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Exploratory Study of Younger Boss in Korea

        Kang.Seung Wan 한국인적자원관리학회 2013 인적자원관리연구 Vol.20 No.4

        IMF 이후 국내 기업들에 성과주의 인사제도가 본격적으로 도입되고, 부하보다 나이가 어린 상사가 차츰 늘어나고 있는 추세다. 기업의 경쟁력을 높이기 위해서 연공서 열보다 능력 중심의 인사제도를 중시해야 한다는 영제는 이미 사회 적인 정당성올 확보했고 점점 더 확산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일반적으로 인사 배치는 회사의 재량권으로 간주되어 왔기 때문에 회사가 어떤 사람을 직장 상사로 배치하는가에 따라 하위 구성원들의 부정적인 반응이 증가할 우려가 있다는 점 이 인적자원관리 분야에서 간과되어 온 것 같다 국내 기업 현장에서 자신보다 나이가 어린 사람이 직속상사로 임명 되면, 심정적으로 불편 해하거나 부서를 옮기거나 심지어는 회사를 떠나는 경우를 목격할 수 있다. 이런 현상은 조직 운영에 있어서 명시적인 계약보다 암묵적인 계약을 활용하고, 구성원들의 심리적 결속력이 강하고, 파격적인 증진 같은 경력의 변동성이 높지 않아서 연공서열에 따라 승진하는 경향이 강한 집단주의 문화권에서 나타날 수 있다 자신보다 나이가 어린 상사의 부임에 대해 조직 구성원들이 가지는 심리적인 거부감과 감정적 소진은 직무 만족도를 낮추고 이직의사를 높임으로써 종업원의 생산성을 떨어뜨리는 결과를 가져올 수 있다. 이 때문에, 회사가 업무 경쟁력 향상을 위하여 어쩔 수 없이 나이 어린 상사를 임명하더라도, 인적자원관리 측면에서 주의를 기울여야 할 필요가 있다. 한국의 기업 문화는 IMF 경제 위기 이후는 변화가 있기는 하지만 대체로 집단주의 성향이 있으며, 과거에 오랫동안 연공서열 중심의 인사 관행 올 유지해 왔었기 때문에, 나이가 들면서 비슷한 연령대의 사람들로 이루어진 동기집단이 순차적으로 조직 내 위계의 계단을 밟아 올라 왔었다 사회정체성이론에 비추어 볼 때, 조직구성원 들 은 자신과 공통점이 많은 동기집단을 자신과 동일시하게 되고 본인의 준거집단으로 삼게 된다. 사람은 인지적 역량의 한계 때문에 합리성이 제한될 수밖에 없고, 따라서 자신의 사회적성취의 수준을 객관적으로 평가하기 힘들기 때문에 손쉬운 비교 대상이 되는 동기집단의 평균적인 사회적 성취와 비교 하여 판단하게 된다. 이러한 심리적 비교 과정을 고려하여 볼 때, 조직 구성원은 자신보다 나이가 어린 사람이 회사에 의해서 자신의 상사로 임명되게 되면, 암묵적으로 유사한 연령대의 동기집단 별로 형성되어 있는 위계질서 를 회사가 깨트렸다고 인식할 수 있다. 또한 개인입장에서 볼 때 회사가 자기를 승진시키는 대신 나이가 어린 사람을 자신의 상사로 배치한다는 것은 자신의 역량을 인정하지 않고 존중하지 않는다는 메시지로 해석 되어질 수 있다 따라서, 조직 구성원은 회사가 심리적 계약을 위반했다고 느낄 수 있다. 연구명제 1. 국내 기업의 조직구성원은 회사가 자신보다 나이가 어린 사람을 직속상사로 입명하게 되면, 회사에 의해 심리적 계약이 위반되었다고 인식하게 되고, 부정적인 감정을 느낄 수 있을 것이다. 조직에서 개인의 역량은 단순히 업무 역량뿐 아니라 개인이 가지고 있는 인적 네트워크와 같은 사회적 자산을 포함하고 있다. 집단주의적인 조직분화를 고려할 때, 국내 기업의 조직 구성원이 자신의 나이를 뛰어 넘어 폭넓고 깊이 있는 직무상의 경험을 갖는 것은 현실적으로 드문 일이다 직무수행과 관련된 사회적 경험의 기회가 주로 나이나 연공서열에 의해서 주어지는 상황에서는, 나이가 곧 개인의 역량을 판단하는 간편한 대용치로 활용될 수 있다. 나이가 어리다는 것은 사회적 경험이 가져다 주는 사회적 자산이 적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 동안 한국의 기업들은 명시적인 거래적 계약관계 못지 않게 암묵적인 사회적 관계를 성과 창출의 수단으로 활용해왔다 따라서, 형평성이론에 비추어 볼 때, 조직 구성원이 자신보다 사회적 자산이 적은 사람을 자신의 상사로 임영했다고 여기게 되면 회사가 불공정하다는 인식을 가지게 될 수 있다. 한편, 사회정체성 이론에 의하면, 조직 구성원들은 자신이 소속된 집단이나 조직과의 관계 속에서 얻을 수 있는 안정감, 자부심, 자아정체성 등을 중시하여 공정성을 지각하게 된다. 조직 구성원은 자신이 속해 있는 동기집단 보다 나이가 어린 사람이 자신의 상사로 부임해 오게 되면 자신이 동기집단에서 탈락하고 사회적으로 뒤쳐지게 되었다는 느낌을 가질 수 있다. 안정감, 자부심, 자아정체성 등의 심리적인 측면에서 충격을 받을 수 있고, 이는 조직이 자신을 불공정하게 대한다는 인식으로 이어질 수 있을 것이다. 연구명제 2 국내 기업의 조직구성원은 회사가 자신보다 나이가 어린 사람을 직속상사로 임명하게 되면, 회사에 대해 조직불공정성을 지각하게 되고, 부정적인 감정을 느낄 수 있을 것이다. This is a conceptual paper about the hidden effect of appointing a younger boss. In Korea, an individual may feel uneasy and even move to another department or leave the company when a younger person is appointed as his/her boss. In a collectivistic culture, age is very important, because a seniority system is a cultural norm, and a same - age cohort acts as one's reference group for social comparison. This research posits that an employee's perception that their psychological contract with their company is violated, not only through their own place within the organization, but also through the selection of their supervisor. The main argument is that in Korea, the appointment of a "younger boss" will elicit an organizational member's perception of, and emotional reaction to, a violation of the psychological contract and an organizational injustice. The theoretical framework and managerial implications are also discussed.

