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부분 긴장과 해제를 이용한 연속화 과정에서의 긴장력 조절

        이환우,김광양 한국전산구조공학회 2002 한국전산구조공학회논문집 Vol.15 No.2

        부재의 일정구간에 설치된 긴장재의 긴장작업과 이미 긴장되어 있는 상태의 긴장재를 이완시키므로써 의도적으로 유도되는 2차 모멘트를 이용한 새로운 연속화 공법이 개발되었다. 본 공법에서는 이들 긴장재의 긴장과 이완공정이 가장 핵심이 되는 작업이 되며, 실용적인 측면에서는 그 크기와 순서를 결정하는 것이 주된 과제가 될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이 과정에서 필요한 최적의 긴장과 이완 비율의 조절 과정에 관하여 연구하였다. 그 결과, 긴장작업과 이완작업은 먼저 긴장작업부터 시작하여 3단계에 걸쳐 점진적으로 실시하는 것이 구조의 안전과 시공성을 위해 타당한 방법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민감도 분석을 통하여 결정되는 선행 긴장작업의 긴장력 크기는 최소와 최대의 비율범위를 동시에 만족하는 값으로 결정되어야 하나, 시공의 효율성을 위해서 필요할 패는 최소 긴장비율만을 하한치로 하여 결정하여도 큰 문제는 없다. A new splicing technique by the secondary moment which is intentionally induced by the tensioning effect of continuous tendons and the releasing effect of temporary beam tendons was developed. The tensioning and releasing works are essential and the decisions of the magnitude and order about them may be important engineering problems in this technique. In this paper, it was studied lot the practically optimum procedure of the tensioning and releasing works. As the result, it is concluded that the gradual progress through the three stages is reasonable for the procedure and the tensioning work have to precede the releasing work. Additionally, the magnitude of preceding tensioning force should be obtained by the sensitivity analysis and the minimum limit is more critical than the minimum limit.

      • KCI등재

        An Acoustic Study on English Tense-Lax Vowel Pairs Produced by Chinese and Korean Speakers

        Li, Jian Hua(이건화),Lee, Sook Hyang(이숙향) 원광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17 열린정신 인문학연구 Vol.18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중국어화자와 한국어화자의 영어 긴장모음과 이완모음 산출의 스펙트럼 특성과 시간 특성의 화자집단 간 비교·분석이다. 피험자로 참여한 10명의 중국어모국어화자와 10명의 한국어모국어화자가 3쌍의 단어 heed/hid/-hid/hɪd/, had/hæd/-head/hɛd/, who’d/hud/-hood/hʊd/를 3번 반복으로 읽었다. 각 모음의 제1포만트(F1)와 제2포만트(F2) 및 지속시간을 측정하였다. 실험결과, 중국어화자는 주로 시간 특성에서 긴장모음과 이완모음을 구분한 반면 한국어화자는 주로 모음의 스펙트럼 특성에서 긴장모음과 이완모음을 구분하는 경향을 보였다. 스펙트럼 특성상 일부 단어쌍에서 중국어화자는 F1값에서만 긴장모음과 이완모음 간 차이를 보인 반면 한국어화자는 F1값과 F2값에서 차이를 보였다. /ʊ-u/ 단어쌍에서는 두 집단 모두 긴장모음과 이완모음 간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시간 특성에서는 중국어화자는 세 단어쌍 모두에서 긴장모음과 이완모음의 지속시간 간 차이를 보였지만 한국어화자는 /i-ɪ/에서만 차이를 보였다. 두 집단이 영어의 긴장모음과 이완모음 대조에 스펙트럼 특성과 시간 특성을 동시에 이용하지 못하는 결과에 대한 한 가지 요인으로 L1의 부정적 간섭의 가능성을 논의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the spectral and temporal characteristics of English tense and lax vowels produced by Chinese and Korean speakers. 10 Chinese and 10 Korean speakers served as subjects and read 3 pairs of words heed/hid/-hid/hɪd/, had/hæd/-head/hɛd/, who’d/hud/-hood/hʊd/ 3 times. The first two formants and vowel duration were measured. The results showed that Chinese speakers differentiated tense-lax vowel pairs mainly with temporal characteristics while Korean speakers mostly with spectral characteristics. With respect to spectral characteristics, Chinese speakers tended to differentiate tense from lax vowels in some pairs with the difference only in F1 while Korean speakers did with difference both in F1 and F2. Both Chinese and Korean speakers had difficulty in differentiating /u/ from /ʊ/. With respect to temporal characteristics, Chinese speakers differentiated the tense from lax vowels in all three vowel pairs while Korean speakers distinguished only in /i-ɪ/ but not in /æ-ɛ/ and /u-ʊ/ pairs. L1 negative transfer was suggested as one of the factors for the results that Chinese and Korean speakers did not use all the spectral and temporal features in tense vs. lax vowel contrast in English.

