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김정은,정경옥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2009 지체.중복.건강장애연구 Vol.52 No.4
This study was conducted in order to investigate change of teacher efficacy of student special education teacher through teaching practice. The study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After Participating teaching practice experiencing, there were statistically differences in total teacher efficacy and personal teacher efficacy. Second, it was revealed that 3 factors: mastery experience, vicarious experience, social persuasion, would have effect on the teacher efficacy of student special education teacher through teaching practice. That is, the teacher efficacy of student special education teacher was improved as more opportunities for performance experience of successful teaching and observing the successful teaching of other models were given during the teaching practice period. And more positive verbal encouragements were offered from all members of practice institutes. This finding would be meaningful as a foundation to indicate the desirable direction for teaching practice for increasing the efficacy of student special education teacher in the future. 본 연구는 교육실습을 통한 예비특수교사의 교사효능감 변화를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대상은 부산⋅경남⋅충남 지역의 특수교육관련 학과에 재학 중인 4학년 학생 중 교육실습을 다녀 온 예비특수교사 123명이다. 이들을 대상으로 먼저, 교사효능감 변화를 분석하기 위해 교육실습 전⋅후의 평균 차 검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전체 교사효능감과 개인적 교사효능감은 교육실습 전보다 후에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낮았다. 둘째, 배경변인별 차이를 살펴본 결과, 장애학생 지도경험이 있는 예비특수교사는 교육실습 전⋅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지만 지도경험이 없는 교사들은 교육실습 전에 비해 후에 교사효능감이 유의미하게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전공별로 살펴본 결과, 초등특수교육 전공 예비교사들은 교육실습 후에 전체 교사효능감과 개인적 효능감이 유의미하게 낮아졌으며, 중등특수교육 전공 예비교사들은 전체 교사효능감, 개인적, 일반적 효능감 모두 실습 후에 유의미하게 낮아졌다. 이에 비해 특수체육교육 전공 학생들은 교육실습 전⋅후에 유의미한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 이와 더불어 예비특수교사들이 기술한 설문 내용을 통해 교육실습 전⋅후 교사효능감 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원인이 무엇인지를 질적 분석을 통해 살펴보았다. 그 결과, 예비특수교사들은 교육실습 기간 동안의 성공경험, 정서적 지지, 대리적 경험 등의 경험에 따라 교사효능감에서 변화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박인심 ( Park¸ Insim )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20 교육문화연구 Vol.26 No.6
본 연구는 중등 예비교사의 교사효능감에 대한 교육실습의 효과를 분석하고, 교육실습 후 예비교사의 교사효능감과 관련 있는 요인을 탐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서 S여대 교직과정의 중등예비교사 30명을 대상으로 실습 전·후에 교사효능감 수준을 측정하고, 실습 종료 후에 교육실습 전반에 관한 의견조사를 실시하였다. 교육실습의 효과 분석에는 실습 전과 후 교사효능감 수준 차이를 검증하는 대응표본 t-test와 효과크기 Cohen’s d를 사용하고, 교사효능감 관련 요인 탐색에는 단계적 중다회귀분석을 활용하였다. 분석 결과, 예비교사의 교사효능감은 전체 및 3개 하위영역 모두에서 유의하게 향상되었고, 실습 전후의 효과 크기도 .77~.94로 높게 나타났다. 실습후의 교사효능감에 영향을 주는 요인은 교사효능감의 하위 영역에 따라 차이를 보였지만, 실습생의 실습 전 교직 희망, 실습과정에서의 학급지도 경험이 관련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실습전 교직 희망, 수업실행횟수, 학급지도 경험은 교사효능감을 설명하는 예측변인들로 확인되었다. 분석 결과를 토대로 예비교사의 교사효능감에 대한 교육실습의 효과와 교사효능감 영향 요인을 논의하고, 효과적인 교육실습 프로그램 설계·운영과 교사 양성교육 개선을 위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이 연구는 교사 양성교육의 핵심 요소인 교육실습의 이론을 구축하는 데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influences of teaching practicum on the teaching-efficacy of the secondary pre-service teachers. This study also explored the factors related to the teaching-efficacy of pre-service teachers. This study measured the teaching-efficacy before and after the teaching practicum of 30 pre- service teachers and conducted an opinion survey on the overall teaching practicum. The t-test was used to verify the difference in the level of teaching efficacy before and after the practicum and Cohen's d was used. Then, pearson correlation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to identify factors related to teaching efficacy. As a result, the teaching efficacy of the pre-service teachers was significantly improved in total and all three sub-areas, and the effect size before and after practice was also high, ranging from .77 to .94. Factors influencing the teaching efficacy showed differences according to the sub-area of the teaching efficacy, but it was found that the pre-service teachers’ desire for a teaching job and classroom management experience in the practicum process were related. Particularly, the teaching job hope, the number of classes performed, and classroom management were identified as predictive variables that explain the level of teaching efficacy. Based on the results, teaching practicum on pre-service teachers' teaching efficacy and factors influencing on it were discussed. and implications for designing and implementing an effective teaching practicum program and teacher training were suggested. This study will be used as basic data to construct the theory of teaching practicum.
