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지역 관광 홍보 영상의 기호적 어포던스 -‘Feel the Rhythm of Korea’의 사례-

        염승연 실천민속학회 2023 실천민속학연구 Vol.42 No.-

        지방자치제가 도입된 이후, 여러 지역에서는 기존의 수도와 지방간의 관계를 규정한 중심-주변 담론에서 벗어나 지역 자체의 정체성을 구축하기 위해 다양한 노력을 기울였다. 이러한 시도 중 하나가 지역 특유의 홍보 영상 제작과 배포였다. 그러나 지자체의 관광 홍보 영상은 지역의 인식을 전환시키는데 큰 효과를 보지 못하였다. 특히, 2020년부터 유행한 코로나 바이러스로 인한 팬데믹 상황은 지역 관광 사업에 악영향을 미쳤다. 한편, 이러한 지역 관광 홍보 영상에 새로운 전환점을 제시한 사례가 한국관광공사에서 제작한 ‘Feel the Rhythm of Korea’ 캠페인 영상이었다. 한국관광공사는 2020년 시즌 1에서 판소리 그룹 이날치와 현대 무용 그룹인 앰비규어스 컴퍼니를 전면에 내세워 <범 내려온다-서울편>을 시작으로 여러 관광지역을 배경으로 삼아 유튜브를 비롯한 디지털 매체에 홍보 영상을 올려 국내외 시청자들로부터 큰 호응을 얻었다. 이후 2021년 시즌 2에서는 노래를 들으면 해당 장소를 연상시키는 소닉 브랜딩(sonic branding) 전략을 사용하여 힙합과 민요를 가미한 배경음악과 지역민의 일상적인 모습도 함께 조명하는 영상을 올렸다. 이러한 호응의 배경에는 각 영상에서 제시된 여러 기호적인 요소들이 시청자들에게 지역 홍보의 목적을 생각할 수 있도록 유도했던 점이 주효한 것으로 분석된다. 신체적 활동을 통해 생성된 인간의 경험이 정신적인 영역의 경험으로 확장되는 과정, 즉 기호의 산출 및 해석에 ‘기호적 어포던스(symbolic affordance)’가 작동된 것이다. 시즌 1에서는 일상적인 의복과는 다른 의상과 무용, 그리고 기존의 대표적인 일상적인 장소와는 다른 새로 발굴한 장소를 선보임으로써 시청자들의 지역에 대한 인식을 새롭게 전환시키도록 유도하였다. 시즌 2에서는 시즌 1의 형식을 그대로 답습하지 않고 힙합과 민요를 접목시키면서 지역민들의 일상을 전면에 내세웠다. 이러한 지역의 제반 요소들은 일종의 기호적 어포던스로 변하면서 시청자들에게 기존의 일상적이거나 익숙한 공간 속에서 신체적인 경험을 새롭게 환기시켜 지역과 공간을 낯설게 느끼도록 유도하였다. 기존의 지역 관광 홍보 영상에서는 대부분 여행자의 외부적 시각에서 지역민들이 전혀 없는 관광지를 비추거나 지역의 문화를 경험하는 모습을 보여주었고, 혹은 지역민들이 멀리 비춰지는 피사체로만 그려졌다. 반면에 ‘Feel the Rhythm of Korea’의 영상에서는 원경화된 지역민들의 주변적인 기호를 전면화 시키면서 시각적인 요소와 청각적인 요소를 통해 일상적이거나 익숙한 공간을 낯설게 인식하도록 유도했다. 이러한 한국관광공사의 시도는 주변화된 지역을 시청자들에게 새롭거나 낯설다는 인식을 유도하였고, 지역의 중심-주변 담론에서 탈피하여 이른바 ‘힙(hip)’한 반응을 유도함으로써 지역 관광 홍보 영상에 새로운 방향을 제시한 것으로 평가된다.

