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記聞叢話』에 나타난 科擧談의 양상과 특징

        이미진 고려대학교 고려대학교 부설 한자한문연구소 2023 동아한학연구 Vol.- No.17

        과거 제도의 본질을 파악하기 위해서는 과거 관련 자료가 실린 다양한 문헌을 살펴야 한다. 그 노력의 일환으로 본고에서는 특정 야담에 나타난 과거담에 집중하기로 한다. 조선 후기에 편저된 것으로 알려진 記聞叢話 는 야담 중에서도 담화 수가 가장 많고, 넓은 범위의 야담을 집대성하여 야담에 나타난 과거담의 전모를 살피기에 유리하였다. 記聞叢話 소재 과거담은 총 70편이다. 이는 주로 15~17세기 수험생이 과거 시험을 준비하는 과정에 있었던 일을 소재로 하였다. 記聞叢話 소재 과거담은 일화의 성격에 따라 크게 3가지로 나눌 수 있다. 첫째, 사회의 구조적 모순을 비판하는 일화다. 記聞叢話 에서는 사회 제도가 악용된 사례와 당대 부조리함을 비판하는 일화가 실렸지만 그 수가 극히 적었다. 19세기에 편저되었으리라 추정되는 記聞叢話 는 당대 과폐를 고발하여 사회 구조적 모순을 비판하기보다 과폐를 통해 임금의 성덕을 칭송하고 당시 시관의 안목과 청렴함을 부각시키는 일화가 많다. 즉, 記聞叢話 소재 과거담은 사회 비판보다는 과거제 운용의 바람직한 본보기를 보여줌으로써 교훈성을 강조한 것이다. 둘째, 기이한 체험과 예언을 보여주는 일화다. 記聞叢話 소재 과거담에는 꿈속에서 합격자의 이름을 예언하거나, 과거 합격을 가리키는 동물이 등장한다. 야담에서의 기이성은 그것 자체로 독자의 흥미를 불러일으키지만, 記聞叢話 소재 과거담에는 이미 과거에 합격한 실존 인물과 관련된 기이한 체험과 예언을 서술하여 그 인물의 현달함에 대한 당위성을 보여주려고 하였다. 셋째, 장원에 대한 자부심과 집착을 보여주는 일화다. 과거 시험에서 장원이 되면 남들보다 일찍 요직에 오를 뿐 아니라 개인으로서나 가문으로서 명망이 높아졌다. 따라서 장원한 사람들끼리 정기적으로 계모임을 갖거나, 2등을 하여 평생 아쉬움을 드러내는 일은 당대 분위기상 충분히 있을 수 있는 일이다. 記聞叢話 소재 과거담에서는 이러한 일화가 조선 전기를 배경으로 하며, 사회 구조적 문제를 비판하거나 서사의 긴장감과 흥미를 강조하기 위해 활용되지 않았다. 19세기에는 별시로 인재를 뽑는 경우가 많아져 조선 전기보다 장원의 위상이 상대적으로 떨어졌음을 감안한다면, 記聞叢話 에 등장한 장원과 관련한 일화는 당대의 현실을 반영하기보다 특권계층에 편입되고픈 당대 사람들의 열망과 바람이 반영되었다고 추측할 수 있다. In order to understand the essence of the state examination system, it is necessary to consider various materials containing state examination-related data. Therefore, in this paper, I will focus on the state examination stories in specific yadam. Kimunchonghwa, compiled in the late Joseon Dynasty, has the largest number of stories among yadams, and is suitable for examining the full picture of the state examination stories as it has compiled a wide range of yadams. There are a total of 70 stories about the state examination. This was mainly based on what happened to students in the 15th to 17th centuries in the process of preparing for the state examination.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stories, the state examination stories of Kimunchonghwa can be divided into three major categories. First, it is a story that criticizes the structural contradictions of society. In Kimunchonghwa, there were stories criticizing the abuse of the social system and the absurdity of the time, but the number of stories was extremely small. Kimunchonghwa, compiled in the 19th century, has many stories that praise the king’s virtue and highlight the insight and integrity of the examination supervisors at the time, rather than criticizing the social structural contradictions by accusing the bad custom of the examinations of the time. In other words, Kimunchonghwa’s story of the state examination emphasized the morality by showing a desirable example of the operation of the state examination system rather than criticizing society. Second, it is a story that shows strange experiences and prediction. In Kimunchonghwa’s story of the state examination, there are animals that predict the names of the applicants who passed the state exam in their dreams. The strangeness of Yadam attracts the reader’s interest, but Kimunchonghwa’s story of the state examination tried to show that the person’s success was natural by describing strange experiences and prediction related to a real person who had already passed the exam. Third, it is a story showing pride and obsession with being the first grade. Since the Korea Dynasty, there have been cases in which people who have been in first grade regularly have gatherings or feel regret for life because they have been in second grade. However, in the 19th century, there were talents were selected through special examinations, and the status of the first grade was relatively lower than in the early Joseon Dynasty. If so, it can be assumed that the stories related to the first grade in Kimunchonghwa reflected the wishes of those who wanted to be incorporated into the privileged class.

