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학교 교육과정 개발 연구 동향과 시사점

        최화숙,권낙원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0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0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trend of the school curriculum development and draw its implications. In order to attain this purpose, this study reviewed the literatures of the domestic and foreign research which relate to school curriculum development. Through this research process, the trend of the school curriculum development could be listed as five categories; the significance of the school curriculum development, the teachers' perception and needs of the school curriculum development, the school curriculum development model, the resources of the school curriculum development, the process of the school curriculum development. The implications for the school curriculum development trend could be arranged as follows :First, it is common to need the active participation and professionalism extension of the teachers in the school curriculum development. Second, there was not an agreement point of the school curriculum development range. Third, it was insufficient to the case study which applied to the domestic school. Fourth, it is required to deal with the development process among the school curriculum development model. The result of this study can provide current and significant points for teachers and researchers to widen the understanding for the school curriculum development. 본 연구의 목적은 학교 교육과정 개발에 대한 연구 동향을 탐색하고, 그에 따른 시사점을 얻는 데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학교 교육과정 개발에 대한 국내․외 관련 문헌들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다섯 가지 연구 동향으로 유형화할 수 있었고, 그에 따른 시사점을 얻을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과정을 통해 얻은 구체적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교 교육과정 개발 연구 동향은 학교 교육과정 개발의 의의를 다룬 연구, 학교 교육과정 개발에 대한 교사의 인식과 요구에 관한 연구, 학교 교육과정 개발 모형 연구, 학교 교육과정 개발 요인에 관한 연구, 학교 교육과정 개발 과정에 관한 연구 등으로 유형화할 수 있었다. 둘째, 학교 교육과정 개발 연구 동향에서 공통적으로 시사하고 있는 바는, 교사들의 적극적인 참여와 전문성 신장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셋째, 학교 교육과정 개발의 범위에 대한 공통된 합의점이 없었다. 넷째, 국내 학교 현장에 적용한 실제의 사례 연구가 부족하였다. 다섯째, 연구 동향의 가장 많은 부분을 차지하는 모형 연구에 있어서 모형 개발의 근거를 주로 이론적 탐색 과정에 두었다. 본 연구는 현재 우리나라에서 이슈화되고 있는 학교 교육과정 개발에 대한 연구 동향을 분석해 봄으로써 학교 교육과정 개발의 중요성과 필요성에 대한 이해의 폭을 넓혀 주었다는 점에서 연구의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다.

