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말 지역 공동체 구성원의 역할 형평성 전통

        배영동(Bae, Young-Dong) 실천민속학회 2021 실천민속학연구 Vol.37 No.-

        한말(韓末)에 지역 공동체가 공동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모금을 할 때 구성원들 사이에 어떤 형평성이 어떻게 적용되었는지에 대해 세 사례를 통하여 살펴보았다. 첫째는 1895년 안동에서 을미의병 창의 시에 기금을 모을 때, 당시 창의소에서 향회(鄕會)를 열어 지역 내 여러 마을의 양반 문중과 서원에 모금액을 차등 분배한 사례이다. 마을별 문중 인구에 따른 절대적 형평성이 아니라, 지역사회의 구성원 향회에서 마을별 문중의 인구와 재력, 서원의 재력을 고려한 상대적 형평성을 적용하기로 합의한 것이다. 둘째는 1906년에 영주 순흥면 주민들이 성황당을 중건할 때 모금액을 순흥면 아전청과 아전방, 동중(洞中), 그리고 성황당이 중건되는 단산면 일대의 동중, 기타 문중과 개인 등이 성금을 낸 사례이다. 이 성금은 전적으로 주체별 합의에 따라 모은 것이 아니라 주체별 자기판단형 형평성에 기초한 상대적 형평성에 따라 모은 것이다. 셋째는 1900년 영해 향교에 강학소를 창건할 때 지역의 여러 양반 문중에서 다른 문중과 관계를 고려하여 문중별로 기부금을 낸 사례이다. 이 기부금도 지역의 여러 문중 분담금을 세 유형으로 등급화하는 상대적 형평성에 따른 것이며, 자기판단형 형평성이라기보다는 여러 문중 간 합의형 형평성을 적용한 것이다. 이를 보면, 20세기 초 지역 공동체의 형평성에는 몇 가지 유형이 있다. 첫째, 구성원들이 처한 조건 · 처지 · 상황이 동등하냐 동등하지 않느냐에 따라서 ‘절대적 형평성’과 ‘상대적 형평성’으로 나누어진다. 전자는 구성원들을 개별적으로 동등하다고 판단하는 형평성이며, 후자는 개별적 조건 · 처지 · 상황에 따라 구성원들을 차등하여 판단하는 형평성이다. 둘째, 공동체 구성원이 합의한 형평성인가 아니면 구성원 개개인이 판단해야 하는 형평성인가에 따라서 ‘구성원 합의형 형평성’과 ‘자기 판단형 형평성’으로 나누어진다. 공동체 구성원들의 형평성은 어떤 상황에서 무슨 일이나 행사를 공동으로 추진할 때 ‘더불어 하기 위한’ 혹은 ‘더불어 할 수 있는’ 기준이다. 이것은 공동체 구성원들이 처한 조건 · 처지 · 상황 등을 고려하여 상호 불편함을 줄이면서 양보할 것은 양보하고 배려할 것은 배려하는 가운데 공동의 목표를 실현하도록 하는 동력이자 전승지식이다. 즉, 공동체 구성원들의 형평성은 구성원 상호 간에 체면, 위신, 갈등을 조정하면서 더불어 살아가기 위한 사회 · 문화적 기준이다. This research aimed to investigate how and what type of equity was applied among local community members in the late Joseon period when the communities raised funds for common objectives at the time. In this study, three fund-raising cases-outlined below-were focused on. Firstly, fundraising was planned at the community meeting in Andong in 1985 in order to form the righteous army of Eulmi. According to the concept of relative equity, the population and wealth of each clan village and the wealth of seowon were considered for collecting money. Secondly, another type of relative equity was presented in the community of Sunheung-myeon, Yeongju in 1906. In this case, the community collected funds to rebuild the Seonangdang and villagers decided to make contributions according to their self-judgement of their own circumstances. This can be seen as self-judgement equity that was applied by the community members directly involved. The final case of equity shown in the local community appeared in Yeonghae in 1900. In order to establish the lecture hall at Yeonghae Hyanggyo, many clans of Yeonghae agreed to introduce three differential rates of donation. These fund-raising cases indicate that there were various types of equity that prevailed among the members of local communities in the early 20<SUP>th</SUP> century. Firstly, equity can be classified as relative equity and absolute equity, depending on how similar or different the conditions and circumstances of community members were. The former is equity that treated the whole community equally while the latter was applied by taking different circumstances and conditions of individual community members into account. Equity can also be categorized as member-agreement equity and self-judgement equity, based on whether the community reached agreements, or individual community members judged their own situations and made their own decisions. Equity was used as one of the criteria for doing together or being able to do together as community events were organized and carried out. Equity assumed a principal role in reducing mutual discomfort by taking into consideration the conditions and circumstances of individual community members. In addition, equity was the folk knowledge and the driving force for realizing common purposes as well as showing consideration for others in communities. Therefore, equity became a social and cultural standard for living together to save face, protect dignity, and perform balancing acts among community members.

