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흉부 단순 촬영에서 관찰되는 대동맥 궁 석회화와 폐쇄성 관상동맥 질환과의 관련성

        강영한(Yeong-Han Kang) · 장정호(Jeong-Ho Chang) · 박종삼(Jong-Sam Park) 대한방사선과학회(구 대한방사선기술학회) 2009 방사선기술과학 Vol.32 No.1

        연구목적 : 흉부 단순촬영 상에서 발견되는 대동맥 궁 석회화가 폐쇄성 관상동맥질환과 관련성이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관상동맥 조영술을 시행한 사람을 대상으로 흉부 단순촬영 영상을 확인하는 후향적 연구이다. 흉부 단순촬영상은 영상의학과 전문의와 방사선사에 의해 대동맥 궁 석회화 유무를 확인하였고, 관상동맥 조영술 결과와 비교하였다. 또한 대동맥 궁 석회화의 크기를 10 mm 미만군과 이상군으로 나누어 비교하였다. 연구결과 : 총 846명의 대상자 중 폐쇄성 관상동맥 질환을 가진 사람은 남자 417명(88.3%)이었고, 여자 312명(83.4%)으로 남자가 많았다. 대동맥 궁 석회화가 있는 사람 중 폐쇄성 관상동맥 질환을 가질 확률을 나타내는 양성예측도는 91.4%이었고, 대동맥 궁 석회화를 가지고 있는 군이 석회화가 없는 군에 비해 폐쇄성 관상동맥 질환을 가질 위험을 나타내는 상대위험도는 1.10배였다. 대동맥 궁 석회화의 크기가 10 mm 이상인 사람 중 폐쇄성 관상동맥 질환을 가질 확률을 나타내는 양성예측도는 91.9%이었고, 대동맥 궁 석회화의 크기가 10 mm 이상인 군이 10 mm 미만인 군에 비해 폐쇄성 관상질환을 가질 위험을 나타내는 상대위험도는 1.04배였다. 결 론 : 흉부 단순촬영에서 발견되는 대동맥 궁 석회화와 관상동맥 조영술의 결과 폐쇄성 관상동맥 질환이 서로 밀접한 관련성이 있음을 확인하였고, 대동맥 궁 석회화가 있는 사람이 없는 사람보다 폐쇄성관상동맥 질환을 가질 위험이 더 높고, 대동맥 궁 석회화의 크기가 클수록 상대위험도는 높았다. 따라서 흉부 단순촬영 시 대동맥 궁 석회화가 발견되면 폐쇄성 관상동맥 질환의 발생 가능성이 높음을 인지하여 반드시 전문의와 상담을 하여야 한다. Objective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termine an association between aortic calcification viewed on plain chest radiography and obstructive coronary artery disease. Method : Retrospective review of all chest radiography obtained from consecutive patients undergoing coronary angiography. Chest PA images were reviewed by technical radiologist and radiologist. Considering the presence of aortic arch calcification, images were compared with the results of coronary angiography. In addition, the size of aortic arch calcification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 the smaller and the larger than 10 mm. Results : Among the total 846 patients, the number of the patients with obstructive coronary artery disease is total 417 (88.3%) in males and 312 (83.4%) in females. Considering the presence of aortic arch calcification, the positive predictive value of relation between aortic arch calcification and obstructive coronary artery disease was 91.4% and the relative risk of the group with aortic arch calcification to the opposite group was 1.10. According to the size of aortic arch calcification and obstructive coronary artery disease, the positive predictive value was 91.9% and the relative risk between two groups was 1.04. Conclusions : This study shows that aortic calcification was closely associated with obstructive coronary artery disease. If the aortic calcification is notified on plain chest radiography, we strongly recommend to consult with doctor.