      • KCI등재

        독일어 교육과정 개발체제 및 상시 연구팀 제안

        이경택 한국독일어교육학회 2016 외국어로서의 독일어 Vol.38 No.-

        In der vorliegenden Arbeit wird versucht, das System der Curriculumentwicklung in Korea kritisch zu betrachten und ein neues Entwicklungsmodell des Curriculums sowie ein permanentes Forschungsteam fur die Curriculumentwicklung fur das Fach Deutsch vorzuschlagen. Das Grundproblem des Systems und des Verfahrens der Curriculumentwicklung besteht darin, das Curriculum so zu organisieren und entwickeln, dass seine Funktion und Legitimation in optimaler Weise realisiert werden kann. Dazu sollten einige Phasen bei der Curriculumentwicklung notwendig sein, deren Relevanz fur das Curriculum in der Forschung aber haufig ubersehen worden sind. Dies gilt auch fur die Situation der Curriculumentwicklung in Korea, in der die Fragen curricularer Entwicklungsstruktur bislang erheblich vernachlassigt worden sind. Im Allgemeinen besteht das Verfahren der Curriculumentwicklung aus zwei Phasen, einer ‘Grundforschungsphase’ und einer ‘Enwicklungsphase’. Diesen zwei Phasen sollte jeweils eine Zeit fur die Qualitassicherung garantiert werden. In Korea scheint es aber als problematisch, weil es nicht genugend Zeit fur die ‘Grundforschungsphase’ bei der Curriculumentwicklung gibt und daher die Beziehung zwischen ‘Grundforschungsphase’ und ‘Enwicklungsphase’ nicht eng verkupft ist. Um dieses Problem losen zu konnen scheint es wunschenwert, ein permantes Forschungsteam fur die Curriculumentwicklung mit triangularen Teilstrukturen wie ‘Grundforschungsteam’, ‘Team der Curriculumdesign’, ‘Team der Mornitoring und Feedback’ zu etablieren. 본 연구에서는 교육과정 개발절차 및 체제에 대한 이론과 현재 이루어지고 있는 교육과정 개발체제에 대한 비판적 검토, 그리고 독일어 교육과정 개발을 위한 상시 연구팀 구축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교육과정의 개발은 기존의 방식처럼 국가의 교육과정 개정 시행계획이 발표된 후, 한정된 짧은 기간 동안 모든 연구와 절차가 이루어지는것이 아닌, ‘교육과정 기초연구’, 교육현장에서의 ‘교육과정 시행의 모니터링 및 피드백’ 그리고 이를 바탕으로 한 ‘교육과정 설계 및 개정’ 작업이 순환적이고 항시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교육과정 수시 개정체제가 도입되어 있는 상황에서 독일어 교육과정을 종합적이고 체계적으로 개발하기 위해서는 독일어 교육과 관련한 각 집단의 의견을 수렴하고, 현장 검토 및 교육과정 기초연구가 충분히 수행될 필요가 있다. 다시 말해, “바람직한 교육과정 개발을 위해서는 해당 교과와 관련된 다양한 학문적 역량이 결집되어야 한다.”(신형욱 2015: 99) 이를 위해서는독일어 교육과정 개발을 위한 상시 연구팀의 구축이 전제되어야 한다. 독일어 교육과정 상시 연구팀 구축으로, 그 동안 주목을 받지 못했던독일어 교육과정 분야의 학문적 연구의 틀을 마련되기를 기대해 본다.

      • KCI등재후보

        국내·외 인적자원개발전문가 양성 교육과정 비교 연구

        이영민,이성,이수영 한국기업교육학회 2007 기업교육과인재연구 Vol.9 No.2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analyze and compare worldwide educational curriculums and certificate course for human resource developer. We analyzed and compared lifelong learning coordinator curriculum, vocational trainer curriculum, and courses provided by KPC, POSCO, and KMA. We also investigated TEACH course by European Union, lifelong learning specialist course of UK, adult teacher course of Germany, DATE course of Denmark, and learning and performance specialist of United States. We analyzed those curriculums and courses on the basis of objective, subjects, operation system, degree or certificates course. In conclusion, the potential curriculum for HR developer should be designed to provide real case studies and interaction among participants, as well as to link with certificate course and global academic degree. In addition, it should be guided under the curriculum roadmap and be developed to suggest required or selective courses.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외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인적자원개발전문가 양성 교육과정들을 비교하고 분석하는 것이다. 비교·분석대상으로 국내의 경우 평생교육사 및 직업능력개발훈련교사 양성 교육과정, 한국생산성본부, 포스코, 능률협회 HRD 담당자 양성 교육과정 등을 비교·분석하였고 국외의 경우 EU의 TEACH과정, 영국의 평생교육전문가 과정, 독일의 성인교육교사 양성과정, 덴마크의 DATE 양성과정, 미국의 학습수행전문가 과정 등을 비교·분석하였다. 비교·분석 준거로는 교육과정의 목표, 교육내용 및 교과목 이수체계, 운영기관 및 방법, 자격유무 및 학위 연계 등을 활용하였다. 위의 준거체제에 따라 각 과정들을 비교·분석하여 제시하였고 시사점들을 파악하여 향후 인적자원개발전문가를 위한 표준화된 교육과정을 개발하는데 참고하도록 하였다. 결론적으로 인적자원개발전문가 양성 교육과정이 효과적으로 개발운영되기 위해서는 현장사례 중심 교육을 토대로 적극적인 상호작용이 이루어지도록 과정을 제공한다. 또 전문양성과정과 자격제도 및 학위과정과도 연계하고 글로벌 양성과정이 되도록 한다. 끝으로 수준별 양성 로드맵을 수립하며 필수과목과 선택과목을 제공하여 학습자의 선택권을 높일 필요성이 있다.

