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한반도 신뢰구축(CBM/CSBM)과 평화체제 구축

        이호령 ( Lee Ho-ryung ) 한국접경지역통일학회 2018 접경지역통일연구 Vol.2 No.2

        2018년은 3차례의 남북정상회담을 통한 4.27 판문점 선언과 9.19 평양선언 및 4.27 판문점 선언 이행을 위한 군사분야 합의, 그리고 1차례의 북미정상회담을 통한 6.12 합의와 이후 북미고위급 회담 등으로 한반도 평화와 신뢰구축의 분위기는 고조되었고 또 일부는 실천으로 이어지며 남북간 초보적 신뢰구축이 시작됐다는 평가와 더불어 평화체 제로 나가기 위한 입구에 거의 다다랐다는 평가가 나오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3개의 축, 비핵화, 신뢰구축, 평화체제 중 신뢰구축과 평화체제 중심으로 한반도의 평화구축 방향을 분석해 보고자 한다. 한반도의 항구적인 평화구축을 위해 비핵화, 신뢰구축, 평화체제라는 3개의 축이 선순환 구조로 진행되어야 한다고 강조하지만, 내용면에서 보면 비핵화는 3개축의‘코어’(core)다. 비핵화가 제대로 작동되지 않는다면, 신뢰구축과 평화체제는 논의는 이어나갈 수 있되 이행의 단계로 진입하기란 매우 어렵다. 반면, 비핵화가 약속의 단계에서 이행단계로 진입해서 속도를 내게 되면, 신뢰구축과 평화체제 논의도 이행 국면으로 진입할 수 있는 동력을 받게 된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비핵화가‘약속’에서‘이행’단계로의 진입이 될 것을 전제하고 남북간 신뢰구축과 평화체제 구축방향을 모색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서 2장에서는 신뢰구축의 이론적 시각과 유럽과 남북간 신뢰구축의 차이를, 3장에서는 남북신뢰구축 노력과 주요 의제를, 4장에서는 신뢰구축과 평화체제와의 관계를, 그리고 5장 결론에서는 한반도 신뢰구축 공고화와 평화체제 구축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2018년 한반도 신뢰구축 공고화와 평화체제 구축 노력은 2007년의 노과 유사해 보이지만, 신뢰구축 부분에서 많은 차이를 보이고 있다. 2018년 한반도의 신뢰구축 공고화 방향은 정치군사 분야에서의 신뢰구축과 더불어 북한의 비핵화 이행에 따른 대북제재 완화가 핵심 사안이 되고 있다. 또한 평화체제 구축과 관련해서도 북한은 대북제재 완화를 연계시키고 있기 때문에, 비핵화-신뢰구축-평화체제의 선순환 구도에서 공고화의 측정은 북한이 얼마만 큼 비핵화를 이행하고 그에 따른 대북제재가 어느 정도 면제 혹은 완화되는가에 달려있다고 봐도 과언이 아니다. 따라서 신뢰구축과 평화체제가 공고화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조건이 충족되어져야 한다. 첫째, 핵동결과 더불어 핵신고 리스트 제출로 완전한 비핵화의 이행 단계로 진입해야 한다. 둘째, 9.19 남북군사합의서의 성실한 이행과 더불어 이를 위한 철저한 검증체제 구축이 필요하다. 셋째, 결국, 남북간 군사적 신뢰구축 공고화와 더불어 정전체제에서 평화체제로 진입하기 위해서는 북미관계 정상화가 반드시 수반돼야 한다. 이는 다시 말해 북한이 미국을 비롯해 동북아 지역 국가들과 경제, 외교, 문화 등 정상적인 관계와 교류를 통해 지역체제, 국제체제로 편입되어 가는 것을 전제로 한다. 따라서 북한의 개혁개방 정책이 필수적으로 요구된다고 볼 수 있다. 2018년 북한의 전략적 결단이 이러한 방향에 조우해 나갈 때, 2019년 성과로 이어나갈 수 있다고 본다. Three inter-Korean summits in 2018 resulted in the 4.27 declaration of Panmunjum, the 9.19 Pyongyang Declaration and the Military Implementation Agreement, and the first US-DPRK summit meeting resulted in the 6.12 Agreement. These top-down approach between two Koreas and between USDPRK led to heighten the atmosphere of peace and trust on the Korean Peninsula. Here, I want to analyze the direction of building peace regime on the Korean peninsula centered on three pillars, denuclearization, trust building, and peace regime based on trust building and peace regime. In order to build permanent peace on the Korean peninsula, the three axes of denuclearization, trust building, and peace regime should proceed in the virtuous cycle structure, but in terms of content, denuclearization is the core of the three axes. If denuclearization does not work properly, CBM/CSBM and discussing of the peace regime are unlikely to progress, but if denuclearization enters the implementation phase, confidence building measures and the efforts toward peace regime can be speeded up. Therefore, in this study, we are looking for ways to build the trust between the two Koreas and to establish a peace regime, assuming that denuclearization will move from the promise for the implementation stage. While efforts to solidify the trust on the Korean peninsula and to establish a peace regime in 2018 may look similar to those in 2007, there is a difference in the direction of promoting CBM on the Korean peninsula will spill over from the political and military sectors to the economic sectors. For this, three conditions must be met. First, by entering a nuclear freeze and by submitting nuclear list, it should enter the implementation phase for complete denuclearization. Second, in addition to the sincere compliance with the 9.19 9.19 Military Implementation Agreement, a thorough verification systems is needed. Third, normalization of US-DPRK must be accompanied for the CBM/CSBM on the Korean peninsula and the entry into a peace regime.