      • KCI등재후보

        흉부 단순 촬영에서 관찰되는 대동맥 궁 석회화와 폐쇄성 관상동맥 질환과의 관련성

        강영한,장정호,박종삼 대한방사선과학회 2009 방사선기술과학 Vol.32 No.1

        연구목적 : 흉부 단순촬영 상에서 발견되는 대동맥 궁 석회화가 폐쇄성 관상동맥질환과 관련성이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관상동맥 조영술을 시행한 사람을 대상으로 흉부 단순촬영 영상을 확인하는 후향적 연구이다. 흉부 단순촬영상은 영상의학과 전문의와 방사선사에 의해 대동맥 궁 석회화 유무를 확인하였고, 관상동맥 조영술 결과와 비교하였다. 또한 대동맥 궁 석회화의 크기를 10mm 미만군과 이상군으로 나누어 비교하였다. 연구결과 : 총 846명의 대상자 중 폐쇄성 관상동맥 질환을 가진 사람은 남자 417명(88.3%)이었고, 여자 312명(83.4%)으로 남자가 많았다. 대동맥 궁 석회화가 있는 사람 중 폐쇄성 관상동맥 질환을 가질 확률을 나타내는 양성예측도는 91.4%이었고, 대동맥 궁 석회화를 가지고 있는 군이 석회화가 없는 군에 비해 폐쇄성 관상동맥 질환을 가질 위험을 나타내는 상대위험도는 1.10배였다. 대동맥 궁 석회화의 크기가 10mm 이상인 사람 중 폐쇄성 관상동맥 질환을 가질 확률을 나타내는 양성예측도는 91.9%이었고, 대동맥 궁 석회화의 크기가 10mm 이상인 군이 10mm 미만인 군에 비해 폐쇄성 관상질환을 가질 위험을 나타내는 상대위험도는 1.04배였다. 결 론 : 흉부 단순촬영에서 발견되는 대동맥 궁 석회화와 관상동맥 조영술의 결과 폐쇄성 관상동맥 질환이 서로 밀접한 관련성이 있음을 확인하였고, 대동맥 궁 석회화가 있는 사람이 없는 사람보다 폐쇄성관상동맥 질환을 가질 위험이 더 높고, 대동맥 궁 석회화의 크기가 클수록 상대위험도는 높았다. 따라서 흉부 단순촬영 시 대동맥 궁 석회화가 발견되면 폐쇄성 관상동맥 질환의 발생 가능성이 높음을 인지하여 반드시 전문의와 상담을 하여야 한다.

      • KCI등재

        관상동맥 석회화 평가에서 저선량 흉부 CT와 관상동맥 석회화검사의 일치도

        김연민 한국방사선학회 2023 한국방사선학회 논문지 Vol.17 No.7

        폐 스크리닝 검사로 이용되고 있는 저선량 흉부 CT는 Scan 범위 내에 관상동맥 석회화에 대한 정보도 함께 포함하고 있어 이를 이용한 관상동맥 석회화 판별의 유용성을 알아보고자 한다. 저선량 흉부 CT 검사와 관상동맥 석회화 점수(CACS) 검사를 같은 날 시행 받은 자들을 대상으로 하였다. 관상동맥 석회화 점수 검사 결과를 Coronary artery calcium score categories and risks 분류법을 참고하여 4개 그룹(Low: 1<CACS<10, Mild: 10<CACS<100, Moderate: 100<CACS<400, High: 400<CACS)으로 각각 30명을 선정한 후 관상동맥 석회화 수치 측정 업무에 종사하고 있는 경력 15년차 이상 5명의 방사선사가 저선량 흉부 CT 영상에서 관상동맥 석회화 유무를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저선량 흉부 CT 영상에서 5명의 관찰자가 통일되게 판독한 결과가 관상동맥 석회화점수 CT 검사 결과와 일치한 경우는 Low 그룹: 56%, Mild 그룹: 96.6%, Moderate 그룹: 100%, High 그룹: 100%로 나타났다. Low 그룹에서 5명의 관찰자 모두가 석회화를 관찰한 것은 30건 중 17건이었으며, 5명이 모두 판별 불가로 결정한 경우 7건이었다. 무증상 성인을 대상으로 저선량 흉부 CT 검사에서 석회화 점수가 15 이상인 경우에는 관상동맥 석회화를 100% 관찰할 수 있었다. 판별이 가능한 최소 석회화 수치는 1로, 피검자의 체형이 작거나 심장의 움직임이 최소가 되는 시점에서 스캔이 이루어지는 경우 매우 작은 석회화까지도 판별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Low-dose chest CT, which is used as a lung screening test, also includes information on coronary artery calcification within the scan rang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usefulness of determining coronary artery calcification using Low-dose chest CT. Those who underwent low-dose chest CT and coronary artery calcification score CT on the same day were eligible. Coronary artery calcium score CT results were divided into 4 groups (Low: 1<CACS<10, Mild: 10<CACS<100, Moderate: 100<CACS<400, High: 400<CACS) by referring to the Coronary artery calcium score categories and risks. After selecting 30 people each group, five radiotechnologists with more than 15 years of experience in coronary artery calcium measurement retrospectively analyzed the presence or absence of coronary artery calcification in low-dose chest CT images. The results of the five observers' uniform interpretation of the low-dose chest CT image were consistent with the coronary artery calcium score CT results in Low group: 56%, Mild group: 96.6%, Moderate group: 100%, and High group: 100%. appeared. In the Low group, all 5 observers observed calcification in 17 out of 30 cases, and in 7 cases all 5 observers decided that calcification could not be identified. Coronary artery calcification could be observed in 100% of asymptomatic adults with a calcium score of 15 or higher in low-dose chest CT scans. The minimum calcium score that can be identified is 1, and it was found that even very small calcifications can be identified when the subject's body size is small or the scan is performed at a time when heart movement is minimal.

