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마음수련 명상이 대학생의 마음챙김과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효과

        이인수,최은숙,유양경 한국웰니스학회 2017 한국웰니스학회지 Vol.12 No.4

        Recently in Korea, an increased number of college students seemed to be in midst of self-identify confusion and social frustr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Finding true self meditation on mindfulness and psychological well-being of college students. During a second semester of 2015 academic year, a total of 72 sophomore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paramedics, from two public universities of equitable size, were recruited (control group n=34; experimental group n=38). Any changes in mindfulness and psychological wellbeing scores were measured after attending a Finding true self meditation program. A total of 24 sessions were given three times a week for 8 weeks with each meditation session lasting about 50 minutes (totaling approximately 20 hours). IBM SPSS statistics 24.0 was used for ANCOVA data analysis to examine the effect of meditation. As a result of the study, it was confirmed that the Finding true self meditation program increased the level of mindfulness of paramedic college students but did not have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rovements in their psychological wellbeing. In conclusion, utilization of this meditation program can be very valuable for college students whether given in diverse curricular or extra-curricular settings. Since colleges must go beyond simply enhancing knowledge, such meditation program can be helpful in providing practical assistance in gaining stability and establishing of appropriate inner values for college students. 최근 우리나라 대학생들은 자아정체감의 혼란과 심각한 사회적 좌절감 속에 노출되어 있다. 이에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마음수련 명상 프로그램을 적용하여 이들의 마음챙김과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는 것이다. 2015학년도 2학기에 유사한 규모의 지방소재 국립대학교 응급구조학과 2학년 학생 72명(A대학교 실험군 38명, B대학교 대조군 34명)을 연구 대상으로 하였다. 8주간 주당 3회 총 24회기, 1회당 50분 총 20시간 마음수련 명상 프로그램을 적용한 후 마음챙김과 심리적 안녕감의 변화를 측정하였다. 마음수련 명상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IBM SPSS statistics 24.0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사전값을 공변량으로 처리하여 ANCOVA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마음수련 명상 프로그램은 응급구조학과 대학생들의 마음챙김 수준을 증가시켰으며,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대학교의 역할은 단순히 지식을 쌓는데 그치는 것이 아니라 대학생들이 현재는 물론 미래를 살아가는데 필요한 안정되고 올바른 가치관의 정립에 실질적인 도움을 줄 수 있어야 하므로, 이러한 명상 프로그램을 교과과정 또는 비교과과정 등 다양한 방법을 통해 제공한다면 매우 가치 있는 일이 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후보

        응급구조학과 학생들의 안락사에 관한 주관성 연구

        이인수,오진환 한국주관성연구학회 2008 주관성연구 Vol.- No.17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lassify subjective structure of euthanasia in dying patients on EMT students’ view for shaping a policy and educating about euthanasia. A Q-methodological approach which provides a way of analyzing the subjectivity of each item was used. Q population was performed in this research through literature review and interview. From this, a final Q sample of 35 statements was obtained. The P sample sorted the Q sample for euthanasia.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using PC QUANL program. Results revealed three distinctive types of euthanasia about EMT students. Type 1 is a reasonable accept type, type 2 is a support and prolongation of life type. And type 3 is a respect of assert rights type. Conclusion: It is needed to establish the legal, systematic guarantee and systematic hospice system. Also, it is recommended about education of EMT students based on the three types of euthanasia.

      • SCOPUSKCI등재

        양성 신경화증을 동반한 원발성 알도스테론증 1예

        이인수,문창훈,김경진,김의경,석윤철,이중건 대한내분비학회 1989 Endocrinology and metabolism Vol.4 No.1

        Primary aldosteronism is a syndrome result from the autonomous or relatively autonomous secretion of aldosterone. Primary aldosteroism probably accounts for 0.5%~1.0% of the hypertensive population, making it a fairly uncommon cause of high blood pressure. A Case of primary aldosteronism is presented with some literatural review. We report a case of primary aldosteroism due to adrenal cortical adenoma, which was diagnosed by clinical data and abdominal computed tomographic scan. This case of primary aldosteroism complicated with nephrosclerosis due to hypertension. Clinical symptoms and laboratory data returned to subnormal except BUN, Creatinine after surgical adrenalectomy. (J Kor Soc Endocrinol 4:59-65, 1989)

