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漢文科敎授-學習方法의 分類法探索 : Attached Highschool to the College of Education at Gongju National Univ

        金國會 한국한자한문교육학회 2005 漢字 漢文敎育 Vol.14 No.-

        교수-학습 방법의 유형들은 다양한 변인에 의계 결정되며 그 변인들은 교수-학습 방법의 설제 유형에서 중심 비중을 어디에 두어야 할 지를 결정짓는 중요한 요소이다. 한문과 교수-학습 방법도 교육 내용, 교수 활동, 학습활동 교실 환경 등의 네 가지 요인에 따른 조합만으도 다양한 모형을 만들 수 있다. 특히 각각의 변인들이 가진 특성이 심도 있게 검토될 때 그에 적절한 교수-학습 방법이 설계될 수 있으며 단위 시간의 학습 목표를 효과적으로 달성할 수 있다. 논자는 본고에서 기존에 소개된 한문과 교수-학습 방법의 분류법을 보완하여 교육 내용 교사의 교수 활동 학생의 학습 활동, 그리고 수업 환경 요건으로서의 교실 환경을 추가 하여 4가지 요인을 고려하는 I-T-L-C형 모형분류법을 제안하였다. '교육 내용(I : Information)'은 교수-학습 내용을 말하는 것으로서 교육과정에서 분류한 한문 교과의 내용 체계에 따라 ① 한자, ② 한자어, ③ 한문으로 분류할 수 있다. '교수 활동(T : Teaching)'은 교사의 교수 활동으로서 교수 장면에서의 교사의 활동 특성을 표시하는 것으로 ① 강의식, ② 발문식, ③ 대화식, ④ 토론식, ⑤ 보조식 ⑥ 관찰식 등으 나눌 수 있다. '학습 활동(L : Learning)'은 학생의 학습 활동으로서 학습 장면에서 학생의 활동 특성을 표시하는 것으로 학습 모둠 조직에 따라 분류하면 ① 전체학습, ② 모둠학습(소집단학습), ③ 개별학습으로 나눌 수도 있고 학습 방식에 따라 분류하면 ① 지식 암기식, ② 이해식, ③ 응용식, ④ 분석식, ⑤ 종합식 등으로 나눌 수 있다 '교실 환경(C : Classroom)'은 교수-학습이 일어나는 장소인 교실 환경을 말하는 것으로서 ① 일반 교실(기자재 부적합환경), ② 전체학습형(1PC 모니터,스크린) 교실, ③ 개별학습형(1인 1PC) 교실 분류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네 가지 변인이 갖고 있는 경우의 수를 가지고 각각을 조합하면 변인들의 특성을 명시 반영한 I-T-L-C형 교수-학습 모형 433가지가 나올 수 있다. 각각의 변인이 갖고 있는 하위 세부 항목에 따른 분류 확장을 감안하면 아무리 다양한 교수-학습 방법이라도 포괄할 수 있는 기준이 될 수 있다. 곧 새로운 아이디어를 가지고 있는 교사의 참의적인 교수-학습 방법도 결국 이러한 분류 방법에 의해서 유형화가 가능하며 유형에 따른 특성 및장단점을 쉽게 파악할 수 있음을 뜻하는 것이다. 다만, 본고에서 제안한 I-T-L-C형 분류법은 하나의 제안이며 예시일 뿐이다. 한문과 교수-학습 방법 분류에 있어서 보다 나은 분류법을 창안하여 각각의 교수-학습 방법이 갖는 특성 및 장단점을 분석하여 한문과 교수-학습 방법의 체계적 구안과 교과교육학의 발전에 기여하고 한문과 교과 목표달성을 실현함은 물론 나아가 한문과 교과 위상을 제고함에 이르기까지 학계가 뜻을 함께 하기를 기대해 본다. Types of teaching-learning methods are decided by various factors, and they are important in deciding on what the main foci should be put in the actual types of teaching-learning methods. Also in finding out the teaching-learning methods of Chinese literature, various kinds of models can be built by just combining these four factors; educational contents, teaching activities, learning activities, and classroom environment. Especially when the features of above-mentioned factors examined deeply, corresponding proper teaching-learning methods can be designed, and learning targets of each class time unit can be achieved effectively. The writer suggests I-T-L-C Model in which, complementing already-introduced Chinese literature teaching-learning methods, he considers four factors of educational contents, teaching activities of teachers, and classroom environment, which was added as a teaching condition factor. 'Educational Contents(I: Information)', meaning teaching-learning substance, can be divided into ① Chinese characters, ② Chinese idioms, ③ Chinese literature. Teaching Activities(T: Teaching)', meaning teaching actions of teachers and indicating the features of their behaviors in an educational scene, can be divided into ① lecture, ② question, ③ conversation, ④ discussion, ⑤ assistance, and ⑥ observation-oriented styles. Learning Activities(L: Learning)' are students' learning actions, meaning the features of their behaviors in a learning scene, and are divided by the grouping ways into ① the whole class learning, ② clot learning(small group learning), ③ individual learning, and by the learning ways, into ① knowledge memorizing, ② comprehension, ③ adaptation, ④ analysis, ⑤ generalization-oriented styles. Classroom environment(C: Classroom)' means classroom conditions where teaching-learning activities take place and is divided into ① common classroom(where the use of teaching-learning aids is not easy), ② the whole class study(1 PC, 1 monitor, and 1 screen) classroom, ③ individual study(1 PC for each student) classroom. With the number of cases from these four factors, by combining them each other, we can get 432 different I-T-L-C Models reflecting the features of those factors. If we consider the expansion of division by details of lower rank, we can get a standard that will include any teaching-learning method, no matter how many there may be. In the long run, creative teaching-learning methods by a teacher with novel ideas can be embodied using these kinds of dividing ways and also the features, advantages, and disadvantages of each methods can be grasped easily when they adopt these methods. The I-T-L-C Model presented in this report is nothing but a suggestion, an exemplification. Through this, the writer expects he will create a better way of dividing the methods of teaching and learning Chinese literature and analyze the advantages and disadvantages of each one, contributing to the systematic designing of Chinese literature teaching-learning methods and the development of Curriculum Education, achieving the goals of Chinese literature education, and further, improving the status of Chinese literature plus its curriculum, and hopes in this effort scholars in the field will work together.

