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동반자 유형에 따른 한옥형 호텔 객실공간의 실내디자인 선호도 연구

        김선영,황연숙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17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2 No.6

        (Background and Purpose) Currently, Hanok Style Hotels are limited in their experiential aspect; in other words, they provide accommodation without considering various companion types. Hence, it is necessary to plan the special accommodation facilities of Hanok Style Hotels according to the types of companions who frequent the facilities, using innovative approaches that affect various aspect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herefore to provide the basic design data for the guest rooms in Hanok Style Hotels by identifying specific design preferences for interior design characteristics. (Method) Our study method classified 40 ordinary users who had experience in overnight stays at Hanok Style Hotels, according to their companion types, and conducted in-depth interviews with them to analyze their preferences using images of the guest rooms. The images used in the interviews were collected from domestic interior design magazines over the last 10 years and the internet. The research scope was limited to living room and bedroom spaces. (Result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results of image preferences and image adjective scales for Hanok Style Hotel guest rooms differ according to the space. Second, depending on the companion type,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guest room image preferences. While couples preferred alterations in the images of both living rooms and bedroom spaces, families with children chose traditional images for all spaces. Adult companions favored images of compact living rooms and modern bedroom spaces. Third, the image adjectives related to preferences in Hanok Style Hotel guest rooms were examined according to the type of companion. In the results, couples, unlike other groups, selected more varied image adjectives. Fourth, the most common adjectives according to companion type were “comfortable,” yet all users were seeking comfort. Fifth, “furniture” was the most influential factor for all companion types. (Conclusions) This study analyzed the interior design preferences for Hanok Style Hotel guest rooms through in-depth interviews. Considering differences according to companion types, it drew out visual preference factors for indoor spaces and the specific reasons for these preferences. The basic data implies that companion type is an important consideration for the design of Hanok Hotels. (연구배경 및 목적) 현재 한옥형 호텔은 체험적 측면에만 국한되어 있어 다양한 동반자 유형을 고려하지 않은 숙박시설을 제공하고 있다. 그러므로 동반자 유형에 따른 한옥형 호텔의 특화된 숙박시설을 계획하고 다방면으로 획기적인 방안을 모색하는 것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동반자 유형에 따른 한옥형 호텔 객실공간의 실내디자인 특성에 대한 구체적인 디자인 선호도를 도출하여 한옥형 호텔 객실 공간 계획 시 기초자료로 제공하는 것에 목적을 두었다. (연구방법) 연구 방법은 한옥형 호텔 이용 경험이 있는 일반인 남녀 40명을 동반자 유형별로 분류하고 그들을 대상으로 심층면접을 실시하였다. 심층면접에서 사용된 이미지는 최근 10년간 발간된 국내 실내디자인 관련 전문잡지와 인터넷 전문 포털 사이트에서 적용 가능한 이미지를 수집하였다. 연구 범위는 한옥형 호텔의 객실공간 중 거실공간과 침실공간으로 한정하였고 최종 사용된 이미지들은 공간별로 각각 6개이다. (결과) 본 연구를 통해 도출된 결과는 첫째, 한옥형 호텔의 객실공간에 대한 선호이미지 및 형용사 이미지 스케일의 결과는 공간마다 다른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동반자 유형에 따라 객실 공간 선호이미지의 차이를 조사한 결과 뚜렷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부는 거실공간과 침실공간 모두 절충형 이미지를 가장 선호한 반면에 아동동반 가족은 모든 공간에서 전통형 이미지를 선택하였다. 성인동반 가족은 거실공간에서 절충형 이미지를 선호하였고, 침실공간은 현대형 이미지를 선호하여 공간별 선호도가 다른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동반자 유형에 따른 한옥형 호텔 객실 공간 선호이미지 선택 시 영향을 미친 형용사 이미지를 조사한 결과 부부는 다른 집단과는 달리 다양한 형용사 이미지를 선택하였다. 넷째, 전반적으로 동반자 유형에서 가장 많이 도출된 형용사는 “편안한” 으로 모든 사용자가 편안함을 추구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다섯째, 동반자 유형에 따른 한옥형 호텔 객실 공간 선호이미지 선택 시 영향을 미친 실내디자인 요소를 조사한 결과 동반자 유형 모두 “가구”가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결론) 본 연구는 심층면접을 통해 한옥형 호텔 객실공간의 실내디자인 선호도를 분석하고 동반자 유형에 따른 차이점을 고려하여 그들이 실내공간에서 시각적으로 선호하는 요소들과 그 구체적인 이유들을 도출하였다. 이는 한옥형 호텔 설계 시 동반자 유형에 대한 중요도를 제시하여 기초자료의 기반이 될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를 가진다.

