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비주얼 머천다이징의 구성요인과 공간구성 요소의 상관성 중요도 연구 - 홈퍼니싱 브랜드를 중심으로 -

        김운걸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19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4 No.4

        (연구배경 및 목적) 유통환경의 판매 공간에 있어 상품정보의 전달 역할과 판매촉진을 위한 수단으로 한정되었던 비주얼 머천다이징은 효과적인 커뮤니케이션의 수단으로써 그 역할이 증대되고 있다. 이는 급변하는 소비환경에 있어 효과적인 브랜드와의 커뮤니케이션을 위해 고객접점의 최적화된 판매환경을 필요로 하기 때문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비주얼 머천다이징의 구성요인과 공간구성 요소 간의 상관관계에 따른 중요도를 판매 공간사례를 통하여 그 중요성을 살펴본다. 그리고 그 중요도에 따라 기업공간의 전략적 접근을 위한 효율적인 판매환경의 구축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방법) 연구방법은 먼저 판매전시를 위한 주요 홈퍼니싱 브랜드 공간을 사례로 선정한다. 이어 이론적인 고찰 등을 통해 분석을 위한 평가표 및 이에 들어갈 평가항목 등을 추출한다. 그리고 리커트 척도기준의 정량적 평가 및 수치 결과에 따른 다이어그램 등으로 도식화하며, 정성적 평가를 병행한다. 아울러 평가표의 항목특성 간 상관관계 및 그 중요도에 따른 가중치를 해석하고 결론 맺는다. (결과) 연구의 결과를 살펴보면, 먼저 사례의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우선 비주얼 머천다이징의 구성요인은 조화성, 매력성, 유행성, 적합성, 기능성의 순으로 중요도가 높았고, 비주얼 머천다이징의 공간구성 요소는 FP존, VP존과 HS존, PP존, IP존 순으로 그 중요도의 가중치가 높았다. 이는 조화성과 매력성의 구성요인과 FP존, VP존과 HS존의 공간구성 요소에 비주얼 머천다이징의 계획 시 주안점을 둘 필요가 있음을 설명한다. 이에 비주얼 머천다이징의 구성요인과 공간구성 요소 간의 상관성에 관한 중요도를 그 가중치에 따라 파악함으로써 판매환경 공간에 있어 우선순위를 두고 고려해야 할 중요한 사항들을 인식할 수 있었다. 아울러 고객의 체험을 중심으로 하는 최근의 소비 공간흐름은 비주얼 머천다이징으로 하여금 이전의 단순 판매 전략에서 벗어나 공간마케팅을 위한 전략적 관점에서의 역할을 필요로 한다. (결론) 이와 같이 기업의 브랜드에 의해 제공 되어진 판매 공간은 목적하는 공간마케팅을 위한 활동의 효율과 효과적인 표현전략의 수립을 위해서는 비주얼 머천다이징의 프로그램을 적극 활용해야 할 것이다. 즉, 비주얼 머천다이징의 구성요인과 공간구성 요소 간의 상관성에 따른 중요도의 결과를 인식하고, 이를 통해서 브랜드 공간의 중요성을 인지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브랜드와 효과적인 커뮤니케이션을 위한 고객접점의 최적화된 판매환경 구축에 도움이 될 것이다. (Background and Purpose) Visual merchandising, which has been limited to the role of delivering product information and sales promotion in the sales space of the distribution environment, is playing an increasingly important role in effective communication. This shows that an optimized customer-contacting sales environment is required for effective communication with the brand in a rapidly changing consumption environment. Therefore, this study examines the importance of correlation between the components of visual merchandising and spatial components by analyzing sales spac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stablish an efficient sales environment for a strategic approach to corporate space. (Method) First, the main home furnishing brand spaces for sales display are selected as examples. The evaluation table for analysis and the evaluation items are then extracted through theoretical considerations. A quantitative evaluation is performed, according to the Likert scale, and the numerical results are displayed in the diagram; a qualitative evaluation is also carried out. In addition, the correlation between the characteristics of the items in the evaluation table and the weights according to their importance are analyzed. (Results) Harmony was found to be the most important component of visual merchandising, followed by attractiveness, trend suitability, and functionality, while the spatial components of visual merchandising had the highest weightage in terms of importance in the FP zone, followed by the VP zone, the HS zone, the PP zone, and the IP zone. This shows that it is necessary to focus on the components “harmony” and “attractiveness” and the spatial components of the FP, VP and HS zones when planning visual merchandising. In this regard, this study on the importance of the correlation between the components of visual merchandising and the spatial components according to their weights reveals what should be prioritized and considered in the sales environment space. Besides, the recent consumption space trend that focuses on customer experiences requires visual merchandising to play a role in space marketing from a strategic perspective, beyond the traditional simple sales strategies. (Conclusions) As such, the sales space provided by the company's brand should actively utilize visual merchandising to establish effective expression strategies for the purpose of space marketing. In other words, it is necessary to recognize the study results on the importance of correlation between the components of visual merchandising and spatial components, and acknowledge the importance of brand space. This will be helpful in building an optimized customer-contacting sales environment for effective communication with the brand.

