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기초학력 보장을 위한 정책 분석 연구: 국외 지원 사례 분석을 중심으로

        이예다나,손승현 한국학습장애학회 2022 학습장애연구 Vol.19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uggest the support system for improved basic proficiency by comparing the concept of Basic Learning Skills, related laws and policies on basic education of Korea and international cases. This study examined the policies and laws related with basic education support and compared support systems of international cases, including the U.S., Canada, Ireland, France, England and Finland. The results of analysis presented the diagnostic and evaluation methods of basic education proficiency, curriculum consideration and school support system based on the evaluation results. This study suggested the details of ways to support improved basic learning skills in policies, conceptual and perspective changes in basic learning skills, 3-tiered systematic and individualized support system, and empowerment of teacher competencies to support individual student’s needs. 본 연구는 기초학력 보장을 위한 정책 제도화 방안을 제안하기 위해 논문과 법령 등에서 제시하고 있는 기초학력의 개념과 관련 정책을 살펴보고 국외 지원 사례 분석을 통해 우리나라 기초학력 보장제도에 주는 시사점을 도출해 보고자 하였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기초학력 보장을 위한 국내에서 시행된 기초학력 관련 정책들을 살펴보고 국외 기초학력 보장 정책 및 주요 내용을 비교하기 위해 국외 사례로 미국, 캐나다, 아일랜드, 프랑스, 핀란드 영국의 사례를 살펴보았다. 국외의 사례 분석을 통하여 기초학력 관련 법령과 기초학력을 진단하고 평가하는 방안과 평가 결과에 기초하여 교육과정과 학교교육 내에서 기초학력을 지원하기 위한 방안을 분석하였다. 국내와 국외의 기초학력 보장 관련 정책을 분석한 결과를 기반으로 기초학력 보장에 대한 상세한 규정의 필요성, 기초학력 개념과 관점의 변화 필요성, 3단계 모델과 같은 중층적이며 체계적인 맞춤형 지원 실시의 필요성, 그리고 교사의 역량 강화의 필요성에 대한 제안점을 논의하였다.

      • KCI등재

        기초학력을 보장 받을 권리의 개념과 내용

        정순원 ( Jung Soon Won ) 대한교육법학회 2020 敎育 法學 硏究 Vol.32 No.1

        기초학력은 인간으로서의 존엄과 행복추구, 개인의 자아실현 및 인간으로서의 성장 및 발전을 목적으로 학습과 교육을 통해 길러야 할 기본적인 학습 역량이다. 또한 기초학력은 헌법이 보장하고 있는 언론의 자유, 직업선택의 자유, 선거권, 납세의 의무 등 다른 기본권과 의무를 이행하는데 필요한 최소한의 역량으로써 매우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 그런데 기초학력 미달학생 수의 지속적인 증가와 교육현장을 지원하고자 하는 교육정책들도 아직은 자리를 잡아가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며, 더욱이 헌법학과 교육법학에서 기초학력의 개념과 보장의 의미와 내용에 관한 연구와 논의도 부족한 현실이다. 이 연구는 헌법 및 교육법상 기초학력의 개념을 정의하고, 기초학력을 보장한다는 의미와 내용이 무엇이며, 이에 근거하여 최근 기초학력 보장을 위한 입법(안)들을 비판적으로 검토해 보고자 한다. 첫째, 기초학력의 개념은 고도의 전문성에 기반 한 교육학의 개념을 사용하되 교육을 받을 권리의 법적 성격에 따라 최소한의 보장을 범위로 정의하고자 하였다. 즉, 기초학력은 기본적이며 핵심적인 역량인 문해력(Literacy), 수리력, 심리·사회적 역량 등을 말한다. 둘째, 기초학력 보장의 헌법적 근거는 인격권, 인격성장권, 학습권과 교육을 받을 권리에 근거한다. 인격권과 인격성장권을 통해 한 인간이 인격체로 성장, 발전, 유지하며, 인격성장과 발전은 학습권을 통해 실현되며, 학습권은 읽고, 쓰고, 말하고, 듣는 등 기초학습활동을 통해 실현된다. 또한 「헌법」 제31조 제1항의 교육을 받을 권리는 개인의 자아실현과 인간으로 성장 발전하기 위해 능력과 적성에 따른 교육의 자유와 권리를 말하는데 핵심은 기초학력을 보장하는데 있다. 셋째, 헌법상 기초학력 보장의 내용은 능력과 적성에 따른 평등한 교육기회의 보장, 이에 필요한 교육환경조성의무의 이행, 교육수요자의 기초학력보장요구권 등이다. 즉, 학습자와 보호자는 기초학력을 진단받고, 학생의 능력에 맞는 기초학습기회 제공과 지원프로그램을 제공받고 이를 요구할 수 있는 권리가 보장되며, 국가와 지방자치단체는 교육의 내적 환경(진단 기준, 지원 프로그램 개발·보급 등)과 외적 환경(인적, 물적, 재정적 환경)을 마련해야 한다. 또한, 국가와 지방자치단체는 기초학력 보장을 위한 교육환경 조성에 대한 책무를 지며, 학교와 교사는 교육전문가로서의 책무성을 가진다. Basic learning ability is a basic skill to be nurtured through learning and educating to pursue the dignity and happiness, self-realization of individuals, and growth and development as a person. Besides, Basic learning ability has a very important meaning as the minimum capacity necessary to fulfill other basic rights and obligations, such as freedom of speech, labor rights, election rights, etc guaranteed by the Constitution. However, the number of undergraduate students is continuously increasing, and education policies have not yet been settled. Moreover, there is a lack of research and discussion on the meaning and content of the concept and guarantee of Basic learning ability in the Constitution and Education Law. This study focuses on how to define the concept of basic learning ability in the Constitution and Education Law, what it means to guarantee Basic learning ability, and what directions and contents should be included in the legislative proposals to guarantee it. Guaranteeing Basic learning ability in the Constitution and Education Law requires that learners be diagnosed with it, provide learning opportunities and education programs that are appropriate for students eligible for learning support, and national and local governments must prepare the internal and external environments for it. Students and their guardians are guaranteed the right to request Basic learning ability guarantees by fulfilling their obligations to create an educational environment, such as diagnostic tests for basic education, etc. The state and local governments are responsible for ensuring the Basic learning ability described above, and schools and teachers have accountability as education experts.

