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류큐어의 고모음화와 모음융합

        이병훈(李炳勳) 한국일본어학회 2011 日本語學硏究 Vol.0 No.32

        본 연구는 中本正智(1976)이 제안한 후 류큐어의 고모음화 발생요인에 관한 하나의 유력한 가설로 간주되고 있는 ‘모음융합에 의한 고모음화 촉발설’에 의문을 품고, 문헌자료인 『おもろさうし』, 「語音飜譯」의 고찰과 현대일본어와 현대류큐어와의 대응관계의 고찰을 통해 고모음화와 모음융합의 발생순서에 대해 추론했다. 『おもろさうし』의 가나표기와 「語音飜譯」의 한글표기에서 */au/나 */ai/가 모음융합에 의해 [o:](혹은[?:]), [e](혹은[?:])로 발음된 흔적을 찾아보기 힘들다. 반면 */e/, */o/가 고모음화에 의해 [i], [u]로 발음되었음을 나타내는 표기는 적지 않아, 15세기말-16세기초경의 류큐어에서는 고모음화가 이미 발생했으나 모음융합은 제대로 일어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모음융합이 고모음화를 촉발했다는 가설을 받아들이기 힘들다. 한편, 현대일본어와 현대류큐어를 대조해보면 일본어의 모음연속과 류큐어의 장모음이 정연한 대응관계를 이룸을 관찰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대응관계의 고찰을 통해 류큐어에서 ‘모음융합→고모음화’ 순으로 음변화의 발생순을 상정하는 것보다 ‘고모음화→모음융합’와 같은 변화의 순서를 상정하는 편이 현대어에 나타나는 양 언어의 대응관계를 설명하는데 보다 용이함을 밝혔다. 결론적으로, 류큐어의 역사에서 경험한 2가지 음운현상인 고모음화와 모음융합의 발생순에 있어, 모음융합이 먼저 일어나고 이에 따라 고모음화가 촉발된 것이 아니라 이와는 역으로 ‘고모음화→모음융합’ 순으로의 음변화가 일어났던 것으로 추정된다.