      • KCI등재

        교육과정의 분산적 거버넌스에 대응한 연구.개발.보급(RDD) 체제에 관한 고찰

        정영근(Yong-keun Jeong),민용성(Yong-seong Min),이병천(Byeong-cheon Lee),권점례(Jeom-rae Kwo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20

        목적 본고는 향후 교육과정 거버넌스 변화에 대응하여 국가 교육과정의 연구⋅개발 보급(RDD) 체제에 대한 개선 방안을 탐색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방법 이를 위하여 교육과정 연구⋅개발⋅보급 모형의 사적 배경과 우리나라 실제 탐색, 주요국(핀란드, 영국, 호주) 사례 비교⋅분석, 교사와 교육청 교육전문직 1,603명 대상의 설문조사, 교육 관계자 9명 대상의 면담조사를 실시⋅분석하였다. 결과 우리나라는 교육과정 연구⋅개발진의 단일 체제와 교육과정 RDD 체제의 선형적 과정을 형성하고 있어 향후 분산적 거버넌스에 대응한 변화가 필요하다. 국가 교육과정 하에 분산적 거버넌스를 형성한 주요국의 경우 모두 복수의 연구⋅개발 조직과 교육과정 RDD의 선형적 과정에서 벗어나 보다 역동적인 체제를 갖추고 있다. 설문조사 및 면담조사 결과에서 교육과정 연구⋅개발 과정에 교사를 포함하여 다양한 층위의 참여 필요성에 대한 강한 인식이 나타나 연구⋅개발진의 단일 체제에 대한 변화 요구가 높은 것으로 파악되었다. 또한 전달 연수 및 교과서 의존, 연차 적용 등에서 보이는 문제점은 교육과정의 확정⋅고시 이후 착수되는 보급⋅적용 방식에서 비롯된 측면이 크기 때문에 이에 대한 변화 요구도 높다. 이러한 결과는 교육과정의 분산적 거버넌스에 대응한 RDD 체제로의 변화를 요구한다고 볼 수 있다. 결론 우리나라에서 향후 검토될 수 있는 교육과정의 분산적 거버넌스 대응과 관련하여, 첫째 전문가 위주의 연구⋅개발진 구도 개선과 교사를 비롯한 다양한 층위의 참여 확대가 가능한 복수의 연구⋅개발 조직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본고에서는 ‘연구⋅개발진’과 ‘교육과정 실행 지원 자료 개발진’, ‘교육과정 검토⋅자문진’을 제안하였다. 둘째, 교육과정 보급⋅적용의 적시성과 교사의 교육과정 소유자의식을 제고하기 위해 종래의 ‘연구⋅개발’과 ‘보급⋅적용’을 일원화하여 교육과정 RDD 절차의 선형적 과정을 개선할 필요가 있다. 셋째, 교과서 의존적인 교육과정 연차 보급⋅적용과 교육과정의 분산적 거버넌스 상황에 대응하기 위해 교과서 자유발행 체제로의 전환을 모색해야 한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ere to explore ways to improve the research, development and defusion (RDD) system of the national curriculum in response to changes in curriculum governance in the future. Methods The historical background of the RDD model was analyzed and R&D cases in Korea and major countries (Finland, UK, Australia) were compared, and a survey of 1,603 participants with teachers and education professionals from the local offices of education was analyzed. An interview was also conducted with 9 participants, and their perceptions were analyzed. Results First, since the curriculum R&D system of Korea has been based on a single team and a linear process of curriculum R&D system, changes are required in response to distributed governance in the future. Second, the R&D cases of countries analyzed in this study have formed distributed governance under the national curriculum, with a more dynamic system, breaking away from the linear process of multiple organizations of curriculum RDD. Third, the survey and interview results showed a strong awareness of the need for participation of various levels in the curriculum R&D process, indicating that there is a high demand for a change from the single R&D single team system. Fourth, the problems seen in teacher training program, dependence on textbooks, and sequential application of curriculum by year are largely due to the current R&D system that is initiated after the confirmation and proclamation of the curriculum, so there are also considerable demands for change. Conclusions First, the structure of the curriculum expert-oriented R&D team should be changed through exploring multiple R&D organizations that can expand the participation of various levels, in particular including teachers. In this regard, various team composition for curriculum R&D was proposed in this study. Second, we need to improve the linear process of the curriculum RDD process by unifying the conventional ‘research and development’ and ‘diffusion and application’ in order to improve the timeliness of the curriculum dissemination and application and teachers curriculum ownership. Third, it is necessary to look for a transition to a free publishing system of textbooks in order to overcoming sequential application by year of the textbook-dependent curriculum and responding to distributed governance of the curriculum.