      • 국어과교육 교수·학습 방법 연구사 고찰 : 국어교육학 박사학위 논문들을 중심으로 Focused on Doctoral Thesis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서혁 국어교육학회 2002 國語敎育學硏究 Vol.14 No.-

        국어과 교수·학습 방법에 관한 연구는 최근 10여 년간에 걸쳐서 크게 발전해 왔다. 서구의 이론과 성과들에 의존하고 있는 것도 사실이지만, 국어교육의 현실적 조건들을 고료하고 우리 나름대로의 분석을 토대로 적용 혹은 개발에 상당한 연구 축적을 이루게 되었다. 그 결과 교육학 일반의 수업 모형을 적용하는 수준에서 진일보한 것이 사실이다. 1990년대 초반을 전후한 박사학위 논문들만 하더라도 주로 국어교육학의 ‘내용’ 체계수립을 위해 관심을 기율이다 보니 자연히 ‘방법’에 대한 관심이 소흘할 수밖에 없었던 것이 사실이다. 그러나 90년대 중반 이후로 올수록 국어과 교수·학습 방법에 대한 관심은 석사학위 논문은 물론 박사학위 논문들에도 눈에 띄게 들어나기 시작한다. 석사학위 논문들이 좀더 ‘방법’에 초점을 두고 있는 경우가 많다면, 박사학위 논문들은 이론적 기반과 체계를 바탕으로 하는 ‘내용’ 위에 ‘방법’을 암께 제시하기 시작한다. 특히 90년대 후반 이후에 2000년대에 들어와서는 오히려 ‘방법’에 초점을 두고 있는 논문들이 눈에 띄기 시작한다. 이는 국어과 교수·학습 방법 연구에서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그러나 국어과 교수·학습 방법에 관한 체계의 수립과 다양한 일반 모형, 하위 모형들의 개발은 이제 여전히 시작에 불과하다고 할 수 있다. 이 글에서 구체적인 교수·학습 방법들에 대한 범주와나 유형화가 이루어지지 못하고 영역별로 기술하게 된 어려움도 여기에 기인하는 바가 없지 않다. 이와 관련하여 국어과 교수·학습 방법의 연구에 대한 의식의 병화에 적극적인 연구 노력이 요구된다. 특히 ‘내용’과 ‘방법’은 서로 분리해서 다뤄질 수 없는 특성이 있다.특히 실제적인 교수·학습 상황을 고려한 ‘내용’이라면 더더욱 ‘방법’을 염두에 두지 않을 수 없다. 즉, 내용에 터한 방법. 방법을 염두에둔 내용 연구의 시각이 요구된다. 앞으로 본고에서 다루지 못한 석사논문이나 소논문들을 망라한 전체적인 교수·학습 방법들에 대한 검토, 정리를 바탕으로 한바탕으로 한 구체적인 논의가 후속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그리하여 지금까지 축적된 국어 교육의 경험과 지식을 바탕으로 우리의 독자적인 교수·학습 모형과 방법들이 적극적으로 논의되고 개발될 수 있기를 기대해 본다. The researches on teaching-learning methods of Korean language have been developed and expanded on a large scale in recent 10years. Even though they have been depend on the results of foreign language education researches, in fact they result from the adaptations and self-development considering Korean language education itself. As the result of them teaching-learning methods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have taken a step forward from simple adaptation of general pedagogic adaptation. But it is just another starting point to develop systematic teaching-learning methods various general models and sub-models. For these, we need much more interest and chaning our minds on teaching-learning methods of Korean language. Especially, the pinpoint is that the 'contents' and 'methods' can not be managed separately. In to the bargain, 'the contents' which is focused on real teaching-learning methods situation should be considered 'the methods' much more. In other words, the viewpoint such as methods-based on-contents, contents-based on-methods are needed. From now on there are much more discussions and effort to develop and upgrade our independent teaching-learning methods methods of Korean language on the basis of experiences and knowledge obtained so far.

      • 漢文科 敎授ㆍ學習의 理論과 方法

        宋秉烈(Song Pyung Nyul) 고려대학교 한자한문연구소 2009 동아한학연구 Vol.- No.5

        교수ㆍ학습의 방법은 수업을 통해 최상의 효과를 얻기 위한 것으로 수업에 관한 여러 접근 방법들의 강조점과 특성을 파악하고 학습자와 학습과제의 특성, 수업조건에 맞도록 활용해야 한다. 일반적인 교육학 이론은 교수자와 학습자 행동의 내용을 중심으로 개발된 행동 중심 교수ㆍ학습 방법을 제시한다. 행동 중심 교수ㆍ학습 방법은 여러 교과나 내용에 보편적으로 적용이 가능하며 대부분 수용하여 적용하고 있다. 그러나 행동 중심 교수ㆍ학습 방법 이외에도 다양한 교과의 내용과 매체의 특성을 반영한 방법은 개발되었다. 따라서 한문과에서는 행동 중심 교수ㆍ학습 방법, 내용 중심 교수ㆍ학습 방법, 매체 중심 교수ㆍ학습 방법 등으로 크게 분류한다. 행동 중심 교수ㆍ학습 방법에는 교사 중심의 강의법, 학습자가 결론하도록 도와주기 위해 질문을 위주로 하는 질문법, 교사와 학습자간 의사소통을 통한 토론법, 학습자의 특성을 고려하여 개인의 학습 환경을 구성해주는 개별학습법, 자유로운 연상과 탐색발견을 위주로 하는 브레인스토밍과 버즈 학습법, 문제를 해결하는 과정 중심의 문제중심 학습법, 소집단 구성원들이 협력하여 목표를 성취하는 협동학습법, 학습자 스스로 학습 요구를 진단, 계획, 실행하는 자기 주도적 학습법, 상황을 인위적으로 만들어 역할에 참여하게 하는 역할놀이 학습법, 낭독법 등이 있다. 내용 중심 교수ㆍ학습 방법으로는 부수 중심 지도법, 구조분석법, 조어 분석법, 이야기를 통한 고사성어 학습법, 도제식 한시 교수ㆍ학습법, 자원 활용법, 비교학습법, 허자지도를 통한 독해 지도법, 어순 구조를 통한 독해 지도법 등이 있다. 매체 중심 교수ㆍ학습 방법으로는 언어 활용법, 색출법, 이미지컷 활용 학습법, 한자카드 활용법, NIE 활용 학습법, 웹기반 교수ㆍ학습 방법, 옥편 활용 지도법 등이 있다. 전통적인 교수ㆍ학습 방법은 근대의 교수ㆍ학습 방법과는 다른 것이 주로 학습법에 치중되어 있다. 자기주도 학습법이라고 할 만한 것이 대부분이다. 낭송하며 학습하는 誦讀法, 학습내용을 반복해서 읽는 多讀學習法, 학습 내용의 이치를 궁리하여 깨우치는 格物致知 學習法(격물치지 학습법 ; 精讀 學習法), 철저한 자기관리를 통하여 학습하는 全心全力(전심전력) 학습법 등이 있다. 제시된 한문과의 교수ㆍ학습 방법은 다양하나, 체계화가 미흡하여 다양한 유형과 모형, 기법의 개발 여지가 많다. The method of teachingㆍlearning is for getting the best effect through the class, so we have to grasp emphasis and characteristic of various methods about class and utilize to proper character of learner and task and the condition. As the methods of teaching-learning, there are the general teaching-learning methods of pedagogic theory and the teaching-learning method of the Department of Classical Chinese. The teaching-learning methods of the Department of Classical Chinese classified two branches, one is to apply some general theories to the Department of Classical Chinese and the other is developed to be right for contents or nature of the area of the Department of Classical Chinese. In the general teaching-learning methods, there are 'Lecture method', teacher-centered method, 'Conversational method', question-centered to help learner draw the conclusion, 'Discussion method', through communication between teacher and learner, 'Personal learning', making one's personal studying environment out of regard for nature of learner, 'Brainstorming and Buzz learing', ceturing free associations and the exploration and discovery, 'Problem based learning', centuring process that is solving problems, 'Team teaching', where members achieve goals to work together, 'Self-lead learning', where the learner diagnose, plan and act learning needs himself, 'Role-play method', leading to play roles in the artifical situations and so on. In teaching-learning methods following Chinese character and content's area, there are the things that are presented for pedagogic general theory like 'Elocution, Lecture method, Discusson method, Team teaching, Role-play method and so on', or developed in the school field like 'Elocution adding Hangeul to Chinese character, Leading method using image cuts,Utilizing Chinese character card,Radical centered teaching, Analyzing constructure, Utilizing resouces, Teaching through the dictionary of Chinese character(Ok Pyeon), Analzing coinages, Utilizing languages, Searching out method, Comparing, Teaching reading through leading Huh ja(虛字), Teaching readig through constructure of the word order, Cognitive teaching apprentices and so on'. Some of them presented 'process', model of studying, but most of them are the teaching-learing methods presented in the level of technique without model. Traditional teaching-learning methods mainly focus on something unlike modern teaching-learning methods. Most of them are the things to say self-lead learning, learning through recitation(誦讀法), reading contents repeatedly(多讀 學習法), realizing the logic of learning contents through devising(格物致知 學習法), learning through thorough self-discipline(全心全力學習法). There are various teaching-learning methods of the Department of Classical Chinese,but they are open to developing various types,models and techniques because they are insufficient for systematization.