      • KCI등재

        소재 중심의 오브제 유형과 공간연출 요소에 관한 연구

        허지혜,임종훈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20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5 No.5

        (연구배경 및 목적) 최근 오브제의 활용에 있어 다양한 표현 방식과 확장된 개념을 탄생시키고 있다. 오브제는 사물의 용도나 새로운 환경에서 사용되고 있으며, 장치와 함께 기술에 의해서 표현되고 있다. 이는 단순한 기술의 적재나 장치의 결합만으로 이루어진다고 볼 수 없으며, 기술들의 심층적인 매개과정을 통해 콘텐츠 자체의 특성과 그 결과물이 새로운 종으로 나타난다. 이처럼 오브제의 적용 가능한 요소 들을 통해 세부적이고 구체화 된 사물을 위한 연결고리 역할도 할 수도 있고, 새로운 표현의 확장이나 다양한 적용방안을 마련할 수 있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이에 확장된 현재성을 새로운 사물로 나타내거나 제작할 수 있는 유형과 요소들을 통해 공간연출을 위한 구체화 및 세분화 된 오브제를 표현할 수 있는 적용 가능성을 연구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본 연구는 소재 중심의 오브제 유형 분석을 통한 공간연출 요소에 관한 연구로, 이를 위한 연구방법은 오브제 중심의 문헌고찰을 통하여 오브제의 표현 매체 및 재료, 표현방법, 표현기법의 유형과 요소를 분석하였다. 표현 매체 및 재료, 표현방법, 표현기법 등을 통해 소재 중심의 연출 유형에서의 장소와 시간, 기호에 따라 표현되는 것, 구축 적 요소로서 공간형성이나 공간 분할 및 연결, 또는 관계적 요소로서의 조형적 요소 중심으로 분석하고자 한다. (결과) 본 연구를 통해 오브제의 구체적 유형 요소의 소재의 확장, 표현 매체 및 방법, 조형적 표현요소와 표현된 양상을 나타내고 있는 것들은 모두 공간적 요소를 통해 표현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에 따른 하나의 적용 방법이나 표현 유형 요소로 의미하는 오브제는 또 다른 의미 체이면서 적용 대상이 되는 것이다. 오브제의 유형에 따른 요소의 관계성을 분석해보면, 공간연출 유형의 내·외부 공간과 복합형 공간요소와 밀접한 관계성이 나타났으며, 공간의 구축 적 요소는 사용자나 제품의 유형에 따라 공간을 형성하고, 오브제의 매체와 재료를 통해 소재개발이 가능하다. 또한 표현 유형을 통한 섬유기법의 방법까지도 유도 할 수 있고, 오브제의 조형적 요소와 표현기법을 통해 공간 연출적 표현이 가능하다. (결론) 오브제 유형의 핵심적인 요소들을 활용해 공간을 연출할 때 다각화되고 세부적인 응용이 가능함을 의미하고 있다. 다양한 소재의 대입을 통해 공간을 분리하는 방법으로 응용되고, 텍스추어와 피니시(Finish)를 더욱 강조한 제품들은 원단의 지능적인 소재들의 새로운 조합을 통해 통합적이고 구체적인 요소들을 분석함으로서, 적용 유형에 적합한 다각적이고 창의적인 디자인 개발 및 공간연출이 가능하다고 볼 수 있다. 이는 공간의 새로운 표현을 위한 상호 연계적인 영역에서 다양한 확장이 가능함을 의미한다. (Background and Purpose) Of late, various expressions and extended concepts have been presented with regard to the use of an object. Object is used as objects or in new environments , and is expressed through technology and devices. This is not performed by merely loading the technology or by combining the devices. The nature of the content and its results emerge as a new species through in-depth intermediation of technologies. These applicable elements of the object can serve as a link for detailed and concrete objects, and can expand to new expressions or provide the basis for various measures. This study focuses on applicability that can express the detailed and segmented object for spatial presentation through the types and elements that can represent or produce the extended nowness as new objects. (Method) This study examines the elements of spatial presentation through an analysis of material-centered object types, and analyzes the types and elements of the object's medium of expression and materials, methods of expression, and techniques of expression by examining relevant literature. Subsequently, this study will analyze the place and time in the type of material-centered production, expressions according to tastes, structural elements like spatial formation, spatial division and connection, or relational factors including figurative elements. (Results) From this study, we can recognize that the material of an object's specific type element and the material's extension, medium of expression, figurativeness, and expressed aspects can be revealed through spatial elements. Therefore, an object as an application method or expression type element, is another semantics and subject to the application. Analyzing the relationship of elements according to the type of object shows a close relationship among the internal space, external space, and complex elements. The structural elements of the space form a space according to the user or product type, and the development of material is possible through the medium and materials of the object. In addition, the textile techniques through expression types can be induced, and spatial presentation can be expressed through the formative elements and expression techniques of objects. (Conclusions) This implies that the core elements of the object type can be diversified and applied in detail when presenting a space. It is being applied by separating space through the introduction of various materials. For products that emphasize texture and finish, the novel combination of intelligent materials of the fabric can be integrated and subdivided for the specific elements to be analyzed, enabling diverse and creative design development and spatial extraction suitable for the application type. This shows various possible expansions in interlinked areas for new presentations of space.