      • KCI등재

        청주시 가로공간의 위계별 구성요소의 중요도 설정

        전상규(Jeon, Sang-Gyu),노희철(Roh, Hui-Cheol),황재훈(Hwang, Jea-Hoon) 한국도시설계학회 2012 도시설계 : 한국도시설계학회지 Vol.13 No.4

        본 연구는 보행 및 차량의 통행을 병행할 수 있는 가로공간에 관하여 위계별 중요도를 도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가로공간을 도로의 종류별 규모로 설정하여 가로공간의 구성요소를 선행연구와 관련문헌을 통해 도출하였다. 도출된 가로공간 구성요소를 바탕으로 전문가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조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로의 경우 이동 및 통과가 주 기능이므로 구성요소 역시 이동 및 통과와 관련되어진 요소에 맞춰 계획이 이루어져야 한다. 둘째, 중로의 경우 이동과 통과의 기능과 함께 체류의 성격도 있다. 따라서 도시민의 행태에 의한 문화적 특성요소, 이동과 통과, 상젓공간을 감안한 안전성에서 중요도가 높게 분석되었다. 셋째, 소로의 경우 공간을 이용하는 행태가 반영되어진 요소들로 중요도가 분석되었다. 또한 소로는 구조적 특성상 안전성을 중요시해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도로의 위계별 접근을 통해 구성요소의 조성이 이뤄져야 가로공간의 질적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This research draws the hierarchical weighting rate of the constituents of the street-space for both pedestrian and vehicle. For this purpose, a suggested types of the street-space was set up according to the scale and the component elements considering the advanced research and relative theory. The expert survey was performed based on the drawn street-space component elements. The survey result is as follows. First, in the case of the main road, since the circulation and traffic capacity are the main functions, the plan should be adjusted to the component related to the circulation and traffic. Second, in the case of the middle-size road, there is a tendency of the abiding by with all traffic issue. Therefore, the importance was highly estimated in the safety considering inconsistency space, cultural element, and circulation and traffic by behavior of the citizen. Third, in the case of the narrow path, the importance was on behavioral elements such as the use of the space. In addition, safety is issued by structural characteristic in the narrow path. The result of this research through the access of hierarchy of the road can assist the physical plan, which could enhance the quality of the street-space.

      • KCI등재후보

        현대 기념 경관 디자인의 공간 구성에 관한 연구

        여문정(Yu, Wenting),김은정(Kim, Eunjung),홍관선(Hong, Kwanseon) 인제대학교 디자인연구소 2014 Journal of Integrated Design Research (JIDR) Vol.13 No.2

