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경복궁 광화문 월대(月臺)의 난간석 복원에 관한 고찰

        전나나 국립문화재연구원 2021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Vol.54 No.4

        경복궁 광화문은 고종 연간인 1866년 흥선대원군이 경복궁을 중건하면서 함께 설립되었다. 광화문 남쪽으로 너 른 단인 월대를 설치하여 위계를 드러냈다. 광화문 월대는 좌우에 난간석을 설치하였고, 중앙에 어로를 두었으며, 남 쪽으로는 계단과 경사면을 설치하였다. 월대 어로와 이어진 남쪽 경사면에는 좌우에 용두석을 설치하여 왕의 길이라 는 점을 조형적으로 표현하였다. 광화문 월대 중앙에 있던 어로는 1915년 조선진흥공진회가 경복궁에서 개최됨에 따 라 넓혀졌고, 1925년경 월대가 훼철되었다. 이후 광화문 이전에 따라 그 형상을 찾을 수 없었다. 경복궁 광화문처럼 월대를 설치하는 모습은 다른 궁에서도 쉽게 찾을 수 있다. 그러나 월대 좌우에 난간석을 설치 한 모습은 광화문이 유일하다. 현재 광화문 월대의 난간석과 경사로에 위치한 석수가 남아 있지 않지만, 사진을 토대 로 비교한 결과 광화문 월대의 난간석은 19세기 조선 왕실에서 제작한 석물의 양상을 보이며, 용두석 역시 대한제국 시기에 조성한 상징물에서 유사한 모습을 찾을 수 있다. 한편 동구릉에는 능에 배치되지 않는 여러 석물이 남아 있는데, 홍예석, 문소전 구기비뿐 아니라 난간석의 부재인 난간석주, 동자석, 죽석이 전해진다. 조선왕릉봉분 주변에 설치하는 난간석은 민무늬로 된 석물이 없는 반면, 궁궐 주 변에 설치된 금천교에서는 문양이 없는 난간석을 설치하는 경우가 다수 남아 있다. 동구릉에 있는 난간석과 용두석은 광화문 월대의 석물로 보이는데, 시대적 양식 분석과 근대 사진과의 비교를 통하여 광화문에 설치했던 석물이라는 점 을 확인할 수 있다. 경복궁 광화문 월대의 석물은 1915년 공진회 때까지는 본래의 위치에 남아 있었지만 1920년대 조선총독부 청 사가 들어서고 전차가 부설됨에 따라 훼철되었다. 조선총독부 청사 위치에 자리한 영제교도 이 시기에 훼철되었으며, 1930년대까지 경복궁 지역에 남아 있다가 동구릉 지역으로 함께 옮겨지게 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현재 광화문 월대 복원을 추진하는 시점에서 복원의 단초가 되길 기대한다. The Gwanghwamun Gate of the Gyeongbokgung Palace was established in 1866 when Heungseon Daewongun rebuilt the Gyeongbokgung Palace. In Gwanghwamun, a large platform, woldae was established to reveal its hierarchy. The Gwanghwamun Woldae was equipped with stone railings on the left and right sides, fishing routes in the center, and stairs and slopes to the south. The Yongdu Stone was installed on the south side of the slope, which connected to the woldae, to express the path of the king in a formative manner. The Woldae King Road in Gwanghwamun was expanded in 1915 as the Joseon Promotion Conference was held at the Gyeongbokgung Palace and the woldae was destroyed around 1925. Since then, the figure has not been found since the time before the Gwanghwamun Gate. In the Donggureung royal tombs, there are many stones that are not placed in the royal tombs, including voussoir arch stones, Munsojeon Gugi-bi, as well as Nangan-Seokju, Dongja-seok, and Juk-seok, which are elements of the stone railings. These stone railings and Yongdu-seok are seen as stone objects of the Gwanghwamun Woldae, which can be found through the analysis of the style of the times and comparison with modern photographs.