      • KCI우수등재

        ‘어→으’ 고모음화의 발생에 대하여 –≪송병필가 언간≫과 ≪여소학언해≫를 중심으로–

        유소연 국어학회 2018 국어학 Vol.0 No.85

        본고는 ‘어→으’ 고모음화 현상이 충청방언 충청방언은 중부방언권의 하위방언권에 속한다. 충청방언은 중부방언의 성격을 보이지만, 그 나름의 특성을 가지고 있다. 본고에서 살피고자 하는 ‘어→으’ 고모음화 현상은 충청방언의 특성을 살피기에 비교적 적절한 음운현상이다. 충청방언에서 실현되는 ‘어→으’ 고모음화 현상을 제대로 연구하기 위해서는 충청방언에서 ‘어→으’ 고모음화 현상의 발생과 함께 발달양상도 살펴야 할 것이다. 본고에서는 ‘어→으’ 고모음화 현상이 발생하게 된 원인과 시기를 밝히는 것에 초점을 둬, 충청방언에서 ‘어→으’ 고모음화 현상이 전개되는 양상에 대해서는 다루지 못하였다. 이는 후고를 통해 논의할 것이다. 에서 실현된 시기와 그 발생 원인을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어→으’ 고모음화 현상은 모음 ‘어’가 후설화 되고 그로 인해 모음 ‘으’와 혀의 높낮이자질에서 대립관계를 형성하게 된 이후에 발생하게 된 현상이다. 기존의 연구를 통해 중부방언에서 ‘어→으’ 고모음화 현상이 실현된 시기는 대략 19세기말인 것으로 확인하였다. 이에 충청방언을 반영하고 있는 ≪송병필가언간≫과 ≪여소학언해≫에서 실현된 ‘어→으’ 고모음화 현상을 분석해 보았다. 1880년대에 작성된 ≪송병필가언간≫에서부터 ‘어→으’ 고모음화 현상이 확인되었으며, 19세기말(혹은 1882년)의 충청방언을 반영한 것으로 평가받는 ≪여소학언해≫에서도 ‘어→으’ 고모음화 현상이 실현됨을 확인할 수 있다. 대부분의 연구에서는 ‘어→으’ 고모음화 현상이 어두 장음 ‘어ː’에서 실현되며, 음장이라는 운소가 큰 영향을 미치는 현상이라고 보았다. 그러나 어두 장음이 아닌 경우에도 ‘어→으’ 고모음화 현상이 발생하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고모음화 현상이 모음체계의 변화로 인해 ‘어’의 음가가 변화돼 실현되는 현상으로 설명될 수 있음을 살펴보았다. 또한 ‘오→우, 에→이’의 고모음화 현상 역시 ‘어→으’ 고모음화가 실현되는 시기와 매우 유사한 시기에 발생해, 이들 고모음화 현상이 발생하게 된 원인이 매우 관련되어 있을 것임을 추측할 수 있을 것이다. 이에 본고는 중세국어의 모음체계가 모음 ‘이’의 조음상의 견인력에 의해 전설과 후설의 대립체계로 변화된 이후에 실현이 가능하게 된 현상이라고 보았다. 이는 ≪송병필가 언간≫에서 ‘어→으’ 고모음화가 실현되지 않던 시기에는 나타나지 않던 ‘ㅣ’모음역행동화현상이, ‘어→으’ 고모음화 현상이 활발하게 실현되는 시기에는 활발하게 실현됨을 통해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어→으’ 고모음화 현상과 ‘오→우’ 고모음화 현상의 차이에 대하여 -중부 방언을 반영한 자료를 중심으로-

        유소연 국어사학회 2020 국어사연구 Vol.0 No.30

        본고는 18세기~19세기 중부 방언을 반영한 ≪경신록언석≫과 ≪은진송씨 송병필 가 언간≫을 중심으로 ‘어→ 으’ 고모음화 현상과 ‘오→ 우’ 고모음화 현상을 살펴보 았다. 중세국어 모음체계가 변화됨으로써 각 음소의 음가가 변화됨은 물론, 대립관계 를 형성하는 대립자질의 변화로 모음들 간의 대립관계도 점진적으로 변화되었을 것이 다. 이러한 변화의 과정에서 모음 /으/와 모음 /어/, 모음 /오/와 모음 /우/는 혀의 고저 자질에 의해 대립관계를 형성하였다. 따라서 고모음화 현상의 발생 시기를 파악하는 일은 해당 지역의 모음체계를 재구하는 데 중요한 요소가 되며, ≪경신록언석≫을 통 해 ‘어→ 으’ 고모음화 현상의 발생 시기가 18세기 후반으로 소급될 수 있을 것임을 확인해 보았다. 모음 /오/와 모음 /우/, 모음 /어/와 모음 /으/는 혀의 고저 위치에서 대립관계를 형성하지만, 이들 모음 사이의 음성적 거리는 동일하게 형성되지 않았을 것이다. 따라서 전설모음화와 원순모음화, 비원순모음화의 실현양상을 통해 모음 /오/와 모음 /우/의 음성적 거리가 모음 /어/와 모음 /으/에 비해 가까울 것임을 추정해 보았다. 이러한 차 이로 인해 폐구조음 원리에 의해 발생하는 고모음화 현상이 실현상 차이를 보이게 되 는 것이며, 이는 18세기~19세기에 ‘오→ 우’ 고모음화 현상이 상대적으로 더딘 발달 양상을 보이는 이유로 설명될 수 있을 것이다. This paper examined the vowel raising of “eo → eu” and “o → u” b y focusing on Gyeongsinrokeonseok and Eunjin Songssi Songbyeongpilga Eongan, two records that reflect the central dialect from the eighteenth to the nineteenth century. Changes to the vowel system of Middle Korean would have led to changes, not only in each phoneme and phonetic value but also in the contrastive features, thereby resulting in gradual changes in the contrastive relations between the vowels. Through such changes, the vowels /eu/ and /eo/, and the vowels /o/ and /u/ formed contrastive relations by the features of tongue height. The two sets of vowels, however, would have had different phonetic distance between each other. This paper examined realizations of vowel raising, labialization, and unrounding of the vowels to posit that the phonetic distance between the vowels /o/ and /u/ would have been relatively closer than the phonetic distance between the vowels /eu/ and /eo/. Such difference resulted in the different realizations of front-vowelization, which was caused by the destructuring of vowels, and could shed light on the relatively slower development of vowel raising of “o → u” from the eighteenth to the nineteenth century.