        20세기 이후 기념경관은 도시 주민들에게 휴식과 정신적 긴장을 풀고, 소통의 공공장소의 공간으로 사용되면서 기념적 공간의 문화적, 시대적 특징을 넓혔다. 기념경관은 그 시대 이데올로기가 반영될 뿐 아니라 사회적 지향성을 내포하고 있다. 또한 기념물의 형태와 표현방식은 그 시대의 문화를 대변하고 있다. 연구의 목적은 20세기 이후 국내외 기념공원, 광장, 기념관 외부 공간 등의 사례분석을 중심으로 기념적 경관의 역사성 및 특징, 발전과 사회문화, 기술 영역 등을 분석하여 현대디자인에 있어 지향해야 할 창의적이고 독창적인 다양한 기념시설을 디자인해야할 필요성을 제기하며, 기념적 경관의 지속 가능한 발전에 기여하고자 한다. 연구의 방법은 문헌연구고찰을 통해 기념경관의 정의와 발전형태, 공간 구성요소와 시퀀스 분석요소 및 경관구성 요소를 중심으로 분석의 틀을 마련하여 이를 토대로 선행연구에서 대표적으로 나타난 사례인 기념적 경관 사례를 분석하였다. 연구의 범위는 2000년 이후의 문헌연구를 통한 선행연구 사례들을 앞서 분석하여 중국과 한국을 대표하는 실제사례 4곳을 심층적으로 분석하였다. 따라서 기념공간의 내용은 인물, 사건에 대한 표현과 감정을 포함하며 시퀀스는 공간의 전체적인 분위기를 형성한다. 기념공간의 조성은 공간형식의 형태, 비례와 척도의 처리, 인접공간의 비교와 변화, 공간 사이의 연결 등의 방면이 포함된다. 기념경관의 요소는 하드요소(조각, 건축물, 포장)와 소프트요소(식물, 수경), 기타요소(색채, 질감, 조명)들로 구성되면서 하나의 완전하고 통일적인 공간구조를 형성하여야 할 것이다. 20th century memorial landscape in the city residents, rest and mental relaxation, communication, public places, expanding the times and cultural characteristics of memorial landscape. Memorial landscape not only reflects the ideology of the times, but also contains a social tendency, and the monuments of form and expression also reflects the culture of the times. The aim of the study abroad since the 20th century, Memorial Park, Square, Memorial outside space and case studies focusing on the history of landscape characteristics and features of memorial, cultural and social development, and technology areas, and analysis should be oriented to a modern design a variety of creative and unique designs in the need to raise commemorative and memorial landscapes that contribute to the sustainable development. The method of the research literature through discussion of the definition and development of commemorative landscape form, space and landscape components, sequence analysis and the component elements of the center to provide a framework for analysis based on previous studies which typically appears in the case of memorial landscape cases were analyzed. The scope of the research literature since 2000, over the previous study, the researchers analyzed the cases before them in person on behalf of China and South Korea, who had five real cases analyzed in-depth. Therefore, the contents of the celebratory space character, and emotion expression event comprising a sequence of the overall atmosphere of the space formed. Greeting space in the form of the composition of the spatial type, proportion and treatment of the measure, compare and change in the adjacent space, such as space, the connection between the fold and the like. The elements of the landscape commemorating the hard elements (sculpture, architecture, packaging) and soft elements (plants, hydroponics), and other elements (color, texture, lighting) consists of a complete and unified as a single spatial structure should be formed.

      • KCI등재

        뉴스 방송무대공간에서 앵커 테이블 공간구성요소의 중요성 연구

        윤진희(Yoon, Jin Hee),김현중(Kim, Hyun Joong)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21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27 No.2

        2011년 12월 1일 종합편성채널이 개국되면서, 미디어 환경의 구조적 변화가 심화되고 채널 간 경쟁이 치열해지면서 차별화된 비주얼 표현이 더욱 강조되었다. 따라서, 각 채널을 대표하는 메인 뉴스 프로그램의 채널 아이덴티티를 전달함에 있어 무엇보다 방송무대공간 다자인의 중요성이 대두되었다. 이에 본 연구는 뉴스 프로그램의 방송무대공간을 디자인할 때 공간구성요소의 중요성을 판단하기 위해 송출화면 분석을 통한 공간구성요소를 도출하고, 요소별 비중도를 반영하여 방송 시간 대비 노출도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앵커 테이블은 노출도가 가장 높은 공간구성요소로 나타났다. 앵커 테이블은 앵커와 가장 근접한 물리적 거리에 있고 해당 채널의 아이덴티티를 조형적으로 반영한 요소이므로 공간 구성에 있어서 채널을 대표하는 공간적 요소임이 틀림없다. 이처럼 방송무대공간은 채널의 아이덴티티를 적용하여 시각적 차별화를 유도할 수 있는 공간적 구성요소이다. 앵커테이블은 방송 무대의 공간 구성적 측면에서 가장 우위에서 그 기능적 역할을 수행할 뿐 아니라 형태적으로도 주목도를 이끌어 낼 수 있는 중요한 공간구성요소인 것이다. 향후 연구에서는 이번 연구를 바탕으로 조명, 카메라에 따른 송출화면 변수를 분석하여 지속적으로 무대공간 표현을 연구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채널 브랜드 가치를 높이기 위한 방송무대공간의 디자인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As the comprehensive programming channel opened on December 1, 2011, the structural changes in the media environment intensified and competition between channels became more intense, and differentiated visual expressions were emphasized. Therefore, the importance of broadcasting stage space design has emerged above all in conveying the channel identity of the main news program representing each channel. This study derived spatial components through transmission screen analysis to determine the importance of spatial components when designing the broadcasting stage space of news programs, and analyzed the exposure level compared to broadcasting time by reflecting the relative importance of each element. As a result, the anchor table was the spatial component with the highest exposure. The anchor table is the closest physical distance to the anchor and is a spatial element representing the channel in spatial composition because it is a formative factor reflecting the identity of the channel. As such, broadcasting stage space is a spatial component that can induce visual differentiation by applying the identity of the channel. The anchor table is an important spatial component that not only plays a functional role in the most dominant aspect in terms of spatial composition of broadcasting stage, but also draws attention in terms of form. Based on this study, I would like to continuously analyze the representation of stage space by analyzing the transmission screen variables according to lighting and camera. Through this, the design direction of broadcasting stage space is suggested to enhance the value of channel brand.