      • KCI등재후보

        소프트웨어 산업의NCS 기반 S-OJT 교육과정개발: A기업을 중심으로

        나현미,심지현 대한공업교육학회 2014 대한공업교육학회지 Vol.39 No.2

        This study developed training program to educate professional workers for softwareindustry with growing importance in this area as software industry takes more parts inKorean economy. Additionally, this study developed the program based on nationalcompetency standards(NCS) using structured on the job training(S-OJT), For this study, we reviewed economic index about software industry such as economic ratio and the influx of the workforce. Also literature review for S-OJT was conducted to explore its concept for better application of the concept to the program development. Inaddition, this study used training program development manual suggested by KoreanDepartment of Labor. We selected specific job which needs training program to be developed based onthorough needs analysis for a company A. Previously developed NCS and other documents were reviewed and focus group interviews were conducted to find out core knowledge and skills for the job. 44 training programs were developed and objective of each program, hours, contents and methods were also suggested. Additionally detailed program name, education system, road map and operation strategy were developed and suggested. The result of this study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other industry and jobs which arefacing to the development of NCS based education program by suggesting detailed stage of development process. For more animated development of education program using NCS, the effect of the program should be tested in the future. For the test, appropriate evaluation methods and measures should be developed as well. 본 논문에서는 국가경제성장에 그 중요성을 더해가고 있는 소프트웨어 산업의전문인력육성을 위한 교육과정의 개발절차와 그 결과를 제시하였다. 특히, 개발된교육과정은 산업현장을 반영하기 위해 국가직무능력표준(NCS)에 기반을 두었으며,교육효과의 극대화를 위해 교육방법에 있어서는 S-OJT(체계적 현장직무 교육훈련:Structured on the job training)를 활용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 소프트웨어 산업과 관련한 경제지표와 관련인력의 투입 등의 자료를 검토하여 그 산업의 중요성을 확인하였으며, S-OJT방법의 차용을 위해, 선행연구를 검토하여 해당 개념을 충분히 반영한 교육과정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특히NCS기반의 교육과정 개발을 위한 기본 틀로서 고용노동부에서 개발하여 배포된한국형 일・학습 듀얼 시스템 운영매뉴얼의 개발절차를 활용하였다. 현장성 높은 과정 개발을 위해 소프트웨어 분야 주식회사A의 교육요구조사분석을 통해 교육프로그램이 요구되는 직무를 선정하였다. 해당 직무를 수행하는데 필요한 지식과 기술수준을 발굴하기 위해, 기 개발된 NCS를 면밀히 검토하는 한편NCS에 반영되지 않은 부분에 있어서는 기존자료 검토 및 전문가 자문을 통해 교육체계를 개발하였다. 총 44개의 교육과정이 4년간의 교육기간동안 이수되도록 개발되었으며, 각 과정은 교과목표, 소요시간, 교과내용, 교육방법, 그리고 선수과목을 각각 표기하였다. 또한 44개의 교육과정을 운영하는데 필요한 교육체계 로드맵,세부 운영전략 등을 개발하였다. 사회적으로 NCS에 기반한 교육과정의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는 상황에서 본 연구결과 도출된 교육체계와 교육과정은 많은 시사점을 가진다. 특히 고용노동부에서 제시하고 있는 매뉴얼에 따른 개발 절차를 자세히 소개함으로써, 향후 NCS에기반한 산업직무별 교육과정개발에 참고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보다 활발한 NCS기반 교육과정 개발을 위해 해당 과정의 교육성과를 측정하기 위한 지표의 개발과 NCS에 특화된 교재의 개발이 요구된다.