      • KCI등재

        한국 성인에서 생체 연령 측정 시스템(Biological Age Measurement System)과 맥파 속도의 상관성

        권한나,이상현,배철영,조경희 대한임상노인의학회 2012 대한임상노인의학회지 Vol.13 No.2

        연구배경: 노화를 객관적으로 측정하기 위해 사용하고 있는 생체나이측정시스템(Biological age measurement system)은 상용화된 생체 연령 측정 프로그램이다. 맥파 속도는 연령에 따라 증가하는 동맥벽의 경화도를 반영한다는 임상적 유용성에 따라 측정하고 있다. 국내에서 이용되는 노화 측정 시스템(Biological age)에서 측정되는 생체 연령의 분석과 함께, 생체 연령 및 세부 연령과 맥파 속도의 관련성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방법: 2005년 1월부터 2009년 3월까지 일개 건강증진센터에서 제외 기준이 없는 성인 수검자 1,488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혈액 측정과 함께 생체 나이(Biological age)에 필요한 임상지표들을 포함하여 신체 계측과 방사선 검사, 맥파 속도 측정을 시행하였다. 생체 나이와 그 세부 연령 분석을 시행하였고 각 연령과 맥파 속도와의 상관관계를 단순 상관 분석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30대와 50대, 60대, 70대에서 생체 나이 평균이 실제 나이의 평균보다 높았고 생체 나이의 표준 편차의 폭도 실제 나이보다 컸다. 실제 연령대별 분포를 보면 나이가 증가될수록 맥파 속도가 증가하였고(P<0.0001) 40대부터 맥파 속도의 평균은 크게 증가하였다. 실제 나이와 생체 나이는 증가할수록 양측의 맥파 속도도 증가하는 양상을 보였으며(P<0.0001), 생체 나이가 맥파 속도와 더욱 상관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실제 나이와 생체 나이의 차이 값이 커질수록 맥파 속도가 작아지는 음의 상관관계가 있었다(β=-0.072, P<0.05). 결론: 바이오 에이지로 추정한 생체 연령이 맥파 속도에 더욱 상관성이 있음을 알 수 있었으며 세부연령에서는 특히 호르몬 연령과 폐연령이 더 노화를 잘 반영하였다. 생체 나이를 이용한 생체 연령 및 세부 연령들은 수검자들에게 노화의 정도를 설명하고, 생활습관 교정 및 건강관리 교육에 유용할 것으로 판단된다. Background: Biological age measurement system which was developed in Korea, is the objective program to asses aging. Pulse wave velocity which is increased by aging, is the predictor of cardiovascular diseases. The objective of this investigation was analysis of chronologic age and biological age measurement system, relationship between biological age measurement system and PWV. Methods: PWV and biological age measurement system was measured at baseline in 1,148 adults at health care center from January, 2005 to March, 2009. We analysis biological age measurement system and its subordinate. We investigated the correlation between biological age measurement system and PWV by pearsons's correlation. Results: In thirties, fifties, sixties, seventies, mean of biological age measurement system is higher than chrohologic age. Both age is positive correlation with PWV (P<0.0001). And Biological age measurement system is signigicantly associated with PWV than chronologic age. The difference of chronologic age and biological age measurement system is negative correlation with PWV (β=-0.072, P<0.05). Conclusion: In our investigation, significantly biological age measurement system has correlation with PWV than chronologic age. In details of biological age measurement system, hormonal age and pulmonary age have more correlation with PWV.