      • KCI등재

        상업공간의 재생 유형별 실내구성과 디자인 요소에 대한 연구 - 대형 카페 중심으로 -

        서진희,윤세환 한국기초조형학회 2024 기초조형학연구 Vol.25 No.3

        최근 상업시설은 과거 단일 아이템의 전문점 개념에서 확장하여 대형화되고 있다. 이러한 현상은 다양한 공간구성과 차별화된 콘텐츠를 실내공간에 보여줌으로써 고객이 한번 들어오면, 오랜 시간 동안 자유롭게 머물면서 지속적으로 소비하도록 실내공간이 디자인되고 있기 때문이다. 카페 공간 역시 지속적으로 대형화되고 있는 추세인데, 치열하게 경쟁하고 있는 수많은 커피 브랜드는 차별화 된 공간을 찾기 위해 많은 노력을 하고 있다. 그중 하나로 과거 공장이나 창고 등으로 사용되었던 대형 폐건물을 이용한 재생공간의 대형카페들이 주목받고 있는데, 재생 공간의 장점은 충분한 면적 확보가 가능하고, 경제적 이익, 자원 재활용에 따른 환경 친화적 접근 그리고 폐건물이 지니고 있는 고유 요소와 특색을 실내디자인 요소로 활용 가능하기 때문이다. 본 연구의 대상은 서울 지역에 1970년대 이전 건축된 공장, 창고 등의 공간을 이용한 카페로서 ① 용도변경 후 재활용한 유형, ② 대수선 이상의 변경을 통한 재해석한 유형으로 나누어 재생유형, 실내 구조적 요소, 실내 장식적 요소를 분석하여, 재생상업시설의 건축물 유형에 따른 차별화에 대해 살펴보았다. 재활용형 유형은 과거 사용되던 건축형태와 공간의 디자인 요소를 최대한 그대로 노출시켜 공간의 역사적 의미를 바로 알 수 있게 하였다. 그리고 그 시대에 맞는 다양한 이벤트나 문화 콘텐츠를 결합하는 형태로 차별화하였다. 재해석형 유형은 과거의 건축형태는 유지하되, 필요공간을 변경 및 추가하고, 대부분 새로운 소재를 사용하면서 과거의 디자인 요소는 최소화하여 상징적 의미로 사용하였다. 향후 계속될 것으로 예상되는 도시의 노후화에 따라 기존 건물 재생에 대한 수요는 지속적으로 증가할 것으로 생각되며, 이에 따라 재생상업공간은 마케팅이나 예술, 문화적 측면과 더불어 실내구성과 디자인 측면에서 의미 있는 연구가 지속되어야 할 것이다. Recently, commercial facilities are becoming larger, expanding from the single-item specialty store concept of the past. This phenomenon is because indoor spaces are designed so that once customers enter, they can stay freely for a long time and continue to consume by showing various spatial configurations and differentiated contents in indoor spaces. As spaces of cafes are also continuously becoming larger, many coffee brands that are competing fiercely are making great efforts to find differentiated spaces. Recently, large abandoned buildings that were used as factories or warehouses in the past come into the spotlight. As regenerate those spaces, sufficient area can be provided economically and the structures of the building can be used. Furthermore, the unique elements and characteristics of abandoned buildings can be used as design elements. The target of this study is cafes using spaces such as factories and warehouses built before the 1970s in the Seoul area. The examples of regenerated buildings were divided into two types, ① a type recycled after change of use and ② a type reinterpreted through major repairs or more. The two types of the examples were analyzed with interior structural elements and interior ornament elements. The recycled type exposes the architectural forms and design elements of the space used in the past as much as possible, allowing the historical meaning of the space to be recognized by the users. The reinterpretation type maintains the architectural form of the past, changes and adds the necessary space, uses mostly new materials, and minimizes past design elements and uses them for a symbolic meaning. As the city deteriorates, the demand for regeneration of existing buildings is expected to increase continuously. Accordingly, regenerated commercial spaces require meaningful research in terms of interior composition and design as well as marketing, art, and cultural aspects.

