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하동군 금남면 대송리 부근의 하산동층에서 산출되는 패각화석층 : 산상, 화석화과정, 고환경 및 지질유산으로서의 의미

        백인성,김나영,김현주 국립문화재연구원 2011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Vol.44 No.1

        복족류 패각화석층이 반복적으로 발달되어 있는 하동군 대송리 지역의 하산동층을 대상으로, 이 지역 퇴적층의 퇴적상 및 퇴적환경을 해석하고, 수반되어 있는 패각화석층의 화석화과정 발달특성을 토대로 이 지역 하산동층 퇴적 당시의 고환경을 해석하였으며, 이 결과를 바탕으로 연구지역 퇴적층의 암층서적 의미와 지질유산으로의 가치를 고찰하였다. 연구지역에 발달된 하산동층의 퇴적층은 붉은색층을 협재하지 않고 층의 횡적인 연장성이 양호한 회색질 우세의 퇴적층으로서 대규모 범람에 의해 충적평원 내에 얕은 호수가 형성되고 이후 소멸해 가는 과정을 통해 형성된 호수 주변의 사질평원 내지 이질평원에서 천호저에 이르는 환경의 퇴적층으로 해석된다. Brotiopsis wakinoensis 단일 종만이 집중되어 나타나는 특성을 보이는 연구지역의 패각 화석층은 Brotiopsis 속의 배타적 서식특성에 기인한 것으로 여겨지며, 패각화석층의 산출특성을 기준으로 3가지 유형으로 분류된다. 이 중 유형 1과 2는 이들이 서식하던 천호저 환경에서 사후에 층상범람 및 호수의 범람에 의해 이질평원 내지 사질 평원으로 재동되어 화석화된 것이며, 유형 3은 충적평원상에 발달한 얕은 호수가 비교적 안정화된 시기에 호저에 집단으로 서식 하던 복족류들이 죽은 후 서식하던 장소에 대부분 퇴적되어 형성된 것으로 해석된다. 하산동층의 충적평원층 내에 이와 같은 특성의 호수퇴적층이 수십 m 두께의 규모로 발달된 기록은 경상누층군 내에서 일어난 하산동층(하성평원)-진주층(호수)-칠곡 층(충적평원) 간의 퇴적환경 변화의 축소판이라 볼 수 있으며, 이러한 특성의 퇴적층이 유사한 층준에 걸쳐 여러 지역에 발달 되어 있음은 암층서에 의한 하산동층의 층서대비에 추가적인 설정이 필요함을 제시해 준다. 이와 함께 연구지역 하산동층의 복족류 패각화석층은 우리나라 백악기 초기의 고환경을 이해하는 데에 귀중한 자연사기록으로서, 향후 국내 백악기 연체동물 화석층의 지질유산으로서의 가치분석에 유용한 바탕자료가 될 수 있다. Paleoenvironments of the shell deposit-bearing sequence in the Hasandong Formation at Daesong-ri area, Hadonggun, Korea, are interpreted on the basis of sedimentary facies and taphonomy of the shell deposits, with a discussion of their stratigraphic implications. A shell deposit-bearing sequence without reddish beds is mostly grayish, and the bedding is laterally extensive. These deposits are interpreted to have been formed in sandflats, mudflats, and shallow lakes generated by flooding on an alluvial plain. The shell deposits are classified into three types according to the occurrence, and the concentration of a single species of Brotiopsis wakinoensis in the shell deposits is deemed to have been attributed to the exclusive inhabitation of the genus Brotiopsis. Type 1 and 2 shell deposits are interpreted to have been fossilized in sandflats and mudflats after death in their habitat of shallow lakes and subsequent transformation by sheetflooding and lake flooding. Type 3 shell deposits are interpreted to have been fossilized in their habitat of shallow lakes during a stabilized period of lake development. The development of the shell deposit-bearing lacustrine sequence in a few tens of meters in thickness in the Hasandong Formation of fluvial deposits is compared to the shift of depositional environments from the Hasandong Formation (fluvial deposits) through the Jinju Formation (lacustrine deposits) to the Chilgok Formation (alluvial plain deposits), which suggests that additional lithostratigraphic classification is needed in the Hasandong Formation. The shell deposits at the study area can provide valuable data to understanding the paleoenvironments during the Early Cretaceous Period of Korea, and should give basic data to evaluate the value of the Cretaceous mollusc deposits in Korea as a geological heritage.