      • KCI등재

        조선시대 울산 · 언양 지역 과거 합격자 배출 양상 및 과거 시험의 개방성

        김두헌(Kim, Doo Hean) 교육사학회 2016 교육사학연구 Vol.26 No.2

        본고에서는 조선시대 울산 · 언양 지역 과거 합격자의 과목별 · 가문별 · 신분별 배출 양상을 파악하고, 그 결과를 함양 · 안의 지역 및 옥구 · 임피 지역의 그것과 비교하여 분석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울산 · 언양 지역과 옥구 · 임피 지역은 해안이나 그 인근에 위치해 있었고, 海防 기지로 중시되었으며, 일찍이 출중한 무관이 배출되었기에, 문과나 소과 합격자 보다는 상대적으로 무과 급제자가 많이 배출된 것으로 나타났다. 함양 · 안의 지역은 내륙에 위치해 있었고, 군산 기지가 설치되어 있지 않았으며, 일찍이 출중한 문관이 배출되었기에, 무과 급제자보다는 문과나 소과 합격자가 상대적으로 많이 배출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하여 이들 여섯 지역에서 과거 합격자를 과목별로 배출하는 데, 각 지역의 군사적 · 지리적 특성과 이들 지역에서 배출된 출중한 인물에 따라서 과거 합격자의 과목별 배출 양상에 공통점과 차이점이 있었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다. 둘째, 이들 여섯 지역에서의 소수의 유력한 가문의 과거 합격자 배출율이 상당히 높았다는 것, 그러나 그러한 소수의 유력한 가문에서 과거에 합격한 자보다 합격하지 못한 자가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많았다는 것 등의 사실을 통해서, 과거 합격에 결정적으로 영향을 미친 것은 개인의 능력이었으며, 그 다음이 소속 가문이었다고, 그리고 과거 합격이 원칙적으로 가문으로부터 개방되어 있었지만, 실제적으로는 적지 않은 영향을 받았다고 판단할 수 있게 되었다. 셋째, 이들 여섯 지역에서 양반 미만의 신분이 과거에 합격한 사실들이 있었다는 것, 그러나 그 수는 양반의 그것에 비하면 현저하게 적었다는 것, 그리고 이들이 과거에 합격하였다는 것만으로 양반으로 신분 상승하기란 극히 어려웠다는 것 등의 사실들을 통해서, 이들 여섯 지역에서 과거제도가 양반과 비양반의 신분 차별이라는 갈등을 완화시켜 주는 기능을 하기는 하였지만, 그 정도는 미미하였다고 판단하였다. This paper examines the aspects that contributed to the pass rate of State Examinations in Ulsan and UnYang regions. We compared these rates with those of the OgGu(沃溝) · ImPi(臨陂), HamYang(咸陽) · AnUe(安義) regions during the JoSun Dynasty. The results of this paper illustrates our findings. First, there ar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in the pass rate between these six regions according to the presence of military, geographical characteristics and the historical prominent figures of the region. This indicates an influence on the pass rate within these six regions based on the factors mentioned above. Second, the pass rate for State Examination takers for prominent families was considerably higher indicating that the pass rate was influenced by the affluence of the family. This shows that the absolute element needed to pass the State Examination was not the affluence of the family, but the ability of the candidates. Access and opportunity to pass the State Examination was open to all in principle, but was affected by the affluence of the family. Third, there were those who were under YangBan(兩班, the best social status) who passed the State Examination in these six regions. However, the pass rate for the those under YangBan was smaller than YangBan. Although those not under YangBan had passed State Examinations, they were not able to rise to YangBan status. These facts indicate that the State Examination mitigated the conflicts of social discrimination, but that was few and far between.

