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기억의 서사로 읽은 <숙향전>의 의미-반복 서술되는 고난의 의미 변화를 중심으로

        김지혜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2016 민족문화논총 Vol.63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rify the currently meaning of narrative techniques which is described repeatedly in <Sookhyangjeon>. For that, In this study, meanings of suffering described repeatedly in <Sookhyangjeon> are clarified three layers. And the changed meaning of suffering is related with the memories of Sookhyang who is female protagonist in <Sookhyangjeon>. In war situation, Sookhyang is captured the memories of suffering and fell into oblivion her identity of sky world fairy in the past. But the memories which Sookhyang undergone are shared with people around and Sookhyang recovered her identity of fairy. After that, Sookhyang shared memories of suffering with spouse, father. And through this experience, Sookhyang escaped the memories she was discarded lonely and reached the memories she was not only and many life helped her finally. That is, the memories of death are changed into the memories of life. Re-enactmen which is done by spouse, father enables to make transformation of the narrative epoch-making. Sookhyang's spouse and father experienced the suffering Sookhyang had gone. The repeat description is related in sharing of memories with helper, spouse, father. And through repeat description classic novel <Sookhyangjeon> expressed the process of sharing memories. Sharing Sookhyang's suffering memories with another people enables to change the memories' meaning. In last chapter, the meaning of sharing Sookhyang's suffering memories with another people is connected with the step of trauma healing. I hope <Sookhyangjeon> is not only the past best seller but also the 'hope' in present. 본 연구의 목적은 <숙향전>에서 여성 주인공 숙향의 고난이 반복 서술되는 서사 기법이 갖는 현재적 의미가 무엇인지 밝히는 데 있다. 이를 위해 <숙향전>에서 반복 서술되는 고난의 의미를 세 가지 층위로 나누어 파악하고, 고난의 의미가 변화하는 것을 숙향이 고난을 기억하는 문제와 연결 지어 논의하였다. 전쟁 상황에서 부모를 잃고 떠돌던 숙향은 고난의 기억에 사로잡혀 과거 자신이 천상계의 선녀였다는 것을 망각한 상태로 살아갔다. 하지만 숙향이 겪은 고난의 기억을 주변 사람들과 나누어 가지며, 버림받은 아이가 아니라 선녀라는 자신의 정체성을 회복하게 되었다. 숙향은 고난의 기억을 마고할미, 배우자 이선, 아버지 김전과 차례로 나누어 가지는 단계를 거치면서 홀로 버려졌다는 죽음의 기억에서 혼자가 아니라 자신을 돌봐주는 많은 생명들이 있었다고 기억하는 데까지 이르게 되었다. 그리고 고난의 삶을 피하기 위해, 수도 없이 자살을 시도했던 숙향의 죽음의 기억이 숙향은 물론 숙향을 도왔던 생명체들을 살리는 생명의 기억으로 전환되었다. 이렇게 획기적인 서사의 변혁은 배우자 이선과 아버지 김전이 숙향이 걸었던 고난의 길을 되짚어 가며 체험해 보는 것으로써 가능하였으며, 이 과정에서 숙향의 고난이 반복 서술되는 서사전략이 사용되었다. 즉, <숙향전>에서 숙향의 고난이 반복 서술되는 것은 마고할미, 이선과 김전이 숙향의 기억을 나누어 가지는[分有] 과정으로 보았으며, 숙향의 기억 전환은 여러 사람과 기억을 나누어 가지는 경험을 통해서 이루어졌다. 이후 숙향이 기억을 나누어 가지는 것의 의미를 트라우마 치유 단계와 관련지어봄으로써 <숙향전>에 나타난 치유의 의미가 현재적으로 어떤 의미를 갖는지 논의해보았다. 본고에서 발견한 <숙향전>의 의미를 통해 <숙향전>이 과거 시간에 향유되었던 일시적인 고전이 아니라 현재에도 살아 숨 쉬는 고전으로 조명받기를 기대한다.

