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공감능력이 회복탄력성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 조직지원인식의 조절효과

        김리하,박계홍 공주대학교 KNU 기업경영연구소 2022 기업경영리뷰 Vol.13 No.1

        공감능력은 구성원의 고통을 감지하고, 공감하며, 고통을 완화하기 위해 행동하는 개인의 능력으로 정의되고 있 다. 공감능력이 높은 구성원은 적응이나 발전의 심각한 어려움에도 불구하고 역경을 극복하는 회복탄력성의 영향 요인으로 인식되고 있다. 그러나 공감능력이 인적자본의 가치를 높이는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조직구성원의 공감 능력에 관한 연구는 제한적이고 구성원들의 조직생활과 직접 연결된 실용적인 측면의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따 라서 본 연구는 구성원의 공감능력이 회복탄력성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 분석한다. 공감능력은 인지적공감과 정서 적 공감으로 구분하였다. 공감능력과 회복탄력의 관계에서 중요한 변수로서 조직지원인식의 조절효과를 분석하였 다. 대전 충남지역의 조직구성원을 대상으로 실증 분석한 결과 첫째, 구성원의 인지적·정서적 공감능력과 회복탄 력성 삶의 만족의 관계를 조직지원인식이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구성원의 인지적·정서적 공감능력과 회복탄력성 긍정 성향의 관계에서 정서적 공감능력과 긍정 성향의 관계만 조직지원인식이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 다. 셋째, 구성원의 인지적·정서적 공감능력과 회복탄력성 관계 능력의 관계에서 정서적 공감능력과 회복탄력성 관계 능력의 관계만 조직지원인식이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구성원의 인지적·정서적 공감능력과 회복 탄력성 통제력의 관계에서 정서적 공감능력과 회복탄력성 통제력과의 관계만 조직지원인식이 조절하는 것으로 나 타났다. 실증분석을 바탕으로 이론적, 실무적 시사점을 제공하고, 연구의 한계 및 연구 방향을 제시하였다. 끝으로 본 연구는 회복탄력성에 영향을 미치는 공감능력의 중요성을 확인함에 따라 인적자원개발을 통해 인적자본의 가치 를 높이는 중요한 역할을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작업치료사의 자아존중감과 타인에 대한 공감능력 간의 관계

        박성호,장문영 대한작업치료학회 2014 대한작업치료학회지 Vol.22 No.1

        목적 : 작업치료사의 자아존중감과 타인에 대한 공감능력 간의 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 다. 연구방법 : 부산·경남의 135명의 작업치료사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 문 기간은 2012년12월부터 2013년 2월까지이었다. 작업치료사의 자아존중감과 타인에 대한 공감능력을 측정하기 위하여자아존중감 척도와 한국어판 공감지수 척도를 사용 하였다. 결과 : 자아존중감과 인지공감능력은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성별에 따라 자아존중감 과 공감능력의 하위항목인 사회기술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 급여에 따라 공감능력 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작업치료사의 교육 수준에 따라 자아존중감과 공감능력 모 두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결론 : 자아존중감이 높은 작업치료사들이 타인에 대한 이해와 공감능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공감능력은 클라이언트와 치료사의 치료적 관계를 맺는데 필수적인 요소이 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임상 작업치료사와 작업치료학생에게 타인에 대한 이해를 높 이고, 클라이언트의 동기를 유발할 수 있는 적절한 교육프로그램을 시행할 필요가 있다 . Objective :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correlation between the self-esteem of occupational therapists and theirempathy with others. Methods : A survey was conducted on 135 occupational therapists in the Busan and Gyeongnam areas fromDecember 2012 to February 2013. To measure the self- esteem of occupational therapists and their empathy withothers, the self-esteem scale and Korean-version of the empathy quotient (EQ) scale were employed. Results : A positive correlation was shown between self-esteem and cognitive empathy. Significant differences insocial skills, which is a subordinate item of self- esteem and empathy depending on gender, were shown, as weresignificant differences in empathy depending on wage. In addition, self-esteem and empathy both showedsignificant differences depending on the level of education of the occupational therapists. Conclusion : Occupational therapists with high self-esteem showed a high understanding of, and empathy toward,other people. Empathy is an essential element for forming a therapeutic relationship between a client andtherapist. These results imply that there is a need to implement a proper education program that improves theunderstanding of other people by clinical occupational therapists and occupational therapy students, and arousesthe motivation of clients.