      • KCI등재

        교육시설 공용공간의 유형별 공간구조적 특성에 관한 연구

        현창용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22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7 No.3

        (연구배경 및 목적) 교육시설은 급변하는 교육 제도와 사회적 흐름에 맞추어 큰 변화를 요구받는 시대적 변화에 직면해 있다. 한국의 교육시설은 이러한 흐름 앞에 학교공간혁신사업 등 정부주도 사업을 진행하고 있으나, 이를 뒷받침 할 관련 사례연구 및 이론화 과정이 부재한 실정이다. 이러한 배경을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미래세대 학교공간을 위한 기초연구로서 선진교육을 수용하고 있는 우수 학교 사례들을 수집하고 분석하여 이를 유형화하고 유형별 계획적 특성을 도출해 다양한 학교시설의 니즈(needs)에 맞는 기초 데이터를 확립하고자 한다. 나아가 그 과정에서 사례별 공간구조의 특질에 초점을 맞추어 정량적 결과를 함축하는 분석을 수행함으로써 학교공간의 저층부 공간의 유형별 특질을 규명해 공간의 형태에 따른 바람직한 학교공간의 디자인 방향성을 제시함에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본 연구는 국내외 교육시설의 다양한 사례를 포괄적으로 수집하고 그 중 도면화가 가능한 대상을 선별하여 연구의 대상으로 삼았다. 나아가 사례 수집의 과정에서 학교공간의 특성을 고려하여 학생들의 다양한 활동의 가능성을 담보하는 저층부의 공용공간 형태를 중심으로 교육시설의 유형화 가능성을 동시에 모색하였다. 이를 통해 총 4가지 유형의 공용공간의 구조적 유형화가 가능하였으며 이를 기준으로 세부적인 공간구조적 특성 분석을 수행하였다. 공간구조의 분석에 있어서는 정성적 분석이 아닌 정량적 지표를 제시하고 분석하여 객관성을 담보할 수 있는 데이터를 생산하고자 하였다. (결과) 첫째, 교육시설은 각 전용 공간들을 매개하는 다양한 형태의 공용공간을 가지고 있으며, 사례의 수집과 유형화 결과 크게 4개의 유형으로 나뉘어질 수 있었다. 단일 복도의 연계로 이루어진 단일갤러리형, 하나의 순회동선으로 구성되는 순회갤러리형, 가지형으로 전개되는 트리갤러리형, 자유로운 구성을 보여주는 자율갤러리형이 교육시설 공용공간의 형태를 기반으로 한 4가지 유형화의 결과라 할 수 있다. 둘째, 유형별 내부공간의 공간구조적 특질을 분석하기 위해 가시장분석(VGA)을 통한 가시장그래프 및 위상도(visual integration)를 분석해 본 결과 각 유형별로 다른 구조적 특성을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트리 갤러리형, 자율 갤러리형, 단일 갤러리형, 순회 갤러리형 순으로 낮아지는 위상도의 분포를 볼 수 있었으며, 이는 공간의 쉬운 이해와 자율성을 의미한다는 측면에서 교육시설 계획 시 공용공간의 구성과 형태적 유형을 특정할 때 참조할 수 있는 지점을 제공한다. (결론) 본 연구는 교육시설의 공간구조적 특질에 기반한 유형화를 수행하였으며 그 과정에서 국내외 사례의 비교분석이 가능한 사례의 수집, 유형의 분류, 정량적 분석결과의 도출 등을 통해 미래세대 교육시설 건축의 기초자료를 형성하였음에 그 의미가 있다고 하겠다.

      • KCI등재

        상설전시공간 전시대 유형분류에 의한 특성에 관한 연구 - 부산지역의 박물관과 전시관을 중심으로 -

        김동식,이상호,김미진 대한건축학회지회연합회 2014 대한건축학회연합논문집 Vol.16 No.6

        본 연구의 목적은 상설전시공간에 있어서 전시대의 형태유형을 현황 조사 분류하고 분석하여 상설전시공간에 대한 기초적인 참고 자료로서 사용되고자 한다. 상설전시공간 전시대를 현장 조사하여 현황을 먼저 파악한 후 내부 전시 형태유형을 분류한다. 일차적으로 ‘입면’, ‘단면’, ‘평면’ 형태유형별로 각각 분류하며, 또한 이를 형태유형, 배치, 분리 등의 요소에 따라 세부적인 틀을 정한 명칭으로 이차적인 분류를 한다. 조사지역은 국내 소재 박물관 만족도가 제일 낮은 동남권에서 제일 큰 도시인 부산광역시로 정하여, 부산광역시 소재 총 40곳의 상설전시공간에 있는 전시공간의 전시대를 선정하였다. 마지막으로 1, 2차 나누어진 형태유형별 전시대는 다시 ‘시대적’, ‘연면적’, ‘주요전시물’에 따라 분류하여 통계 및 분석을 하였다. 이는 곧 일반인들에게는 효율적으로 문화상설전시공간에 대한 이해를 하도록 돕는 역할을 하며, 디자이너들에게는 관람객 중심의 전시로 변화하고 있는 상설전시공간의 선진화를 도모하기 위한 연구 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The main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provide basic reference guidelines for interior prototypical characteristics exhibition structures of museums and exhibit halls as permanent exhibition spaces. Firstly many different types of exhibition structures were classified as elevational, sectional, planar shapes after visiting actual exhibition spaces. Secondly each exhibition structure was named by additional detail shapes such as special form, layout, division, etc. The research was mainly focused on forty different permanent exhibition spaces in Busan because evaluation of user’s satisfaction is very low points compared with other cities in Korea. Lastly exhibition structures were classified in a different way in order to analyze by a period, size, and main exhibition contents. Therefore it would be greatly helpful basic research materials for understanding currently well used types of exhibition structures in permanent exhibition spaces as well as designing advanced exhibition spaces as designer’s point of view after realizing users preference along with satisfaction values.