      • KCI등재

        경험디자인 구성요소와 VMD공간 구성요소 간의 상관관계 중요도 사례 연구 - 의류브랜드 공간을 중심으로 -

        김운걸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20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5 No.3

        (Background and Purpose) Recent rapid changes in consumption spaces have highlighted customer sensitivity. In addition, appropriate space marketing is required in combination with a corresponding amount of design experience. In response to these conditions, company brands want to offer competitive, positive customer experiences. For example, we try to offer excellent products and various customer experiences in store spaces during sales exhibitions. As such, companies are focusing on visual merchandising as a means of experience design, based on consumer sensibility and the perception and communication skills that are necessary to effectively communicate with consumers. This study focuses on experience design based on customer experiences and examines the importance of the relationship between visual merchandising and sales promotion through case analysis. The purpose of the research is to recognize the importance of visual merchandising based on experience design in sales spaces. (Method) The research methods were selected based on experience design and visual merchandising by finding and selecting major clothing brand cases in exhibition spaces where products are sold. In clothing brands’ sales spaces, which are the locales for customer experience and sales exhibition, the experience design component was applied to analyze the cases that reflect visual merchandising characteristics. In addition, performing quantitative evaluation and diagram analysis on the cases facilitated an examination of the characteristics and important implications that can be derived from the results. (Results) The study’s results, according to case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experience design components are very important to the item in the order of informativity, sensibility, interactivity, associativity, dynamics, and non-dailiness. The visual merchandising characteristics were weighted according to their importance in the order of items such as EP Zone, VP Zone, PP Zone, HS Zone, FP Zone, and IP Zone. This demonstrates that there is a need to re-recognize the importance of the relationship between information and the EP Zone, which is a staging area for experience and information within the store space, based on the consumer experience design. In other words, it is essential to provide new information and experiences in the store that trigger purchasing behavior. It is also necessary to provide a store space where people can experience products and brands. (Conclusions) In sum, there is a need for a strategic thinking marketing design that considers experience design and visual merchandising for the promotion of sales in sales exhibition spaces through a sensitivity that is rooted in the overall consumer experience. As such, when viewed from the perspective of strategic thinking in the above-described approach to design marketing, the experience design is based on customer sensibility and consumer experiences. This will allow for the establishment of a sales space atmosphere that brings efficiency to a positive consumption and sales environments. (연구배경 및 목적) 급변하고 있는 최근의 소비 공간은 고객의 감성에 주목한다. 또한 이에 부합하는 체험의 디자인으로 적절한 공간마케팅을 필요로 한다. 이에 기업이 만들어낸 브랜드들은 경쟁적으로 긍정적인 고객경험을 제공하고자 한다. 이를테면, 판매전시를 위한 매장공간에서 다양한 고객경험과 더불어 우수한 상품들을 제공하고자 노력하고 있다. 이처럼 소비자의 감성과 지각에 기초한 경험디자인과 이를 소비자에게 효과적으로 전달하기 위한 커뮤니케이션의 수단으로써 비주얼 머천다이징에 주력하고 있는 것이다. 이에 본 연구는 고객체험에 기초한 경험디자인에 주안점을 두고 판매촉진을 위한 비주얼 머천다이징 간의 상관관계에 따른 중요도를 사례분석을 통하여 살펴본다. 그리고 판매 공간에 있어 경험디자인에 기반 한 비주얼 머천다이징의 중요성 인식을 연구목적으로 한다. (연구방법) 연구방법은 먼저 경험디자인과 비주얼 머천다이징을 바탕으로 상품판매를 위한 전시공간의 주요 의류브랜드 사례를 찾아 선정한다. 그리고 고객경험과 판매전시를 위한 의류브랜드의 판매 공간에 있어 경험디자인 구성요소가 적용되어 비주얼 머천다이징의 특성이 반영된 사례를 분석한다. 아울러 사례의 정량적인 평가 및 다이어그램 분석으로 그 결과에 따른 특성과 중요도를 살펴본다. (결과) 사례분석에 따른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경험디자인의 구성요소는 정보성, 감각성, 상호작용성, 연상성, 역동성, 비일상성의 순서로 그 항목에 있어 중요도가 높았다. 그리고 비주얼 머천다이징의 구성요소는 EP존, VP존, PP존, HS존, FP존, IP존의 항목순서로 그 중요도에 따른 가중치가 높았다. 이는 소비자의 경험디자인에 기초한 매장 공간 내 정보성과 체험의 연출공간인 EP존 등과의 상관관계에 따른 그 중요성을 재인식할 필요가 있음을 보여준다. 즉, 매장 내 새로운 정보와 경험으로 구매행위를 유발하는 요소의 제공이 필수인 것이다. 또한 상품과 브랜드를 체험하는 매장공간의 제공이 필요한 것이다. (결론) 결국 총체적인 소비자의 체험에 기반 한 감성을 통하여 판매전시 공간에서의 경험디자인과 판매촉진을 위한 비주얼 머천다이징의 관점에서 들여다보는 마케팅적인 전략적 사고의 디자인이 필요하다. 이와 같이 경험디자인은 이러한 디자인마케팅의 전략적 사고 관점에서 살펴볼 때 고객감성과 체험에 기초한다. 그리고 이는 긍정적인 소비판매의 환경으로 효율을 가져다주는 판매 공간의 환경구축을 가능하게 할 것이다.

