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민간제안 지구단위계획에서 공공시설의 기부채납 운용 특성

        노희철(Roh, Hui-Cheol),황재훈(Hwang, Jea-Hoon) 한국도시설계학회 2009 도시설계 : 한국도시설계학회지 Vol.10 No.4

        본 연구는 2008년 현재 청주시에서 결정된 36개 지구단위계획구역의 현황 및 특성을 분석하였으며, 기부채납시설을 중점적으로 분석할 민간제안 지구단위계획구역인 11개 사례구역을 대상으로 기부채납의 운영 특성을 규명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연구 방법으로 기부채납의 운영 특성을 규명하기 위해 기부채납시설의 공간적(입지, 구역), 행정적, 조성시설별, 부담비율의 분석을 통해 운영 특성을 밝혀냈다. 이러한 방법으로 분석한 결과 첫 번째로 공간적(입지, 구역) 분석의 경우 사례구역별로 기부채납은 일정한 패턴이 보이진 않았다. 기존의 공공시설과 접근이 현저히 낮은 지역의 경우 기부채납 비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두 번째 행정절차 분석은 기부채납에 의해 지구단위계획의 계획적 요소가 크게 변화되는 사례구역은 없었으며, 오히려 기부채납 수준이 높다 하더라도 계획 요소가 감소하는 사례구역도 있었다. 세 번째 조성시설별 분석을 통해 도출된 결과는 청주시는 도로를 기부하는 사례가 가장 많았으며, 다양한 형태의 기부채납은 이뤄지지 않았다. 마지막으로 부담비율을 분석한 결과 사례구역의 평균 부담비율은 1.22%부담 비율을 보이고 있으며, 전체적인 비율을 살펴보면 기부채납 비율이 상승될수록 기부채납으로 인한 사업비는 증가할 것으로 판단된다. This study has been analyzed the present status and characteristics of 36 districts selected for the district unit plans by Cheong-ju city in 2008, and its purpose is to examine the Land Donation-acceptance characteristics by focusing on analyzing the Land Donation facilities from the 11 districts by private proposal. Method of study analyzes that is for the purpose of clarifying the Land Donation-acceptance characteristics, the Land Donation facilities were examined based on the factors like space (location, district), administration, consisting facility, and charge expense ratio. Deduce result is as follows; Firstly, the spatial (location, district) significances result in the districts did not show any regular pattern. The rate of the contribution was found very high when the accessibility of the facility from existing pows; Ffacility was extremely low.nifiondly, administration process showed that the Land Donation acceptance did not change the planning factor of the district unit plans. Thirdly, the frequent facility of Cheong-ju city has been determined on the rccdhe spCheong-ju city even the result had a lack of variety. Finally, the charge expense ratio analysis of the districts was 1.22% in average. Overall rate shows that the business expense by the contribution tends to rise as the Land Donation-acceptance rate increases.

      • KCI등재

        청주시 가로공간의 위계별 구성요소의 중요도 설정

        전상규(Jeon, Sang-Gyu),노희철(Roh, Hui-Cheol),황재훈(Hwang, Jea-Hoon) 한국도시설계학회 2012 도시설계 : 한국도시설계학회지 Vol.13 No.4