      • KCI등재

        공유공간 '셰어링 스페이스'의 공간 유형 분석 - 공유 경제의 개념을 바탕으로 -

        신은별,이진민 한국브랜드디자인학회 2016 브랜드디자인학연구 Vol.14 No.4

        기술의 발달과 온라인 플랫폼의 구축은 물리적 공간의 한계를 넘어서고 잉여, 유휴 자원을 공유함으로써 ‘공유 경제’가 대두되었다. 이런 시대적 흐름에 따라 변화하는 공간의 양상을 공유 경제의 개념을 바탕으로 살펴보고 ‘공유 공간’의 개념 확장과 그에 따른 공간 유형을 밝히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는 2013년부터 서울시가 진행한 ‘공유기업 지정 및 사업비 지원사업’에 선정된 공유기업·단체 중 ‘공간’ 분야의 35개의 기업을 대상으로 하며 첫째, ‘공유허브(sharehubkr)’에 공개된 정보를 수집. 둘째, 이론적 고찰을 바탕으로 대상 사례를 ‘공유 경제 및 사회 문제 유형’과 ‘공유 공간의 기능, 운용, 상태’를 기준으로 분류하여 유형화한다. 셋째, 유형에 따른 양상과 의미를 분석하여 현재 공유 공간의 현황을 파악하고 앞으로 연구 및 개발이 필요한 유형을 밝힘으로써 균형적인 공유 공간의 발전 가능성을 모색한다. 공유 공간은 숙박, 문화 및 기타의 기존 공간을플랫폼 방식으로 운용하고, 주거, 사무의 실공간을 신축하여 공유하며, 유휴공간을 플랫폼과 기획 및 매니지먼트로 운용하여 문화 및 기타 기능으로 활용하려는 유형이 두드러진다. 또한 공간서비스 및 재분배 의 공유경제 유형으로 복지, 문화의 사회문제 해결하는 모델 개발이 필요하며 숙박, 주차의 오프라인으로 범위 확장과 유휴공간의 실공간 공유로 오프라인의 커뮤니티 형성, 그리고 주거, 사무 기능의 플랫폼 활용과 기획 및 매니지먼트로 공간 공유가 활성화가 요구된다. 본 연구는 공유경제 개념의 보편적 확대에 따른 소비 행태 변화를 바탕으로 ‘공유(共有)공간’의 용어 재정의와 개념 확장을 통해 공간적 유형을 밝히는데 목적이 있으며 향후 발전적 전개모색을 위한 기초자료로서 그 의미가 있다. Because of the development of technology and platforms, space has exceeded the limitations of physical space. Then, sharing surplus, idle resources became important. This thesis aims to expand the concept of sharing space and categorize the types of sharing spaces based on transforming the aspect of space as time goes on. This thesis examines 35 companies in ‘space’ category among the selected sharing company and organization which are supported by Seoul city project since 2013. Public information on Sharing Hub (sharehub.kr) is collected. Case studies are categorized by sharing economy and types of social issues, the function of sharing space, managing methods and conditions. Sharing space can be categorized as three distinctive types; Operating space as a platform by utilizing previous space such as accommodation and cultural space. Residential and office can be newly built, shared that place. Using space as a cultural place by setting up platform and management. Moreover, sharing space for solving social issues should be developed as a spatial service and re-distribution of sharing space.

