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경험서사를 활용한 소설 창작교육의 내용 연구

        정래필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6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6 No.9

        근대에 일인자로 군림하던 소설은 크고 무거운 스토리로 독자들을 열광시켰지만 이제는 작고 가볍지만 앎과 깨달음을 줄 수 있는 일상 속의 경험서사가 독자의 눈길을 끌고 있다. 소설가와 같은 전문작가가 아니라도 문학을 좋아하고 즐기는 사람이라면 누구나 자기가 겪은 일을 언어로 표현하고 이해할 수 있다. 독자들은 ‘문제적개인’의 처절한 ‘여행’보다는 우리 주변에서 언제든 일어날 수 있는 작은 이야기에 관심을 보였고, ‘성숙한 남성의 문학’보다는 누구나 쓰고 읽을 수 있는 소소한 이야기에 흥미를 느끼기 시작했다. 굳건하던 소설의 아성에 금이 가기 시작한다. 이러한 경험서사는 기존의 소설교육을 보완하고 확장하는 가능성을 지닌 장르이다. 이러한 점을 고려한다면 경험서사교육과 소설교육을 통합할 수 있는 방향에 대한 진지한 고민이 필요하다. 이 글은 경험서사 쓰기를 소설 창작의 전단계에서 수행할 수 있는 활동으로 제안하고자 한다. 소설교육은 문학의 변두리에 머물고 있는 경험서사를 적극 수용해 교육 내용이나 방법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 경험서사의 구성 원리는 경험의 구성, 대화적 관계 형성, 그리고 경험을 통한 의미 생성 등이다. 이는 소설 창작의 원 리와 유사하다. 경험서사 쓰기는 소설 창작을 위한 가교 역할을 담당할 수 있다. 학습자는 개인적인 경험이나 역사적 사건 등을 경험서사로 표현하고, 여기에 소설적 장치를 동원하고 허구적 상상력을 발휘해 한편의 소설로 형상화할 수 있다. 경험서사의 스토리 세계를 소설 장르로 담론화 하는 과정에 주체의 관점과 허구적 인식이 작용한다. 본고는 캐릭터의 변환, 사건의 구성, 장면의 제시 등에 주목해 소설 창작 교육의 내용을 제시했다. 경험서사는 소설 창작교육에서 다음과 같은 의미를 지닌다. 첫째, 경험서사 쓰기는 소설 창작교육의 위계화에서 한 부분을 담당한다. 둘째, 경험서사 쓰기 능력은 소설 창작 능력을 기르는 데 도움이 된다. 셋째, 경험서사 쓰기는 소설 창작교육과 매체교육을 통합하는 데 기여한다.

      • KCI등재

        소설 해석의 세 가지 방법에 따른 소설교육의 내용 구안

        선주원 한국국어교육학회 2013 새국어교육 Vol.0 No.95

        This paper examined that planned the content of novel teaching through the method of novel interpretation, and how have the value in a level of a novel teaching. For examination, divided the method of novel interpretation in a intentional reading, symptomatic reading, adapting reading, planned the content of novel teaching through these. The content of novel teaching through the method of novel text interpretation was developed this frame. The planning a content of novel teaching through hierarchy of novel text interpretation in level has the difference next. The first, has the different characteristics of existing novel teaching content planned focusing a learner’s content comprehension or a novel text analysis, planning hierarchy through a learner’s interpretation level. The second, the novel contents planned hierarchy through a learner’s interpretation level has a difference with the novel teaching contents by planned a linking principle. The third, give a theoretical foundation can draw the subject of novel teaching through a planning the teaching content through a learner’s interpretation level. 이 글은 소설 해석의 방법에 따른 소설교육의 내용을 구안하고, 그것이 소설교육 차원에서 어떤 의의가 있는지를 논의하였다. 소설 텍스트 해석의 방법에 따라 소설교육의 내용을 구안할 수 있는데, 이 글에서는 해석적 위계화 모형에 따라 소설교육의 교육내용을 구안하였다. 즉, ‘의도 헤아리며 읽기’, ‘징후 파악하며 읽기’, ‘적용하며 읽기’와 같은 학습자가 소설 텍스트를 해석하는 양상을 중심으로 소설교육의 교육내용을 구안하였다. 소설 텍스트 해석 수준을 위계화하여 그에 따라 소설교육의 교육내용을 구안하는 것은 다음의 점에서 차별성을 갖는다. 첫째, 소설교육의 내용을 학습자의 해석 수준에 따라 위계화하여 구안함으로써, 학습자의 내용 파악이나 소설 텍스트 분석에만 치중하여 구안된 기존의 소설교육 내용들과는 다른 특성을 갖는다. 둘째, 학습자의 해석 수준에 따라 위계화하여 구안된 소설교육의 내용들은 연계성의 원리에 의해 구안된 소설교육의 내용들과 차별성을 갖는다. 셋째, 학습자의 해석 수준에 따른 교육내용을 구안함으로써 학습자 중심의 소설교육의 실체를 견인할 수 있는 이론적 토대를 제공한다.