      • KCI등재

        울주 대곡리 반구대 암각화 지역의 공룡발자국 화석층 : 산상, 고환경 및 자연사적 가치

        김현주,백인성,임종덕 국립문화재연구원 2014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Vol.47 No.2

        The Dinosaur track-bearing deposits recently found at Bangudae Petroglyph site in Ulju (National Treasure No. 285) have been studied in the aspects of sedimentology, paleoenvironments, and significance in natural history. The dinosaur tracks occur in the Daegu Formation (late Early Cretaceous), and over 80 footprints including 43 ornithopod footprints, 36 sauropod footprints, and 2 theropod footprints are preserved in this tracksite. The track-bearing deposits consist of irregularly interlaminated siltstone and mudstone, calcareous sandy to silty mudstone, thin-bedded tuffaceous sandstone, planar- to cross-laminated sandstone, and thin- to medium-bedded graded sandstone, and they are interpreted to be sheetflood deposits on an alluvial plain. Diverse types of ripples and mudcracks, rainprints, and invertebrate trace fossils are observed in these deposits, and the crest-lines of wave ripples do not show preferred orientation. Dinosaur footprints occur as true prints, underprints, overtracks, and casts on the bedding surfaces, and the orientation of trackways are scattered. It is interpreted that paleoclimatic condition of the track-bearing deposits were semiarid with alternation of wetting and drying periods, and that dinosaurs frequented small and shallow ponds during wetting periods and recorded their tracks on an alluvial plain. The frequent occurrence of dinosaur tracks in study area indicates that the Cretaceous deposits around Daegokcheon Stream are very useful sedimentological and paleontological records to understand the paleoecology and paleoenvironments during the dinosaur age in Korean Peninsula. Consequently the dinosaur track-bearing deposits around Daegokcheon Stream should be further studied in sedimentary geology and paleontology in order to enhance cultural heritage value of the Petroglyphs of Bangudae Terrace as the World Heritage. 국보 제285호 울주 대곡리 반구대 암각화 지역에서 새로이 확인된 공룡발자국 화석층의 퇴적특성과 고환경에 대한 연구를 바탕으로 이 화석층의 자연사적 가치를 분석하였다. 반구대 화석층은 전기백악기 말의 대구층에 해당하며, 연구지역의 화석층에서는 20여 개 층준에서 조각류 발자국 43개, 용각류 발자국 36개, 수각류 발자국 2개 등 80여 개의 공룡발자국이 확인되었다. 공룡발자국 화석층은 불규칙한 엽층리를 이루는 실트스톤과 이암의 교호층, 석회질의 사질 내지 실트질이암, 얇은층으로 발달한 응회질사암, 수평 내지 사엽층리가 발달한 사암, 얇은층 내지 중간층의 점이층리가 발달한 사암 등 5개의 퇴적상으로 구분되며, 이들 퇴적상은 충적평원의 층상범람퇴적층으로 해석된다. 이들 퇴적층에서는 다양한 형태의 연흔과 건열, 우흔, 무척추동물의 생흔 등이 관찰되며, 파랑연흔들의 연흔정선 방향이 분산되어 나타남이 특징이다. 공룡발자국은 성층면에서 진흔, 하흔, 상흔, 캐스트 등 다양한 상태로 나타나며, 퇴적층 단면에서는 눌림구조의 형태로 나타난다. 성층면에서 관찰되는 공룡발자국들의 보행방향은 특정 방향으로 편향되지 않고 분산되어 나타남이 특징이다. 반구대 암각화 지역에 공룡이 서식하였던 백악기 당시, 이 일대의 기후는 건기와 우기가 반복적으로 발달하는 아건조성의 기후 조건이었으며, 간헐적으로 오랜 가뭄이 발달한 것으로 해석된다. 공룡발자국은 우기 시의 범람 이후에 평원에 형성된 작고 얕은 웅덩이들 주변에 공룡들이 모여들면서 반복적으로 보존된 것으로 해석된다. 연구지역 퇴적암층 내에서의 공룡발자국 화석의 높은 산출빈도는 대곡천 일대에 분포하는 백악기 퇴적암층이 한반도 공룡시대의 고생태와 고환경을 이해하는 데에 매우 유용한 지질 및 고생물학적 기록임을 지시해주는 것으로, 반구대 암각화의 세계유산으로서의 가치 제고를 위해 대곡천 일대의 공룡발자국 화석층에 대한 보다 다각적이고 복합적인 퇴적지질 및 고생물학적 연구가 뒷받침되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도미분지 도미-1, 소라-1공의 층서와 고환경

