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고려시대 문집에 인용된 전거자료의 재인식

        문철영 전북사학회 2019 전북사학 Vol.0 No.57

        Koryo was the center of East Asian medieval culture that shared, preserved and developed the power of civilization in East Asia. This remains in the authority data cited in the book of the Goryeo people.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use it as a qualitative database of authority data covering the entire collection of Goryeo Dynasty scholarships and monks. Looking at the process of interpretation of cited authority materials: 1) finding authority sources and contrasting texts 2) finding authority materials that cross Confucianism and Buddhism 3) comparing people cited with the same authority 4) new interpretation process based on transformation of original material 5) It can be developed by finding patterns and feeling the texture of history. Since the early 1990s, World History and Global History have grown rapidly, and along with these changes, critics criticized the limitations of traditional history writing on the border of one country, and ‘Transnational History' I got it. In the Transnational History, I will examine how humans, ideas, institutions, and cultures operate beyond and beyond one country and explain how borders encompass or define people's historical experience. The authoritative sources cited in the book of Goryeo are also the ones on the border crossing between Koryo and China. While these materials are of little interest to both Korea and China, they can represent an international and open tradition of Koryo society and a new possibility of the ‘transnational history’ of crossing Goryeo and China. 고려는 동아시아의 문명의 힘을 공유ㆍ보존하고 발전시킨 동아시아 중세문화의 중심지였다. 이는 고려인들의 문집에 인용된 전거자료에 잘 남아 있다. 특히, 고려 문인들이 이렇게 다양한 중국 자료들을 상황에 맞게 가감하여 적절히 인용한 것은 문화적 자신감의 발로에서 나온 결과이다. 이처럼 고려는 문화적 자신감을 가지고 동아시아 문명의 힘을 공유하고 보존해 왔는데, 그러한 문화적 자신감이 고려 문집에 인용된 전거자료에 오롯이 남아 있다. 따라서 고려시대 유학자와 승려들의 문집을 비롯한 고려시대 문집 전체와 동문선 자료까지 망라한 전거자료에 대한 질적 데이터베이스로서의 활용이 필요하다. 이러한 방법의 일환으로 고려시대 문집에 인용된 전거자료의 재인식을 통해 조선시대에 비해 상대적으로 열악한 전산화된 문집의 사료 상황을 질적으로 극복할 수 있는 가능성을 모색하고자 한다. 먼저 고려 문집에 인용된 전거자료라는 한정된 자료라 할지라도 각종 판본을 비교·검토하여 원문의 오류를 최대한 보완하는 작업이 선행되어야 한다. 인용된 전거자료마다 각 판본의 성격과 동이(同異)를 살펴서 판본마다의 차이점을 밝히고, 그 차이가 어디서 생기는지를 고려하여 형태 분석을 우선적으로 진행하여야 한다. 고려 문집에 인용된 전거 자료에 대한 기존의 선행연구를 살펴보면, 고려시대의 문집 중 『삼봉집』의 『경제문감』 등 특정한 문헌에 제한되어 있고 연구자도 몇 명에 불과하다. 그리고 연구의 형태를 띠지는 않았지만, 문집을 번역하는 중에 출처를 밝히는 경우가 있다. 하지만 대부분 피상적이면서 ‘형태적’ 출처 찾기에 한정되어 있어서 학문후속세대가 활용하기에는 역부족이고 또한 오류가 많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단순한 전거 자료를 찾는 것에 머무르지 않고 내용상의 인용전거까지 검토할 필요가 있다. 고려 문집에 인용된 전거 자료의 재인식을 통한 사료 활용의 경우, 기존 선행연구나 번역문집이 제공하는 ‘단순한 용어사용의 차이나 기록의 착오 또는 견해의 바뀜’을 밝히는데 그치는 ‘형태적’ 차원을 넘어서는 것이어야 한다. 유·불을 망라한 고려시대 문집 속에 인용된 전거자료의 ‘동이(同異)’를 통해 그 시기 사람들의 세계관이나 경전 해석 방식의 변화와 같은 사상적 경향성 등을 ‘심층적’차원에서 깊이 있게 해명할 수 있어야 하는 것이다. 인용 전거자료의 해석 과정을 살펴보면, 1) 전거 출처 찾기와 원문 대조 2) 유교와 불교를 가로지르는 전거자료 찾기 3) 동일 전거 인용 인물 비교 4) 원천자료 변형에 따른 새로운 해석 과정 5) ‘인용 패턴’찾기와 ‘역사의 결’ 느끼기 등으로 전개될 수 있다. 90년대 초부터 세계사(World History)나 지구사(Global History)가 급격하게 성장하였고, 이러한 변화와 더불어 기존의 역사서술이 일국사의 테두리에 안주하는 한계를 비판하고 ‘트랜스내셔널 히스토리’가 각광을 받게 되었다. 트랜스내셔널 히스토리에서는 ‘어떻게 인간, 사상, 제도, 문화가 일국(一國)을 넘어 그 저변이나 주변으로 작동하는가를 조사하고, 어떻게 국경선이 사람들의 역사적 경험을 포괄하거나 규정하는 가를 설명하려 한다. 고려 문집에 인용된 전거자료들도 이렇게 고려와 중국을 횡단하여 가로지르는 경계선에 있는 자료들이다. 한국과 중국 양쪽에서 관심을 기울이지 않는 자료들이지만, 오히려 이들 자료...