      • KCI등재

        소설과 과학, 그 융합 교육의 가능성

        김지혜 서울대학교 국어교육연구소 2017 국어교육연구 Vol.40 No.-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possibility of convergence education of literature and science using modern novels that contain scientific discourses. In the 21st century, when each area solidly divided in modern society aims to be combined/converged again, this trend of convergence is being actively applied in the context of schools. In particular, the impending "2015 revised curriculum" emphasizes the cultivation of creative convergence-type talent, equipped with humanistic imagination and creativity of scientific technology by developing basic knowledge about humanities/society/scientific technology. However, the discussion of convergence education in the literature on education has mainly focused on the convergence education measures through science fictions. Therefore, this paper examined the possibility of convergence education of modern novels and science, beyond the range of science fiction, based on the significance of scientific discourses, highlighted in modern novels and in "translation" theory through "détour" by Latour. As a novel contains fictional imagination, it seems to be the most distant from science, which is based on fact and objectivity. However, these two areas provide a great contact point for convergence education in terms of showing different approaches to the same objects, such as the world and humans. Through convergence education, such literature and science could solve many ethical/social problems caused by the development of scientific technology in the complementary method. As novels include many scientific discourses, the change in people's perception and values could be analyzed, thereby facilitating humanistic introspection. In other words, convergence education using novels should analyze the scientific discourses in novels and also reflect on the life in the era of scientific technology in terms of humanities,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narrative genre containing the general understanding of life, instead of simply strengthening the acquisition of scientific knowledge. This paper considered the convergence education measures of novels and science by classifying the literature as follows: modern works influenced by scientific discourses of the time; works containing new medical perception of diseases such as tuberculosis and dementia; works addressing new scientific technologies and moral issues; and science fiction works containing the scientific imagination of future society. Through this, the direction and significance of convergence education of novels and science was examined as novel education. 본 논문은 과학적 담론들을 담고 있는 현대소설을 활용하여 문학과 과학의 융합교육의 가능성을 모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21세기는 근대사회에서 견고하게 분화되었던 각 영역들이 다시 통섭 및 융합을 꾀하는 시대로, 이러한 융합의 추세는 학교 교육 현장에서도 적극적으로 적용되기 시작하였다. 특히, 시행을 앞두고 있는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는 인문․사회․과학기술에 대한 기초 소양을 함양하여 인문학적 상상력과 과학기술 창조력을 갖춘 창의․융합형 인재 양성을 강조하고 있다. 그러나 문학교육에서의 융합 교육에 대한 논의는 주로 과학소설을 통한 융합 교육 방안을 중심으로 이루어져왔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Latour의 우회(détour)를 통한 번역(traduction) 이론, 현대소설에 나타난 과학 담론의 의미화를 바탕으로 과학소설의 범주를 넘어선 현대소설과 과학의 융합 교육의 가능성을 살펴보았다. 소설은 허구적 상상력을 담고 있기에 사실과 객관성을 기본으로 하는 과학과는 가장 먼 지점에 자리하고 있는 듯하다. 그러나 두 영역은 세계와 인간이라는 동일한 대상에 대한 상이한 접근 방식을 보여준다는 점에서 융합 교육의 좋은 접점을 제공한다. 이러한 문학과 과학은 융합 교육을 통해 과학기술의 발전으로 생기는 여러 윤리적, 사회적 문제를 상호보완적인 방식으로 해결해 나갈 수 있다. 또한 소설에는 여러 과학적 담론이 담겨 있어 당대 사람들의 인식과 가치관의 변화를 분석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인본주의적 성찰을 할 수 있도록 한다. 즉, 소설교육에서의 융합교육은 삶에 대한 총체적 이해를 담고 있는 서사 장르의 특징을 살려 단순히 과학적 지식 습득을 강화하는 방식이 아니라 소설 속 과학적 담론을 분석하고, 인본주의적 측면에서 과학기술시대의 삶에 대한 성찰하는 방식으로 진행되어야 한다. 본고에서는 당대의 과학 담론에 영향을 받은 근대의 작품들, 결핵, 치매 등 질병에 대한 새로운 의학적 인식이 담겨 있는 작품들, 새로운 과학기술과 그에 따른 윤리적 문제를 다루고 있는 작품들, 그리고 미래사회의 과학적 상상력을 담고 있는 과학소설 등으로 범주를 나누어 소설과 과학의 융합 교육의 방안을 고찰하였다. 이를 통해 소설교육의 측면에서 소설과 과학의 융합 교육의 방향 및 교육의 의의를 살펴보았다.