      • KCI등재

        한문과(漢文科) 교수(敎授),학습(學習) 방법(方法) 연구(硏究)의 성과(成果)와 방향(方向)

        송병렬 ( Pyung Nyul Song ) 한국한문교육학회 2011 한문교육논집 Vol.37 No.-

        한문과 교수·학습 방법에 대한 연구가 처음부터 활발했던 것은 아니다. 연구는 두 가지 형태로 발표되었다. 즉 ``교수 방법``과 ``교수·학습 모형``이 그것이다. ``교수 방법``의 성과는 강덕희의 「기초 조어표의 활용을 통한 조어표의 효과적인 지도방안」부터 비롯했다. 이후 김우용의 「특활을 통한 한문과 학습지도가 학습자의 학력신장에 미치는 영향」에서 ``한자카드 놀이법``을, 조규남은 「그림을 활용한 한자지도법 연구」에서 한자를 그림으로 제시는 방법을 제시하였다. 그러나 이들 논문은 지도안의 성격을 띠는 것이었다. 배원룡은 「한문과 교수·학습 지도 방법」에서 ``융판 활용 한자어 지도법``에서 ``비교 학습법``, ``색출 학습법``, ``역할 놀이 카드 활용법`` 등의 다양한 학습법을 제시하였으나, 기존의 교육공학의 매체 제작 및 활용의 수준이었다. 이들 교수 방법은 대체로 모색과 모방의 수준이었다. 이에 한 걸음 더 나아간 것은 백원철의 「한문과 학습의 전통적 낭독법에 대하여-한문과 학습의 효과적 일방안의 모색-」, 이태희의 「근체시의 4단 구성과 그림으로 하는 한시 수업」, 이복규의 「옛날 이야기와 수수께끼를 통한 한자 한문 학습」, 송병렬의 「한문교과교육에서 ``한자의 짜임`` 지도 방법의 일고찰」, 김은경의 「문화유산을 활용한 한자·한자어 교수·학습 방법」, 김재영의 「신문, 방송을 활용한 한자·한자어 교수 학습 방법」 등이다. 이들 논문은 한문과의 독자적인 방법을 제시하였다. 교수 모형에 대한 성과는 원용석이 「한자어 교수·학습 모형」에서 한자어 교수 모형을 제시했다. 백광호는 「한문과에 적용 가능한 웹기반 수업과 문제중심학습」에서 한문과 구성주의 이론에 따른 교수 모형을 소개했다. 김연수는 『한시 교육에서 구성주의 교수·학습 방법 연구』에서, 김재영은 「독자 반응 중심 한시 교수·학습 모형에서 ``인지적 도제 중심의 한시 교수·학습 모형``과 ``텍스트 중심 교수·학습 모형``을 제시하였다. 위의 두 모형은 앞서 제시한 구성주의 이론을 적극 수용한 데서 나온 성과물이다. 송병렬은 「한문과 교수·학습의 협동학습 모형 적용」에서 구성주의에 따른 협동학습을 한문과에 적용하여 ``학습자 중심의 교수·학습 모형``의 사례를 보고하였다. 이경우는 「UCC를 기반으로 하는 한시 학습 방법 연구」에서 ``동영상 활용 수업 모형``을 제시하였다. 이같은 연구 성과는 2000년 이후 매우 활발하게 전개되었다. 그러나 이같은 활발한 연구에도 불구하고 체계화 등 몇 가지 문제점을 안고 있었다. 이에 김재영이 「한문과 교수·학습방법의 체계화방안」에서, 송병렬이 「한문과 교수?학습의 이론과 방법」에서 각기 ``교수 방법``을 분류를 시도하였다. 즉 교수 방법의 체계화를 시도한 것이다. 이러한 분류의 체계화는 한문과 교수·학습 방법에 대해 체계적으로 연구할 수 있도록 방향을 제시한 것이다. 또한 최근 한문과 교수·학습 방법 연구는 국제적인 학술대회의 개최 등으로 세계화할 조짐이다. 특히 중국·홍콩·대만 등의 국가들이 한자·한문의 교수 방법에 대한 연구가 활발해지고 있다. 이들과의 교류로 인해서 새로운 연구 주제와 범위가 확산되었다. 역시 교수·학습 방법 연구에도 새로운 방향이 열린 것이다. 그동안 한문과 교수·학습 방법에 대한 연구는 100여 편 이상이 될 정도로 많은 편이나, 대체로 중복이 많다. 이는 교수·학습 방법 연구에 대한 미숙함도 있지만, ``교수 방법, 모형`` 등에 대한 차이를 분류하고 체계화하지 못했기 때문이다. 그러나 매우 주목할 만한 연구도 많았으며, 이들이 한문과 교수·학습 방법 연구에 기여하고 있음을 확인했다. Aspect of the study for the teaching-learning of Chinese Character can be integrated to three things in general. They are teaching method, teaching-learning model and classification of teaching method. The achivement of the teaching method had begun from 「An effective guide plan of coinage chart through the use of basic coinage chart」 by Kang Duk Hee. Since Chinese Character teaching through extracurricular activities have on the learner`s academic ability」, and Jo Kyu Nam showed the method that indicates Chinese Character as a picture in 「Study of the teaching method of Chinese Character using pictures」. However, these papers were kinds of guidance plan. After them, Bae Won Ryong presented many learning methods such as ``Chinese Character teaching which uses felt boards``, ``Comparing``, ``Searching`` and ``Application of cards on role-playing``, though, these were the level of imitation and search on the whole. Taking a stronger point of view, there are 「About the traditional elocution in Chinese Character study-Searching for effective way of Chinese Character-」 by Baek Won Chul, 「Four step-construction of modern-style poetry and Chinese poem class using picture」 by Lee Tae hee, 「Chinese character and Chinese classics learning though old stories and puzzles」 by Lee Bok Kyu, 「A Thought about the Method to Teach ``The Principle of Creation of Chinese Characters`` in Chinese character Education」 by Song Pyung Nyul, 「Method of Teaching and Learning Chinese Characters and Words Written in Chinese Characters Utilizing Cultural Heritage」by Kim Eun-kyung and 「A Method of Teaching and Learning Chinese Characters Using Newspaper and Broadcasting」by Kim Jae-young. They showed their own ways in Chinese Characters. The result concerned with teaching models indicated Chinese words teaching models in 「Chinese words teaching-learning models」 by Won yong suk. Baek Kwang-ho introduced a new teaching models that are based on the Chinese Character`s constructivism theory in 「Web-based course and problem-based learning that can be applied to Chinese Character」. Kim Yeon soo showed ``Cognitive apprentice centered Chinese poem Teaching-Learning model`` and `` Text centered Teaching-Learning model`` in 「Constructivism method study of teaching-learning in Chinese poem education」, Kim Jae-young did in 「Readers` Responce centered Chinese Poem Teaching-Learning Model」. Those two models are the results of accepting constructivism which were mentioned before this actively. Song Pyung-nyul reported the example of ``Teaching-learning model focused learners`` to apply cooperative learning following to constructivism in 「Cooperative model Application of Chinese Character teaching-learning」. Lee kyung woo presented ``Model of lesson that uses video`` in 「A study on teaching and learning method of Chinese poem using U.C.C in education」. Systematization of teaching method was tried by Kim Jae-young in 「A study on How to Systemize Teaching-Learning in Classical Chinese」, and Song Pyung-nyul in 「Theory and method of Chinese Character teaching·learning」by attempting to classify each ``teaching method``. Systematization in classification has contributed to the methodical study of Chinese character teaching-learning method. Until now, there were many studies about the method of Chinese character teaching-learning method as many as more than 100, however, they have many overlaps. Because they are not only unfamiliar about the study of Chinese character teaching-learning method but failed to classify the difference of the things like ``Teaching method and model``. Though, many scholars` achivements were very noticable and played a role to expand the subject matter education of Chinese Character. Recently, it looks like being globalized through the things like holding international symposiums. Especially in the countries that include China, Hong Kong, Taiwan, etc, the study is lively being conducted. Therefore, interaction with them will be connected to the expand of the new subject and range soon.