      • KCI등재

        설문조사에 나타난 나이 측정의 문제점: 문항 유형과 한국식 나이

        완호헌(Haoxuan Ruan),정혁(Hyuk Chung) 한국체육측정평가학회 2018 한국체육측정평가학회지 Vol.20 No.3

        설문조사에서 사용된 나이 문항의 유형과 나이에 대한 응답자의 인식에 따라 수집된 값은 차이를 보일 수 있다(Peterson, 1984; Smit, Deeg, & Schmand, 1997). 특히 국내에서는 한국식 나이라는 개념의 영향으로 추가적인 오차가 포함될 수도 있다. 이 연구에서는 나이를 측정하는 문항의 유형을 분류한 후 여러 유형으로 수집된 나이변인의 특징을 비교하였다. 또한, 한국식 나이가 응답된 나이에 반영되고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체육학에서 사용된 나이문항의 유형을 분류하기 위해 2016년도에 작성된 2,004편의 학위논문 중 설문도구를 부록에 포함하고 있는 692편을 검토하고, 이 중 나이 문항이 포함된 311편을 선별하였다. 나이 문항은 여섯 유형으로 분류되었으며 이중 범주형과 복합형을 제외한 세 개 문항을 이용하여 326명의 대학생으로부터 자료를 수집하였다. 세 변인을 각각 ‘인지된 나이’(PA), ‘인지된 만나이’(PFA), ‘실제 나이(AA)’로 명명하였다. 응답자 개인의 생년월일부터 측정일까지 기간을 햇수로 변환한 AA는 연구에서 얻고자 하는 참값에 해당된다. 대응비교(AA vs. PA, AA vs. PFA, PA vs. PFA) 결과 모든 비교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자신의 나이를 실제 나이보다 1~2년 많게 답한 사례가 94.2%였으며 두 변인간 평균차는 1.58이었다. 응답자의 89.0%가 PA를 PFA보다 1~2년 높게 답함으로써 대학생들은 자신의 나이를 한국식 나이와 만나이로 구분하여 인식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그러나 AA와 PFA 사이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고 PFA가 AA보다 1~2년 큰 값을 보인 사례가 17.2%인 점을 고려하면 스스로 인지하는 만나이 또한 정확하지 않음을 알 수 있다. 결론지으면, “당신은 몇 살입니까?”로 측정된 나이에는 한국식 나이가 반영된 오차가 존재할 수 있으며 문항정의에서 ‘만나이’로 제한하더라도 참값을 얻을 수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Korean age, also known as Korean style age, is unique in that it counts the fetal period of individuals. However, it may result in errors deviated from the true scores when applied in data collection. Authors intended to categorize the type of items requesting respondents’ age utilized in previous studies, and define the difference among the types of age-measure items. Through the Research Information Sharing Service 311 cases, which included the age-measure item in their survey tools, were screened out of 2,004 theses and dissertations. Six types were generated then the dominant three types of item statements were occupied in collecting data from 326 undergraduate students.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if responses vary according to the types of item statements. To hide the intention of survey six null-items not related to true age measure were included in the questionnaire. Obvious differences were found among the respective responses to ‘how old are you?’ (i.e., Perceived Age), ‘type your age in full years’ (i.e., Perceived Full Age), and ‘type your date of birth’ (i.e., Actual Age) questions. In some situation 1 or 2 years of deviation from actual age may not influence test results. However, an issue arises when age sensitive topics concern such as growth & development in young children. To summarize neither asking respondents’ age nor age in full years guarantee true values. Instead this study suggests the use of a ‘type your date of birth’ in survey tools over ‘how old are you’ or ‘type your age in full years’ statements.

      • KCI등재

        1960∼80년대 젠더-나이체제와 ‘여성’ 범주의 생산

        전희경(Jun, Hee-Kyung) 한국여성학회 2013 한국여성학 Vol.29 No.3

        이 글은 한국사회의 변화하는 현실을 분석하고 개입하려는 여성주의 연구의 일환으로, ‘나이’가 젠더 생산과 어떤 관계에 있는가를 질문한다. ‘나이’를 분석 대상으로 위치시키고 구체적인 시.공간 속에서 ‘나이’가 젠더구조와 관련되어 작동하는 방식을 이해하기 위한 틀로서 ‘젠더-나이체제’라는 개념을 제시하고, 이를 통해 근대화 프로젝트가 추진되었던 1960∼1980년대에 어떻게 ‘여성’이라는 범주의 규범성이 생산되었는지를 탐구한다. 산업화 시기 근대화 프로젝트 과정에서 ‘여성’이 호명되고 배치되고 규범화되는 과정은 ‘조국 근대화’, ‘민족중흥의 새 역사 창조’ 등 당시의 지배담론에서 드러나는 역사적 시간성에 대한 특정한 해석에 기반하여 학교, 노동시장, 가족 등의 제도들을 성별과 나이에 따라 구조화하는 일련의 복잡하고도 광범위한 과정을 통해서 이루어 졌다. 근대적 모성이 집중적으로 작용해야 하는 대상이자 민족의 미래의 담지자인 ‘아동’, 경로효친과 장유유서의 유교질서에 기반한 ‘(웃)어른 공경’의 규범화, 경제발전의 동력으로서 민족의 밝은 미래를 책임질 연령대로서의 ‘젊은이(‘산업역군’)’ 등의 연령범주들이 새롭게 호명되었다. 뿐만 아니라 이 시기는 공교육의 확대로 ‘학령기’가 형성되고 근대적 공/사 분리와 가정중심성에 기반한 근대적 핵가족의 이상이 안착됨에 따라 ‘결혼적령기’가 여성의 삶을 규율화하는 나이 규범으로 재정립된 시기이기도 하다. 이 과정에서 젊음/늙음, 성숙/미성숙의 위계는 이미 젠더화되어 있었고, 젊음에서 늙음으로, 미숙에서 성숙으로 가는 나이 듦의 과정은 성별에 따라 다른 궤도를 따르도록 각본화되었다. 즉 ‘여성’ 범주는 젠더-나이체제를 통해 구축되었고, ‘정상적 여성’이라는 규범성은 ‘자연스럽게 나이 드는 것’, ‘나이에 맞게 사는 것’으로서 수용되었다. As a feminist research that is to analyze and to intervene in the changing gender order, this study is questioning about the relationship between ‘age’ and the production of gender. I suggest an analytic concept, “gender-age regime”, to re-conceptualize the ‘age’ as not ‘natural process or asset’ but social construction, and examine how the category ‘Woman’ was produced in 1960’s ∼1980’s South Korea. In these decades, there was an hypermasculine state developmentalism and it promoted ‘Modernizing Project’ so fiercely. “Modernizing our Fatherland” or “Creating New History of National Restoration” are the predominant discourses based on Western modern perspectives on the historical time. It is in this context that the modern institutions-school, labour market, family, state-are structured by gender and age. That was a broad and complicated process, in which many concepts and categories are invented: ‘child’ who is both to be cared by modernized mothering and to be called as ‘national future’, ‘elders’ who is to be treated with honor in the confucian social order, and ‘young adult’ who was named as ‘pillar of industry’. Further, ‘the optimal age for marriage’ settled down as a norm which has disciplined many women’s lives. Women and men were not in the same life trajectory, and the most important thing in ‘Woman’s Life’ was considered to be a mother. In conclusion, the gender category ‘Woman’ has been produced through the ‘gender-age regime’ in the specific historical context, and accepted as ‘natural’ just because the age(ing) is ‘natural’.

