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중학교 과학교사들이 타전공 과학 영역을 가르칠 때의 교수 태도 및 교수 불안에 관한 인식 조사

        성찬주,정영란 이화여자대학교 교과교육연구소 2013 교과교육학연구 Vol.17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중학교 과학교사의 타전공 과학 영역 수업에 대한 교수 태도와 교수 불안을 조사하여 교사 전문성 향상을 위한 방향을 제시하는 것이다. 따라서 서울시 소재 중학교 과학교사 134명의 타전공 과학 영역에 대한 과학 교수 태도와 과학 교수 불안을 분석하여 교사의 전공에 따른 차이를 알아보고 과학 교수 태도와 과학 교수 불안의 상관관계를 알아보았다. 첫째, 중학교 과학교사들의 타전공 과학 영역에 대한 과학 교수 태도는 전공에 따라 차이를 나타냈는데 공통과학 복수전공 교사들의 과학 교수 태도 점수가 가장 높았고 생물전공 교사들은 가장 낮게 나타났다. 둘째, 중학교 과학교사들의 타전공 과학 영역에 대한 과학 교수 불안은 전공에 따라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그러나 문항분석결과 공통과학 복수전공 교사들은 타전공 과학 영역을 가르치는 것에 대한 불안과 타전공 과학 영역과 관련된 과학 행사 주최에 대한 불안이 다른 전공보다 낮게 나타났다. 셋째, 중학교 과학교사들의 타전공 과학 영역에 대한 과학 교수 태도와 과학 교수 불안은 높은 부적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과학 교수 태도와 과학 교수 불안의 모든 하위영역들 사이에서도 부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공통과학 복수전공 교사들의 과학 교수 태도가 다른 전공 교사들보다 긍정적으로 나타난 것으로 보아 과학교사 양성과정에서 공통과학 복수전공을 장려하고 현직교사 연수를 강화할 필요가 있다. This study purposes to provide useful advice for secondary science teachers' professional development by investigating 134 secondary science teachers' attitudes toward teaching and their teaching anxiety with respect to non-major science fields. There a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otal score' and 'Need for Science' subscale scores in attitudes toward teaching in non-major science fields among secondary science teachers. This is particularly true for those with Biology majors compared with those who have 'General Science' double majors. Teachers who have 'General Science' double majors have the most positive attitude toward teaching; whereas, teachers who majored in Biology have the most negative attitude toward teaching outside their major. Anxiety about teaching in non-major science fields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s with respect to major. The results of an item analysis, however, indicates that teachers who have a 'General Science' double major have little anxiety about teaching in non-major science fields; they also have little fear of holding an event in a non-major science field. There was a strong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attitude toward teaching and anxiety about teaching in a non-major science field. In addition, there were negative correlations between every subscale of attitude toward teaching and teaching anxiety.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is study, teachers who have a 'General Science' double major have more positive attitudes toward teaching; therefore, improvements in the teacher-training curriculum is strongly suggested. Pre-service teachers, for example, are encouraged to be specialized in at least two areas of science.

      • KCI등재

        유치원 교사의 과학 교수 불안, 과학 교수 실제 및 유아의 과학에 대한 태도

        조부경(Cho Boo-Kyung),고영미(Go Young mi)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06 열린유아교육연구 Vol.11 No.6

