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현대 뮤지엄 공간의 현상학적 표현요소에 관한 연구

        공순구,김태훈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24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9 No.1

        (연구배경 및 목적) 국내 뮤지엄은 외부 사건사고와 잦은 이주로 정착이 늦어지면서 뮤지엄 건축공간에 관한 연구는 시간적으로 늦어졌고 현대에 들어 국민들의 문화적 관심과 소비 및 교육에 대한 관심이 증가함에 따라 최근 되어서야 각 건축공간에 관한 관심과 연구가 되면서 다양한 공간들과 건축물이 만들어졌지만 아직 외적인 형태 요소에 치우친 모습이 보인다. 건축과 공간이란 하나의 감각에만 치우친 것이 아닌 보다 다양하며 종합된 신체적 지각과 심리적인 요소를 통해 현상학적으로 경험되는 밀접한 공간이다. 이에 따라 건축 기술 발전으로 인한 다양한 표현이 가능해진 만큼 외적인 요소에만 치우치는 것이 아닌 공간과 건축에서 풍부한 체험과 다양한 건축적 요소들의 구성을 통한 풍부한 공간체험을 필요로 한다. 그러므로 이러한 필요성에 따라 본 논문은 다양한 공간을 제시하여 풍부한 공간 체험을 가능하게 하는 방향성과 기반을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본 연구의 범위는 건축에서 현상학적 연구와 활발했던 약 10년간의 현상학적 연구, 문헌들과 현대에 지어진 21세기 뮤지엄 (국내 2개 해외 2개) 건축공간으로 한정하며 현상학적 이론을 적용한 현대뮤지엄 사례를 선정하여 분석하는 것으로 한다. 연구의 방법은 선행연구 논문 고찰과 현상학 건축 관련된 문헌조사 및 국내ㆍ외 뮤지엄 사례를 분석하여 건축에 현상학적 표현 요소들의 기반을 제시하는 것으로 한다. (결과) 현상학적 사고를 바탕으로 건축공간의 공통적 표현들을 분석하고 현대 뮤지엄의 사례 비교를 통하여 도출한 결과는 상위개념인 감각성에선 관찰자가 건축공간에서 느껴지는 상위 감각 요소는 대부분 시각 중심인 요소 외에도 분석된 현상학에서 말하는 촉각,미각,청각,후각의 다양한 감각과 심리적 감각을 이용하여 풍부한 경험을 할 수 있는 조건을 가지고 있는 것을 찾을 수 있었지만, 사례조사를 통하여 봤을 때 아직 시각에 의지한 연속공간, 중첩공간이 강하게 나타났고 촉각은 직접적인 경험에 통한 지각이 다수 였으며 청각 또한 특정 공간에서 울림을 통한 경험이 많았다 특히 미각,후각은 시각의 보조 역할에 그치는 것으로 나타나 특정 감각의 부족한 요소가 발생하는 모습을 볼 수 있었고 시각의 보조역할이 아닌 해당 감각을 이용한 형태나 연상을 위한 표현요소가 필요로 보인다.(결론) 다양한 이용자가 이용하며 공간에서 관찰자의 감동을 이끌고 조성해주는 뮤지엄에서는 시각체험의 극대화를 위해 보조적인 역할에 그치는 다른 감각들을 건축공간에서 풍부하게 연출될 수 있도록 장소의 역사, 문화, 기억 등 본질에 대해 이끌어 낼 수 있는 현상학적 방안들에 대한 논의가 필요해 보인다. 이에 본 연구에서 도출된 분석 틀은 추후 뮤지엄 건축에 있어 현상학적 표현 증진에 기여되기를 바란다.

      • KCI등재
      • KCI등재

        일본 학교도서관의 지역개방현황과 배치유형에 관한 연구

        공순구,박지훈,신한솔,Kong, Soon-Ku,Park, Ji-Hun,Shin, Han-Sol 한국비블리아학회 2012 한국비블리아학회지 Vol.23 No.4

        본 연구는 일본에서의 지역사회에 개방하는 학교도서관에 대한 개방과 배치유형 및 공간구성에 관한 연구로서 학교내 설치되어 있는 학교도서관을 여러 가지 대안으로 개방함으로써 지역주민의 도서관 이용접근성을 증진시키고 나아가 시민의 정보접근환경을 개선시키는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일본의 경우 1953년에 학교도서관법의 단일법령을 세계 최초로 제정하였을 정도로 학교교육에서 차지하는 도서관의 중요성을 공감하고 있었으며, 이러한 움직임에 힘입어 학교도서관의 설치율이 100%에 이르는 성과를 이뤄냈다. 또한 이런 도서관이 지역에 개방되어 지역주민의 도서관 이용을 증진시키는 과정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전체 소 중 고교 중 11.6%에 달하는 학교도서관이 주민에게 개방되었다. 점차 노령화되고 초등학교 시설내의 이용이 저감되는 시점에서 학교교사의 활용방안을 도서관의 확장과 개방화를 통해 이용대안을 모색하고 학교와 지역마다의 특성을 다양하게 반영할 수 있는 여러 대안이 제시된다면 학교도서관 개방이 보다 적극적으로 이루어질 것으로 기대하며, 이는 정보화시대에 국민의 평등한 정보접근환경제공과 평생교육의 제공으로 이루어질 것이다. 학교도서관이 지역사회와 적합한 규모와 형태로 설치되기 위한 유형과 관련된 연구를 통하여 학교도서관이 개방되어 본연의 기능을 수행하는 데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 This is a study on types and current status of school library in japan that are open to public. it aims to increase library access and further improvement of accessible information environment by opening the libraries within schools. In case of Japan, libraries' importance to school education enacted world's first School library act by 1953 and installation rate of school libraries is achieved up to 100%. These libraries opened to its local community is in the process of increasing library usage and now in total of 11.6% of lower, middle, and upper school are already opened to their local community. Considering decreasing usage of facilities in schools, teacher vacant time, expanding libraries, and other various alternatives should be considered together. It will lead to equal access to information environment and lifelong education. The study suggests ways of installing school libraries in appropriate sizes and forms within their local societies. It also propose possible ways to open school libraries to perform their own functions.