      • KCI등재

        소설교육의 실천적 지표에 대한 반성적 고찰 -이론과 교육과정의 매개 양상을 중심으로-

        김근호 ( Keun Ho Kim ) 국어교육학회 2007 國語敎育學硏究 Vol.30 No.-

        이 연구는 소설교육의 이론이 실천으로 매개되는 지점을 교육과정으로 보아 이를 반성적으로 고찰한다. 이를 위해 소설교육에 관한 이론의 흐름과 쟁점을 살펴보면, 소설교육은 소설을 포함한 문학을 고귀한 인문적 성취로 보는 것에서 출발하였다. 이는 문학의 뛰어난 가치는 자명한 것이고, 이에 따라 교육의 가치는 선험적·경험적으로 선결된다는 입장이다. 그러다가 문학을 특별한 전문가 집단의 전유물로 보는 편협한 시각을 탈피하여 문학의 일상 언어화라는 논리로 확장되었다. 서사 표현 교육, 소설 창착 교육 등의 문화 생산론적 담론이 소설교육의 핵심으로 등장하게 되면서 표현론의 가치가 문학교육을 견인하는 중심축으로 자리하게 되었다. 문제는 교육이론의 실천적 지표라 할 수 있는 교육과정에 나타나는 문제이다. 이와 관련하여 이 연구에서는 의도된 교육과정, 즉 공식 문서로서의 국어과 교육과정을 비판적으로 검토한다. 국어과 교육과정 속의 소설교육을 살피는 작업은 이론과 실천을 일종의 ``해석학적 순환``의 관계로 보는 일이다. 교육에서 이론은 실천을 통해 파악되고, 실천은 이론을 통해 조회될 수 있어야 하기 때문이다. 국어과 교육과정의 소설교육에 대해 다음과 같은 몇 가지 문제를 비판할 수 있다. 우선 국어교육에서 소설교육은 점차 현상적으로 ``유폐화``의 길을 갔다는 점이다. 이는 국어교육에서 이른바 ``기능론``의 전횡으로 인해 진행된 문학교육의 유폐화와도 맞물려 있다. 다음으로 문학적 고유성이 언어교육이라는 명목 하에 희박해지는 모습을 보인다는 점이다. 국어교육에서 문학교육은 언어교육임이 분명하다. 그러나 장르 고유의 특징이 탈색된 언어교육은 자칫 활동만 남고 그 본질은 상실될 위험이 있다. 다음으로는, 앞의 비판과 관련하여, 탈장르론의 교육적 맥락이 확대되고 이에 따라 생기는 교육적 위계화의 문제이다. 교육 내용의 위계화 차원에서 볼 때 소설교육은 구체에서 추상으로 이어지고 있는데, 그 논리가 장르의 통합 혹은 해체적 재구성으로 포장되어 있다. 문제는 고학년으로 갈수록 증가하는 이 같은 일반론적 수준의 선언이 자칫 문학교육의 연역화를 초래하여 다양한 문학 활동의 맥락과 주체의 작용을 고려하지 못할 우려가 있다는 점이다. 마지막으로 언급하고자 하는 바는 교육과정에 반영된 수용과 생산의 이분법이다. 앞으로 소설교육을 포함한 문학교육은 이러한 상투적 이분법을 넘어 문화론적 생산의 논리로 나아가야 한다. 소설 창작 교육이나 서사 표현 교육 등이 집중적으로 논의되는 흐름과 관련하여 문학교육에서 생산은 수용을 포월해야 한다. 교육은 명목뿐인 ``상상의 공동체``가 아니라 실질적인 ``상상의 공동체``를 지향해야 할 것이다. 이를 위해 이론과 실천의 상호작용을 촉진할 필요성이 있는데, 이와 관련하여 이 연구는 이론이 실천으로 매개되는 지점, 즉 교육과정을 비판적으로 검토하였다. In this paper I criticize the novel education in Korean education curriculum made of government document. Accomplishing this purpose, I investigated the history of novel education theories in Korean education discourse. The historical issues of novel education started to discover human excellences in literature including novel. But this has been exchanged by the new point of view about the language of literature. The language of literature was regarded as the same essentially of the ordinary language, and this viewpoint has expanded broadly in Korean education. In result, the education of narrative expression and the education of writing novel have the importance in the literary education. It is the Korean education curriculum that has raised the problem. Especially the documentary curriculum is foused as core problem. So I criticized novel education in Korean education curriculum to understand between education theories and practices. Education theories and practices have the relation of ``hermeneutic circle``. Firstly, in Korean education curriculum, novel education has been taken the wrong way to ``confinement``. This serious phenomenon has to do with the wrong way of literary education in general. Secondly, the original peculiarity of literary has been scattered broadly in Korean education. This can be called the ``dissemination`` of the original peculiarity of literary. On the contrary, the speciality of genre should be considered important in literary education. Thirdly, the phenomenon of ``de-genre`` in literary education gives rise to the problem of hierarchy of education. The higher literary education, the less elaborate in literary activities by the deductive educational logic. Lastly, the dichotomy of literary acceptance and production in education has the problem. We should break through this cliched dichotomy in literary education, and make discourse about the ``unification`` of literary acceptance and production. The education of narrative expression and the education of writing novel should be main stream in literary education. After all, in this paper I suggest the real community of education. To achieve it, we should be interested in the mediation of Korean education theory and practice including novel education.