        본 연구는 보행 및 차량의 통행을 병행할 수 있는 가로공간에 관하여 위계별 중요도를 도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가로공간을 도로의 종류별 규모로 설정하여 가로공간의 구성요소를 선행연구와 관련문헌을 통해 도출하였다. 도출된 가로공간 구성요소를 바탕으로 전문가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조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로의 경우 이동 및 통과가 주 기능이므로 구성요소 역시 이동 및 통과와 관련되어진 요소에 맞춰 계획이 이루어져야 한다. 둘째, 중로의 경우 이동과 통과의 기능과 함께 체류의 성격도 있다. 따라서 도시민의 행태에 의한 문화적 특성요소, 이동과 통과, 상젓공간을 감안한 안전성에서 중요도가 높게 분석되었다. 셋째, 소로의 경우 공간을 이용하는 행태가 반영되어진 요소들로 중요도가 분석되었다. 또한 소로는 구조적 특성상 안전성을 중요시해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도로의 위계별 접근을 통해 구성요소의 조성이 이뤄져야 가로공간의 질적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This research draws the hierarchical weighting rate of the constituents of the street-space for both pedestrian and vehicle. For this purpose, a suggested types of the street-space was set up according to the scale and the component elements considering the advanced research and relative theory. The expert survey was performed based on the drawn street-space component elements. The survey result is as follows. First, in the case of the main road, since the circulation and traffic capacity are the main functions, the plan should be adjusted to the component related to the circulation and traffic. Second, in the case of the middle-size road, there is a tendency of the abiding by with all traffic issue. Therefore, the importance was highly estimated in the safety considering inconsistency space, cultural element, and circulation and traffic by behavior of the citizen. Third, in the case of the narrow path, the importance was on behavioral elements such as the use of the space. In addition, safety is issued by structural characteristic in the narrow path. The result of this research through the access of hierarchy of the road can assist the physical plan, which could enhance the quality of the street-space.

      • KCI등재

        보행환경설계를 위한 직ㆍ간접 요인의 중요도 분석

        정광섭(Jeong, Gwang-seop),노희철(Roh, Hui-Cheol),황재훈(Hwang, Jea-Hoon) 한국도시설계학회 2010 도시설계 : 한국도시설계학회지 Vol.11 No.1

        본 연구는 보행환경을 설계하는데 있어 도시, 건축, 조경, 교통부문에서 종합적으로 고려해야 할 설계요인을 검토하고 중요도를 산출하였다. 새로운 패러다임과 탈장르화 시대에 도시의 여러 환경 중 보행환경을 계획하고 설계하는데 있어 직ㆍ간접적으로 고려해야 할 설계요인의 가치를 정량화하였으며, 기존의 연구방법론에서 고려하지 못한 설계요인들 간의 상관관계를 반영하였다는 점에서 논문의 의의가 있다. 세부설계요인의 중요도를 살펴보면, 건물측면에서는 건물전면폭, 주출입구와의 연계성, 건물형태가 주요설계요인으로 나타났으며, 건물외부측면에서는 식재, 편의시설, 조명시설이 보행환경설계 시 고려해야 할 설계요인으로 파악되었다. 보행자도로측면에서는 보행안전시설, 보행량, 보행자도로규격이 높은 순위를 차지하였으며, 자동차도로측면에서는 간접적 요인인 사고기록과 제한속도가 주요설계요인으로 부각되었다. 향후 보행환경 설계요인과 관련하여 토지이용특성의 고려와 전문가설문조사 결과의 신뢰도를 높여 나간다면, 보행환경 설계에 참여하는 각 분야의 전문가들이 참고할 수 있는 정량적, 수치적 근거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This study examined design factors that should be comprehensively considered in the fields of urban plan, architecture, landscape architecture and transportation upon designing pedestrian environment and calculated the priority with them. This study has its own significance as followings: (1) it quantifies the values of direct/indirect design factors that should be importantly considered upon planning and designing pedestrian environment at the time of facing a new paradigm and hybrid. (2) it looks over the relationship among design factors that have not been considered in the previous studies. If we consider the land-use characteristics nd increase the reliability of survey result on expert regarding pedestrian environment design factors, we could be able to provide standards to specialists involved in the pedestrian environment design.