      • KCI등재후보

        공간그래픽 디자인 구성요소의 표현특성에 관한 연구

        서연화(Sur, Yeonwha) 인제대학교 디자인연구소 2013 Journal of Integrated Design Research (JIDR) Vol.12 No.2

        공간그래픽 디자인은 그래픽, 건축, 실내디자인, 조경, 제품 디자인 및 장소성도 포괄하여 그 공간의 성격과 목적을 시각적으로 전달할 수 있는 효과적인 커뮤니케이션 수단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공간그래픽 디자인의 개념, 역사, 구성요소의 특징을 살펴보고, 사례분석을 통하여 공간그래픽 디자인의 표현특성을 분석하여 기초자료를 제시하는 데에 있다. 공간 속의 그래픽은 이미지를 형성하는 형태와 같은 기본적인 조형 요소들 뿐 아니라 활자를 이용한 타이포그래피, 색채와 빛이 복합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공간에서 나타나는 그래픽의 표현 요소들은 상호관계를 맺으며 세부 사항을 종합하여 정체성을 전달한다. 공간그래픽 디자인 구성요소의 분석을 통해 나타나는 특성은 예술적 개입에 의한 표현의 다양성, 타이포그래피의 정보전달성, 착시효과에 의한 확장성이며 이를 통해 체험자에게 예술적 경험을 제공하며 감성적인 관계설정을 할 수 있다. 성공적인 공간그래픽 디자인은 장소와 지역사회에 대한 아이덴티티 형성을 하며 실용적 가치를 획득을 할 수 있어 도시환경의 질적 향상을 가져올 수 있다. Space Graphic Design embraces many design disciplines including graphic, architectural, interior, landscape, and industrial design, all concerned with the visual aspects of wayfinding, communicating identity and information, and shaping the idea of place.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 of space graphic design through the analysis of its visual elements. By analyzing cases of actual usage, It enable to provide a basic visual system for space graphic design. In graphics within space, typography, colors, and light can be applied in complex form in addition to basic modeling elements like the shape which forms the image. The expressive elements of the graphic displayed in the space form correlation and synthesize details to convey the identity. In terms of the characteristics displayed through the analysis of design elements of space graphic, it includes a variety of expressions through artistic intervention, information communicability of typography, and expansion through optical illusion. Through this, artistic experience is provided for the subject of the experience and sensible relations can be established. Successful space graphic design forms an identify about place and community, and can bring qualitative improvement in the urban environment through the acquisition of practical value.