      • KCI등재

        漢文科 敎授·學習 方法 硏究의 成果와 方向

        송병렬 한국한문교육학회 2011 한문교육논집 Vol.37 No.-

        한문과 교수·학습 방법에 대한 연구가 처음부터 활발했던 것은 아니다. 연구는 두 가지 형태로 발표되었다. 즉 ‘교수 방법’과 ‘교수·학습 모형’이 그것이다. ‘교수 방법’의 성과는 강덕희의 「기초 조어표의 활용을 통한 조어표의 효과적인 지도방안」부터 비롯했다. 이후 김우용의 「특활을 통한 한문과 학습지도가 학습자의 학력신장에 미치는 영향」에서 ‘한자카드 놀이법’을, 조규남은 「그림을 활용한 한자지도법 연구」에서 한자를 그림으로 제시는 방법을 제시하였다. 그러나 이들 논문은 지도안의 성격을 띠는 것이었다. 배원룡은 「한문과 교수·학습 지도 방법」에서 ‘융판 활용 한자어 지도법’에서 ‘비교 학습법’, ‘색출 학습법’, ‘역할 놀이 카드 활용법’ 등의 다양한 학습법을 제시하였으나, 기존의 교육공학의 매체 제작 및 활용의 수준이었다. 이들 교수 방법은 대체로 모색과 모방의 수준이었다. 이에 한 걸음 더 나아간 것은 백원철의 「한문과 학습의 전통적 낭독법에 대하여-한문과 학습의 효과적 일방안의 모색-」, 이태희의 「근체시의 4단 구성과 그림으로 하는 한시 수업」, 이복규의 「옛날 이야기와 수수께끼를 통한 한자 한문 학습」, 송병렬의 「한문교과교육에서 ‘한자의 짜임’ 지도 방법의 일고찰」, 김은경의 「문화유산을 활용한 한자·한자어 교수·학습 방법」, 김재영의 「신문, 방송을 활용한 한자·한자어 교수 학습 방법」 등이다. 이들 논문은 한문과의 독자적인 방법을 제시하였다. 교수 모형에 대한 성과는 원용석이 「한자어 교수·학습 모형」에서 한자어 교수 모형을 제시했다. 백광호는 「한문과에 적용 가능한 웹기반 수업과 문제중심학습」에서 한문과 구성주의 이론에 따른 교수 모형을 소개했다. 김연수는 『한시 교육에서 구성주의 교수·학습 방법 연구』에서, 김재영은 「독자 반응 중심 한시 교수·학습 모형에서 ‘인지적 도제 중심의 한시 교수·학습 모형’과 ‘텍스트 중심 교수·학습 모형’을 제시하였다. 위의 두 모형은 앞서 제시한 구성주의 이론을 적극 수용한 데서 나온 성과물이다. 송병렬은 「한문과 교수·학습의 협동학습 모형 적용」에서 구성주의에 따른 협동학습을 한문과에 적용하여 ‘학습자 중심의 교수·학습 모형’의 사례를 보고하였다. 이경우는 「UCC를 기반으로 하는 한시 학습 방법 연구」에서 ‘동영상 활용 수업 모형’을 제시하였다. 이같은 연구 성과는 2000년 이후 매우 활발하게 전개되었다. 그러나 이같은 활발한 연구에도 불구하고 체계화 등 몇 가지 문제점을 안고 있었다. 이에 김재영이 「한문과 교수·학습방법의 체계화방안」에서, 송병렬이 「한문과 교수ㆍ학습의 이론과 방법」에서 각기 ‘교수 방법’을 분류를 시도하였다. 즉 교수 방법의 체계화를 시도한 것이다. 이러한 분류의 체계화는 한문과 교수·학습 방법에 대해 체계적으로 연구할 수 있도록 방향을 제시한 것이다. 또한 최근 한문과 교수·학습 방법 연구는 국제적인 학술대회의 개최 등으로 세계화할 조짐이다. 특히 중국·홍콩·대만 등의 국가들이 한자·한문의 교수 방법에 대한 연구가 활발해지고 있다. 이들과의 교류로 인해서 새로운 연구 주제와 범위가 확산되었다. 역시 교수·학습 방법 연구에도 새로운 방향이 열린 것이다. 그동안 한문과 교수·학습 방법에 대한 연구는 100여 편 이상이 될 정도로 많은 편이나, 대체로 중복이... Aspect of the study for the teaching-learning of Chinese Character can be integrated to three things in general. They are teaching method, teaching-learning model and classification of teaching method. The achivement of the teaching method had begun from 「An effective guide plan of coinage chart through the use of basic coinage chart」 by Kang Duk Hee. Since Chinese Character teaching through extracurricular activities have on the learner's academic ability」, and Jo Kyu Nam showed the method that indicates Chinese Character as a picture in 「Study of the teaching method of Chinese Character using pictures」. However, these papers were kinds of guidance plan. After them, Bae Won Ryong presented many learning methods such as 'Chinese Character teaching which uses felt boards', ‘Comparing', 'Searching' and 'Application of cards on role-playing', though, these were the level of imitation and search on the whole. Taking a stronger point of view, there are 「About the traditional elocution in Chinese Character study-Searching for effective way of Chinese Character-」 by Baek Won Chul, 「Four step-construction of modern-style poetry and Chinese poem class using picture」 by Lee Tae hee, 「Chinese character and Chinese classics learning though old stories and puzzles」 by Lee Bok Kyu, 「A Thought about the Method to Teach 'The Principle of Creation of Chinese Characters' in Chinese character Education」 by Song Pyung Nyul, 「Method of Teaching and Learning Chinese Characters and Words Written in Chinese Characters Utilizing Cultural Heritage」by Kim Eun-kyung and 「A Method of Teaching and Learning Chinese Characters Using Newspaper and Broadcasting」by Kim Jae-young. They showed their own ways in Chinese Characters. The result concerned with teaching models indicated Chinese words teaching models in 「Chinese words teaching-learning models」 by Won yong suk. Baek Kwang-ho introduced a new teaching models that are based on the Chinese Character's constructivism theory in 「Web-based course and problem-based learning that can be applied to Chinese Character」. Kim Yeon soo showed 'Cognitive apprentice centered Chinese poem Teaching-Learning model' and ' Text centered Teaching-Learning model' in 「Constructivism method study of teaching-learning in Chinese poem education」, Kim Jae-young did in 「Readers' Responce centered Chinese Poem Teaching-Learning Model」. Those two models are the results of accepting constructivism which were mentioned before this actively. Song Pyung-nyul reported the example of 'Teaching-learning model focused learners' to apply cooperative learning following to constructivism in 「Cooperative model Application of Chinese Character teaching-learning」. Lee kyung woo presented 'Model of lesson that uses video' in 「A study on teaching and learning method of Chinese poem using U.C.C in education」. Systematization of teaching method was tried by Kim Jae-young in 「A study on How to Systemize Teaching-Learning in Classical Chinese」, and Song Pyung-nyul in 「Theory and method of Chinese Character teaching·learning」by attempting to classify each 'teaching method'. Systematization in classification has contributed to the methodical study of Chinese character teaching-learning method. Until now, there were many studies about the method of Chinese character teaching-learning method as many as more than 100, however, they have many overlaps. Because they are not only unfamiliar about the study of Chinese character teaching-learning method but failed to classify the difference of the things like 'Teaching method and model'. Though, many scholars' achivements were very noticable and played a role to expand the subject matter education of Chinese Character. Recently , it looks like being globalized through the things like holding international symposiums. Especially in the countries that include China, Hong Kong , Taiwan ,etc, the study is lively being conducted. Therefore, inter...

      • KCI등재

        NCS학습모듈을 활용한 학습자 중심의 교수·학습방법이 특성화고등학교 학생들의 사무행정 실무능력에 미치는 영향 : 충남 소재 특성화고등학교를 중심으로