      • KCI등재

        중국의 네 가지 소수 언어의 ‘긴장성’과 ‘이완성’

        Ian Maddieson,Peter Ladefoged,金永贊(번역자) 중국어문논역학회 2015 中國語文論譯叢刊 Vol.0 No.36

        긴장성과 이완성이라는 자질은 대부분의 자질 목록에 포함되어 모음의 구분에 사용되었다. 그러나 언어에 따라 그 지칭 대상이 다르며 음성학적 근거가 확실하지 않다. 본 논문은 중국 남서 지역의 비중국어계 소수 언어인 징포어, 하니어, 이어, 와어에 대해 공기역학적, 음향적 데이터를 수집하여 관련 변수들을 측정하고 긴장성과 이완성의 구분에 관여하는 음성 속성들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 네 언어의 긴장/이완 구분은 주로 발성 유형을 이용하며 주요 관련 요소는 후두의 상태임을 밝혔다. 네 언어에서 실현되는 긴장/이완 대립의 다양한 패턴은 역사적 관점으로 이해될 수 있다. 그것을 실현하는 음성 속성 집합은 언어마다 다양하고 언어 보편성을 찾기 어렵기 때문에 공기하는 속성 집합으로서 긴장과 이완을 사용하는 것은 음성학적 의미가 없으며 보다 근본적인 음성 속성을 참조하여야 한다. Included in most sets of proposed phonological features, [tense] and [lax] have been applied to a number of different distinctions between vowel sets in various languages. But we found that the terms refer to different things depending on languages being discussed and their phonetic evidences are not securely grounded. In this study, we collected aerodynamic and acoustic data from four non-Chinese minority languages spoken in south-western China?Jingpho, Hani, Yi and Wa, measuring related parameters and exploring the phonetic properties involved in tense/lax distinctions. Consequently, we found that tense/lax contrast in those four languages is one of the phonation type and its principal component is a difference in the laryngeal setting. We can understand the various patterns of tense/lax distinctions practiced in the four languages from a historical point of view. Since the clusters of phonetic properties involved are divergent depending on the languages and it is hard to find any uniformity across languages, the terms “tense” and “lax” have no general phonetic meaning as a cluster of co-occurring properties and it is necessary to refer to more basic parameters.

      • KCI등재

        긴장형 두통환자의 몰입수준에 따른 EMG바이오피드백 훈련과 이완 훈련의 효과

        문미숙,손정락 한국건강심리학회 2009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Vol.14 No.2

        The present study was designed to test the effects of EMG Biofeedback Training and Progressive Muscle Relaxation Training on headache reduction in tension headache patients' absorption capacity. "Absorption" is the ability of a person to immerse his or her awareness and imaginative and ideational capacities into periods of total attention. Thirty-two subjects, proved to be tension headache patients through Diagnosis Questionnaire, were divided randomly into four groups: Biofeedback group in high absorption, and relaxation group in low absorption. Baseline frontalis EMG level of 2 sessions was measured for 2 weeks. Biofeedback groups receive contingent EMG feedback with instruction to lower there muscle activity level using the auditory feedback for 7 weeks(8 sessions). Relaxation training groups were instructed to practice taped progressive muscle relaxation training procedure for 7 weeks(8 sessions). Follow up frontalis EMG level of 2 sessions was measured for 2 weeks. All subjects were required to record their daliy headache level for all treatment stages. Groups in high absorption were significantly reduced after progressive muscle relaxation training than EMG biofeedback training. Groups in low absorption were significantly improved after EMG biofeedback training. Groups in high absorption were significantly reduced following progressive relaxation training than EMG biofeedback training. Reason for these differences in responsiveness to the treatment were discussed. Finally, implications, restrictions and suggestions of the present study were discussed. 본 연구는 긴장형 두통환자의 몰입 수준에 따른 EMG 바이오피드백 훈련과 점진적 이완훈련을 통한 두통감소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서 행해졌다. 몰입은 자신의 자각과 상상적이고 관념화된 역량을 전체 주의를 몰두하게 해주는 개인의 재능이다. 두통진단질문지를 통해 긴장형 두통 환자로 입증된 32명의 참여자들이 무선적으로 네 집단에 할당되었다; 고몰입(바이오피드백 훈련집단, 점진적 이완훈련집단), 저몰입(바이오피드백훈련집단, 점진적 이완훈련 집단). 2회기의 기저선 전두엽 EMG 수준이 2주동안 측정되었다. 바이오피드백 집단은 7주동안(8회기) 청각 피드백을 이용하여 근육활동을 좀 더 낮추라는 지시와 함께 EMG 바이오피드백 훈련을 받았다. 점진적 이완 훈련 집단은 7주동안(8회기) 점진적 근육이완 훈련 절차가 녹음된 테잎을 들었다. 추적회기에서는 2회기의 전두엽 EMG 수준이 2주 동안 측정되었다. 모든 참여자들은 모든 치료 단계동안 두통일지를 기록하도록 요청되었다. 고몰입 집단에서는, EMG바이오피드백 훈련보다 점진적 이완훈련 후에 유의하게 더 두통감소를 보였다. 저몰입 집단은 EMG바이오피드백 훈련 후에 유의하게 더 두통감소를 더 보였다. 처치방법에 따른 이러한 차이의 이유가 논의되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시사점, 제한점 및 앞으로의 연구 제안점들이 논의되었다.