        윤혜수,변현숙,오진용,박명호,이민우,Yun, Hye-Su,Byun, Hyun-Suk,Oh, Jin-Yong,Park, Myong-Ho,Lee, Min-Woo 대한자원환경지질학회 2012 자원환경지질 Vol.45 No.4

        도미분지에 위치한 도미-1공과 소라-1공을 대상으로 와편모조류 미화석, 유기물상 분석 및 탄성파자료 해석을 통한 지층대비의 방법으로 연구지역의 층서와 고환경을 해석하고, 그 결과를 일본 북서 큐슈지역의 기존 연구결과와 비교하였다. 생물상변화를 토대로 상부에서부터 Ecozone A, Ecozone B(Barren zone), Ecozone C, Ecozone D(Barren zone)로 각각 4개의 생태층서대로 나누었다. 표준화석에 의한 지질시대는 2개 시추공 모두 하부로부터 에오세 - 올리고세, 마이오세, 플라이오세 - 플라이스토세 시기로 나타났다. 유기물상에 의한 고환경은 상부에서 시작하여 다음과 같이 5개로 나누었다; Association I(Inner neritic), Association II(Freshwater), Association III(Inner neritic), Association IV(Freshwater), Association V(Swamp). 두 개의 시추공 자료를 토대로 일본 측 생층서 자료와 비교 한 결과, Heteraluacacysta campanula, Tubiosphaera galatea 등의 에오세 - 올리고세 표준화석이 양측 연구 모두 동일하게 나타나고, 두 지역의 군집조성이 유사함을 확인하였다. 이는 도미분지와 일본의 북서 큐슈 지역의 고제3기층 발달사에 서로 연관성이 있음을 시사한다. There has been much debates on the geologic age of the sediments of the Domi Basin, since age results varied after research methods and fossil groups. This study carried out palynological analysis and seismic interpretation to establish a stratigraphy and environmental reconstruction mainly based on fossil dinoflagellates and Seismic data from the Domi-1 and Sora-1 wells. The dinocyst assemblages found enabled zonation of the well sediment sequence resulting in 4 ecozones. Index fossils among dinocysts and palynomorphic substances indicate geologic age of the well ranges from Eocene to Pleistocene, and paleoenvironment varies from freshwater to inner-neritic marine. The fossil association also suggests strong relationship to Japanese Tertiary basins in Kyushu area in terms of stratigraphy and basin developmental history.

