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공화정기 로마군의 공성전 포기 사례 분석

        배은숙 ( Eun-suk Bae ) 경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22 人文論叢 Vol.58 No.-

        본 연구는 공화정기 로마가 공성전을 포기한 사례와 그 이유를 분석한 것이다. 공화정기 총 167번의 공성전을 분석한 결과 로마군이 공성을 포기한 전투는 28번이었다. 공성 포기 이유를 분석하면 공성 장비나 병사들의 상황이 여의치 않았던 것, 즉 로마군에게 문제가 있는 때도 있었다. 또 방어군이 로마군의 공성 장비를 불태우면서 저항하거나 로마군에게 검으로, 야생 동물로 대응하여 로마군이 공성을 포기하는 때도 있었다. 로마는 단순히 포위망을 구축하고 기다리는 전술이 아니라 직접 공격하는 전술을 선호했다. 로마군이 도시나 요새에 돌입하다 보면 방어군은 생존을 위해 대응할 수밖에 없었고, 방어군의 강력한 저항은 로마군의 공성 포기로 이어졌다. 공성을 포기한 사례들을 분석한 결과 로마군의 공격적인 성향은 방어군의 강력한 저항에 부딪히고, 이는 공격하는 측이 공성전을 지속하기 어려운 상황으로 이어졌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로마군과 방어군의 치열한 공성전은 항복이나 공성 포기라는 결론으로 이어질 수 있었다. This study analyzes the cases of republican Rome giving up the siege and the reasons for it. Scholars argued that there was no case of the Roman army giving up siege because of its strong aggressive tendencies. However, after analyzing a total of 167 sieges during the republican period, there were 28 cases where the Romans gave up sieges. Analyzing the reasons for abandoning the siege, there were times when there was a problem with the lack of siege equipment or the situation of the soldiers, that is, there was a problem with the Roman army. There were also times when the defensive force resisted by burning the Roman siege equipment, or gave up by responding to the Romans with swords and wild animals. In other words, the siege was abandoned when the resistance of the defensive force was not enough. Rome preferred a strategy of direct attack rather than simply building a encirclement net and waiting. As the Roman army aggressively entered the city or fortress of the defensive force, the latter had no choice but to respond for survival. The strong resistance of the the defensive force led to the abandonment of the siege. Scholars argued that the Romans never gave up siege because of their aggressive tendencies. However, it was not without the abandonment of the siege because the Roman army had an aggressive tendencies. Because the Roman army showed aggressive tendencies, more than half of them gave up the siege due to strong resistance from the the defensive force. Therefore, it can be said that there is a close relationship between the offensive tendency of the Roman army and the abandonment of the siege.