      • KCI등재

        대구 지역의 ‘신방언’ 실현 양상 연구 - ‘오→우’ 고모음화를 중심으로 -

        배혜진 한국방언학회 2016 방언학 Vol.0 No.24

        ‘New dialect’ is a new type of dialect, which differs from the words used among the previous generation and is used among relatively young speakers. ‘o →u’ vowel rising originated from the central area and was a phonological phenomenon with low productivity in the dialect of Daegu, where is a southern area. However, ‘o→u’ vowel rising is being realized productively among the young generation in Daegu, recently. With the collapse of regional disparity, a leveling phenomenon is appearing among dialects and especially, this centers around the young generation. Dialect leveling increases growth potential of new dialect. Therefore, this study examined the generational aspects of realization of ‘o→u’ vowel rising as a ‘new dialect’ appearing in Daegu.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o→u’ vowel rising as a ‘new dialect’ was hardly realized in lexical morpheme, but had high productivity in grammatical morpheme. On the contrary, ‘o→u’ vowel rising was slightly realized only in some lexical morpheme among typical older people. Also, it was productively realized in both lexical morpheme and grammatical morpheme of regional dialect of the central area, where ‘o→u’ vowel rising originated from. The reason why the power of new dialect is spreading and growing in Daegu is because of the hidden dignity of the central dialect and the positive perceptions of ‘o→u’ vowel rising, such as ‘politeness, intimacy, and kindness’. 지역 간 격차가 허물어지면서 방언들 사이에 평준화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 특히 이는 젊은 세대를 중심으로 진행되고 있으며, 방언 평준화는 ‘신방언(new dialect)’의 성장 가능성을 높이는 주요한 요인이 된다. 이전 세대에서 사용하던말과 차이가 있는 어형으로 상대적으로 젊은 화자들이 일상어로 사용하는 새로운 방언형을 ‘신방언’이라고 한다. ‘오→우’ 고모음화는 그 개신지가 중부 지역으로 남부 지역인 대구 지역어에서는 생산성이 낮은 음운 현상이었다. 하지만 최근 대구 지역의 젊은 세대를 중심으로 ‘오→우’ 고모음화가 생산적으로 실현되는 양상을 보인다. 본고에서는대구 지역의 노년층 화자들과 달리 쓰임이 확산되고 있는 ‘오→우’ 고모음화를‘신방언’으로 파악하고 그 실현 양상이 어떠한지 세대별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그 결과 신방언으로서의 ‘오→우’ 고모음화는 어휘 형태소에서 거의 실현되지않았지만 문법 형태소에서 높은 생산성을 보였다. 대구 지역의 전형적인 노년층에서는 ‘오→우’ 고모음화가 일부 어휘 형태소에서만 미약하게 실현된 것과 차이를 보인다. 또한 ‘오→우’ 고모음화의 원래 개신지였던 중부 지역에서는 어휘 형태소와문법 형태소 모두에서 생산적으로 실현되는 것과도 비교해볼 수 있다. 대구 지역에서 ‘오→우’ 고모음화가 신방언으로 세력을 확산하여 성장하고 있는 것은젊은 세대들이 느끼는 중앙어에 대한 ‘숨겨진 위신(covert prestige)’과 더불어‘오→우’ 고모음화 자체에 대한 ‘[공손, 친근, 친절함]’이라는 긍정적인 인식이작용했기 때문이다.