      • KCI등재

        『朱一齎先生文集』에 수록된 ‘責問高麗詔’에 대하여

        권용철(Kwon, Yong-Cheol) 효원사학회 2020 역사와 세계 Vol.- No.58

        본고에서는 원말명초의 문인 주선의 문집인 『朱一齎先生文集』에 기록되어 있는 「責問高麗詔」의 내용 분석을 통해 고려-명 관계사에서의 사건들을 살펴보고, 여기에 더하여 「책문고려조」가 언제 작성된 문서였는지에 대한 추론을 진행하였다. 「책문고려조」는 기존에 활용되었던 『명태조실록』, 『고려사』 등의 사료에는 수록되어 있지 않은 문서이기 때문에 전문을 번역하면서 분석을 시도했는데 그 내용은 기존에 알려져 있던 것과 크게 차이가 나지 않는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즉, 「책문고려조」는 고려사와 명태조실록에 실린 홍무제의 칙서 내용을 詔書의 형식으로 다듬은 정도였다고 할 수 있겠다. 「책문고려조」에는 공민왕이 시해된 이후 고려-명 관계가 악화되는 과정이 잘 설명되어 있다. 홍무제는 공민왕이 시해되기 전부터도 고려에 대한 의혹을 가지고 있었고, 고려에서 사신이 두 번이나 살해된 것(손내시와 채빈의 죽음)으로 인해 그 의혹은 더욱 확대되었다. 그러한 분노를 고려에 전달하면서 홍무제는 자신이 한미한 출신에서부터 들고 일어나 결국 천하의 주인이 되었다는 점을 강조했고, 특히 「책문고려조」에서는 고조선, 고구려의 역사적 사례까지 언급하면서 고려에 대해 강경한 질책의 의사를 표명했다. 하지만 「책문고려조」는 실제로 고려에 전달되지는 않았던 것으로 보이고, 조서 내에 시기가 구체적으로 기록되어 있지 않아 이 조서만으로는 「책문고려조」가 어느 시점에 작성된 것인지를 파악하기가 쉽지 않다. 그러나 본고에서는 「책문고려조」의 내용에 유독 고조선, 고구려의 역사가 길게 들어가 있다는 점에 주목하여 홍무제가 처음으로 역사적 사실을 언급하는 홍무 10년(1377) 12월의 칙서와 「책문고려조」를 연계시켰고, 『朱一齎先生文集』에 실린 문서의 순서를 통해 「책문고려조」가 홍무 10년 9월에서 홍무 11년 3월 사이에 작성된 것임을 논증하였다. 고려-명 관계사 연구에서는 『고려사』와 『명태조실록』이 가장 중요한 자료이지만, 여기에만 너무 집중하다보면 자칫 「책문고려조」와 같이 다른 문집에 수록된 문서를 놓칠 수도 있다. 앞으로 새로운 시각의 확보와 상세한 분석을 위해서 기존에 잘 알려지지 않았던 자료들을 발굴할 필요성은 여전히 남아 있다고 할 수 있겠다. 「책문고려조」의 소개 및 분석을 시도했던 본고가 고려-명 관계사 연구의 진전에 조그만 도움이 될 수 있기를 바란다. In this article, I examined the events of history of Goryeo-Ming relation through the analysis of the contents of “imperial edict to rebuke Goryeo”(責問高麗詔) which is recorded in collection of literary works of early Ming dynasty Zhuyijixianshengwenji(朱一齎先生文集), and also conducted inferences on when “imperial edict to rebuke Goryeo” was written. “Imperial edict to rebuke Goryeo” explains the deterioration of Goryeo-Ming relation after King Gongmin was assassinated. Emperor Hongwu had suspicions about Goryeo even before King Gongmin was assassinated, and the suspicion was further magnified by the fact that envoys were killed in Goryeo. In conveying such anger to Goryeo, Emperor Hongwu mentioned the historical cases of Gojoseon and Goguryo, he expressed his strong intention to reprimand Goryeo. However, it is not easy to determine when the imperial edict was written because it does not appear to have actually been delivered to Goryeo and the timing is not specified in the edict. However, this article noted that the contents of “Imperial edict to rebuke Goryeo” contain a long history of Gojoseon and Goguryo, and proved that “Imperial edict to rebuke Goryeo” was written between September of 1377 and March of 1378. In the study of Goryeo-Ming relation, Goryeosa and Veritable Records of Ming Taizu are the most important materials, but if we focus too much on them, we may miss documents contained in other materials, such as “Imperial edict to rebuke Goryeo”. In order to secure new perspectives and analyze them in detail, there is still a need to excavate previously unknown materials. We hope that this article which attempted to introduce and analyze “Imperial edict to rebuke Goryeo”, will be of little help to the progress of the study of Goryeo-Ming relation.