      • KCI등재

        르 꼬르뷔제 타피스트리의 구축성 연구

        김호연(Kim, Ho-yeon),신예선(Shin, Yea-sun) 한국조형디자인학회 2015 조형디자인연구 Vol.18 No.3

        독일의 건축 이론가였던 고트프리드 젬퍼(Gottfried Semper, 1803–1879)는 건축의 기원을 섬유의 편직 원리와 다양한 공예적 기법으로부터 시작되었다고 주장하였으며, 20세기에 이르러 르 꼬르뷔제(Le Corbusier, 1887-1965)의 건축물과 타피스트리에서 그 실제적 영향을 찾을 수 있다. 르 꼬르뷔제가 창안한 건축 시스템인 ‘돔이노(Dom-Ino)’에서 벽의 개념은 그 원류를 직물에 두며 섬유의 구축적 기원성을 그대로 투영한다. 이러한 개념은 그의 타피스트리 작업에서도 그대로 나타난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고트프리드 젬퍼의 구축성 개념을 바탕으로 르 꼬르뷔제의 돔이노 시스템과 그의 타피스리를 비교하여 고찰하고자한다. 르 꼬르뷔제가 그의 타피스트리에 표현하고자 했던 섬유의 구축적 속성과 건축 표면의 기념비적 역할은 섬유의 구축적 표현 방식에 대한 건축과 섬유 영역 사이의 중요한 연결점이며 그실례이다. 그가 타피스트리 작품을 통해 드러내는 섬유의 구축성에 대한 해석은 젬퍼의 카리 비안 오두막의 ‘엮여진 섬유’로써의 막의 기원으로부터 기인하며, 돔이노 시스템의 골조를 둘 러싸는 벽을 의미한다. 결론적으로, 이 연구는 르 꼬르뷔제의 타피스트리가 반영하는 직물의 구축성 개념을 밝히기위해 그의 돔이노 시스템과의 상관관계를 밝히고, 그 이론적 바탕이 되는 젬퍼의 구축성 이론과의 비교연구를 통해서 르 꼬르뷔제의 타피스트리의 구축적 의미를 고찰하고자 하는 것이다. 르 꼬르뷔제의 타피스트리의 구축적 특성에 대한 연구는 섬유가 구축적으로 표현되는 것이섬유 재료와 편직하는 기법, 계획된 체계성이 유기적으로 작용하며 공간을 만들어 내는 것으로, 섬유 본연의 구축성에 대한 이해를 통해 그 표현 가능성을 확대할 수 있을 것이다. 이 같은 연구는 섬유미술에서 새롭게 조명되는 직물구조의 원리가 조형적 표현으로 확장되는 직접적인 예이자, 섬유의 정체성과 원리적 속성에 대한 건축사적 자료에 근거한 탐구라는데 의의가 있다. German architectural theorist Gottfried Semper claimed that the origin of construction started from the principles of knitting fabric and various craft techniques and his real impact can be found in the architecture and fabrics of Le Corbusier in 20th century. In Dom-Ino, the construction system created by Le Corbusier, the concept of wall originates from fabrics and projects tectonic origin of fibers directly. Therefore this `study will be to review and compare Le Corbusier’s Dom-Ino system and his tapestry based on Gottfried Semper’s tectonic concept. The monumental role of tectonic of fibers and surface of construction what Le Corbusier ever wanted to express in his tapestry is an important point of connection and example between construction and fibers regarding tectonic expression of fibers. Le Corbusier’s interpretation of tectonic of fiber revealed through his tapestry works is due from the origin of the film as ‘woven textile’ in Semper’s caribbean hut and means the wall surrounding frames of Dom-Ino system. In conclusion, this study reveals the relationship of Le Corbusier’s Dom-Ino system and tapestry to uncover tectonic concept of fabrics reflected in his tapestry works and is to consider tectonic meaning of Le Corbusier’s tapestry through a comparative study of Semper’s tectonic theory which is theoretical basis. In other words, the study of the tectonic characteristic s of Le Corbusier’s tapestry explains that tectonic expression of fiber means that the fiber materials, knitting techniques and planned system act so organically as to make spaces and it will be able to expand the possibilities of fiber expression through the understanding of natural tectonic characteristics of textiles. So, this research is significant that it is a direct example of fabric structure extending to figurative representation which is newly illuminated in the textile art, and an exploration based on historical data on architecture regarding identity and principle properties of the fibers.

      • KCI등재

        온톨로지 구축 프로세스와 시스템

        이인근(In K. Lee),서석태(Suk T. Seo),정혜천(Hye C. Jeong),황도삼(Dosam Hwang),권순학(Soon H. Kwon) 한국지능시스템학회 2006 한국지능시스템학회논문지 Vol.16 No.6