      • 동형암호 기반 딥러닝 기법 연구 동향

        임세진 ( Se-jin Lim ),김현지 ( Hyun-ji Kim ),강예준 ( Yea-jun Kang ),김원웅 ( Won-woong Kim ),서화정 ( Hwa-jeong Seo ) 한국정보처리학회 2022 한국정보처리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9 No.1

        딥러닝 기술이 발전하면서 적용되는 산업 분야가 늘어남에 따라 딥러닝 모델에서 역으로 학습 데이터를 추출하는 등 다양한 딥러닝 모델 공격 이슈가 발생하고 있다. 이러한 위협에 대응하기 위해 딥러닝 학습에 사용되는 데이터의 노출을 방지할 수 있도록 사용자 프라이버시를 보호하는 기법의 중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동형암호는 학습 데이터를 보호할 수 있는 기법 중 하나로, 복호화 과정없이 암호화된 상태로 연산, 탐색, 분석 등을 수행할 수 있는 차세대 암호 알고리즘이다. 본 논문에서는 동형암호 기반의 딥러닝 기법 연구 동향에 대해 알아본다.

      • KCI등재

        허리둘레-신장비와 관상동맥석회화

        김정아,강성구,송상욱,신보라,최연경 대한비만학회 2016 The Korean journal of obesity Vol.25 No.3

        Background: Many studies have demonstrated that the waist-to-height ratio (WHtR) is more correlated with coronary artery disease (CAD) than the body mass index (BMI). Coronary artery calcification (CAC) is an independent risk factor of atherosclerotic heart disease. However, the association between the WHtR and the coronary artery calcification score (CACS) still needs to be studie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WHtR and CACS in healthy adults. Methods: A total of 1,111 adults without a history of cardiovascular disease who visited the Health Promotion center at the University Hospital were included in this study. All subjects hadtheir CACS measured via multi-detector computed tomography (MDCT). Results: Participants with a CACS > 0 had a greater WHtR than those with a CACS of 0 (0.535±0.006 vs 0.517±0.005, P<0.001). After adjusting for risk factors that affect CAC, WHtR was an independent predictor of CAC (odds ratio: 1.04, P=0.019, 95% CI: 1.01-1.07). Male sex and systolic blood pressure are associated with 2.53- and 1.02-fold increases in CAC, respectively (P<0.001, 95% CI: 1.53-4.19; P=0.007, 95% CI: 1.01-1.04). Conclusion: In this study of adults without heart disease, WHtR was an independent predictor of CAC. These results suggest that WHtR may be a useful marker of CAD. 배경: 허리둘레-신장비가 체질량지수보다 관상동맥질환의 위험요인들과 더 높은 관련성을 보인다는 것이 여러 연구들을 통해 증명되었다. 그러나 관상동맥질환의 독립적인 위험인자로 알려진 관상동맥석회화와 허리둘레-신장비의 관련성에 대한 연구는 아직 부족하다. 본 연구에서는 건강한 성인에서 허리둘레-신장비와 관상동맥석회화의 관련성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경기도 소재 일개 대학병원 건강검진센터에 내원하여 Coronary artery MDCT를 시행한 성인 중 심혈관계질환의 과거력이 없는 1,111명을 연구 대상으로 하였다. 결과: Coronary artery calcification score (CACS)가 0인 군과 그 이상인 군으로 피험자를 나누었을 때, 허리둘레-신장비는 CACS >0인 군에서 CACS=0인 군보다 더 높은 값을 보였다(0.535±0.006 vs 0.517±0.005, P<0.001). 관상동맥석회화에 영향을 미치는 다른 위험요인들을 보정하였을 때, 허리 둘레-신장비는 관상동맥석회화에 대한 독립적인 예측인자인 것을 알 수 있었다(OR 1.04; 95% CI, 1.01-1.07; P=0.019). 또한 성별이 남성일 때, 수축기 혈압이 증가할 때 관상동맥석회화의 위험은 각각 2.53배, 1.02로 증가하였다(95% CI, 1.53-4.19, P<0.001; 95% CI, 1.01-1.04, P=0.007). 결론: 건강한 성인을 대상으로 한 본 연구에서, 허리둘레-신장비가 증가할수록 관상동맥석회화가 발생할 위험이 높아졌다.