      • KCI등재

        여성의 나이, 나이 듦의 의미와 주체 회복

        최미정(Choi, Mi-Jeong) 숭실대학교 한국문학과예술연구소 2018 한국문학과 예술 Vol.26 No.-

        본 연구는 문정희 시에 나타나는 여성의 나이와 나이 듦의 문제에 관한 시적 형상화 양상을 살펴보고, 이를 통해 시인이 인식하는 우리 사회의 젠더-나이체제의 문제점과 그것의 극복 가능성에 대해 고찰해 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시작 초기부터 가부장제 사회에서 여성의 억압구조를 문제 삼고 주체적이고 건강한 여성성의 회복을 이야기해 온 시인은 여성의 나이 듦이 또 다른 차별과 배제의 장이 되고 있음을 보여준다. 시인이 보여주는 여성의 나이는 단순히 노년여성에 대한 서사가 아니라 생애서사에서 여성에게 나이란 무엇이며 그것이 얼마나 폭력적인 것인가 하는 문제의식을 함의하고 있다는 점에서 주목된다. 그동안 우리 사회가 여성의 나이, 나이 듦을 바라보는 시각은 왜곡되고 고정 되어 있었다. 한 여성으로서의 주체는 없고 특정한 나이와 그에 맞는 역할과 이미지에 강요되고 갇혀 있었다. 문정희는 이러한 나이체제를 직시하면서, 나이 든 자신의 내면세계를 탐색해 나간다. 시인은 생물학적 · 사회적으로 구성된 나이와 상관없이 여전히 꿈꾸고 욕망하는 자아를 표출한다. 문정희의 시작품은 그동안 장막에 가려져 있던 여성의 나이와 나이 듦의 담론을 가시화하고, 그것이 분절적으로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삶의 총체성 가운데서 경험되는 것이라는 점을 이야기한다. 시인은 한편으로는 가부장제 사회가 행사해 온 여성억압의 역사와 건강한 생명력과 존재감을 잃고 병들어가는 현대의 여성들의 모습을 그려내면서, 다른 한편으로는 여성성에 대한 오랜 편견과 왜곡의 벽을 부숴버리는 건강하고 당당한 여성상을 제시한다. 풍염한 에너지를 발산하는 여성적 숭고를 간직한 여인과 완고한 가부장제의 틀을 거부하고 주체적이고 당당하게 살고자 하는 여성이 그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poetic form of the age and aging of women in Moon Jung-hee`s poetry, and to examine the problem of the gender-age regime of our society and the possibility of overcoming it From the very beginning, the poet who has talked about the restoration of subjective and healthy femininity by questioning the repressive structure of women in the patriarchal society show that the aging of women is another place of discrimination and exclusion. The poet shows that the age of a woman is not merely a narrative of an old woman but a life narrative, and it is noteworthy that it implies a sense of what is age and how violent it is. In the meantime, the view of our society as women`s age and aging was distorted and fixed. There was no subject as a woman, but was forced and confined to a particular age and role and image. Moon Jung-hee looks at this age system and explores her inner world. Poet still expresses her dreaming and desiring self irrespective of the biologically and socially constructed age. The prototype of Moon Jung-hee shows that the discourse of aged women who have been hidden in the curtains has been visualized, and that age and aging are not partly present but experienced in the totality of life. On the one hand, the poet, depicts the contemporary women`s illness, which has lost the history of women`s oppression and the healthy vitality and presence of the patriarchal society. On the other hand, she presents a healthy and imposing feminine image that breaks down the wall of long prejudice and distortion of femininity. It is a woman who rejects the framework of a woman who has a feminine sublime and a pathetic patriarch who exudes enviable energy, and wants to live subjectively and dignifiedly.