      • KCI등재

        홍무제의 공민왕 책봉 조서의 實在

        권용철 한국외국어대학교(글로벌캠퍼스) 역사문화연구소 2023 역사문화연구 Vol.88 No.-

        본 논문에서는 공민왕 19년(1370) 5월에 명의 사신이 도착하여 공민왕을 고려국왕으로 정식 책봉하는 기록에서부터 의문을 가지고, 고려-명의 초기 관계 형성이라는 상황을 염두에 두면서 공민왕을 책봉하는 조서 기록을 발견하여 이에 대한 의미를 부여하고자 했다. 고려사 의 공민왕 세가에는 공민왕이 홍무제에 의해 고려국왕으로 책봉되었을 때 전달된 문서로 誥命의 존재만 보이고 있다. 그리고 명 측의 기록에서도 똑같이 誥命의 내용이 일부 글자만 달라진 채 고려사 와 거의 똑같은 형태로 전해지고 있다. 문제는 명 측의 기록이 교묘하게 서로 다르다는 점이다. 명태조실록 에서는 공민왕을 책봉하는 조서와 誥命을 모두 기록을 해놓았지만, 정작 조서의 실제 내용은 고려사 의 우왕 책봉 조서와 거의 동일했다. 즉, 우왕을 책봉할 때 보낸 조서를 공민왕을 책봉할 때 반포한 조서로 조작해 놓은 것이다. 그리고 명집례 나 대명태조황제어제집 은 제목에는 고려국왕 왕전(즉, 공민왕)을 책봉하는 ‘조서’라고 기록했으나 실제 내용은 고려사 와 명태조실록 에 실린 誥命을 적어 놓았다. 이렇게 되면서 도대체 홍무제가 공민왕을 책봉할 때에 인장과 함께 誥命만 보낸 것인지, 아니면 조서와 誥命을 함께 보낸 것인지 확실하게 판단하기가 어려워졌다. 그러나 공민왕 책봉의 誥命과는 전반적인 내용은 비슷하나 문장은 다른 고려국왕 책봉 조서가 있다는 것을 발견하고, 본 논문에서는 이를 공민왕을 책봉할 때 반포한 조서로 추정하였다. 1350년대 말부터 주원장 휘하에서 문인 관료로 활약했던 왕위의 왕충문집 에 수록된 이 조서는 공민왕 책봉 誥命과는 별도로 공민왕 책봉 조서가 實在했음을 뒷받침하는 증거로 삼을 수 있다. 왕위의 생존 기간, 조서의 내용 등을 통해서 왕충문집 의 고려국왕 책봉 조서를 받는 대상은 공민왕이 될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결국 홍무제는 명태조실록 의 기록대로 공민왕을 고려국왕으로 책봉할 때 조서, 金印, 誥命을 함께 보냈다고 보아야 할 것이다. 다만, 이 조서가 왜 왕충문집 과 이를 참조로 편찬된 명문형 에만 남아 있고 고려사 나 명태조실록 등 국가가 편찬한 기록에서는 전혀 확인할 수 없는지 그 이유가 분명하지 않다. 의도적인 누락이었는지, 혹은 양쪽 기록의 실수였는지 그것도 아니면 조서는 문집에 기록으로만 남아 있고 실제로는 고려에 전달되지 않은 것인지 등의 의문까지는 해소하지 못한 것이다. 차후 고려-명 관계사 연구의 진전과 왕충문집 에 수록된 자료의 성격에 대한 추가적 연구가 이루어져서 여러 의문점에 대한 실마리가 나오기를 기대한다. This paper start with the record of the arrival of Ming's envoy in May of the 19th year of King Gongmin(1370) to officially appoint King Gongmin as the King of Goryeo, and try to find and give meaning to the record of the cefeng(冊封) of King Gongmin while keeping in mind the situation of the early formation of the Goryeo-Ming relationship. In the Goryeo history, only the existence of gaoming(誥命) appears as a document delivered when King Gongmin was appointed as King of Goryeo by Emperor Hongwu(洪武). And in the records of the Ming side, the same content of gaoming is transmitted in almost the same form of Goryeo history with only some characters changed. The problem is that the Ming records are subtly different. While Veritable Record of Ming Taizu records both the royal edict(詔書) and the gaoming to appoint King Gongmin, the actual content of the royal edict was identical to the edict to appoint King Wu of Goryeo. In other words, the royal edict sent to appoint King Wu was mistakenly recorded as the edict sent to appoint King Gongmin. As a result, it is difficult to determine with certainty whether Emperor Hongwu sent only the seal and the gaoming, or both the edict and the gaoming, when he appointed King Gongmin. However, this paper have found that there is a royal edict of Emperor Hongwu that is similar in overall content to the gaoming but different in text, and this paper assumes that it is the royal edict that was issued at the time of the King Gongmin's appointment. This document, which was included in the collection of Wanghui(王褘), a literary bureaucrat who served under Emperor Hongwu from the late 1350s, can be used as evidence to support the existence of a document for the cefeng of King Gongmin apart from the gaoming for the appointment of King Gongmin. In the end, it can be assumed that Emperor Hongwu sent the royal edict, gold seal, and gaoming together when he appointed King Gongmin as King of Goryeo as recorded in the Veritable Record of Ming Taizu. However, it is unclear why this document is only found in the collection of Wanghui and not at all in records compiled by the state, such as the Goryeo History or Veritable Record of Ming Taizu. Whether this was an intentional omission or a mistake on both sides, or whether the document was only recorded in a collection of documents and never actually delivered to Goryeo, remains to be seen. It is hoped that future advances in the study of Goryeo-Ming relations and further research will shed light on many of these questions.