      • KCI등재

        중학교 기초학력 성취도 차이에 미치는 영향 요인 분석

        유미경,엄준용 한국교원교육학회 2016 한국교원교육연구 Vol.33 No.2

        본 연구는 중학교 기초학력 성취도 차이에 미치는 영향 요인을 밝혀내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서울 소재 중학교를 대상으로 국가수준 기초학력의 미달 비율이 높은 학교와 낮은 학교에서 기초학력 성취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학교활동 및 상황의 측면에서 실증적으로 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중학교 기초학력 개선을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주요 연구결과와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학교활동 요인의 국가수준학업성취도에 대한 영향력은 기초학력 미달 수준이 큰 학교나 작은 학교에서 매우 높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학교여건 요인인 여학생 비율, 학교폭력 피해 학생 수, 학생 1인당 교육비, 동아리 수, 졸업생 진로 현황이 기초학력 미달 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가정환경 요인은 기초학력 미달 비율에 다소 미약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교원 요인의 학업성취도에 대한 영향력은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교육청 요인인 교육청 프로그램 참가의 증가, 학급당 학생 수의 감소는 기초학력 미달 학생 수 감소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시사점을 토대로 향후 기초학력 미달 학생 수, 미달 비율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학교는 연도별 목표를 설정하고 주요 지표로 관리하며 맞춤식 교수․ 학습 방법을 개발하여야 한다. 또한 기초학력 지도가 국가 차원의 정책으로 개선되어야 하고, 연구 대상을 확대할 필요가 있다. First, the school activity-related factors such as the increase in the expectation for students’academic achievement, in the Extended learning opportunities, in the students' satisfaction have a impact positively on the NAEA in top 30 schools. Second, factors related to school climate such as the decrease in the rate of female students and the increase in the number of clubs influence positively on the rate of students’academic underachievement. these findings are consistent with those of Diane M. Monrad in 2007. Third, family-related factors such as the increase in the satisfactory home-school relations and the decrease in the number of parent's counsel have been found to have some influence positively on the NAEA. and it is so true especially in case of schools with the low rate of students’academic underachievement. Fourth, teacher-related factors such as the increase in the percentage of teachers on provisional contracts and the decrease in the student-teacher's lower expectation for student learning are proved to negatively affect the rate of students’academic achievement. Fifth, the Education Office-related factors such as the increase in the participation of Education Office programs and the decrease in the number of students to a class are turned out to influence the students’academic achievement.