      • KCI등재

        ≪홍루몽(紅樓夢)≫과 과거문화(科擧文化)

        김효민 고려대학교 중국학연구소 2010 中國學論叢 Vol.30 No.-

        本文從科擧文化的視角出發, 對≪紅樓夢≫進行了多方面的考察。≪紅樓夢≫中反映著不少的科擧文化因素, 這些因素主要集中在賈府對科擧功名及擧業的重視觀念與賈寶玉對八股科擧文化的批判態度上, 而且這兩方面又在小說中構成一個主要矛盾。령一方面, 作爲八股迷的高악之續作使小說中的科擧文化色彩更加濃鬱, 這一點在科擧文化與≪紅樓夢≫的關係上是個不可忽略的問題。不僅如此, 還在≪紅樓夢≫的出版和傳播, 評點, 續書等作品外部的諸般層面上, 可以發現和科擧文化的一定的關聯性。因此, 如排除科擧文化這一上下文, 今天≪紅樓夢≫的面貌以及現代以前廣大的接受和影響等可以說都是難以想像的。尤其, 由高악的續作和程本的出版引起的廣範傳播和影響卽是≪紅樓夢≫在科擧文化中形成、衝突、傳播、接受的過程本身。在這一點上可以說, ≪紅樓夢≫誕生在科擧文化的磁場中, 而且在其成書和傳播過程中, 通過續作、評點、續書等又産生了圍繞著科擧文化的許多話語。

      • KCI등재

        과거시제 기술에 대한 표현론적 접근

        이홍식,이은경 경희대학교(국제캠퍼스) 비교문화연구소 2024 비교문화연구 Vol.71 No.-

        In this study, we adopted an onomasiological approach to analyze the Korean past tense, moving from meaning to form. We identified and catalogued the forms that express the past; various forms were used to express the past. Some of these forms were due to differences in syntactic construction, while others showed differences in aspects or modality. We examined whether the meaning of 'past' could be further subdivided. In representational lexical semantics, a semantic field is established to identify sub-meanings belonging to the same concept. In this paper, we attempted to establish sub-meanings of the past. The results of subdividing the meaning of the past, excluding the meanings of aspect and modality, are as follows: Simple Past: -eoss-, -eosseoss-, -eun, -deon. Discontinuous Past: -eosseoss-, -eossdeon. Past in the Past: -eosseoss-, -eoss-. Past of Perception Time: -deo-. Counterfactual Past: eoss-, -eosseoss-(protasis), -eoss-, -eulgeol(apotasis). Past Recognition of Past Facts: -eossdeo- 본고는 의미에서 형식으로 향하는 문법 기술의 측면에서 한국어 과거시제를기술해 보았다. 먼저 과거를 표현하는 형식들을 확인해서 목록화하는 작업을 진행했다. 다양한 형식들이 과거를 표현하기 위해 사용되었다. 이들 형식에는 통사적 구성에 따른 차이에 의한 것들도 있었고 상이나 양태의 측면에서 차이를드러내는 형식들도 있었다. 다음으로 과거라는 의미를 더 나누어 볼 수 있는지 살펴보았다. 표현론적 어휘의미론에서는 어휘장 또는 의미장을 설정해서 동일한 개념에 속하는 하위의미를확인하고 이들을 표현하는 형식을 찾아서 기술하는 작업을 진행한다. 본고에서는 과거의 하위의미를 설정하는 작업을 진행해 보았다. 기존의 논의에서 제시한과거의 하위의미를 대상으로 논의를 진행하였다. 상과 양태의 의미를 배제하고과거의 의미를 세분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단순과거: -었-, -었었-, -은, -던. 단절과거: -었었-, -었던. 과거에서의 과거: -었었-, -었-. 인식시의 과거: - 더-. 반사실적 과거: -었-, -었었-(조건절), -었-, -을걸(귀결절). 과거 사실에대한 과거의 인식: -었더-

      • KCI등재후보

        고려시대의 과거제와 공공성(公共性)