      • KCI등재

        연구논문 : 조선후기 기호지역 실학에 관한 연구동향과 과제

        백민정 ( Min Jeong Baek ) 충남대학교 유학연구소 2011 儒學硏究 Vol.24 No.-

        본 논문은 기존에 기호지역으로 불린 서울경기 및 호서·호남 일대를 중심으로 활약한 조선후기 실학자들에 대한 현재까지의 연구성과를 소개하고, 이러한 연구동향의 문제점 그리고 차후의 학문적 과제 등을 서술한 글이다. 기호유학 혹은 기호실학이란 학술용어는 이미 십여 년 전부터 학계에서 여러 맥락에 따라 사용되어 왔지만, 필자의 경우 우선 전통적 사승관계 혹은 구성원 간의 사상적 동질성 여부보다는 지역적 의미에 따라 기호지역 전 범위를 대상으로 한 해당 실학자들에 대한 연구동향을 살펴보았다. 서울경기 일대 노소론계 북학파 및 이들과 깊이 교류한 호서지역 실학자들, 그리고 서울경기지역 남인계 실학자들[근기남인], 호남지역출신 혹은 호남지역에서 활약한 유형원·정약용 등의 조선후기 대표적 사상가들에 대한 연구경향을 본론의 순서에 따라 소개하고 논평했다. 또한 마지막 장에서는 기존에 이루어진 기호유학 혹은 기호학파 관련 담론들의 문제점을 일부 언급했고, 가장 큰 난점을 안고 있는 실학 개념에 대한 비판적 재논의 없이 기호실학 문제도 더 이상 심도 깊게 논의되기 어렵다는 점을 강조했다. 실학 혹은 기호학이란 학술범주의 성립 여부 및 문제점 등을 거론하면서 이를 차후의 연구과제로 남겨두었다. This paper discusses the results of the research to date on Silhak scholars who were active in the Seoul-Gyeonggi, Hoseo and Honam regions, collectively known as the Giho Region, during the Late Joseon Period. The paper also explains the relevant issues including research trends and future research directions. The term "Giho Confucianism," or "Giho Silhak," has been applied in the academic world in many contexts for the past decade. However, rather than focusing on the traditional relationships through which learning was handed down from masters or on whether the members were ideologically homogeneous, this paper investigates the research trends concerning those scholars based on regional significance, and focuses on those who were active in the Giho region. First, the research trends to date on the Silhak scholars belonging to the nosorongye (老少論系) northern school in the Seoul-Gyeonggi region and the scholars in the Hoseo region who were intimately connected with them are examined, and then the results of the research on the representative thinkers of the Late Joseon Period such as, Yu Hyeong-won and Jeong Yak-yong who were either from or were active in the Honam region, are introduced and assessed. In the last chapter, some of the thorny issues in the existing discourse concerning Giho Confucianism, or different Giho schools, are discussed. The point is emphasized that without a critical re-discussion of the most problematic Silhak concepts, it is difficult to have any in-depth progress on an understanding of Silhak issues. Lastly, the feasibility of and problems in establishing an academic category called Silhak or Giho school are discussed as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 KCI등재

        기호학적 접근을 통한 지역무용 콘텐츠 개발 연구 -무형문화유산 삼척 '산멕이'를 이용한 개발 사례를 중심으로-

        윤혜정 한국무용연구학회 2023 한국무용연구 Vol.41 No.3

        연구목적: 본 연구는 기호학적 접근을 통해 지역 무용콘텐츠를 개발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특히 서울 중심으로 집중되어있는 무용이 아니라 지역 무용을 발전시키기 위해서라도 사라져가는 지역의 문화유산들을 한국무용의 창작 소재로 발굴할 필요가 있다. 연구방법: 기호학의 이론을 배경으로 대표적 이론가인 소쉬르와 퍼스의 개념에서춤기호학을 발전시켰다. 이를 토대로 삼척의 무형문화유산인 ‘산멕이’를 퍼스의 이론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산멕이’ 제례의식의 절차를 기표로 하고 각 과정에서 갖는 기의를 분석하였으며 도상기호, 지표기호, 상징기호들을 찾아냈다. 이 기호들을 이용하여 창작작품 [붉은 띠 무당춤]의 제목, 의상, 음악, 소품들을 결정하고 춤을 완성하는 과정의 결과를 얻었다 . 결론: 본 연구는 지역문화 콘텐츠의 발굴이 곧 지역무용콘텐츠로 이어질 수 있다는 연구결과를 기호학적 접근을 통해 증명하였다. 지역무용의 콘텐츠 개발을 위해 지역의 문화유산들을 기호학적으로 분석하면 수많은 콘텐츠가무용창작자에게 제공될 것이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local dance content through a semiotic approach. In particular, it is necessary to discover the disappearing cultural heritages of the region as creative materials for Korean dance in order to develop local dance, not dance concentrated in Seoul. Methods: Against the backdrop of the theory of semiotics, dance semiotics were developed from the concepts of representative theorists Soshir and Perth. Based on this, the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of Samcheok, Sanmeki, was analyzed with Perth's theory. Result: Using t he procedure of t he "Sanmeki" rit ual as a sign, t he significance of each process was analyzed, and iconography, indicator symbols, and symbols were found. Using these symbols, the results of the process of determining the title, costumes, music, and props of the creative work "Red Band Shaman Dance" and completing the dance were obtained. Sanmeki analyzed the sign. Conclusion: This study proved through a semiotic approach that discovering local cultural content can lead to local dance content. A semiotic analysis of local cultural heritage for developing local dance content will provide numerous content to dance creators.