교육실습 지원을 위한 사용자 중심의 온라인 시스템 설계 방안 탐색
임성만(Lim, Sung Man),정용재(Joung, Yong Jae),설양환(Sol, Yang Hwa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0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0 No.4
교육실습은 예비교사들에게 많은 영향을 미치는 교육과정으로 체계적이고 계획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이를 위해 이번 연구는 교육실습을 체계적으로 지원할 수 있는 교육실습 지원 온라인 시스템의 필수 요소를 추출하고, 이를 바탕으로 사용자 중심의 시스템 설계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는 2018년 9월부터 2019년 8월까지 진행되었다. 시스템의 설계를 위해 교육실습 지원 웹사이트를 운영하고 있는 미국 대학 3곳과 싱가포르 대학 1곳, 현장실습 지원 웹사이트를 운영하고 있는 국내 대학 5곳을 분석하여 교육실습 지원 온라인 시스템의 필수 요소를 추출하였다. 이후 추출한 필수 요소를 반영하되 사용자별로 접속할 수 있는 사용자 중심의 교육실습 지원 온라인 시스템을 설계하였다. 시스템에 주요 요소로는 교육실습 신청, 배정, 이력을 확인할 수 있는 ‘교육실습’메뉴, 교육실습과 관련된 다양한 자료를 업로드 또는 다운로드할 수 있는 ‘자료실’, 교육실습생, 지도교사, 지도교수의 의사소통을 위한 ‘커뮤니티’메뉴 등이 구성되었다. 특히 실제 교육실습이 이루어지고 교육실습에 관련된 다양한 업무를 담당하는 실습학교에 대한 메뉴를 구성하여 업무의 효율성을 높이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교육실습과 관련된 웹사이트를 구성하고자 하는 교원양성기관이나 교육실습 운영 모형 개발연구에 도움을 줄 수 있으리라 생각된다. The teaching practicum should be done systematically and intentionally as a curriculum that has a great influence on the preliminary teacher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tract the essential elements of online education support system which can systematically support teaching practicum, and to search user - oriented system design method based on this system. The study was conducted from September 2018 to August 2019. For the design of the system, we analyzed 3 US universities, 1 Singapore university, and 5 domestic universities that run the field practice web site. Through the analysis, the system was designed after extracting the essential elements of online training system. The online system is designed to be able to connect to each user considering the convenience of the user by referring to the field practice support web site. The main elements of the system are the Training Practice menu, which allows user to check application, placement and history of teaching practice, Resource Room , where users can upload or download various materials related to teaching practice, And a community menu for communication. In particular, we tried to improve the efficiency of the work by organizing the menu for the practice school where the practical education practice was performed and the various tasks related to the education practice were carried out.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helpful in developing the teaching practicum models and the teacher training institutes to develop web sites related to teaching practicum.