      • KCI등재

        럭셔리 브랜드 플래그십 스토어의 공간구성요소 융합이 브랜드 이미지에 미치는 영향: 상해의 루이비통 플래그십 스토어를 중심으로

        양림,이민 한국전시산업융합연구원 2022 한국과학예술융합학회 Vol.40 No.4

        공간 마케팅의 궁극적인 목적이 기업의 이미지 정립을 위한 브랜드 아이덴티티 구축 및 긍정적인 브랜드 이미지 형성에 있다고 볼 수 있다. 일반적으로 플래그십 스토어는 상품의 진열 및 판매의 실용적인 목적을 기반으로 차별화된 공간 디자인을 통하여 브랜드 이미지를 극대화할 수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 연구는 럭셔리 브랜드의 플래그십 스토어 공간구성요소가 브랜드 이미지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하여 중국 상해 소재의 루이비통 플래그십 스토어를 대상으로 선정하여 사례분석과 해당 플래그십 스토어의 방문객을 대상으로 실증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방문객의 특성에 따라 공간구성요소 인식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성별은 여성, 연령은 20대와 30대, 직업은 회사원인 집단이 공간구성요소 인식이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럭셔리 플래그십 스토어의 공간구성요소가 브랜드 이미지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플래그십 스토어를 방문하는 목적이 제품 구매에 한정되어 있지 않음을 확인하였고, 대부분의 방문객이 해당 여가, 취미, 시간보내기 등을 목적으로 플래그십 스토어에 방문하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럭셔리 브랜드의 플래그십 스토어 공간 구성을 위해서는 방문객의 특성과 방문 목적을 고려하여 구성할 필요가 있다는 결과를 도출하였다.

      • KCI등재

        공공 공간 공사장 가림막의 특성과 레이아웃 구성 요소 및 원리의 선호도에 관한 연구

        하오동민,이성필 한국기초조형학회 2019 기초조형학연구 Vol.20 No.3

        기존의 공공 공간 가림막은 흉물스러운 설치물이었으나, 도시 미관의 중요성이 커지면서 공공 공간 가림막은 디자인적 가치를 높이는 보조 도구로 활용된다. 따라서, 공공 공간 가림막의 선호도를 향상시켜 공사장 가림막의인식 개선, 도시의 미관 증진을 위해, 사람들이 선호하는 공공 공간 가림막 디자인은 무엇인지, 어떠한 특성과레이아웃 구성요소를 선호하는지에 대하여 살펴볼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공공 공간 가림막 디자인의 인식, 가림막의 특성요소, 레이아웃 구성요소와 원리에 대한 선호도 차이를 분석한 연구이다. 부산광역시에 거주하는남·녀 대상으로 2019년 1월 21일부터 28일까지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총 200부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 결과, 공공 공간 가림막에 대한 인식은 전체 응답자의 92.5%가 가림막이 무엇인지 알고 있으며, 공공공간 가림막 디자인의 중요성을 인식하였다. 또한, 공공 공간 가림막 레이아웃 인식의 경우 전체 응답자의87.5%가 색상을 가장 중요하게 인식하였고, 타이포그래피와 사진 및 일러스트레이션, 여백 순서로 인식하였다. 공공 공간 가림막 특성에 대한 선호도의 경우, 사람들은 기능성을 가장 선호하였고, 안전성, 심미성, 상징성, 통합성, 환경성, 연속성 순서로 선호하였다. 공공 공간 가림막 레이아웃 구성요소의 경우 사람들은 사진 및 일러스트레이션을 가장 선호하였고, 색상, 타이포그래피, 여백 순서로 선호하였다. 특히, 사람들은 타이포그래피가없는 레이아웃을, 사진 및 일러스트레이션이 있는 레이아웃을, 다양한 색상이 사용된 레이아웃을, 여백이 거의없는 레이아웃을 선호하였다. 공공 공간 가림막 레이아웃 원리의 경우 사람들은 통일을 가장 선호하였고, 그 다음으로 강조, 대비, 변화, 비례, 균형, 집중, 운동, 방향, 조화, 정렬을 선호하였다. 종합적으로, 본 연구결과를 통해 사람들이 선호하는 공공 공간 가림막 특성과 레이아웃 구성요소 및 원리에 대해 알 수 있었으며, 본 연구가공공 공간 가림막 디자인의 기초자료로 활용되길 희망한다. Many of the existing public spaces blocks are covered by ugly, but as the importance of city aesthetics grows, the public space is used as an assistance tool to enhance design value. Therefore, in order to improve the awareness of the public space and to improve the beauty of the city by improving the preference of the public space design, it is necessary to examine what kind of characteristics and layout element people prefer. This study mainly focuses on the understanding of the public space block design, the characteristics of the public space block, preference of layout elements and principles. A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for man and woman living in Busan Metropolitan City from January 21 to 28, 2019, and total 200 copies were analyzed. As a result of this study, 92.5% of respondents know the public space block, recognized the important of public space design. Also, in the case of the public space recognition, 87.5% of the respondents recognized the color as the most important, followed by typography, picture and illustration, space. In the case of preference for the characteristics of the public space, people preferred functionality the most, followed by safety, aesthetics, symbolism, integrity, environmental, continuity. In terms of the elements of layout in public space block, people preferred picture and illustration the most, followed by hues, typography and white space. Expecially, people preferred a typography-free layout, a picture and illustration layout, a layout with various colors, a layout with little space. In the case of public space layout principle, people preferred unification the most, followed by emphasis, contrast, change, proportion, balance, concentration, exercise, direction, harmony, alignment. Comprehensively, this study showed people's preferred public space characteristics, layout elemebts and principles, I hope this study will be used as basic data for the design of the public space.