      • KCI등재

        高母音 脫落 現象과 관련된 몇 問題

        金鳳國 국어학회 2004 국어학 Vol.0 No.43

        이 글은 주로 京畿方言에 나타나는 高母音 脫落과 그에 따른 報償的 長母音化를 일으키는 예를 검토하고, 그들에 대한 共時的·通時的 問題를 논의하는 데에 목적을 둔다. 공시적인 문제와 관련해서는 高母音 脫落을 겪은 어형들이 2음절 어간인 근거로 비어두 음절의 위치에서의 음장의 존재를 들었는데, 이 위치에서 長音의 1음절 어간이라면 短音으로 실현되어야 하나 長音이 유지되므로 이들 어형은 2음절 어간으로 보아야 한다. 高母音 脫落을 겪은 어형들이 1음절 어간인 근거로 母音上昇化, 움라우트, 二重母音化(애:>야:)를 들었는데, 이 현상은 주로 한 음절에만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1음절 어간으로 보아야 한다. 그리고 形成機制와 관련해서는 高母音 脫落에 이은 報償的 長母音化 말고도 다양한 기제(母音同化, 再分析, 弱母音 脫落, 同一母音 脫落, 異化)의 가능성을 제기하였으며, 이를 아우를 수 있는 고모음 탈락 현상으로 보는 것이 기술의 간편성, 경제성에서 우월함을 언급하였고, 아울러 形成機制에 따른 통시적인 변화 과정 또한 高母音 脫落 현상과의 상관 속에서 설명하는 것이 나음을 지적하였다. The aim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synchronic and diachronic issues on high vowels deletion followed by compensatory lengthening in Jungbu dialect including Kyeonggi subdialect. in synchronic issue, the words deleting high vowels are composed of one syllable stem or two syllable stem. The two syllable stems are not absent from vowel length in non-word initial position. The one syllable stems are identified by vowel rising, umlaut, diphthongization of monophthongs. in diachronic issue, generative mechanism can be classified into vowel assimilation, reanalysis, weak vowel deletion, identical vowel deletion, dissimilation in addition to high vowels deletion followed by compensatory lengthening.