      • KCI등재

        공감반응과제를 통해 알아본 ADHD 아동의 공감능력 특성

        곽윤정,이효신 한국정서행동장애학회 2016 정서ㆍ행동장애연구 Vol.32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empathic ability between children with ADHD and normal children, and to investigate the empathic ability characteristics of children with ADHD.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96 children with ADHD and 64 normal children. The Empathy Response Task (ERT; Ricard and Kamberk-Kilicci, 1995) were adopted to measure their cognitive and affective empathic ability. To compare the empathic ability between children with ADHD and normal children, the study verified the differences of the empathic ability between the two groups, and more concretely verified the differences according to school year. For the above verification, independent sample t-test and one-way ANOVA were performed, and Scheffé test was used for post-hoc analysis.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re were differences in the empathic ability between children with ADHD and normal children. Regarding the Empathy Response Task, children with ADHD showed lower cognitive and affective empathic ability than normal children. Second, as for the difference of empathic ability by school year between children with ADHD and normal children, there were differences in the empathic ability according to grade from the first to the sixth grade. In addition, normal children is pronounced difference between the school year in the group, while children with ADHD does not appear the school year in the group, it can be seen that the development of empathic ability with aging does not occur. From the above results, provides information on the empathic abilities of children with ADHD, proposed the approach direction of the educational interventions to improve the empathic ability of children with ADHD. 본 연구는 ADHD 아동과 일반 아동 간 공감능력 비교를 통하여 ADHD 아동의 공감능력 특성을 살펴보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 대상은 초등학교 1∼6학년의 ADHD 아동 96명과 일반 아동 64명이며, Ricard와 Kamberk-Kilicci(1995)의 공감반응과제를 사용하여 인지적 공감능력과 정서적 공감능력을 측정하였다. ADHD 아동과 일반 아동 간 공감능력을 비교하기 위하여 두 집단간 공감능력의 차이를 검증하였으며, 학년에 따른 차이도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독립표본 t검증과 일원배치 분산분석(one-way ANOVA)을 실시하였으며, 사후분석은 Scheffé 검증을 활용하였다. 이에 대한 연구 결과로 첫째, ADHD 아동과 일반 아동 간의 공감능력은 차이가 있다. 공감반응과제에서 ADHD 아동이 일반 아동보다 낮은 인지적, 정서적 공감능력을 보여주었다. 둘째, ADHD 아동과 일반 아동 간 학년별 공감능력은 1학년부터 6학년까지 모든 학년 간에 차이가 있다. 또한 일반 아동은 집단 내 학년 간 차이가 뚜렷하게 나타난 반면 ADHD 아동은 집단 내 학년 간 차이가 나타나지 않아, 연령 증가에 따른 공감능력 발달이 이루어지지 않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ADHD 아동의 공감능력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 ADHD 아동의 공감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교육적 중재에 관한 접근 방향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대학생의 공감적 스피치 능력에 관한 연구 : 비·언어적 능력 및 토론, 공감 능력과의 관계를 중심으로

        조윤경 한국소통학회 2020 한국소통학보 Vol.19 No.3

        본 연구는 스피치 교육에서 강조되는 비·언어적 요인 이외에 청중으로부터 공감을 끌어내어 마음을 움직이는 공감적 스피치 능력에 주목하여 공감적 스피치 능력과 비· 언어적 능력, 발표 불안증, 토론 능력(주장 능력, 분석 능력), 공감 능력(관점 취하기, 인지적 공감) 간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그리고 스피치 관련 요인들이 피드백 필요성 인 식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스피치 수업 수강생 240명을 대상으로 분석한 결과, 비·언어적 능력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발표 불안증은 공감적 스피치 능력에 별다른 영향력을 미치지 못하였다. 공감적 스피치 능력은 언어적 능력과 정적 관계를 보였고 주장 능력과는 부적 관계를 보였으며, 분석 능력 및 공감 능력과는 유의한 관계가 없었 다. 피드백 필요성 인식에 대해서는 공감 능력만이 유의한 설명력을 보였다. 이러한 결 과는 스피치 교육에서 말하기 기술보다는 공감을 끌어내는 소통능력에 집중해야 함을 시사한다. This study focuses on the speaking competence based on the empathy and analyzes the deference in these speaking competences. Therefore this study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 these speaking competences with other communication competence such as debate competence (argumentation competence, ability to analysis), empathic ability (perspective-taking, cognitive empathy. Regression analyses reveal that the argumentation competence relates to verbal and non-verbal analysis competence while it relates to competence based on the empathy negatively. Implications of study indicate that the educations of speech communication need to focus on competence based on the empathy to improve speaking competence.