        김민정,이광호 한국상업교육학회 2018 상업교육연구 Vol.32 No.2

        이 연구의 주된 목적은 NCS 학습모듈을 활용한 학습자 중심의 교수학습방법을 ‘사무행정’ 과목 에 적용하였을 경우, 학습자 중심의 교수학습 방법이 학생들의 사무행정 능력에 미치는 영향이 어 떠한지를 전통적인 수업방법과 비교하여 분석하는 것이다. 이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NCS학습모듈을 활용한 학습자 중심의 교수·학습 방법’은 ‘학생들의 사무행정 실무능력’에 영향을 미치는가? 둘째, 학생들의 배경변인에 따라 ‘NCS학습모듈을 활용한 학습자 중심의 교수·학습방법’이 ‘학생 들의 사무행정실무능력’에 미치는 영향은 차이가 있는가? 연구 결과, 학습자 중심의 교수·학습방법이 학생들의 사무행정 실무능력 향상에 영향을 미쳤으 며, 학습자 중심의 교수·학습방법을 적용한 실험집단이 교수자 중심의 교수·학습방법을 진행한 통 제집단보다 사무행정 실무능력이 크게 향상되었다는 점을 발견할 수 있었다. 이 같은 연구 결과는 향후에 특성화고등학교에서의 교수·학습방법이 어떤 방향으로 개선되어야 하는지에 대한 의미 있 는 시사점을 제공해 준다. 2018학년도부터 NCS(국가직무능력표준) 기반 교육과정인 ‘2015 개정 고등학교 교육과정’이 특성 화고등학교에 전면적으로 적용된다. 그리고 제4차 산업혁명의 도래와 함께 교육의 패러다임이 변해 야 하는 시점에 있다. 이 같은 시점에서 특성화고등학교 교수·학습방법이 전통적인 교사 위주의 설 명식, 일방 전달식 교육으로만 진행될 경우, 특성화고등학교의 교육 경쟁력을 제고하기 어려울 것 이다. 따라서 특성화고등학교에서의 교수·학습방법은 지금과는 다른 방식으로 변해야 한다. 그리고 그 변화의 방향은 학습자 중심의 교수·학습방법이어야 한다는 점을 이 연구는 시사해 주고 있다.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learner-centered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on students' administrative competency when applying the learner-centered teaching and learning method using NCS learning module to 'office administration'. The research problems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does the 'learner-centered teaching and learning method using the NCS module affect the students' competency to work in office administration? Second, according to the background variables of the students, how is the effect of the 'learner-centered teaching and learning method using the NCS module on the students' incompetence of the office administration office?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the learner-centered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influenced the improvement of the students' office administration competency, and the experimental group applying the learner-centered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were more effective than the control group. The results of this study provide meaningful implications for future direction of the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in the specialization high school. Starting in 2018, the '2015 Revised High School Curriculum', an NCS-based curriculum, is applied to the commercial high school. And the paradigm of education has to change with the advent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It is difficult to improve the competitiveness of commercial high schools if the method of teaching in Commercial high school is conducted only by a traditional teacher-centered explanatory expression and one-way communication. Therefore, the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in the commercial high school should change in a different way.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direction of change should be learner–centered teaching.

      • KCI등재

        국어 교수․학습 방법론의 과제와 전망

        고춘화 한글학회 2022 한글 Vol.- No.335

        This study aims to analyze how Korean teaching and learning has been developed and to systematically organize its achievements. This paper also suggests how teaching and learning can be further improved. Teaching and learning are dynamic and the product of interactions between teachers, learners, language materials, and learning environments. The national Korean language curricula from the first to the 2015 version are analyzed to determine how Korean teaching and learning have changed over time. Korean language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have been developed given the features of texts.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represent educational content.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that were historically shaped by the teacher’s experience and have become more systematic and applicable in classes. Korean language teaching research should determine how to best teach Korean. In addition, there is a need for further empirical research on methods for learning Korean. In response to changing learning environments and learners’ needs, Korean language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should be further developed.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systematically organizes Korean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that used to be based on only teachers’ individual abilities. Korean language education can support learners’ growth. 이 연구는 국어 교수·학습 방법론이 발전해 온 양상을 분석하여 그 성과를 정리하고, 앞으로 나아가야 할 방향과 전망을 제안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1차에서 2015 개정 교육과정을 분석한 결과, 국어과 교수·학습은 교육학의 일반적 내용에서, 국어과 고유의 내용과 영역별 방법을 발전시켜왔음을 알 수 있었다. 영역별 교수·학습 방법은 텍스트의 특성을 고려하여 개발되어 왔고, 교수 방법이 교육 내용을 표상하는 것을 중요하게 여겼다. 교사의 경험과 개별 수업 방법에 한정되던 교수·학습 방법은, 점차 이론적 틀을 체계화하는 한편 실제 수업에 적용할 수 있는 실행력을 갖추게 되었다. 앞으로 국어 교수 방법론은 국어 교수·학습의 내적 원리를 추출하여 고유의 교수·학습 방법을 다양하게 개발하고 국어 교수·학습의 정체성을 탐색해야 할 것이다. 또한 국어 공부 방법론으로서의 국어 학습법과 국어 학습자에 대한 실증적 연구가 필요해 보인다. 미래 사회를 위한 국어 교수·학습의 원리와 방법을 적극적으로 모색해야 할 것이다. 이 연구는 교사의 개별적 능력으로 인식해 온 국어 교수·학습 방법을 이론적으로 체계화했다는 점에서 의의를 갖는다. 다가올 미래에도 국어교육은 좋은 국어 수업을 통해 학습자의 인간다운 성장을 적극 지원할 것이다.