      • KCI등재

        Risk Factors for Age-Related Macular Degeneration according to Gender in Korean Adults

        Jong-pil Cho,Kang-Oh Lee,Seung-Sun Baek,Hyun Lee,Jung-Hyun Kim,Tae-Yong Lee 대한시과학회 2017 대한시과학회지 Vol.19 No.4

        목적: 50세 이상에 해당하는 연구대상에서 성별에 따른 나이관련 황반변성의 초기와 후기 유병률과 위험 요인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제5기 국민건강영양조사(2010-2012) 원시자료의 총 조사대상자 25,534명 중 건강설문조사와 검진 조사를 모두 받은 50세 이상 남녀에서 결측치가 있는 대상을 제외한 7,599명(남자 3,263, 여자 4,336)을 연 구대상으로 하였다. 성별에 따른 초기 및 후기 나이관련 황반변성의 위험요인을 알아보기 위해 나이를 통제 한 상태에서 인구학적 특성, 전신질환, 검진조사에 관한 변수에 대해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수행하였고 이 결 과에서 유의한 변수들만으로 다변량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수행하였다. 결과: 나이관련 황반변성 초기의 유병률은 남자 8.8%, 여자 10.3%였으며 후기의 유병률은 남자 1.4%, 여자 0.7%였다. 초기 나이관련 황반변성에 대한 교차비는 남자에서 나이가 1세 증가할 때 1.043배, HDL (high-density lipoprotein)이 1mg/dL 증가할 때 1.010배, AST(aspartate aminotransferase)가 1IU/L 증 가할 때 1.011배, 비타민 D가 1ng/mL 증가할 때 1.020배 높아졌으며 Creatinine이 1mg/dL 증가할 때 0.446배 낮아졌고 여자에서는 나이가 1세 증가할 때 1.080배, B형간염표면항원 양성인 대상에서 1.960배 높아졌고 혈소판이 1Thous/uL 증가할 때 0.997배 낮아졌다. 후기 나이관련 황반변성에 대한 교차비는 남자 에서 나이가 1세 증가할 때 1.083배 높아졌고 B형간염표면항원 양성인 대상에서 3.436배 높아졌으며 여자 에서는 나이가 1세 증가할 때 1.126배 높아졌고 교육수준에서 저학력자보다 고학력자에서 2.480배 높았으며 혈소판이 1Thous/uL 증가할 때 0.991배 낮아졌다. 결론: 나이를 제외한 성별에 따른 초기 및 후기 나이관련 황반변성의 위험요인은 남자에서 초기는 AST와 HDL, 비타민 D였고 Creatinine의 증가는 교차비를 감소시켰고 후기는 B형간염표면항원 양성자에서 교차비 가 높게 나타났다. 여자에서 초기의 위험요인은 B형간염표면항원 양성이었고 후기는 교육수준이었으며 초기 와 후기 모두에서 혈소판 수치가 높아지면 교차비가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Purpose : To investigate the prevalence and risk factors of an early and late age-related macular degeneration according to gender in Korean adults. Methods : The subjects were 7,599 (male 3,263, female 4,336) except for those with missing values in the men and women over 50 years of age who received both health survey and medical examination among 25,534 subjects surveyed in the 5th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2010-2012). To investigate the risk factors of early and late age-related macular degeneration according to gender,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on demographic characteristics, systemic diseases, and medical examination variables with controlled age. In these results, multi-variat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with only significant variables. Results : The prevalence of the early stage of the disease is 8.8% in men, 10.3% in women. That of the late stage is 1.4% in men 0.7% in women. The odds ratio in the early stage of an age-related macular degeneration, in the case of male subjects, increased about 1.043 times when they got one year older, 1.010 times when HDL rose by 1mg/dL, 1.011 times when AST rose by 1IU/L, 1.020 times when vitamin D rose by 1ng/mL, and decreased about 0.446 times when Creatinine rose by 1mg/dL, In the case of female subjects, by comparison, the odds ratio increased about 1.080 times when they got one year older, 1.960 times in subjects with hepatitis B surface antigen positive, and decreased about 0.997 times when platelets increased by 1Thous/uL. The odds ratio in the late stage of an age-related macular degeneration, in the case of male subjects, increased about 1.083 times as they got one year older, 3.346 times in subjects with hepatitis B surface antigen positive. By comparison, that of the female subjects increased about 1.126 times when they got one year older. In addition, the odds ratio of those who had finished over high school was 2.480 times higher than those under middle school and it decreased about 0.991 times as platelets increased by 1Thous/uL. Conclusion : Except the age factor, the risk factors of an age-related macular degeneration in the early stage of the male subjects are AST, HDL and vitamin D, and increase of creatinine was decreased in odds ratio. In the late stage, whether hepatitis B surface antigen is positive or not is an important factor. In the case of female subjects, risk factor was positive for hepatitis B surface antigen in the early stage, the level of education in the late stage. And the higher the platelet count in the early and late stages was, the lower the odds ratio was.