      • KCI등재

        장소성과 지역문학

        송기섭 한국비평문학회 2019 批評文學 Vol.- No.72

        Regional literature explores how one place is expressed, which isthe subject of this paper. One place is the most prominent symbolfor the identity of regional literature. Placeness and regionalliterature are so closely intertwined. In order to explore this subject,I focused on the place called Mokchuck-kyo(木尺橋). It is a signof a place that is very prominently expressed in the regionalliterature of the Daejeon. In addition, Mokchuck-kyo clearly revealsthe regional literature of Daejeon. This sign does not refer to asimple place, but to literary ambiguity. It specifies that this markingis only possible if it is an expression of it rather than arepresentation of the place. As a place, Mokchuck-kyo is clear that it is an expression place,not a represented place. Representation presupposes a model ofreality. Realism follows such a principle. The place goes beyondsimply describing the external scene. The place is expressed andproduces the placeness. In this respect, the place can be said tobelong to the domain of unfolding and folding expression. Placeidentity is born so. As the place is expressed, it is sequenced intothe structure of metaphor. In the literature of Daejon, it is largelydivided into four lines, namely, symbols representing scene, event,relationship, and placelessness. The sign of the scene refers to the scene that was unfurledbefore the eyes. The symbol of the event becomes the lives of the citizens who live there. The symbol of a relationship becomes amemory of finding truth. And the symbol of placelessness concernsthe loss of the place and contains the will to restore it. Despitethis differentiation, it is based on the indication of placeMokchuck-kyo that it belongs to the literature of Daejeon. Mokchuck-kyo introduces the unique structure of human signs intothe regional literature of Daejeon. Through such expressions,Mokchuck-kyo creates a topophilia for the Daejeon. 지역문학은 한 장소를 어떻게 표현하는가를 탐구함이 본 논문의 주제이다. 한장소는 표현의 대상이 되면서 지역문학의 정체성을 만드는 가장 두드러진 기호가된다. 장소성과 지역문학은 그렇게 밀접하게 연동되어 있다. 이러한 주제를 구체적으로 탐구하기 위하여 나는 목척교라는 장소의 표시를 추적하였다. 목척교는 대전의 지역문학에 아주 두드러지게 표현되는 장소의 징표이다. 목척교는 글쓰기에 끊임없이 표시되면서, 그것이 지역문학임을 아주 수월하게 경계짓는다. 이 표시는 장소를 나타내는 단순한 지시 관계만 지니는 것이 아니라 문학적 기호로서 내포하는애매함이나 모호함조차 지닌다. 그것은 이 표시가 단순히 장소의 재현이 아닌 그것의 표현일 때 가능함을 명시한다. 장소로서의 목척교는 재현된 장소가 아닌 표현된 장소임을 분명히 드러낸다. 재현은 기원이될 모델을 전제하는 미메시스의 기본 원리에 속한다. 장소는 단순히그 외현을 묘사하는데 그치는 것이 아니라 형상을 재창조하면서 장소성을 생성한다. 그런 점에서 장소는 무한히 펼쳐지고 또한 접혀질 표현의 영역에 속한다고 할수 있다. 장소는 이렇게 표현되면서 그것의 정체성을 구성하며, 나아가서 지역문학의 특이성을 창발한다. 장소는 표현되면서 은유의 구조로 계열화된다. 계열을 이루면서 물질적 현존을 이루던 목척교는 비물질적 기호, 곧 정신적 의미를 만들어내는비실제적인 기호가 된다. 장소의 표시로서의 목척교는 물질성을 벗고 이미지들로분자화된다. 그리하여 목척교는 대전의 문학에서 크게 네 계열, 곧 경관, 사건, 관계, 그리고 비장소를 나타내는 기호들로 나뉘어진다. 장소의 경관은 보여짐의 풍정들로 표현되며, 그곳에서 벌어지는 사건은 장소감을 조성하는 시민들의 삶이 된다. 또한 그곳에서 이루어지는 지인과의 관계들은 진실 찾기의 기억이 된다. 그리고 비장소성의 출현은 개발에 의해 훼손되는 장소감에대한 상실의 우려와 그것에의 복원 의지를 담는다. 장소 자체의 이러한 변화에도불구하고 그것이 대전문학이라는 지역 경계 단위에 귀속되는 것은 목척교란 장소의 표시에 근거한다. 목척교는 인간의 표시가 갖는 독특한 구조를 대전의 지역문학에 도입한다. 그것은 장소 자체는 언제든 변할 수 있고 덧없는 것이 될 수 있으면서도, 그러나 장소의 영속성이 그 외관과 정신 가운데 내재해 있음을 보여준다. 물론많은 외적 변화에도 불구하고 그것이 지속될 수 있으리란 안정된 믿음을 주는 것은 장소애와 그것의 진실 찾기를 강요하는 목척교의 기호들이다.