      • KCI등재

        한국적 다문화 이론과 공간에 대한 고찰: 서울의 경우

        김일림 ( Il Rim Kim ) 한국사진지리학회 2009 한국사진지리학회지 Vol.19 No.4

        한국은 오랜 기간 화교집단이 공존하였으며 1980년대 중반부터 외국인 노동자들이 유입되었고 더욱이 한중수교로 조선족이 대거 유입되었지만 국가에서는 크게 문제 삼지 않았다. 그러나 세계화의 흐름으로 1990년대 중반부터 한국은 다문화국가로 변모되면서 2006년 국가에서는 관주도의 다문화국가임을 선포하고, 정책을 펼치고 있다. 서울의 다문화공간은 4가지 공간으로 구분할 수 있다. 유형은 이주시기, 기능, 경관유형에 따라 점선면 공간유형으로 구분된다. 첫째, 면적 공간유형은 두가지로 90년대 중반이전과 이후로 구분된다. 이전에 이주한 집단은 선진형으로, 거주, 교육, 상권 등 자족기능을 할 수 있는 유형이다(서래마을, 리틀도쿄, 차이나타운). 둘째, 면적 공간유형 중에 90년대 중반이후에 유입된 유형으로, 경제적인 목적의식이 뚜렷한 집단으로 입지지역은 재개발될 슬럼화된 장소에 민족별 Ghetto가 형성된 경우이다(조선족마을, 무슬림마을). 셋째 선적 공간유형은 도로대로변에 형성되는 유형으로 상권경관이 뚜렷하게 나타나며, 일시적으로 요일에 따라 형성되기도 한다 (나이지리아, 필리핀, 네팔). 마지막으로 점적 공간유형은 다문화에 유입되어 거주하기보다는 상업적 목적으로 일시적으로 머무르는 유형에 속한다. 거주기능보다는 숙박기능이 강하다(몽골, 러시아). Korea gradually became multicultural nations and Therefore, Korea declared it with multicultural nations at the national center in 2006. The space of various culture of Seoul is sorted to four kinds. The emigration time and a function and the type by the scene are sorted by dotted line area space type. The first, the space type of the area is sorted to 2, it is sorted in after and before the middle stage in 90s. The group which came before 90s is an advanced national type. It type is possible the residence, Education, commercial domains function of the selfsufficiency. The second, it is a type flowed in area space type after the middle stage in 90s. The ghettoism that this is the group where economic sense of purpose is clear, and the geographical convenience area is redeveloped is a done place. The third, loading space type is a type formed by a road side. As for this, the scene of the commercial domain emerges clearly and, it is formed temporarily by a day. Finally, the intravenous feeding space type belongs to a type to be confined to a commercial purpose temporarily than I live in Korea. A lodging function is stronger than the residence function.

      • KCI등재

        재난·재해지역 구호활동 지원 서비스를 위한 공간 유형 연구

        최성경 ( Seongkyung Choi ),문정민 ( Jeongmin Moon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18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3 No.5