      • KCI등재

        한국인 공황장애 환자에서 Citalopram 6개월 유지요법의 효과:전향적, 다기관, 개방 연구

        이인수,양종철,최영희,김정범,이상열,이승환,오강섭,유희 대한정신약물학회 2006 대한정신약물학회지 Vol.17 No.2

        Objective: The authors examined the efficacy of citalopram, and its effect on the quality of life in patients with panic disorder Methods: Seventy three patients who had panic disorder were recruited for this study. They did not have major depression and other axis I diseases. They were scheduled to be examined 4 times (at baseline, 4, 12 and 24 weeks) and took citalopram for 24 weeks with a flexible dosing schedule. The primary efficacy variables were the response and remission rates (response: HAMA total score decreased by at least 50% from baseline; remission: HAMA total score ≤ 7). Other variables included the Hamilton Rating Scale for Depression, Panic Disorder Severity Scale (PDSS), Acute Panic Inventory, Clinical Global Impression Scale and Sheehan Disabilities Scale (SDS). Results: The number of patients who completed 24 weeks of treatment was 33 (45.2%). Forty patients who were dropped out consisted of 4 patients with symptom improvement and 36 patients with failure to return. Response/remission rates were 56.2/31.5% in the last-observation-carried-forward methods and 87.9/69.7% in the observed case data. Treatment with citalopram improved anxiety and depressive symptoms during 24 weeks on all efficacy measures. By a completed patient analysis, citalopram also significantly improved the disability scores on SDS. In this study, any serious adverse effects were not observed. Conclusion: Treatment with citalopram was effective and well-tolerated for the patients with panic disorder, and also improved quality of life in the patients. 연구목적: 한국인 공황장애 환자에서 Citalopram의 임상적 효과와 삶의 질 개선 및 안전성을 조사하기 위해 전향적 다기관 개방연구를 시행하였다. 방법: DSM-Ⅳ 진단 기준에 의거하여 주요우울증 및 기타 정신장애에 합당하지 않으며 공황장애로 진단되고 연구에 동의한 73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Citalopram 용량은 임상증상 및 부작용의 출현 정도에 맞추어 융통성 있게 조정하도록 하였다. 연구에 참여한 환자들은 24주간 총 4회 방문하여 치료 효과(HAMA, HAMD, PDSS, API, CGI, SDS)와 안전성에 대해서 평가되었다. 결과: 총 피험자 중 33명(45.2%)이 24주간의 연구를 완결하였고, 40명(54.8%)이 중도 탈락하였다. 일차적 변인인 HAMA를 이용한 반응/관해율은 LOCF 자료를 이용했을 때 56.2/31.5%였고, observed case 분석을 했을 때 87.9/69.7%였다. 또한, Citalporam투여 1개월 후부터 유의한 감소를 보인 임상 증상(HAMA, HAMD, PDSS, API, CGI)은 이후에도 지속적인 감소를 보였다. SDS로 측정한 환자의 장애 정도나 삶의 질도 기준점에 비해 유의한 호전을 보였다. 약물 중단의 주요한 이유가 될 정도의 심각한 이상 반응은 나타나지 않았다. 결론: Citalpram은 한국인 공황장애 환자의 불안증상과 삶의 질의 개선을 위해 효과적이며 안전한약물로 평가되었다.

      • KCI등재

        캐나다 온타리오州 오두막團地에서의 노년기 주거환경과 일상생활에 관한 고찰

        이인수 한국주거환경학회 2019 주거환경(한국주거환경학회논문집) Vol.17 No.3

        This study is to explore senior housing environment and daily lives in the cottage cluster in rural counties of Canada, and five senior zoned cottage clusters of Ontario State were investigated and elderly residents and service workers were asked about motive elements and the elderly residents' lives. The older cottage dwellers feel emotional comfort, experience business opportunities, and expand their social integration. The cottage lives are also occasionally negatively influenced by unbalanced concentrations of nursing centers and funeral homes, and their social integrations are occasionally disrupted by too much attentions and service programs toward the elderly convenience. It is proposed that nationwide survey cooperation system among governmental agencies need to be formed in integrated long term master plans for establishing traditional rural town with independent housing districts. Finally, the integrated cooperative works need to be done in order to predict suitable locations for senior zones, and a few model towns need to be initiated as a measure of evaluating cottage senior life adaptation process. 본 연구에서는 2017-2018 기간 동안 노인인구비율이 현저히 높은 캐나다 온타리오州 농촌지역에 조성된 오두막단지(cottage cluster)에 거주하는 65세 이상 남녀노인과 지역사회 노인복지전문가를 대상으로 저비용 소형 주거공간인 오두막에서 거주하게 된 구체적인 배경과 노년기 오두막 생활의 장단점을 조사하였다. 노인이 밀집한 소도시에 인접하고 온대성 기후에서의 안정된 정서, 교통의 요지에서의 생업활동, 또래노인과의 교류를 통한 활력추구를 통해 생산 활동과 다양한 교류가 특성화되는 긍정적 현상이 고찰되었다. 반면, 휴양지 중심의 지역이기에 특별한 취미가 없으면 매우 무료하고 특히 겨울에는 너무 단조롭고 고립된 생활이 지속되는 것이 단점으로 나타나고 있다. 한국에 대한 반영을 위하여, 우리나라 초고령 농촌지역을 중심으로 여성가족부, 지자체, 농림부 등 다양한 기관과 프로그램 들이 서로 공조를 이루어, 농촌지역 노인들이 보다 나은 생활기반이 있는 조립식 소형 주거단지 조성이 제안되었다. 특히 이러한 소형 주거공간으로 이주 군집하여 경험과 기술을 활용한 고부가 가치 생산 활동에 참여하며 사회적 통합을 위해 다양한 계층과 연령대가 조화를 이루며 지역 특성에 맞는 활동프로그램과 노인복지서비스 기반조성, 그리고 시범마을 조성사업을 통한 범국민적 공감대 형성 등 한국의 현실을 반영한 다양한 협동 인프라 구축이 제안되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