      • KCI등재

        유아기 자녀 부모의 관계지향성과 공동체 의식 간의 관계: 유아교육기관 구성원에 대한 정(情)과 교육공동체 구성원의 범위 인식의 매개효과

        정계숙,손환희 한국생태유아교육학회 2021 생태유아교육연구 Vol.20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whether Jeong towards members of the educational community and recognition of the scope of members had a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relationship-orientation of parents with young children and the sense of community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For this, data were collected using a questionnaire measuring four variables from 258 parents of children aged 2-6 who live in three cities sending their children to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To analyze the data, correlation analysis using SPSS 21.0 and parallel mediating effect analysis using Hayes’ Process macro were performed. As a result of the study, first of all, there wa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parental relationship-orientation, Jeong towards members of the educational community, recognition of the scope of members, and sense of community. Next, parental relationship-orientation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sense of community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through each of the Jeong towards members of the educational community and recognition of the scope of members.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mediating effects of the two mediating variables, and the mediating effect for Jeong towards members was greater. Based on these results, at a time when there is a high demand for the realization of an early childhood education community, implications for the practical plan of the educational field to enhance parents' sense of community were discussed. 본 연구는 유아기 자녀를 둔 부모의 관계지향성과 공동체 의식 간의 관계에서 유아교육기관 구성원에 대한 정(情)과 교육공동체 구성원의 범위 인식이 매개효과가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유아교육기관에 자녀를 보내고 있는 3개 대·소도시에 거주하는 만 2-6세 유아의 부모 258명으로부터 4개 변인을 측정하는 설문지를 사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1.0으로 상관분석과 Process macro를 활용한 병렬적 매개효과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먼저, 부모의 관계지향성, 구성원에 대한 정, 교육공동체 구성원의 범위 인식 및 공동체 의식 간에는 모두 정적 상관이 있었다. 다음으로, 부모의 관계지향성은 구성원에 대한 정과 교육공동체 구성원의 범위 인식 각각을 매개로 하여 공동체 의식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으며, 두 매개 변인의 매개효과 간에는 유의한 차이가 있고 구성원에 대한 정의 매개효과가 더 컸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유아교육공동체 구현에 대한 요구가 높은 시점에 부모의 공동체 의식 증진을 위한 교육현장의 실천 방안에 대한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 KCI등재