        본 연구는 유치원 교사의 과학 교수 불안과 과학 교수 실제 및 유아의 과학에 대한 태도와의 관계가 어ㄸ한지 알아보기 위한 것이었다. 과학 교수 불안 검사 결과를 토대로 선정된 과학 교수 불안이 낮은 교사 2명과 높은 교사 2명 및 그 학급 유아를 대상으로 면접, 관찰 및 관련 자료를 수집, 분석하였다. 그 결과 과학 교수 불안이 낮은 교사들은 과학을 부담스러워하지 않으며 자신이 생각한대로 실제를 수행하고 있었으나 그들이 지향하는 과학 교육의 방향과 실제는 교사에 따라 각기 달랐으며, 이에 따라 유아의 과학에 대한 태도 또한 다른 양상을 보였다. 과학 교수 불안이 높은 교사들은 과학을 어려워하고 좋아하지 않으나, 실제 교수에서는 서로 다른 양상을 보였다. 교사의 과학 교수 불안과 유아의 과학에 대한 태도간의 직접적인 관련성은 적었으며, 교수 실제에 따라 유아의 과학에 대한 태도가 관련이 있었다. 이상의 결과는 교사의 과학 교수 불안 그 자체보다는 과학 교수 실제가 유아의 과학에 대한 태도 형성에 밀접한 관련이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따라서 교사의 과학 교수 실제를 향상시키기 위해서 다각적인 노력이 필요하다는 시사점을 얻을 수 있다. This study identifies the relationships among kindergarten teachers' science teaching anxiety, science teaching practices, and their students' attitudes toward science. Two teachers with low science teaching anxiety, two teachers with high anxiety, and their students were the subjects for this study. A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component involved 19 in depth interviews of teachers, 20 non-participant observations, and student interviews based on 'The Children's Attitude toward Science'. Results revealed that the teachers with low anxiety tried their own teaching practices without any conflicts and difficulties, and the teachers with high anxiety did not prefer science or science activities with their students. However, their science teaching goals and methods were all different, unrelated to anxiety. Therefore, their low science teaching anxiety did not positively effect their students' science attitude. Each teacher's science teaching practices were more directively related than anxiety to their students' active attitudes on science. It implies that the multifaced trials to improve teachers' science teaching practice are needed with teachers' low science anxiety.

      • KCI등재

        유아교사의 과학교수 태도가 과학교수 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과학적 지식의 매개효과와 조절효과

        이소현 ( Lee So-hyun ),이은정 ( Lee Eun-jung ) 미래유아교육학회 2022 미래유아교육학회지 Vol.29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교사의 과학교수 태도가 과학교수 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과학적 지식의 매개효과와 조절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서울, 경기도, 대전, 대구의 유치원과 어린이집에 근무하고 있는 유아교사 총 177명을 대상으로 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그 결과를 분석하였다. 분석은 JAMOVI 1.1.9.0과 SPSS 22.0 통계 프로그램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유아교사의 과학교수 태도, 과학교수 효능감, 과학적 지식은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아교사의 과학교수 태도가 과학교수 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에서의 과학적 지식은 부분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과학교수 태도가 과학교수 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과학적 지식의 조절효과에서 과학교수 태도와 과학적 지식의 상호작용 변인은 종속 변인인 과학교수 효능감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과학적 지식은 과학교수 효능감에 유의미한 영향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하여 유아교사의 과학교수 태도와 과학교수 효능감의 관계에서 과학적 지식은 순수조절효과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유아교사가 유아교사의 과학교수 효능감 증진을 위하여 과학적 지식과 함께 과학교수 태도를 함양할 수 있도록 충분한 노력을 기울여야 함을 시사하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erify the mediating and moderating effect of scientific knowledge on the effect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attitudes on scientific teaching on the effectiveness of scientific teaching. This study conducted a questionnaire survey of a total of 177 early childhood teachers working in kindergartens and daycare centers in Seoul, Gyeonggi-do, Daejeon, Daegu. The analysis was done by using JAMOVI 1.1.9.0 and SPSS 22.0 statistical programs. The research results were as follows. The science teaching attitude, science teaching self-efficacy, and the scientific knowledge of early childhood teachers were all statistically significant and positively correlated. As a result of the research, it was found that the scientific knowledge in the effect of early childhood teacher’s science teaching attitude on science teaching self-efficacy had a partial mediation effect. In addition, the interaction variables of science teaching attitude and scientific knowledge had a significant effect on science teaching self-efficacy. However, it was found that scientific knowledge had no significant effect on science teaching self-efficacy. Through this, it was confirmed that the scientific knowledge has a pure moder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cience teaching attitude and science teaching self-efficacy.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contribute to strengthening the science teaching ability of the early childhood teacher as a basic study for enhancing the efficacy of teaching science for early childhood teachers.