      • KCI등재

        청주시 성안길 가로공간의 이용행태 분석에 관한 연구

        지은주(Ji, Eun-Ju),홍선표(Hong, Seon-Pyo),노희철(Roh, Hui-Cheol),황재훈(Hwang, Jea-Hoon) 한국도시설계학회 2012 도시설계 : 한국도시설계학회지 Vol.13 No.1

        복잡하고 무질서한 현재의 도시 환경 중에서 가로 공간은 대표적인 외부공간이며, 도시의 커뮤니티 장이다. 본 연구는 가로가 자동차 통행을 위한 기능적인 가로뿐 아니라 일반 도시민들이 보행을 통해 공유하는 장소성을 가진 ‘생활공간’이라는 시각으로 바라보았다. 생활공간으로서 보행공간은 단순 보행만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보행공간의 특징에 따라 다양한 활동과 행태가 나타난다. 따라서 연구의 목적은 기존의 조성된 중심상업가로를 대상지로 이용되는 행태특성과 그에 따른 공간특성을 파악하는 것이다. 현황조사ㆍ와 분석결과를 정리하면 통로로 이용되는 공간으로 인식되었던 보행공간을 외측공간, 중앙공간, 내측공간으로 분류할 수 있었다. 또한 단순히 걷기 위한 보행공간과 함께 다양한 행태가 조합된 커뮤니티 공간을 형성하고 있었다. The streets are regarded as a representative open space among the current urban environments, which are complicated and disordered. And they provide the community activities. This research viewed the streets as ‘living spaces,’ which have not only functional spaces for the traffic of vehicles but also placeness which the general public shares through walking. As to the streets of the living space, the simple walking doesn’t exist, but represents various acitivities and behaviors, which are bas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walking spaces. In this context, the object of this research is to investigate the space characteristics relating to the behavioral characteristics. The case site is the Sung-an pedestrian mall, a central commerce street in Cheong-ju. As results, the pedestrian spaces can be classified as three groups, which are inner, middle, and outer spaces. Besides these pedestrian spaces, there also are community spaces with alternative and combined activities.

      • KCI우수등재
      • 동절기 깔짚우사 내 착유우 분뇨 발생량 평가

        이승훈 ( Seunghun Lee ),김은종 ( Eunjong Kim ),이명성 ( Myeongseong Lee ),김대훈 ( Daehun Kim ),위지수 ( Jisoo Wi ),신진호 ( Jinho Shin ),노희철 ( Heecheol Roh ),안희권 ( Heekwon Ahn ) 한국농업기계학회 2019 한국농업기계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4 No.1

        본 연구는 톱밥깔짚 우사에서 사육되는 착유우의 분뇨 발생량 평가 및 적정 깔짚(톱밥) 교체시점을 구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가축분뇨 자원화 표준설계도를 참고해 깔짚 두께를 10cm로 조성한 후 평균체중 약 605 kg 착유우 총 6마리를 210 ㎡ 면적 우방에서 62일간(1월~3월) 사육하였다. 일일 두당 평균 9.8 kg 배합사료와 평균 23.3 kg 조사료를 급여(DMI 30.1 kg)하였으며, 물은 자동급수장치를 통해 자율적으로 음수할 수 있도록 하였다. 시료는 균일성 확보를 위해 우방 내 다지점에서 골고루 섞어준 후 채취하였으며, 2주 간격으로 분뇨 Map을 작성하여 우방 내 젖소의 배설습성 또한 분석하였다. 실험 종료 후 분뇨와 깔짚 혼합물의 무게는 스키드로더와 로드셀을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젖소분뇨와 톱밥 혼합물의 발생량은 두당 일일 44.0 kg 발생되었으며, 톱밥깔짚을 제외한 순수 분뇨는 일일 두당 32.3 kg 발생되었다. 본 연구 결과는 2008년도에 제시된 착유우 분뇨 발생원단위(76.3±6.0 kg)에 비해 약 42% 적은 수준을 보였다. 이는 기존 고시된 젖소분뇨 발생원단위는 대사틀을 이용하여 분뇨가 장시간 상온과 대기에 노출됨에 따라 발생하는 수분증발과 유기물분해 같은 환경적 요인이 배제되었기 때문이라고 사료된다. 실험 14일 후, 사료조와 급수조 주변의 경우 분뇨와 깔짚 혼합물의 함수율이 70%이상 도달하였으며, 57일 경과 후에는 함수율 70% 이상인 분뇨와 톱밥 혼합물이 우방 면적의 절반을 차지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