      • KCI등재

        1960년대 광화문 중건과 광화문 앞길의 변화

        강난형,송인호 한국건축역사학회 2015 건축역사연구 Vol.24 No.4

        해방 이후 광화문은 문화재로써 두 차례의 중건이 이루어졌다. 2006년 12월 중앙청 정문에 서있던 콘크리트 구조의 광화문이 철거되고 원위치에 목구조 광화문으로 중건되었지만, 1960년대에 시작된 광화문 앞길의 변화는 여전히 역사도시 서울에 남겨져 있다. 제3공화국시기, 새로이 현대성(Modernity)을 받아들여야하는 당위성을 유산의 단일 건축과 도시에 부여했다. 광화문의 입지와 양식선택은 유산과 도시의 관계를 상징적으로 보여주는 사건이었다. 광화문 중건은 제3공화국의 중앙청 복구로 시작된 광화문 앞길변화과정에 실현되었다. 콘크리트 구조로 전통양식을 구현하는 것은 물질이 바뀌어도 전통을 계승할 수 있으며 오히려 새로운 시대의 기술을 덧붙여져야 한다는 사유에 바탕을 두고 있다. 이 연구는 광화문 중건(1968)이 새로운 기술적 사고를 통해 다른 양식을 창작하였던 결과물이었다는 가설에서 시작되었다. 연구의 목적은 두 가지이다. 첫째, 1968년 건축가 강봉진의 작업으로 건설된 광화문은 전통 목조건축을 철근콘크리트구조로 중건한 것이었다. 당시의 문헌과 도면을 토대로 광화문의 건축계획과정과 구축방식을 정리하고자 한다. 둘째, 1968년 중건된 광화문의 구축방식과 구성요소의 분석을 통하여 전통양식과 근대 기술의 관계를 해석하고자 한다. After the Korean war, Gwanghwamun was rebuilt twice as a cultural asset. In December 2006, The Gwanghwamun of concrete structured was dismantled to change to the wooden structure Gwanghwamun. But former was not planned from the beginning to the concrete structure in front of Jungangcheong. The determination of the concrete structure was the point of the design is already finished wood frame. Why it made change of location and style? Third Republic period, new modernity (Modernity) was accepted the necessity and was applied to problem of a single architectural and urban heritage. Change location of Gwanghwamun to boulevard in front of Gwanghwamun was realized in the change process initiated by jungang cheong recovery of the Third Republic. Implement traditional style with a concrete structure was based on the thought that should use technology of the new era. i start by assume that reconstruction Gwanghwamun(1968) was another style through this new technological accidents. Two main contributions of this study was following. I analysis architectural plans and construction methods of Gwanghwamun reconstruction(1968) and interpret the thinking on technology and style of Gwanghwamun.

      • KCI등재

        1960-2000년대 광화문 공간의 재구축에서 ‘전통과 현대’

        염복규 한국문화융합학회 2022 문화와 융합 Vol.44 No.3

        이 논문은 2022년 7월 광화문광장 재구조화 사업의 완료에 즈음하여 1960년대 이래 ‘광화문 공간’의 역사적 변천을 살펴본 것이다. 1960-2000년대 광화문 공간의 변형의 저류에는 ‘전통의 복원’과 ‘현대의 질주’라는 상반된 욕망이 다양하게 뒤얽혀 있었다. 이는 크게 두 단계로 나뉘어진다. 1960-70년대 박정희 정부의 발전국가는 중앙청 복구를 시작으로 광화문 공간을 전통의 동원과 현대의 건설이라는 두 축의 상징정치의 전시장으로 만들었다. 이순신동상 건립, 광화문 중건이전자라면 광화문지하도 건설, 세종로 확장은 후자에 해당한다. 1980-2000년대 민주화 이행과 선진국 진입의 국면을 거치며 광화문 공간에서는 전통과 현대의 균열이 일어나고그를 봉합하기 위한 시도가 계속되었다. 경복궁 복원, 구 조선총독부 건설 철거, 광화문 목조 복원, 광화문광장의건설 등이 그것이다. 이상의 과정을 거쳐 완성된 광화문광장은 서로 다른 여러 역사적 상징성이 중첩된 복합적인 역사 공간이라고할 수 있다. 앞으로 광화문광장은 이런 다양한 역사적 흔적을 미래로 전달하는 매개체가 되어야 한다.