      • KCI등재

        진주지역의 진주층에 발달한 함화석층: 산상과 고환경 및 층서적 의미

        백인성,김현주,김성영,이정은,소윤환,이호일 대한지질학회 2019 지질학회지 Vol.55 No.5

        Sedimentary features and paleoenvironments of the fossil-bearing deposits in the lower part (Jiphyeon site) and the upper part (Jeongchon site) of the Jinju Formation at Jinju area are examined, and their stratigraphic implications are interpreted in relation with the sedimentary and paleontological occurrences of the Jinju Formation. Gastropod shell and plant fossil deposits occur at Jiphyeon site, and they are interpreted to have been formed on a mudflat to shallow lake associated with channels. The occurrence of the Jiphyeon fossil deposits implies that humid climatic condition inducing lake expansion was initiated in the beginning stage of the Jinju Formation after the deposition of the underlying Hasandong Formation to have been formed under arid condition. At Jeongchon site insect fossil deposits are common and estherid and ostracod fossil deposits occur intermittently. It is interpreted that turbidity flows influenced to the formation of these fossil deposits under persistence of lake environment with development of arid condition during the depositon. Considering the paleoenvironments of the fossil deposits at Jiphyeon and Jeongchon sites and overall stratigraphic occurrences of the Jinju Formation, the Jinju Formation is deemed to have been deposited under balanced-fill lake type basin. The lake expansion and subsequent retreat recorded during the development of the Hasadong-Jinju-Chilgok Formations might have been related to the paleoclimatic changes of warming-cooling-warming and the expansion of arid condition in eastern Asia during the early Albian. 진주시 집현 지역의 진주층 하부와 정촌 지역의 진주층 상부에 발달한 함화석층을 대상으로 퇴적특성과 고환경을 분석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기보고된 진주층의 전반적인 퇴적특성 및 화석산출 특성 등과 연계하여이들 화석층이 가지는 층서적 의미를 해석하였다. 복족류패각화석층과 식물화석층이 나타나는 집현 지역의 함화석층은 하천이 수반된 이질평원과 천호저 기원의 퇴적층으로 해석된다. 집현 지역의 화석층들은 전반적으로건조한 기후가 우세했던 진주층 하위 하산동층의 퇴적이 끝나고 진주층의 퇴적시기로 넘어오면서 경상분지 내호수의 확장을 가져 온 습윤기후의 우세한 발달이 시작된 결과로 해석된다. 정촌 지역의 함화석층은 전반적으로 곤충화석층이 반복적으로 발달한 가운데에 엽지개와 개형충화석층이 간헐적으로 나타난다. 정촌 지역 화석층의 형성에는 호저로 유입된 저탁류가 전반적으로 영향을 미친 것으로 해석되며, 퇴적과정에는 건조 기후가발달하는 가운데에 호수환경은 일정기간 지속적으로 유지된 것으로 해석된다. 집현 지역과 정촌 지역 진주층함화석층의 고환경 특성과 진주층 전반의 층서 특성을 종합적으로 고려할 때, 진주층의 퇴적은 balanced-fill lake 성격의 분지에서 이루어진 것으로 해석된다. 한편 하산동층-진주층-칠곡층 발달과정에서 일어난 경상분지내 호수의 확장과 축소 기록은 앨비안 초기에 나타나는 온난화-한랭화-온난화의 기록 및 동아시아 지역에서의건조기후 확장 기록과 연관이 있을 것으로 해석된다.

      • KCI등재

        환동해지역 신석기시대의 문화와 사회교류

        신숙정(Shin Sook Chung) 한국신석기학회 2007 한국신석기연구 Vol.- No.14

        이 글에서 다룬 환동해지역이란 한국의 중동부 해안지역에 있는 양양 오산리·가평리·지경리·용호리, 고성 문암리·철통리, 강릉 초당동 등과 동북해안의 선봉 서포항, 신포시 강상, 그리고 러시아 연해주지역의 끄로노프까 1, 자이씨노프까 7, 클럭 5 지역 등이다. 이곳에서 생겨났던 신석기문화와, 신석기 집단들간의 사회교류, 그리고 당시의 환경 등에 대해 살펴보았다. 위 지역의 신석기문화는 토기의 출현 여부가 기준이 된다. 석기는 후기 구석기 말기이후의 좀돌날과 좀돌날몸돌, 그리고 버들잎 모양의 양면 조정 찌르개도 포함되는데 신석기 이후에도 지속된다. 최근의 연해주 지역의 편년은 Rudnaya > Boisman > Krounovka > Zaisanovka의 4 단계로 구분된다. 한국 중동부지역의 신석기 편년은 오산리 > 지경리 단계로 나뉘어진다. 환동해지역의 신석기시대 고환경은 산소동위원소, 해수면, 꽃가루 등에 의해 다양하게 연구되며 이를 가지고 생업에 대한 추구도 가능하다. 환동해지역의 신석기 유적은 해안사구와 석호지역으로 특정지워 진다. 이곳은 해풍이 약하고 옹화하며 생물종이 다양하여 신석기 사람들이 매우 선호했을 지역으로 생각된다. 환경자료와 문화유물로 볼 때 환동해지역의 생업은 사냥 / 채집 / 물고기·조개잡이 / 농사짓기 등이 모두 영위되었던 것으로 보인다. 환동해지역의 교류는 백두산 지역의 흑요석이 주도했던 것으로 나타난다. 환동해지역의 신석기문화를 고찰하여 볼 때 한국의 신석기문화는 전신세의 개시와 함께 시작되었으며 동북아시아 일대의 신석기문화와 동질성을 가졌던 것으로 나타난다. 결국 한국 신석기문화의 시공간상의 확장이 가능할 것이다. Neolithic Sites of the Circum-East Sea Area of this article include Osan-ni·Gapyeong-ni· Jigyeong-ni sites of Yangyang County, Munam-ni·Cheoltong-ni sites of Goseong County, and Chodang-dong of Gangneung City of Middle-East Coast Area, Seopohang site of Seonbong County of Northeast Coast Area, and Krounovka 1 site · Zaisanovka 7 · Klerk 5 sites of Primorye Region in Russian Far East. The Neolithic Period of these regions begins with the invention of pottery. Neolithic stone tools are blades, laurel-leafed bifacial points, and microcores and microblades which were made from Upper Palaeolithic through Epi-Paleolithic till Neolithic as well as many polished stone tools. While the chronology of Neolithic sites in the Primorye Region was going on with 4 steps as Rudnaya (before 7,000BP) > Boisman (around 5,000BP) > Krounovka > Zaisanovka (4,500BP), in the Middle-East Coast of Korea the chronology was developed as Osan-ni (before 7,000BP) > Jigeong-ni (5500BP). Paleoenvironments of Circum-East Sea Region in Neolithic Period could be reconstructed by Sea-level fluctuations. AMS, Oxygen Isotope Stage, Pollen Analysis, Faunal Analysis etc. It might be a little warmer and milder than now. Neolithic subsistence activities can be traced with those ecofacts collected from pollen and batanical analyses and artifacts discovered through many excavations. The subsistence of Circum-East Region in the Neolithic Period was gathering, hunting, fishing, and agriculture. The location of Neolithic sites in the Circum-East Sea Region were very characteristic, People of that time in that region usually chose the coastal sand dunes and lagoons. It is presumed that Neolithic people might prefer those places where there was no surge. and where the climace was mild, and wild varieties of organisms were so plentiful. The interaction of Neolithic Peoples in the Circum-East Sea region was conducted mainly by the exchange or Obsidian near Paektu-Mountain. Considering the Neolithic Culture of the Circum-East Sea region the Korean Neolithic could start with the Holocene beginning like many other sites in this region. and have much homogeneities within Notheast Asia s Neolithic.