        고교학점제의 안정적 정착을 위한 학교 구성원의 역할 분석

        박균열,주영효,이인수 고려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2019 敎育問題硏究 Vol.32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roles of principals, homeroom teachers, and parents for the stable settlement of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HSCS). For this purpose, this research reviewed the previous studies regarding both the HSCS and the role of school members for implementing the HSCS, and FGI was conducted with 15 participant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principal's roles are to relieve anxiety of students and parents for the HSCS, to establish trust relationships among school members, and to play an active role in activating a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y (PLC) for the HSCS; Second, the homeroom teachers’ role can be summarized as a student’s counselor and a learning consultant; and third, the parents’ roles can be categorized into communication with their children, participation in decision making, and the formation of collaborative relationships with school teachers. This study presented policy implications such as the principal’s leadership to change the perception of the HSCS and the implementation of principal job training to fulfill the role of facilitator. Also, the study presented formal or informal organizing of the PLC at the school level. 본 연구는 고교학점제의 안정적 정착을 위한 교장, 담임교사, 학부모의 역할 분석을 목적으로 하며, 이를 위해 고교학점제 및 고교학점제 정착을 위한 학교 구성원 역할 관련 선행 연구를 고찰한 후 고교학점제에 대한 학교 구성원의 고교학점제 이해 정도와 인식, 고교학점제가 안정적으로 정착되기 위한 학교 구성원의 역할을 중심으로 전국 시범학교 교장, 교사, 학부모 15명과 초점집단면담(FGI)을 실시하였다. Strauss와 Corbin의 질적 연구 분석 방법을 준용하여 분석한 주요 면담 결과를 정리하면, 교장의 경우 ① 고교학점제 인식 및 이해 제고를 위한 리더십 발휘, ② 학교 구성원 간 의사소통 경로 마련과 신뢰 관계 구축 역할, ③ 교육과정 전문성 및 수업 혁신을 위한 전문가학습공동체 활성화에서 적극적 역할 등으로 요약될 수 있으며, 담임교사 역할로는 ① 학생들의 상담가 역할, ② 교육과정 전문가로서 학습 컨설턴트 역할 수행 필요 등이 제시되었다. 학교교육 공동체의 일원으로서 학부모의 역할로는 ① 자녀와의 소통을 통한 자녀교육 책임 및 교육과정 이수에 대한 책임감 강화, ② 고교학점제 인식 제고 및 불신 해소 등으로 범주화 할 수 있다. 이상의 분석 결과에 기초하여 본 연구는 학교 구성원의 고교학점제 인식 전환과 적극적 참여 여건 조성을 위한 교장의 리더십 발휘, 학교 구성원 간 신뢰관계 구축과 활성화의 촉진자 역할 수행을 위한 교장 직무연수 시행, 학교 단위의 전문가학습공동체의 공식조직화 또는 비공식조직화 등을 정책적 시사점으로 제시하였다.