      • KCI등재

        경남 방언 영어학습자들의 영어 고모음 인지 연구

        이동명 ( Dong Myung Lee ),임수현 ( Su Hyeon Im ) 東亞大學校附設 石堂傳統文化硏究院 2014 石堂論叢 Vol.0 No.58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인 영어 학습자, 특히 경남 방언 영어 학습자들의 영어 고모음 /i, I, u, U/에 대한 인지 및 대응(mapping)을 분석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경상남도에 거주하는 35명의 남자 중학생들을 대상으로 한국인 영어 학습자들이 혼돈하기 쉬운 영어 고모음을 실험 모음으로 선정하여 인지 실험을 실시하였다. 본 논문의 인지 실험에서는 피실험자들이 영어 고모음들을 한국어의 어떤 모음으로 인지하여 대응시키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또한, 본 실험을 통하여 피실험자들이 영어의 고모음들을 한국어 모음들과 어느 정도 유사하다고 생각하는지에 관해서도 살펴보았다. 본 연구에서 실시한 인지 실험에 의하여 도출된 결과를 전체적으로 살펴보면 전설 긴장 고모음(high front tense vowel) /i/에 대한 한국어 모음 /이/의 대응률이 97.2%로 가장 높았고, 후설 이완 고모음(high back lax vowel) /U/에 대한 한국어 모음 /우/의 대응률이 42.5%로 가장 낮음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영어 모음과 한국어 모음의 유사도 부분에서는 대부분의 문항에서 3∼4 정도의 유사도(Likert 7점 Scale 사용)가 나온 것으로 보아서 한국어(경남 방언 화자) 피실험자들은 영어 모음 소리와 한국어 모음 소리 간에 중간 정도의 유사성이 있는 것으로 인식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를 통하여 경남방언을 구사하는 중학생 영어 학습자들은 영어의 긴장 모음을 영어의 이완 모음보다 더 잘 인지하여 대응시켰음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가 도출된 이유는 한국어 모음체계가 긴장성(tenseness)과 이완성(laxness)이라는 특징으로 명확히 구분되어 있지는 않지만, 한국어 모음들이 영어의 긴장 모음에 더 가깝기 때문일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한국인 영어 학습자들은 영어 모음체계의 인지 및 대응에서도 영어의 이완 모음보다는 긴장 모음을 더 잘 인지하여 이를 한국어 모음에 대응시킨 것으로 생각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perception (mapping) of English high vowels /i, I, u, U/ of Korean EFL learners. The experiment subjects were 35 male middle school students who were born and have lived in South Kyungsang Korea. English high vowels are easy to be confused by Korean English learners thus these vowels were chosen as English target vowels for the current perception study. This study investigated how the subjects perceive these English high vowels and match them to what Korean vowels by carrying out the perception experiment. In addition, the current study implemented the test to look into the Korean subjects` perception concerning the degree of similarity between Korean and English high vowels which they listened to.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English high front tense vowel /i/ is perceived as Korean vowel /이/ in 97.1% which is the highest mapping rate. The English high back lax vowel /U/ is perceived as Korean vowel /우/ in 42.5% which is the lowest mapping rate of this experiment. Second, in the case of the degree of similarity between English and Korean vowels, most South Kyungsang Korean subjects marked number 3 or 4 out of 1 (same as Korean) to 7 (totally different from Korean) Likert Scale. Thus, the subjects seemed to recognize only some degree of similarity between two different vowel systems. This study shows that South Kyungsang Korean middle school English learners have perceived and corresponded English high tense vowels better than English high lax vowels. That is, Korean vowel system does not distinguish tenseness and laxness distinctively, but the South Kyungsang Korean subjects mostly perceived English high tense vowels as Korean high tense vowels (97.1%) and they think the English vowels are somewhat similar to Korean vowels (3∼4 out of 7) even though they do not think Korean and English vowels are exactly the same. Therefore, South Kyungsang Korean English learners seem to perceive and match the English high tense vowels more easily than the lax vowels in the case of perception of English vowels and their mapping to Korean vowel system. This implies that South Kyungsang Korean EFL learners need to understand more accurately the vowel system of a target language when they learn the language. From the results of the present study, it does not seem to need a separate pronunciation education system for South Kyungsang Korean English learners. However, South Kyungsang Korean English learners need to be educated the difference between their native language (L1) and a second language (L2). Especially, it seems that South Kyungsang Korean English learners need a focused and intensive education for the acquisition of English lax vowels.