      • KCI등재

        효과적인 성경교수를 위한 창조적 교수-학습 모형 설계-로렌스 리차즈의 HBLT 접근법을 중심으로-

        이선영 한국기독교교육학회 2014 기독교교육논총 Vol.38 No.-

        Effective Bible teaching is not just a simple delivery of information from theBible, but has the goal of spiritual maturity and the changes of the students intheir lives. There is a huge gulf between the ancient world of the Bible and themodern world. Not only the differences of time and space, but there are gaps inculture, custom, language, life style, and value system. Building a bridge over thevast difference, Bible teachers are to impart the truth of the Words and help thestudents understand the Bible, have personal faith, and change their lives. LawrenceO. Richards suggested the Creative Bible Teaching based on the principles ofguided discovery learning. It consists of three steps: focusing on the students’interests (Focus), helping them discover what God has given us in the Bible(Discovery), and encouraging them to respond to what God expects us to do(Response). This teaching method imply HBLT approach and are composed offour basic sections “Hook(gaining attention)–Book(studying the passage)-Look(implications of passage to life)-Took(application of truth to life).” First, theteacher gains attention of the students to focus on the passage of the day. Then,he seeks to clarify the meaning of the passage through inductive Bible study. Next, he applies the understood passage to daily living to discover theimplications. Finally, he encourages the students to practice the implications intheir lives. Richards’s HBLT approach is an effective Bible teaching method, leading students’ spiritual growth and the change of life. It is a creative teachingmethod that can be applied from preschoolers to adults. The purpose of thisstudy is planning of creative teaching-learning model based on Richards’s HBLTapproach that can be performed in the church school. Although only one Sundayschool curriculum for the elementary school students (grades 4-6) is presented inthis study, a lot of changes and growth are found in all departments of thechurch school when this model is actually performed. First, the attitudes of thestudents are changed positively. Next, the teachers also grow as responsible andtrained Bible teachers. Most of all, the Words is reaffirmed as truth in the heartsof the students and teachers and they experience the work of the Holy Spirit intheir lives. Of course, the HBLT approach cannot be the sole method for aneffective Bible teaching. However, it is a creative and prominent Bible teachingmethod as it helps the students enter into the biblical world with curiosity anddiscover the truth there, and respond to the truth. Therefore, if each churchreorganizes this teaching method and plans and performs it according to theirown situation, an effective Bible teaching that leads to the maturity and change ofthe students should be possible. 효과적인 성경교수는 단지 성경의 지식만을 전달하는 것이 아니라, 학습자들의 영적성숙과 삶의 변화를 목적으로 한다. 중요한 것은 어떻게 성경을 효과적으로 가르치는가하는 것이다. 사실 고대 성경의 세계와 지금 우리가 살고 있는 세계 사이에는 커다란간극이 있다. 단지 시간적, 공간적 간극뿐 아니라, 문화, 관습, 언어, 생활양식, 가치관등의 간극은 학습자들로 하여금 성경의 세계를 낯설게 만든다. 성경교사는 이 간극을뛰어넘어, 성경말씀이 학습자들에게 진리로 전달되어 성경을 이해하고 인격적으로 믿으며 삶이 변화되도록 돕는 자이다. 이를 위해서는 보다 창조적인 성경교수방법이 필요하다. 기존에 행해오던 강의법은 교사중심의 일방적인 교수방법으로서, 학습자들의 자발적인 참여와 말씀의 적용을 통한 삶의 변화를 도출하기에는 역부족이다. 반면, 창조적인성경교수방법은 학습자 중심의 교수방법으로서 발견학습의 원리를 따른다. 즉, 학습자의관심에 초점을 맞추는 “초점”, 그들로 하여금 하나님이 성경에서 우리에게 주신 것을발견하도록 돕는 “발견”, 그리고 그들로 하여금 하나님이 기대하는 것에 반응하도록 격려하는 “반응”이라는 세 단계를 따르는 것이다. 로렌스 리차즈(Lawrence O. Richards)는 이 원리에 기초하여 창조적인 성경교수방법을 제시하였다. 