      • KCI등재

        한국 성인에서 성별에 따른 나이관련 황반변성의 위험요인

        조종필,이강오,백승선,이현,김정현,이태용 대한시과학회 2017 대한시과학회지 Vol.19 No.4

        Purpose: To investigate the prevalence and risk factors of an early and late age-related macular degeneration according to gender in Korean adults. Methods: The subjects were 7,599 (male 3,263, female 4,336) except for those with missing values in the men and women over 50 years of age who received both health survey and medical examination among 25,534 subjects surveyed in the 5th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2010-2012). To investigate the risk factors of early and late age-related macular degeneration according to gender,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on demographic characteristics, systemic diseases, and medical examination variables with controlled age. In these results, multi-variat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with only significant variables. Results: The prevalence of the early stage of the disease is 8.8% in men, 10.3% in women. That of the late stage is 1.4% in men 0.7% in women. The odds ratio in the early stage of an age-related macular degeneration, in the case of male subjects, increased about 1.043 times when they got one year older, 1.010 times when HDL rose by 1mg/dL, 1.011 times when AST rose by 1IU/L, 1.020 times when vitamin D rose by 1ng/mL, and decreased about 0.446 times when Creatinine rose by 1mg/dL, In the case of female subjects, by comparison, the odds ratio increased about 1.080 times when they got one year older, 1.960 times in subjects with hepatitis B surface antigen positive, and decreased about 0.997 times when platelets increased by 1Thous/uL. The odds ratio in the late stage of an age-related macular degeneration, in the case of male subjects, increased about 1.083 times as they got one year older, 3.346 times in subjects with hepatitis B surface antigen positive. By comparison, that of the female subjects increased about 1.126 times when they got one year older. In addition, the odds ratio of those who had finished over high school was 2.480 times higher than those under middle school and it decreased about 0.991 times as platelets increased by 1Thous/uL. Conclusion: Except the age factor, the risk factors of an age-related macular degeneration in the early stage of the male subjects are AST, HDL and vitamin D, and increase of creatinine was decreased in odds ratio. In the late stage, whether hepatitis B surface antigen is positive or not is an important factor. In the case of female subjects, risk factor was positive for hepatitis B surface antigen in the early stage, the level of education in the late stage. And the higher the platelet count in the early and late stages was, the lower the odds ratio was. 목적: 50세 이상에 해당하는 연구대상에서 성별에 따른 나이관련 황반변성의 초기와 후기 유병률과 위험요인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제5기 국민건강영양조사(2010-2012) 원시자료의 총 조사대상자 25,534명 중 건강설문조사와 검진조사를 모두 받은 50세 이상 남녀에서 결측치가 있는 대상을 제외한 7,599명(남자 3,263, 여자 4,336)을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성별에 따른 초기 및 후기 나이관련 황반변성의 위험요인을 알아보기 위해 나이를 통제한 상태에서 인구학적 특성, 전신질환, 검진조사에 관한 변수에 대해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수행하였고 이 결과에서 유의한 변수들만으로 다변량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수행하였다. 결과: 나이관련 황반변성 초기의 유병률은 남자 8.8%, 여자 10.3%였으며 후기의 유병률은 남자 1.4%, 여자 0.7%였다. 초기 나이관련 황반변성에 대한 교차비는 남자에서 나이가 1세 증가할 때 1.043배, HDL (high-density lipoprotein)이 1mg/dL 증가할 때 1.010배, AST(aspartate aminotransferase)가 1IU/L 증가할 때 1.011배, 비타민 D가 1ng/mL 증가할 때 1.020배 높아졌으며 Creatinine이 1mg/dL 증가할 때 0.446배 낮아졌고 여자에서는 나이가 1세 증가할 때 1.080배, B형간염표면항원 양성인 대상에서 1.960배 높아졌고 혈소판이 1Thous/uL 증가할 때 0.997배 낮아졌다. 후기 나이관련 황반변성에 대한 교차비는 남자에서 나이가 1세 증가할 때 1.083배 높아졌고 B형간염표면항원 양성인 대상에서 3.436배 높아졌으며 여자에서는 나이가 1세 증가할 때 1.126배 높아졌고 교육수준에서 저학력자보다 고학력자에서 2.480배 높았으며 혈소판이 1Thous/uL 증가할 때 0.991배 낮아졌다. 결론: 나이를 제외한 성별에 따른 초기 및 후기 나이관련 황반변성의 위험요인은 남자에서 초기는 AST와 HDL, 비타민 D였고 Creatinine의 증가는 교차비를 감소시켰고 후기는 B형간염표면항원 양성자에서 교차비가 높게 나타났다. 여자에서 초기의 위험요인은 B형간염표면항원 양성이었고 후기는 교육수준이었으며 초기와 후기 모두에서 혈소판 수치가 높아지면 교차비가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한국 성인 남녀별 체력나이 추정식 개발