      • KCI등재

        타자 지향의 소설 교육 연구

        오윤주(Oh Yunjoo)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9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9 No.2

        이 연구는 타자성에 주목하여 소설의 장르적 특성을 설명하고, 그간의 소설 교육에서 타자를 어떻게 다루어 왔는지를 비판적으로 고찰한 후, 이를 통해 타자 지향의 소설 교육에 대한 실천 방안을 제시하였다. 먼저 Bakhtin의 논의를 기반으로 하여 소설 장르에서 작가와 주인공의 층위, 인물과 인물 간의 층위, 작품과 독자 간의 층위를 중심으로 타자성이 드러나는 양상을 탐색하였다. 다음으로 소설 교육의 실체적 장에서 타자를 어떻게 설정하고 있는지를 비판적으로 성찰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소설 교육이 타자의 배제와 고정화, 나를 없애는 동일화, 연민을 통한 타자의 동질화의 양상을 보인다고 보고, 타자 지향의 소설교육을 위한 방안으로 소설 교육의 목적과 방향에 대한 제고, 소설 정전 스펙트럼의 다양화, 소통과 모색의 역동적 장으로서의 소설 교실, 절대적 답으로부터 탈주하는 소설 교육 등을 제안하였다. This study describes genre characteristics of novels with respect to “otherness,” and it critically examines how otherness has been dealt with in the education of novels. This study intends to provide practical measures regarding novel education; it explored the aspect of the otherness in the novel genre, focusing on the level of the artist and the hero, the level between the person and the character, and the level between the work and the reader. In this study, novel education is analyzed and shows the exclusion and immobilization of the other, identification with self-elimination, and identification with others through compassion. As practical measures about the education of novels aimed at the other, this study proposes the re-establishment of the purpose and direction in novel education, the diversification of the spectrum in the canon of novels studied, the need for novel education emphasizing interpretation and communication, and the requirement of an open mind to be able to run away from absolute answers.