      • KCI등재

        DACUM Method에 의한 회계 및 세무 정보시스템 직무 교육과정 개발 연구

        황욱선 한국상업교육학회 2006 상업교육연구 Vol.13 No.-

        기업은 재교육 없이 즉각 실무에 활용할 수 있는 사원을 요구하고 있다. 교육인적자원부에서는 대학교를 연구중심대학교와 교육중심대학교로 분류하여 교육과정의 차별화에 의하여 교육을 하도록 제안하였다. 교육중심의 대학교에서는 고객인 기업위주의 교육과정이 개발되어야 한다. 기존의 회계 및 세무 분야의 교육과정의 개발은 전공교수들의 경험, 기업실무의 회계 및 세무 담당자 등의 관계에 의하여 개발되었다. 하지만 급변하는 기업의 실무에 대비하기 위하여 체계적인 교육과정 개발기법이 필요하다. DACUM Method는 대학교의 교육과정과 기업의 실무를 연결시켜주는 체계적인 교육과정 개발방법 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DACUM Method에 의하여 4년제 대학교를 기준으로 기업의 회계 및 세무 정보시스템 직무에 필요한 교육과정을 개발한다. 그 결과 전산회계ㆍ세무, 경영ㆍ회계 엑셀ㆍ프리젠테이션, ERP 실무 등의 인터넷ㆍ정보화 교과목이 개발되었다. 또한 기업 현업에 즉각 적응하기 위한 사무업무실무 라는 교과목도 개발되었다. 기존의 교과목에는 “실무”라는 용어가 첨가되어 교과목이 변경되었다. 이러한 새로운 교과목들은 기존의 교과목에 존재하고 있거나 교육되고 있는 내용들을 일부 포함하고 있기도 하다. 하지만 기존의 방법은 교과목의 세부내용이나 방법론적으로 체계적인 틀을 갖추고 있지 못하다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기업에서 정확한 회계 및 세무정보시스템 담당자가 되기 위해서는 체계적이고 상세한 직무분석에 의한 교과목의 개설이 필요하다. 이 연구에서는 업종별로 분류한 회계 및 세무정보시스템 직무에 의한 교육과정 개발을 하지는 못하였다. 미래에는 업종별 교육과정의 개발에 대한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또한 DACUM Method 교육과정 개발방법론외의 타 개발방법론에 의한 연구와 비교차이 연구 등이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The university are requested to make an official in use of the practical business affairs immediately. Ministry of Education & Human Resources Development classified university with research-oriented and education-oriented. Education-oriented university must be developed a course of company-oriented. Existing a curriculum of accounting & tax parts is deveoped to relationship with a man of business and major professor’s experiences etc. But it is necessary to develop methodology for a systematic curriculum. That is DACUM Metho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curriculum for accounting & tax information job in basic of the education-oriented university complete 4-year course of study by DACUM Method. The result, It was developed the subjects of computer accountingㆍtax, managementㆍaccounting excelㆍpresentation, ERP practice, office practice etc. Existing courses or contents is included in this new subjects partly. and, Those have not been systematic frame in a point of view detail contents or methodogical. Therefore the systematic curriculum development methodology as DACUM is become necessary re-organized.