      • KCI등재

        심박동수 및 관상동맥 석회화가 64 절편 다중검출기 심장 CT의 관상동맥 질환 진단일치도에 미치는 영향

        강영한,박종삼 한국콘텐츠학회 2009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9 No.12

        Purpose :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heart rate and coronary calcification on diagnostic accuracy of 64-slice multidetector CT(MDCT) in coronary artery disease. Methods : 178 patients(84 men, 94 women) undergoing cardiac CT were included in this study. 3 coronary arteries(LAD, LCX, RCA) were assessed the presence of significant stenosis(≥ 50%) and the results compared with those of coronary angiography. Results : On a patient-based analysis, the diagnostic accuracy of 64-slice MDCT was 96.6%. The diagnostic accuracy on left anterior descending, left circumflex, right coronary artery were 86.5%, 84.3%, 92.1% respectively. Body mass index and blood pressure were not influenced on diagnostic accuracy of 64-slice MDCT. In less than 60/min of heart rate, accuracy was 90.1% and κ value was 0.78. While in more than 70/min of heart rate, accuracy was 75.8% and κ value was 0.52. In less than 100 of coronary calcification, accuracy was 91.3% and κ value was 0.81. While in more than 400, accuracy was 68.6% and κ value was 0.33. Conclusion : 64-slice MDCT shows similar diagnostic accuracy as coronary angiography. But in the context of more than 70/min of heart rate and 400 of coronary calcification, diagnostic accuracy was decreased. So there needs to identify heart rate and coronary calcification in cardiac CT, and if heart rate shows more than 70/min, use beta-blocker to regulate it. 연구목적: 64 절편 MDCT를 이용한 심장 CT의 진단일치도를 알아보고, 심박동수와 관상동맥 석회화가 진단일치도에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하여 심장 CT 검사 시 기초 자료로 활용하고자 함이다. 연구방법: 심장 CT와 관상동맥 조영술을 함께 시행한 178명(남자 84명, 여자 94명)을 대상으로 심장 CT에서 관상동맥 협착과 심박동수, 석회화 수치를 측정하였고, 관상동맥조영술에서 좌전하행동맥, 좌회선동맥, 우관상동맥의 유의한 협착(≥50%)이 있는지 확인하였다. 관상동맥 조영술의 결과를 표준으로 심장 CT의 민감도, 특이도, 양성예측도, 음성예측도, kappa index(κ)를 계산하였다. 연구결과: 환자별 협착의 정도를 평가한 결과 심장 CT의 정확도는 96.6%였다. 혈관별로는 LAD, LCX, RCA 각각 86.5%, 84.3%, 92.1%로 높은 진단일치도를 보였다. 체질량지수와 혈압은 심장 CT의 진단일치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심박동수는 60/min 미만에서 정확도 90.1%, κ값 0.78이었고, 70/min 이상에서는 정확도가 75.8%, κ값 0.52이었다. 관상동맥 석회화지수 100 미만에서는 정확도가 91.3%, κ값 0.81이었고, 석회화지수 400 이상에서는 정확도 68.6%, κ값 0.33으로 떨어졌다. 결론: 64 절편 MDCT를 이용한 심장 CT는 관상동맥 조영술과 거의 비슷한 진단일치도를 나타냈다. 하지만 심박동수 70/min 이상, 관상동맥 석회화지수 400 이상에서는 진단일치도가 저하되었기 때문에 심장 CT 검사 시 심박동수와 관상동맥 석회화지수를 확인하여 검사하여야 하고, 심박동수가 70/min 이상이면 베타차단제를 사용하여 심박동수를 조절하여야 한다.