      • KCI등재

        『관촌수필』을 구성하는 기억과 망탈리테

        송호영 ( Song Ho-young ) 동국대학교 한국문학연구소 2020 한국문학연구 Vol.0 No.62

        이 논문의 목적은 이문구의 연작소설 『관촌수필』이 내장한 망탈리테의 성격을 규명하는 데 있다. 소설은 서술화자의 기억이 주조를 이루므로 무엇보다 기억이란 무엇인지 살피고, 공시적 망탈리테가 기억에 미치는 영향을 『관촌수필』의 서술화자 ‘나’의 기억을 추적하며 탐색한다. 베르그손은 『물질과 기억』에서 기억의 역동적 본성을 기억이미지와 지각이미지의 결합으로 해명한 바 있다. 그에 의하면 기억이란, 정신의 삶이 전개되는 시간 속에서 과거 전체를 보존 했다가 현재의 순간으로 연장하여, 적절하게 활용하는 정신의 운동성이라 풀어 말한다. 기억의 존재의미를 현재의 필요에 의해 적절히 변용·왜곡되어 회상하는 이미지로 개념화 한다면, 『관촌수필』의 서술화자 ‘나’가 재생하는 할아버지와 아버지의 이미지도 현재의 실용적 요구에 의해 선택적으로 변용되어 기술되었으리라는 합리적 추론이 가능하다. 『관촌수필』에 의해 재구성된 기억은 무엇을 의미하는가. 이 글은 20세기 중반 근 현대 질서를 형성하며 지배담론으로 자리 잡은 ‘존재론적 개인’에 대한 관념을 신 구세대의 망탈리테로 구분해 탐색하며, 에피스테메 변곡점에서 상호의존적으로 슬기롭게 대처하는 선조의 지혜를 밝힌다. 두 세대가 내장한 ‘존재론적 개인’에 대한 관념의 차이는 구세대에서 신세대로 나아가며 분화되는 망탈리테를 확인하는 계기가 된다. 그런데 기억이 변용된 이미지라면 ‘나’가 구성한 할아버지와 아버지의 망탈리테를 어떻게 해석해야 할까. ‘나’의 기억은 무의식적으로 의도된 산물은 아닐까. ‘나’는 왜 그들을 『관촌수필』에서 그렇게 형상화 했는가라는 의문은 자연스럽다. 필자는 그 원인의 일단을 1970년대가 지배하는 시대정신과 망탈리테에 비추어 살펴본다. 1970년대를 구성하는 문학과 사회의 관계성을 『창작과 비평』의 리얼리즘적 경향성으로 조망한다면, 이문구와 『창비』의 민중문학 지향이 『관촌수필』에 구현되었으리라는 짐작은 대체로 맞아 보인다. 1970년대의 이문구와 『창비』에게는 1970년대의 망탈리테를 1950년대의 망탈리테로 기입하며, 1970년대의 민중문학 이데올로기를 자연스럽게 전승된 전통으로 되살리려는 시도가 엿보이는 데, 이 논문은 이에 대한 증명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defining the character of mentalite included in Lee Mun-gu's series novel Gwanchonsupil. Since the novel is mainly comprised of the memories of narrator, this study will look into the definition of memory and explore the effects of synchronic mentalite by tracing the memories of the narrator in Gwanchonsupil. Henri Bergson explained the dynamic essence of memory as the combination of memory image and perception image in Material and Memory. He stated that memory is motility of mind used adequately by preserving entire past and extending it into present moment in the time when life of mind is unfolded. When ontological meaning of memory is conceptualized into recollected image by adequate transformation and distortion based on necessity of the present, the reasonable deduction that images of grandfather and father played by the narrator of Gwanchonsupil must have been described after selective transformation based on practical demand of the present becomes possible. What does the memory reorganized by Gwanchonsupil imply? This study explores the concept toward ‘ontological individual’, which has become a dominant discourse after forming modern and contemporary order in the mid-20th century, by dividing it into mentalite of the new generation and the old generation and identifies the wisdom of ancestors who responded wisely and interdependently at episteme inflection point. The difference in the concept toward ‘ontological individual’ inherent in the two generations becomes an occasion of identifying mentalite which is divided upon shifting from the old generation to the new generation. If it were for image with transformed memory, how should mentalite of grandfather and father organized by the narrator be interpreted? Isn't memory of the narrator an unconsciously intended product? It is natural to question why the narrator embodied them in such a way in Gwanchonsupil. This study examines a part of the cause by reflecting on mindset and mentalite dominant in the 1970s. When looking at the relationship between literature and the society of the 1970s from the realism tendency of Creation and Criticism, the assumption that public literature orientedness by Lee Mun-gu and Changbi was materialized in Gwanchonsupil seems mostly true. Lee Mun-gu and Changbi of the 1970s attempted to revive the 1970s public literature ideology as naturally succeeded tradition by recording the 1970s mentalite as the 1950s mentalite.