      • KCI등재

        2015 개정 교육과정 한문 교과서의 소설 관련 교수-학습방법 구현양상 및 새로운 교수-학습방법의 모색

        류준경 한국한자한문교육학회 2018 漢字 漢文敎育 Vol.45 No.-

        본 논문은 2015 개정 교육과정이 적용된 고등학교 한문 교과서의 소설 부분에서 교수-학습방 법이 구현된 양상을 검토하고, 이를 바탕으로 새로운 한문소설 교수-학습방법을 모색하기 위해 작성되었다. 본고에서는 먼저 2015 개정 교육과정의 특징을 검토하였다. 검토 결과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는 이전 시기 한문 산문에 대한 다양한 성취기준이 통합되어 소략해졌고, 성취기준의 통합과정에서 한문소설에 대한 성취기준이 사라진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어 2015 개정 교육 과정이 적용된 13종의 고등학교 한문 교과서를 검토하였다. 2015 개정 교육과정의 한문 교과서는 이전 교과서에 비해 분량이 약 1/3이 감소하였는데, 그에 따라 한문소설을 수록하지 않은 교과서가 증가하였다. 2009 개정 교육과정에서는 거의 모든 교과서에 한문소설이 수록되었는데(10 종 중 9종),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는 약 31%(13종 중 4종)의 교과서에서만 한문소설이 수록 되었다. 한문소설 수록 교과서 가운데 새로운 교수-학습방법을 구현한 것은 단 1종으로, <춘향 전>의 한 장면에 역할놀이 교수-학습법을 적용하였다. 이본에 따라 다양한 변주가 일어나는 <춘향전>에 역할놀이 교수-학습법을 적용한 것은 매우 효과적인 방법이지만, 자칫 지나치게 자의적으로 작품이 해석될 가능성도 있다. 이에 교과서 해당 장면에 대한 해석의 개방성 정도와 역할놀이의 진행의 절차 등을 아울러 제시하였다. 이어 교과서의 분량과 수업 시수가 주는 현상황 에서 새롭게 한문소설 교육이 모색할 수 방안을 검토하였다. 교과 내적으로는 한자, 어휘, 단문 등의 학습요소를 소설 작품의 학습 과정에 포함하여 진행하는 방법을 모색해야 하고, 교과 외적으로는 교과 융합 수업을 통하여 수업 시수를 확보하는 방안을 모색해야 할 것이다. 아울러 현행 교과서에 수록된 한문소설을 중심으로 교육과정에 소개된 다양한 교수-학습방법을 적용한 성과 를 공유・집적하도록 노력해야 할 것이다. This paper was written to examine the aspects of the teaching-learning method implemented in the novel section of Chinese Classics textbooks that were applied with the revised national curriculum of 2015, and to explore new methods of teaching Sino-Korean novel. In this paper, I first review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revised national curriculum of 2015. As a result of the review, it can be seen that various achievement standards about the prose of the previous period were integrated and skewed in the revised national curriculum of 2015, and the achievement standards for the Sino-Korean novels disappeared in the integration process of the achievement standards. Then, I reviewed thirteen high school textbooks that were applied with the revised national curriculum of 2015, The volumes of the textbooks were decreased by about one third compared with the previous ones, and many textbooks did not include Sino-Korean novels. The new teaching-learning method has been implemented in only one of the textbooks, including the Sino-Korean novels, and the role-play teaching-learning method has been applied to one scene of <Chunhyangjeon春香傳>. Applying role-play teaching-learning method to <Chunhyangjeon>, which has a variety of variations depending on version, is a very effective method, but there is a possibility that the work may be described too arbitrarily. Thus, the degree of openness in interpretation and the procedure for the progress of role-play were also presented. In a situation where the volume of textbooks and the hours of class are decreased, I have looked into new ways to find new ideas in the Sino-Korean novel education. On the other hand, we should find ways to include learning elements such as Chinese characters, vocabulary, and short sentences into the learning process of novel works, while on the other hand, we should seek to get more class-time through interdisciplinary courses. In addition, we should try to share and integrate the achievements of applying various teaching-learning methods inthe revised national curriculum of 2015 to the Sino-Korean novel in current textbooks.

      • KCI등재

        소설 재구성 교육의 전개 양상과 창작교육적 전망 - 제7차~2015 교육과정 중⋅고등학교 국어 교과서를 중심으로 -

        김근호 한국문학교육학회 2024 문학교육학 Vol.- No.82

        소설 재구성 교육은 본격적인 소설 창작을 위한 과도기적 성격을 지님과 동시에 재구성 그 자체로도 유의미한 창작교육적 가치를 지닌다. 창작교육이 교육과정에 반영된 제7차 교육과정 이후 지금까지 시간이 꽤 흘렀는바, 그에 따라 창작교육의 한 축인 소설 재구성 교육이 어떻게 진행되어왔는지를 검토할 필요가 있다. 우선 소설 재구성의 개념을 검토하여 정돈할 필요가 있는데, 장르 내적 재구성으로 기성 소설 읽고 ‘채우기’, ‘덧붙이기’, ‘바꾸기’, ‘새로쓰기’ 등을 들 수 있고, 장르 외적 재구성으로 ‘장르 변용’과 ‘매체 변용’을 들 수 있다. 제7차 교육과정 이후의 중․고등학교 국어 교과서를 검토한 결과, 우선 제7차 교육과정은 공감 중심 재구성 활동의 편향성을 보였다. 다음으로 2007 교육과정에서는 재구성 유형 다양화가 시작되는 맹아적 수준을 보임으로써 그 다음 교육과정의 발전적 모습을 가능하게 했다. 그 다음 2009 교육과정에서는 소설 재구성 활동이 양적으로 증대됨과 동시에 각 세부 유형이 고루 분포하는 균형성을 보여주었다. 마지막으로 2015 교육과정에서는 장르 및 매체 변용 활동이 그 이전보다 부쩍 늘어났고 소설 재구성 활동의 전체 횟수도 고루 증대되었다. 이처럼 소설 재구성 교육은 점차 그 외형을 균형 있게 갖추어가며 시대 변화의 흐름도 능동적으로 수용해왔다. 그런데 7차 이후 교육과정의 전개 과정에서는 중․고등학교 국어 과목의 소설 재구성 교육이 다소 약화되거나 은폐되는 방식을 보였다. 하지만 그와는 달리, 교과서에서는 소설 재구성 교육이 점차 다채로워지고 언어 및 소통 환경의 변화를 적극적으로 담아내는 아이러니를 보여준다. 소설 재구성 교육이 조금씩 진전되어온 점을 감안하면서도, 앞으로 소설 재구성 교육의 발전을 위해 향후 소통 차원에서의 다중적인 맥락 관여성을 충실히 고려하고, 비평적 읽기와 창조적 생산의 균형이 갖추어지도록 보완하며, 재구성 활동의 절차와 과정을 상세화하려는 노력을 기울여야 하겠다. Novel reconstruction education has a significant creative educational value in itself as well as a transitional meaning for full-fledged writing novel. Since the 7th curriculum, when creative writing education was reflected in the curriculum, it is necessary to examine how novel reconstruction education, which is one of the pillars of creative writing education, has progressed accordingly. First of all, it is necessary to review and organize the concept of novel reconstruction. There are “fill”, “add”, “change”, and “rewrite” as internal reconstructions of the genre, and “genre transformation” and “media transformation” as external reconstructions. As a result of reviewing the Korean language textbooks of middle and high schools after the 7th curriculum, first of all, the 7th curriculum showed a bias in empathy-centered reconstruction activities. Next, in the 2007 curriculum, the developmental aspects of the next curriculum was possible by showing the beginning level that diversifies the reconstruction type. Then, in the 2009 curriculum, novel reconstruction activities increased quantitatively and at the same time showed a balance in which each detailed type was evenly distributed. Finally, in the 2015 curriculum, genre and media transformation activities increased significantly compared to before, and the total number of novel reconstruction activities increased evenly. As such, novel reconstruction education has gradually balanced its appearance and actively accepted the flow of changes in contemporary social environments. However, in the course of the development of the curriculum after the 7th, novel reconstruction education in the Korean language subjects of middle and high schools was somewhat weakened or concealed. However, on the contrary, textbooks show the irony that novel reconstruction education becomes increasingly diverse and actively contains changes in language and communication environment. While considering that novel reconstruction education has progressed little by little, our efforts should be made to faithfully consider multiple contextual involvements in the communication level, to complement critical reading and creative production, and to make detail of the procedure and process of reconstruction activities.