        (연구배경 및 목적) 재난의 유형이 다양해지고, 피해 규모가 점점 확대되면서 현대사회의 재난 대응방법 역시 지난세기와는 달라져야 할 것이다. 현대인들은 과거와 달리 고도로 발달한 산업과 도시 사회 속에서 많은 것을 누리고 경험하면서 있기 때문에 현대인들 물리적 욕구를 넘어서 문화, 감성적 욕구가 복합적으로 나타나고 있다. 따라서 재난을 예방, 대응, 복구하는 과정에서 단순히 물리적 복구와 의식주 제공을 넘어서 복잡해진 사회 시스템을 재건하고 이재민들의 물리적 안전과 심리적 안정을 충족시켜줄 다양한 지원 서비스와 공간이 필요하다. 재난사회의 다양한 니즈와 재난단계에 따라 제공되는 구호서비스 분석을 통해 재난·재해 지역에서 재난구호활동을 위해 필요한 다양한 구호공간의 유형을 파악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다양해진 구호활동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활동별 특성과 사용자를 고려한 공간 환경이 제공되어야 한다. 다양해진 구호 활동의 유형과 특성을 조사하고, 활동의 주체를 파악하여 구호 공간의 유형을 분류한다. 분류된 구호공간의 유형이 재난 피해의 규모와 재난의 기간에 따른 공간 구성을 파악한다. 분류된 공간유형과 구성방식을 토대로 국내의 재난 사례별 공간의 현황을 파악한다. (결과) 구호 서비스는 재난의 유형, 피해 지역과 이재민의 특성에 따라 다양한 프로그램이 제공되어야 한다. 하지만 이론적 고찰을 통해 분류한 총 8가지 구호 공간 유형을 토대로 국내에서 재난발생 이후 보급된 대피소 및 구호 공간 4가지 사례를 분석한 결과 이재민들을 위한 주거생활 지원, 의료서비스, 및 상담 공간과 봉사자들을 위한 행정관리 공간은 어느 정도 보급되어 있으나, 봉사자들을 위한 휴식 및 주거 공간과 지역 사회와 이재민의 경제 활성화를 위한 공간은 프로그램 자체가 지원되지 못하고 있다. 또한 이재민 대피 장소로 지역 체육관과 초등학교 체육관 및 교실이 사용되었는데, 기존의 다른 용도의 시설을 임시로 사용하다보니, 보급된 공간 대부분이 체계적으로 구성되지 못하고 파티션, 이동식 가구와 천막 등으로만 구성되어 있었다. 이렇다 보니 재난이 장기화 될 경우 대피 장소가 변경되어 떠돌아다니게 되면서 이재민들은 심리적 불안감을 느끼게 되고, 봉사자들을 위한 공간 역시 임시적인 공간으로 구호 기능에 따른 전문성을 갖추고 있지 못하여 지속적인 구호활동에 어려움을 겪고 있었으며, 모든 활동이 외부에 쉽게 노출되어 활동의 효율성을 저하시켰다. (결론) 재난의 피해 규모와 유형에 따라 짧게는 임시대피를 위한 공간계획부터 길게는 도시재건을 위한 1~3년의 장기적 복구과정에서 필요한 공간 계획이 필요하다. 하지만 지금까지 제공된 재난 대응 및 대피 공간은 단기적으로 제공될 목적으로 구성되어 있다 보니, 재난이 장기화 될 경우 장소를 이동하거나 컨테이너형 임시 가설 주택을 보급하여왔었다. 지난 사례들을 통해 보여주었듯 단기적 대응 목적을 위한 공간 보급은 이재민들이 재난상황을 극복해나가는데 크게 도움을 주지 못하였다. 때문에 봉사자, 이재민, 지역사회가 협력을 통해 지역의 특성에 맞는 대응체계를 구축하여 물리적인 복구를 넘어서 지역사회의 경제, 사회, 문화 전반의 재건이 함께 이루어질 수 있는 구호 지원 서비스와 공간 환경을 상황에 맞도록 신속히 보급할 수 있는 보급체계 구축과 구호활동의 효율성을 높여줄 수 있는 공간 디자인이 필요하다. (Background and Purpose) As modern people in a civilized society with highly developed industries are offered opportunities to experience and enjoy many pleasures, many start expressing cultural or affective needs beyond physical ones. Thus, as a way of preventing, responding to, and recovering from disasters, more varied and more support services and spaces need to be provided for fulfilling security and psychological relief for victims; complex social system need to be rebuilt in the wake of disasters, in addition to recovering from physical damage and providing the necessities of life. (Method) For improving the efficiency of varied relief activities, a space atmosphere that accounts for users’ needs and activities’ characteristics should be provided. This study examined the type and characteristics of more varied relief activities, and then classified type of relief and users. We then classified the pace of organizations according to the duration of disaster and scale of damage. Lastly, we ascertained the status of spaces by disaster type domestically, based on format and space type. (Results) More varied programs, as relief service, should be provided by considering victims’ characteristics, disaster type, and damaged areas. The study analyzed four cases each of relief space and evacuation space provided after disaster, based on eight types of relief space, through theoretical contemplation. Administrative spaces for volunteers and spaces for consultation, medical service, and housing for victims are provided to some extent, but any space for revitalizing victims’ economy and space for volunteers to relax are not offered. In addition, some gymnasium and classrooms are used as evacuation spaces for victims. However, as these spaces are built for other purposes, they are not utilized systematically, only used temporarily using portable furniture, partitions, and tents. Considering all the facts, if a disaster would be prolonged, victims might feel psychologically nervous from the temporary nature of evacuation spaces. Moreover, as spaces for volunteers are temporary, they cannot perform their professional function and cannot support continuous relief activities, which reduce the efficiency of relief activities by exposing all of the activities to the elements. (Conclusions) Space planning for prolonged relief is needed for rebuilding cities and providing temporary evacuation, with consideration for the disaster’s scale and type. Many evacuation spaces are provided temporarily; if rebuilding after a disaster is prolonged, then victims would need to move their temporary spaces or be provided temporary container as living space. However, providing supporting spaces temporarily cannot help victims overcome their disaster-struck situation. In building a response system through cooperation with volunteers, victims, and local communities, highly efficient space design and the establishment of a supply system can be implemented, according to the situation of local communities, to fulfill citizens’ needs toward economic, cultural, and social recovery.

      • KCI등재

        한중일 정원 공간과 사용자 행위 특정 비교 분석

        후핑리 ( Hu Pingli ),최경란 ( Choi Kyungran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21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6 No.8

