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인지양식에 따른 발문유형별 학습 효과

        권낙원,민용성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03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3 No.2

        수업에 있어서 학습자들의 사고 활동을 활성화시킬 수 있는 관건은 교사의 발문(questioning)에 달려 있으며, 이러한 발문의 적절성 여부는 바로 수업의 질을 결정한다고 할 수 있다(박병학, 1986). Wilen(1991)에 의하면, 교수(teaching)의 본질은 의사 전달에 있으며, 발문이 학급에서 이루어지는 교사와 학습자의 언어적 상호작용의 핵심적 부분을 차지하기 때문에 교수의 효율성은 교사가 어떤 방식으로 발문하는가에 크게 의존하고 있다고 한다. 또한 Gall(1984)의 연구 결과에 의하면, 발문과 관련된 기존의 연구 중에서 교사의 발문과 학생들의 학업성취 및 비판적 사고 기능과의 관계에 관한 연구가 가장 많았다고 한다. 이러한 사실은 교사의 발문이 학업성취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는 견해가 여러 연구자들 사이에 널리 공유되어 있음을 보여준다. 사실상 교사는 다른 무엇보다도 발문에 의존하여 수업을 효과적으로 이끌어 가야하며, 발문을 통하여 학습자들의 학업 수준을 높이고 사고력을 계발해 나가야 한다. 따라서 교사의 발문은 학습자의 학업성취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변인이라고 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effects of teacher\ s questioning types on academic achievement by learners\ cognitive styles: reflection-impulsivity. On the basis of reviewing related literature and preceding studies,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were formulated. 1. What does the data recall question make a difference in data recall between reflective and impulsive learners? 2. What does the inference question make a difference in inference between reflective and impulsive learners? 3. What does the application question make a difference in application between reflective and impulsive learners? In order to verify the above questions, 241 of fifth grade students were selected from six classes of G Elementary School, located in Gwang-Ju. They were classified into three groups: data recall questioning group(81), inference questioning group(80), and application questioning group(80). In order to measure reflection and impulsivity cognitive styles, the matching familiar figures test(MFFT) was administered to 241, who were classified into three groups: 56 data recall questioning group(reflection: 29, impulsivity: 27), 53 inference questioning group(reflection: 26, impulsivity: 27), 56 application questioning group(reflection: 29, impulsivity: 27). The learning tasks for experimental treatment were「Learning Resources」with constructed by investigator. There were data recall question, inference question, and application question in each learning resources. The experimental treatment was conducted for fifteen days. In order to test the effect of the experiment, academic achievement tests of data recall level, inference level, and application level were administered in each groups. T-test was employed to verify mean differences in academic achievement between reflective and impulsive learners in each groups.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academic achievement for data recall question between reflective and impulsive learners(t=1.006, p>.05). Secondly,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in academic achievement for inference question between reflective and impulsive learners(t=2.741, p<.01), and inference question was more effective on academic achievement in inference level for reflective learners than impulsive learners. Thirdly,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in academic achievement for application question between reflective and impulsive learners(t=12.930, p<.01), and application question was more effective on the academic achievement in application level for reflective learners than impulsive learner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was concluded that teachers\ question should be appropriate to the leaners\ cognitive styles in order to improve the effects of instruction.

      • KCI등재

        초등학교 교사의 수업모형 적용 실태 분석

        권낙원,추광재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05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5 No.1

        이 연구는 초등학교 교사들의 수업모형에 대한 이해 정도와 적용 실태에 대해서 분석하고 효과적인 수업을 위한 수업모형 적용에 있어 나타나는 저해요인들을 밝히고자 질문지와 심층면접으로 조사하였다. 7개교 171명의 교사를 대상으로 수업모형의 개념, 필요성, 적용 가능한 수업모형의 수, 수업모형 연수기관, 저해요인 등을 구조화된 질문을 주로 사용하여 심층면접 및 질문지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교사의 대부분이 수업모형의 개념을 제대로 이해하지 못하고 있었으며, 적용할 수 있는 수업모형도 6개 이하로 다양한 교과와 수업목표를 효과적으로 달성하기에는 매우 부족한 교사의 이론적, 실제적 현실을 드러내고 있었다. 또한 응답자의 대부분이 책이나 인터넷을 이용한 자기연수를 통하여 수업모형과 관련된 지식을 얻고 있었다. 수업모형 적용의 저해요인으로 교사들의 새로운 변화에 대한 두려움, 구체적으로 새로운 수업방법 적용에 대한 두려움이나, 기존 수업방법의 편리성이 가장 큰 요인으로 들고 있다. 저해요인의 두 번째는 교사의 전문적 지식의 부족으로 연수와 장학의 관행적, 행사치루시식, 지원이 아닌 지시 등의 행정적 이유와 교사 스스로가 전문성 향상을 위한 노력을 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수업의 질 개선과 관련한 연구에나 연수에 중요한 시사점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eacher\ s perception on teaching model, to identify the actual conditions and to found that hindrance\ s factors when teachers applied the teaching model for effective teaching. For the purpose, this study was designed as follows; a questionnaire was composed of 9 items and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171 teacher in 7 elementary schools in korea. The results on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most of teachers who participated in this study didn\ t understand on concept of teaching model clearly(52.4%). Secondly, teachers responded that just used six teaching model or below by class(75%). Thirdly, through the books and internet, teachers acquired new theories about the teaching model(50.9%). Fourthly, teachers have a positive thinking that were necessary to apply the teaching model for effective teaching(60.5%)