      • 전자선단층촬영 관상동맥석회화 정량분석과 관상동맥질환의 비교

        이종민,강덕식 慶北大學校 醫科大學 1997 慶北醫大誌 Vol.38 No.2

        목적 : 전자선단층촬영(EBT)으로 관찰이 가능한 관상동맥의 석회화병변을 정량화 하여 동맥경화성 관상동맥질환과 비교 분석하고 그 연관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총 53명의 입원 및 외래환자들을 대상으로 EBT를 시행한 후 201Th 심근스캔, 운동부하 심전도검사, 또는 관상동맥조영술을 실시하여 관상동맥질환을 검사하였다. Kendos와 Rumberger에 의해 제안된 석회화수치환산표를 이용하여 EBT 검사결과를 Negative, Low risk, Moderate risk, high riks, very high risk group으로 구분하고 기존의 검사방법을 이용한 검사결과를 정상군, 무증상질환군, 유증상질환군으로 나누어 서로 비교하였다. 결과 : 정상군에서 관상동맥석회수치검사상 negative group이 26명(76%), low risk group이 4명(12%), moderate risk group과 high risk group이 각각 2명(6%)이었고 무증상질환군에서는 High risk group이 1명(33%), very high risk group이 2명(66%)이었다. 또한 유증상질환군에서는 very high risk group이 7명(44%), high risk group이 4명(25%), moderate risk group이 1명(6%), low risk group이 3명(19%), negative group이 1명(6%)으로 비교적 다양한 분포를 보였다. moderate risk group이하와 그 초과 group들을 묶어 크게 두 집단으로 나누고 정상군과 무증상질환군을 비교한 결과 민감도는 100%였고 특이도는 94%였다. 또한 정상군과 질환군을 비교할 경우 민감도는 74%이고 특이도는 94%였다. 결론 : EBT를 이용한 관상동맥석회화검사는 정상군과 무증상질환군을 구분함으로써 동맥경화성관상동맥질환의 조기발견에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된다. 그러나 더 많은 환자를 대상으로 한 연구가 지속되어야 하겠다.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resence of obstructive coronary arterial disease and the Electron-beam tomographic coronary calcium quantitation, we have examined 53 patients with EBT scan and conventional studies such as 201Th-MIBI scan, exercise-stress EKG and coronary angiography. We divided the coronary calcium values into 5 groups according to Kondos-Rumberger recommendation (unpublished data) and compared them with the results of conventional studies for coronary arterial disease. As results, we could find that normal patients (94%) distributed in groups below moderate risk group, and all asymptomatic positive patients were included in high and very high risk groups. Although larger portion of symptomatic positive patients (69%) were in very high and high risk groups, the distribution was quite broad. Due to the limitation in patient number, statistical data analysis was not performed. However, by combining five coronary calcium score groups into two groups, we carried out two-by-two table analysis. The result was then compared with (1) normal and asymptomatic positive group, and (2) normal and disease-positive group. In these analyses the sensitivity for asymptomatic positive group was 100% and the specificity was 94%. The sensitivity for disease-positive group was 74% and the specificity was 94%. In conclusion, EBT coronary calcium quantitation was useful to differentiate asymptomatic positive patients from normal one and subsequently was valuable in early diagnosis of atherosclerotic coronary areterial disease. However, more-extensive study will be indispensible to acquire more definite result.