      • KCI등재

        박인환 시의 양면적 의미와 기억

        지주현 ( Ju Hyun Jee ) 현대문학이론학회 2012 現代文學理論硏究 Vol.0 No.48

        본고는 한국 전쟁을 둘러싼 배경 하에서 과거에 대한 기억의 비중이 높아진 시적 맥락을 먼저 확인한 뒤, 박인환 시세계에 나타나는 기억의 의의와 형상화 방식에 대하여 고찰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이 시세계에서의 기억은 사실적인 재현을 목표로 하거나 파편적 상황들을 접속시켜 재구성 혹은 해체하는 방식으로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그런데 이 두 가지 기억의 양상은 시세계를 대표하는 양면의 시의식과도 불가분의 관계에 놓인다. 즉 전자가 현실 인식 및 전후의 역사적 맥락을 효과적으로 드러내는 데 기여한다면, 후자는 상처입은 실존들의 참혹한 내면을 보여준다. 먼저 사실적 재현으로서의 기억은 열강에 의한 식민지 체험을 피할 수 없었던 동남아 국가들의 수난사에 관한 시편들에서 잘 나타난다. 또한 한국 전쟁 당시 전장에서의 체험이 생생하게 증언된 일련의 시편들과 당시 추종할 만한 현실적 모델이었던 아메리카를 둘러싼 상당수 기행 시편들에서도 이와 같은 기억의 모습을 찾아볼 수 있다. 한편 파편적 상황들의 재구성과 관련된 기억은 장면들 사이의 비논리적인 접속 및 해체에 의해 형상화된다. 이 경우의 기억은 황폐화된 이미지를 강조하면서 관념이나 추상의 방향으로 흐르기도 하고, 그로테스크한 풍경이 전경화되는 가운데 백일몽의 세계로 나아가기도 한다. 이에 더하여 힘든 현실 상황에 대한 체념 및 포기가 회상의 양상을 띠면서 나타나는 모습도 확인된다. 결론적으로 전쟁이라는 공허한 현실에 대한 대치물로 선택된 두 가지 상이한 기억의 양상들은 현실 인식 및 모더니즘 실현이라는 양면의 시의식을 표상하고 있다. 그리고 이를 통하여 양자가 공존할 수밖에 없었던 시대적 상황의 절실함과 무력감을 실감하게 한다. 이 시세계에서 드러나는 양면의 기억은 기억 자체의 특성을 드러내면서 대비적인 시의식을 효과적으로 형상화하는 데 기여하고 있다. This study attempts to contemplate the meaning and embodiment of the memory presented in the poems of Park In-hwan, after looking into the poetic context where memory takes more significance based on Korean War. The result shows that memory in this poetic world is shown as reconstruction or decomposition by either aiming to recreate them in a realistic way or connecting fragmented situations. However, these two aspects of memory are also inseparable from dual poetic awareness. In other words, while the former contributes to efficiently revealing awareness of the reality and post-war historical context, the latter shows the distressing inside of the wounded beings. First, memory as realistic recreation is well presented in poems on the hardships of South East Asian countries that could not avoid colonialism by powerful countries. Also, this is shown in poems that vividly tell us about the experience in the battlefield during Korean War and travel poems about the US, which was a role model for the country to follow. Meanwhile, memories related to reconstruction of fragmented situations are embodied by illogical connection and deconstruction of scenes. In this case, memory flows in the direction of concept or abstraction, or moves to the world of daydream in the grotesque background. In addition, abandonment and resignation of the difficult reality appears as recollection. In conclusion, the two different phases of memory, chosen as substitution for reality destructed by war, represents dual poetic awareness, that is, awareness of reality and embodiment of modernism. And, this shows the desperation and powerlessness of the era when the two subject inevitably coexisted. The dual memory shown in this poetic world reveals the nature of memory and efficiently embodies the contrasting poetic awareness.

