의지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을 분석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2014년 한국청소년 정책연구원에 중학생과 대상으로 기업가정신 및 창업에 관한 인식을 조사한 자료를 활용하였다. 조사 결과에 의하면 창업과 관련된 정확한 정보를 갖고 있지 못하고, 창업 절차와 자금 조달 방법을 몰라 창업을 선택하지 않는 청소년들이 많이 있었다. 성적이 하위권에 속할수록, 창업 정신이 강할수록, 아버지 또는 어머니가 자영업을 하는 경우에, 성취 욕구와 위험 감수성이 강할수록, 권력 거리 수준이 높을수록, 남성성 수준이 낮을수록, 불확실성 회피 수준이 낮을수록, 행동 중심 전략을 높게 평가할수록, 기업가정신 교육의 필요성을 느끼는 경우에 청소년의 창업 의지가 높은 것으로 추정되었다. 반면에 성별과 기업가정신 교육을 받은 경험은 창업 의지와 관계없었다. 교육 기회를 확대 제공하는 데에서 만족하지 말고 창업 절차, 창업 자금 조달법, 지원 기관 활용법, 유망 산업 선정 등 창업에 실질적으로 도움이 되는 내용을 강화하고 창업을 기피하는 태도를 개선하는 교육이 이루어진다면 청소년의 창업 역량을 함양하고 창업 의지를 높이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 This paper analyzes the main factors that influence the entrepreneurial intentions of Korean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The data collected by NYPI(National Youth Policy Institute) reveals that incorrect and insufficient information about start-up a business tends to make students reluctant to be self-employed. Multiple regression models show that GPA, start-up mind, self-employment status of parents, attitude to the entrepreneurship education, need for achievement, tendency of taking risk, power distance, masculinity, uncertainty avoidance, and action oriented strategy are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determining the intention of students, whereas gender and experience of entrepreneurship education are insignificant. Education putting more emphasis on start-up procedure, raising fund, identifying promising industries, and generating a positive attitude toward a start-up will contribute to entrepreneurial intention as well as start-up competency of students.

      • KCI등재

        고등학생의 사회 활동이 인권인식에 미치는 영향

        구정화 ( Koo Jeongwha )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18 교육문화연구 Vol.24 No.4

        이 연구의 목적은 고등학생의 인권인식에 그들의 사회 활동이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하는 것이다. 종속변수인 고등학생의 인권인식은 ‘인권 인지’, ‘우리사회에서 청소년 자신의 인권존중에 대한 인식’ 두 가지로 정하였다. 그리고 독립변수인 고등학생의 사회 활동은 ‘시민참여활동’, ‘여가 및 문화활동’, ‘아르바이트활동’, ‘지역사회 안전 인식’으로 범주화하였다. 이들의 관련성을 파악하기 위해 2016년에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에서 실시한 고등학생의 인권실태조사 자료를 위계적 회귀분석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고등학생의 사회 활동 중 시민참여활동의 정도는 낮은 편이다. 둘째, 고등학생의 인권인식에 대한 사회 활동의 설명력은 5% 미만으로 낮은 편이다. 셋째, 고등학생의 ‘인권 인지’에는 시민참여활동, 여가 및 문화활동, 아르바이트 활동이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우리사회에서 고등학생 자신의 인권존중에 대한 인식’에는 여가 및 문화활동과 지역사회 안전 인식이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고려할 때, 지역사회에서 쉽게 접근할 수 있는 청소년 여가 및 문화활동 공간 제공과 함께, 안전한 지역사회 환경을 만들려는 제도적 노력이 요구된다.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analyze the impact of high school students' social activities on human rights awareness. Dependent variable is the human rights awareness of high school students. It is divided into two categories: understanding of human rights and awareness of the respect of youth’s own human rights in our society. And independent variable is the social activities of high school students. It is divided into civic engagement activities, leisure activities, labor activities and community environments. The data was researched by the Korea Youth Policy Institute in 2016. The statistical analysis use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The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civic engagement activities among social activities of the high school students are so low. Second, the impact of their social activities on the human rights awareness of high school students is lower than 5 %. In specific terms, not only civic engagement activities but also leisure activities have emerged as variables affecting their human rights awareness. Third, the variable that has a strong influence on a high school student's awareness of human rights is 'awareness of the safety of the community'. Given this, institutional efforts are required to create a safe environment throughout the community. It is also necessary to provide a social environment in which high school students can experience various social activit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