교육실습 연계 대학 강좌의 실습 사전교육이 예비화학교사의 실습수업에 미치는 영향
장효순,고은정,최병순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연구원 2014 敎員敎育 Vol.30 No.3
이 연구는 교육실습 연계 대학 강좌를 수강한 예비화학교사의 실습수업의 특징을 사례 연구의 방법으로 분석해 봄으로써 실습 사전교육이 예비화학교사의 교육실습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한 것이다. 이 연구에서 개발한 교육실습 연계 대학 강좌의 실습 사전교육은 현장 과학교사의 수업 동영상을 보고 논의하는 모델링 단계와 CoRe(Content Representation)와 수업지도안을 작성한 뒤 마이크로티칭을 하는 개발 단계로 구성하였다. 연구를 위하여 예비화학교사 P의 실습수업과 마이크로티칭 수업, 그리고 강의 녹화 자료 및 면담 녹음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결과, 예비화학교사 P는 실습수업에서 활발한 상호작용에 기초하여 좋은 과학수업의 특징이 많이 드러나는 수업을 하였다. 교육실습 연계 대학 강좌의 실습 사전교육에서 현장 과학 교사의 수업에 대한 논의를 통해 좋은 과학수업에 대한 안목을 형성하고, 수업 설계 능력과 실행 능력을 신장시키며 심리적인 준비를 한 상태로 교육실습 참여할 수 있었던 점이 예비화학교사 P의 실습수업에 영향을 준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 연구를 통해 교육실습과 연계된 대학 강좌의 현장성 있고 실제적이며 체계적인 실습 사전교육이 예비교사의 수업 전문성 신장에 도움이 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e purposes of this case study were to analyze features of pre-service chemistry teacher's practice teaching and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the curriculum in advance of practicum of the practicum-affiliated course. The researchers developed the curriculum of the practicum-affiliated course and opened the class 'Practice of Chemistry Lesson' for the pre-service chemistry teachers who were expected to participate in the practicum. The process of modeling and developing were served to them in advance of practicum. In modeling, pre-service chemistry teachers observed science teachers' science classes and discussed about good science class. In developing, they developed CoRe(content representation) and teaching plan of the unit which they would teach in practicum and practice it microteaching. The data of this research are the videotaped lectures, the pre-service chemistry teacher P's videotaped classes in practicum and his microteaching class. Semi-constructed individual interviews from the pre-service chemistry teacher P also collected. In result, He could develop educational connoisseurship about good science class and prepare practically to the practicum. As the result, He presented many features of good science class in practicum based on good interaction with students. He could enhance his teaching ability by the curriculum in advance of practicum of the practicum-affiliated course.
간호대학생의 동영상 활용과 가상 시뮬레이션 실습에 대한 온라인 임상실습교육의 효과
박혜서,오윤희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3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3 No.7
목적 본 연구에서는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온라인 임상실습 기반의 동영상을 활용한 실습교육과 가상 시뮬레이션 실습교육의 효과를 비교하여 분석하였다. 방법 연구대상은 일 지역 간호학과 3학년 학생으로 동영상 활용 실습군 31명, 가상 시뮬레이션 실습군 34명 총 65명이었다. 동영상활용 실습군에는 임상 상황의 콘텐츠를 포함하는 동영상 활용 온라인 실습 교육을 개발하여 제공하고, 가상 시뮬레이션 실습군에는온라인 가상 현실 시뮬레이션 학습을 제공하였다. 실습교육의 효과는 임상실습 스트레스, 임상실습 자기효능감, 임상수행능력 및만족도를 확인하여 비교하였으며 온라인 설문조사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결과 온라인 기반 임상실습 후 동영상 활용 실습군의 임상실습 스트레스는 유의하게 낮아졌고, 가상시뮬레이션 실습군은 높아졌으나 유의하지 않았다. 임상실습 자기효능감의 차이는 동영상 실습군에서 높아지고, 가상 시뮬레이션 실습군에서는 낮아졌으나 유의하지 않았다. 온라인 임상실습 후에 임상수행능력과 임상 실습만족도의 두 군 간의 차이는 유의하지 않았다. 결론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하여 동영상은 실습교육은 기존의 가상현실 시뮬레이션 교육과 비교하여 비용효과적인 측면에서 효율적인 교육방법이 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조운주,이춘자 한국교원교육학회 2002 한국교원교육연구 Vol.19 No.2