        (연구배경 및 목적) 본 논문은 사용자를 중심으로 정원 공간의 정신적 기능 특성에 대한 연구로 다양한 사용자가 유사한 동아시아가 사상(유(儒), 불(佛), 도(道), 신(神)과 자연 철학 사상 포함)이 있다. 제 2장에서는 한중일 정원 공간 형태는 사용자의 지역 문화와 생활방식의 연관성을 탐구하고 공간 건축은 역사문화, 민간 신앙 및 사용자의 사회 신분 특징을 구현된다. 제3장과 제4장은 사용자의 입장과 특정한 시대의 공간 생활행위를 통해 서원(書院), 문인(文人) 정원, 가레산스이(枯山水) 정원의 공간 배치, 경관 요소, 시각적 화면과 정신적 사용 기능 등 공간형태 특성에 대해 유추분석을 통하여 사림(士林), 문인(文人), 무사의 사상과 생활 취미가 공간 정신적 기능의 사용 요소가 형성되는 것을 얻었다. 공간 형태는 사용자의 정신과 물질적 삶을 담고 있으며, 이런 사용자의 문화 특성으로 15-17세기 한중일 지역 공간의 독특한 문화를 형성하였다. 동시에 전통적인 생활공간을 비교 분석하는 목적도 사회변화에 따른 이용자의 공간형태에 대한 영향과 생활공간 욕구를 파악하기 위한 것이다. (연구방법) 서적, 문헌, 회화 자료를 바탕으로 한중일 사용자 생활과 관련된 사례 3개씩 총 9개의 공간을 선정해 사용자 유형의 정원 공간 사용 행태를 자세히 그려 분석한다. 정원 사용자의 공간 사용 유형은 사상 유형, 생활 유형, 취향 유형이다. 문헌 조사 연구는 사용자 행위, 공간 배경 연구에 사용하였다. 본 논문은 한중일 분석 연구와 고대 회화(繪畵) 자료에 대한 연구로 사용자 생활방식을 찾고, 공간 현장 조사 연구를 진행하였다. ‘유추(Analogy)’라는 인지모델과 이론을 사용해 정원공간 내 사용자와 공간유형의 유사성과 차이의 특성관계를 분석 연구한다. 유추의 주요 기능에는 이미 알고 있는 유추 내원의 개념 액세스, 이미 알고 있는 유추 내원을 목적물과 비교, 유추물 및 목적물간의 매칭 접합도 평가, 나의 액세스 유추물과 목적물간의 추론, 유추물과 목적물간의 공통성과 차별성 추출이 있다. (결과) 연구결과로 보면 사용자 사상은 서원, 문인정원, 가레산스이(枯山水) 정원 공간유형을 형성하면서 사용자의 생활습관과 풍속, 개인적 취향 등이 공간의 차이를 이루고, 또 사회환경과 구조의 변화는 사용자의 생활방식에 영향을 미치고 생활공간의 사용방법과 형태요소 특성을 변화시킨다. (결론) 유사한 사상 배경, 상이한 생활 방식과 상이한 사용자 정신적 기능에 대한 욕구에서 서원(書院), 문인(文人)정원, 가레산스이(枯山水)정원 유형의 형태가 나타났다. 본 논문이 공간 문화의 차이 특징에 대한 연구를 형성하였으며, 공간 문화 특성의 구성요소를 발생하여 공간의 정신적 기능의 디자인 구성 요소의 가상을 제출하였다. (Background and Purpose) This paper examines the spiritual functions of the user-centered garden space in Korea, China, and Japan, for users from diverse background who share similar East Asian beliefs, including Confucianism, Buddhism, Taoism, God, and natural philosophy. The second chapter discusses the correlation between the spatial form of gardens in these countries and the regional culture and lifestyle of users. The spatial architecture reflects the characteristics of history and culture, folk beliefs and the social identity of users. In Chapters 3 and 4, the characteristics of spatial forms such as spatial layout, landscape elements, visual images, and spiritual use functions of academy, literati garden, and dry landscape garden are analogously analyzed from the perspective of users and the spatial life behaviors of specific times, respectively. It is concluded that the thoughts and life interests of scholars, literati, and warriors form the use demand elements of spatial spiritual function. These types of gardens that were unique to Korea, China, and Japan in the 15-17th centuries, are composed of users’ ideological and cultural characteristics, and has been recognized as a world cultural heritage by the United Nations. Concurrently, the purpose of comparative analysis of traditional living spaces is also to understand the influence of users on space form and the exploration of living space demand under social changes. (Method) Based on documents, painting materials, field investigation and research, and users’ perceptions and living space as the selection criteria, three user-centered living spaces in Korea, China, and Japan were selected. Overall, nine gardens were used to analyze users’ life behaviors in the space, which can be classified into three types: the thinking type, the life type, and the interest type. The case study uses the cognitive model and theory of “Analogy” to analyze and study the relevance between the function, spatial form, and spatial concepts, and the similarity and difference of the key elements of space types in the extant Korean, Chinese, and Japanese gardens. (Results) The results show that users' beliefs form the space types of academy, literati garden, and dry landscape garden respectively, and users' living customs, personal interests, and other factors constitute the different space form. Changes in social environment and structure have an impact on users' lifestyle, and change the use methods and features of the living space. (Conclusions) Similar ideological backgrounds, different lifestyles, and diverse users’ spiritual requirements have resulted in the types of academies, literati gardens, and temple rock gardens. The different characteristics of the space types constitute the featured elements of space culture. Accordingly, the hypothesis of the design of the space spiritual function is proposed.

      • KCI등재

        서사적 공공공간을 위한 디자인 주체의 참여 유형에 관한 연구

        노욱,서동진,김주연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23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8 No.5