      • KCI등재

        유아교사의 과학 교과교육학지식과 과학교수 태도에 있어서 과학교수 불안의 매개효과 연구

        김다영 ( Da Young Kim ),황은희 ( Eun Hee Hywang ),이경옥 ( Kyung Ok Lee ) 한국유아교육학회 2012 유아교육연구 Vol.32 No.6

        본 연구는 유아교사를 대상으로 과학교수 불안이 과학 교과교육학지식과 과학교수 태도를 어떻게 매개하는지를 살펴보았다. 이를 위하여 서울, 경기, 대전, 전북 지역의 유치원에 재직 중인 유아교사 153명을 대상으로 과학 교과교육학지식, 과학교수 태도, 과학교수 불안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한 후, 수집된 자료를 기초로 과학교수 불안에 대한 완전매개와 부분매개모형을 설정하고 공변량구조분석에 기초하여 모델의 적절성을 검토하였다. 분석결과, 과학 교과교육학지식과 과학교수 태도 간의 관계에서 과학교수 상태불안이 부분매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과학교수 태도에 있어 유아교사의 과학 교과교육지식과 과학교수 상태불안의 중요성을 알 수 있었다. 본 결과를 토대로 예비 유아교사와 현직교사의 과학 교과교육학지식 향상과 과학교수 불안을 해소하기 위한 교사교육의 필요성을 제기하고 유아과학교수를 위한 시사점 및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how early childhood teachers` anxiety about teaching science medi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ir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of science teaching and their attitude toward science teaching. A total of 153 kindergarten teachers working in Seoul, Gyeonggi-do, Daejeon, and Jeollabuk-do responded to a set of questionnaires designed to measure their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of science teaching, their attitude toward science teaching, and their anxiety about science teaching. Then, we compared a full mediating model and a partial mediating model using a structural equation model. The results indicate that science teaching anxiety has a partial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eachers`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of science teaching and their attitude toward science teaching, which means that a teacher`s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of science teaching has both direct and indirect effects. Based 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we emphasize the importance of comprehensive in-service and pre-service early childhood educators`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of science teaching in order to alleviate early childhood teachers` anxiety about science teaching and suggest several ideas for further study.

      • KCI등재

        보육교사의 과학 교과교육학지식과 과학교수태도에 있어서 과학교수불안의 매개효과 연구

        황은희 ( Eunhee Hwang ),김다영 ( Dayoung Kim ),신은수 ( Eunsoo Shin ) 미래유아교육학회 2015 미래유아교육학회지 Vol.22 No.4