        이남희(Lee, Nam Hee) 한국동양정치사상사학회 2013 한국동양정치사상사연구 Vol.12 No.2

        이 글에서는 고려 과거제도와 공공성의 관계에 대해서 주목하고 있다. 과거제가 처음 도입된 것은 광종 9년(958)의 일이다. 광종이 새로운 인재 등용 방식인 과거제를 도입한 일차적인 이유는 호족 출신의 공신세력을 누르는 한편, 자신과 고려에 충성스러운 문신 관료를 필요로 했던 것이다. 시험을 쳐서 인재를 선발한다는 점에서 과거는 기본적으로 공공성과 친화력을 갖는 것이었다. 하지만 과거는 신분을 초월해서 오로지 실력에만 기준을 두는 관인등용법은 아니었다. 응시할 수 있는 신분층이 한정되어 있었다. 그래서 고려사회의 경우 귀족제적인 특성이 드러난다. 그 같은 특성은 5품 이상 관료층의 자녀에게 관직 등용의 문을 열어준 음서제에 잘 나타나고 있다. 그런데 실증적인 조사에 의하면, 음서 보다는 과거 출신자들이 관직 진출에서 여러 가지로 유리했다. 전근대 사회의 공공성은 신분제의 변화라는 커다란 흐름 속에서 단계적으로 파악해야 할 필요가 있다. 고려는 귀족제 사회를 이루면서도 과거제를 실시하여 능력본위의 인재 선발 제도를 도입했다는 점은 공공성의 확대를 보여준다고 할 수 있겠다. 여기서 고려시대 과거제의 공공성과 그 특성이 나타난다고 하겠다. 그래서 고려시대 과거제의 경우, 한편으로는 공공성에 친화력을 갖는 측면도 있었지만 그와 동시에 음서를 통해 관직에 입문한 자들이 자신들의 승진과 지위의 상승을 위해 이용하는 출세의 사다리라는 측면도 없지 않았다. 그런 만큼 복합적인 성격을 지니고 있었다. 그것이 고려사회의 과거제가 지닌 공공성의 가장 두드러진 특성이라 할 수 있지 않을까 한다. 조선 사회의 과거제가 갖는 사회적 성격과 비교할 때 확연히 구별되는 측면이기도 했다. This article is mainly about the relationship between ‘Civil Service Examination’ of Goryeo Dynasty and the ‘publicness’ focusing on how Publicness was realized throughout the examination. The first introduction of Civil Service Examination was in 958 (Kwangjong year 9). It was 371 years later than the implementation in China. Sang-gi, a naturalized Korean citizen, suggested King Kwangjong to adopt ‘Civil Service Examination’ in Goryeo D ynasty a s a new system o f eng a g ement. T he p rimary r eason was to control the power of vassals from Hojok, and to appoint civil officials with loyalty to t he K ing and t he c ountry. I n other words, c ivil service examination was to streng then t he r oyal a uthority a nd i t actually s ucceeded i n a certain degree. Civil Service Examination was approved to have Publicness since elites had been selected by the process of examination. However, people who could apply for the exam were restricted based on Bone-rake Status System. General people were not allowed to take the Composition Examination Course, which was being considered as the most important course of all examinations in Goryeo Dynasty. In this regard, Goryeo Dynasty truly had characteristics of the aristocracy. The social class was a primary condition while one’s ability or characteristic was considered as a secondary choice. Under this kind of system, public offices were easily passed down to their descendants. The system of ‘Protected Appointment’ clearly shows that descendants of higher ranking officials were more likely to become civil servants. Kongeum-jeon, one kind of the land system in Goyeo Dynasty, could be understood in the same vein. Based on the empirical research, however, people who passed Civil Service Examination got more advantages than the one from Protected Appointment in many ways. It is true that Civil Service Examination in Goryeo Dynasty was open to the public, on the other hand, there was some problem that officials from Protected Appointment utilized this system as a step for their own promotion. Therefore, the examination system was hard to be described in one clear definition due to its complicated aspects, and this could be the principal characteristic of the Publicness of Civil Service Examination in Goryeo Dynasty which is clearly distinguished from that in Chosun Dynasty.