      • KCI등재

        공립병설유치원 교육공동체 구성원들의 숲유치원설립․운영에 대한 인식변화 및 협력체제에 관한 연구

        허자 한국생태유아교육학회 2013 생태유아교육연구 Vol.12 No.3

        This study examines an education community's decision to make changes to the management of its forest-kindergarten program; specifically, it discusses the modifications required to nurture a more cooperative system. To achieve this, two forests were selected: a large forest operated by the Korean Forest Service and a small forest operated by Suback Elementary School and funded by the community. The process was approached from a cultural interpretational background. The results revealed that, first, the school’s kindergarten teachers were happy with the children’s changes and that the educational community trusted their beliefs. By training members of the community, teachers developed greater interest in forest-related education and continuously searched for new activities. In parallel, parents were satisfied that the children appreciated their education and that it was a cooperative endeavor. The county department of education acknowledged that the forest-kindergarten was a success, largely due to assistance from parents and the community. 본 연구는 공립병설유치원에서 숲유치원을 설립 운영하는 과정에서 나타난 교육공동체 구성원들의 교육 전반에 대한 인식 변화와 협력체제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본 연구는 강원도 횡성군 농촌 마을에 위치한 S초등학교 병설유치원 한 학급의 담임교사가 만 3-5세 원아 8명과 함께 2012년 1학기 동안의 숲유치원 설립 준비 과정을 거쳐 북부지방산림청 관할의 ‘큰숲’과 유치원 근처 마을숲을 아이들이 활용할 수 있도록 학부모들이 만들어준 ‘작은숲’에서 2012년 3월부터 2013년 2월까지 숲유치원 활동을 한 결과이다. 병설유치원 담임교사인 본 연구자는 그 과정 전체를 문화해설적으로 연구하였으며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교육공동체 구성원들의 숲유치원 설립 운영 전반에 대한 인식 변화 측면의 경우, 유치원 교원들은 담임교사의 신념을 믿고 운영한 교육공동체 구성원들과 유아들의 변화를 통해 보람과 행복감을 느꼈으며, 초등교원들은 유치원의 꾸준한 활동을 보며 숲 관련 교육에 관심이 더욱 높아졌다. 또한 학부모들은 아이들의 몸과 마음의 건강, 생기와 활기 넘친 생활, 또래관계와 창의적 표현력 등의 긍정적 변화에 매우 만족하였으며, 교육청 관계자들은 부모들의 적극적 참여와 협력으로 이루어진 숲유치원 교육을 통해 농촌지역 병설유치원의 숲생태교육 효과와 원아 모집의 성공 사례에 깊은 감동을 받은 것으로 밝혀졌다. 둘째, 숲유치원 설립 운영에서의 구성원들간의 협력체제 구축을 통해, 유치원 교원들은 사명감을 가지고 숲유치원 발전을 도모하고, 초등교원들은 숲유치원과 연계된 다양한 활동에 관심이 높아졌다. 학부모들은 지속적인 지원을 위한 숲유치원 자문위원단을 결성하였다. 공립형 숲유치원 설립 운영에 관한 본 연구는 지역의 홍보체계와 교육청의 지원으로 누리과정과 연계한 일반화 가능성을 보게 됨으로써 공립형 숲유치원의 새로운 모형과 활성화에 많은 가능성과 시사점을 주고 있다.

      • KCI등재

        공동체 · 대인 관계 역량 함양을 위한 문법교육의 내용 탐색 -‘언어 다양성 존중’을 중심으로-

        강보선(Kang, Bo-sun) 우리말글학회 2020 우리말 글 Vol.84 No.-

        본 연구는 공동체 · 대인 관계 역량을 함양하기 위한 문법교육 내용을 ‘언어 다양성 존중’을 중심으로 탐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2장에서는 공동체 · 대인 관계 역량 함양 교육의 필요성 및 교육 실태를 살펴보고, 언어 다양성 존중 교육의 의의와 의미를 살펴보았다. 그리고 3장에서는 역대 문법 교육과정에서 언어 다양성 존중과 관련된 내용이 어떻게 다루어져 왔는지를 공동체 · 대인 관계 역량의 관점에서 비판적으로 분석하였다. 이를 토대로 4장에서는 공동체 · 대인 관계 역량 함양을 위한 언어 다양성 존중 교육 내용을 지식, 기능, 태도의 측면에서 탐색해 보았다. 그 결과, 한국어 변이형에 대한 올바른 인식과 다문화 구성원의 ‘언어권리’에 대한 이해(지식), 언어 갈등 및 사회적 불이익의 문제 파악과 해결 방안 모색(기능), 언어 다양성을 인정하고 배려하는 태도 형성(태도)을 교육 내용으로 선정하였다. This study explored the content of grammar education for cultivating the social · interpersonal competency focusing on ‘respect for linguistic diversity’. In chapter 2, we examined the necessity and status of grammar education for cultivating social · interpersonal competency, and found that educational significance and scope of respect of linguistic diversity. In chapter 3, we critically analyzed how contents related to ‘respect for linguistic diversity’ have been dealt with in the past grammar curriculum from the perspective of cultivating the social · interpersonal competency. Based on this, in chapter 4, we explored the contents of respect for linguistic diversity education for cultivating the social · interpersonal competency in terms of knowledge, function, and attitudes. Specifically, correct recognition of Korean language variants, understanding of language rights of multicultural members(knowledge), identify and resolve problems of linguistic conflicts and social disadvantages related to linguistic diversity (function), and form an attitude that recognizes and considers linguistic diversity(attitude) is possible with the contents of education.