      • KCI등재

        지역문화브랜딩 프로세스 모델 연구

        백승국(Baik Seung-kook),오장근(Oh Jang-geun),전형연(Jeon Hyeong-yeon) 인문콘텐츠학회 2008 인문콘텐츠 Vol.0 No.12

        본 연구의 목적은 지역문화의 중요성에 집중하면서 지역문화브랜딩 프로세스 모델의 개발을 시도하는데 있다. 이를 위하여 본고는 다음과 같이 세 가지 차원에서 연구를 진행하였다 : 지역문화브랜딩의 주요개념 제시, 지역문화브랜드 수용(Perception) 진단 모델 소개, 그리고 지역문화커뮤니케이션의 전략 제시. 이 프로세스 모델은 어떻게 다양한 지역들이 문화브랜딩을 통하여 정체성을 세우고 지역이미지를 관리할 수 있는지 그 이론적 기반을 제공해 줄 수 있으리라 기대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이 모델을 활용하여 호남의 연구콘텐츠 분석, 호남의 문화콘텐츠 분석 그리고 호남의 공간콘텐츠 분석을 기반으로 한 호남이라는 광범위한 지역공간의 문화브랜딩을 시도해보았다. 이런 시도는 어떻게 지역브랜드가 지역의 다채로운 문화콘텐츠 활용을 통해 ‘문화브랜딩’을 구현할 수 있는지 그 범례를 보여준다. 즉, 본고는 이런 연구과정을 통해 또 하나의 유용한 지역문화브랜딩 프로세스 모델을 제안하고자 하는 것이다. Focusing on the significance of regional culture contents, this study attempted to develop the regional culture branding process model. In order to develop this process model, at first, this research conducted three stages of work: presentation of core concepts for regional culture branding, development perception diagnosis model for regional culture brands and proposition of regional culture communication strategy. This process model indicated theoretical foundations on how diverse regions could be established and managed through cultural branding. Thus this model applied in the Honam area’s case which are composed of Honam’s research contents’ analysis, Honam’s culture contents’ analysis and Honam’s space contents’ analysis. This case study arrived to show how regional brand make the ‘cultural branding’ by using various culture contents in the region. Finally, based on our study findings, we intended to suggest some practical process model for regional culture branding.