      • KCI등재

        미황사 군고패에 대한 공동체의 기억과 그 재현양상

        이경엽 비교민속학회 2019 비교민속학 Vol.0 No.68

        기억과 기억의 재현은 민속 전승의 큰 흐름과 맥락을 보여준다. 민속문화는 공동체가 기억을 공유하고 그 기억을 해석 또는 재해석하는 과정에서 지속되고 새로워진다. 전남 남해안에는 19세기 후반에 섬지역에 걸립을 다니다가 수몰되었다는 미황사 군고패 이야기가 폭넓게 전한다. 절걸립패 활동이 남해안 농악 전승의 주요 배경이라는 점에서 미황사 군고패에 대한 기억과 그 해석 과정을 각별하게 주목할 필요가 있다. 미황사 군고패에 대한 기억과 기억의 재현 방식은 다층적이다. 설화로만 전승되는 것이 아니라 마을 공동체의 제의 속에 수용돼 있고, 매년 수행되는 풍물 연행을 통해 의례적으로 재현되고 있다. 연례적인 마을축제를 통해 사회적 기억이 지속되고 확장되고 있음을 보여준다. 또한 해남 군고보존회의 실천적인 활동에서는 재해석과 기획 과정이 부각된다. 이 사례는 수행 주체의 기획 속에서 민속 전승의 좌표가 입체적으로 재구성되는 것을 보여준다. 그리고 그 실천 속에서 지평이 확장되거나 다양해질 수 있음을 보여준다는 점에서 색다른 의미가 있다. Memory and reinterpretation of memory display a large flow and context of folklore transmission. Folk culture is continued and renewed through the process of sharing memories in a community and the process of interpreting and reinterpreting memories. In the southern part of Jeonnam, there is a widespread story of Mihwangsa Gungopae who were drowned while they were performing gullip in the island regions in the last 19th century. The fact that temple gullip troupe is the main background of nongak transmission of the southern coast necessitates a special attention to the memory of Mihwangsa Gungopae and the process of interpretation. The memory about Mihwangsa Gungopae and the methods of reviving the memory are multi-layered. Mihwangsa Gungopae is not just transmitted as a tale, but it is accepted in the ritual of village community, and it is ritually revived through nongak performance annually. The memory is continued and expanded through the annual performance. In addition, in the practical activity of Haenam Gungo preservation society, the process of reinterpretation and planning stands out. This case show how the coordinate of folklore transmission is reconstructed in multi-dimension in the interpretation and planning of the performing agents. It also shows folklore performance is not only repeatedly performed in a simple manner, but also it can be expanded or differentiated in the process of interpreting and reinterpreting the memory, allowing it to create and diversify.

      • 자전적 기억의 특성 분석과 적용 가능성의 탐색

        진영선(Jin, Young-Sun),김영경(Kim, Young-Kyoung) 경북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 2010 사회과학 담론과 정책 Vol.3 No.2

        개인사에 관한 기억인 자전적 기억(autobiographical memory)에 대한 연구는 그 정보 처리적 특성을 이해하기 위한 인지심리학적 연구 주제로서 뿐만 아니라 자아를 중심으로 하는 재구성적 특성으로 인해 성격 및 발달적 연구 주제이기도 하다. 또한 우울이 있는 경우 나타나는 인출 결함을 통해 임상적 측면에서도 중요한 정보를 제공하고, 상담에서도 내담자를 보다 잘 이해할 수 있는 정보를 끌어내는 연구 주제임에도 불구하고 자전적 기억에 대한 연구는 전반적으로 부진한 상황이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자전적 기억의 구성 요소, 재구성적 특성, 위계적 구조, 발달 과정, 측정 방법, 회상 양식, 연령차, 인지신경과학 측면에 대해 고찰함으로써 자전적 기억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자 하였다. 또한 이를 바탕으로 하여 자전적 기억의 실제적인 적용으로서 노인 자서전 쓰기와 우울검사 도구 개발에 대해 제의하였다. 이와 같은 고찰과 제의가 자전적 기억에 대한 연구를 활성화시키고 실용화되는 데 도움이 되기를 기대한다. Autobiographical memory is a valuable human faculty which provides us not only the insights about how we process incoming knowledge but also a variety of applications in developmental, social, counseling and clinical areas of psychology. Nevertheless, the research for autobiographical memory has been very scarce and limited in its scope and there were few attempts to capitalize on research findings in practical settings. In first part of this paper, we tried to analyze the multi-faceted concept of autobiographical memory and to provide a synopsis of the research findings that are relevant for our discussion. More specifically, we have looked at the nature and structure of autobiographical memory, it"s accuracy and measurement methods, the course of change along on the axis of age, age-related changes in the aspect of retrieval and finally the search for its neural origin. In the second part, we introduced two areas of application. The memoir writing program has shown that participating in this type of activity will not only help boosting the self efficacy of the elderly people in their cognitive ability but also encourage them to establish a better communication network with others. It has been also confirmed that autobiographical memory of depressed people shows a sign of overgeneralization in their retrieval performance which can be used as a diagnostic measure in clinical setting.