      • KCI등재

        러시아어 과거 시제에서 시상 형태 기능의 변화

        정연우(Jeong, Yeon Woo) 한국슬라브유라시아학회 2013 슬라브학보 Vol.28 No.2

        본 논문은 시제란 시간이 문법화한 것이라고 보고, 러시아어의 과거시제에서 또 다른 시간을 다루는 상 범주가 형성되면서 발전하여 지금의 시상체계를 이루게 되었는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과거시제는 다른 시제에 비하여 나타낼 수 있는 의미영역이 넓은데도 현대러시아어에서는 -л 형태소롤 통해서만 표현되고 있는 것은, 전 단계의 시제 형태와 기능이 단순화된 결과이다. 임퍼펙트와 아오리스트 과거에서는 시제와 상의 형태소는 분리되지 않아 부담이 커서, 서서히 быти의 인칭변화형과 л-형동사의 결합으로 사용되던 퍼펙트과거의 사용이 늘어났다. 퍼펙트과거의 한 요소인 조동사적계사 быти가 탈락하면서 л-형동사는 불완료상과 완료상 동사 어간 모두에 붙어서 단독으로 과거의 표지사가 되었다. 과거시제에서 지나친 단순화로 인하여 이전의 다양한 과거 의미를 보완할 수 있는 수단이 요구되었고, 이러한 맥락에서 원슬라브어 기반의 상 범주는 재편이 불가피해졌다. 상적 대립은 먼저 접미사 -a-(-ja-)를 어간에 붙여서 지속성의 의미를 더하다가 문법화가 진행되면서 불완료성을 나타내게 되었다. 이후 구체적 공간 개념을 의미하는 за, на, из, от, по, про, с, у와 같은 전치사들이 접두화하면서, 처음에는 고유한 어원적 의미를 유지하다가 점점 공간의 개념을 잃게 되는 의미탈색이 일어나면서 일부는 어휘상으로 머물게 되었고, 문법화가 더 진행되면서 문법상이 되었다. 인구어 어원의 *va는 물과 같이 흐르는 대상을 나타내던 것인데, 동사의 어간에 붙어 문법화하면서, 어원어의 의미는 ‘반복성’을 나타내게 되었다. 어원어 *nu 역시 원래는 ‘자극’과 같은 의미를 지닌 어휘적 내용어가 동사의 어간에 접미사로 기능하면서 순간성이나 일회성의 의미를 더하면서 완료상 형성에 관여하게 되었다. 이처럼 동사와 시제와 상 범주는 과거시제에서 상호간섭하면서 부족한 의미영역을 보완하는 관계로 발전하게 되었다. 최근에는 완료상을 통하여 비한정성이나 반복성과 같은 불완료상의 하위의미영역이 표현되기도 하고, 드물게 지속성을 나타내기도 하여 러시아어 상체계에는 미세하게 상적 대립의 선택에 있어 변화가 감지되고 있다. 이것은 과거시제에서 불완료상 과거는 이전의 임퍼펙트 과거의 의미를 수용하게 되었고, 다른 세 과거의 의미는 완료상 과거에 흡수되면서 완료상의 의미영역이 좀 더 보편적으로 된 것과 무관하지 않다. 그렇지만 러시아어는 견고하게 상범주가 문법화되어 있고, 이를 지켜내려는 노력이 있어서 상 선택의 일탈은 일부 문체에만 국한되어 있어서, 전체적으로는 상 선택의 동요는 미미하다. This article aims to study on the development of the russian tense-aspectual system, on the basis of grammaticalisation theory. In the period of Common Slavic, there were 2 synthetic past: aorist and imperfect, and 2 analytic past: perfect and pluperfect. Among them, Perfect was constructed with the l-participle and a present tens form of the auxiliary verb "byti". Disappearing the aorist and imperfect, perfect became the only construction available to characterize past events in old Russian. In relation to the simplication of tense system, the the Proto-Indo-European aspectual category has been reorganized. First, the suffix -a-(-ja) had the meaning [+Durative], but grammaticalized to the imperfective meaning. Later many prefixes, originated from prepositions, for example v, na, ot, po, pro, c, u, za, also underwent bleaching (desemanticization) and had the function of actionsart and grammatical aspect marker according to the degree of grammaticalization. The semantics of the other prefis va was "air, water," so principal conceptual meaning of -va- as a suffix made a verb to acquire an iterative. The etymon of -nu- as a suffix added the meaning of sudden or impulsive movement, thus rendering the verb perfective. At the end of 20th century, through the perfect aspect can be expressed in the context of Iterative and Progressive. It shows the first step to the paths of developing leading to perfective and simle past grams.