      • KCI등재

        은유분석을 통한 교사상 분석

        권낙원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08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8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은유를 통한 교사상을 규명하는데 있다. 대학원생을 대상으로 ‘교사는 …에 은유된다. 왜냐하면… ’이라는 단서를 주고 이에 대한 반응을 분석하였 다. 표집대상은 K대학교 대학원생(현직교사 포함) 77명이었다. 본 연구의 결과, 교사와 관련된 43개의 심상, 즉 은유가 도출되었다. 이들 43개의 은유를 서로 공통적인 것끼리 유목으로 결합하여 총 11개의 유목으로 최종 분류하 였다. 본 연구에서 분류한 유목은 동일시 대상자, 헌신자, 연구자, 안내자, 조형자, 인격자, 조력자, 지식․가치 제공자, 지도자, 친구, 양육자 등의 11가지 유목이었다. 본 연구의 결과에 의하면, 교사가 지각한 교사상 중에서 안내자가 가장 많았으며, 그 다음으로 동일시 대상자, 양육자, 지식․가치 제공자, 조형자 순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밝힌 11개의 교사상을 성별, 경력, 학교급별에 따라서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았다. 본 연구결과, 남교사는 안내자, 여교사는 동일시, 안내자, 조형 자, 양육자로 가장 많이 인식하였다. 5년 미만의 교사는 동일시 대상자, 5년 이상 10 년 미만 교사는 조력자, 10년 이상 교사는 안내자로 가장 많이 인식하였다. 한편, 초등학교 교사는 안내자, 지식․가치제공자, 중·고등학교 교사는 양육자로 가장 많 이 인식하였다. 은유를 통한 교사상 분석을 통하여 발견할 수 있는 사실은 교사를 포괄적이고, 다 면적인 관점에서 이해해야 한다는 것이었다. 즉 교사에게 기대하는 역할이 다양하며, 교원교육과정에서 이러한 교사의 다양성을 인식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교원양성교육과 관련하여, 바람직한 교사상을 제공한다는 점에서 연구의 의의가 있 다고 할 수 있다. This study aims at identifying the teacher\ s image through metaphor analysis. The participants were presented the prompt \ A teacher is like, because......\ by focusing one metaphor to indicate teacher\ s image. And the subject\ s responses to the prompt were analyzed. The 77 subjects were sampled from the graduate students of K university, who consist of dispatched teachers from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s all over the country.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ed that the 43 metaphors concerning teacher were analyzed on the basis of data and 11 categories of metaphors were drawn from 43 metaphors. 11 categories of metaphors are as follows: teacher as a guide, teacher as a model for identification, teacher as a dedicator, teacher as a molder, teacher as a man of character, teacher as a provider of knowledge and value, teacher as a helper, teacher as a leader, teacher as a friend, teacher as a nurturer. On the basis of the research findings, it can be concluded that the teacher\ s images revealed through metaphor analysis can be understood in terms of multifaceted aspects. In other words, there are various kinds of complex roles in teachers. Accordingly, this study provides us some implications for establishing some goals of teacher education.

      • KCI등재
      • KCI등재후보

        전문학습공동체 구성 가능성 탐색

        권낙원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07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7 No.2

        본 연구는 교원의 전문성 개발에 효과적인 전문학습공동체의 구성 가능성을 탐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 내용을 선정하고 검토하였다. 첫째, 전문학습공동체의 개념, 특징 및 프로그램을 논의하였다. 둘째, 전문학습공동체에서 교사와 교장의 역할의 논의하였다. 셋째, 전문학습공동체 구성 가능성을 논의하였다. 위와 같은 내용을 연구하기 위하여 본 연구주제와 관련이 있는 문헌, 논문, 각종 자료들을 분석하였다. 이러한 분석 결과를 통하여 전문학습공동체 구성 방안을 논의하였다. 논의의 초점은 일반자격연수프로그램의 전문학습공동체화하는 방안과 전문학습공동체의 기관화 제도화 방안에 있다. 구체적으로 목적, 내용, 방법, 행.재정 지원을 중심으로 방안이 논의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quire into the measures to building the effective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ies for improving the teacher\ s professional competence. For the accomplishment of above objective, the following contents were reviewed. 1. To define the concept of the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y. 2.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of the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y. 3. To discuss the program of the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y. 4. To review the teacher\ s and principal\ s role in the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y. To study the above contents, the literature review was employed. Then the measures to build the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y were discussed on the basis of the analyzed results. Two general measures were suggested. One of them was the measure to transform the traditional inservice teacher training program into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y program. To do these, first of all, teacher\ s empowerment should be assured in relation to various decision making. Another one was to transform the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y need to be institutionalized in some degree without losing the autonomy in teacher\ s decision making. Also, In the formal inservice teacher training program, there needs to be teacher empowerment in the decision making to some degree. In conclusion, whether it is the inservice teacher training program or the professional learning program, there should be guaranteed to permit the freedom in decision making while there should be some limitations on acting in the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y.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