      • KCI등재

        교육공동체의 실현을 위한 법적 고찰 - 교권보호를 중심으로 -

        김수홍 한국공법학회 2016 공법연구 Vol.45 No.1

        The country is constantly pushing for educational reforms to realize the education community so that we can get over the current crisis of education. Still, you can see a variety of conflicts and confrontations among the community members. In fact, the infringement on teachers’ authority in the classroom got so bad that the government has tried to amend laws to protect teachers’ rights. However, I’m not sure if it will work since there are lots of issues to be overcome with the revised laws yet. To begin with, there are no specific regulations on the definition and the scope of the teachers’ authority. Next, there are no clear rules about educational freedom of teachers, temporary teachers’ status and master teachers’ positions, which can help teachers get more professional. Plus, they care more about patching things up afterwards than they do about taking precautions against the infringement of teachers’ rights. They also lack specific provisions regulating criteria, step-by-step measures and legal limitations in case of violations of teachers’ authority. Besides, the rights and the obligations among the members come into conflict and competition with one another in separate ordinances. Therefore, we need to make improvements to practically guarantee teachers’ rights in harmony with the education community as follows. In the first place, we need to establish the definition and the scope of the teachers’ authority clearly. Next, we need to improve education environment for teachers to become more professional and responsible. In addition, we need to strengthen systematic prevention education, such as human rights education. Also, we have to tighten legal sanctions against the infringement of the teachers’ rights and to make a better dispute resolution system. Lastly, we need to enact an ordinance on the education community in which the rights and the responsibilities of its members are in harmony. 최근 우리 사회는 교육의 위기를 극복하기 위한 대안으로서 교육공동체의 실현을 위한 개혁을 지속적으로 추진하고 있다. 그러나 여전히 교육공동체 구성원 간에 다양한 대립과 갈등이 나타나고 있는데, 특히 교원에 대한 교권침해가 심각한 수준에 이르자 교권보호 관련 법령의 개정이 이뤄지고 있다. 그러나 교권의 정의와 범위에 대해 명확한 규정이 없는 점, 교원의 교육의 자유와 기간제 교사의 신분, 수석교사의 직위 등 교원의 전문성을 향상하는 구체적인 규정이 미흡한 점, 교권침해 예방조치 보다 교권침해 사후조치에 초점이 맞춰진 점, 교권침해의 판단기준과 단계별 조치, 법적 제재 등에 대한 구체적인 규정이 미흡한 점, 개별 조례에서 구성원 간 권리와 의무가 경합하거나 충돌하는 양상을 띠는 점 등으로 인해 그 실효성이 의문시되고 있다. 따라서 교육공동체 속에서 교권의 보장을 실질적으로 구현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법적 개선이 필요하다. 첫째, 교권의 정의와 범위의 정립, 둘째, 교원의 전문성 제고와 책무성 강화를 위한 여건 마련, 셋째, 인권교육 등 체계적인 사전 예방 교육 강화, 넷째, 교권침해에 대한 법적 제재 강화와 분쟁해결 제도 개선, 다섯째, 교육공동체 구성원의 권리와 의무가 조화를 이루는 교육공동체 관련 조례의 제정 등이다.

      • KCI등재

        대학원 ‘학습공동체’ 경험 탐색

        김가윤(Kim Ga-yun),이미숙(Lee Mi-suk),최연철(Choi Younchul) 한국교원대학교 유아교육연구소 2019 한국유아교육연구 Vol.21 No.2