      • KCI등재

        테크놀로지로 재현된 트라우마와 기억: 미셸 판데르아의 오페라 ≪기억의 재구성≫에 나타난 구성 및 연출전략

        원유선 연세대학교 음악연구소 2022 음악이론포럼 Vol.29 No.1

        미셸 판데르아(Michel van der Aa, 1970-)의 오페라 ≪기억의 재구성≫(Blank Out, 2015-2016) 은 디지털 테크놀로지로 다변화되는 21세기 동시대 오페라를 이해할 수 있는 중요한 단초를 제공 한다. 2016년 초연된 이 작품에서는 가족의 익사를 목격한 주인공의 트라우마를 집요하게 추적하면서 무의식에 침투한 상실의 감정을 정교한 테크놀로지로 구현하는 시도가 나타난다. 그러나 이 작품에서 주목할 점은 결코 관객의 시각을 현혹하는 화려한 기술이 아니다. 오히려 이 작품은 첨단의 테크놀로지를 매개로 가족을 잃은 등장인물의 심리적 외상을 심층적으로 표현하고 있다. 본고에서는 오페라 ≪기억의 재구성≫에서 동시대의 진보된 테크놀로지를 활용하여 ‘트라우마와 기억’이라는 주제를 재현하는 독특한 내러티브 구조와 연출방식에 주목한다. 본 연구는 인물의 복잡한 심리에 탐닉하는 판데르아의 작품세계와 더불어 기술의 확산에 따라 동시대 공연예술 및 오페라에 나타난 변화를 짚어보는 것으로 출발한다. 이후 주인공이 겪는 트라우마 심리에 조응하는 순환적 구성을 조명하고, 무대와 스크린을 활용하여 실재와 가상, 기억과 현실, 영화와 오페라의 경계를 가로지르며 작품의 모티브를 형상화하는 연출 방식을 분석한다. 이를 통해 본 연구는 다양한 미디어를 활용하면서도 기술에 함몰되지 않고 전통 오페라에서 표현하기 어려웠던 심리적 주제를 구현해내는 동시대 오페라의 극적인 상상력을 탐색해본다.