      • KCI우수등재

        초·중학생 기초학력 미달의 종단적 변화 유형과 영향요인 분석

        김정아(Jeong-a Kim) 한국교육학회 2021 敎育學硏究 Vol.59 No.4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생과 중학생의 기초학력 미달이 종단적으로 변화하는 양상에 따라 잠재계층을 분류하고, 잠재계층 분류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교육종단연구2013』의 1차년도부터 5차년도 데이터를 활용하여 잠재계층성장분석(LCGA: latent class growth analysis)과 3단계 접근법(3-step approach) 분석을 실시하였다. 잠재계층 분류 결과, 초기에는 기초학력 미달이 아니었다가 학년이 올라감에 따라 기초학력 미달로 바뀌는 ‘기초학력 미달 전환형’, 지속적으로 기초학력 미달에 해당하는 ‘기초학력 미달 유지형’, 지속적으로 기초학력 미달이 아닌 상태인 ‘기초학력 미달 무관형’의 3가지 유형으로 구분되었다.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중학교 학생들의 학업성취수준 기초학력 미달 비율은 학년이 올라감에 따라 점점 증가하였다. 둘째, 학생들이 기초학력 미달로 전환되거나 기초학력 미달을 유지하는 데 있어, 학생의 성별, 학업 자아개념, 수업태도, 가정의 사회경제적 지위는 초등학교 5학년 때부터 중학교 3학년 때까지 지속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셋째, 학생의 진로성숙도가 높을수록 기초학력 미달 전환형이나 기초학력 미달 유지형에 포함될 확률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부모의 학업적 교육지원은 기초학력 미달 유지형으로 분류되는 데 있어 5개년 동안 지속적으로 영향을 미쳤다. 다섯째, 학생들은 중학교에 진학하게 되면 초등학교 때보다 학교의 영향을 더 많이 받는 경향을 보이는데, 교사가 개별화 수업방식을 많이 활용할수록, 교사의 성취압력과 열의가 높을수록, 학교폭력 경험이 적을수록 학생들이 기초학력 미달로 전환되거나 기초학력 미달을 유지할 확률은 낮아진다. 여섯째, 학생 수가 500명 이하인 소규모 중학교에 다니는 학생일수록 기초학력 미달 전환형과 기초학력 미달 유지형으로 분류될 확률이 높았다. 마지막으로 주요 연구결과를 중심으로 기초학력 미달을 방지하기 위한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the latent classes depending on longitudinal changes in the below-basic academic proficiency levels of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students as well as to test the determinants of the classes. The data for this study was drawn from the Korean Education Longitudinal Study 2013 of the Korean Educational Development Institute and latent class growth analysis (LCGA) and the 3-step approach were employed as the analytic method. The results presented that students were classified into three latent classes: ‘Transition to Below-Basic’, ‘Maintenance of Below-Basic’, and ‘Irrelevance with Below-Basic’. The main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 percentage of students performing below-basic gradually increased. Second, students’ gender, academic self-concept, attitude in class, and family’s socio-economic status continuously and significantly influenced the possibility of being in the ‘Transition to Below-Basic’ or ‘Maintenance of Below-Basic’ groups from fifth grade to ninth grade. Third, the higher the student’s career maturity, the more likely they were to belong to these groups. Fourth, parents’ academic support for their children positively affected the possibility of being part of the ‘Irrelevance with Below-Basic’ group during the five years. Fifth, students tend to be influenced by school more in middle school than in elementary school. The more individualized the instruction the teacher utilized, the higher their achievement pressure and enthusiasm; additionally, students experiencing lower levels of school violence were less likely to belong to the ‘Transition to Below-Basic’ or ‘Maintenance of Below-Basic’ groups. Lastly, students who attend small middle schools were more prone to belong to the ‘Transition to Below-Basic’ or ‘Maintenance of Below-Basic’ groups. Based on these major research results, the policy implications for preventing below-basic academic proficiency were considered.