      • KCI등재

        중국 중부 지역의 지역브랜드 아이덴티티 표현 전략 연구

        전형연(Jeon, Hyeong-Yeon),엽소원(Ye Zhao Yuan) 인문콘텐츠학회 2014 인문콘텐츠 Vol.0 No.34

        본 연구는 지역의 공식 웹사이트 내용 분석을 통해 중국 각 지자체들의 지역브랜드 아이덴티티 표현 전략을 연구하고. 그 현황을 파악해보는데 목적을 두었다. 특히, 본 연구는 지금까지 비관심 지역으로 다루어졌던 중국의 중부 지역인 후난성(湖南省), 후베이성(湖北省), 장시성(江西省) 등 3개 지역을 대상으로 비교 분석을 진행하여 유사한 지역성을 가진 중국 지역들의 브랜드 아이덴티티의 정립과 그 표현 전략을 분석해 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세 지역의 공식 웹사이트 담화를 기호학적인 방법론을 활용히여 분석하면서 그 정체성과 핵심가치를 추출하고자 시도하였다. 연구 분석 결과, 우리는 후난성의 경우 지역만의 독창성이나 다양성을 드러내는 유희적인 가치를 추구하면서 유토피아적 가치에 초점을 두는 표현 전략을 활용하고 있음을 파악할 수 있었던 반면, 후베이성의 경우에는 웹사이트 전반에서 단순하고 사실적이고 정보적인 텍스트와 이미지를 제공하는 표현 전략을 활용하여 실용적 가치를 추구하면서 유토피아적인 가치에 중점을 두고 있음을 파악할 수 있었다. 한편, 장시성은 지역이 추구하는 정체성이 어떤 가치를 지향하는지도 파악하기 힘들 정도로 아직까지도 지역브랜드의 아이덴티티에 대한 인식 자체가 부족하다는 결론을 도출하였다. 또한, 본 연구는 연구 대상인 세 지역 모두 지역의 정체성과 관련한 강력한 브랜드화를 진행하고 있지 못함을 발견할 수 있었는데, 이는 이 세 지역 모두가 제일 먼저 시도해야 하는 지역브랜딩 작업이 오히려 각 지자체의 입장에서의 일관성있고 개성적인 지역 정체성과 핵심가치에 대한 파악이라는 점을 확인시켜주었다. This study is primarily a semiotic analysis of the actual methodologies employed by region brands on Web sites in presenting how Internet management develops the way of thinking and makes a communication with China’s region brands. This research deliberately targeted three central areas in China (Hunan Province, Hubei Province and Jiangxi Province), which are less famous as comparing to those coastal destinations like Shanghai. Semiotic methodology is used to analyze their identities intended and capture the core value of these three regions from their official websites. In this results, we found that the Hunan province exposed it’s communication strategy on the ludic values based on creativity and diversity and focused on the utopian values. The Hubei province used it’s communication strategy which provided the simple, realistic and informative texts and images to provide a communications strategy focusing on the practical values and pursued to the utopian values. On the other hand, we are hard understand that the Jiangxi province pursued certain values and we can say that this region has still the lack of self-awareness of it’s identity. However, we found that all three regions could not demonstrate to their strong branding related to their regional identity. Therefore, the first thing that each region should try, is the conception of its communication strategy, but the research of local identity and core values for the regional brand.

      • KCI등재

        지역 공동체 문화콘텐츠의 스토리텔링에 대한 고찰 : 퍼스의 기호작용 개념을 중심으로

        임지혜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8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8 No.1

        This study attempted to theoretically systematize the process of local communities’ storytelling of culture contents based on Peirce’s concept of semiosis. It aimed to elucidate the principle underlying the sustainable reproduction of local communities’ culture contents. This study defines culture contents of local communities as materialization of their fundamental shared values into tangible and intangible cultural actions. It explains the process of producing local communities’ culture contents as a storytelling process that ceaselessly reproduces meaning. Local communities’ culture contents serve as text that intermediates dialogic interactions between content users. Interpretative dialogues occur endlessly between content users, that is, local community members, through the text as a medium. This process of “agreement–sharing–reflection” involving the meaning of local culture is continuously repeated through storytelling and re-produces an evolved form of local communities’ culture contents. 본 연구는 퍼스의 기호작용 개념을 중심으로 지역 공동체 문화콘텐츠 스토리텔링 과정의 이론적 체계화를 시도하여 지속가능한 지역 공동체 문화콘텐츠 재생산의 원리를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지역 공동체가 공유하는 본질적 가치를 유․무형의 문화적 행위로 형상화 한 것을 지역 공동체 문화콘텐츠로 정의하고, 이 지역 공동체 문화콘텐츠의 생성 과정을 끊임없이 의미를 재생산하는 스토리텔링의 과정으로 설명한다. 지역 공동체 문화콘텐츠는 콘텐츠 사용자 간에 대화적 상호작용을 중재하는 텍스트로서 작용한다. 그 텍스트를 매개로 지역 공동체 구성원 간에 끊임없는 해석적 대화가 발생함으로써 지역문화의 의미에 대한 ‘합의-공유-반성’이 계속적으로 반복되는 스토리텔링의 과정으로 더 진화된 지역 공동체 문화콘텐츠가 재생산 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과정은 지역문화 코드를 공유하는 해석공동체가 형성되는 과정과 같다. 지역 공동체 문화콘텐츠를 생산하고 향유하는 주체들의 적극적인 경험의 수용과 의미의 실천 속에서 특정한 지역문화가 생성될 수 있는 것이다.