교사교육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방법으로 실습지도교사 교육을 실행하고 있으나 우리 나라 교사들의 경우 항상 시간 부족에 직면해 있어서 시행의 어려움이 많다. 정보 통신 공학인 웹이나 인터넷을 활용하므로 시·공간의 제약의 문제를 극복할 수 있고 능동적인 학습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교육 실습지도교사를 위한 참여교육의 연장으로 실습지도교사-실습지도교사, 실습지도교사-지도교수 간의 협의와 지원이 가능한 인터넷 지원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것이다. 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해서 웹기반 학습 개발 틀에 따라서 교사들의 요구를 분석하였고, 이를 기초로 인터넷 사이트를 설계(목표, 내용, 매체, 학습 방법, 화면 및 학습구조, 사용자 역할, 학습 관리, 평가)하고 제작하였다. 이를 시범 운영한 후, 평가의 과정을 거쳐서 유아교육 실습지도교사 인터넷 지원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교육실습 지원 온라인 플랫폼 관련 요구에 대한 사례 연구 : 교육실습 지도교사 의견을 중심으로
김순녀(Kim, Sun Nyeo),조미경(Cho, Mikyung),정용재(Joung, Yong Jae),설양환(Sol, Yang Hwan) 공주교육대학교 글로벌인재교육센터 2020 교육실습연구 Vol.2 No.1
본 연구는 교원 양성을 위한 교육실습 지원 온라인 시스템을 설계하기 위한 기초 조사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온라인 플랫폼을 사용하게 될 현직교사가 생각하는 교육실습 지원 온라인 플랫폼의 의미와 교육실습 플랫폼에 대해 요구하는 바를 알아보는 것이다. 연구의 목적과 취지에 따라 연구자와 일대일 면담을 실시하였으며, 참여한 대상자는 유아교사 2명, 초등교사 2명, 중등교사 3명 모두 7명이다. 면담은 2019년 11월부터 2020년 3월까지, 일대일 면담으로, 각각 1회씩 진행되었다. 연구 결과, 첫째, 교육실습 지원 온라인 플랫폼의 의미와 관련하여, 본 연구에 참여한 교육실습 지도교사들은 온라인 플랫폼이 현장 교육실습의 업무를 경감해 주는 지원시스템이며, 실습생이 대학교에서 배운 교육이론과 실제가 잘 연결되도록 돕는 지원체제로 인식하고 있었다. 둘째, 플랫폼 시스템에 대한 지도교사의 요구는 크게 두 가지였는데, 한 가지는 교육실습 지원 온라인 플랫폼이 교육실습록, 수업지도안 등 각종 문서 작성과 검토 과정에서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어야 한다는 것이고, 다른 한 가지는 교육실습 지원 온라인 플랫폼은 교직 문화를 이해하기 위한 사전 준비 및 가이드를 제공함으로써 교사로서의 태도와 품성을 함양하는 매개적 역할을 할 수 있어야 한다는 것이었다. This study is a basic research for designing teaching practicum support online system for teacher training. The primary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meaning that the present instructors who will use online platform gives to the teaching practicum support online system and what they demand for the teaching practicum platform. According to the purpose and intent of this study, one-on-one interview with the researcher was conducted and the subjects who participated included 2 infant teachers, 2 elementary teachers, and 3 middle school teachers: 7 in all. The interview was conducted from Nov. 2019 till Mar. 2020, in one-on-one interview method, and once for each. As a result of the study, first, relating to the meaning of the online platform supporting educational practice, the teachers who participated in this study recognized the online platform as a support system to reduce the work of on-site teaching practicum, and as a support system to help the pre-service teachers connect well with the educational theory and educational practice. Second, the teacher s demand for the platform system has been largely twofold: one is that the online platform should be useful in the process of writing and reviewing various documents including teaching practicum journal training practice books and teaching guides; the other is that the online platform should serve as a medium for cultivating attitudes and character as teachers by providing advance preparation and guidance for understanding teaching culture.
교육실습생의 갈등에 관한 분석연구 : 서울 · 경기지역 사립초등학교를 중심으로
정혜영 한국교원교육학회 2003 한국교원교육연구 Vol.20 No.3
본 연구는 교육실습 기간 동안 교육실습생들이 경험한 갈등상황을 사례로 작성하게 하여, 교육실습생이 경험하는 어려움과 교육실습 프로그램의 개선방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교육실습생들이 지목한 갈등상황은 아동의 생활지도 영역이 가장 많았고, 교육실습생과 실습학교의 교육에 대한 견해 차이, 교육실습생이라는 불안정한 지위로 인하여 실습학급에 파급되는 부정적인 영향력, 그리고 학부모와의 관계 정립 순으로 나타났다. 보다 나은 교육실습 프로그램이 되기 위해서는 교육실습에 관여하는 주체(대학, 실습학교, 교육실습생)간의 지속적 대화 및 관계 유지의 중요성, 각 주체의 책임의식과 역할 분담 논의의 필요성을 지적하였다.