      • KCI등재

        광화문의 정치학

        하상복(HA Sang Bok) 한국정치학회 2009 한국정치학회보 Vol.43 No.3

        이 연구는 광화문의 역사를 정치권력의 재현이란 관점에서 분석하고자 한다. 조선왕조의 정궁인 경복궁의 정문으로 탄생한 이래 광화문은 해체와 건립의 과정을 수차례에 걸쳐 반복해왔다. 그러한 과정의 핵심에는 정치권력이 자리한다. 광화문에는 다양한 정치권력의 흔적이 새겨져 있다. 왕조권력은 광화문의 건립과 재건립을 통해 군주의 위엄과 존엄을 드러내고자 했으며, 일제의 식민권력은 광화문 해체를 통해 조선왕조의 붕괴와 제국주의 권력의 부상을 가시화하고자 했다. 한국의 군부권력이 광화문 재건을 통해 경제건설과 민족주의라는 이념을 표상하고자 했다면, 그 이후에 등장한 정치권력들은 경복궁과 광화문의 복원을 통해 역사적 정통성이라는 새로운 자본을 획득하고 그에 기초해 권력의 대중심리학적 기반을 강화하고자 했다. 이렇듯 광화문의 역사는 정치권력이 (건축)예술을 통해 자신의 능력과 의지와 비전을 시각적으로 재현하고자 하는 상징행위의 역사라고 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analyze the history of Gwanghwamun in a point of view of political power’s representation. Since it has been made as central gate of Gyongbokgung(1st royal palace of Chosun Dynasty), Gwanghwamun has been repeatedly between construction and deconstruction. We can explain this contradictory history with the will of political power. In this edifice hide diverse prints of political power. The royal power of Chosun Dynasty has wanted to represent the king’s authority and dignity with repeated erection of Gwanghwamun, and the colonial power of Japanese imperialism has desired the visualization of the fall of Chosun Dynasty and the rising of imperial power in its deconstruction. In the same logic, the Korean military power has intented to represent the ideology of economic growth and national value with reconstruction of Gwanghwamun, and having wished to possess the new political capital, historical orthodox and to consolidate the people’s political support, the successive political powers have restored Gwanghwamun. All of this story says that the history of Gwanghwamun is the same with the history of the political powers’symbolic action visualizing their will, capacity and vision with mobilization of an public edifice.