      • KCI등재

        영도 일산배기마을 사람들의 조내기고구마 생산경험과 기억의 재구성

        차철욱(Cha, Chul-Wook) 부산대학교 한국민족문화연구소 2015 한국민족문화 Vol.57 No.-

        본 연구는 영도에서 생산되다가 사라진 조내기고구마를 소재로 하였다. 영도는 역사적으로 부산의 도심 배후지로서 기능해 왔다. 고구마는 개항기 이래 우리나라에서도 드물게 영도에서 재배되었던 것으로 보인다. 조내기고구마를 생산한 일산배기마을은 지형적으로 산 정상에 가까운 곳이었다. 이곳의 토질은 수분이 적고 황토 흙이어서 고구마와 보리 이외의 농사는 불가능한 곳이었다. 일산배기마을 사람들이 ‘조내기고구마라’는 품종을 재배했다는 사실은 잘 알려져 있다. 하지만 고구마 생산은 40여 년 전에 중단되었다. 이들 기억 속에 조내기고구마는 주어진 환경 때문에 어쩔 수 없는 선택이었고, 최소한의 생존을 위해 재배되었다. 고구마 생산은 가난의 상징이었다. 이후 수익이 나은 채소농사로 변경한 이래 조내기고구마에 대한 기억은 전혀 드러나지 않고 가라앉아 있었다. 그런데 최근 지방자치단체에서 조내기고구마를 영도의 대표 표상으로 제안하면서 다양한 사업이 진행되었다. 조내기고구마 생산경험자들의 기억을 끌어내는 계기가 되었다. 마을 사람들은 자신들이 생산했던 고구마가 ‘가장 오래’되고 ‘가장 맛있는’ 상품으로 재구성하였다. 이 연구는 일상의 경험과 기억이 생활환경에 따라 재구성되는 방식을 탐구해 보려는 데 목적이 있다. The subject of this study is Jonaegi sweet potato, which had once been produced in Yeongdo. Historically, Yeongdo served as an urban hinterland of Busan. Records indicate that sweet potato was sometimes produced in Yeongdo since the opening port era. Ilsanbaegi village, which used to produce Jonaegi sweet potato was topographically located near the top of a mountain. Agricultural production in this area was limited to sweet potato and barley since the quality of the soil was mainly red clay lacking in moisture. It is a well known fact that Ilsanbaegi village people had produced a species of sweet potato called "Jonaegi." However, Ilsanbaegi village people stopped growing sweet potato some forty years ago. According to their memory, production of Jonaegi sweet potato was due to circumstances beyond their control, a minimum requirement to survive. Sweet potato production was a symbol of poverty. Later on, as people switched over to producing vegetables, which were more profitable, the memory of Jonaegi sweet potato sank into the limbo of oblivion. Recently, however, a variety of businesses has taken off with the local government"s proposal to use Jonaegi sweet potato as the representative emblem of Yeongdo. This motivated the local people to retrieve the memory of those who had experience in producing Jonaegi sweet potato. The village people started to reconstruct their memory of the sweet potato they had grown as "the oldest" and the "best tasting" sweet potat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how people"s everyday experience and memory are reconstructed according to their living environment.

      • KCI등재

        영도 일산배기마을 사람들의 조내기고구마 생산경험과 기억의 재구성

        차철욱 釜山大學校 韓國民族文化硏究所 2015 한국민족문화 Vol.56 No.-

        The subject of this study is Jonaegi sweet potato, which had once been produced in Yeongdo. Historically, Yeongdo served as an urban hinterland of Busan. Records indicate that sweet potato was sometimes produced in Yeongdo since the opening port era. Ilsanbaegi village, which used to produce Jonaegi sweet potato was topographically located near the top of a mountain. Agricultural production in this area was limited to sweet potato and barley since the quality of the soil was mainly red clay lacking in moisture. It is a well known fact that Ilsanbaegi village people had produced a species of sweet potato called "Jonaegi." However, Ilsanbaegi village people stopped growing sweet potato some forty years ago. According to their memory, production of Jonaegi sweet potato was due to circumstances beyond their control, a minimum requirement to survive. Sweet potato production was a symbol of poverty. Later on, as people switched over to producing vegetables, which were more profitable, the memory of Jonaegi sweet potato sank into the limbo of oblivion. Recently, however, a variety of businesses has taken off with the local government"s proposal to use Jonaegi sweet potato as the representative emblem of Yeongdo. This motivated the local people to retrieve the memory of those who had experience in producing Jonaegi sweet potato. The village people started to reconstruct their memory of the sweet potato they had grown as "the oldest" and the "best tasting" sweet potat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how people"s everyday experience and memory are reconstructed according to their living environment. 본 연구는 영도에서 생산되다가 사라진 조내기고구마를 소재로 하였다. 영도는 역사적으로 부산의 도심 배후지로서 기능해 왔다. 고구마는 개항기 이래 우리나라에서도 드물게 영도에서 재배되었던 것으로 보인다. 조내기고구마를 생산한 일산배기마을은 지형적으로 산 정상에 가까운 곳이었다. 이곳의 토질은 수분이 적고 황토 흙이어서 고구마와 보리 이외의 농사는 불가능한 곳이었다. 일산배기마을 사람들이 ‘조내기고구마라’는 품종을 재배했다는 사실은 잘 알려져 있다. 하지만 고구마 생산은 40여 년 전에 중단되었다. 이들 기억 속에 조내기고구마는 주어진 환경 때문에 어쩔 수 없는 선택이었고, 최소한의 생존을 위해 재배되었다. 고구마 생산은 가난의 상징이었다. 이후 수익이 나은 채소농사로 변경한 이래 조내기고구마에 대한 기억은 전혀 드러나지 않고 가라앉아 있었다. 그런데 최근 지방자치단체에서 조내기고구마를 영도의 대표 표상으로 제안하면서 다양한 사업이 진행되었다. 조내기고구마 생산경험자들의 기억을 끌어내는 계기가 되었다. 마을 사람들은 자신들이 생산했던 고구마가 ‘가장 오래’되고 ‘가장 맛있는’ 상품으로 재구성하였다. 이 연구는 일상의 경험과 기억이 생활환경에 따라 재구성되는 방식을 탐구해 보려는 데 목적이 있다.