        본 연구에서는 대학원 학생들이 학습공동체에서 어떠한 경험을 했는지 탐색하였다. 대학원 학습공동체는 2018년 7월 13일부터 2019년 2월 25일까지 총 30회의 학습모임을 가졌다. 대학원생과 지도교수로 구성된 7인은 선정한 주제에 따라 발표와 질의를 통해 학습한 내용을 자유롭게 공유해갔다. 연구자들은 학습모임에서 발표문서와 질문목록, 토론내용과 면담내용을 녹음한 후 전사하였고, 수집한 자료는 범주화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대학원 학습공동체 구성원들은 학습을 ‘실천’하며 배움에 대해 알게 되었다. 놀이중심 교육과정에 대한 탐구를 통해 학습의 ‘즐거움’을 경험하였고, 학습에는 지속적인 ‘노력’이 필요하다는 것을 체험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대학원 학습공동체와 같이 다른 전문가 집단에서도 실천 가능한 모델로서의 새로운 학습공동체 문화가 더욱 확산되기를 기대한다. This study explores the experiences of graduate students in a learning community. The graduate learning community had a total of 30 learning sessions from July 13 to February 25, 2019. Seven members including graduate students and an advisor shared their ideas freely and asked questions according to selected topics. The documents, question lists, discussions and interviews that were presented in the study group were recorded and transcribed. The collected data were categorized and analyzed.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members of the learning community learned what ‘learning’ really means as they practiced what they learned. Second, they had experienced the ‘pleasure’ of learning through exploring play-centered curriculum, and they became aware of that continuous learning is essential. Thus study implies that the graduate learning community can be a good model for new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ies.

      • KCI등재

        광진구민 공동체 의식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연구

        구혜영 한국NGO학회 2022 NGO연구 Vol.17 No.1

        본 연구의 목적은 광진구에 거주하는 주민들의 공동체 의식이 지역주민의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관계를 연구하는 데 있다. 삶의 만족도를 생활만족도, 정서만족도, 자아만족도로 구분하여 검토해봄으로써 좀 더 종합적 차원의 삶의 만족도를 향상할 수 있는 실천적 함의를 분석적으로 제시하는 데 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광진구의 15개 동의 주민들이 주로 이용하는 3개 복지관의 서비스대상자를 중심으로 2개월(2020년 5월~6월) 동안 설문 조사하여 753명이 응답한 결과에 대해 회귀분석 통계방법을 진행하였다. 분석결과 구성원의식, 상호작용의식, 공익추구의식의 독립변수 모두 지역주민의 삶의 만족도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종속변수 하위요소들과의 관계에서, 생활만족에서는 구성원의식만 정적인 영향관계를 보였고, 정서만족에서는 구성원의식, 상호작용의식, 공익추구의식과 정적인 관계를 보였으며, 자아만족에서도 구성원의식, 상호작용의식, 공익추구의식과 정적인 관계를 보였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지역사회에서 지역주민들의 삶의 만족도를 높이기 위해 지역공동체 의식(구성원의식, 상호작용의식, 공익추구의식)을 증대시킬 수 있는 프로그램 및 주민관리기법, 효과적인 지역공동체 활동 지원방법 등을 대안으로 제시하였다.