        컴퓨터를 활용한 지식과 정보 처리를 위해 온톨로지를 구축하고 활용하기 위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현재까지의 온톨로지 개발 방법 및 온톨로지 구축 도구는 온톨로지 개발 목적에 따라 제한적인 부분에서 연구되어 사용되고 있다. 그러므로 개발하려는 온돌로지 특성에 따른 적절한 온톨로지 구축 프로세스와 도구가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특정 분야의 비전문가가 언어 자원으로부터 지식을 개념화하고, 개념을 형식화하여 온톨로지를 구축할 수 있는 온톨로지 구축 프로세스(Ontoprocess)를 제안한다. 그리고 다수의 온툴로지 구축자가 동시에 온톨로지 구축 작업을 행할 경우 i)지식의 개념화 과정에서 동일한 개념을 중복 정의하거나 ii)개념의 형식화 과정에서 형식언어와 도구사용법의 이해 부족으로 인해 온톨로지 구축 능륜이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런 문재를 해결하기 위해 메타 온톨로지를 이용한 다중 온톨로지 구축 프로세스(OntoMProcess)를 제안한다. 제안한 프로세스에 기반한 온톨로지 구축 시스템 (OntoCS)을 개발하고, 실제 온톨로지 구축 실험을 통하여 제안한 프로세스와 시스템의 효율성을 확인한다. 그리고 온톨로지 구축 과정에서 발견된 문제점 및 이에 대한 해결 방안을 제시한다. Numbers of research on ontology construction and its application are being done for knowledge and information processing using computers. But, the current ontology development methods and ontology construction tools are using in restricted field on propose. Therefore, proper ontology development processes and ontology construction tools on ontology characteristic are needed. In this paper, we propose ontology construction process(OntoProcess) that non-experts in specific field are able to construct ontology through conceptualization of knowledge and formalization of concepts from language resource. Beside, some problems may be occurred while numbers of people are working together to construct ontology: i)duplicated concept definition in conceptualization process of knowledge and ii)decreasing efficiency of ontology construction by short understanding about formal language and tool operation in formalization process. To solve the problems, we propose an ontology construction process for multiple developers (OntoMProcess) using meta ontology. We develop an ontology construction systerm(OntoCS) based on proposed processes, and we show the efficiency of proposed processes and system from ontology construction experiment.

      • KCI등재

        한반도 평화체제구축의 필요조건과 충분조건

        金景一 동국대학교 북한학연구소 2005 북한학연구 Vol.1 No.1

        한번도평화체제관련 논의는 한국전쟁이 정전상태로 종식되면서 거론되기 시작하였다. 북한이 공세를 평치고 남한이 수세에 처했던 1954년 제네바회담에서 두 진영이 내놓은 "통일방안"은 사실상 한국전쟁 전 주장의 연속이었다고 할 수 있었다. 두 진영에서 주장한 통일정부수립은 정전협정을 해체하는 충분조건으로 나설 수 있지만 그것은 실현 불가능한, 어찌 보면 냉전의 한 방식에 불과한 것이었다고 할 수 있다. 한국전쟁을 거쳐 최종 고착된 동서냉전구도에서 한반도평화체제구축은 충분조건도 필요조건도 갖추어질 수 없는 것이었다. 미소냉전이 종식되면서 한반도평화체제구죽의 가장 중요한 필요조건이었던 미소관계의 요소가 사라졌다. 바로 이러한 변화를 배경으로 1990년대 초 한반도에는 북미고위급담판, 북일 국교정상화 담판이 이루어져왔고 <남북기본합의서>가 도출되었다. "남북기본합의서"는 사실상 정전상태를 평화 상태로 이행시키는 내용을 담고 있다. 그렇지만 "남방3각" 대 북한의 대결이라는 힘의 불균형은 미국의 대 동북아 전략과 맞물려 북핵문제라는 폭풍을 몰고 와 평화무드를 일소하였다. 한반도평화체제구축에는 북핵이라는 중요한 필요조건이 증가되었다. 미국의 대북압박과 북한의 대미카드로 시작된 이 줄 당기기에서 정전협정에 의해 설치된 양대 기구는 무력화되었으며 그것은 불안한 정전체제와 군사적 기장상태를 지속시켜왔다. 이에 "한번도의 항구적 평화보장을 확보하려는" 4자 회담이 개최되었지만 그것은 "항구적 평화보장"을 위한 필요조건이 마련되지 않은 상황에서 공전될 수밖에 없었다. 제2차 북핵위기는 한반도평화체제구축이라는 논의를 일소하였다. 북핵문제해결은 어찌 보면 한반도평화체제구축에서 거의 충분조건에 가까운 요소로 등장하였다. 바로 이 위기 속에서 전례 없는 6자 회담이 이루어졌고 북미간의 갈등에서 한반도 평화체제문제는 양국의 전략에 이용되어 북한의 "선 평화체제수립 후 핵문제해결"주장과 미국의 "선 핵문제해결 후 평화체제 수립"이라는 동전의 양면 속에서 모호화되었다. 6자 회담에서 한반도영구평화체제가 언급되었지만 그에 대한 각국의 해명 역시 통일된 것은 아니다. 결론적으로 한반도 평화체제 구축에의 충분조건을 논한다면 그것은 실질적 평화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협정"에 의한 제도적 장치보다도 "평화"의 의지에 의한 상화신뢰, 상호협력, 상호의존이야말로 항구적평화의 원동력과 충분조건이 될 것이다. 물론 그것은 이상이고 가설이다. 그렇지만 작금의 한반도는 이미 평화체제구축을 실천하는 단계에 들어섰다고 할 수 있다. "전정협정"을 대체할 제도적 장치가 어느 정도 마련되어 있으며 평화체제 구축의 당사자인 남북관계는 획기적인 시기에 들어서고 있다. 주변강대국들이 처음으로 한반도의 영구평화체제를 위한 노력을 공동문건으로 약속했다. 특히 글로벌화, 지역통합의 추세가 한반도평화체제구축에 미치는 영향이 갈수록 커져 가고 있다. 바로 이러한 복합적 필요조건들이 하나하나 충족되어 나가는 과정에서 한반도평화체제구축은 점진적으로 현실화되어 갈 수 있을 것이다. The second North Korean nuclear crisis swept the argument to organize the peace system of the Korean Peninsula. The settlement of the North Korean nuclear crisis is considered nearly as sufficient condition to build up peace system. Under the circumstances, the six-party talks was held without precedent. The discussion to establish the peace system of the Korean Peninsula was obscured under the conflict between North Korean and American contention: 'initiative peace system and subsequent nuclear settlement' of North Korea and 'initiative nuclear settlement and subsequent peace system' of the United States. Although the peace system was discussed by the six-party talks, the standpoint of each participating nation did not consolidate. Taking all of these analyses into consideration, the sufficient condition in order to organize peace system is substantial peace in the Korean peninsula. The mutual trust, cooperation and interdependence based on the determination of peace among the countries will be the sufficient condition and motive power for permanent peace than the institutional device through and agreement. This is and ideal and assumption. However, the Korea Peninsula is attempting to build up the peace system. It has partly the institutional device to replace the cease-fire agreement. Also, the regional great powers made the joint statement to set up the peace system of the Korean Peninsula. In the process of satisfying above-mentioned phenomenons, organizing the peace system of the Korean Peninsula will be gradually progressed.