      • KCI등재

        한국전쟁의 원체험과 재구(再構)의 변주

        김지혜(Kim Ji-hye) 어문연구학회 2016 어문연구 Vol.88 No.-

        본연구에서는이청준소설에나타난한국전쟁의원체험과그재구성의 변주를고찰하였다. 이청준은 한국전쟁을 유년기에 체험한 작가로서, 그의 문학에는 전쟁이라는 폭력적 상황과 그에 대한 공포가 음화로 남아 있다. 이러한 전쟁의 상처가 소설 속에서 ‘전짓불’모티프 등으로 변주되며 이청준 소설의 중요한 근간을 이루고 있다는 점은 널리 알려진사실이다. 이 논문에서는 이청준 소설 중 한국전쟁의 체험을 직, 간접적으로 드러내고 있는 초기 작품부터 후기 작품까지를 통시적으로 분석함으로써 한국전쟁의 기억이 시대에 따라 어떻게 형상화되고 있으며, 그에 대한 인식이 어떻게 변모하는지를 고찰하였다. 초기작인 병신과 머저리 는 한국전쟁이남긴보이지않는상처를 다룬 소설로서전쟁체험 세대인 형과 어린 시절 전쟁을 겪은 동생의 상처를 대비하여 보여준다. 작가는 전쟁의 상처가 명확한 형과는 달리 명확한 상처를 알 수 없는 동생의 서사를 통해 유년기 전쟁 체험 세대에 대한 성찰을 시도한다. 또한 이청준은 소문의 벽 과 씌어지지 않은 자서전 등의 소설을 통해 1970년대 억압적인 사회를 비판적으로 그려낸다. 이 작품들에서는 어린 시절 한국전쟁 시기에 겪은 ‘전짓불’ 모티프가 반복적으로 나타나는데, 이청준은 전짓불 모티프의 반복을 통해 전쟁 시기의 폭력성이 억압적인 사회에서 여전히 계속되고 있음을 고발한다. 즉, 이청준은 어린 시절 최초로 경험한 충격적 사건인 6․25의 원체험을 그 시대의 억압적 상황으로 변주고 있는 것이다. 이청준은 1990년대에 비로소 구체적인 한국전쟁의 문제, 즉 과거 폭력적 이념대립의 기억을 복원하고 그 갈등의 청산 문제에 접근한다. 가해자의 얼굴 , 흰옷, 지하실 등의 작품에서는 어쩔 수 없이 가해자와 피해자로 나뉘었던 전쟁의 기억을 떠올리며 그 기억을 통해 화해를 모색하고자 한다. 그는후기소설에서비로소유년기에겪은전쟁체험의기억을다시재구성함으로써그때의 갈등을 풀어내는 것이다. 이청준은초기소설에서어린시절한국전쟁을체험한세대에대한세대의식을보여주었다면, 중기 소설에서는 전쟁의 폭압적 상황을 당대의 억압적 사회 현실과 연결시킨다. 초기, 중기 소설에서는 한국전쟁의 충격적 기억을 제대로 재현해낸다기보다는 그때의 상황적 폭력성을 상징적으로 변주해낸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후기소설에서는 잊으려 했던 유년기에겪은폭력적상황과마주함으로써그때의대립과반목이낳은상처를용서와화해로 극복하고자 한다. 그는 과거의 고통스러운 기억을 복원함으로써 그 상처를 치유하는 것이 전쟁의 상처를 다음 세대에게 남겨주지 않는 일이며, 그것이 전쟁을 체험한 마지막세대로서의 사명임을 말한다. 또한 이러한 한국전쟁의 원체험과 재구의 과정은 사회와 개인의 관계에 천착한 이청준 소설이 그 주제의 깊이를 더해가는 과정을 보여준다 하겠다. This study examined Lee Cheong-jun's literature, focusing on key word Korean War. It inquired into how shape is given to the memory of Korean War over time and how an understanding of this changed by analyzing works that directly and indirectly revealed the experience of Korean War in Lee Cheong-jun's novels. Lee Cheong-jun is an author who experienced Korean war in his childhood. And horror of war remains as severe trauma in his literature. The scars of war in his childhood repeatedly play a variation in many novels of Lee. His early work The Wounded is a novel that deals with invisible scars left by Korean War. This work shows scars on elder brother belonging to generation that experienced the war and younger brother belonging to generation that didn't directly experience the war. The author tries to reflect on his generation through a narrative given by the younger brother who cannot know a definite scar, differently from the elder brother for whom the scars of war are definite. Besides, Lee Cheong-jun critically depicts the oppressive society in the 1970s through the novels such as The Wall of Rumor and An Unwritten Autobiography. The motif of 'electric light' experienced in the Korean War in his childhood is repeatedly shown in these works. Lee accuses the suppressive society of still continuing the violence in times of war through the repeat of electric light motif. That is to say, Lee Cheong-jun plays a variation on the original experience of Korean war(also known as 6․25), shock which he first experienced in his childhood, as suppressive situation at that time. Lee Cheong-jun approaches a specific KoreanWar issue, i.e., ideological confrontation and reconciliation issue for the first time in the 1990s. In the works such as Assailant's Face , White Clothes and The basement , he recalls the memory of war where people are forced to be divided into assailants and victims, and intends to grope for reconciliation through the memory. In his later novels, he reconstructs the memory of war experience in his childhood, and resolves conflicts at that time. He says that not leaving the scars of war the next generation through forgiveness and reconciliation is a task assigned to the generation who experienced the war.