        성봉주,고병구 한국체육측정평가학회 2017 한국체육측정평가학회지 Vol.19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reate a regression equation for physical fitness age(PFA) in korean men and women adult. In this study, 7,981 adult man, 8,692 adult woman over 19 years old to 64 years who participated in the National Physical Fitness Survey from 2001 to 2011 were analyzed as the data. Research and measurement variables are used by the National Physical Fitness Survey, which are age, height, weight, BMI, body fat percentage, 50m run, 1200m run, standing long jump, push-up, sit-ups, sit-ups and sit and reach. Statistical analysis methods included descriptive statistics,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linear fit analysis, stepwise regression analysis carried out by considering the independent variables not inconsistent with each of the other physical variables which tend to increase or decrease with aging. The final equations of the Korea physical age in adult men and women were selected for. First, physique and physical fitness variables for men had been adopted in the physical age equation as long jump, height, 50m run, BMI, 1200m run. The results are as follows. PFA for adult men=120.711-(0.091×M1)-(0.219×M2)-(0.415×M3)+(0.904×M4)+(0.306×M5)’ (M1=standing long jump, M2=sit ups, M3=height, M4=50m run time., M5=BMI=Body Mass Index Second, Those of women are detailed in physique and physical fitness variables as sit-ups, height, 50m run, including weight. The results were as follows. PFA for adult women=115.276-(0.260×W1)-(0.666×W2)+(1.442×W3)+(0.328×W4)’ (W1=sit ups, W2=height, W3=50m run time, W4=weight) After all the physical fitness age of Korean adult men may be estimated and influenced from long jump, sit-up, height, 50m run and BMI, and of Korean adult women from sit-ups, height, 50m run, and weight. Any regression equation for physical fitness age(PFA) other than those presented in this study may be widely performed according to field conditions. 본 연구는 간편하게 현장에서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는 한국인 남녀 성인(19∼61세)의 체력나이 추정식을 개발할 목적으로 2001년부터 2011년까지 국민체력실태조사에 참여한 대한민국의 만 19세∼64세까지의 성인 남성 7,981명, 성인 여성 8,692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조사 및 측정 변인은 국민체력실태조사에서 사용한 만 나이(세), 신장(cm), 체중(kg), BMI, 피하지방 합(남자의 경우 가슴, 복부, 대퇴, 여자의 경우 삼두, 장골상부, 대퇴), 50m 달리기 기록(초), 1,200m 달리기 기록(초), 제자리멀리뛰기(cm), 팔굽혀펴기(회/분), 윗몸일으키기(회/분), 앉아윗몸앞으로 굽히기(좌전굴, cm) 등 이었다. 통계방법으로는 기술통계분석, 피어슨의 상관분석, 선형 적합도 분석, 단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여 나이증가에 따른 남성 7개, 여성 9개의 체력나이 추정식을 개발하였다. 우선 현장활용도를 고려하여 이들 추정식 중 현재 국민체력실태조사에서 측정되고 있는 종목중심, 각 체격과 체력변인의 증감경향에 위배되지 않은 독립변인, 그리고 가장 신뢰도가 높은 추정식을 중심으로 한국인 성인 남여 체력나이 추정식 1개씩 우선 제시하였다. 첫째, 한국인의 성인 남자 체력나이 추정식에 최종 채택된 세부 체격과 체력변인은 키(cm), 50m 달리기(초), BMI, 제자리멀리뛰기(cm), 윗몸일으키기(회/분) 등 5개 항목이었으며 추정식 결과는 다음과 같다. ‘한국인의 성인남자 체력나이={120.711-(0.091×제자리멀리뛰기)-(0.219×윗몸일으키기)-(0.415×신장)+(0.904×50m달리기기록)+(0.306×BMI)}’ 둘째, 한국인의 성인여자 체력나이 추정식에 최종 채택된 세부 체격과 체력변인은 신장, 체중, 윗몸일으키기, 50m 달리기 등 4개 항목이었으며 추정식 결과는 다음과 같다. ‘한국인의 성인여자 체력나이={115.276-(0.260×윗몸일으키기)-(0.666×신장)+(1.442×50m달리기)+(0.328×체중)}’ 결론적으로 한국인 성인의 체력나이 추정에서 남성은 제자리멀리뛰기, 윗몸일으키기, 키, 50m 달리기 기록, BMI 등 5개 항목에서, 성인 여성은 윗몸일으키기, 키, 50m 달리기 기록, 체중 등 4개 체격과 체력 항목이 가장 큰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각 성별 최종 1개 이외(남성 6개, 여성 8개)의 체력나이 추정식도 충분히 가치가 있으므로 현장상황에 따라 적절히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나이 자랑> 설화에 나타난 구술문화적 특성

        심우장 한국구비문학회 2017 口碑文學硏究 Vol.0 No.46

        <나이 자랑> 설화는 구비문학 쪽에서보다는 오히려 고전소설 쪽에서 더 관심을 많 이 가져왔다. 하지만 구비문학적 차원에서도 논의의 여지가 많다고 생각한다. 특히 연 원이 깊고, 전승지역이 넓으며, 언변대결의 양상이 뚜렷하고, 패턴화된 양식을 갖추고 있다는 점 등에서 구술문화적인 특성을 찾을 수 있는 여지가 많다. 이에 본고에서는 <나이 자랑> 설화에 나타난 구술문화적 특성에 대해 논했다. <나이 자랑> 설화를 이해하는 핵심은 크게 네 가지다. 첫째, 문제의 상황과 함께 말다툼이 벌어진다는 점이다. 말로 상대를 설득하거나 무력화시켜서 승리를 얻는 말 다툼 자체도 구술문화적이지만, 셋 중 제일 마지막에서 상황맥락적 지식을 활용하여 앞의 둘을 제압한다든지, 논거발견이나 배열, 그리고 연기술 등의 수사학적 기교를 활 용하는 데에서 구술문화적 성격이 뚜렷이 드러난다. 둘째, 나이가 많은 자를 가리는 것이 다툼의 핵심이라는 점이다. 나이 많음이 가지는 구술문화적인 함의도 중요하지 만, 특히 나이 많음을 드러내는 방식이 객관적이거나 추상적이지 않고 개인적이고 체 험적인 구술문화의 특성에 기대고 있다는 점이 중요하다. 셋째, 과장 표현이 사용되고 있다는 점이다. 나이 많음을 잉여적으로 표현하는 과장법은 구술문화의 기본적인 표 현 양식이면서 수사적 기교로서도 중요한 의의를 지닌다. 넷째, 패턴을 공유하는 다양한 삽화로 구성되어 있다는 점이다. ‘나이 자랑’ 삽화만이 아니라, 동일한 패턴을 가지 고 있는 ‘술 못마시기’, ‘키 자랑’ 삽화와 패턴 유사성이 강한 ‘떡 줍기’, ‘건너뛰기’ 등의 삽화가 복합적으로 드러나는 양상인데, 이 역시 구술문화적인 특성과 관련이 깊다. 이처럼 <나이 자랑> 설화는 오래된 연원만큼 구술문화적 특성을 아주 잘 보여주는 보기 드문 작품이다. 만약 <나이 자랑> 설화를 이런 방식으로 이해할 수 있다면, 이것 의 소설적 창작이라 할 수 있는 <두껍전>류의 작품에 대한 이해의 폭도 넓힐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구술문화에서 문자문화로의 변화 등에 초점을 맞춰 문화적인 변동 의 차원에서 작품의 의의를 새롭게 새겨볼 여지가 많다고 생각한다.