      • KCI등재후보

        중세 한국어 ‘-리러-’의 용법 : ‘과거에서의 미래’를 중심으로

        신연수 이화어문학회 : 이화여자대학교 한국어문학연구소. 2017 이화어문논집 Vol.42 No.-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meaning of prefinal ending ‘-rireo-’ in Middle Korean. ‘-rireo-’ is a combination of prefinal ending ‘-ri-’ and ‘-deo-’ in Middle Korean and expresses a variety of meanings-future in the past, assumption in the past, possibility in the past in indicative mood and counter-factual supposition in subjunctive mood. This study focuses on the use of ‘-rireo-’ as ‘future in the past’ marker in Middle Korean. ‘Future in the past’ is to refer to a future event relative to a point in the past. ‘-rireo-’ refers to a future event that is scheduled and predictable at a point in the past. ‘-rireo-’ is also comparable to ‘-(eu)l yejeong-i-eoss-’ which expresses the future in the past in Contemporary Korean. ‘-(eu)l yejeong-i-eoss-’ only refers to scheduled future event relative to a point in the past whereas ‘-rireo-’ refers to either scheduled or predictable future event. 중세 한국어의 ‘-리러-’는 선어말어미 ‘-리-’와 ‘-더-’의 결합형으로, 다양한 의미와 용법을 가진다. ‘-리러-’는 직설법(indicative mood)에서 ‘과거에서의 미래’, ‘과거에서의 추정’, ‘과거에서의 가능성’ 등을 표현하며, 종속법 (subjunctive mood)에서 주로 ‘-더든’, ‘-던댄’ 등의 연결어미와 함께 쓰여 ‘반사실적 가정’을 표현한다. 본고는 ‘-리러-’의 여러 용법 중에서 ‘과거에서의 미래’ 용법에 주목하여, 15세기와 16세기의 한글 문헌에 나타난 용례를 검토하고 과거에서의 미래 용법의 특징을 파악하였다. ‘과거에서의 미래’는 과거를 기준시로 했을 때 미래, 즉 그 시점 이후에 일어날 일을 표현하는 것이다. ‘-리러-’는 중세 한국어에서 과거 시점에서의 예정된 미래 사건이나 일어날 것이라고 예측되는 사태를 나타내는데, 이때 화자가 그 사건 또는 사태에 대해 단언하고 있다는 점에서 과거에서의 미래 용법이 확인된다. 또한 과거 시점에서 예정된 미래 사건이나 예측되는 사태는, 발화시인 현재를 기준으로 할 때 일어난 경우도 있고, 그렇지 않은 경우도 있었다. 한편 현대 한국어에서는 ‘-ㄹ 것이었-’, ‘-ㄹ 예정이었-’ 등의 우언적 구성을 통해 과거에서의 미래를 나타낼 수 있다. 그중에서 ‘-ㄹ 예정이었-’은 과거 시점에서의 예정된 미래 사건을 표현하는데, ‘-리러-’와 비교하였을 때 그 사건이 예정된 때에 일어나지 않았다는 문맥에서 사용되는 경향이 있다.

      • KCI등재

        과거사위원회 기록의 효율적인 관리와 활용방안

        임희연 한국기록학회 2008 기록학연구 Vol.0 No.17

        Investigations have been started to set the modern history and national spirit to rights after Commissions were established. Those Commissions are established and operated with time limit to finish its own missions. They creates three kinds of records as acquired materials which acquired or are donated for investigation; investigation records as investigation reports; and administrative records that created while supporting organization’s operation. The Commissions use more past records to do special tasks asnation’s slate clean and uncovering the truth than other agencies. In other words, the commissions take the most advantages of well-managed records, however, their record management environment and operation systems are relatively loose than other permanent machineries. It has three reasons that; first, there is no record management regulations and criteria for machineries that have time limit. This affected each commissions ‘systems and 6 Truth Commissions’ record management systems are built separately and on the different level; Second, members lack responsibility from frequent sending, reinstatement, change, and restructuring and that makes troubles to produce and manage records; Third, central archives pay less attention to machineries that operated limited period as the truth commissions. The Commissions rather need more systematic control because its records have historical value. To solve these problems, record management regulations have to be prepared first with features of organizations running limited time and commissions’ records as acquired materials or investigation records. Furthermore, building up standard record management system for the Commissions, standardizing transfer data, imposing professional record personnel, and setting limits frequent personnel changes would finish practical problems. Besides, those records created to reveal the truth should use for education and research because Truth Commissions are established to set unfortunate history right and not to repeat it again. The records would serve as steppingstone for establishment of the Truth Record Center that does education, information work, publication, and research with the records. The record center would help using the records efficiently and improving knowledge for its people. And, the center should devote people to recognize importance of the records. 우리는 불행했던 우리의 과거사에 대해 잘못된 역사를 바로잡고 민족의 정기를 바로 세우고자 과거사위원회를 설치하고 조사업무 활동을 시작하였다. 이렇게 설립된 과거사위원회들은 주어진 업무를 수행하기위해 정해진 기간 동안만 운영된 후 폐지되는 한시조직(限時組織)으로 설치ㆍ운영되고 있다. 따라서 이들 기관에서 생산되는 기록의 종류를 살펴보면 주어진 조사업무를 위해 수집하거나 기증받은 수집자료와, 수집자료를 활용하여 완수한 조사업무의 결과물인 조사보고서 즉 조사기록, 그리고 조직의 운영을 위해 행정적 지원을 하며 생산된 일반 행정기록, 이렇게 과거사위원회 기록을 크게 3가지로 구분해볼 수 있다. 과거사위원회는 과거사청산과 진실규명이라는 특별한 과제수행을 위해 지난 과거의 기록에 대한 활용도가 높은 편이다. 다시 말해서 잘 관리된 과거사 기록의 혜택을 다른 어느 기관보다 많이 받고 있으면서도, 각 위원회의 기록관리 환경과 운영현황에 있어서는 다른 항구적(恒久的)인 기관보다 대체적으로 취약하다고 할 수 있다. 이유를 살펴보면, 먼저 일정기간동안 한시적으로 운영되는 위원회 조직의 기록관리에 대한 규정과 표준 등의 부재(不在)를 말할 수 있다. 이러한 현실은 각 위원회의 기록관리 환경 인프라구성에 영향을 주게 되었으며, 실제로 과거사위원회 6개 기관을 대상으로 기록관리 현황조사를 실시한 결과 제각기 다른 기록관리 환경을 갖추고 기록관리 업무를 수행하고 있었고, 게다가 그 편차는 매우 크다는 사실도 알 수 있었다. 또 다른 이유는 위원회 조직구성원들의 파견, 복직, 이직(移職) 그리고 조직개편 등으로 인한 업무담당자의 잦은 변동으로 업무의 책임성이 결여되고, 이러한 현실은 기록관리에도 영향을 끼쳐 모든 업무활동에 대한 증거자료인 기록의 생산과 관리에 어려움을 주고 있었다. 마지막으로 과거사위원회와 같은 한시조직에 대한 중앙기록물관리기관의 관리소홀을 말할 수 있는데, 위원회 기록이 대부분 역사적 가치가 높은 매우 중요한 기록임을 생각했을 때 오히려 보다 체계적인 특별관리가 필요할 것이다. 이러한 여러 가지 문제점을 해결함에 있어 가장 우선시되어야 할 것은 과거사위원회와 같은 한시조직의 특성과, 수집자료나 조사기록과 같은 위원회 기록의 특성을 고려한 기록관리 규정의 마련이다. 여기에 위원회 조직들이 공통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표준화된 기록관리시스템의 제도적 반영이나 또는 기록관리시스템의 이관데이터 규격의 표준화, 그리고 기록관리 전담부서의 직제반영과 기록관리 전문요원의 배치 의무화, 빈번한 인사교류의 제한과 파견공무원의 파견기간에 제한을 두지 않는 방법 등으로 현실적인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과거사위원회의 설립 취지가 불행했던 우리 과거사를 바로잡아 다음 세대에게 보여줌으로써 다시는 이러한 역사가 반복되지 않도록 하는 것에 있음을 생각할 때, 조사업무 완수의 다음 단계는 바로 진실규명을 위해 생산된 기록을 교육과 연구자료 등으로 잘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과거사 위원회들의 기록을 한데 모아 과거사기록관을 설립한다면, 이곳은 단순히 기록을 보관하고 관리하는 기능으로만 그치지 않고 소장기록물을 이용한 교육, 홍보, 출판 및 연구 사업 등을 통해 과거사 기록의 활용을 극대화할 수 있을 것이다. 이로써 ...