      • KCI등재

        대학의 비교과교육과정 개발⋅운영 모형 연구

        송나리(Naree Song),조덕주(Dukjoo Jo)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4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4 No.8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의 비교과교육과정 개발⋅운영 모형에 대한 연구를 통해 각 대학에서 비교과교육과정을 운영할 때,대 학의 특성을 반영하여 체계적으로 비교과교육과정을 개발⋅운영하는 것에 있다. 방법 연구 방법의 절차는 연구 기획, 문헌 연구, 모형 개발의 단계로 진행되었다. 연구 기획 단계는 Taba(1962)의 교육과정 개발 모형을 토대로 대학의 비교과교육과정 개발⋅운영 모형을 기획하였으며, 문헌 연구 단계는 비교과, 비교과활동, 비교과교육과정등과 관련된 선행 연구, 교육과정개발 모형, 모형 연구, 교육과정 개발과 관련된 단행본, 연구 논문 등을 수집 및 분석하였다. 모형 개발 단계는 교육과정의 근간인 교육과정 모형, 교육과정 개발 모형 등을 바탕으로 시사점 추출하였으며, 교육과정 전문가의 타당성 검토를 거쳐 모형을 확정하였다. 결과 대학의 비교과교육과정 개발⋅운영 모형은 총 4단계로 설정되었으며, 각 단계는 1. 대학의 비교과교육과정 제안 및 기획, 2. 대학의 비교과교육과정 계획, 3. 대학의 비교과교육과정 실행 및 운영, 4. 대학의 비교과교육과정 평가 및 환류로 구성하였다. 각 단계를 다시 하위 5가지 세부 영역으로 설정하였으며, 이는 각각 ①주체, ②시기, ③토대, ④방법, ⑤모형으로 구성하였다. 결론 비교과교육과정의 설치 및 운영의 이유는 핵심역량을 지닌, 대학과 사회에서 필요한 인재를 양성하는 것으로서, 앞으로 대학에서 비교과교육과정은 전공이나 교양교육과정과 마찬가지로 단계와 절차에 따라 개발 및 운영되어야 한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help universities systemically develop and operate extracurricular curriculum that can reflect their own characteristics, through research on a development and management model for extracurricular curriculum activities. Methods The steps of research were progressed with three stages: research planning, literature review and the model development. Based on the Taba’s(1962) curriculum development model, the research planning stage planned the extracurricular curriculum development and operation model of the university. The literature research stage collected and analyzed the extracurricular, extracurricular activities, extracurricular curriculum which were related to the pilot study, curriculum development model, model research, curriculum development the research paper and also were related to the books and research papers. The model development stage based on the curriculum model and the curriculum development model which are the foundation of curriculum brought out the implication and the model was confirmed after a feasibility study by a expert of curriculum. Results The management and development model for extracurricular curriculums consists of four stages: 1. Drafting a proposal and planning of university extracurricular curriculums; 2. crafting detailed plans for each extracurricular curriculum activity; 3. executing and operating the extracurricular curriculum activities; and 4. evaluating and assessing university extracurricular curriculums. Each stage is comprised of five different sub-categories, such as ① subject, ② period, ③ foundation, ④ method, and ⑤ model. Conclusions The reason for the establishment and operation of the extracurricular curriculum is to instill students with the university’s core values and help them become competent members of society and the university. Therefore, the university extracurricular curriculum must be developed and operated according to the stages and procedures as in the required and elective curriculum.