      • KCI등재

        2016~2018년도 초등학교용 기초학력 진단검사에 나타난 기초미달 패턴 및 교과 간 기초학력 도달 관계 탐색

        김선(Sun Kim),반재천(Jae-Chun Ban),김수진(Su-Jin Kim),이재성(Jaesung Lee) 한국교육평가학회 2020 교육평가연구 Vol.33 No.1

        본 연구의 목적은 2016~2018년 초등학교 기초학력 진단검사(이하 진단검사) 5개 교과(국어, 사회, 수학, 과학, 영어)간 가능한 모든 조합에서 기초미달률을 구하고, 각 교과의 기초미달자 중 다른 교과에서의 기초미달률을 구하고, 교과 간 기초학력 도달 관계를 탐색하는데 있다. 대상 학년은 초등학교 4~6학년이다. 대상 학생 수는 학년별로 5,073~5,463명 정도였다. 연구결과 첫째, 3년 자료를 분석했을 때 5개 교과 응사자 중 기초학력 미달 교과가 1개 이상인 학생은 16.19%였다. 두 개 교과를 미달한 경우, 수학과 과학을 동시에 미달한 경우가 많았다. 단일 교과 중 미달률이 가장 높은 교과는 과학이었고, 다음으로 수학이었다. 둘째, 4학년은 국어나 과학, 5학년은 사회나 영어, 6학년은 국어 기초학력에 미달한 학생 중 다른 교과에서도 기초학력에 미달한 학생이 50%이상인 경우가 많았다. 셋째, 국어, 사회, 과학 교과에서 기초학력에 도달하면 다른 교과의 기초학력에 도달할 승산이 높았다. 수학과 과학상호 간 한 교과에서 도달하면 다른 교과에서도 기초학력에 도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analyze the proportions of below basic levels(BBL) on the 2016~2018 Diagnostic Tests of Basic Skills (DTBS) in 5 subject areas (Korean, Social Science, Math, Science, and English), to explore the proportions of BBL students who also in BBL on the other subjects, and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s among students’ achievements in the subject areas. DTBS was administered in the early of March each year to the students in grade 4 to grade 6 in Korea. The numbers of students sampled with the stratified cluster sampling method were 5,073~5,463 from year 2016 to year 2018. The results showed that firstly the proportions of students who were in BBL at least in one subject were 16.19%. The BBL proportion of the combination of Math and Science was the highest than any other combinations of two subjects. Secondly, among the BBL students in Korean or Science in grade 4, in Social Science or English in grade 5, and in Korean in grade 6, more than 50% of them tended to be in BBL on other subjects. Thirdly, when students were above the BBL on Korean, Social Science, or Science, they were more likely being above the BBL on other subjects.

      • KCI등재

        기초학력부진학생 지도의 실태, 문제점, 개선방안에 관한 초등교사들의 인식 조사

        이명학,이대식 한국교원교육학회 2005 한국교원교육연구 Vol.22 No.1

        본 연구에서는 경기, 인천, 그리고 충청 지역에서 기초학력부진학생을 담당하고 있는 458명의 초등교사들을 대상으로, 기초학력부진학생의 지도실태와 문제점, 개선방안에 관한 다양한 의견들을 알아보았다. 조사 결과, 기초학력부진학생의 지도는 담임교사에 의한 방과 후 특별지도 방법이 가장 많았으며, 특별지도를 위한 학급편성은 개인의 수준차를 고려하여 교과별, 학년별 특성을 고려하여 이루어지고 있었다. 보통, 2~4명의 소규모 집단 단위로 지도가 이루어지고 있었고, 지도시간은 1회 1시간 이내, 주2회가 가장 일반적이었다. 기초학력부진학생 지도의 어려움으로는 교사의 지도시간 확보 곤란, 다인수 과밀학급으로 인한 어려움 등 제도적인 여건들이 주로 거론된 반면, 교사와 학부모, 학생간의 인적 조건들에 의한 어려움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기초학력부진학생의 지도방안에 대해서는 필요성, 실현가능성, 현재의 실행정도 등으로 나누어 조사해본 결과, 모두 현재의 실행 정도보다는 실현 가능성을, 그리고 실현 가능성보다는 필요성을 더 높게 인식하고 있었다. 기초학력부진학생 지도를 개선하기 위한 제안 사항으로 교사들은 역시 과밀학급 해소나 교사의 업무 경감과 같은 제도나 여건에 관련된 사항을 우선적으로 지적했지만, 그 실현 가능성은 매우 낮은 것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기초학력부진학생 지도를 위해 흔히 제안되어 온 교재 개발 및 교사연수와 함께, 담당 교사들에 대한 적극적인 지원과 보상이 병행되어야 함을 시사한다.