        본 연구는 보육교사를 대상으로 과학교수불안이 과학 교과교육학지식과 과학교수태도를 어떻게 매개하는지를 살펴보았다. 이를 위하여 대도시, 중소도시, 농어촌 지역의 어린이집에 재직 중인 보육교사 196명을 대상으로 무선표집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사용된 설문지는 과학 교과교육학지식, 과학교수태도, 과학교수불안에 대한 내용이며, 자료분석은 PASW 20.0과 AMOS 18.0을 이용하여 과학 교과교육학지식, 과학교수태도, 과학교수불안 간의 상관관계를 검토하고 구조방정식을 이용한 완전매개와 부분매개모형을 비교·분석하였다. 그 결과, 과학 교과교육학지식과 과학교수태도 간의 관계에서 과학교수 상태불안과 과학교수 특성불안이 부분적인 매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과학교수태도에 있어 보육교사의 과학 교과교육학지식과 과학교수 상태불안, 과학교수 특성불안의 중요성을 알 수 있었다. 본 결과를 토대로 예비 보육교사와 현직 보육교사의 과학 교과교육학지식 향상과 과학교수 상태불안, 과학교수 특성불안 감소를 위한 보육교사 교육의 필요성을 제시하고 유아 과학교수를 위한 시사점과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을 하였다. This study examined the mediating effect of science teaching anxiety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of science teaching and attitude on science teaching among child care teachers. Cluster random sampling of 196 teachers working in daycare center at major cities, small and medium-sized cities, and rural areas have responded to a set of questionnaires measuring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of science teaching, attitude on science teaching, and science teaching anxiety. Using PASW 20.0 and AMOS 18.0, the correlation among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of science teaching, attitude on science teaching, and science teaching anxiety was analyzed. Then, using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a comparative analysis has been conducted between a full mediating model and a partial mediating model. The results indicated that science teaching anxiety had a partial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of science teaching and attitude on science teaching, which means that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of science teaching had both direct and indirect effects. Based 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we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in-service and pre-service child care teachers``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of science teaching and science teaching anxiety, and suggested several ideas for the future study.

      • KCI등재

        예비유아교사의 과학교수지식과 과학적 태도 및 과학교수 효능감 간의 관계

        이은진 한국보육지원학회 2013 한국보육지원학회지 Vol.9 No.4

        본 연구는 예비유아교사의 과학교수지식과 과학적 태도 및 과학교수 효능감의 정도를 알아보고 이들 간의 관계를 알아보고자 하는데 있었다. 이를 위하여 3년제와 4년제 대학 유아교육과에 재학 중인 예비유아교사 294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배부 ․ 회수한 후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예비유아교사들의 과학교수지식이 보통정도이며 과학적 태도도 보통정도인 것으로 나타났다. 예비유아교사들의 과학교수지식과 과학적 태도는 3년제 대학의 3학년과 4년제 대학의 3·4학년 집단이 2학년 집단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2학년 집단은 1학년 집단보다 과학교수지식과 과학적 태도가 낮게 나타났다. 예비유아교사들의 과학교수 효능감은 4년제 대학의 경우, 과학교수지식과 과학적 태도와 유사하게 2학년 집단이 가장 낮은 반응을 나타냈고 3년제 대학의 경우 학년이 높아질수록 과학교수 개인효능감이 높아졌다. 예비유아교사들의 과학교수지식과 과학적 태도 및 과학교수 효능감 간에는 정적인 상관을 나타냈으며 이는 과학교수지식이 높을수록 과학적 태도와 과학교수 효능감이 높아진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 중에서 과학적 태도가 과학교수 효능감보다 과학교수지식과 더 높은 상관을 나타냈다. 앞으로 예비유아교사 교육에서 과학교수지식과 과학적 태도 및 과학교수 효능감을 높일 수 있는 다양한 교수방법에 대한 방안이 모색되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액션러닝(Action Learning) 적용수업이 예비보육교사의 과학교수효능감과 과학교수태도에 미치는 효과