      • KCI등재

        체육 교사 수준의 교육과정 개발 과정 및 내용 이해

        유정애(Jeong Ae You) 한국스포츠교육학회 2005 한국스포츠교육학회지 Vol.12 No.1

        그 동안 우리나라 교사의 역할은 주로 `교육과정 실천자`에 국한되어 왔다. 교과 전문가 집단을 중심으로 국가에서 개발된 교육과정을 그대로 수용하여 잘 실천에 옮기는 수동적인 모습을 기대해 왔다. 그러나 제7차 교육과정에 이르러 단위 학교의 교육과정 운영의 자율성 권한이 크게 부여되면서 각 학교에서는 자체적으로 교육과정을 개발하기 시작했고, 동시에 각 교과 교사의 교육과정 개발에 대한 책무성과 전문성이 크게 요구 되고 있다. 이런 의미에서 본 글은 중등학교 체육 교사들이 국가수준의 체육과 교육과정을 개발해 나가는 과정을 이해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해 전국의 체육교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동시에 경기도와 전라남도 체육 교사를 대상으로 심층 면담과 교육과정 관련 문서를 내용 분석하였다. 그 결과 체육 교사수준에서 교육과정 개발은 복합적이고 다양한 모습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개발 양상은 교육과정 개발 과정의 이중성으로 집약되며, 구체적으로 적극성과 소극성, 획일성과 다양성, 가시성과 비가시성 측면으로 나타나고 있다. 향후 체육 교사들이 교육과정 실천자로서 뿐만 아니라 교육과정 개발자로서의 역할을 효율적으로 수행하기 위해서는 체육 교사의 교육과정 개발의 전문성에 대한 개발 노력이 요구되며, 동시에 이를 지원하는 제도적 장치가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To date, the role of physical educators was perceived as a curriculum implementor when national physical education curriculum had been implemented to all schools. That is, their attitudes toward curriculum were passive in that they have operated the physical education curriculum developed by curriculum experts or specialists. However, as the 7th national curriculum has been adapted, there is growing the autonomy of each school that should develop their own curriculum. At the same time, the accountability and expertise of physical educators in developing P. E curriculum are greatly needed. The purpose of this paper was to understand the developing process of physical education curriculum at the secondary physical educator level. For this, nation-wide survey, in-depth interview, and document analysis are implemented. The developing processes of curriculum at the physical educator level is complex and diverse. In detail, the processes of curriculum development by physical educators include three phenomena: active and passive, united and diverse, visible and invisible. It is needed to promote teachers` expertise in developing P. E curriculum and to make an educational system in order to support their educational activities of educational system.

      • KCI등재

        워커의 자연주의 교육과정 개발모형이 대학 융합전공 교육과정 개발에 주는 시사점 탐구

        최혜미 한국홀리스틱융합교육학회 2020 홀리스틱융합교육연구 Vol.24 No.4

        융합전공은 둘 이상의 전공이 융합하여 제공되는 새로운 전공으로, 융합전공 교육과정을 개발하기 위해서는 여러 전문가들이 교육과정 개발자로 참여하여 서로 의사소통하고 타협 및 조정하는 과정이 필요하다. Walker의 자연주의 교육과정 개발모형은 교육과정 개발자들이 숙의를 통해 타인의 입장에 반응하고 의견을 조정하는 과정을 강조한다. 이러한 모형은 전혀 다른 전공 분야와 배경지식을 가진 교육과정 개발자들이 참여하는 융합전공 교육과정 개발에 적합하다. 이에 이 연구는 자연주의 교육 과정 개발모형이 대학 융합전공 교육과정 개발에 주는 시사점을 탐구하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융합 전공이 가진 특수성을 고려하여 교육과정을 개발하고, 숙의 집단은 융합전공 관련 전문가 및 관계자 들을 다양하게 구성해야 한다. 또한 융합전공 교육과정 개발의 출발점은 토대가 되어야 하며, 융합전 공이 추구하는 가치를 바탕으로 여러 대안 중 가장 적합한 방안을 검토하는 숙의 과정이 필요하다. 설계 단계에서 의사결정을 진행할 경우에는 융합전공의 지향점과 바람직성을 염두에 두어야 한다. Convergence major is a new major provided by converging two or more majors, and in order to develop a convergence major curriculum, various experts need to participate as curriculum developers to communicate, compromise and coordinate with each other. Walker's naturalist model for curriculum development model emphasizes the process by which curriculum developers respond to others' positions and coordinate their opinions through deliberation. This model is suitable for the development of a convergence major curriculum involving curriculum developers with completely different majors and background knowledge. This study explores the implications of the naturalist curriculum development model for the development of university convergence major.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curriculum should be developed in consideration of the specificity of the convergence major, and the deliberative group should consist of various experts and officials related to the convergence major. In addition, the starting point for the development of the convergence major curriculum should be the platform, and a deliberation process is needed to examine the most appropriate alternatives based on the value pursued by the convergence major. When making decisions at the design stage, the directional goal and desirability of convergence major should be considered.