      • 국가대형연구시설의 체계적 구축 및 관리효율화를 위한 실태분석 및 정책제언

        조현대,윤문섭,민철구,성태경,권기석,정윤성 과학기술정책연구원 2013 조사연구 Vol.- No.-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우리나라는 그 동안 지속적인 과학기술에 대한 투자로 과거에 비해 국가대형연구시설들을 많이 구축해 가고 있는 중이다. 하지만 국가대형연구시설의 구축·운영·관리의 과정에서 비효율성과 문제들이 발생하고 있으며 또한 국가대형연구시설들의 범부처적 활용도 제고 및 체계적 관리도 미흡한 실정이다.이러한 배경과 문제의식 하에 본 연구는 우리나라 국가대형연구시설의 체계적 구축 및 관리 효율화를 위한 실태분석과 정책제언의 제시를 목표로 하고 있다. 이를 위해 분석의 틀을 구축하여 국가대형연구시설에 대한 시대적·과학기술적 요구 및 필요성, 대형연구시설 구축·운영실태, 정부정책, 운영주체 및 사용자 네트워크, 관련산업 및 파급효과의 5가지 관점에서 분석하여 문제점 도출 및 정책 개선방안을 제시한다. 주요 연구내용본 연구보고서가 다루고 있는 주요 연구내용은 다음과 같다. 서론에서는 연구배경 및 필요성, 연구목적, 연구범위 및 내용 등을 설명하고, 이어 제2장에서는 국가대형연구시설 관련 개념을 정립하고 연구의 분석의 틀을 마련한다.제3장에서는 설정된 분석의 틀에 입각하여 우리나라 국가대형연구시설 전반에 걸친 총괄적 실태 및 이슈·문제점을 분석하고 해외 주요국들의 국가대형연구시설의 구축, 운영, 관리 실태를 파악하여 우리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한다. 제4장에서는 우리나라 국가대형연구시설 중 가속기 분야와 천문·우주분야를 선정하여 분석의 틀에 맞추어 실태 및 이슈·문제점 분석을 한다. 마지막 제5장에서는 상기와 같은 분석결과를 토대로 우리나라 국가대형연구시설 전반적인 차원과 가속기 및 천문우주 분야에 대한 정책과제와 개선방안을 제안한다. 결론총괄적인 관점에서의 국내 대형연구시설들의 주요 이슈 및 문제점으로는 첫째, 대형연구시설에 대한 중·장기적인 로드맵의 부재이다. 해외 주요국들의 경우 대형연구 시설에 대한 중·장기적 로드맵을 수립하고 지속적 작성 및 보완을 해오고 있으나 우리나라는 그렇지 못한 편으로 나타났다.둘째, 대형연구시설의 관리 측면에서 이를 전담해 오고있는 국가연구시설장비진흥센터(NFEC)의 개방성 및 전문성이 미흡한것으로 나타났다. 셋째는 안정적인 예산의 지원의 미흡이다. 해외주요국들의 경우 대형연구시설에 대한 별도의 예산을 마련하여 안정적인 지원을 하고 있으나 우리는 그렇지 못한 편이다.가속기 분야의 주요 이슈 및 문제점으로는 우선 가속기 전문인력의 부족으로 가속기전문학과는 찾아보기 어려우며 또한 운영요원으로 근무하고 있는 인력들도 PBS제도의 문제로 인하여 안정적인 인건비확보가 어려워 가속기 운영을 안정적·장기적으로 전담하기 어려운 실정이다. 현재 구축중인 4세대 방사광가속기 및 중이온가속기의 경우 안정적인 예산 확보가 되고 있지 않고 있으며 가속기전문인력의 부족으로 인하여 구축에 차질이 예상되는 등의 문제점을 안고있는 상황이다. 천문·우주 분야의 주요 이슈 및 문제점으로는 우선 장비의 노후화 문제가 나타나고 있다. 현재 우리나라의 천문·우주분야 대형연구시설들은 기존에 구축된 연구시설·장비의 노후화가 진행되고 있으며, 해외에서 구축되어온 연구장비의 경우 이에대한 유지보수 기술의 습득 미흡으로 안정적 운영의 어려움이 있다. 또한 우리나라 위성관측 분야는 선진국에 대한 의존성이 높은데다, 전 지구적 우주환경영향 감시를 위한 해외 지상관측자료 확보가 미비한 실정이다. 따라서 향후, 국가 정책적으로 독자적인 우주환경 관측위성 확보 추진이 필요하며, 극지 우주환경관측시스템 및 태양관측망 구축 등을 통한 해외 관측시스템 확보 노력 및 지속적인 국제공동협력을 통한 해외 관측자료 확보 노력과 안정적 예산지원으로 전담인력에 의한 우주환경예보센터 운영이 필요하다. 정책제언총괄적 부분의 정책제언으로는 대형연구시설 구축에 대한 체계적인 중장기 로드맵 수립, 국제공동 프로젝트로 추진되는 대형연구시설구축에 대한 전략적 참여 확대, 안정적인 예산지원 및 균형있는 예산 투자 강화, 대형연구시설 운영인력 확보 및 전문성 증대를 위한 제도 보완, NFEC(국가연구시설장비진흥센터) 역할 및 전문성 강화, 대형연구시설의 공동활용 촉진방안 모색등이 필요하다. 가속기 분야의 경우 4세대 방사광가속기 및 중이온가속기의 차질 없는 구축, 운영 거버넌스 개선, 관련 국제협력 강화, 안정적 예산 및 인력지원 등이 필요하다. 천문·우주 분야의 경우 노후화된 장비의 유지·보수, 안정적인 예산 및 인력의 지원, 독자적인 우주환경 관측위성 확보 추진, 천문우주분야 관측데이터 활용 방향 설정, 전문가 육성 및 네트워크 구축 마련 등이 필요하다.