      • KCI등재

        대과거(大過去) 시제(時制)와 ‘-었었-’

        문숙영 ( Mun Suk-yeong ) 한국어문교육연구회 2003 어문연구(語文硏究) Vol.31 No.4

        本稿는 ‘-었었-’의 作用域을 바탕으로 ‘-었었-’의 意味 機能과 範疇를 살펴보고, 그간 ‘-었었-’에 부여되었던 다양한 意味는 ‘-었었-’의 範疇的 特性과 基本意味로부터 도출되는 含蓄임을 보이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었었-’은 해당 상황을 ‘-었-’이 지시하는 時點을 기준으로 그 앞에 位置시키는 大過去 時制 形態素이다. ‘-었었-’은 過去 속의 過去에 狀況이 위치하기 때문에 現在와의 接點을 가지지 않으며 이에 따라 斷續, 두 事件 關聯, 正反對의 狀況 後續이라는 함축을 가진다. 大過去 時制는 絶對-相對時制의 일종이므로 基準時가 되는 상황에 대해서만 先時的이며, 대과거 시제는 본질적으로 과거이기 때문에 過去 時制 요소인 ‘-었-’으로도 代置될 수 있다. 大過去의 固有 機能은 과거 사건을 年代的으로 관련짓는 데, 즉 事件의 發生 順序를 逆順으로 제시하는 데 있다. This paper aims at identifying the meaning and category of ‘-eoteot-' and explaining why many researchers have interpreted ‘-eoteot-' in different ways. The meaning of ‘-eoteot-' is that there is a reference point that is located before the present moment, and that the situation in question is located prior to that reference point is marked with ‘-eot-'. Thus the situation referred by ‘-eoteot-' does not occupy the time up to the present moment, so that there are conversational implicatures that the situation does not continue to the present or the opposite situation follows or two situation is related and so on. However these implicatures can be easily cancelled. The ‘-eoteot-' is a pluperfect morpheme and a kind of absolute-relative tense in Korean. Since the pluperfect indicates a time point before some other time point in the past, the situation referred to by the ‘-eoteot-' is itself located in the past and can also be referred to by ‘-eot-'. The pluperfect ‘-eoteot-’ should exist to relate situations chronically to one another. In other words, ‘-eoteot-’ is used to indicate reverse order of situations.