      • KCI등재

        대학교육에서 PDCA를 활용한 역량기반 교육과정 개발 모형

        이민효(Min Hyo Lee),남창우(Chang Woo Nam)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3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3 No.14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교육에서 PDCA를 활용한 역량기반 교육과정 모형을 개발하는 데 있다. 방법 대학교육에 적합한 역량기반 교육과정 모형을 수립하기 위해 선행연구 문헌분석을 통해 PDCA를 활용한 역량기반 교육과정 개발 모형 초안의 구성요소와 설계 원리를 도출하였다. 도출된 모형은 해당 분야의 전문가 패널을 대상으로 총 3회의 델파이 조사를 진행하였다. 결과 대학교육에서 핵심역량 교육과정 개발 모형을 수립하기 위해 델파이 조사를 실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PDCA의 절차모형에 따라 역량기반 교육과정을 위한 세부 수행내용을 제시하고 11개의 하위 단계, 21개의 범주 63개의 구성요소를 개발하였다. 둘째, 대학교육에서 역량기반 교육과정 개발을 위한 모형은 Plan(계획), Do(실행), Check(평가), Act(개선)의 4단계의 절차에 따라 개발되었다. Plan(계획) 단계는 교육환경 분석, 핵심역량 개발, 교육목표 수립의 주요 수행내용으로 개발하였다. Do(실행) 단계는 요구분석, 교육과정 설계, 대학의 인프라 분석, 평가방법 개발의 주요 수행내용으로 구성하였다. Check(평가) 단계는 역량기반 교육과정 평가, 학습자의 역량 향상 정도 평가의 주요 수행내용으로 개발하였다. Act(개선) 단계는 강화를 위한 도약, 새로운 계획 수립의 주요 수행 내용으로 개발하였다. 결론 본 연구를 통해 도출된 역량기반 교육과정 개발 모형은 PDCA 라는 하나의 이론적 프레임워크를 역량기반 교육에 적용하여 PDCA 각 단계별로 교육과정 요소 및 전략들을 제시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대학교육에서 역량기반 교육을 위한 교수자 및 운영자에게 실질적인 전략과 방향을 제시함으로써 역량기반 교육을 위한 교수학습 자료 및 교수전략으로 유의미하게 활용될 수 있다는 데 의미가 있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a competency-based curriculum model and an instructional design plan using PDCA model in university education. Methods To achive this purpose the components and design principles of the draft competency-based curriculum development model using PDCA were derived through a review of prior literature. This study conducted a total of three Delphi surveys on expert panels in the field. Results The components of the finalized competency-based curriculum development model are as follows. A total of 62 components in 21 categories with 11 sub-stages under four stages (Plan, Do, Check, and Act) were developed for the competency-based curriculum using the PDCA cycle. Components of the “Plan” Stage include educational environment analysis, core competency development, and educational goal establishment. The “Do” Stage comprises of needs analysis, university infrastructure analysis, curriculum design, and evaluation method development. The “Check” Stage has components such as competency-based curriculum evaluation, and the assessment of learners’ competency improvement. The components of the “Act” Stage consist of leap-off toward reinforcement and new plan establishment. Conclusions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established a systematic, cyclical competency-based curriculum development model in terms of the quality management of university education curriculum using the PDCA cycle. In addition, for professors to provide competency-based classes, it developed an instructional design model for competency-based curriculum of university education so that it can be used as a basic material for developing instructional strateg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