      • KCI등재

        메이지시기 백호대 전사자를 둘러싼 기억의 재구성

        이세연 ( Se-yun Lee ) 국민대학교 일본학연구소 2017 일본공간 Vol.22 No.-

        본 논문은 패자의 역사에 대한 문제의식을 전제로, 기억의 재구성이라는 관점에서 백호대 전사자를 둘러싼 텍스트 분석을 시도한 논고이다. 백호대 전사자를 둘러싼 기억의 지평에서 큰 분기점이 된 것은 1890년 백호대 기념비의 건립과 러일전쟁이었다. 1890년 이후 백호대 대원들의 최후는 다양한 방식으로 재현되기 시작하는데, 그 내용은 한결같지 않았다. 백호대 전사자들에 대한 기억은 재현이 거듭되면서 균열하는 양상을 띠었다. 그러나 러일전쟁에 즈음하여 무사도 담론이 부상하자, 백호대 전사자를 둘러싼 기억은 일정한 모양을 갖춰가기 시작했다. 백호대 전사자는 무사도, 일본정신의 표상으로 자리매김 되었다. 이 같은 정형화의 움직임은 국가의 개입으로 인해 한층 가속화하였다. 백호대 전사자를 둘러싼 이야기는 국정교과서인 국어독본, 문부성 관리 하의 통속교육을 통해 규격화된 형태로 전국에 보급되어갔다. This paper is an attempt to analyze the texts about Byakkotai’s death from the viewpoint of reconstruction of memories. The monument of Byakkotai erected in 1890 and the Russo-Japanese War were turning points in the memories on Byakkotai. Since 1890, the end of Byakkotai began to be represented in various ways, the contents of which were not uniform. The memories on Byakkotai were fragmented as the representation repeated. However, as the discourse of Bushido was raised on the occasion of the Russo-Japanese War, the memories on Byakkotai began to have a certain shape. Byakkotai was established as a symbol of Bushido or the soul of Japan. This movement of stereotyping was accelerated by the intervention of the Nation State. The stories on Byakkotai were spread to the whole country in a standardized form through the textbooks and popular education controlled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