      • KCI등재

        중국의 네 가지 소수 언어의 ‘긴장성’과 ‘이완성’

        김영찬 중국어문논역학회 2015 中國語文論譯叢刊 Vol.0 No.36

        Included in most sets of proposed phonological features, [tense] and [lax] have been applied to a number of different distinctions between vowel sets in various languages. But we found that the terms refer to different things depending on languages being discussed and their phonetic evidences are not securely grounded. In this study, we collected aerodynamic and acoustic data from four non-Chinese minority languages spoken in south-western China—Jingpho, Hani, Yi and Wa, measuring related parameters and exploring the phonetic properties involved in tense/lax distinctions. Consequently, we found that tense/lax contrast in those four languages is one of the phonation type and its principal component is a difference in the laryngeal setting. We can understand the various patterns of tense/lax distinctions practiced in the four languages from a historical point of view. Since the clusters of phonetic properties involved are divergent depending on the languages and it is hard to find any uniformity across languages, the terms “tense” and “lax” have no general phonetic meaning as a cluster of co-occurring properties and it is necessary to refer to more basic parameters 긴장성과 이완성이라는 자질은 대부분의 자질 목록에 포함되어 모음의 구분에 사용되었다. 그러나 언어에 따라 그 지칭 대상이 다르며 음성학적 근거가 확실하지 않다. 본 논문은 중국 남서 지역의 비중국어계 소수 언어인 징포어, 하니어, 이어, 와어에 대해 공기역학적, 음향적 데이터를 수집하여 관련 변수들을 측정하고 긴장성과 이완성의 구분에 관여하는 음성 속성들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 네 언어의 긴장/이완 구분은 주로 발성 유형을 이용하며 주요 관련 요소는 후두의 상태임을 밝혔다. 네 언어에서 실현되는 긴장/이완 대립의 다양한 패턴은 역사적 관점으로 이해될 수 있다. 그것을 실현하는 음성 속성 집합은 언어마다 다양하고 언어 보편성을 찾기 어렵기 때문에 공기하는 속성 집합으로서 긴장과 이완을 사용하는 것은 음성학적 의미가 없으며 보다 근본적인 음성 속성을 참조하여야 한다.

      • KCI등재

        자세이완기법과 테라테인먼트적 초음파가 정상성인의 허리골반 미치는 영향

        양대중(Dae-Jung Yang),강다행(Da-Haeng Kang)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 2016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Vol.10 No.1