      • KCI등재

        광화문 광장의 중층성에 대한 연구

        신유림,백승한,이강주 대한건축학회지회연합회 2018 대한건축학회연합논문집 Vol.20 No.1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meaning of square in the context of 21st-century urban Korea. A specific case study that follows is the Gwanghwamun Square, a 600-years-long civic space in which aspects of natural and built environments coexist in a palimpsest manner. Based on the in-depth analysis of a single square, which is inarguably the most representative public space in the country, we bring forth three key characteristics of the Square with the following coinages: (1) Physical Feature; (2) Transformative Environment; and (3) Expositional Space. First, the Gwanghwamun Square has established the country’s symbolic axis that cuts across the key locations of the milieu, including Seoul City Hall, Cheonggye Stream, Gyeongbok Palace and the Mount Bukak, as well as having functioned as the main street of the Joseon Dynasty called ‘Yookcho Geori’ since the 15th century. Second, the entire realm of the Square is activated by various practices and events, in a way that it functions as the ‘networked’ square which connects to other milieus and to various agents of power both physically and affectively. Third, through the compearance of new technologies and products that unspecified groups of individuals comes across in daily life, the Gwanghwamun Square provides opportunities for both citizens and visitors to experience new kinds of landscape that are not limited to ‘Korean’ sceneries in a traditional sense, although our study reveals that the role of Koreans is still more influential than others in defining the identity of the Square. One might argue that the Gwanghwamun Square is an elusive square type compared to other representative ‘Western’ exemplars, but the way that it is formed and experienced in the South Korean urban contexts does make it a distinctive case. Hence, we claim that the Gwanghwamun Square is a new urban typology which reflects the multiplicity of city space in the neoliberal Korea. 본 연구는 21세기 한국의 도시상황에서의 광장의 의미를 ‘광화문 광장’이라는 구체적인 사례연구를 통해 탐구하고자 한다. 광화문 광장은 600년 이상의 역사를 가지고 있으며, 자연환경과 건조 환경이 시간의 흐름에 따라 층위를 이룬 채 공존하며 지속된다는 점이 특징적이다. 본 연구에서 정의한 광화문 광장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1) 물리적 특징 (2) 전환적 환경 (3) 박람회적 공간. (1)의 특징에서 광화문광장은 서울시청-청계천-경복궁-북악산을 연결하는 국가 상징 축의 경관을 계승하였다. 이는 원래 육조 거리의 앞길로 가로의 역할을 하던 공간을 변형시킨 것이다. (2)의 특징에서 광화문 광장은 그 이용에 있어 고정된 '광장'이라는 장소적 이용보다는 전체 광화문의 일부 영역을 이용하는 방식으로 점유된다. 실제 이용에 있어서는 고정된 장소적 구획을 벗어나 행위에 의해 영역이 재정의 되며, 청계 광장과 서울 광장까지 자연스럽게 네트워크화된 광장 기능들을 유기적으로 발휘하고 있다. (3)의 특징에서 광화문 광장은 과거의 박람회와 마찬가지로 신기술과 신상품을 불특정 다수에게 전시했다. 광장은 다양한 목적을 가진 외국인들이 새로운 '한국적' 경관을 접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또한 시민들의 역할은 광장의 성격을 규정짓는데 더 큰 위력을 발휘하게 되었다. 광화문 광장은 기존의 광장과 유사하나, 그 형성 과정이나 이용 행태, 나아가 정체성이 정의되는 방식에서는 차이를 보인다고 할 수 있다. 그런 의미에서 광화문 광장을 중층적 도시 환경의 전형(prototype)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광화문 광장은 환경이 끊임없는 전환 속에서 작동하면서 우리 시대 혹은 다가올 시대를 표상하는 중층화된 행위 그 자체라는 인식의 보편성을 실체화하고 있다.