      • KCI등재

        한문소설 교육의 문제와 방안

        송병렬 한국한문교육학회 2004 한문교육논집 Vol.22 No.-

        본고는 한문과에서의 한문소설 교육의 문제를 살펴보고 소설교육의 방향을 제시하였다. 이런 작업은 앞으로 한문과 소설 교육의 내용과 학습 요소의 개발에 주요한 지침을 제공할 것이다. 현행 교육과정에서는 한문소설을 산문의 한 양식으로 파악하고 있다. 그래서 한문소설을 독자적인 장르로 인정하지 않고 있다. 따라서 교육과정상에서는 한문소설 교육에 대한 학습 요소와 내용은 없다. 고등학교 한문에서서는 서사장르의 하나로 '한문소설'을 제시하는 교과서가 있는가 하면, 설화에서 소설로 발달해 가는 장르가 '한문소설'임을 제시하는 교과서도 있다. 일부 교과서는 아예 한문소설을 다루지 않는 경우도 있어, 한문소설 교육의 표준적인 방향이 없음이 밝혀졌다. 또한 고등학교 한문소설 교육의 교수-학습의 내용도 많은 문제가 있다. 대부분의 학습 목표가 한문소설의 특징을 보여주지 못하는 경우도 있었다. 결국 한문소설의 교수-학습 내용과 학습 요소가 부족한 데서 이런 현상이 기인하였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먼저 한문이 언어적 장애를 극복해야 한다. 한문은 해독이 난해하므로 한문소설 전문을 싣는 것은 어렵다. 따라서 번역문이나 요약문을 함께 제시하여 원문의 부족함을 보완하여 학생들이 작품의 전체를 알 수 있도록 한다. 한문소설의 전통적인 장르 특성을 보일 수 있는 교수-학습 내용이 필요하다. 특히 설화에서 소설로 발달해가는 장르 성격을 작품을 통해서 이해할 수 있도록 배려해야 한다. 작품도 전기소설, 한문단편, 한문소설 등의 작품을 고루 선정되어야 한다. This thesis includes the problems and improvements of Chinese classic novel education. These will provide Chinese classics department with an important index to developing education contents and learning factors. Current curriculum deals with the Chinese classic novel as one pattern of a prose, not one unique genre. So there are no learning factors and contents about Chinese classic education in the current curriculum. Some highschool Chinese classics textbooks treat Chines classic novels as one genre of a description, while others view them as a medium step from myth to novel. Even other textbooks don't include Chinese classic novels , which shows that there is no standard about Chinese classic novels education. likewise, there are many problems in contents in the textbook. Most textbooks don't present the learning objective in the other learning activity part except the main text. Also, in some textbook, learning objective don't reveal the characteristics of Chinese classic novel. These problems result from lack of learning and teaching contents and learning factors. To solve these problems, firstly, a textbook should not carry the entire and long story because Chinese letters is hard to understand. It would rather give a translation or summary that enables students to understand the entire meaning of the work. Secondly, a textbook need to include the creative learning and teaching contents and methods which can show the characteristics of Chinese Classic novels. Thirdly, especially it can show the trait that Chinese classic novels are the medium step from the myth to the novel. Finally, it can include a variety of works, such as , short stories, and long stories.