        (연구 배경 및 목적) 도시화가 가속화되고 도시 공공공간에 대한 사람들의 요구가 다양화됨에 따라 공공공간 디자인은 기존의 단순한 기능적 고려에서 문화, 역사 및 사회적 의미에 더 중점을 둔 서사적 디자인으로 전환된다. 1970년대 대중 참여의 물결은 도시계획 분야의 실천에 영향을 미치기 시작하고, 공공공간 디자인의 권리와 형식은 사회와 대중으로 이동하기 시작한다. 또한 고전적 서사에서 포스트 클래식 서사학으로의 서사 연구의 전환은 공간의 디자인 방법을 풍부하게 할 뿐만 아니라 디자인 도출 과정에서부터 적극적인 참여자로서 새로운 구성과 아이디어를 제공한다. 참여 주체의 유형과 그것이 서사적인 공공공간 디자인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다시 생각해 볼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논문의 연구 목적은 공공공간 디자인 주체와 서사 주체의 발전 추세와 연관성을 분석하고 서사적 공공공간 디자인 주체의 다원화된 참여 유형과 그것이 공간에 미치는 영향을 도출하여 공공공간의 질적 향상과 발전에 기여하는 것이다. (연구 방법) 첫째, 이론적 고찰을 통해 공공공간 디자인 주체의 구성 요소와 발전 추세를 명확히 하고 디자인 주체의 참여 방식과 특성을 도출한다. 둘째, 서술 주체의 개념을 명확히 하고 고전서사학과 포스트 클래식 서사학 연구에서 서사 주체가 보여준 서로 다른 특성과 둘 사이의 변증법적 관계를 분석한다. 셋째, 현대 다원적 주체 협력의 관련 사례를 분석 대상으로 하여 서사적 공공공간 디자인 주체의 참여 유형과 다른 유형이 공간과 서사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한다. (결과) 첫째, 공공공간의 유형적 다양성과 사회의 다양한 주체 간의 관계의 복잡성을 기반으로 공간 디자인에서 인간의 참여 역할이 점점 더 중요해지고 있다. 정부, 전문가, 이해관계자, 주민의 네 가지 측면으로 디자인 주체를 구성하는 요소로서 주체 자신의 각도에 따라 공간에서 강점을 발휘한다. 둘째, 서사 주체의 특성은 공공공간 디자인 주체의 특성과 높은 상관관계를 가지며, 모두 다양한 협력과 대중 참여의 요구를 반영한다. 서로 다른 방식으로 서사적 공공공간의 설계에 참여하는 것은 공공공간의 서사성과 공공성의 잠재력과 최적의 가치를 발휘하는 데 도움이 된다. 셋째, 디자인 주체의 참여 유형을 다전공 협력형, 공모형, 공동 건설형(실제 참여형, 물질 참여형), 공모-공동 건설형, 자발형의 6가지 유형으로 나눈다. (결론) 도시 공공공간은 복잡하고 다양한 존재이며 다양한 사회 주체도 다른 가치, 다른 참조 시스템 및 다른 조직 행동 방식을 가지고 있다. 서사적 공간의 스토리텔링 내용과 디자인 방법에 따라 적절한 참여 방식을 선택하여 디자인 주체를 구성하면 의미 있고 스토리 있는 도시 분위기를 형성하는 데 도움이 된다. 본 연구를 통해 공간의 구체적인 상황에 따라 디자인 주체의 참여 유형을 객관적으로 선택하길 바란다. 공공공간의 품질과 서사적 표현의 효과를 향상시키는 동시에 공공참여의 발전을 촉진하여 건전한 도시 건설 및 거버넌스의 토대를 마련한다.

      • KCI등재

        DiSC 행동유형에 따른 공간 색채분포도 연구 - 과학영재를 중심으로 -

        김나울,손원준 한국디자인트렌드학회 2022 한국디자인포럼 Vol.27 No.3

        연구배경 공간 색채는 인간에게 미치는 영향에 대해 신중하게 분석하고 계획되어야 하며 공간에 머무르는 사용자의 욕구에 충족되는 최종의 목적을 이루어야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공간을 사용하는 대상으로 과학영재를 선정하여 그들의 DiSC 행동유형을 파악하고, 행동유형별 선호하는 공간에서의 색채분포도를 통해 색채 경향성과 상호연계성을 확인하여 효과적인 색채 환경 공간에 이론적 근거를 마련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공간에서의 색채의 중요성과 DiSC 행동유형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 문헌연구에 따른 이론적 고찰을 진행하였다. 이를 토대로 본 연구의 대상인 과학영재의 DiSC 행동유형 조사 및 그들이 선호하는 공간에 대한 리서치를 진행한 후 행동유형별 분포도가 높은 순서대로 분석, 분류하였다. 이후 KSCA 프로그램을 이용해 공간 내 보여 지는 색채 분포도를 최종적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과학영재의 DiSC 행동유형은 S형- C형- I형- D형 순으로 분포되었으며 이는 과학영재들의 70%가 차분하고 내성적인 유형인 내향형에 해당하고 나머지 30%는 열정적이며 사교적인 외향형에 해당됨을 의미한다. 또한 과학영재의 선호 공간 색채분포도는 DiSC 행동유형별 특징과 색채경향성이 대체로 일치함을 알 수 있었으며 이를 통해 행동유형과 색채분포도의 상호연계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결론 본 연구를 통해 과학영재를 위한 공간의 색채 계획 시 그들의 DiSC 행동유형을 고려하여 공간 색채를 반영하고 그들의 내재적 욕구를 만족시키는 색채 계획을 구상하여 색채 환경 공간을 조성함에 도움이 되기를 기대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