      • 청와대정치의 실패, 여의도정치의 과제 그리고 광화문정치 승리의 담론

        안성호 충북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17 사회과학연구 Vol.34 No.1

        본 연구는 첫째, 청와대정치(대통령과 행정부)의 실패, 둘째, 여의도정 치(입법부)의 과제, 셋째, 광화문정치(시민사회)의 승리를 중심으로 요 동치는 한국정치의 변화과정과 19대 대통령 선출이후 앞으로의 민주적 정치의 과제와 민주정치의 제도적 과제가 무엇이지를 담론형식으로 정 리하였다. 작금의 탄핵정국, 대통령파면, 조기대선정국, 19대 대통령선거 와 문재인 당선의 한국정치의 위기와 도전은 청와대정치의 실패에서 비롯되었다. 국정의 두 축은 청와대정치-여의도정치로 견제와 균형에서 나라의 안정을 주도한다. 두 축 중 청와대정치가 신뢰를 잃고 나락으로 떨어져버렸다. 이제 희망은 여의도정치의 지혜와 신뢰에 의존하게 되었다. 그러나 광화문정치 가 직접 등장하게 되고 오히려 여의도정치가 광 화문정치에 눈치를 보는 수동적 모습을 보여주기도 하였다. 여의도정치 가 광화문정치를 주도하여 국민을 편안하게 해주어야한다. 사법부와-헌 재의 정의로운 심판에 정치와 나라의 운명을 맡기는 상황까지 왔으니 정치발전의 희망이 참담하다. 주권자는 촛불민심-광화문정치-탄핵소추 안가결-대통령파면을 끌어냈다. 주권자의 승리, 국민의 승리, 광화문정 치의 승리였다. 질서 있고 차분하게 조기대선을 준비했다. 8대0 헌재판 결은 정말 감동적이고 소중했다. 결국 청와대정치가 신뢰회복하고 여의 도정치가 국정을 지혜롭게 이끌어 가면 광화문정치는 축소되고 정치안 정, 국민은 편안해지고 정치영역에서 사법부의 역할은 최소화될 것이다. 청와대정치-여의도정치가 제 역할을 다할 때 대한민국은 정치선진국으 로 나갈 것이다. 정당과 정치지도층의 기능회복과 국민의 올바른 선택 을 통한 19대 대선에서 기대했다. 결국 문재인대통령은 청와대정치를 떠나 광화문정치시대를 열었다. 향후 광화문정치성공여부가 한국정치발 전의 중요한 평가기준이 되었다고 본다. 2016-2017년 대한민국 위기정국을 지혜롭게 극복할 수 있는 정의와 불의, 옳고 그름, 착함과 나쁨 등의 촛불민심에서 보여준 국민적 판단과 심판을 존중해야한다. 담론을 통해서 볼 때 정치권이 좀 더 지혜롭게 국민을 편안하고 안심시킬 수 있는 아이디어를 몇 가지 점에서 죽을 각오로 제도적 틀을 만들어 내야한다. 새로운 지도자는 남남갈등극복을 통하여 남북갈등을 극복하는 평화통일의 토대를 만든다. 정권이 교체되 어도 변하지 않는 일관된 통일정책을 조성해야 할 것이다. 이제 새로운 대통령은 글로벌 지도자로서 선진국진입을 실현시켜야 할 것이다. 오늘 의 대한민국의 시대정신은 통합, 소통, 선진국진입과 평화적 남북통일로 보며 이것이 새 정부의 중점적인 국정목표가 되어야 한다고 본다.

      • KCI등재

        광화문광장 조성 및 재조성 계획과정 비교 연구 : 협력적 계획의 담론과 실제

        조봉경(Cho, Bong Kyung) 한국지방정부학회 2021 지방정부연구 Vol.25 No.2

        최근 광화문광장이 재조성 되고 있다. 서울시는 처음 광화문광장을 조성할 때와 마찬가지로 재조성 하는 과정에 서도 다양한 행위자들과 상호작용을 통해 합의를 도출했다고 홍보했다. 두 번의 광장 조성 과정 모두 시민과 전문가 의 의견을 적극적으로 반영하여 결정했음에도 불구하고, 광화문광장 조성・재조성 계획은 전혀 다른 모습으로 진행 되고 있다. 권력의 교체에 따라 전문가와 시민들의 선호가 바뀐 것이다. 본 연구는 광화문광장 조성 및 재조성 계획 과정이 명실상부하게 협력적으로 이루어졌는지 평가하고자 한다. 먼저 협력적 계획의 주요 구성요소인 계획 환경, 이해당사자의 구성, 의사소통 방식, 사회적 학습, 합의의 집행을 도출하여, 이를 기준으로 비교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광화문광장 조성 계획과정은 협력적 계획방식이 비(非)작동했다면, 광화문광장 재조성 계획과정은 협력적 계 획이 오(誤)작동했다고 볼 수 있다. The Gwanghwamun Square began reconstruction recently. Seoul administration promoted that there were numerous communication between the participants of the Gwanghwamun Square reconstruction project to derive a consensus, as in the case of the construction of the square. Although there was active reflection on the opinions of the citizens and experts during both construction processes of the square, the plans are proceeding in a completely different form. This is due to the change in preference of experts and citizens after the transition of power. This research aims to review if the Gwanghwamun square construction and reconstruction planning process has been completed thoroughly with collaborative effort. Firstly a comparative review based on the major elements of collaborative planning, which are the planning environment and configuration of involved stakeholder, communication system, social learning, and the execution of consensus, was conducted. The result of this research indicates that the collaborative planning did not function in the Gwanghwamun Square construction planning process, while it malfunctioned during the reconstruction process.