      • KCI등재

        재미있는 고소설 교육을 위한 실천적 수업활동의 실제

        이민희 ( Lee Min-heui ) 한국문학교육학회 2016 문학교육학 Vol.0 No.52

        고소설 작품을 대상으로 한 수업 시간에 학습자들은 여전히 어려움을 토로 하는 경우가 적지 않다. 본 연구는 현 고등학생 73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 조사를 실시하여 얻은 결과를 토대로고소설 수업 시 어렵다고 느끼는 요인을 분석했다. 그리고 문제 해결의 일환으로 학습자들이 재미있는 고소설 수업이 라 여기는 활동들을 제안 받아 이를 실제 수업 현장에서 실천할 수 있는 구체 적인 활동들을 제시해 보고자 했다. 고소설 수업 시 문학의 수용과 생산, 그리 고 적용이란 측면을 고려해 고소설 어휘 교육과 인물 교육, 그리고 사건 교육 관련 여러 수업활동들을 설계해 보았다. 문학의 수용 단계에서는 고소설 작품 이해의 근간이 되는 어휘 이해와 내용 이해 중심 활동이 중요하다. 한자어 교육 및 벼슬명 교육, 그리고 인물관계도 와 사건기차를 통한 내용 파악 활동, 인물평을 담은 신문기사 작성 활동, 고소 설 속 인물이 되어 SNS에 글 써 보기 같은 활동, 고소설 작품을 소재로 한 웹 툰 작품과의 비교 활동 등이 작품의 내용 이해를 돕는 활동으로 유용하다. 특히 복잡한 서사구조와 갈등을 지닌 작품의 경우, ‘사건 기차’ 활동지를 활용한 활동이 효과적이다. 둘째, 문학의 생산 단계에서는 고소설 작품 이해 후 학습 자의 표현 및 창작 능력을 키우는 활동이 요구된다. 본문을 시나리오 대본 또 는 만화로 바꿔보는 창작 활동에서도 새로운 학습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마 지막으로 문학의 적용 단계에서는 고소설 작품 이해와 창작 활동을 토대로 현 실생활 속에서 적용 가능한 활동들, 이를테면. 선인과 악인에 대한 상장 수여 활동, 고소설 속 인물의 현상수배지 만들기, 작품 주제를 소재로 한 문학재판 활동, 또는 인물에 관한 문학 토론 활동 등을 활용해 흥미로운 수업을 설계할 수 있다고 보았다. 현 고등학생들이 기대하는 흥미로운 수업 활동은 단순히 수업 초기에 흥미 유발을 목적으로 한 준비활동이 아닌, 본격적인 수업 속에서의 활동을 의미한 다. 수업 전반에 걸쳐 재미를 느끼며 행할 수 있는 활동들, 곧 본문 작품 이해를 달성하고 폭넓은 체험 활동과 통합교육을 지향하는 실천적 활동들이 고소 설 수업 시간에 요구된다. 이런 점에서 여기서 제안한 수업활동 중 일부는 교 과서 본문 내용이해를 위한 학습활동으로도 충분히 활용 가능하다. 재미있는 고소설 수업의 설계와 실천적 활동은 재미가 교육 수단뿐만이 아닌 교육적 목 표가 될 때 더욱 그 의미가 커질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how to practice specific and fun activities for the classic novel work in the classroom on the basis of the results obtained by conducting a survey of the current 73 high school students. It is important for students to learn chinese vocabulary, main characters and events in the lesson of classic novel. It is required for students to feel fun about classic novel work, and to do many practical activities for more in-depth understanding. Students think that the strange Chinese vocabulary and a frequent title(position name) changes used on the classic novel text in textbook make themselves not to understand the work easily. The translated text using easy vocabulary in textbooks will need for students to feel interested. Therefore, here this paper suggest the fun activities that teach the classic novel work in class. These are so good activities in relation to character study that to create a character relationships map, to write on SNS in a view of figures in classic novel work, to make a certificate of merit for giving to the good and the wicked, to make a leaflet seek for character wanted in connection with a crime in classic novel work, and to write newspaper articles to introduce a good or bad person in classic novel work and etc. And when you want to analyze the classic novels with a complex narrative structure and conflict, you can take advantage of the fun activities in connection with event in classic novel work like following ; To identify and understand the contents of the classic novels can use the ``train incident`` activity. And an activity of changing original text in classic novel work into the scenario script or cartoon is also effective. A classic novels trial or literary discuss with content of classic novel work may also attempt to use activities. Providing interesting lessons design and practical activities are necessary in order to dispel the negative perception that lesson for classic novel is difficult and tedious. The classic novel class a fun-borne navigation is possible in the hope that it can also be educational means as well as educational goals.