      • KCI등재

        연구논문(硏究論文) : 공(空)선하증권의 효력

        최종현 ( Jong Hyeon Choi ) 한국해법학회 2007 韓國海法學會誌 Vol.29 No.1

        1991년에 개정되기 전의 우리 구 상법은 선하증권의 채권적 효력에 관하여 화물상환증에 관한 상법 제131조를 준용하고 있었다. 상법 제131조는 ``화물상환증의 문언증권성``이라는 표제 하에 "화물상환증을 작성한 경우에는 운송에 관한 사항은 운송인과 소지인간에 있어서는 화물상환증에 기재된 바에 의한다"고 규정하고 있는데, 구 상법시대에는 위 규정상 空선하증권이 유효인지 무효인지의 여부에 관하여 학설이 요인증권성을 중시하여 무효로 보는 견해와 문언증권성을 중시하여 유효로 보는 견해, 그리고 절충적 견해로 나뉘어 있었다. 한편 대법원 판례는 요인증권성을 중시하는 견해에 따라 空선하증권이 무효라는 입장을 취하고 있었다. 그런 데 1991년에 해상법이 개정되면서 선하증권의 채권적 효력에 관하여 상법 제131조의 준용규정이 폐지되고 제814조의 2가 신설되었다. 현행 상법 제814조의 2는 본문에서 선하증권 기재의 추정적 효력을 규정하고 있으며 단서에서 운송인은 선의의 제3취득자에 대하여는 반대의 증거를 들어 선하증권의 기재가 사실과 다르다는 주장을 할 수 없다고 규정하고 있다. 이처럼 현행 상법이 선하증권 기재의 효력에 관하여 새로운 규정을 신설하였기 때문에 空선하증권의 효력에 관한 구 상법 시대의 학설들 및 판례가 현행 상법 하에서도 타당한지의 여부가 중요한 문제로 대두되었다. 선하증권의 기재의 효력에 관한 현행 상법의 위 규정은 헤이그 비스비 규칙을 따른 것이다. 한편 선하증권 기재의 효력에 관한 헤이그 비스비 규칙의 규정은 영국 보통법에서 기원하였는데, 영국은 헤이그 비스비 규칙을 수용하여 1971년 Carriage of Goods by Sea Act를 제정하였다. 그러므로 현행 상법상의 선하증권 기재의 효력에 관한 규정 하에서 空선하증권이 유효인지의 여부에 관하여는 헤이그 비스비 규칙에 관한 영국법상의 해석이 참고가 될 수 있다. 또한 일본도 헤이그 비스비 규칙을 수용하여 국제해상물품운송법의 규정을 개정하였으므로 일본 현행 국제해상물품운송법상의 空선하증권의 효력에 관한 논의도 우리 현행 상법의 해석에 참고가 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점에서 空선하증권의 효력에 관한 영국과 일본의 입장을 살펴보자면, 영국과 일본에서는 일반적으로 운송인이 선의의 제3취득자에 대한 관계에서 空선하증권이 무효임을 주장하지 못하고 선하증권에 기재된 대로 채무불이행책임을 부담하는 것으로 해석되고 있다. 다만 선의의 제3취득자가 空선하증권의 무효를 주장하는 것은 무방하다고 한다. 이러한 해석은 空선하증권의 효력에 관한 우리 현행 상법의 해석으로도 타당하다고 생각된다. 따라서 空선하증권의 효력을 둘러싸고 발생하였던 구 상법 시대의 학설 대립은 의미가 없게 되었으며 구 상법 시대의 판례도 현행 상법 하에서는 타당하지 않게 되었다. 그런데 최근에 空선하증권의 효력이 문제된 사안에서 대법원은 선하증권이 요인증권이므로 空선하증권은 무효라고 판시하였다. 이러한 대법원의 설시는 空선하증권이 무효라고 판시한 구 상법 시대의 대법원 판결의 설시와 대동소이하다. 이 사안은 선의의 소지인이 운송인을 상대로 채무불이행책임을 묻지 아니하고 空선하증권이 무효임을 전제로 하여 불법행위책임을 청구한 사안이므로 대법원이 空선하증권이 무효라고 판시한 것 자체는 잘못된 것이 아니다. 그러나 대법원이 현행 상법에서 신설 Before the Korean Commercial Code ("KCC") was amended in 1991, it provided, like the Japanese Commercial Code, that Article 131, which is the provision for the contractual effect of a bill of lading in an inland transportation of goods, shall be applied to a bill of lading in a carriage of goods by sea mutatis mutandis. Article 131 of the KCC provides, under the title, "Literal Nature of a Bill of Lading", that when a bill of lading was issued, the matters relating to transportation shall be determined, between the carrier and the holder, by virtue of the statements made in the bill of lading." There were split of opinions, like in Japan, regarding the meaning of the above provision and the validity of a bill of lading issued without receipt or shipment of cargo, such as the view in favour of the literal nature of a bill of lading, the view in favour of the causal nature of a bill of lading, and the view that is in the middle of the above two views. The Korean Supreme Court took the second view and held that such a bill of lading is null and void. In 1991, the KCC was amended so that Article 814-2 was created in order to replace Article 131 in respect of a bill of lading for carriage of goods by sea. Article 814-2 of the amended KCC provides in the main text that the statements in a bill of lading have the presumptive effect (i.e., they become prima facie evidence), while, in the proviso, the same article provides that a carrier cannot assert upon a matter different from the statements in a bill of lading against a third party who obtained the bill of lading in good faith. Therefore, the diverse views regarding the validity of a bill of lading issued without receipt or shipment of a bill of lading which existed under the old KCC are not valid any longer. In addition, the Korean Supreme Court precedent under the old KCC is not valid under the amended KCC. The provision of the amended KCC adopted the principle of the Hague Visby Rules. Therefore, the amended KCC shall be interpreted in conjunction with the interpretation of the Hague Visby Rules and their ancestor, English law. Further, Japan acceded to the Hague Visby Rules and amended the Japanese Carriage of Goods by Sea Act ("Japanese COGSA"). The interpretation of the amended Japanese COGSA may be referred to for the interpretation of the amended KCC. In the U.K. and Japan, it is accepted as a prevailing view that a carrier may not argue, vis a vis a bona fide third party, that a bill of lading issued without receipt or shipment of cargo is not valid and thus is liable to the above holder as stated in the bill of lading. The writer believes that the above interpretation in the U.K. and Japan is also valid for the interpretation of the amended KCC. On the other hand, recently, the Korean Supreme Court held that a bill of lading issued without receipt or shipment of cargo is null and void. In the above case, the bona fide holder pursued a tort liability, rather than a contractual liability, against a carrier, which implies that the bona fide holder accepted that the bill of lading is void. Thus, the above Korean Supreme Court`s ruling that the above bill of lading was null and void is not wrong of itself. However, the Korean Supreme Court, in so holding, did not make reference to Article 814-2 of the amended KCC, but simply presented its reasoning which is very similar to that which was contained in the Korean Supreme Court precedent rendered under the old KCC. The above fact may induce a misunderstanding that the Korean Supreme Court takes the view that such a bill of lading is null and void vis a vis a bona fide holder regardless of whether or not the bona fide holder accepted that the bill of lading is void. Therefore, the writer opines that the rationale of above Supreme Court judgment should have been more clearly presented in order to avoid the above misunderstanding.