      • KCI등재

        제바달다와 붓다의 나이 차이 고찰

        염중섭(자현) 한국선학회 2010 한국선학 Vol.27 No.-

        제바달다는 붓다의 사촌동생으로 破僧事관련 기록들에는 붓다 만년 붓다의 연만한 나이를 이유로 교단을 물려줄 것을 요청했다고 기록되어 있는 인물인 동시에 佛傳들에서는 붓다의 왕궁시절 최대 경쟁자로 등장하고 있는 인물이다. 그런데 ‘붓다의 연만한 나이를 이유로 교단승계를 요청한다는 것’과 ‘붓다의 왕궁시절 경쟁했다’는 두 기록의 사이에는 두 사람의 나이 차이에 대한 전혀 다른 인식이 존재하고 있어 주목된다. 즉, 전자가 두 사람이 상당한 나이 차이를 가지는 인물이라는 점을 전제하고 있다면, 후자는 근접한 동년배임을 상정하고 있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두 가지의 나이 차이에 관한 기록은 제바달다와 붓다의 관계를 이해하는데 있어서 문제를 야기한다. 본고는 붓다와 제바달다의 나이 차이를 律藏과 佛傳들의 기록들을 통해서 1차로 정리하고, 이의 내포의미를 통한 2차적인 타당성 접근을 시도한 뒤, 마지막 결과로써 붓다와 제바달다의 실질적인 나이 차이를 규명해 보고자 한 것이다. 이를 통해서 우리는 破僧事관련 기록들과 불전의 기록들에서 나타나 보이는 제바달다의 나이 차이 문제가 ‘실제적인 측면’과 ‘종교적인 측면’의 관점 차이에 의해 비롯된 것이며, 붓다와 제바달다의 실질적인 나이 차이는 대략 23 ~ 24세 정도가 된다는 것을 파악해 볼 수가 있게 된다. 제바달다가 붓다와 왕궁시절에 경쟁하였다는 것도 破僧伽의 원인을 구하기 위한 불전의 防禦機制라는 점을 고려한다면, 파승사의 기록이 불전의 기록에 앞서며, 보다 높은 타당성을 확보한다는 것을 알 수가 있다. 그러므로 불전의 경쟁기록은 종교적인 상징성의 관점에서 수용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한 접근이라고 하겠다. 즉, 두 가지의 제바달다 나이에 관한 상이한 기록은 결국 파승사라는 동일한 측면을 내원으로 하고 있는 것이므로 엄밀히 말해서 양자는 유리된 각각의 기록이 아닌 ‘실제’와 ‘의미’의 차이에 의한 두 가지 층차의 서로 다른 입각점의 기록이라고 할 수가 있는 것이다. Devadatta is Buddha's younger cousin. In relation with saṃgha-bheda, he was recorded to have asked the Buddha to hand over the religious association to him due to Buddha's old age in his later days. At the same time, Buddhist classics recorded that he was Buddha's greatest rival in his palace days. But, between the two records on 'he asked to hand over the religious association due to Buddha's old age' and 'he competed with the Buddha during his palace days,' there are totally different recognitions about the difference of their ages. That is, the former one presupposes that the two men had a considerable age difference, and the latter one presupposes that they had similar ages. These two kinds of records about the age difference raise a problem in understanding the relation of Devadatta and the Buddha. In this paper, the age difference of Devadatta and the Buddha is arranged first through the records in Vinaya-piṭaka and Buddhist classics. And, through the implication in it, the secondary feasibility approach is attempted. Then, as the final result, the real age difference of Devadatta and the Buddha is investigated. Through this, we can comprehend that the age difference problem of Devadatta and the Buddha shown in the records of Vinaya-piṭaka and Buddhist classics has originated from the difference of view point between the 'realistic aspect' and the 'religious aspect' and that the real age difference between Devadatta and the Buddha was about 23~24. When considering that the story of competition between Devadatta and the Buddha during the palace days was a defensive device of Buddhist classics to get the cause of saṃgha-bheda event, we can see that the records on the saṃgha-bheda event precedes the records of Buddhist classics and has the higher feasibility. Therefore, it would be more desirable to accept the record of Buddhist classics about the competition in the view point of religious symbolism. That is, as the different records on the age difference between Devadatta and the Buddha was originated from the same aspect of saṃgha-bheda event, strictly speaking they are not the two separated records but one record of two different view points in two strata due to the difference of 'reality' and 'significan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