      • KCI등재후보

        무증상갑상선기능저하증과 심혈관 질환 위험인자 및관상동맥석회화점수와의 연관성

        조성경,고현민,문진숙 대한가정의학회 2019 Korean Journal of Family Practice Vol.9 No.1

        Background: Few studies have investigated the association between subclinical hypothyroidism (SCH) and coronary artery calcification (CAC). This study investigated this association in patients who visited a health promotion center. Methods: This study included patients who visited the Health Promotion Center at a University Hospital between January 2014 and December 2015. Serum thyroid stimulating hormone (TSH) level, free thyroxine level, and the CAC score (CACS) were measured in all patients. Patients were classified into euthyroid and SCH groups. An independent t-test and chi-squared test were performed to analyze the general characteristics. Patients were further classified into three groups based on serum TSH levels (serum TSH level <4.0, 4.0–10, and >10 μIU/mL), and the one-way analysis of variance test was performed to assess the clinical differences among three groups. Partial correlation coefficients were calculated to assess the correlation between serum TSH levels and cardiovascular risk factors. Patients with CACS=0 were classified into the non-calcification group, and those with CACS >0 were classified into the calcification group. The odds ratios of SCH to CAC were analyzed using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Results: Serum TSH levels we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body mass index, waist circumference, high-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 and triglyceride levels. The risk of obesity, diabetes, and high triglyceride levels (>150 mg/dL)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SCH group. Moreover, the SCH group with TSH levels >10 μIU/mL showed a significant risk of CAC (odds ratio, 3.18; 95% confidence interval, 1.10–9.21). Conclusion: SCH with TSH levels >10 μIU/mL is independently associated with the CACS. 연구배경: 무증상갑상선기능저하증과 관상동맥 석회화의 관련성에 대한 연구는 많지 않으며 그 결과 또한 논란 중이다. 이에 본 연구는 건강증진센터를 내원한 성인들을 대상으로 무증상갑상선기능저하증과 심혈관질환의 위험인자 및 관상동맥석회화 점수와의 연관성을 알아보고자 한다. 방법: 2014년 1월부터 2015년 12월까지 건강검진을 위해 일개대학병원 건강증진센터를 방문하여 혈청 갑상선 기능검사와 MDCT를 시행한 성인 5,392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혈중 TSH 농도에 따라 정상갑상선기능군과 무증상갑상선기능저하증군으로 분류하였고 두 군의일반적인 특성 및 차이점을 분석하기 위해 독립 T 검정, chi-square 검정을 사용했다. TSH 농도에 따라 세 군으로 나누어(0.4≤TSH<4.0,4.0–10, >10 µIU/mL) 임상적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일원분산분석을하였다. 혈중 TSH 및 Free T4와 심혈관 질환 위험인자들 간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연령과 성별을 통제한 후 편상관계수를 구하였다. 관상동맥 석회화 점수는 MDCT를 통해 계산하여 0인 경우 비석회화군, 0을 초과하는 경우를 석회화군으로 분류하여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이용하여 관상동맥석회화에 대한 무증상 갑상선기능저하증의 교차비를 분석하였다. TSH 농도에 따른 세 군들에서의 심혈관계 위험인자들의 위험도를 알아보기 위해 로지스틱 회귀분석을하였다. 결과: 혈중 TSH는 심혈관계 관련 인자인 BMI, 허리둘레, HDL-C, 중성지방과 유의한상관관계를가지며무증상 갑상선기능저하증군에서 비만, 당뇨병, 중성지방이 150 mg/dL 이상일 위험도가 유의하게높았다. 또한 TSH 농도가 10 µIU/mL 이상인 무증상갑상선기능저하증군은 연령을 포함한 모든 변수를 통제한 후 교차비가 3.18 (95%confidence interval, 1.10–9.21)로 관상동맥석회화의 유의한 위험인자였다. 결론: 혈중 TSH가 10 µIU/mL 이상인 중증 무증상갑상선기능저하증은 관상동맥석회화점수와 독립적으로 연관성이 있다

      • KCI등재

        류마티스성 대동맥 판막협착증에 의한 우관상동맥 개구부 폐쇄

        서홍주,나찬영,오삼세,김재현,김수철 대한흉부외과학회 2007 Journal of Chest Surgery (J Chest Surg) Vol.40 No.6

        관상동맥 개구부의 폐쇄, 특히 우관상판첨에 의한 경우는 매우 드물다. 저자들은 류마티스성 대동맥 판막협착증과 함께 우관상판첨이 대동맥 벽에 유착되면서 발생한 우관상동맥 개구부 폐쇄를 경험하였다. 수술 시 유착된 우관상판첨을 절제한 후 우관상동맥 개구부는 폐쇄가 없음을 확인할 수 있었고 다른 판첨들을 제거한 후 기계판막을 이용하여 대동맥 판막 치환술을 시행하였다. 환자는 양호한 상태로 외래에서 추적관찰중이다.