      • KCI등재

        S지역주민의 공동체의식 영향요인 연구

        구혜영 한양대학교 제3섹터연구소 2022 시민사회와 NGO Vol.20 No.1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social relationships, participation in social activities and other relevant factors which might affect community consciousness of the S area residents in an integrated way. The community consciousness was classified into member consciousness, interaction consciousness, public interest consciousness as to acquire precise understanding and find practical implication for developing community consciousness. To achieve this goal, 600 of the residents in the S area were surveyed for 2 month(Feb.-Mar., 2019) and 600 of their answers were analyzed based on regression model. The results are as follows. It appeared that social relationships(+), participation in social activities(+) had significantly influenced on the community consciousness in S area residents. In detail, social relationships(+), participation in social activities(+) had significantly influenced on the member consciousness, social relationships(+), participation in social activities(+) had significantly influenced on the interaction consciousness, social relationships(+) had significantly influenced on the public interest consciousness of the S area residents. On a basis of these results, guided and assisted in order to develop the community consciousness by increasing social relationships’ programs and participation in social activities. 본 연구의 목적은 서울시 S지역에서 사는 지역주민의 사회관계, 사회활동참여 수준이 공동체의식에 미치는 영향관계를 연구하는 데 있다. 또한 공동체의식을 구성원의식, 상호작용의식, 공익추구의식으로 나누어 살펴봄으로써 좀 더 종합적인 차원에서 공동체의식을 향상할 수 있는 실천적 함의를 심도 있게 제시하는 데 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서울시 S지역(6개 동) 주민을 대상으로 2개월(2019년 2월-3월)동안 설문조사하고, 설문에 응답한 600명의 결과에 대해 회귀분석 통계방법을 진행하였다. 분석결과, S지역주민의 사회관계와 사회활동참여 수준이 공동체의식과 정적인 영향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종속변수들과 하위요소와의 영향관계를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사회관계와 사회활동참여는 구성원의식과의 관계에서 정적인 영향관계를 보였고, 사회관계와 사회활동참여는 상호작용의식에도 정적인 영향관계를 보였다. 반면 공익추구의식에서는 사회관계만 정적인 영향관계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지역사회 주민들의 공동체의식을 높일 수 있도록 주민들의 사회관계를 증진할 수 있는 프로그램과 사회활동에 참여할 수 있는 다양한 사업들을 대안으로 제시하였다.

      • KCI등재

        호텔조리 종사원이 지각하는 상사의 서번트리더십이 고객지향성에 미치는 영향: 조직몰입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노수정 ( Soo Jung Rho ),박영배 ( Young Bae Park ),최원호 ( Won Ho Choi ) 대한관광경영학회 2015 觀光硏究 Vol.30 No.7

        본 연구는 상사가 솔선수범하여 보여주는 행동모델이 조리 종사원들을 위한 내적·외적 환경을 조성하며, 이를 통해 조리사가 그 조직에서 동질감을 가지며, 업무에서 능률적인 몰입 및 내부 및 외부 고객을 향한 섬김의 자세에 대한 분석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이러한점에 주목하여 본 연구에서는 조리 종사원의 조직관리를 향상시킬 수 있는 원인변수인 서번트 리더십에는 어떤 요인으로 구성되어있는지 살펴보았다. 또한, 이러한 시도는 조리 종사원의 인적자원관리에 있어 중요한 의의를 지니고 있으며, 특히 새로운 인적자원 관리방안이 절실히 필요한 시점에서 기존의 연구와는 차별화 된 서번트 리더십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서번트리더십의 비전 제시, 공동체 형성, 구성원성장, 청지기 의식은 조직몰입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조직몰입은 고객지향성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비전 제시, 공동체 형성, 구성원 성장, 청지기 의식은 고객지향성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조직몰입의 매개효과 결과를 보면, 서번트리더십과 고객지향성 사이의 간의 관계에 있어, 조직몰입은 부분매개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서번트리더십의 비전 제시, 공동체 형성, 구성원 성장, 청지기 의식은 조직몰입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조직몰입은 고객지향성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비전 제시, 공동체 형성, 구성원 성장, 청지기 의식은 고객지향성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조직몰입의 매개효과 결과를 보면, 서번트리더십과 고객 지향성간의 관계에 있어, 조직몰입은 부분매개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servant leadership on organization Commitment and customer orientation. To achieve the objective of this study, the hypothesis and research model was formed with reference to the preceding studies and literature, and such hypothesis was validated by empirical analysis. The data was collected from 246 chefs in Hotel which were located in Seoul. Then it was analyzed by using a SPSS WIN 12.0 version of software package and used for the analysis such as frequency analysis, factor analysis and multi-regression. The servant leadership(vision, community building, commitment to growth, stewardship) has been conceptually and empirically demonstrated to be related to commitment, customer orientation. Furthermore, Also, organization commitment, acted as a part mediator between servant leadership and organization commitment. The higher the servant leadership that the perception of employees, it was confirmed that the higher the organizational commitment of employe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