이순덕(Soon Deok Lee) The Research and Information Service 2011 남부대학교 논문집 Vol.11 No.-
이 연구는 교육실습 전과 후의 예비교사 역량 중요도와 역량 수준 변화를 분석함으로써, 교육실습이 예비교사들의 교사 역량 및 전문성 향상에 기여하는지 파악하는 것이 목적이다. 또한 예비교사들이 교육실습을 어떻게 평가하는지를 파악함으로써 교육실습 개선 방안을 모색할 수 있을 것이다. 이 를 위해 교육실습생 38명을 대상으로 교육실습 전과 후에 예비교사들의 역량중요도 수준과 현재역량 수준 간 차이를 분석하였고, 교육실습에 대한 긍정적 측면, 부정적 측면과 함께 전체적인 만족도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육실습 전, 예비교사들의 역량중요도 수준과 현재역량 수준 간에는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둘째, 교육실습 후, 예비교사들의 역량중요도 수준과 현재역량 수준은 모두 향상되었지만, 이 둘 사이에는 여전히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셋째, 교육실습 전과 비교하여 실습 후에는 역량중요도 수준과 현재역량 수준이 모두 향상되었다. 넷째, 예비교사들을의 교육실습 만족도는 전반적으로 높은 경향이 있다 예비교사들은 교직관 변화와 교수법 향상 관점에서 교육실습의 교육적 가치를 찾았다 즉, 교육실습실습설해 교직에 대한 관점실습확고히 하는 제기가 된 점, 수업 진행과 관련한 능력 및 교수법이 향상된 점실습긍정적으로 평가했다. 반면, 교육실습 기간이 짧아서 다양한 실습 기회를 제공받지 못한 점실습부정적으로 평가했다. 이러한 결과들은 교원양성기관의 교사교육 목표 설정 및 내용선정과 교육실습기관의 교육실습생 지도 방향 설정 및 운영 방식 결정에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한다.
이경희 ( Kyung Hui Lee ) 경희대학교 교육발전연구원(구.교육문제연구소) 2006 慶熙大學校 敎育問題硏究所 論文集 Vol.22 No.1
본 연구는 경희대학교 학부 및 교육대학원생들의 2006학년도 1학기 교생실습 상황을 고찰한 것이다. 설문조사를 통하여 교육실습의 내용과 현황을 분석하고, 그 장점과 문제점 등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구체적으로 다룬 내용은 실습학교의 환경, 담당교과목, 생활 지도와 특별활동, 학업 및 행정업무, 교육실습 전반에 대한 평가 등 5개 영역이다. 본 연구의 결과는 향후 교육실습생을 위한 사전 교육자료 및 효율적인 교육실습제도의 정착을 위한 기초 자료로 사용할 것이다. 본 연구를 위하여, 2006학년도 1학기 교육실습에 참여한 경희대학교 학부 및 교육대학원 재학생 393명(학부 179명과 대학원생 214명)을 설문연구의 표집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다. 본 설문조사는 2006년 5월 1일부터 6월초까지 이루어졌으며, 총 552부를 배포하여 339부가 회수(61.4%) 되었다. 조사는 교육 실습이 끝난 후 교육실습 평가회 시간에 담당 교수들과의 협조를 받아 이루어졌다. 본 연구는 설문조사를 통하여 교육실습의 내용과 현황분석 하였고, 그 결과 도출된 결론을 토대로 교육실습의 내실화 방안과 효율성 증진 방향을 제시하였다. 첫째, 교육실습 대상학교의 실습학생 수 조정 필요성, 둘째, 수업진행을 위한 체계적 교육 및 연습의 필요성, 셋째, 생활지도 및 특별활동 지도를 위한 능력 배양의 필요성, 넷째, 학생들과의 관계형성 증진 방법 및 통솔력 배양 필요성, 다섯째, 교육실습의 보완 및 실습제도의 개선 필요성 등을 개선의 논점으로 제기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measures for improvement of the student teachers` practicum of secondary schools. Questionnaires were used in order to achieve the goals of the study. The subjects of this project included 96 college student teachers and 124 graduate student teachers of both Suwon and Seoul campuses. A Chi test using SPSSWin 12.0 version was conducted on data collected from 220(86.6% return rate) of 330 questionnaires to clarify frequencies and differences between college and graduate school and also between Seoul and Suwon campus. Suggestions : Based 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following suggestions were made for improvement of the student teachers practicum: A higher number of schools accommodated 66-70 student teachers from five or seven colleges and universities. There should be a guideline for the appropriate number of student practitioners accommodated for one school in order to provide more effective and efficient atmosphere and programs. Student teachers expressed strongly the needs to learn teaching skills and acquire sufficient subject knowledge before their practicum. They also felt difficulties in creating learning atmosphere, maintaining students` interests of learning, and drawing their attentions to class discussions. Most of student teachers have experienced difficulties in extra curricular activities and counseling students. Practicum courses should help student teachers to acquire more knowledge and to develop skills prior to their practicum. Student teachers expressed strong needs to learn ways to build good rapport with their learners. Efforts should be made to establish the efficient teaching practicum program that incorporates all necessary teacher facilitated and student centered teaching skills. Secondary schools and universities should make collaborative efforts to improve the overall structure and management of the student teacher practicum. They should consider in terms of the extension of practicum period, adequate preparation before their practicum, and arrangement of more practicing school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