      • KCI등재

        공심병(空心病)과 철학상담

        김여진 대한철학회 2019 哲學硏究 Vol.149 No.-

        Empty heart disease(空心病) is a neologism coined by Xu Kai Wen(徐凱文) who is a professor of the department psychology at Beijing University in China and psychiatrist in one education forum held in November 2016. Although the symptoms are similar to the depression, the empty heart disease is different in that general psychotherapy or medication treatment is of no use in the latter case, which reveals the limitation of the existing psychological counseling or chemical treatment. In China, debates on the role and possibility of philosophical counseling have not been actively discussed so far. This paper criticized that the interpretation and prescription of the empty heart disease in China excessively depend on psychology as of now. By incorporating the concept of “empty heart” into the field of philosophical counseling and therapy, this paper put emphasis on the role and possibility of the philosophical counseling. The main body of this paper unfolds in the following context. First, the paper analyzed what the empty heart disease and its background is that Chinese college students are experiencing these days and introduced the discourse on its response and therapy method. Next, the paper argued that the empty heart disease should be a subject of the philosophical counseling. Arguing that the empty heart disease can be healed by the philosophical counseling, the paper criticized the existing interpretation of the empty heart, which is excessively psychological and passive regarding the term, symptoms, and alternatives. Finally, this paper considered a fundamental theory based on the Eastern philosophy, particularly the theory by Feng You Lan(馮友蘭) and Xun Zi(荀子) for the purpose of establishing a methodology of philosophical counseling that can respond to the symptoms of empty heart disease. This paper has timeliness as it dealt with the college students’ depression which recently emerged as a social issue. The paper satisfied the originality requirement of the research topic as it introduced the new terminology of empty heart for the first time in Korea from an aspect of philosophical counseling. Also, this study has significance from an aspect of research history as application of Xun Zi’s theory can be rarely seen in philosophical counseling research in Korea and China and that the paper established a model based on Eastern philosophy using specific cases among the philosophical counseling studies. However, this study has limitations that it could not elaborate on the logic of the methodology because the model was composed under the absence of clinical study, without provision of rich clinical cases. Further studies will address these limitations in the future. 공심병(空心病, Empty heart disease)이란, 중국 베이징(北京)대학의 심리학과 교수이자 정신과 주치의인 쉬카이원(徐凱文) 교수가 2016년 11월에 열린 한 교육포럼에서 처음 제기한 신조어이다. 증상만을 놓고 보면 우울증에 해당하지만 일반적인 심리치료의 기법이나 약물치료로는 아무런 효과가 없다는 것이 공심병의 특징이다. 기존의 심리 상담이나 화학적 치료의 한계가 드러나는 지점이긴 하지만 중국의 경우 철학상담(Philosophical Counseling)이라는 영역의 역할이나 가능성에 대해 아직 활발히 논의된 바가 없다. 이 글은 중국의 공심병이 지나치게 심리학적인 해석 및 처방에 의존하고 있음을 비판하며 ‘공심’을 철학상담치료의 영역으로 끌어들여 철학상담의 역할과 가능성을 주장하고자 한다. 본문의 내용은 다음과 같은 맥락에서 전개된다. 먼저, 최근 중국의 대학생이 겪고 있는 공심병이 무엇이며 어떠한 배경에서 출현하였고 그 대응책 및 치료방법에 대한 담론들은 어떠한지 소개한다. 다음은, 공심병이 왜 철학상담의 대상인지를 설득하고 철학상담을 통한 치료의 가능성을 주장하기 위해 중국의 공심에 대한 용어, 증상, 대안에 있어 지나치게 심리학적‧소극적인 해석을 비판한다. 마지막으로, 공심병 증세에 대응할만한 철학상담의 방법론을 세우기 위해 동양철학 특히 풍우란(馮友蘭)과 순자(荀子)의 이론에 기반한 토대 이론을 구상할 것이다. 이 글은 최근 이슈가 되고 있는 대학생의 우울을 다뤘다는 점에서 시의성을 지니며 공심병이란 신조어를 철학상담 영역에서 국내 처음 소개하고 있다는 점으로부터 연구 주제의 참신함을 갖는다. 또한 한국 및 중국의 철학상담 연구에 있어 순자의 이론을 적용한 시도는 찾아보기 힘들다는 점과 동양철학에 기반한 철학상담 연구 가운데 구체적인 사례를 들어 모형을 구상화했다는 점에서 연구사적 의의가 있다고 볼 수 있다. 하지만 풍부한 임상사례를 근거로 삼지 못했고 임상연구의 부재 하에 모형을 구상했기 때문에 방법론에 있어 보다 치밀한 논리로써 전개하지 못했다는 한계를 지닌다. 이에 대한 보완은 후속 연구에서 이어나가려고 한다.