      • KCI등재

        공공도서관의 공간구성체계 표준모델에 관한 연구

        공순구,김형석,이승근,Kong, Soon-Ku,Kim, Hyeong-Seok,Lee, Sung-Geun 한국비블리아학회 2010 한국비블리아학회지 Vol.21 No.4

        현대과학기술의 발전은 한 사회의 문화와 사회구성원간의 커뮤니케이션에 큰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기존의 정보를 수집, 정리하여 이용자에게 제공하던 도서관은 현대사회의 변화에 발맞추어 다양한 역할을 부여받게 되었다. 최근 공공도서관 신축 또는 리모델링 수요의 급증이 예상되고 있지만 우리는 아직 도서관의 유형과 서비스 규모를 고려한 도서관 공간운영에 대한 모델이 없는 실정이다. 본 연구는 공공 도서관이 합리적이고 체계적인 공간운영을 하기 위하여 필요한 조건과 사례를 검토하고 공간구성의 현황과 문제점을 도출하여 해결대안이 될 수 있는 공간요소의 재구성을 통해 효율적인 운영을 위한 공간구성체계를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급증하는 도서관의 조립과 리모델링 사업계획에서 참고할 수 있도록 도서관의 특성과 서비스 규모에 상응하는 합리적인 공간운영 표준모델의 개발을 위해, 첫째, 국내 공공도서관 공간구성 현황을 조사 분석하고 둘째, 국내 및 해외의 도서관 건축물 공간구성 사례 수집분석하며, 셋째, 향후 신축할 국내 공공도서관 건축물을 유형별로 정의하여 공간구성에 대한 합리적인 권장모델을 개발하여 제시하고자 한다. The development of modern science and technology has a tremendous impact on culture and communication. Therefore a library that typically serves to collect, arrange and provide information is required to perform more diversified roles to stay abreast with changing modern society. Recent surge in demand for public library construction or remodeling is expected, but we still are in an actual condition that there is no model about the library spatial operation which considers the type and a service size of librar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conditions for the rational and systematic spatial management of public library in today`s changing information society, to make a case study on the state of spatial management, and to suggest the efficient rearrangement of spatial component as a solution. In this study, for rapid assembly and remodeling business plan of the library can be referred to, we should do following things for the development of a standard model which has a rational space operations that correspond to the library features and services size. Firstly, analyze the space configuration of our nation's public libraries. Secondly, collect and analyze the libraries' spatial configuration in our nation and at abroad. Thirdly, define the next stretch of public library buildings by their types and develop a reasonable model as to the spatial configuration and present it.

      • KCI등재

        지역사회 개방형 학교도서관의 배치유형과 공간계획에 관한 연구

        공순구,박지훈,신한솔,Kong, Soon-Ku,Park, Ji-Hun,Shin, Han-Sol 한국비블리아학회 2012 한국비블리아학회지 Vol.23 No.1

        본 연구는 지역사회의 도서관 접근성 향상을 위한 지역 개방형 학교도서관에 대한 연구로서 기존의 학교도서관으로 이용하던 시설일부를 개방하여 지역주민에게 공공도서관의 소분관으로 제공함으로써 도서관접근성 향상 및 지역주민의 평생교육 제공에 목적을 갖는다. 또한 공공도서관의 이용활성화를 통해 국민생활의 정보이용 복지향상에도 기여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이에 대한 논의로 교육과학기술부와 대통령소속 도서관정보정책위원회에서는 도서관 접근성 향상 및 활성화를 위한 대책으로 공공도서관의 분관에 속하는 소규모도서관과 작은 도서관 확충에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지역에 거점도서관의 소분관 설치 증가도 의미는 있겠지만 지역주민의 접근이 용이한 학교도서관에 같은 기능을 접목시켜 설치할 경우 도서관 조성시 대지 및 공간확보에 대한 예산을 절약할 수 있음은 물론 학교도서관 자체의 질적 향상 또한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학교도서관은 기능과 성격이 공공도서관과는 차이가 있으므로 학교도서관을 지역개방하여 활용할 경우에 대한 공간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하여 학교도서관을 지역사회에 개방하기 위한 배치와 규모 그리고 공간구성에 지향방안을 모색함으로써 향후 조성될 개방형 학교도서관이 본연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한다. This study is for a small sized library to expand the functions of public libraries in the community. This study aims to encourage local residents utilizing information and public libraries by opening parted facilities to public and naming it a substitute. It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richer welfare system. In detail, the study discusses progression of the small sized library as well as budgeting and hiring staffs in Committee on Library and Policy. However, there is limitations in terms of capabilities because school library is different from public library target users, space, unit plans. Therefore, this study investigates a small sized library as a function to find out type, plan, and space availability and size of ideal open school librar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