      • KCI등재

        중등교육과정에서의 고전 대하소설 교육의 필요성과 내용 - 고등학교 『문학』 교과서를 중심으로

        한길연 ( Han Gil-yeon ) 한국고전문학교육학회 2016 고전문학과 교육 Vol.32 No.-

        고전 대하소설은 학생들에게 한국적 대서사 문학의 양식과 미감 및 공동체적 생활문화를 전수하는 데 중요할 뿐만 아니라, 자신의 삶과 연계하여 세계관을 확충하고 정서를 함양하며 창의적인 사고력을 기르게 하는 데 중요한 교육자료이다. 본 논문에서는 중등교육과정에서 고전 대하소설을 가르쳐야 하는 필요성을 재점검하고, 고등학교 『문학』 교과서를 중심으로 고전대하소설의 교육내용을 구상해 보았다. 이러한 작업은 서사문학사적 위상과 문화사적 가치로 볼 때 고전 대하소설이 큰 의미를 지님에도 불구하고 중등교육과정에서 지속적으로 외면당해온 현실에 대한 문제제기로부터 출발한 것이다. 먼저 고전소설을 균형 있게 교육하고, 현대 대하소설과 연계 교육을 실시하며, 대서사의 양식과 미감을 알려주고, 조선후기의 다양한 문화를 접하도록 하기 위해 중등교육과정에서 고전 대하소설을 교육할 필요가 있음을 검토하였다. 학생들에게 대하소설의 개념과 범위, 내용과 특질을 명확히 인지 시키는 것은 물론, 조선후기부터 현대에 이르기까지 대하소설 갈래의 전통 계승과 변모 과정을 알려주고, 대서사의 장대함과 섬세함을 체득하여 자신과 관련한 대서사를 설계하도록 하며, 다양한 문화를 접하면서 삶에 대해 성찰하고 문화콘텐츠로 활용케 하려면 고전 대하소설에 관한 교육이 절실하다. 다음으로는 고전 대하소설을 효과적으로 가르칠 수 있는 교육내용을 설계해 보았다. 고전 대하소설 단독으로 교육하는 경우, 대략적인 개요로부터 세부적인 대목으로 작품을 단계적으로 보여주는 동시에 학생들 스스로 자신과 관련한 대서사 양식을 구상하도록 하는 작업을 병행함으로써, 대하소설의 내용과 형식을 명확히 이해하게 하는 것은 물론 일상과 문학을 긴밀히 연결시킬 수 있는 교육내용을 제시하였다. 현대 대하소설과 연계하여 교육하는 경우, 구조적 측면ㆍ작가적 측면에서의 공통점을 주지시키면서도 시대에 따른 차이점을 인지하게 함으로써, 대하소설의 전통 계승과 변모 양상을 살펴볼 수 있는 교육내용을 마련하였다. 『문학』 교과서에 고전 대하소설이 실린다면, 학생들은 그 전모를 알지 못한다 하더라도 적어도 고전 대하소설이 존재한다는 사실은 알 수 있다. 하루 빨리 고전 대하소설이 교과서에 실려 학생들이 한국문학의 성격과 역사를 체계적으로 인식하고, 인간과 세계를 총체적으로 이해하며, 대서사 양식을 수용ㆍ생산하는 창의적 문학능력을 함양하는 데 중요한 디딤돌이 되기를 기대해 본다. In this thesis we set forth the reasons for teaching classical river novels in secondary education, and investigated the guiding principles for content design of high school literature textbooks. Although classical river novels have great significance in cultural and narrative histories, they were previously consistently disregarded in secondary education. First, we looked at the need for including classical river novels in the secondary school curriculum to create a well-balanced education of classical novels, to link this with modern river novels, to teach the narrative styles and esthetics of river novels, and to let students understand the various cultures of the late Joseon Dynasty. Second, we examined two ways of educating students about classical river novels. For exclusively teaching classical river novels, we recommended the means of teaching and provided detailed guidelines by which they can be taught, as well as provided complete information about the family tree, the story unit, and the scene deployment. To establish the link between classic river novels and their modern counterparts, we recommended the process of teaching accession and transition of tradition by introducing the commonalities and the differences across three generations stories, besides discussing the viewpoints of female writers. When classical river novels are introduced in literary textbooks, students will realize the existence of such novels though they may not understand all aspects of the novels. We suggest that teaching and introduction of classical river novels in secondary education as soon as possibl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