이는 HBLT 접근법으로서, “Hook(주의 끌기)-Book(주제 연구하기)-Look(적용점 찾기)-Took(실천사항 찾기)”의 네 단계로 구성된다. 먼저 학습자들의관심을 그 날의 학습 주제에 초점이 맞춰지도록 유도하여 성경본문 속으로 끌어들인다. 그리고 귀납적 성경연구를 통하여 주의 깊게 성경본문을 연구하여 명확하게 본문을 이해하도록 돕는다. 다음으로는 이해된 본문이 실생활에 어떻게 적용될 수 있는지 함축된의미를 탐구하도록 한다. 마지막으로 교사는 학습자들이 발견한 본문의 함의를 삶속에서 실천할 수 있도록 독려한다. 리차즈의 HBLT 접근법은 학습자들로 하여금 말씀을 단순히 지식적으로만 배우는 것이 아니라, 실제 삶속에서 말씀을 체험하고 이를 내면화하여 삶에 적용하도록 도움으로써, 학습자들의 영적 성숙과 삶의 변화를 이끌어내는 효과적인 성경교수방법이다. 무엇보다 유아부터 장년에 이르기까지 적용할 수 있는 창조적인 교수방법이다. 본 연구는 리차즈의 HBLT 접근법에 기초하여 교회학교에서 시행할 수 있는 창조적교수-학습 모형을 설계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 모형은 교회학교에서 직접 실행되었던 것으로서, HBLT 접근법의 원리를 바탕으로 한 프로젝트 수업방법이다. 본 연구에서는 초등부(4-6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구성된 공과 커리큘럼 중의 하나만을 제시하였지만, 실제로 이 수업모형을 실행하였을 때 교회학교 전 부서에서 많은 변화와 성장의열매가 있었다. 먼저 공과에 임하는 학습자들의 태도가 적극적인 자세로 변화되었다. 다음으로 교사들 또한 책임 있고 훈련된 성경교사들로 성장할 수 있었다. 무엇보다 성경말씀이 학습자들과 교사들에게 진리로서 재인식되고, 삶속에서 체험되는 성령의 역사가있었다. 물론 HBLT 접근법이 효과적 성경교수를 위한 유일한 방법은 아니다. 하지만,학습자들로 하여금 성경의 세계로 들어가, 그 속에서 진리를 발견하고 그 진리 앞에 반응하도록 돕는데 있어 탁월한 성경교수방법이다. 따라서 개 교회에서 각 교회의 실정에맞게 이를 재구성하여 수 ...

      • KCI등재

        한문과(漢文科) 교수(敎授)-학습(學習) 방법(方法)의 체계화(體系化)의 방안(方案)

        김재영 ( Jae Young Kim ) 한국한문교육학회 2007 한문교육논집 Vol.29 No.-

        본 논문의 목적은 한문과 교수-학습 방법의 樣相을 비판적으로 검토한 후, 체계화를 위한 基準을 설정하여 한문과 교수-학습 방법을 類型化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국가 수준의 교육 과정에 제시된 한문과 교수-학습 방법을 검토했으며, 한문교육 관련 학회에 보고된 연구 논문도 검토하여, 그 동안의 한문과 교수-학습 방법의 양상을 살펴보았다. 또한, 교육 현장의 한문과 교수-학습의 모습도 살펴봄으로써 기존 한문 관련 교수-학습 방법의 연구 성과를 통합하여 체계화하고자 하였다. 체계화의 기준은 ``교육 과정 영역``, ``교수-학습 형태`` 그리고 ``한문 텍스트``의 3가지 기준을 설정하여 기존 한문과 교수-학습 방법들을 유형화 하였다. 그러나 체계화한 한문과 교수-학습 방법이 때론 다른 방법과 엄격히 구분되지 않을 수도 있다. 또한, 한 영역에만 적용되는 고유한 틀로 보기 어려운 것들도 있을 수 있다. 이러한 문제들은 교수-학습 방법을 교실 현장에 실제 적용하고, 그 적용 과정을 관찰하고 분석함으로써 어느 정도 해결되리라 본다. 중요한 것은 그러한 연구 성과들이 축적되고, 그것이 교수-학습 이론으로 재투입되는 還流의 과정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는 것이다. 이러한 과정들을 통해서만이 한문과 교수-학습 방법의 體系化가 더욱 탄탄해질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critically review the current status of Teaching-Learning in Classical Chinese, set the standards for the most appropriate Teaching-Learning method for ``Classical Chinese`` for systemization and typology the methods. For this, Teaching-Learning methods provided in national-wide curriculums and articles reported to Classical Chinese related academic association were reviewed in order to understands the history and the current situations of the specific subject education. We also try to systemize the study results related to Teaching-Learning methods in Classical Chinese by reviewing the Teaching-Learning cases of the subject in the field. Teaching-Learning methods in Classical Chinese were categorized for the systemization according to the three criteria of ``Curriculum Domain``, ``Teaching-Learning Types`` and ``Classical Chinese Text``. However, the systemized teaching-learning methods may not be differentiated from other methods in the rigorous point of view. Additionally, there may be some methods that cannot be considered as unique frames. These problems can be solved to some extent by applying teaching-learning methods to the actual field such as classroom, observing and analyzing the application process. The more important thing is that the study results should be accumulated, and fed back to teaching-learning theory. In other words, the cycle should be continuous. Only through this circulation cycle, the systemization of teaching-learning methods in Classical Chinese can be made.