      • KCI등재

        장애학생의 공감능력과 사회적 능력의 관계

        구신실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2012 지체.중복.건강장애연구 Vol.55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s between empathy and social abilities of adolescents with disabilities. The method of this study was the questionnaires.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s in empathy and social ability,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empathy and social ability, to analyze the impact on a empathy ability conflict social ability. The participants in this study were 92 adolescents with disabilities studying in general schools and special schools in P City. According to the purpose of this study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differences in empathy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gender and class type. There were not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ir school level, disabilities's type. Differences in social ability were found between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school level, disabilities's type and class type. There were not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ir gender. Second, there were not significant relationships in their empathy and social ability on some variables. But there were obvious relationships in variables on empathy and social ability. Third, as result of th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significant variables which affect empathy ability's variables were social ability 본 연구는 장애학생의 공감능력과 사회적 능력의 관계를 알아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일반학교 특수학급과 특수학교의 중고등부에 재학 중인 장애학생 92명을 대상으로 연구조사를 실시하였으며, 본 연구의 목적에 따른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장애학생의 공감능력은 성별에 따라 공감적 각성이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으며, 재학상황에 따라 관점 취하기, 전체 인지적 공감, 전체 공감능력이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학교급과 장애유형에 따른 공감능력은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그리고 장애학생의 사회적 능력은 학교 급에 따라 주도성, 인기도가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으며, 재학상황에 따라 주도성, 인기도, 전체 사회적 능력, 사교성, 대인적응성이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장애유형에 따라 사교성, 사회참여도, 인기도와 전체 사회적 능력이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성별에 따른 사회적 능력은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둘째, 장애학생의 공감능력과 사회적 능력의 상관분석 결과, 대인적응성과 상상하기, 사회 참여도와 공감적 각성, 사회참여도와 전체 정서적 공감, 인기도와 공감적 작성은 유의미한 상관을 나타내지 않았다. 그러나 사회적 능력과 공감능력의 하위변인들 간의 관계는 뚜렷한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셋째, 장애학생의 공감능력은 사회적 능력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전체 공감능력과 인지적 공감능력인 관점 취하기는 사회적 능력 중 사교성을 예측하는데 중요한 변인임을 알수 있었다. 그리고 장애학생의 공감능력은 대인적응성, 사회참여도, 주도성, 인기도와 전체 사회적 능력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관점 취하기는 사회적 능력 중 대인적응성, 사회참여도, 주도성, 인기도와 전체 사회적 능력을 예측하는데 중요한 변인임을 알 수 있었다. 이와 같은 결과는 장애학생의 원만한 학교생활을 가능하게 하는 공감능력과 사회적 능력은 매우 관계가 높으며, 사회적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관점 취하기와 같은 인지적 공감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고 이를 내면화해야 함을 시사하는 것이다.

      • KCI등재

        서비스 제공자 공감능력의 영향요인과 결과요인에 관한 연구

        김유경 대한경영정보학회 2015 경영과 정보연구 Vol.34 No.1

        본 연구는 서비스종업원의 공감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영향요인과 결과요인에 대한 연구로서 서비스 기업의 입장에서 서비스 제공자의 공감능력을 강화시킴으로써 조직에 미치는 긍정적인 효과를 높이고, 부정적인효과 는 감소시키는데 초점을 두고 있다. 구체적인 연구의 목적을 제시하면, 첫째 서비스 종업원의 공감능력즉, 인 지적 공감과 정서적 공감의 영향요인으로 사회적 지원인 상사지원과 동료지원, 그리고 자기 위로능력의 요인 을 제시하고자 한다. 즉, 사회적 지원과 자기위로 능력이 서비스 종업원의 공감능력에 어떠한 영향을미치는지 를 규명하고자 한다. 둘째, 서비스 종업원의 공감능력인 인지적 공감과 감정적 공감이 그들이 지각하는 직무 스트레스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연구가설을 검증한 결과, 첫째, 사회적 지원은 상사지원과 동료지원으로 구분하였고, 공감능력은 인지적공감 과 감정적 공감으로 분류하였다. 사회적 지원과 공감능력간의 관계를 규명한 결과, 상사지원은 인지적공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지 않았고, 반면, 동료 지원은 인지적 공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또한 상사지원은 감정적 공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었으며, 동료지원은 감정적 공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 치고 있었다. 둘째, 서비스 종업원의 자기위로능력은 공감능력에 즉, 자기 위로능력은 인지적공감과 감정적 공감 모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마지막으로 서비스 종업원의 공감능력(인지적공감, 감정적 공감 )은 서비스 종업원의 직무스트레스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는 서비스 종업원의 공감능력이 그들의 직무스트레스를 감소시키는 요인으 로써 중요한 전략적 수단이 될 뿐만 아니라 서비스기업이 제공하는 사회적 지원과 서비스 종업원의 자기 위로 능력이 종업원의 공감능력을 이끌어내는 의미있는 변수로써 작용할 것이다. This study focused on finding how to raise the positive effect of a service employee on the organization by strengthening his sympathetic feeling at the position of business, not the position of customer and how to reduce the negative effect. The specific objectives of the study are: First, the effect factors of the empathy abilities (cognitive empathy, emotional empathy) of a service employee are largely classified as the social support (supervisor support, co-worker support) to the service employee and the self-soothing ability. Therefore, this study tries to verif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elf-soothing ability, and social support and empathy which are preceding factors of the empathy of a service employee. Second, it also tries to verify the relationship between jobstress and empathy ability(cognitive empathy, emotional empathy) of a service employee. As a result of the verification of the study hypothesis, first, the social support was distinguished as supervisor support and co-worker support, and the empathy ability was distinguished as cognitive empathy and emotional empathy. As a result of verifying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support and empathy ability, the supervisor support did not have a positive effect on cognitive empathy while the co-worker support did have a positive effect of cognitive empathy. The supervisor support had a positive effect on emotional empathy and the co- worker support had a positive effect on emotional empathy. Second, the self-soothing ability of a service employee had a positive effect on empathy ability and a positive effect on both cognitive empathy and emotional empathy. Finally, the empathy ability(cognitive empathy, emotional empathy) of a service employee was shown to have a negative effect on the job stress of a service employee.