      • KCI등재

        고려시대 ‘공(公)’의 용례와 성격

        김병인 전남대학교 호남학연구원 2023 감성연구 Vol.- No.26

        This study reviewed the usage and characteristics of ‘public (Gong)’ in the Goryeo Dynasty. The concept of ‘public’ originated in China primarily indicated a political ruler or ruling power, and a governing body or scope. And later, as the political organization and system were gradually reorganized, the concept of ‘public’ as governing power or body came to a corresponding relationship with 'private' which indicates a scope free from such domination, resulting in the concept as a pair of ‘public and private’. In Goryeo society, following the Chinese concept of ‘public(Gong)’, they indicated the royal family and high-ranking officials as Jakho and Samgong as a courteous expression, and called the clothes worn by officials as public uniform. They called the document used by officials as public document or book, and the work as public work, and the workplace as public space. Further from this, the duty that officials must follow was called public ethic(Gongdo), and the mind to keep that was called public mind(Gongsim). The ‘public’ as contrast to ‘private’ was used jn the term ‘public and private’ as a pair concept, and in some cases, ‘public’ and ‘private’ were applied separately. This concept of ‘public’ also served as a reference point to distinguish from private feelings in contrast to public opinion. This seems to be due to the influence into Goryeo society as well as the complex use of the three layers of public(Gong) from ancient China; that is, public as a governing scope, public as a universal ethical principle, and public as a meaning of being together. Specifically, public justice and private feelings, and public justice and private gratitude were used as contrasting concepts. They were distinguished as public = justice, private = feelings/gratitude. Public justice was perceived as a concept in contrast to private feelings or gratitude. In addition, the term of the public organization (Gongga) was used as a concept contrasting to the individual. ‘Public interests’ and ‘private interests’ were also in contrast. Thus, it can be said that the terms of ‘public’ and ‘private’ were in contrast each other. In addition, what is not public was expressed as what is ‘private’. This perception stems from the understanding that ‘private’ is an individual as much as ‘public’ is is assumed to be within the rule of a nation or dynasty. 본 논문에서는 고려시대 ‘공(公)’의 용례와 성격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중국으로부터 유래된 ‘공’ 개념은 일차적으로 정치적 지배자나 지배권력, 그리고 지배기구나 지배영역을 가리켰다. 이후 ‘공’은 지배체제에서 벗어나 있는 영역을 가리키는 ‘사(私)’와 대응 관계를 이루면서 ‘공사’ 개념 짝이 만들어졌다. 고려는 중국의 ‘공’ 개념을 수용하였는데, 종실과 고위관직자에 대한 예우적인 표현으로서 작호와 삼공을 지칭했다. 이와 함께 관리가 입는 옷은 공복, 그들이 사용하는 문서는 공문서 혹은 공첩, 그들의 업무는 공무, 그들의 업무 공간은 공해로 불렸다. 이외 관리가 반드시 따라야 할 도리를 공도, 이를 지키는 마음을 공심이라 말하기도 했다. ‘공’은 ‘사’와 대비되는 짝개념으로서 ‘공사’ 합칭어로 언급되거나, ‘공’과 ‘사’가 개별적으로 사용되기도 하였다. 이러한 ‘공’ 개념은 공적인 의견이나 여론에 대비되는 사적인 감정과 구분하는 기준점이 되기도 하였다. 이는 고대 중국으로부터 유래된 공의 세 가지 층위 즉 ‘지배영역으로서의 공’, ‘보편적 윤리원칙으로서의 공’, ‘더불어 함께라는 의미로서의 공’이 중층적으로 사용된 데에서 영향받은 것으로 보인다, 구체적으로 공의(公義)와 사정(私情), 공의(公義)와 사은(私恩)이 대비되는 개념으로 사용되었다. 공(公)=의(義), 사(私)=정(情)/은(恩)으로 구별한 것이다. 그리고 개인에 대비되는 의미에서 조정을 뜻하는 개념으로 공가(公家)라는 표현도 사용하였다. 즉, ‘공가의 이익[公家之利]’과 ‘자신의 이익[自利]’을 대비하였다. 이로써 ‘공가(公家)’와 ‘자신(自身)’이 대비되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공적(功績)’이 없는 경우에 ‘사사롭다’고 표현하기도 하였다. 이러한 인식은 국가나 왕조의 통치 안에 있는 것을 ‘공’이라고 상정한 만큼, ‘사’는 개인의 것으로 파악한 데에 연유한 것이다.