      • KCI등재

        중소기업의 산학협력 관계구축과 기술지식 및 시장지식 습득이 성과에 미치는 영향

        정형식,김영심 한국전략마케팅학회 2010 마케팅논집 Vol.18 No.4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 중소기업의 산학협력 구축이 상호 간 관계몰입과 기술 및 시장지식습득에 유의한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검증하고, 후속하여 기술 및 시장지식습득이 기술개발성과와 기업성과에 유의한 영향관계가 있는지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현재 중소기업의 산학협력 구축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고 기업의 활용도가 높아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산학협력이 상호 몰입이나 실질적인 지식습득을 통해 기술개발성과로 이어질 수 있는지 밝히고자 하였다. 실증분석 결과, 산학협력 네트워크구축이 관계몰입과 기술 및 시장지식습득에 모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관계몰입 역시 기술지식습득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기술지식습득이 기술개발성과를 통해 기업성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침을 밝혀낼 수 있었다. 그러나 관계몰입은 시장지식습득에 유의수준에 최소한의 수준에서 관계성을 갖고 있으며, 시장지식습득은 기술개발성과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중소기업의 역량 축적을 위해 활용되는 산학협력 네트워크구축 전략 중 활용도가 높아지고 있는 대학과의 산학협력 네트워크 구축이 실제로 대학과 기업 간에 관계몰입을 가져다줄 수 있음을 밝혀냈다. 또한 이를 통해 기업의 기술지식습득을 통한 기업내부역량강화 과정을 거쳐 기업이 실질적으로 필요로 하는 기술개발성과로 이어질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는 한정된 제반 인프라와 역량을 갖고 있는 중소기업이 대학과의 산학협력 네트워크 구축을 통해 기업역량강화 및 실질적인 기술개발성과가 가능하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따라서 기업은 단순한 정부지원금을 받기 위한 수단이나 기타 활용목적 또는 단기적 관계구축이 아닌 적극적인 대학과의 관계밀착 및 역량강화전략을 통해 기업의 기술개발성과를 이루는 것이 중요함을 시사하고 있다. The objectives of the present study are to examine the effects of small and medium-sized companies'(SMC) collaborative relationship building between industry and academy on the relational committment and technology and market acquisition and then to investigate the subsequent effects of technology and market acquisition on technology development performance and firm performance. Despite the increasing interest in SMC's collaborative relationship building with academy or research institutes and the heightened utilization of the relationship little research has been conducted on the practical impacts of these relationships. Therefore, the present study developed the following research model and established related hypotheses. Data was collected nationwide, including metropolitan cities of Seoul, Busan, Gwangju, etc. A survey was conducted using questionnaires with 186 small and medium-sized companies. Questionnaires were filled out by the managers of the companies who were in charge of technology development, one questionnaire having been collected from each company.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ed that external cooperative networking such as collaborative relationship building between industry and academy influenced mutual committment and practical knowledge acquisition of technology and the market. Thus, when the SMC operates a technology development project with a university or research institute, they need to maintain close communication and collaboration in order to solve imminent problems related to the on-going project. Although the collaborative network building was found to have a relatively higher impact on technology knowledge acquisition than market knowledge acquisition, the SMC still needs to put an effort to acquire market knowledge through strategies for commercialization of technology in a systematic manner. In addition, the relational commitment affected technology and market knowledge acquisition. Especially, technological knowledge acquisition was shown to affect technological development performance and, in turn, firm performance. However, relational commitment affected market knowledge acquisition marginally at a statistically significant level. The market knowledge acquisition did not appear to influence technology development performance. Thus, it is inferred that market knowledge acquisition affects technology development performance through technological knowledge acquisition and in part directly influences firm performance. This study has found that collaborative relationship building as a external networking means to strengthen SMC's capability yields mutual commitment between industry and academy. Moreover, it was confirmed that internal capability building such as technological knowledge acquisition leads to technological development performance that is necessary for the SMC to grow and sustain. Unlike the previous research conducted in other countries the present study focused on the Korean SMC's collaborative networking and knowledge acquisition which are frequently supported by the central or local government. In particular, the constructs of relational committment and knowledge acquisition were empirically explored in a domestic domain. The present study could grasp internal knowledge sharing and transfer processes that had rarely been examined by the previous studies under Korean circumstances. The results indicate the potential capability enhancement and practical technology development performance for the SMC with limited internal resources in their collaboration with academy. The study implies that SMC's should exert to achieve technology development performance through proactive and collaborative relationship building along with relational committment and internal capability building rather than simply try to obtain government subsidy on a short-term basis.