      • KCI등재

        피부관리사의 자아존중감이 의사소통능력에 미치는 영향: 공감능력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이수희 한국경영컨설팅학회 2021 경영컨설팅연구 Vol.21 No.4

        In modern times, people’s desire for a healthy lifestyle has been on the rise. To meet such needs, esthetic services have become more popular. Under these circumstances, it has been important to enhance the competence of estheticians who provide intangible services with a particular skill. This study attempted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self-esteem on communication skills through empathy ability against estheticians. Specifically, it examined the effects of self-esteem on cognitive empathy, affective empathy, socio-technical empathy and investigated the improvement of communication skills which include acceptance, transfer and coordination competencies through such empathy ability. For this, a questionnaire survey was performed against a total of 302 estheticians in Seoul, Gyeonggi-do and Gangwon-do, and data were collected and analyzed. The results found the followings: Self-esteem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empathy ability (cognitive empathy, affective empathy, socio-technical empathy). In addition, cognitive and socio-technical empathies revealed a positive influence on acceptance, transfer and coordination competencies. Among such empathy abilities, however, it was cognitive empathy which revealed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influence on transfer competency. It is anticipated that the study results would provide implications for improving self-esteem and empathy ability which are needed for estheticians to develop their communication skills. 현대인들의 아름답고 건강한 삶에 대한 욕구가 높아지면서 피부미용서비스는 대중화되었고 이러한 현상으로 전문적 기술과 함께 무형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피부관리사들의 역량 강화에도 초점을 맞추고 있다. 본 연구는 피부관리사의 자아존중감이 공감능력을 통해 의사소통능력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즉, 본 연구에서는 피부관리사의 자아존중감이 인지적공감, 정서적 공감, 사회기술적 공감으로 구성된 공감능력에 영향을 미치고, 이러한 공감능력이 수용력, 전달력, 조정력을 포함한 의사소통능력을 향상시키는지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살펴보기 위해 설문지법을 이용하여 서울, 경기, 강원지역의 피부관리사 302명의 피부관리사들에게 데이터를 수집하고 분석하였다. 실증분석 결과, 피부관리사의 자아존중감은 인지적 공감, 정서적 공감, 사회기술적 공감을 포함한 공감능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공감능력 중 인지적 공감과 사회기술적 공감은 의사소통능력의 구성요소인 수용력, 전달력, 조정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공감능력 중 정서적 공감은 의사소통능력의 구성요소인 전달력에는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피부관리사들의 의사소통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필요한 자아존중감과 공감능력 함양에 관련된 시사점을 제공할 것으로 생각된다.