      • KCI등재

        천안 성정동 지역의 화분분석 결과를 통한 Pleistocene 후기 고환경복원

        김혜령(Hye-Ryung Kim),윤순옥(Soon-Ock Yoon),황상일(Sangill Hwang),이병철(Byeong-Cheol Lee) 대한지리학회 2012 대한지리학회지 Vol.47 No.2

        충남 천안시 성정동 지역의 천안천 충적평야 화분분석 결과를 통해 최종빙기 최성기부터 홀로세에 걸쳐 고식생 환경과 기후 변화를 중심으로 고환경을 복원하였다. 화분대Ⅰ(약 23,000-15,000 yr BP) 시기는 목본이 드물게 분포하는 소림(疏林)상태로서 초지가 넓게 펼쳐져 있었다. 기후는 한랭하였으나 영남 산간지역에 비해 심하지 않았으며, Woldstedt(1962)와 Yoon and Jo(1996)에 따르면 'very cold'에 대비된다. 화분대Ⅱ(약 15,000-10,000 yr BP)는 회갈색 모래층에 해당하는 무화분대로서 최종빙기 최성기에서 홀로세 사이의 점이기에 해당한다. 이 모래층은 실트가 포함된 토탄으로 이루어진 상, 하부 층준과 확연히 구분되는데, 이와 같은 특징은 대단히 한랭했던 시기에서 온난한 환경으로 전환되는 동안 급격한 기후 변화가 진행된데 기인한 것으로 보인다. Holocene 전기에 대비되는 화분대Ⅲ(약 10,000-6,000 yr BP)의 화분조성에서는 기후가 뚜렷하게 온난해졌음을 확인할 수 있다. Paleo-environments such as vegetation and climate changes from the Last Glacial Maximum to the Holocene are reconstructed by the results of pollen analysis in the floodplain of Cheonan River, Seongjeong-dong, Cheonan-si, Chungnam Province. In the pollen zoneⅠ(approximately 23,000 - 15,000 yr BP), the area studied was covered by the extensive grassland with sparse wood. The climatic conditions were very cold, but it might not be so severe compared to the intermontane area in the Yeongnam area. This zone corresponds to the 'very cold' stage of Woldstedt(1962) and Yoon and Jo(1996). No pollen horizon(pollen zone Ⅱ) deposited between approximately 15,000 and 10,000 yr BP corresponds to the transitional stage from the Last Glacial Maximum to the Holocene. The horizon consists of the dark gray brown sand deposits different from the other horizons dominated by the silty deposits and these sedimentary properties may be attributed to the dramatic climate changes between the very cold stage and warm stage. The pollen zoneⅢ formed between approximately 10,000 and 6,000 yr BP shows clearly different pollen compositions indicative of temperate climate conditions.