      • KCI등재후보

        청주지역어에서의 고모음화와 중모음화

        배영환 한국방언학회 2009 방언학 Vol.0 No.10

        This paper aims to examine the aspects of high-vowelization and mid-vowelization occurrences appearing in Cheongju Dialect and the reasons. The high-vowelization of Cheongju Dialect can be examined from two aspects - initials and non-initials. With respect to initials, most of word forms having a length in their initials went through this change. There are cases of high-vowelization of initials found with ‘으>어’ and ‘에>이’, but ‘오>우’ didn't go through this change. Additionally, now the length doesn't play a decisive role in high-vowelization, but both ‘으’ and ‘어’ forms, and both ‘에’ and ‘이’ forms still co-exist forming a dual-form relation. With respect to non-initials, there are ‘에>이’ and ‘오>우’ changes. Non-initials can be divided into cases related to lexical morpheme and cases related to grammatical morpheme. The mid-vowelization in Cheongju local language can be seen from the word forms that went through 으>어 change with their non-initials. The cases related to this change include ‘을>얼, 를>럴, 는>넌, 은>언, -들>-덜, -듯>-덧’, and etc. However, it seems that ‘-는’ is changed into ‘-넌’, but ‘-은’ is rarely the case, even though both of them are adnominal endings. Furthermore, such mid-vowelization doesn't occur with a present tense ‘-느-’. The reason why high-vowelization occurs with initials is because of a phonetic reason that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length, the degree of aperture for the vowel becomes smaller in the later part. The high-vowelization with non-initials also occurs because of the purpose for convenient articulation of non-initials which have little functional burden. With respect to mid-vowelization, the trace can be found from some word forms in this local language because of ‘ㅁ>어’ change, which occurred with non-initials and didn't comply with ‘ㅁ>으’ change according to the non-phoneticalization of ‘ㆍ’, Especially, the fact that there was already ‘ㅁ>어’ change in "Yeosohak" ≪女小學≫, which shows the characteristics of the Chungbuk dialect of the 19th century, signifies that this change is a trace of diachronic change. 이 글은 청주지역어에서 표면적으로 서로 다른 두 현상인 고모음화와 중모음화의 실현 양상과 그 이유에 대해 고찰한 것이다. 청주지역어의 고모음화 현상의 실현 환경은 어두와 비어두로 구분되는데 어두에서는 어두 장음을 가진 어형들이 대부분 이러한 변화를 겪었다. 어두 고모음화 현상 중 ‘으>어’, ‘에>이’의 예는 있지만, ‘오>우’의 변화는 나타나지 않는다. 또, 공시적으로는 장음이 고모음화에 결정적인 역할을 하지 않고, ‘으’형과 ‘어’형 그리고 ‘에’형과 ‘이’형이 공존하는 양상을 보여 주고 있다. 비어두에서의 고모음화 현상은 ‘에>이’의 변화와 ‘오>우’의 변화가 있다. 이들은 또 어휘형태소 내부에서 실현되는 예와 문법형태소에서 실현되는 예로 구분할 수 있다. 청주지역어에서 나타나는 중모음화는 비어두에서 ‘으>어’의 변화를 겪은 어형들에서 볼 수 있다. 여기에 해당되는 예들은 ‘을>얼, 를>럴, 는>넌, 은>언, -들>-덜, -듯>-덧’ 등이다. 고모음화가 실현되는 이유는 어두 장모음의 경우는 장음의 특성에 따라 해당 모음이 뒷부분으로 갈수록 개구도가 좁아지는 음성적인 이유에서 비롯된 것으로 보았고, 비어두에서의 고모음화 역시 기능부담량이 적은 비어두에서 조음의 편의성 때문에 빚어진 것으로 보았다. 중모음화는 이전 시기에 있었던 ‘ㆍ’의 비음운화에 따라 비어두에서 있었던 ‘ㅁ>으’의 변화를 겪지 않은 어형들이 그 후에 ‘ㅁ>어’의 변화를 겪었고 그 흔적으로 현재까지 남아 있는 것이다. 특히 19세기의 충북방언의 특징을 보이는 ≪女小學≫에서 이미 ‘ㅁ>어’의 변화를 보이는 예가 존재하는데, 이러한 변화가 통시적인 변화의 흔적임을 볼 수 있다.