      • KCI등재

        그린캠퍼스 구축에 관한 사례연구 -S대학을 중심으로-

        전영승 한국상업교육학회 2009 상업교육연구 Vol.23 No.3

        본 연구의 목적은 최근 각 대학에서 추진하고 있는 그린캠퍼스 구축에 유용한 시사점을 제공하는 것이다. 위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연구는 관련 문헌검토와 국내외 대학들의 그린캠퍼스 구축현황 조사 및 사례연구를 실시하였다. 사례연구대상은 우리나라에서 그린캠퍼스 구축의 모범대학으로 인정받고 있는 S대학이다. 그린캠퍼스의 개념은 좁은 의미와 넓은 의미로 나누어 볼 수 있다. 국내 11개 대학과 국외 4개 대학의 그린캠퍼스 구축현황을 조사한 결과 이들 대학의 공통점은 기후변화에 대응을 목적으로 에너지 절감 시설 및 환경친화적 제도 도입에 중점을 둔 좁은 의미에서의 그린캠퍼스 구축을 시도하고 있다는 점이다. 차이점은 첫째, 국내 대학들은 외국 대학에 비해 그린캠퍼스 구축을 위한 다양한 프로그램을 실시하고 있다. 둘째, 국외 대학들은 국내 대학에 비해 구체적인 온실가스배출저감 목표와 이를 달성하기 위한 세부적인 계획과 전략을 수립하고 있다. S대학은 교육과 사회적인 측면까지 고려한 넓은 의미에서의 그린캠퍼스 구축을 시도하고 있다. 에코 커리큘럼의 도입, 유기농 식당의 운영 등이 그 대표적 예이다. S대학의 그린캠퍼스 구축 방향은 대학이 미래 인재를 양성하는 교육기관이자 지역사회에 공헌해야하는 조직이라는 의미에서 매우 바람직한 것이라 할 수 있다. S대학의 사례연구를 통해 얻을 수 있는 주요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그린캠퍼스 개념의 확대가 필요하다. 둘째, 총장의 적극적인 의지와 전 구성원의 자발적인 참여가 요구된다. 셋째, 전담조직의 설치와 전문가 확보가 필요하다. 넷째, 지역사회와 함께하는 프로그램이 있어야 한다. 다섯째, 정부정책의 일관성과 인센티브제공이 있어야 한다. 본 연구는 우리나라 대학들의 그린캠퍼스 구축에 공헌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practical implications on many universities recent operation - building a green campus. To accomplish this purpose, this study reviewed related literatures, researched present status of domestic and foreign universities' building green campus and conducted a case study. The subject of the case study is S university, which is well recognized one as a model university for building green campus. The concept of a green campus can be divided into to two - broad and narrow concepts. After researching domestic 11 universities' and foreign 4 universities' present status of building green campus, the result showed that their common point was they are trying to build green campus with the narrow concept by concentrating on building energy saving facilites and eco-friendly system to confront the climate change. Differences were featured as well. First, domestic universies are operating various programs to build green campus compared to foreign universities. Second, compared to domestic universities, only foreign universities set specific number for reducing greenhouse gas emissions and established detailed plans and strategies to meet that number. On the other hand, S university is trying to build a green campus with the broad concept by also considering education and social aspects. For example, they introduced eco-curriculum and are running organic food only cafeteria. The direction of S universities green campus building can be scored as very desirable considering the fact that university is both a educational institute training future leaders and an organization contributing to local community. The main implications drawn from S university's case are as followed. First, the concept of green campus needs to be widened. Second, the president's positive will and every member of the university's voluntary participation are required. Third, organizing a group with complete charge and securing specialists are needed. Fourth, there has to be a program that goes along with local community. Fifth, the government's policy needs to be consistent and there should be many incentives. This study will contribute to Korean universities' building green campus.