      • KCI등재

        김기림의 ‘광화문(통)’, 소멸과 신생의 거리

        정영효(Jung Young-hyo) 한국어문학회 2011 語文學 Vol.0 No.111

        Kim Gi-rim, a representative Modernist in 1930’s, is considered a poet who actively responded to modernized culture through his poetry theory and works. In his poems and essays, department stores or Streets in Gyeongseong(京城) often appear. These places have been key subjects to study his viewpoint of modern culture. There are other places used to depict a modernized city in his works. For example, Gwanghwamun(光化門) and Gwanghwamuntong(光化門通), which appear in his poems, show the circumstances in Gyeongseong at the time the poems were written. These subjects give clues to analyze how he sees the situation in Gyeongseong at that time. This is because Gwanghwamun and its neighborhood is one of the iconic places which show the changes of Gyeongseong from the capital city of Joseon(朝鮮) Dynasty to Japanese colony. In 1926, the Japanese Government-General of Joseon was constructed in Gyeongbok Palace(景福宮), and as a result, Gwanghwamun was moved to other place. This is a symbolic incident which means the Joseon Dynasty waned and Japanese Imperialism occupied Korea. The word ‘tong(通)’ which is one of Japanese style place names shows the change of the situation in Gyeongseong. Therefore, Gwanghwamun and Gwanghwamuntong, which appear in Yuram Bus(「遊覽?스」, Sightseeing Bus), Gwanghwamuntong(「光化門通」, Gwanghwamun Street) and Jeya(「除夜」, New Year’s Eve), functions as a spatial background to illustrate the situation in Gyeongseong at that time. While Kim is depicting these places, Kim hid his criticism on Koreans who forget the history of Joseon under the influence of Japanese Imperialism. This criticism is related to the reality at that time when Gwanghwamun was dissembled and moved. When it comes to describing Gwanghwamun, Kim shows different aspect compared to description of Department store or streets in Gyeongseong. Gwanghwamun is described as a place where people of various statuses can be seen. It is also portrayed as a place where the life in a colonized country can be seen. This kind of description is different from that in his other works, which criticize citizens who indulge in consumption and hedonism. Kim’s sensibility to the places in his works is considered to be naturally occured as he experienced the situation at that time. For instance, his sensibilities on Gwanghwamun reveals the historic fact that Gyeongseong was reorganized by Japanese Government. This is distinctive feature compared to his description of places in his other works.