      • KCI등재

        시추공 공곡 측정의 원리 - 좌표계 변환의 응용

        송윤호 한국지구물리.물리탐사학회 2020 지구물리와 물리탐사 Vol.23 No.4

        To share an understanding of trajectory measurement in surveys using borehole, this tutorial summarizes the relevant mathematical principles of the borehole deviation survey based on coordinate transform. For uncased or open holes, calculations of the azimuth-deviation-tool face rotation using three-component accelerometer and magnetometer measurements are summarized. For the steel-cased holes, calculations are based on the time-derivative formula of the coordinate transform matrix; yaw-pitch-roll angles through time are mathematically determined by integrating the threecomponent angular velocity measurements from the gyroscope while also removing the Earth’s rotation effect. Sensor and data fusion to increase the accuracy of borehole deviation survey is explained with an example of the method. These principles of borehole deviation surveys can be adapted for attitude estimation in air-borne surveys or for positioning in tunnels where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signals cannot be accessed. Information on the optimization filter that must be incorporated in sensor fusion is introduced to help future research. 이 논문에서는 시추공을 이용한 탐사나 자료 해석 시에 중요한 시추공 궤적 정보 획득 방법에 대한 이해를 공유하고자, 깊이에 따른 시추공의 좌표를 구하는 시추공 공곡 측정 문제를 좌표계 변환 공식에 기초하여 수학적으로 정리하였다. 먼저, 철재 케이싱이 설치되어 있지 않은 시추공에 적용 가능한 방법으로서 3성분 가속도계와 3성분 자력계를 함께 이용하여 시추공의 방위각, 편차각 그리고 센서회전각을 구하는 원리를 정리하였다. 다음으로, 철재 케이싱이 설치되어 있을 경우에 자이로스코프에서 3성분 각속도가 측정되었을 때, 좌표계 변환 행렬의 시간 미분 관계식에 기초해 각속도의 시간에 따른 적분을 통해 요-피치-롤 각을 구하는 수학적 이론을 정리하고 지구 자전의 영향을 제거함으로써 측정자료의 시간 적분에 의해 시추공의 궤적을 구하는 방법을 설명하였다. 오차가 포함된 측정 자료로부터 시추공 공곡 결정의 정확도를 높이는 중요한 방법으로 센서 또는 측정 자료를 융합하는 원리도 예를 들어 설명하였다. 시추공 공곡 측정원리는 GPS 수신이 불가능한 터널내에서의 궤적 추적 또는 무인비행체를 이용한 공중 탐사나 항공 탐사 시 센서의 자세 측정에도 활용될 수 있다. 또한, 센서의 융합에서 필수적으로 접목되어야 할 최적화 필터에 대해서도 중요 문헌 및 사례를 소개함으로써, 앞으로의 연구에 도움을 주고자 하였다.

      • KCI등재

        고전콘텐츠에 나타난 公개념의 재해석

        박성준(Sung-Joon Park) 한국콘텐츠학회 2009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9 No.8

        본 논문은 동양 고전에서 담고 있는 ‘公’개념을 분석 정리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고전 콘텐츠인 ‘詩經’, ‘孟子’, ‘論語’, ‘晦菴集(회암집)’, ‘日知錄(일지록)’ 등을 통해 ‘公’개념을 접근했다. 본 논문은 ‘詩經’에서는 통치영역으로서 ‘公’, 공자의 ‘論語’를 통해서는 종법적 질서로서 ‘公’, ‘孟子’에서는 군주의 권위로서 公, 주자의 ‘晦菴集’에서는 정치적 지배영역으로서 公, 고염무의 ‘日知錄’은 公私의 일원성으로서 公으로 각각 나누고 ‘公’개념을 재해석하고자 했다.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study concept of the Publicity in ancient classics in Asia. I refered to Book of Odes(詩經), Analects(論語), Mencius(孟子), Collections of Chu Xi(晦菴集), Ri zhi lu(日知錄). This thesis is to classify and reinterpret the concept of the Publicity. The major types of it are as follows : first, the Publicity as the ascendancy of the king in Book of Odes. second, the Publicity as hereditary order in Analects, third, the Publicity as authority of the king in Mencius, fourth, the Publicity as political ascendancy in Collections of Chu Xi, fifth, the Publicity as public and private uniformity in Ri zhi lu.