      • KCI등재

        기초학력 담론에서 국어 교육의 역할과 과제

        이경남 ( Lee Gyoeng Nam ) 한국초등국어교육학회 2021 한국초등국어교육 Vol.72 No.-

        이 연구 목적은 기초학력의 담론을 고찰하고 기초학력 담론과 관련된 국어 교육의 역할과 과제를 제안하는 것에 있다. 이를 위해 먼저 기초학력 담론의 특징을 검토했다. 기초학력 담론으로 먼저 학교 교육의 원활한 수행과 일상생활을 영위하는 데 필요한 범교과적인 기초 능력을 강조하는 담론, 다른 하나는 각 교과의 성취기준의 일정 기초수준에 해당하는 능력을 강조한다. 두 담론과 관련된 쟁점으로는 공교육이 기초학력을 보장해야 하는 이유, 기초학력의 내용, 기초학력의 시대적 민감성에 대한 쟁점이 있다. 이 쟁점을 바탕으로 기초학력의 내용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국어 교육의 역할과 과제를 모색했다. 기초학력에서 다루는 읽기와 쓰기 능력은 언어 교육의 고전적 접근, 공리주의적 접근에만 한정되어 있었는데, 이를 벗어나 언어적 사고 능력을 신장할 수 있도록 관점의 변화가 필요하다. 그리고 이와 관련된 국어 교육의 과제로 언어 발달의 실제적 특성 분석 연구, 국어 교육의 정체성을 반영한 기초학력 정책 추진, 독서 교육과 연계된 기초학력 정책 추진, 국어 교육의 영역 통합적 성격의 반영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discourse of basic academic ability and to suggest the role and task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related to the discourse of basic academic ability. To this e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discourse on basic academic ability were first reviewed. As a discourse on basic academic ability, first, the discourse emphasizing the basic competencies required for the smooth performance of school education and daily life, and the other discourse emphasizing the ability corresponding to a certain basic level corresponding to the achievement standards of each subject. The issues related to the two discourses include the reason why public education should guarantee basic academic ability, the content of basic academic ability, and the sensitivity of basic academic ability to the times. Based on this issue, the role and tasks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closely related to the content of basic academic ability were explored. Reading and writing skills dealt with in basic education were limited only to the classical and utilitarian approaches of language education. In addition, as the related tasks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analysis of practical characteristics of language development, promotion of basic academic ability policy reflecting the identity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promotion of basic academic ability policy linked to reading education, and reflection of the integrative nature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were presented.

      • KCI등재

        기초학력 지원을 위한 초등 학습자의 어휘 교육 방안

        김지영 ( Kim Ji Yeong ) 한국초등국어교육학회 2021 한국초등국어교육 Vol.72 No.-

        이 연구는 기초학력과 어휘력의 관계를 탐색하고, 기초학력을 지원할 수 있는 초등학습자의 어휘 교육 방안을 제시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이 연구에서는 기초학력을 ‘교과 학습을 지속하는 데 필요한 학습 능력’으로, 기초학력 지원을 ‘학습자의 기초학력 보장을 위해 제공하는 도움’으로 정의하였다. 기초학력 지원은 ‘진단 및 선발’ 차원, ‘처치 및 지도’ 차원, 그리고 ‘예방’ 차원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 어휘력은 기초학력을 이루는 요인 중 하나로, 특히 기초학력의 주요 구인인 읽기 능력은 어휘력과 밀접한 관련을 맺고 있어 어휘력을 신장시키는 일은 기초학력 향상을 돕는 것이라 볼 수 있다. 한편, 어휘 학습에 어려움을 겪는 학습자에 대한 이해는 기초학력 지원을 위한 어휘 교육의 목표, 내용, 방법을 결정하는 데 의미 있는 정보가 될 수 있음을 논의하였다. 또한, 기초학력 지원을 위한 어휘 교육의 맥락을 세 가지로 분석하여, ‘담임교사 및 협력교사의 수업 내 지원’, ‘협력교사의 수업 외 지원’, ‘환경조성 및 일상적 지원’의 맥락에서 실행할 수 있는 어휘 교육 방안을 제시하였다. 이 연구에서 제안한 어휘 교육 방안은 초등학교 기초학력의 제도적 지원 현실에 부합된 실효성 높은 방안을 실행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되어, 어휘력 부족으로 인한 학력 저하를 예방하는 데 기여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is study describes the relationship between basic academic skills and vocabulary ability, and proposes vocabulary education methods for elementary learners to support basic academic skills. The basic academic skills can be seen as “the ability to continue learning,” and the supporting of basic academic skills can be seen as “help to guarantee basic academic background of learners.” Vocabulary is one of the factors that constitute basic academic skills, especially reading comprehension which is closely related to vocabulary. On the other hand, it is discussed that it could be meaningful information for understanding of learners who are in difficulty to learn vocabulary. The vocabulary education methods can be implemented in the context of “in-class support for homeroom teachers and cooperative teachers”, “out-of-class support” and “environmental support”. The vocabulary education plan proposed in this study is expected to play an important role in implementing effective measures consistent with the basic academic background system of elementary schools.