        본 연구는 자세이완 기법과 테라테인먼트적 초음파가 정상성인의 허리골반대의 유연성과 근긴장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유연성과 근긴장도의 상관관계를 비교하고자 하였다. 대상자는 정상성인 30명으로 대조군(CON), 자세이완 치료군(PRT), 초음파군(TUS)으로 각 10명씩 무작위 분류하여 진행되었다. 모든 대상자는 사전평가로 MFTF (Modified Fingertip-To- Floor), SLR(straight leg raising), 안성시 근긴장도 평가가 실시되었으며, 자세이완치료와 초음파는 대상자의 양쪽 허리네모근에 각 5분씩 중재되었고 대조군은 10분간 휴식을 취하였다. 모든 대상자는 1일 15분, 주 3회, 3주간 각 중재방법이 적용되었으며, 이후 사후 검사를 동일하게 실시하였다. 중재그룹은 대조군과 비교하여 MFTF에서 유의한 증가를 나타내었다. 또한 오른쪽은 허리네모근의 안정 시 긴장도에서도 유의한 감소를 나타내었다. 왼쪽 허리네모근의 긴장도는 자세이완군이 대조군과 비교해 유의한 감소를 나타내었다. 자세이완치료와 초음파는 허리골반부의 유연성 증가와 근긴장도 완화에 적합한 중재법이며, 허리골반부의 유연성과 안정시 허리네모근의 긴장도는 반비례관계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Purpose: This study conducted the following experiment to examine change of flexibility and muscle tension of lumbopelvis with healthy adults according to positional release technique and thertainmental ultrasound. The research subject included 30 healthy adults who were randomly divided into three groups with positional release technique group, thertainmental ultrasound group and control group. Flexibility of lumbopelvis was measured by modified fingertip-to-floor(MFTF) and straight leg raising(SLR) and muscle tension of lumbopelvis by myotonometer application for quadratus lumborum muscle on comparative analysis of pre, post intervention. These result lead us to the conclusion that each group were statistically improved at MFTF, SLR and tension of quadratus lumborum muscle. Consequently, positional release technique and thertainmental ultrasound would be lead to positive increment of flexibility and muscle tension of lumbopelvis. Consequently, positional release technique and thertainmental ultrasound would be lead to positive increment of flexibility and muscle tension of lumbopelvis.

      • KCI등재후보

        신체중심 집단심리치료가 긴장이완, 만성 통증에 대한 인지, 신체자각에 미치는 효과 -광주 5·18 민주화 운동 생존자들 중심으로-

        양현경 한국명상학회 2016 한국명상학회지 Vol.6 No.2

        본 연구는 신체중심 집단심리치료가 광주 5?18 민주화 운동 생존자들의 긴장이완, 만성 통 증에 대한 인지, 신체자각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광주지역에 거주 하며 광주트라우마센터 프로그램을 이용하는 5?18 생존자 5명이었다. 본 연구는 단일 집단 으로 2015년 9월1일부터 12월 1일까지 주 1회 (매회 90분) 11주간 실시하였다. 효과를 측정하 는 척도는 긴장이완척도, 통증파국화척도, 신체자각척도를 실시하고 미모수검증인 Wilcoxon signed rank test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긴장이완, 신체자각 척도에서 유의미한 결과가 나타 났다. 이는 신체중심 집단심리치료가 심리적 외상이 있는 생존자들의 부교감신경계를 자극하 여 긴장을 낮추고 이완 반응을 증가시키고, 신체자각을 증진시키는데 효과적임을 보여주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제한점과 추후 연구 방향에 대해 논의하였다.

      • KCI등재

        들뢰즈의 베르크손 원뿔에 대한 해석의 문제점

        최화(Tchoe, Roie) 서울대학교 철학사상연구소 2017 철학사상 Vol.66 No.-

        들뢰즈는 베르크손의 원뿔을 꼭짓점=긴장, 밑면=이완이라는 도식으로 이해했다. 그러나 다른 부분의 논의를 고려한다면 꼭짓점에서도 긴장과 이완이 있을 수 있고, 밑면에서도 긴장과 이완이 있을 수 있다고 해야 한다. 물론 긴장은 항상 꼭짓점, 즉 현재와 연관을 맺어야 하지만, 그 현재에서도 긴장과 이완이 있을 수 있다. 우리는 어차피 현재에 있을 수밖에 없지만 그 현재에서도 이완되면 꿈과 같은 잡다한 기억이 나올 수도 있고 긴장하면 점점 더 깊은 기억의 밑바닥까지 갈 수도 있다. 결국 들뢰즈의 도식은 밑면=(기억의) 풍부함, 꼭짓점=(기억의) 빈약함의 도식으로 대체되어야 한다. 풍부한 기억의 밑면으로 가는 길만을 놓고 말하자면 보통 사람의 경우에는 꿈이나 정신병, 혹은 죽으려 할 때에나 전 생애의 기억이 떠오르겠지만, 비상한 천재들에게는 긴장하면서도 기억의 심연에 가 닿을 수 있다고 해야 한다. 예수님이나 부처님과 같은 신비주의자에게는. Deleuze interprets the top of Bergson"s cone of memory as tension and the bottom as relaxation. However, considering the various parts of Bergson" text, one has to think that there can be tension or relaxation at the top as well as at the bottom. Of course, tension is always related to the present, which is the top; but, there can also be tension or relaxation in the present. Even if it is true that we can live only in the present, however, in that present, we can have various memories like in dreams or we can go to the deep bottom of a memory with tension. Finally, the schematic interpretation of Deleuze should be replaced with a scheme in which the top of the cone is abundance (of memories) and the bottom, their meagerness. To speak with the bottom, ordinary people can recall the whole memory of their life only in the moment of death or through dreams or mental diseases; but some geniuses or mystics like Jesus or Buddha, can go to the abyss of memory in tension.