      • KCI등재

        어휘적 장단의 소실과보상적 고모음화의 발생에 대한 시론

        김지은 서강대학교 언어정보연구소 2023 언어와 정보 사회 Vol.48 No.-

        Based on a comprehensive review of previous studies, this paper points out that raising of long vowels is observed neither between periods of lexical length distinction and initiation of vowel raising nor in the regions where vowel length distinction still holds. In addition, to resolve this issue noted, I try to comprehend the raising of long vowels through reconsideration of the initiation period for the loss of lexical length distinction and the concept of compensatory raising. This paper considers the lexical length distinction to have already faded from the beginning and that vowel raising compensated for this weakened discriminatory power. Therefore, it is understood that the raising of long vowels remained at the level of phonetic variation in the transition period and was not indicated orthographically. 본고에서는 선행 연구에 대한 종합적 검토를 바탕으로 어휘적 장단과 고모음화 발생 시기 사이의 공백기와 어휘적 장단이 건재한 지역에서는 장모음의 고모음화가 발견되지 않는다는 문제를 제기하였다. 또한, 제기한 문제에 대한 해결을 위하여 어휘적 장단 소실이 시작된 시기에 대한 재고와 보상적 고모음화 개념의 도입을 통하여 장모음의 고모음화 현상을 다시금 이해해 보았다. 본고에서는 어휘적 장단은 그 시작에서부터 이미 변별력이 약화된 상태였으며, 고모음화가 그러한 약화된 변별력을 보상해 주었다고 보았다. 그리하여 공백기에는 장모음의 고모음화가 음성적 변이 수준에 머물러 있었기에 표기로 남지 않았고, 장모음의 고모음화는 보상적 현상이므로 어휘적 장단이 건재한 지역에서는 일어나지 않는 것으로 이해하였다.

      • KCI등재

        20세기 초반 대덕 지역의 고모음화 현상과 모음 /오/, /우/의 특징

        유소연 한국어학회 2020 한국어학 Vol.89 No.-

        This paper examined The Sourcebook of Korean Dialects: Chungcheongnam-do Edition and An Outline of Korean Oral Literature: Daedeok-gun Edition to analyze the linguistic characteristics of the Daedeok region in the early twentieth century. This paper focused on the vowel raisings of “e → i,” “eo → eu,” and “o → u.” The linguistic materials of the Daedeok region showed that the vowel raising of “o → u” was relatively less active in comparison. Thus, this study posited that the characteristics of the vowels /o/ and /u/ affected the realization of vowel raising. This paper analyzed the realization of vowel-related phonological processes. Based on this analysis, this paper conjectured that the vowels /o/ and /u/ are phonetically closer compared to the /eo/ and /eu/, and /e/ and /i/. Therefore, it could be predicted that the phonetic distance between the vowels can affect the degree of realization of vowel raising. 이 글은 20세기 초반 대덕 지역의 고모음화 현상의 실현 양상을 통해 대덕 지역이 단모음 체계에서 모음 /오/와 모음 /우/가 갖는 특징을 분석한 글이다. 고모음화 현상은 조음상의 편이를 위해 발생하는 음운 현상이며, 이는 해당 모음이 장음으로 실현되는 경우와 해당 모음에 선행하는 자음이 [+설정성] 자질을 가질 때 활발하게 실현됨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이유로 인해 발생하는 음운 현상이라면, 단모음 체계상 모음 /에/와 모음 /이/, 모음 /으/와 모음 /어/, 모음 /우/와 모음 /오/는 유사한 정도로 실현되어야 할 것임을 예측할 수 있다. 그러나 20세기 초반 대덕 지역어를 확인할 수 있는 <<한국방언자료집-충청남도편>>과 <<한국구비문학대계-충청남도 대덕군편>>을 분석한 결과, ‘오→우’ 고모음화 현상은 다른 고모음화 현상에 비해 상대적으로 덜 활발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고는 이러한 차이가 고모음화 현상이 실현되는 모음들이 가지고 있는 실제적인 음성적인 거리가 차이를 가질 수 있음에 기인할 것으로 가정하였다. 후설 모음들의 성격을 파악할 수 있는 음운 현상의 실현 양상을 분석함으로써 모음 /오/와 모음 /우/의 음성적 거리가 매우 가까울 것이라는 결과를 도출하였고, 이러한 특징이 고모음화 현상의 실현 정도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을 것임을 예측해 볼 수 있다.