      • KCI등재

        주희 공(公) 이론의 민주적 재구성의 가능성

        나종석(Na, Jong-seok) 대한철학회 2013 哲學硏究 Vol.128 No.-

        이 글에서 추구되는 것은 주희의 公이론에 대한 비판적 해석을 통해 인권과 민주주의의 재규정 내지 재정의의 시도이다. 이 시도는 이중적 성찰의 작업이라고 볼 수 있다. 한편으로 주희의 사상, 특히 그의 공사(公私) 이론을 민주주의와 인권의 이념에 입각하여 비판적으로 재전유하면서, 다른 한편으로는 우리가 통념적으로 지니고 있는 서구적인 인권과 민주주의에 대한 이해의 틀과는 다른 방식의 민주주의 및 인권의 재규정과 재정의의 가능성을 추구한다는 말이다.우선 주희의 公이론이 어떤 점에서 '공생적·연계적' 公이론으로 이해될 수 있는지를 설명할 것이다. 이런 연계적 公이론이 유학사에서 어떤 혁신을 가져왔는가를 설명하면서 주희의 公이론에서 정치사회적 차원에서의 公이론인 公論정치의 의미를 살펴본다. 세 번째로 다루어지는 주제는 주희 公이론의 민주주의적 잠재력에 대한 평가이다. 마지막으로 公이론의 민주적 재정의의 작업을 통해 우리는 재규정된 주희의 公이론이 서구의 자유주의적 및 공화주의적 공사이원론의 한계를 극복하는데 어떤 함의를 지니는가를 보여주고자 한다. 달리 말하자면 주희의 公이론이 어떤 점에서 신자유주의적 공사이원론 및 아렌트로 대표되는 정치적인 것에 대한 사유에서 등장하는 공화주의적 공사이원론을 극복할 수 있는 철학적 단초를 제공하고 있는지를 입증해볼 것이다. Through this article, the author seeks to redefine human rights and democracy based on critical understanding of Zhu Xi's Theory of "Gong"(公, public). This is a process of dual reflections. First, the author critically re-appropriates Zhu Xi's theory, particularly his Theory of Gong(公, Public) and Si(私, Private), based on the ideas of democracy and human rights. At the same time, the author attempts to redefine and re-signify democracy and human rights in a manner that is different from the Western paradigm of human rights and democracy that we are accustomed to. First, the thesis will explain how Zhu Xi's Theory of Gong(公, Public) can be understood as a theory of related publicness. Second, the thesis will elaborate on how this theory of related publicness innovated the history of Confucianism, and discuss the meaning of public sphere, which is Zhu Xi's socio-political Theory of Gong(公, Public). Third, the thesis will evaluate the democratic potentials of Zhu Xi's Theory of Gong(公, Public). Lastly, through a democratic redefinition of Zhu Xi's Theory of Gong(公, Public), the thesis will point out what kind of implications Zhu-Xi's redefined democratic Theory of Gong(公, Public) have for overcoming the limitations of Western liberalism's and republican dualism of the private and public. In other words, the thesis will prove how Zhu-Xi's Theory of Gong(公, Public) provides philosophical clues to how we can overcome the neoliberal dualism of private and public, and republican dualism of private and public that emerges in thoughts regarding 'the political', which is represented by Arendt.

      • KCI등재

        서비스디자인 기반 공유주택 공간 연구 : 중국 ‘포유(泊寓)’ 공유주택을 중심으로

        마시우,홍창기,안국강 한국상품문화디자인학회 2022 상품문화디자인학연구 Vol.69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ut forward a plan to optimize and create a shared housing service strategy for residents' experience and satisfaction with shared housing. The scope of the research site selected the “Puyou", a public house with branches all over China. Boyu shared house is the most advanced brand of public housing in China at present. It has been selected as a demonstration project by the Digital Standardization Technical Committee of China's Intelligent Buildings and Residential Areas, providing places for residents to live, communicate, study and entertain. Based on the analysis matrix of shared housing based on service design, this paper discusses the shared housing in China, and obtains the value of space service design characteristics of "Boyu" shared housing through the examination of experts' evaluation indicators. It shows that the excellent housing evaluation index, the highest safety value, the perfect convenience evaluation index, and the outstanding aesthetic evaluation index among the service design features of "Boyu" shared housing. On the contrary, it has common comfort and interactivity evaluation indexes of shared housing without satisfactory information evaluation indexes, which means that the low comfort of shared housing facilities with the interactive services of shared housing workers and residents, as well as the insufficient services of immediate information transmission.The results of the study showed that among the service design characteristics of the Boyu shared housing, the value of safety was the highest, and the value of convenience and aesthetics was also higher. However, the level of comfort, interactivity, and information is low, there are insufficient rest facilities in the public space, and the interactive facilities of residents in shared housing are insufficient, so information cannot be transmitted in time due to the lack of understanding of residents. These results prove that it is very important to plan the space by reflecting the service design components and making the service characteristics evenly distributed in the process of the formation of shared housing. This is because when the needs and characteristics of service users (tenants or potential tenants) are balanced with the service characteristics of the space, it can provide a better experience and creates a good brand image for the service provider and the company. This study only evaluates and analyzes the service design of shared residential spaces and facilities, which has limitations. In order to conduct in-depth research on shared housing, it is necessary to conduct follow-up research on the strategy and system construction to improve the service design orientation of shared housing. Finally, it is expected that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become meaningful basic information for the development of shared housing in China, space service design and design research in related fields. 본 연구는 주민들을 위해 공유주택에서의 체험담과 만족도를 목표로 하여, 공유주택 서비스 전략의 최적화와 창조 방안을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의 장소적 범위는 중국의 각 지역에 지점을 두고 있는 공유주택 ‘포유(泊寓)’를 선정하였다. ‘포유(泊寓)’ 공유주택은 현재 중국에서 가장 발전이 된 공유주택 브랜드로 중국 스마트 건축 및 주거지역의 디지털 표준화 기술 위원회1)로부터 시범적 프로젝트로 선정되었으며 주민들에게 주거, 소통, 학습, 오락 등을 모두 누릴 수 있는 장소를 제공하고 있는 곳이다. 연구 방법은 서비스디자인을 기반으로 한 공유주택 분석의 매트릭스를 제안하여 중국 공유주택을 분석하고 전문가의 평가지표에 대한 심사를 거쳐 ‘포유’ 공유주택의 공간 서비스디자인 특성의 가치를 도출하였다. 연구 결과 ‘포유’ 공유주택의 서비스디자인 특징에서 ‘포유’ 공유주택의 평가지표는 매우 우수하며 안정성 수치가 가장높게 나타났고, 편의성 평가지표 또한 매우 우수하였으며, 심미성 평가지표는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공유주택의쾌적성과 양방향성 평가지표는 보통으로 나타났고, 정보성 평가지표는 미흡하였는데 이는 공유주택 시설의 쾌적성이 낮고, 공유주택 근로자와 주민들의 인터랙티브 서비스, 그리고 정보가 즉시 전달되는 서비스가 부족하다는 것을 말한다. 이유는 공유주택 시설의 쾌적도와 공공공간 휴게시설이 부족하고 공유주택에서 주민들이 상호 교류할 수 있는 시설이 부족하며, 주민에 대한 몰이해로 정보 전달이 즉시 이뤄지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같은 결과는 공유주택 형성에서 서비스디자인 구성 요소를 반영하여 공간 계획을 진행하고, 서비스 특성을 균일하게 분포하여 만드는 것이 아주 중요하다는 사실을 입증한다. 서비스 사용자(세입자 혹은 잠재적 세입자)의 욕구 및 특성과 공간의 서비스 특성이 균형을 잡을 때, 더 좋은 체험을선사하고 서비스 제공자 및 기업의 좋은 브랜드 이미지를 조성할 수 있기 때문이다. 본 연구는 공유주택 공간과 시설의 서비스 디자인만을 평가하고 분석했다는 한계점을 가지고 있다. 공유주택에 대한 심도 있는 연구를 위해서는 공유주택 서비스디자인 방향성을 향상시키는 전략과 시스템 구축에 대한 후속 연구도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결과가 중국 공유주택의 발전, 공간 서비스디자인 및 관련 영역에서의 디자인 연구에 도움이 되는 의미 있는 기초 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한다.