        손은주(Son, Eun-Joo) 한국영유아보육학회 2018 한국영유아보육학 Vol.0 No.109

        본 연구는 액션러닝(Action Learning) 적용수업이 예비보육교사의 과학교수효능감과 과학교수태도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고자 한다. 연구대상은 부산시 소재 4년제 D대학교 B학과에서 예비보육교사를 희망하는 학습자 41명이다. 본 연구는 액션러닝 실시 전과 후의 과학교수효능감과 과학교수태도의 변화를 알아보기 위해 액션러닝 전과 후에 예비보육교사의 과학교수효능감과 과학교수태도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설계는 단일집단 사전사후 설계(One-Group Pretest-Posttest Design)로 이루어졌고, 수집된 자료는 평균과 표준편차를 구하고 전후 차이검증을 위해 대응표본 t-검정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액션러닝 적용수업은 예비보육교사의 과학교수효능감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둘째, 액션러닝 적용수업은 예비보육교사의 과학교수태도에 있어 직접적인 조작활동에 대한 태도, 과학활동 준비에 대한 태도, 과학교수시기에 대한 적합성과 관련한 태도를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action learning classes on science teaching efficacy and science teaching attitude of prospective child care teacher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41 students who hoped for a prospective child care teacher in the B Department at D University in Busan. The research design consisted of a single group pretest-posttest design. The collected data were averaged and standardized, and the corresponding conducted with a corresponding sample t-test.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teaching of action learning is effective in improving pre-service teachers’ science teaching efficacy. Second, the action learning teaching class has the effect of enhancing the attitudes about direct manipulation activities, attitudes toward preparation for science activities, and attitudes related to fitness for science teaching time of prospective child care teacher’s.

      • KCI등재

        탐구중심 과학교사교육이 예비유아교사의 과학적 태도 및 과학교수태도에 미치는 효과

        김기예 ( Ki Ye Kim ),박은주 ( Eun Ju Park ) 미래유아교육학회 2012 미래유아교육학회지 Vol.19 No.1

        본 연구의 목적은 탐구중심 과학교사교육이 예비유아교사들의 과학적 태도와 과학교수태도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는 것이었다. 본 연구대상은 4년제 대학교 유아교육과 학생 33명이며, 연구도구는 과학적 태도 검사도구(김명애, 2002)와 과학교수태도 검사도구(Cho, 1997)이다. 탐구중심 과학교사교육의 효과를 검증하고자 사전, 사후, 추후에 각각 과학적 태도와 과학교수태도 검사를 실시하였다. 검사자료에 대한 반복측정 분산분석 결과, 탐구중심 과학교사교육은 첫째, 예비유아교사의 과학적 태도를 향상시켰다. 둘째, 예비유아교사의 과학교수태도를 향상시켰는데 특히 과학교수에 대한 흥미와 과학교육을 위한 준비 측면에서 유의미한 효과가 있었다. 결론적으로 탐구중심의 과학교사교육은 예비유아교사의 과학적 태도와 과학교수태도를 향상시키는 데 효과적인 교수방법임을 알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inquiry-based science method course on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scientific attitudes and science teaching attitudes.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33 pre-service early childhood education department university students. Data were collected by the scientific attitudes(Kim, 2002) and science teaching attitudes rating scales(Cho, 1997). To analyze the data mean, standard deviation, and repeated one-way ANOVA were used. The results showed that early childhood teachers` scientific attitudes and science teaching attitudes were varied according to their experienced of inquiry-based science method course. Their scientific attitudes and science teaching attitudes were changed and sustained. In conclusion, inquiry-based science method course was proved become an effective course to improve the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scientific attitudes and science teaching attitudes.

      • KCI등재

        예비유아교사가 지각하는 유아과학교육 필요성과 인공지능 지식, 과학교수태도 및 과학교수효능감 간의 구조적 관계

        조혜영(Hyeyoung Jo) 한국유아교육·보육복지학회 2024 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Vol.28 No.1