      • KCI등재

        경남 방언 영어학습자들의 영어 고모음 인지 연구

        이동명,임수현 동아대학교 석당학술원 2014 石堂論叢 Vol.0 No.58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perception (mapping) of English high vowels /i, I, u, U/ of Korean EFL learners. The experiment subjects were 35 male middle school students who were born and have lived in South Kyungsang Korea. English high vowels are easy to be confused by Korean English learners thus these vowels were chosen as English target vowels for the current perception study. This study investigated how the subjects perceive these English high vowels and match them to what Korean vowels by carrying out the perception experiment. In addition, the current study implemented the test to look into the Korean subjects' perception concerning the degree of similarity between Korean and English high vowels which they listened to.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English high front tense vowel /i/ is perceived as Korean vowel /이/ in 97.1% which is the highest mapping rate. The English high back lax vowel /U/ is perceived as Korean vowel /우/ in 42.5% which is the lowest mapping rate of this experiment. Second, in the case of the degree of similarity between English and Korean vowels, most South Kyungsang Korean subjects marked number 3 or 4 out of 1 (same as Korean) to 7 (totally different from Korean) Likert Scale. Thus, the subjects seemed to recognize only some degree of similarity between two different vowel systems. This study shows that South Kyungsang Korean middle school English learners have perceived and corresponded English high tense vowels better than English high lax vowels. That is, Korean vowel system does not distinguish tenseness and laxness distinctively, but the South Kyungsang Korean subjects mostly perceived English high tense vowels as Korean high tense vowels (97.1%) and they think the English vowels are somewhat similar to Korean vowels (3∼4 out of 7) even though they do not think Korean and English vowels are exactly the same. Therefore, South Kyungsang Korean English learners seem to perceive and match the English high tense vowels more easily than the lax vowels in the case of perception of English vowels and their mapping to Korean vowel system. This implies that South Kyungsang Korean EFL learners need to understand more accurately the vowel system of a target language when they learn the language. From the results of the present study, it does not seem to need a separate pronunciation education system for South Kyungsang Korean English learners. However, South Kyungsang Korean English learners need to be educated the difference between their native language (L1) and a second language (L2). Especially, it seems that South Kyungsang Korean English learners need a focused and intensive education for the acquisition of English lax vowels.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인 영어 학습자, 특히 경남 방언 영어 학습자들의 영어 고모음 /i, I, u, U/에 대한 인지 및 대응(mapping)을 분석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경상남도에 거주하는 35명의 남자 중학생들을 대상으로 한국인 영어 학습자들이 혼돈하기 쉬운 영어 고모음을 실험 모음으로 선정하여 인지 실험을 실시하였다. 본 논문의 인지 실험에서는 피실험자들이 영어 고모음들을 한국어의 어떤 모음으로 인지하여 대응시키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또한, 본 실험을 통하여 피실험자들이 영어의 고모음들을 한국어 모음들과 어느 정도 유사하다고 생각하는지에 관해서도 살펴보았다. 본 연구에서 실시한 인지 실험에 의하여 도출된 결과를 전체적으로 살펴보면 전설 긴장 고모음(high front tense vowel) /i/에 대한 한국어 모음 /이/의 대응률이 97.2%로 가장 높았고, 후설 이완 고모음(high back lax vowel) /U/에 대한 한국어 모음 /우/의 대응률이 42.5%로 가장 낮음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영어 모음과 한국어 모음의 유사도 부분에서는 대부분의 문항에서 3∼4 정도의 유사도(Likert 7점 Scale 사용)가 나온 것으로 보아서 한국어(경남 방언 화자) 피실험자들은 영어 모음 소리와 한국어 모음 소리 간에 중간 정도의 유사성이 있는 것으로 인식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를 통하여 경남방언을 구사하는 중학생 영어 학습자들은 영어의 긴장 모음을 영어의 이완 모음보다 더 잘 인지하여 대응시켰음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가 도출된 이유는 한국어 모음체계가 긴장성(tenseness)과 이완성(laxness)이라는 특징으로 명확히 구분되어 있지는 않지만, 한국어 모음들이 영어의 긴장 모음에 더 가깝기 때문일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한국인 영어 학습자들은 영어 모음체계의 인지 및 대응에서도 영어의 이완 모음보다는 긴장 모음을 더 잘 인지하여 이를 한국어 모음에 대응시킨 것으로 생각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