      • KCI등재

        한국 지역의 문화정체성 홍보커뮤니케이션 전략 연구

        전형연,정지연 한국브랜드디자인학회 2010 브랜드디자인학연구 Vol.8 No.3

        최근, 우리나라 많은 지자체들은 지역만이 지니는 매력적인 문화요소야말로 지역의 이미지를 결정하는 핵심요소일 뿐만 아니라, 방문객 및 투자를 육성할 수 있는 경쟁우위요소가 된다는 점에 주목하면서 각종 홍보채널을 활용하여 지역의 문화정체성 홍보에 집중하고 있다. 이러한 현황에서 본 연구는 다수의 매체를 활용하여 홍보커뮤니케이션을 진행하고 있는 지역들이 멀티채널간의 시너지효과를 꾀할 수 있는 일관성 있는 문화정체성 홍보 전략을 구현하고 있는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고양시, 안성시, 파주시 등 3개 지역의 사이버홍보관과 관광 브로슈어를 수집하여 분석 대상체로 삼았다. 즉, 이 연구는 사이버홍보관과 관광브로슈어라는 대표적인 홍보채널을 선정하여 그 홍보콘텐츠 구성에서 지역 문화정체성이 어떠한 조형적 구조로 표출되고 있으며 시각 이미지와 텍스트를 통해서는 어떠한 의미를 전달되고 있는지 기호학적 분석을 통해 각 지역의 문화 정체성을 알아보고자 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결과적으로, 본 연구는 지역의 문화 정체성을 담아내는 홍보콘텐츠의 분석을 통해 다음과 같은 문화정체성의 핵심컨셉을 도출할 수 있었다. 즉, 사이버 홍보관의 분석에서 고양시는 장소성과 만족성을, 안성시는 자연성과 전통성을, 그리고 파주시는 비전성과 역동성이 추출되었으며, 브로슈어의 분석에서는 고양시는 소통성와 최고성을, 안성시는 전통성과 자연성을, 파주시는 특수성과 유토피아성이라는 문화정체성을 강조하고 있음이 파악되었다. 여기서 우리는 3개 지역 모두가 구성, 이미지, 텍스트라는 홍보콘텐츠 구성기호간의 유기성을 드러내지는 못했지만, 안성시의 경우에서는 두 채널이 표출하는 문화정체성의 일관성을 발견할 수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이와 같은 결과를 바탕으로 우리나라 지자체들이 지역 문화정체성 홍보의 중요성을 인식함은 물론, 홍보콘텐츠 커뮤니케이션 전략의 일관성은 물론 멀티채널의 통합적인 관리와 운영의 필요성을 인식할 수 있는 계기가 마련되기를 기대한다. Recently, Korean regions have begun to recognize the importance of local cultures because these can be core elements in the image of a region and can also be attractive points that will draw the attention of visitors and investors to a region. This study focused on the context in which Korean regions have utilized diverse PR communication media designed to promote their cultural identity. This study is therefore primarily a series of semiotic analyses of the symbols and design strategies employed in the PR content in cyber PR museums and brochures at Goyang, Ansung, and Paju. In this study, we concentrate on the cultural semiotic signification of design signs from construction dimension to image dimension and text dimension, as the PR communication strategies can convey any cultural values for regional branding. The results of these analyses can be found in the core cultural identity concept for three regions as follows: in the cyber PR museum, the strategies included the placing and satisfying of values for Goyang, the natural and traditional values for Ansung, and the visionary and dynamic values for Paju, while in the brochures, the communicative and supremacy values for Goyang, the traditional and natural values for Ansung, and the distinctive and euphoric values for Paju were found to be the strategies used. In this result, we discovered that the cases of these three cities could not arrive to connote the organic and coherent relation among three elements like construction, image, and text, but the case of Ansung revealed the consistency between two channels. This study expects to deliberate on the viable directions for designing PR content for a region through which cultural messages are delivered in a thoughtful and effective manner. The outcome could be an enhanced understanding of the nature and dynamic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region and culture and the methods of maximizing the role of city branding.