      • KCI등재

        한반도 평화체제 구축을 위한 남북협력

        고유환 동국대학교 북한학연구소 2006 북한학연구 Vol.2 No.1

        이 글의 목적은 한반도 평화체제 구축을 위한 남북한의 노력을 주요시기별로 나누어 살펴보고, 현안인 북한 핵문제를 해결하고 한반도 평화체제를 구축할 수 있는 남북협력 방안을 찾아보는 데 있다. 냉전시기 북한은 공세적 입장에서 북-미 평화협정 체결을 통한 주한미군의 철수를 한반도 공산화통일의 전제조건이라는 차원에서 다루어 온 반면, 남한은 수세적 입장에서 정전체제의 고수에 집착했다고 할 수 있다. 남한 정부는 그동안 ‘평화협정은 곧 미군철수’라는 등식과 함께, 안보에 대한 우려 때문에 평화체제로의 전환에 대해서는 ‘남북한 당사자 해결원칙을 견지하면서 남북간 신뢰구축이 전제되지 않는 한 정전체제의 평화체제로의 전환이 어렵다는 입장을 견지해 왔다. 남한이 남북당사자 해결 후 정전협정 당사국의 국제적 보장 또는 4자회담을 통한 한반도 평화체제 구축을 주장하고 있는 반면, 북한은 ‘실제적 당사자론’을 내세우면서 북․미간 평화협정(잠정협정, 불가침조약) 체결을 통한 ‘새로운 평화보장체계’의 구축을 주장하고 있다. 북한의 한반도 평화체제 구상에 관한 공식 주장은 남북간의 불가침선언, 미․북간의 평화협정, 남북한의 무력감축, 그리고 주한미군의 철수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대조적으로 남한은 남북고위급회담(정상회담)을 통하여 한반도 평화를 위해서 남북간 정치적 신뢰구축, 남북간 불가침선언과 같은 법적 신뢰구축, 군사적 신뢰구축, 군비통제, 남북간 평화협정, 한반도 평화의 국제적 보장 등이 이루어져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한반도에서의 근본적인 긴장완화와 평화체제가 구축되기 위해서는 정전협정을 평화협정으로 바꿔야 하며 이 과정에서 북-미 적대관계 해소, 주한미군문제, 전시작전통제권문제 등의 문제가 논의 되어야 한다. 평화체제 구축 이전, 우리의 우선과제는 군사직통전화 설치와 군사공동위원회 가동 또는 군사당국자회담을 통한 남북간 군사적 신뢰구축과 긴장완화 조치를 취해나가는 것이다. 또한 1992년의 남북기본합의서의 불가침합의를 토대로 한반도 긴장완화와 평화구축을 주 의제로 제2차 남북정상회담을 개최하여 남북기본합의서를 복원하는 선언을 통해서 불가침합의를 재확인하는 절차를 밟는 것이 필요하다.

      • KCI등재

        다국어 병렬 말뭉치의 구축과 한국어교육 연구에의 활용

        민경모 계명대학교 한국학연구원 2020 한국학논집 Vol.0 No.78

        The aim of this research is to examine the potential problems which can be encountered while constructing a multilingual parallel corpus, and to give concrete examples showing how multilingual parallel corpora can be useful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studies. Language education studies have expressed much interest in exploring differences in the parts of a language which cause difficulties for learners from different language groups. For this reason, the contrastive linguistic methodology has been used to examine differences and similarities between the target language and the learner’s mother tongue. In the case of applicative purpose contrastive studies, objectively extracting matching pairs from the two languages is above all important. Parallel corpora are used as the primary data for extracting the matching pairs, and the issue of their construction and use has been actively discussed since the 1990s. Since parallel corpora have such an important meaning as the primary data in language studies, large scale projects to construct parallel corpora were conducted in each country, and in Korea a great number of parallel corpora was constructed through the Sejong Project. Yet, when it comes to the parallel corpora constructed until now, the majority of them were parallel corpora of only two languages, and the target languages were mostly limited only to major languages. In particular, there has been no parallel corpus in Korea which included more than 3 languages, and the target languages have been extremely limited to languages such as English, Chinese, Japanese, French, German, etc. If we examine the problem of constructing parallel corpora from a contrastive studies perspective with Korean education in mind, the existing parallel corpora, with the exception of Chinese, have no relation to the mother tongues of the main Korean learners groups at the moment. Since the contrastive studies for Korean language education have a prerequisite of promoting understanding between the mother tongues of the learners, there is a need for constructing parallel corpora of Korean and mother tongues of the learners. Moreover, there is also a need to gather the primary data for contrastive studies on the types of languages by constructing multilingual parallel corpora of not only two, but also three or more languages. The discussion on constructing multilingual parallel corpora of three and more languages and constructing parallel corpora of minority languages is dealt with in this presentation for the first time in Korea. In this research, we construct experimental multilingual parallel corpora of Korean and English, Vietnamese, Uzbek, Thai, and Sinhalese, and also examine the problems of constructing multilingual parallel corpora centred around Korean. We examine the problems of data selection, hub languages, character codes, and example search which emerge in the construction of multilingual parallel corpora of minor languages. We also look into concrete examples on how to extract matching pairs of vocabulary to apply in parallel corpora by using a multilingual example search tool, which is being currently developed. 이 연구는 다국어 병렬 말뭉치를 구축하고자 할 때 발생하는 문제를 살피고, 한국어교육 연구에서 다국어 병렬 말뭉치가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음을 실례를 들어 보이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언어교육 연구에서는 학습자가 어려워하는 학습 항목의 언어권별 차이를 밝히는 데 많은 관심을 기울여 왔다. 이를 위한 한 방편으로 목표 언어와 학습자 모어 간의 차이점과 유사점을 살피는 대조언어학적 방법론이 유용하게 활용되고 있는데, 응용적 목적의 대조 연구에서는 우선적으로 언어 간 대응쌍을 객관적으로 추출하는 것이 중요하다. 병렬 말뭉치는 언어 간 대응쌍 추출에 이용되는 기초 자료로, 구축 및 이용의 문제가 1990년대부터 활발히 논의되어 왔다. 병렬 말뭉치는 언어교육을 위한 기초 자료라는 측면에서 중요한 의미를 지니기에 세계 각국에서는 대규모의 병렬 말뭉치 구축 사업을 실시하였고, 국내에서도 세종계획을 통하여 상당량의 병렬 말뭉치를 구축하였다. 그러나 지금까지 구축된 병렬 말뭉치는 두 언어 간 병렬 말뭉치가 주를 이루고, 구축 대상 언어도 주요 언어에 국한되어 있다. 특히 국내에서는 세 언어 이상의 병렬 말뭉치, 즉 다국어 병렬 말뭉치가 아직까지 구축된 바 없으며, 구축 대상 언어도 영어, 중국어, 일본어, 프랑스어, 독일어 등 극히 한정된 언어에 머물러 있다. 한국어교육을 위한 대조 연구에 초점을 두어 병렬 말뭉치의 구축 문제를 살펴보면, 지금까지 구축된 병렬 말뭉치는 중국어를 제외하고는 현재의 주요 한국어 학습자 층의 모어와는 괴리된 측면이 있다. 한국어교육을 위한 대조 연구는 학습자 및 학습자 모어의 이해를 도모한다는 대전제가 있기에 한국어와 한국어 학습자 모어 간 병렬 말뭉치 구축이 요구된다. 또한 두 언어 간 병렬 말뭉치가 아닌 세 언어 이상의 다국어 병렬 말뭉치 구축을 통하여 언어 유형에 기반한 대조 연구의 기초 자료를 확보할 필요성도 제기된다. 이 연구에서 다루는 세 언어 이상의 다국어 병렬 말뭉치 구축 논의나 소수 언어를 대상으로 한 병렬 말뭉치 구축 논의는 국내에서 처음으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여기에서는 한국어와 영어, 베트남어, 우즈베크어, 태국어, 신할리즈어 간 다국어 병렬 말뭉치를 시험적으로 구축하고, 한국어를 중심 언어로 하는 다국어 병렬 말뭉치 구축의 문제를 살펴본다. 이어서 언어 간 대응쌍 추출의 예를 통하여 다국어 병렬 말뭉치가 한국어교육을 위한 기초 자료로서 유용하게 쓰일 수 있음을 보이고자 한다. 다국어 병렬 말뭉치의 구축 문제에서는 소수 언어를 병렬 말뭉치로 구축할 때 발생하는 자료 선택의 문제, 연계 언어의 문제, 문자 코드의 문제, 용례 검색의 문제를 살피고, 다국어 병렬 말뭉치의 활용에서는 개발하고 있는 다국어 용례 검색기를 통하여 언어 간 대응쌍을 어떻게 추출할 수 있는지를 실례를 들어 보일 것이다.