      • KCI등재

        다중지능 교수・학습 방법을 적용한 실천적 문제 중심 가정과 교수・학습 과정안의 개발과 평가 - 중학교 가정과 ‘청소년의 영양과 식사’ 단원을 중심으로 -

        최성연,채정현 한국가정과교육학회 2011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Vol.23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d evaluate practical problem-based Home Economics lesson plans applying to the multiple intelligence teaching․learning strategy, focused on the unit 'Nutrition & Meals' of middle school Home Economics subject matter. To achieve this purpose, the lesson plans were developed and evaluated from the 72 middle school students in Chongju after implementing the instruction. The data from the questionnaire were analyzed by SPSS/WIN 12.0 and content analysis. The results were as follows:First, the objectives of practical problem-based 'Nutrition & Meals' Instruction using multiple intelligence teaching strategy were to understand the importance of nutrition and health in an adolescent period and to develop good eating habits. The Practical Problem was 'What should I do for good eating habits?' and the learning contents were healthy life, the kinds and functions of nutriments, food pyramid and a food guide. The learning activities were progressed by various types of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including 8 types of multiple intelligence teaching strategy. The lesson plans were developed according to the process of practical problem solving model. 6 periods of lesson plans and worksheets were developed. Second, the practical problem-based instruction using multiple intelligence teaching․learning strategy were evaluated to increase students' positive learning attitudes, motivation, and good eating habits. 본 연구의 목적은 중학교 1학년 가정교과의 '청소년의 영양과 식사' 단원을 중심으로 다중지능을 활용한 실천적 문제 중심 교수ㆍ학습 과정안을 개발하고 평가하는데 있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Keller의 수업 설계 과정에 따라 수업을 정의하고, 수업을 설계하며, 교수ㆍ학습 과정안을 개발하고, 이를 현장수업에 적용하여 평가하였다. 수업 정의 단계에서는 다중지능을 활용한 실천적 문제 중심 수업을 위한 기초 연구를 수행하였다. 첫째, 2007년 개정 교육과정 해설서의 목표와 내용 단어를 추출하여 학습목표를 설정하였고, 실천적 문제를 규정하였다. 둘째, 식생활 교육내용의 연계성 연구를 토대로 하여 12종 교과서의 학습 내용을 분석하여 선행조직자로서의 개념도를 개발하였다. 셋째, 12종 교과서의 학습 활동을 다중지능 영역별로 분석하였다. 수업 설계 단계에서는 다중지능을 활용한 실천적 문제 중심 수업의 방향을 설정하였다. 첫째, 기존의 실천적 문제 중심 수업 과정에 개념이해 과정을 추가하여 실천적 문제 중심 수업을 설계하였다. 둘째, Armstrong과 그의 공동연구자들이 제시한 다중지능 교수ㆍ학습 방법을 적용하여 차시별로 8가지 지능을 모두 활용한 교수ㆍ학습 방법을 개발하였다. 셋째, 개발한 다중지능 교수ㆍ학습 방법을 실천적 문제 중심 수업의 과정에 투입하였다. 교수ㆍ학습 과정안 개발 단계에서는 교수ㆍ학습 자료와 참고자료를 선정하여 총 6차시의 교수ㆍ학습 과정안과 학습 활동지를 개발하였다. 수업 평가 단계에서는 개발한 4, 5차시의 교수ㆍ학습 과정안을 청주시 소재 중학교 1학년 남ㆍ여 2개 학급 72명에게 2시간씩 시연한 후 설문조사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청소년의 영양과 식사’ 단원의 다중지능 교수·학습 방법 적용한 실천적 문제 중심 수업의 목표는 ‘청소년기 영양과 건강의 중요성을 이해하고 균형 잡힌 식사습관을 실천할 수 있다’이다. 실천적 문제는 ‘건강한 식생활을 유지하기 위해서 나는 무엇을 해야 하는가?’이고, 학습 내용은 건강한 생활, 영양소의 종류 및 기능, 청소년의 영양 문제, 식품 구성탑, 식사 구성안이며, 학습 활동은 8가지 다중지능 영역을 골고루 포함한 다양한 교수ㆍ학습 방법으로 진행된다. 둘째, 개발한 교수ㆍ학습 과정안은 실천적 문제 중심 수업의 흐름에 따라서 도입(생각열기, 지난 수업 내용 확인, 학습목표 제시), 전개(실천문제 규정, 개념 이해, 사회ㆍ문화적 맥락 이해, 목표 설정 및 대안 탐색, 대안 실행 결과 예측, 수업 내용 정리 및 생각 넓히기), 정리(성취확인학습, 적용 및 일반화 유도, 과제 제시 및 차시 예고)로 진행되도록 하였다. 이 수업 과정에 차시별로 8가지 다중지능을 모두 활용한 교수ㆍ학습 방법을 제시하여 학습자의 특성과 학습 환경에 따라 활동 선택이 가능하게 하였다. 개발된 활동은 언어지능 활용 방법 10개, 논리수학지능 활용방법 7개, 시각공간지능 활용 방법 9개, 음악지능 활용 방법 10개, 신체운동지능 활용 방법 6개, 대인관계지능 활용 방법 10개, 개인내적지능 활용 방법 7개, 자연탐구 지능 활용 방법 6개로, 총 65개이다. 셋째, 다중지능 교수ㆍ학습 방법을 적용한 실천적 문제 중심 수업은 평가 결과, 적극적 수업 태도를 함양하고, 학습 동기 유발, 학습내용 이해, 학습내용 암기, 실제 생활에 적용, 그리고 바람직한 식생활을 실천하는 데 도움이 되는 것 ...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