      • 과거제도, 그 빛과 그늘

        이남희(Lee Nam-Hee) 예문동양사상연구원 2008 오늘의 동양사상 Vol.- No.18

        과거는 시험을 통해서 관리, 나아가서는 지배층을 선발하는 방식으로 그 사람의 자질과 능력이 기준이 된다는 점에서 배경, 특히 혈통을 보고 관리를 등용하는 음서蔭敍와는 구별된다. 스스로 원해서 시험을 치른다는 점에서 다른 사람이 추천하는 천거薦擧와도 다른 차원의 그것이라 하겠다. 과거가 처음 실시된 것은 중국 수나라 문제文帝 7년(587)이다. 우리 나라에서는 고려 광종 9년(958) 때 중국의 귀화인 쌍기雙冀의 건의를 받아들여서 과거제가 도입되었다. 그로부터 고종 31년(1894) 갑오개혁으로 과거제도가 폐지될 때까지, 천여 년 동안 과거제는 한반도에서 대표적인 관리 선발 방식으로 기능했다고 하겠다. 고대 사회일수록 그 사람의 출신과 배경이 많이 작용하는 경향이 컸으며, 시대가 내려올수록 출신과 배경보다는 개인적인 능력이 중시되고, 또 판단의 기준이 된다고 할 수 있지 않을까 한다. 그런 측면에서 과거제가 갖는 일단의 진보성과 선진성을 살펴볼 수 있다. 동시에 과거제도에는 그 밝은 빛만큼이나 거기에 뒤따르는 어두운 그늘도 없지 않았다. 시험을 위한 공부, 학문의 경직성, 학문과 정치권력 사이의 가까움 등을 들 수 있겠다. 특히 조선 후기에는 붕당 간의 대립과 갈등이 깊이 얽히면서 능력을 바탕으로 한 인재등용이라는 애초의 목표와 기능을 벗어나기도 했다. 말하자면 과거제는 결점이 있지만 사회에 활력을 불어넣는 개방성을 지니고 있었으며 이것은 곧 왕조의 안정에 기여한 중요한 요인이었던 것이다. 오늘날 세상은 많이 달라졌지만 과거제는 우리 사회에 문화적 유산으로 여전히 남아 있는 듯하다. 빛과 그늘이란 양면성을 느낄 때가 없지 않다. 하지만 세계화 시대에 과거제는 역사 속의 추억 정도로 기억될 것이며, 전통사회처럼 공부와 학문이 곧바로 정치로 이어지지는 않을 것이다. 그럼에도 공부와 학문의 중요성은 이어져 갈 것이다. The State Examination, as a way of selection of high officials and state elites, is different from the EumSeo system, a family-based-selection system, in that individual's quality and capacity is an important criterion. And it differs from the CheonKeo system, a kind of recommendation in that the State Examination is a voluntary examination system. It was the seventh year(587) of MunJe of the Su dynasty that the State Examination had been practiced firstly in Chinese history. And it was introduced into Korea at the eighth year(958) of Kwang Jong by the recommendation of Ssang Gi, a Chinese official. From that time to the year of 1894, the Reformation of KapO, in other words, for about thousand years, the State Examination has been functioned as an important state elites selection system in Korea. The more we go to the ancient society, the more important an individual's family and background are. And the more we go to the modern society, the more important an individual's quality and capacity are. It can be said that it is a general tendency of history of development. In that point, no one can deny the progressive and rational aspects of the State Examination. But, at the same time, the State Examination also has had its shadows and the dark ness. For example, there had been a severe civil administration, the study for the examination, especially the study for the pass of examination, the Hell of examination, the simple tone of the study and learning, the nearness between the learning study and politics power, and so on. At the later part of Chosun Dynasty, the State Examination had been related with the severe conflicts and rivalries among political groups, and at last, had lost its original goal and function of fair selection of the state elites. Now, the State Examination had been a kind of cultural heritage in Korea. But sometimes we can feel and see the two aspects of the State Examination, namely its lights and shadows. In the age of globalization, the State Examination will be remembered as a remembrance of history, and the study and learning will not be related so easily with the politics and power as traditional society. Nevertheless the importance of the study and learning will be continu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