      • KCI등재

        광화문광장의 인식 분석 연구 - 텍스트마이닝과 소셜네트워크 분석을 중심으로 -

        우경숙,민병욱,김진표 한국환경영향평가학회 2023 환경영향평가 Vol.32 No.3

        This study identified how users of Gwanghwamun Square perceive the space and derived the spatial attributes of Gwanghwamun Square. There are four spatial attributes of Gwanghwamun Square: preservation of the historical environment, beauty of the surrounding landscape, suitability as a resting place, and activation of recreation. The first attribute, preservation of the historical environment, refers to the spaces that reflect the unique characteristics of Gwanghwamun Square and resonate with culture, including the Blue House, Bukaksan Mountain, Gyeongbok Palace, Yukjo Street, King Sejong, and Yi Sun-sin. The second attribute, beauty of the surrounding landscape, is related to the provision of abundant greenery and natural environment without disturbing the surrounding landscape, and includes landscape, sky, and greenery. The third attribute, suitability as a resting place, refers to various landscape facilities and services to enhance visitor comfort, including tables, chairs, shade, planters, rest areas, and fountains. Finally,recreational activation. This is the provision of various experiences, including exhibitions, performances, experiences, and sightseeing. Utilizing the attributes of Gwanghwamun Plaza derived from this study, it will provide important implications for the reconstruction of Gwanghwamun Plaza if future studies on valuation and estimation of Gwanghwamun Plaza are conducted to verify the differences in preferences by type. 본 연구는 광화문광장의 이용자들이 공간을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지 파악하고 광화문광장의 공간적속성을 도출하였다. 광화문광장의 공간적 속성은 4가지로 역사적 환경의 보존, 주변경관의 아름다움, 휴식공간으로서의 적합성, 레크리에이션 활성화이다. 첫 번째 속성인 역사적 환경의 보존은 광화문광장의 고유한 특성을 반영하고 문화와 공감대를 가진 공간과관련된 것으로 청와대, 북악산, 경복궁, 육조거리, 세종대왕, 이순신 등의 키워드를 포함하고 있다. 두 번째 속성인 주변경관의 아름다움은 주변경관을 방해하지 않고 풍부한 녹지와 자연환경 제공과 관련된 것으로 풍경, 하늘, 녹지 등의 키워드를 포함한다. 세 번째 속성인 휴식공간으로서의 적합성은 방문객의 편의성을 높이기 위한 각종 조경시설 및 서비스로 테이블, 의자, 그늘, 화분, 휴식공간, 분수 등의 키워드를 포함한다. 마지막으로 레크리에이션 활성화이다. 다양한 경험 제공으로 전시, 공연, 체험, 구경 등의 키워드를 포함한다. 본 연구에서 도출된 광화문광장의 속성을 활용하여 추후 광화문광장의 가치 평가 및 추정 연구로 유형별선호의 차이를 검증하는 연구가 진행된다면 광화문광장의 재조성에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할 것이다.

      • KCI등재

        광화문광장 사업의 경제적 가치 분석

        유승훈,이주석 국토연구원 2009 국토연구 Vol.62 No.-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has constructed the Kwanghawmun square. As it is needed huge amount of investment, it is essential to examine the cost-benefit analysis. This paper applies the contingent valuation methode to measuring the benefit of the Kwanghwamun square and practices the cost-benefit analysis. According to estimating results, annually WTP per household of Seoul is 2,067 Korean Won. Consequently, the annual benefit of the Kwanghwamun square construction is about 7.2 billion Korean won and the total benefit is 1.68 times bigger than the cost. This paper contributes to complementing the existing valuation methods by estimating the economic benefits of the cultural facilities such as the Kwanghwamun square and providing policy-makers with useful methodological framework and quantitative information in the decision-making process related to the policy of cultural project. 서울시는 광화문광장을 조성 중이다. 광화문광장이 완공되면 과거 육조거리 등 역사적 상징성이 회복되고 청계천과 경복궁이 보행축으로 연결되어 보행환경이 개선될 뿐만 아니라 다양한 문화시설과 편의시설이 들어서 관광명소로 탈바꿈하게 될 것이다. 그러나 광화문광장과 같은 문화시설은 시민들에게 다양한 편익을 제공하지만 막대한 예산이 소요되므로, 비용 대비 편익의 크기를 정량적으로 분석한 후 사업의 경제적 타당성 여부를 평가해야 한다. 이에 본 연구는 조건부가치 측정법을 활용하여 광화문광장 사업의 편익을 측정하고 이를 바탕으로 광화문광장 사업의 경제적 타당성을 검토하였다. 분석결과 광화문광장 사업의 경제적 가치는 연간 71.9억 원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경제적 타당성을 분석한 결과 편익이 비용보다 1.68배나 커 경제적 타당성이 충분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결과는 광화문광장 사업의 경제적 타당성에 대한 정량적 정보로서 활용가능하며, 본 연구의 분석방법론은 향후 유사 문화시설이나 도시개발사업의 경제적 효과 분석에 적용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