      • KCI등재

        지역상징동물연구

        천진기(Cheon Jin-Gi) 우리문학회 2011 우리文學硏究 Vol.0 No.32

        이 글은 2009년 현재 276개 지방자치단체를 대상으로 그 지역 상징 동물의 종류 및 지정 경위의 의미를 파악하는 데 있다. 특히 지역의 상징동물로 가장 많이 차지하는 새(비둘기, 까치 등)을 중심으로 동물기호와 상징이 어떤 문화적 변화를 겪고 있는지를 밝혀 보는 데 목적이 있다. 지방자체단체에서 그 지역을 대표하는 상징동물로 지정된 이유는 ① 일상적으로 친근한 동물, ② 천연기념물로 지정된 동물, ③ 지역에 많이 서식하거나 도래하는 하는 동물, ④ 지역 특산물과 관계된 동물, ⑤ 지역의 역사와 전통에 관련된 동물, ⑥ 지역 축제와 연관된 동물 등으로나눌 수 있다. 지역 상징동물의 종류는 총 46종으로 날짐승 28종, 뭍짐승 7종, 물짐승 10종 등 이다. 여기서 주목되는 것은 날짐승, 즉 조류가 지역을 대표하는 상징동물로서 대다수를 차지한다. 날짐승은 비둘기, 까치, 갈매기, 백로 등 28종으로 전체 상징동물의 91% 이상을 차지한다. 비둘기가 63개, 까치는 60개 지방자치단체에서 그 지역 상징동물로 지정하고 있다. 거의 50% 가까이가 비둘기와 까치이다. 그런데 이들 동물기호와 상징들이 최근 들어 급격한 변화양상을 보인다. 우리와 친근한 동물들도 상황과 여건에 따라 유해한 존재로 전락한다. '평화를 상징하는 친근한 새, 비둘기', '반가운 소식을 전하는 까치소리'가 이제는 천덕꾸러기가 되었다 이 글은 지방자치단체에서 그 지역을 상징하는 동물을 중심으로 현황을 살피고, 종류와 의미 등을 분석정리한 것이다. 상징동물 중 가장 많은 빈도를 차지하는 새를 중심으로 문화읽기를 시도했고, 특히 비둘기, 까치에 대한 최근 상황변화까지 추적해 보았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discover what cultural changes occur in preferences and symbols of animals centering on birds (doves, magpies, etc.) which are the most widely chosen as the regional symbolic animals. The study also intends to find out the types and meaning of the symbolic animals as well as the process of how they were selected in 276 regional local governments as of 2009. The reasons for the local government to select their symbolic animal are: ① familiar and ordinary, ② designated as a natural heritage, ③ inhabit in a large number or arrive to settle in the region, ④ related to the indigenous product, ⑤ related to the local history and tradition, ⑥ related to the regional festivals. The number of symbolic local animal types is total of 46 including 28 winged animals, 7 land animals, and 10 aquatic animals. Noteworthy here is that winged animals, in other words, birds are the most commonly selected to represent the region as the symbolic animal. The regional symbolic birds are total 28 species including doves, magpies, seagulls, white herons, and they are over 91% of the symbolic animals. Ducks, mandarin ducks, phoenixes, wild geese, cranes, white herons, peacocks, pheasants, magpies, crows, hawks, and eagles fly in to flowers and trees in singular, in pairs or in a flock. The birds do not simply flock to the tree but they have their own 'cultural grammar' to build the nest. To read the cultural grammar of the bird as the regional symbolic animal is to study what kind of bird fly into a culture in how many numbers and with what kind of flower or tree they match and what symbolic meaning do they have in what type of space. In 63 local governments, doves are chosen as their symbolic animal and magpies are picked in 60 local governments. Nearly 50% of the local government selected doves and magpies. However, these animal preferences and symbols seem to have changed drastically in recent times. Even the most familiar birds turn to harmful beings depending on the circumstance and the situation. Doves symbolizing peace and magpies known to bring good news are now viewed as pests. Focusing on the symbolic animals of the local government, the current state as well as the types and meanings of the regional symbolic animals are discussed. Among the symbolic animals, the reading of the cultural grammar of the most frequently appearing bird is attempted and the recent changes in the perception of doves and magpies are traced.

      • KCI등재

        호서지역 사대부가의 여성교육과 여성문인의 배출

        문희순 ( Hee Soon Moon ) 충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2 인문학연구 Vol.41 No.3