      • KCI등재

        일반계 고등학교의 기초학력미달 변화에 따른 학교유형 분류 및 종단적 변화

        권재기 한국교육평가학회 2013 교육평가연구 Vol.26 No.5

        학교교육에서 발생하는 기초학력미달은 학생의 학업 부적응을 초래하고 누적될수록 인지적·심리적인 손상을 입게 된다. 동시에 이 쟁점은 개인의 문제를 넘어 학교 및 국가차원에서도 큰 손실이 아닐 수 없다. 국가 및 시도차원·학교차원·교육계에서는 학생들의 기초학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여러가지 정책과 지원을 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기초학력미달을 핵심 주제로 삼고, 전국의 일반계 고등학교(1,432개)를 대상으로 기초학력미달의 변화를 탐색하여 학교 유형을 분류·예측하고, 다양한 변인을 종단적으로 살펴보았다. 이를 통하여 일차적으로는 학교의 교육력을 강화할 수 있는 방안을 탐색하고, 나아가 기초학력 미달을 감소시키기 위한 적합한 정책적 지원방안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분석자료는 한국교육과정평가원의 2010년∼2012년 국가수준학업성취도 평가결과 자료를 활용하였다. 기초학력미달의 변화양상에 따라 탐색된 학교 유형은 ‘기초학력미달 감소 학교’, ‘기초학력미달 정체 학교’, ‘기초학력미달 제로 학교’와 같이 세 가지 유형이 도출되었다. 밝혀진 학교 유형별 배경변인을 예측한 결과, 기초학력미달 제로 학교는 지역이 시도이고 사립학교일 때, 학교의 총교사수가 많고, 석사학위교사수가 많은 특성이 있었다. 기초학력미달 감소 학교는 서울지역이고, 남학교이거나 남녀공학 학교일 때, 학생 중에서 기초생활수급대상자수가 많고, 초임교사수가 많은 특성이 있었다. 기초학력미달 정체 학교의 특성은 서울지역이고, 사립학교이면서 남학교이고, 기초생활수급대상자수가 많았다. 학교 유형별 학교의 교육과정 편성·운영, 학교의 심리적 환경에 대한 3년간 변화양상을 살펴본 결과, 특정적인 점은 기초학력미달 제로 학교가 거의 모든 면에서 초기치와 변화율이 가장 높고 지속적으로 증가하였고, 기초학력미달 감소 학교와 기초학력미달 정체학교는 초기치와 변화율은 시점별로 서로 낮았다가 높았다를 반복하는 양상을 보였다는 점이다. This study explores underachievement students in general high schools nationwide (1, 432 schools) and classifies and predicts school types depending on it and then finds various factors longitudinally depending on school types. This paper uses results from nationwide academic achievement evaluation for 2010~2012 published by Korea Institute of Curriculum & Evaluation. From explored school types depending on changes in underachievementm this paper has drawn up 3 types such as 'School with decreased underachievement', 'School with unchanging underachievement' and 'School with zero underachievement'. And from the results to predict background factors for each school type, 'School with zero underachievement' was mostly those schools which are located at cities and local provinces (Do) and whose total number of teachers is high and the number master's degrees in teachers is high. 'School with decreased underachievement' are mostly those schools whose locations are Seoul and their students are male, or both male and female, and theres are lots of students supported by National Basic Living Security Act and lots of beginner teachers. 'School with unchanging underachievement' are mostly those schools whose locations are Seoul and their school type is private school and students are male with high rate of aid from National Basic Living Security Act. After this paper checked 3 year's changing trends for curriculum·operation from each school type, psychological environment, it's proved that 'School with zero underachievement' showed the highest intial value and changing rate for almost all aspects and continuous increase whereas 'School with decreased underachievement' and 'School with unchanging underachievement' showed chat their initial value and changing rate are rising and descending repeatedl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