      • KCI등재

        화장품 판매원의 자아탄력성이 공감능력을 통해 대인관계능력에 미치는 영향

        이수희,정갑연 한국상품학회 2019 商品學硏究 Vol.37 No.6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whether the ego-resilience of cosmetics salespersons affects interpersonal competence through empathy ability. In other words, this study confirms that the ego-resilience of the cosmetics salesperson affects the empathy ability composed of cognitive, emotional and social skills empathy. In addition, this study was to determine whether empathy ability improves interpersonal competence, including initiating relationships, asserting displeasure with others, disclosing personal information, providing emotional support and advice, and managing interpersonal conflict. The result of empirical analysis showed that the ego-resilience of the cosmetics salesperson had a positive effect on cognitive, emotional , social skills empathy. In addition, the higher the empathy ability, the more positively it had a positive effect on making the initiating relationships, asserting displeasure with others, disclosing personal information, providing emotional support and advice, and managing interpersonal conflict. However, emotional empathy among empathy ability did not have a positive effect on initiating relationship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provide the managers in the cosmetics industry with the implications related to the development of ego-resilience and empathy ability needed to improve the salesperson's interpersonal competence. 본 연구는 화장품 판매원의 자아탄력성이 공감능력을 통해 대인관계 능력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즉, 본 연구에서는 화장품 판매원의 자아탄력성이 인지, 정서, 사회기술 공감으로 구성된 공감능력에 영향을 미치고, 이러한 공감능력이 처음관계맺기, 타인의 불쾌감 주장, 자기노출, 정서적 지지 및 조언, 대인갈등 다루기를 내포한 대인관계능력을 향상시키는지 확인하고자 하였다. 실증분석 결과 화장품 판매원의 자아탄력성은 공감능력의 구성요인인 인지 공감, 정서 공감, 사회기술 공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공감능력이 높을수록 대인관계능력의 구성요인인 처음 관계 맺기, 타인에 대한 불쾌감 주장, 자기 노출, 정서적 지지 및 조언, 대인갈등 다루기에 대체적으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공감능력 중 정서공감은 대인관계능력의 하위요인인 처음관계맺기에는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화장품업계에 종사하는 관리자들에게 판매원의 대인관계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필요한 자아탄력성과 공감능력의 함양과 관련된 시사점을 제공할 것으로 생각된다.

      • KCI등재

        졸업학년 간호대학생의 전문직관, 공감능력이 의사소통능력에 미치는 영향

        지은주 한국자료분석학회 2014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Vol.16 No.3

        본 연구는 졸업학년 간호대학생의 전문직관, 공감능력이 의사소통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연구대상자는 8개 대학 간호학과 4학년에 재학 중인 학생 393명이었으며, 수집된 자료는 SPSS 18.0으로 상관관계, 다중회귀분석을 하였다. 연구결과, 의사소통능력은 형제자매여부, 전공만족, 시뮬레이션 실습여부에 따라 차이가 있었으며, 공감능력은 입학동기와 전공만족도에 따라, 전문직관은 성별, 전공만족도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대상자의 의사소통능력은 전문직관의 하부요소인 전문직 자아개념(r=.410, p<.001), 간호의 전문성(r=.413, p<.001), 간호실무의 역할(r=.432, p<.001)과 공감능력의 하부 요소인 인지공감능력(r=.514, p<.001), 정서공감능력(r=.417, p<.001)이 정적 상관관계가 있었다. 의사소통능력 영향 요인은 인지공감능력이 가장 영향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β=.261, t=4.930), 간호실무의 역할, 간호의 독자성, 감정공감능력의 영향력이 40.7%로 나타났다(F=66.682, p<.001). 따라서 졸업학년 간호대학생의 의사소통능력을 예측할 수 있는 중요 변인으로 공감능력과 전문직관의 간호실무역할과 간호의 독자성이 확인되었다. 이에 의사소통능력을 증진시키기 위해서는 공감능력 배양과 확고한 간호실무의 역할과 간호의 독자성을 확립할 수 있는 간호교육 프로그램 개발할 것을 제안한다. This study was done to identify the influence of professionalism, empathy, on communication ability in 4th undergraduate nursing student. The subject was consisted of 393 senior nursing student.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December, 1 to December, 22, 2013.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t-test, ANOVA, Pearson correlation and multiple linear regression with IBM SPSS Statistics version 18.0. The professionalism score of subjects was 3.68 out of perfect score 5, cognitive-empathic ability score of subjects was 3.63, emotional- empathic ability score was 3.72 out of perfect score 5, communication ability score of subjects was 3.58 out of perfect score 5. A positive correlation was found for nursing professionalism, empathy, communication ability. The strongest predictor of communication ability was cognitive-empathy, the role of nursing service, originality of nursing, emotional- empathy. Theses finding indicate that there is need to increase emphatic ability, nursing professionalism to improve communication ability of senior nursing student. The results should be reflected in the development of effective curricul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