      • KCI등재후보

        싱잉볼의 수면장애 중년여성의 긴장이완에 관한 현상학 연구 -소리치료, 싱잉볼(singing bowl)적용-

        김영주 ( Kim-Young Ju ),신동열 ( Dong-yeol Shin ) 산업진흥원 2021 산업진흥연구 Vol.6 No.3

        중년여성은 갱년기와 노화, 과다한 역할로 인해 다양한 심리적 · 신체적 스트레스로 긴장을 경험하며, 이것이 수면장애로 이어지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이와 연관된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다. 이에 수면장애를 경험하는 중년여성이 건강을 도모할 수 있도록 긴장이완을 돕는 싱잉볼의 효과성에 대한 연구 필요성이 제기된다. 이에 본 연구는 2019년 2월부터 2020년 4월까지 수면장애의 어려움을 호소하는 중년여성 중 피츠버그 수면의 질 평가 측정점수가 5점 이상인 4명을 선정하여 싱잉볼 체험을 40분 실시하고 심층 인터뷰 내용을 토대로 한 Giorgi의 현상학적 연구방법으로 진행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도출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연구 결과 참여자들의 싱잉볼 체험을 통해 518개의 구성의미와 15개의 의미단위, 7개의 하위요소, 2개의 주제군을 도출해 내었다. 첫째, 싱잉볼 경험 시 신체적 경험으로는 통증과 이완 경험, 심리적 경험으로는 마음이완과 긍정심리 경험, 심상적 경험으로는 이미지와 색깔 경험을 하였다. 둘째, 싱잉볼 경험 이후 연구 참여자들이 느낀 신체적 변화는 신체이완, 신체증상, 신체활력 증가였으며 심리적 변화는 불안감소, 유쾌함과 긍정심리 증가였다. 행동적 변화는 행동 느긋해짐, 활동량의 증가였고 수면변화로 인한 수면개선의 효과가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싱잉볼은 수면장애를 경험하는 중년여성의 긴장이완에 심리적 · 신체적으로 긍정적인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고, 스트레스와 긴장으로 인한 수면장애로 고통 받는 중년여성들과 현대인들에게 유용한 도구인 싱잉볼을 활용하여 양질의 삶을 살아가도록 돕는데 그 의의를 둔다. Middle-aged women experience diverse psychological and physical stresses and tensions through the menopause, aging, and taking up too many social roles, which often leads to sleep disorder. But there are not many scientific researches on the issue. Therefore, the research of efficacy of singing bowl that helps relax middle-aged women who have sleep disorder is needed to improve their health. This study was conducted with Giorgi's phenomenological method with 4 middle-aged women with sleep disorder, whose Pittsburgh sleeping quality scale marked over 5 points, who took part in singing bowl experience for 40 minutes and did the interview. The study resulted in following conclusions that through participants' singing bowl experience, 518 constructive meanings, 15 meaning units, 7 sub components, and 2 group subjects were drawn up. Firstly, when participants took part in the singing bowl experience, they underwent physical, mental, imagery experiences which are physical pain and muscle relaxation, mental relaxation, and positive mindset and imaginary images and colors. Secondly, physical changes that the participants felt after singing bowl experience was increased physical relaxation, improved physical symptoms and more physical activities, and psychologically participants also felt reduced anxiety, increased happiness and positive mentality. And behavioral changes are relaxed movements, increased activities, and improved sleep is huge benefit through changes of sleep pattern. In this study, singing bowl is confirmed to be effective both physically and psychologically on relaxing the middle-aged women's tensions that are caused by sleep disorders and singing bowl experience is meaningful in that the middle-aged women as well as modern people with the sleep disorders can be helped to have better lives.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