      • KCI등재

        공사(公私) 개념의 일본적‘수용문제’ - 서구의 공사 개념과 후쿠자와 유키치 -

        박규태 한양대학교 일본학국제비교연구소 2014 비교일본학 Vol.30 No.-

        본 논문의 목적은 특히 ‘일본적 수용양식’에 주목하면서 후쿠자와 유키치 사상에 있 어 공-사 개념을 규명하는 데에 있다. 외래적인 것에 대한 일본적 수용양식은 일본적 사유와 등치관계에 있다. 본고에서는 이런 등치관계를 일본적 ‘수용문제’로 이해하면서 이때 일본에 있어 외래적인 것의 수용이 항상 현재와 연결되어 있다는 점에 주목하고 자 한다. 일본 근대화의 아버지라 불리는 후쿠자와 유키치에 있어 서구적 공-사 개념의 수용 또한 현재적 관점에서 재조명될 필요가 있다. 이때 현대일본사회에서 공공성 담론 이 문제시되는 맥락으로서 본고는 첫째, 일본문화론적 맥락, 둘째, 학문적 담론의 맥락, 셋째, 우경화 현상과 연동하는 ‘사’의 과잉 및 ‘공’의 쇠퇴에 대한 위기의식 등을 들고 있다. 이 점을 염두에 두면서 본고는 서구적 공-사 개념과 일본적 공-사 개념의 특징을 검토한 후 후쿠자와에 있어 공-사 문제를 다루고 있다. 후쿠자와는 나라의 독립을 최우 선시한 국권론자였지만, 공-사 문제에 관한 한 국가(정부)에 대한 비판적 이해를 견지 했다. 예컨대 그의 ‘공-사’ 관념을 가장 잘 보여주는 ‘공지공덕’론은 개인의 내적 자유 즉 ‘사’의 자율성에 대한 주장과 맞물려 있다. 그러나 이처럼 “일본의 역사를 관통하는 상하관계의 공-사 질서를 벗어나 근대 서구문명을 모델로 하는 공-사의 병립구조로 전 환”할 것을 추구한 후쿠자와의 뜻과는 달리, 근대일본에서는 관료를 상위로 하는 새로 운 상하관계구조가 재생되었다. 이와 관련하여 본고는 공-사 문제의 해명을 위해 보완 적으로 정신분석학적 관점의 도입이 필요함을 역설하고 있다. 오늘날 일본에서는 사적 공간만이 계속 확장되면서 공적 의식은 애매한 채로 남아 있다. 본고는 결론부에서 이 런 현대일본사회를 ‘사적 사회’라고 보면서, 그것이 라캉주의자 맥고완이 말하는 ‘주이 상스 사회’와 공통된 특징을 보여준다는 점에 유념하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essay is to examine the notion “public-private” in the thought of Fukuzawa Yukichi from the perspective of psychoanalysis, especially paying attention to “the problem of reception in Japan”. In so doing, I will mention the reason why the discourse of “the public” has been questioned in contemporary Japan, in such aspects as not only the discourse on Japanese culture and academism, but also the feeling of crisis about the excess of “the private” and the degeneration of “the public”. Furthermore, the historical process of change in the notion of “public-private” in both the West and Japan will be summarized. Fukuzawa Yukichi, who is often regarded as one of the founders of modern Japan, though thinking that there was nothing more important than national independence, showed a critical attitude toward Meiji government as far as the issue of “public-private” was concerned. For example, his notion of “Kouchikoutoku”(public knowledge and virtue) must be deeply related to the individual inner freedom, that is, the autonomy of “the private”. However, a new vertical structure of Japanese bureaucracy was regenerated despite of Fukuzawa's intention to change the traditional vertical order of “public-private” into a new horizontal order based on the Western model. But nowadays “the private” only tends to be extended probably due to a kind of reaction to “Messi-hoko”(selfless devotion) in Japan. If we can call it a “private society”, it might share the same characteristics with the “society of jouissance” in common, such as the privatization of “the public”, the publicization of “the private”, or the variableness between “the public” and “the private”.