      • 돌고래 Ⅲ-1과 돌고래 Ⅲ-2 (동해 울릉분지) 시추공의 유공충 생층서 및 고환경

        강소라(Sora Kang),변현숙(Hyunsook Byun),박순옥(Sun-Ok Park),이병수(Byung-Su Lee),정철환(Chull-Hwan Chung),박명호(Myongho Park) 한국고생물학회 2011 고생물학회지 Vol.27 No.1

        동해 울릉분지의 돌고래 Ⅲ-1과 돌고래 Ⅲ-2 시추공에서 산출되는 유공충 군집을 분석하여 유공충 생층서대(biozone)를 설정하고 고환경을 복원하였다. 돌고래 Ⅲ-1 시추공은 하부로부터 Cylclammina-Haplophragmoides Zone(중기 마이오세)/Rare to Barren Zone(후기 마이오세)/Elphidium Zone(플라이오세)으로 분대되었다. 이 시기 동안 고해양환경은 상부 반심해(upper bathyal)-육상 연안(coastal)-천해(neritic)로 변화한 것으로 해석된다. 돌고래 Ⅲ-2 시추공은 하부로부터 Cyclammina-Haplophragmoides Zone(중기 마이오세)/Barren Zone(후기 마이오세)/Cassidulina yabei Zone(플라이오세)/Globorotalia truncatulinoides Zone(플라이스토세)으로 분대되었으며, 각각 상부 반심해(upper bathyal)-육상 연안(coastal)-외천해(outer neritic)-내천해(inner neritic)의 환경에서 형성되었다. 플라이오세~플라이스토세 동안 울릉분지에는 난류와 한류가 혼합되는 해역이 형성되었다. Foraminiferal biozones are established and paleoenvironments are inferred through the investigation of the wells Dolgorae Ⅲ-1 and Ⅲ-2. Three foraminiferal biozones in ascending order for the well Dolgorae Ⅲ-1 are Cylclammina-Haplophragmoides Zone (Middle Miocene) / Rare to Barren Zone (Late Miocene) / Elphidium Zone (Pliocene). During these period, the paleobathymetry has been changed from upper bathyal through coastal to neritic. For the Dolgorae Ⅲ-2, four foraminiferal biozones in ascending order are Cyclammina-Haplophragmoides Zone (Middle Miocene) / Barren Zone (Late Miocene) / Cassidulina yabei Zone (Pliocene) / Globorotalia truncatulinoides Zone (Pleistocene). The paleobathymetry changed from upper bathyal through coastal to outer and inner neritic. During Pliocene to Pleistocene, the mixed current area of cold and warm currents was formed around the Ulleung Basin.