      • KCI등재

        공공도서관의 공간구성체계 표준모델에 관한 연구

        공순구,김형석,이승근,Kong, Soon-Ku,Kim, Hyeong-Seok,Lee, Sung-Geun 한국비블리아학회 2010 한국비블리아학회지 Vol.21 No.4

        현대과학기술의 발전은 한 사회의 문화와 사회구성원간의 커뮤니케이션에 큰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기존의 정보를 수집, 정리하여 이용자에게 제공하던 도서관은 현대사회의 변화에 발맞추어 다양한 역할을 부여받게 되었다. 최근 공공도서관 신축 또는 리모델링 수요의 급증이 예상되고 있지만 우리는 아직 도서관의 유형과 서비스 규모를 고려한 도서관 공간운영에 대한 모델이 없는 실정이다. 본 연구는 공공 도서관이 합리적이고 체계적인 공간운영을 하기 위하여 필요한 조건과 사례를 검토하고 공간구성의 현황과 문제점을 도출하여 해결대안이 될 수 있는 공간요소의 재구성을 통해 효율적인 운영을 위한 공간구성체계를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급증하는 도서관의 조립과 리모델링 사업계획에서 참고할 수 있도록 도서관의 특성과 서비스 규모에 상응하는 합리적인 공간운영 표준모델의 개발을 위해, 첫째, 국내 공공도서관 공간구성 현황을 조사 분석하고 둘째, 국내 및 해외의 도서관 건축물 공간구성 사례 수집분석하며, 셋째, 향후 신축할 국내 공공도서관 건축물을 유형별로 정의하여 공간구성에 대한 합리적인 권장모델을 개발하여 제시하고자 한다. The development of modern science and technology has a tremendous impact on culture and communication. Therefore a library that typically serves to collect, arrange and provide information is required to perform more diversified roles to stay abreast with changing modern society. Recent surge in demand for public library construction or remodeling is expected, but we still are in an actual condition that there is no model about the library spatial operation which considers the type and a service size of librar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conditions for the rational and systematic spatial management of public library in today`s changing information society, to make a case study on the state of spatial management, and to suggest the efficient rearrangement of spatial component as a solution. In this study, for rapid assembly and remodeling business plan of the library can be referred to, we should do following things for the development of a standard model which has a rational space operations that correspond to the library features and services size. Firstly, analyze the space configuration of our nation's public libraries. Secondly, collect and analyze the libraries' spatial configuration in our nation and at abroad. Thirdly, define the next stretch of public library buildings by their types and develop a reasonable model as to the spatial configuration and present i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