        이 연구는 호서지역에 기반을 둔 조선시대 여성교육의 내용과, 교육을 통하여 배출된 여성문인의 존재를 사적으로 연구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러한 주제로 호서지역이라는 한 공간 영역의 연구가 가능한 것은, 조선시대에 호서지역에서 배출된 여성 문인의 수와 작품의 양이 타 지역에 비하여 월등하다는 점이다. 호서지역 여성들의 문학 활동은 여타의 지역에 비해 꾸준한 지속과 변모를 확인할 수 있다. 작품의 전모를 확인할 수 있는 여성시인들이 적지 않게 존재하고 있는 것이다. 문집을 보유하였던 여성문인들만을 시기별로 살펴보아도 그 규모가 당당하다. 16세기 금임벽당(金林碧堂) 창령성씨(昌寧成氏), 16-17세기 이설봉(李雪峯), 17세기 이옥재(李玉齋), 18세기 금호연재(金浩然齋) 오청취당(吳淸翠堂) 신부용당(申芙蓉堂) 임윤지당(任允摯堂) 곽청창(郭晴窓), 19세기 강정일당(姜靜一堂) 기각(綺閣), 19-20세기 남정일헌(南貞一軒) 등이다. 이렇듯 호서지역 여성들의 면면한 문학 활동과 문집 발간 전통의 정신사는 어디에서 근원한 것인가? 필자는 그 현상의 기저에 다음과 같은 몇 가지 특징을 지적하고자 한다. 첫째, 호서여성들 자신의 삶에 대한 정체성 정립을 위한 철학적 성찰의 결과이다. 호서지역 여성들은 타고난 자질은 높되 조선이라는 시대 속에서 자신들이 일구어 낼 수 있는 일은 아무것도 없음을 한탄하였다. 그러나 그러한 현실에 좌절하면서도, 자신의 정체성과 인간 존재에 대한 철학적 탐구를 끊임없이 모색하고 시도하였다. 둘째, 기호성리학의 난숙 전개가 여성들의 학문적 사유에 동기부여 하였다. 위에 거론된 여성들은 모두 기호학파 자장 안에 있는 여성들이다. 친정이나 시가가 학맥으로 기호성리학의 노선을 추구하였다. 이는 자연스레 혼맥으로 이어지면서 사상적으로 더욱 확고하게 뿌리 내렸다. 그리고 남성들의 학문적 발전과 성취는 여성들의 학문적 사유에도 커다란 동기가 부여되었다. 셋째, 고양된 선비문화와 가문별 여성에 대한 존모의식의 전통이 있다. 호서지역 양반이 관직생활 도중 출처진퇴(出處進退)의 경계에 부딪쳤을 때, 지조 있는 선비의 길을 선택하도록 격려한 사람이 바로 어머니, 아내라는 이름의 여성들이었다. 참 군자의 도(道)를 추구하도록 가르쳤던 어머니(여성)에 대한 기억과 숭모의식은 여성에 대한 존중으로 확대되었다. 넷째, 자연 인문지리적 영향이다. 호서지역은 지리적으로 바다와 섬, 강과 산이 유려하게 펼쳐진 곳이다. 높지도 낮지도 않은 비산비야(非山非野)의 넉넉한 들녘. 사람들은 그곳에 깃들어 살면서 온유돈후한 충청도 사람의 성정(性情)과 인심을 만들어 내었다. 이러한 모든 요소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호서지역 여성문인 배출의 전통을 만들어 낸 것으로 파악된다. It is widely believed that women had little chance to get proper education in the age of old tradition, but women got education and had a strong desire to learn like men did that time, It could be confirmed that women who lived in Hoseo region relatively more maintained their literature`s continuity and accepted changes of it, when compared with women`s activities in other regions, And almost all literature works written by some of the women have been well preserved. Most of those women are as follows: Kim Lim Byeok Dang(金林碧堂) Changryeong Seong Si(昌寧成氏) in the 16th century, Lee Seol Bong(李雪峯) in the 16th-17th century, Lee Ok Jae(李玉齋) in the 17th century, and Kim Ho Yeon Jae(金浩然齋), Oh Cheong Chui Dang(吳淸翠堂), Sin Bu Yong Dang(申芙蓉堂), Lim Yun Ji Dang(任允摯堂), Gwak Cheong Chang(郭晴窓) in the 18th century, and Gang Jeong Il Dang(姜靜一堂), Gi Gak(綺閣) in the 19th century, and Nam Jeong Il Heon(南貞一軒) in the 19th-20th century. Where do such an active literature activity and the history of publications of their works come from? To answer it, I suggest some characteristics of it that is based on that history. Firstly, that is the result of philosophical activity to establish their identity for life. Recognized their talent, but they regretted that they could not develop such ability as they wanted in the traditional Joseon Dynasty. Nevertheless, however, they tried to continuously seek after philosophy for their identity and answer raison d`etre of human being. Secondly, the matured Giho Seonglihak contributed to promoting some motivation for such philosophical activity out of women. Women mentioned above were all under the atmosphere of Giho Seonglihak. It means that their native home and their husband`s family pursued together the Giho Seonglihak line, which naturally led to the solid connection between the two families through marriage, resulting in more establishment in their philosophy, In addition, academic development and achievements by men helped for women`s literature and philosophical development. Thirdly, they have the tradition of enhanced scholar culture and the trend of respect for women for each family. When the elite in Hoseo region had to decide to withdraw or keep their government post, their mother or wife encouraged them to right choice, meaning seeking after the teachings of Confucius. And that was generally a main element contributing to extending respect for women. Fourthly, the region`s nature and geography influenced women. Hoseo region is a beautiful place of sea, islands, rivers and mountains. In the fields and mountains of gentle slope, people developed their generosity and had an open hand for each other. In conclusion, I think all the elements through their interaction made it possible to produce the women literati and their philosophical tradition in the reg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