      • 새만금의 고환경과 매장문화재 유존가능성

        이영덕 원광대학교 마한백제문화연구소 2016 馬韓, 百濟文化 Vol.27 No.-

        Paleoenvironment of Saemangeum and Probable Relict of Buried Cultural Property Lee,Yeong-Deok‘ ‘Saemangeum Reclamation Project’ started in 1991 and 33.9 km-long seawall, as part of the project,was constructed in 2010 connecting Gunsan,Gogunsan Archipelago and Buan Frorn 2008 to 2009 when the seawall was almost completed,an earth surface investigation began in the reclaimed land inside the seawall in preparation for excavation of buried cultural property. Altbough the investigation discovered no relict,the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Maritime Cultural Heritage continued to conduct 3 times underwater excavation Surveys on the sea of Yami Island within the Saemangeum Seawall. Besides,question have been raised several times asking about the probability of cultural property buried in the reclaimed land of the seawall. The present paper tries to make depth approaches to developing a theory of probability that cultural property rnight be buried inside the reclaimed land in reference to the articles published in the past. First,it is needed to exmine the possibility of relict by means of paleogeomorphological analysis. ]udging from the examples of Southeast seacoast regions,there may probably exist the relics of the early Neolithic Age there. Furthermore,it may be said that the bones of mammoths collected on the waters of Wangdeung lsland can attest to the probable relict 。f the Paleolithic Age on the seabed in the West Sea. Second,it seems necessary to approach to this issue from the viewpoint of coastal route. Since the shell mounds to come under the later period of Neolithic Age or Bronze Age were discovered on the Gogunsan islands and 2 pieces of red peach were collected from the seabed of Yarni Island,it can be assumed that they were lost or sunken together with the boats which were sai!ing through the route. Besides,it can also be estimated that the relics were left from worship ceremonies to the sea,during marine transportation,or from pilllage by Japanese pirates,taking place along the coastal routes that had been continususly used since the age of Three States. The changes in the internal area of Saemangeum Seawall art still progressing. It is therefore requested to pay continued attention to the possibility of relict of buride cultural property in the land to be rechlaimed inside Saemangeum Seawall and thus to take systematic measures for improvement in this connection. ‘새만금간척사업’은 1991년에 착공되어 2010년까지 군산, 고군산군도, 부안을 잇는 33.9㎞의 방조제가 축조되었다. 방조제에 의해 육화된 새만금 내부개발지의 매장문화재 조사는 방조제가 거의 완공될 무렵인 2008~2009년에 걸쳐 지표조사가 진행되었다. 지표조사 결과 내부 개발지에서 확인된 유적은 없었다. 그러나 새만금 방조제 안쪽인 야미도 해상에서 국립해양문화재연구소에 의해 3차에 걸친 수중발굴조사가 이루어진 바 있다. 또한 새만금 내부개발지의 매장문화재 유존가능성은 수차례에 걸쳐 제기된 바 있다. 이 글은 기존에 발표된 내용을 근간으로 세부적인 접근을 통해 새만금 내부개발지의 매장문화재 유존가능성에 대한 필자의 견해를 피력하였다. 첫째, 고지형 분석을 통한 유적 유존가능성의 파악이 필요하다. 동남해안 지역의 사례를 통해 볼 때 신석기시대 조기 단계 유적 유존 가능성이 있으며, 왕등도 해역에서 채집된 맘모스 뼈의 존재는 서해해저에 구석기시대 유적의 존재 가능성도 있음을 암시한다고 할 수 있다. 둘째, 연안항로에 대한 인식이 전제된 접근이 필요하다. 고군산군도에도 신석기시대 후기~청동기시대에 해당하는 패총이 확인되며, 야미도 해저에서 수습된 홍도 2점은 항해 과정에서 유실이나 침몰 등을 상정할 수 있다. 그리고 삼국시대 이후 지속적으로 이용되어온 연안항로는 바다에 대한 제사나 조운, 왜구의 약탈 등 다양한 형태로 새만금 내부개발지에 남겨졌던 것으로 판단된다. 새만금 내부개발지의 변화는 아직도 진행형이다. 향후 간척지 내부의 개발과정에서 매장문화재의 존재 가능성에 대한 지속적인 관심과 제도적인 개선이 필요하다.

      • SCOPUSKCI등재
      • KCI등재

        김해 율하 지역 화분분석을 통한 홀로세 중기 이래 고환경 복원

        황상일 ( Hwang Sangill ),황범진 ( Hwang Beomjin ),윤순옥 ( Yoon Soon-ock ) 한국지형학회 2017 한국지형학회지 Vol.24 No.2

        The paleo-environments including changes in vegetation, climate, and sea level since the middle Holocene(6,400(?)-1,800(?) yr BP) were reconstructed with the special reference to pollen analysis from two trench samples at Yulha-dong, Kimhae-si, southern Korea. The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by the pollen zonation was summarized as follows: Pollenzone I(6,400(?)~3,940(?) yr BP) showed the dominance of Quercus species with broad-leaved trees, it was warm condition. Pollenzone II(3,940(?)~2,300(?) yr BP) was characterized to the yellow soil indicating terrestrial environment. Moreover, it showed Alnus-NAP period related to the extension of agriculture and deforestation by the rapid decrease of Quercus and increase of Gramineae. Pollenzone III(2,300(?)~1,800(?) yr BP) showed human impact from the increase of NAP and Pinus. Plenty of Quercus with deciduous broad-leaved trees also suggested warmer condition than befo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