        본 연구는 예비유아교사가 지각하는 유아과학교육 필요성과 인공지능 지식, 과학교수태도 및 과학교수효능감 간의 구조적 관계를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서울, 경기도, 충청도, 경상도 지역의 유아교육과에 재학중인 224명의 데이터를 분석하였다. SPSS 25.0과 AMOS 23.0을 활용하여 연구변인들간의 관계는 피어슨의 상관분석하였고, 구조방정식으로 구조적 관계를 알아보았다. 주요 연구결과는 첫째, 연구변인의 경향성을 보면 모두 3.0점 이상으로 높게 나타났고, 정규성은 만족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둘째, 내생변인인 과학교수효능감과 하위요인, 과학교수태도와 하위요인을 중심으로 모든 변인들 간의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셋째, 측정모형은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구조모형의 경로계수를 보면, 유아과학교육 필요성은 인공지능 지식과 과학교수태도, 과학교수효능감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인공지능 지식은 과학교수태도와 과학교수효능감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매개분석 결과, 유아과학교육 필요성이 과학교수태도와 과학교수효능감에 영향을 주는 과정에서 인공지능 지식이 부분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유아과학교육의 내실화 측면에서 인공지능에 대한 교육 적용 방안을 고려해야 함을 시사하는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perceived need for early childhood science education and their knowledge of artificial intelligence, attitudes toward science instruction, and self-efficacy in science teaching.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224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in Seoul, Gyeonggi, Chungcheong, and Gyeongsang provinces, and their data were analyzed for the research. The relationships among research variables were analyzed using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and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were explored through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SEM) using SPSS 25.0 and AMOS 23.0. These results were as followed. First, when examining the tendencies of research variables, all scored above 3.0 points, indicating a high level, and normality was considered satisfactory in the analysis. Second,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were observed among all variables, with a particular focus on endogenous variables such as science teaching self-efficacy and its sub-factors, as well as attitudes toward science instruction and its sub-factors. Third, the measurement model was found to be appropriate. Examining the path coefficients of the structural model revealed that the perceived need for early childhood science education had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s on artificial intelligence knowledge, attitudes toward science instruction, and science teaching self-efficacy.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s of artificial intelligence knowledge were found on attitudes toward science instruction and science teaching self-efficacy. Mediation analysis revealed that knowledge of artificial intelligence partially mediated the influence of perceived need for early childhood science education on attitudes toward science instruction and science teaching self-efficacy. These research findings suggest the need to consider incorporating educational approaches related to artificial intelligence to enhance the foundation of early childhood science education.

      • KCI등재

        초등교사들의 과학교수 관련변인에 따른 학생통제관

        박성혜 한국교원교육학회 2005 한국교원교육연구 Vol.22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교사들의 과학교수 관련변인들과 학생통제관의 관계를 조사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초등교사들의 성별, 학력, 교직경력년수, 과학교수법, 개인적 과학교수효능감수준, 과학교수 결과기대감수준, 과학교수태도수준에 따른 학생통제관의 차이를 조사하였다. 연구대상은 서울 및 경기지역의 12개 초등학교에 재직한 교사 총 262명이 참가하였다. 연구도구로는 학생통제관, 과학교수 자기효능감(개인적 과학교수효능감과 과학교수 결과기대감), 과학교수태도의 측정도구를 사용하였고, 성별, 학력, 교직경력년수, 과학교수법을 조사하기 위한 문항도 함께 사용하였다. 자료분석은 조사한 변인들에 대한 피어슨 상관관계 분석이 1차적으로 이루어졌으며, 성별과 학력에 따른 학생통제관은 t-검증으로 분석하였다. 교직경력년수, 과학교수법, 개인적 과학교수효능감수준, 과학교수 결과기대감수준, 과학교수태도수준에 따른 학생통제관의 차이는 일원분산분석과 Duncan사후검증으로 분석하였다. 또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던 변인들이 학생통제관을 얼만큼 설명하는지를 분석하기 위하여 선형회귀분석을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로는 성별과 학력에 따라서는 학생통제관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교직경력년수, 과학교수법, 개인적 과학교수효능감수준, 과학교수 결과기대감수준, 과학교수태도수준에 따른 초등교사들의 학생통제관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냈다. 교사들의 경력년수가 적을수록, 개인적 과학교수효능감수준이 높을수록, 과학교수 결과기대감수준이 높을수록, 과학교수태도수준이 높을수록, 그리고 교사들이 비지시적인 교수법을 사용할 수록 교사들의 학생통제관이 인본주의적이었다. 교육개혁의 변화를 위한다면 교사들이 인본주의 학생통제관을 형성할 수 있는 교사양성 및 교사교육의 기회가 필요하겠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