      • KCI등재후보

        효과적 e-HRM 시스템 구축을 위한 주요성공요인 분석에 관한 실증 연구

        박순길 ( Soon Gil Park ),한경석 ( Kyeong Seok Han ) LGCNS 엔트루정보기술연구소 2006 Entrue Journal of Information Technology Vol.5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 기업들이 e-HRM 시스템 구축으로 인하여 얻게 되는 구축성과를 생산성 향상과 조직 활성화, 전체 만족도로 구분하고, 구축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들을 추출한 후, 각각의 요인과 성과 간의 관계를 실증하고자 하는 것이다. 연구 모형의 실증적 분석을 위한 자료는 우리나라 기업에서 e-HRM 시스템을 구축하여 운영 중이거나 부분적으로 구축하여 운영하고 있는 기업을 대상으로, 설문 응답자는 인적자원관리 업무 담당자와 e-HRM 시스템 구축을 이해하고 있는 사원들을 중심으로 구성하였다. 본 연구에서 효과적 e-HRM 시스템 구축을 위한 주요 성공요인을 국내외 선행연구자들의 연구결과를 기반으로 실증분석 한 결과, e-HRM 시스템 구축 성공요인인 최고경영자의 지원 및 필요성 강조, 효율적 시스템 구축, 정보시스템의 Web 기반 환경, 적절한 업무프로세스 정립을 위한 S/W 구축이 기업의 생산성 향상과 조직 활성화 및 전체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정보시스템의 사용경험에 따른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산업별 특성에 따른 e-HRM 시스템 구축 성과의 차이에 대한 분석으로 분산분석 결과 생산성 향상과 조직 활성화 부문에서는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전체 만족도 부문에서는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연구결과 효율적 e-HRM 시스템 구축을 위한 주요 성공요인으로 효율적 시스템 구축, 최고경영자의 지원 및 필요성 강조, Web 기반 정보시스템 환경, 업무프로세스 정립 및 S/W 패키지의 적절성은 구축성과인 생산성 향상과 조직 활성화 및 전체만족도에 영향을 주는 중요한 요인으로 검증되었다. 따라서 기존의 대부분의 연구들은 사례분석을 주로 하였으나, 본 연구는 효율적 e-HRM 시스템을 성공적으로 구축할 수 있는 방안을 위한 모델 제시와 실증분석을 통한 구축성과와 성공요인간의 관계모형을 체계화하고, 향후 e-HRM 시스템을 구축하려는 기업들에게 효과적인 구축방안을 제시하는데 기여하였다고 본다. This research identified the performance variables by examining the data from e-HRM Systems implemented by Korean companies. The performance variables are identified as the improvement of productivity, the active organizational behavior and the level of satisfaction. This empirical study also investigated the factors that affect the performance variables to find out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them, using statistical analysis such as regression analysis, t-test and ANOVA. The data for the empirical analysis were collected from Korean companies that have implemented e-HRM Systems. The respondents are e-HRM managers, operators, and users who are using Web-based e-HRM Systems.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critical success factors are significantly related to those performance variables are CEO supports, the effective system implementation, Web environment of IT system, and S/W adoption based on the appropriate business process design. Second, there i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advanced groups with much IT experience and less experience groups. Consequently this study contributes to find out critical success factors to implement efficient e-HRM Systems in terms of practical view poin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