      • KCI등재

        심장 스텐트 시술과 의료사고 예방

        김경례,박국양,Kim, Kyoung Reay,Park, Kook Yang 대한의료법학회 2017 의료법학 Vol.18 No.2

        Coronary artery disease has increased in Korea as the country enters the aged society. It is well known that the incidence of coronary artery disease is related to aging, hypertension, diabetes, hyperlipidemia, and dietary habit. For effective treatment of significant coronary stenosis, close coordination between cardiac surgery and cardiology team is essential. Especially cardiologists' decision whether to do the stent placement or CABG is very important because the cardiologists usually start to consult the patients for their treatment. Recently, non-surgical interventions(that is stent placement) in cardiology field have dramatically increased as the national insurance system removed the limitation of the number of stents deployed. However, accidents are often caused by inappropriate use of stents, especially in patients with triple coronary disease or left main disease with heavy coronary calcifications. Another aspect of stent placement is to cope with an emergency case in the event of coronary rupture or pericardial tamponade during coronary interventions without cardiac surgeons. In the past two years, the Korea Consumer Agency (Consumer Dispute Coordination Committee) analyzed eight cases of medical dispute settlement. Only two hospitals were manned with both cardiologists and cardiac surgeons. Seven patients died of procedures of stenting and five patients died on the day of the procedure. Among the 8 cases, 5 cases showed 3 vessel disease and the rest of the cases had either severe calcification, complete occlusion or poor coronary antomies for stenting According to a 2017 national data registry of coronary stenting, less than 3 drug-eluting stents were implanted in 98% of all patients. In 2015, the number of stent procedures was 38,922, and approximately in 800 (2%) cases, more than four stents were used per patient. We emphasize that it is necessary to seriously consider the cost-benefit analysis between stent and CABG. The patient has the right to choose the right procedure by asking the liability of 'instruction explanation obligation'. He should be well informed of the pros and cons of both procedures to avoid overuse of stent. It can be solved by intimate discussion of individual cases with the cardiac surgeon and the patient. Unilateral dialogue with the patient, forceful restriction on the number of stenting, lack of surgeon's backup in difficult cases should all be avoided. It is also necessary to solve the problem not only at the hospital level, such as multidisciplinary integrated medical care, but also a nationwide solution such as expanding cardiac surgeons as essential personnel to public officials. 관상동맥 질환은 2017년 고령사회로 진입한 우리나라에서 앞으로 더 많은 관심을 가질 것이다. 고령화가 될수록 고혈압, 당뇨 등 복합적인 질환이 합병되어 혈관상태도 상대적으로 더 나빠져 관상동맥 질환에 걸릴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심혈관 질병은 심장외과와 심장내과와의 긴밀한 협진이 필요하다. 따라서 협심증이나 심근경색증환자를 먼저 진료하게 되어 있는 우리나라의 임상현장에서 객관적인 심장내과 의사의 치료방침에 대한 판단은 매우 중요하다. 최근 심장내과의 비수술적 중재술이 발전하고 있지만 무리한 스텐트 시술로 의료사고도 발생하고 있다. 특히 관상동맥 3개혈관이 모두 막힌 삼중혈관이거나 석회화가 심해 혈관 상태가 좋지 않은 경우가 문제이다. 또한 심장외과 의사가 없는 병원에서 무리하게 경피적관상동맥중재술을 실시하다가 응급상황이 발생할 경우 관상동맥이식술 등 외과적 대처가 어려운 경우가 종종 발생한다. 최근 2년간 한국소비자원(소비자분쟁조정위원회) 의료분쟁 조정결정 8사례를 분석한 결과, 심장 중재술을 시행한 병원 중 심장외과 의사가 상주한 곳은 2곳으로 확인됐다. 8사례 모두 심장내과 진료 후 풍선확장술 및 스텐트 삽입한 경우로 7명이 사망했고 이중 5명은 시술 당일에 사망했다. 8사례 중에 3중혈관 환자는 5건이고, 나머지도 석회화가 심하거나 완전폐쇄로 혈관상태가 좋지 않은 상태였다. 2017년 심장내과 스텐트 시술 건수 조사 보고에 의하면 3개 이하 약물 방출 스텐트 시술이 98%로 보고됐다. 2015년 스텐트 시술 건수가 38,922건으로 약800건(2%)은 스텐트가 4개 이상 사용된 것으로 추정된다. 무리한 스텐트 시술로 마지막 여명에 급사함으로써 신변정리 기회상실은 물론 여명단축에 따른 손해로서 '지도 설명의무' 책임을 물어 전 손해에 대한 배상을 신중하게 고려할 필요가 있다. 최근 심평원 보험적용 스텐트 시술 개수 제한규제가 없어지면서 무리한 시술과 심장외과 의사 확충에 대한 문제가 있다. '다학제통합진료' 같은 병원차원의 해결방안은 물론 필수요원에 해당하는 심장외과를 공무원으로 확충하는 등 국가차원의 해결방안이 요구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