      • 唐五代文獻所見孔目官之若干淺見

        張龍(Zhang Long) 경북대학교 아시아연구소 2010 아시아연구 Vol.- No.8

        공목관(孔目官)의 기록은 당대에 처음 등장하는데 일종의 서리신분으로 해당 기관의 수장을 도와 문서 및 회계장부와 관련된 사무성 작업을 처리했다. 당오대 시기는 공목관이 출현하고 발전하는 중요한 시기로 공목관의 기구조직이 완성되고 직무의 분배가 명확해져 이후 공목관제도가 유지되는 기초를 마련했다. 지난 세기 이래로 다수의 학자들이 성실한 연구작업을 진행해 왔지만 여전히 계속적으로 탐구해볼 여지가 남아 있다. 본 논문은 현존하는 자료에 대한 비교분석과 당오대 역사의 변천 배경을 결합해 공목관의 설치, 직무 및 그 체계화 문제에 대해 논증을 진행했다. 공목관의 설치 상황을 살펴보면, 우선 당오대 중앙 관서에 줄곧 공목관이 설치되어 있었다고 말할 수 있다. 중앙 군대 시스템(左右神策軍) 속의 공목관은 신책군 건립 이전에 설치된 것으로 이는 지방 관직 체계가 중앙 관직에 반영된 한 모습이라고 하겠다. 당대 지방의 공목관은 개원 연간에 변강지역의 중요 군진에만 설치되었다가 안사의 난 이후 절도사체제의 전면적 시행에 의해 내지에도 설치되기 시작했다. 공목관의 직무에 대해 살펴보면, 당후기 및 오대 시기에 점차적인계통화를 이루었는데 이는 주로 지방에 설치한 공목관이 종적으로 등급상의 구분과 횡적으로는 부서사이의 직무 분류의 모습을 보이고 공목관관서가 확대화되는 것으로 구체화되었다. 이외에, 공목관의 직무는 국가 형세의 변화에 따라 복잡해졌다. 당 후기 번진이 오대 정권을 건립한 후 공목관의 지위는 이와 더불어 상승하게 되고 번진에서 공목관을 담당한 적이 있는 많은 관리들이 조정의 요직을 맡게 되었다. 당시 능력있는 관리(吏幹)를 중요시하는 정치적 분위기는 공목관 출신 관원이 중앙정책 결정에 참여하는 기회를 증가시켰다. 공목관의 지위 변화는 번진체제의 중앙화 과정에서 체현되었다고 할 수 있다. Kongmuguan was first recorded in the literature which belonged to Tang Dynasty. Kongmuguan was a title of official, which was established in Tang Dynasty and came into prominence in the administrations on both the central level and various local levels in late Tang Dynasty and Five dynasties. Kongmuguan’s main function was to help the superiors deal with the administrative and financial events. During Tang Dynasty’s and Five dynasties’ period, the development of Kongmuguan was conspicuous, including its organization and function. From the 20th century, the historiography of Kongmuguan’s has attracted the attention of many scholars; but they still leave us some research space of this task. This article tries to comprehend and compare the current historical records, in order to explore more information on Kongmuguan.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valuate the establishment, the function and the institutionalization of Kongmuguan in a systematic manner. Kongmuguan was established in the central level during the Tang Dynasty’s and Five dynasties’ period; but Kongmuguan in the central military system was derived from the Shencejun, an army which lied in the northwest China. This kind of installment of Kongmuguan had reflected that the form of local military system came into the central military. This is a trait of the military system in that period. Kongmuguan was only existed in some important military districts on the boundary in kaiyuan period; after the rebellion of Anshi, Kongmuguan began to be set up in all regions which the central government could manage. The function of Kongmuguan had gradually become systematized in late Tang and Five dynasties’ period. The change of Kongmuguan in localities was obvious. Different ranks had come up in this official, and Kongmuguan had been endowed with many different functions. Besides, the number of people who assumed Kongmuguan was also increased strikingly. When Five dynasties were set up one by one, Kongmuguan had changed a powerful official; the person who served as Kongmuguan began to play critical rule in the court. In that period, the rulers need persons who had the experiences about how to administer well which Kongmuguan owned. So many people who had acted as Kongmuguan seized the opportunities to become the important officials in the government. The change of Kongmuguan’s status reflects the fact of the transformation from Tang Dynasty to Song Dynasty, because the notion of administering the country had changed deepl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