      • KCI등재후보

        고려시대 敎藏의 송・요 불교계 交流와 전승

        박용진(Park, Yong-jin) 북악사학회 2021 북악사론 Vol.13 No.-

        본고는 高麗 敎藏 결집 및 DB구축사업을 통해 조사한 한・중・일의 장소 가운데 고려 교장의 송・요 불교계 교류와 유통에 대하여 『新編諸宗敎藏總錄 : 收錄文獻 總覽』의 자료를 중심으로 검토하고, 그 경향을 살펴보았다. 고려와 송의 불교 교류는 송 화엄종, 천태종 및 율종 관련 인물과의 장소 교류를 중심으로 검토하였다. 고려 교장도감 간행의 교장의 송 불교계 유통과 전승을 살펴보면, 고려 교장이나 고려 전래본이 저본이었을 것으로 추정되는 송대 重刊 장소는 法藏和尙傳 등 10건이며, 『대소주경』은 의천의 주문에 의해 송에서 목판이 판각되어 고려에 수입되었고, 그 인본이 송나라에 재전되어 활용된 드문 사례이다. 한편, 이 시기 요나라에서 편찬된 불교 장소 교류는 고려를 매개로 유통된 점에서 특징적이다. 이 가운데 고려가 요에서 구득한 장소는 『교장총록』에 수록되어있고, 교장도감의 간행을 통하여 동아시아 불교계에 유통 또는 전승되었다. 이상의 고려 교장의 고려와 송 불교계 유통은 한문불교문화권에 있어 일방적 방향성을 갖는 것이 아닌 상호교류라는 관점을 제시할 수 있고, 동아시아의 제국이 장소를 전래할 때 고려와 송 등은 각국에 현존하지 않던 것을 중심으로 자국에 보충하려는 경향을 보인다. 또한 고려 교장의 교류는 당시의 경전 및 장소의 유통을 통한 불교 교류사적 의의가 있다. This paper is the result of researching the Buddhist commentaries(敎藏) of Korea, China, and Japan through Goryeo-gyojang(高麗敎藏) gathering and DB construction project. In particular, this study analyzed Goryeo-gyojang s exchange and distribution of Song(宋) and Liao(遼) Buddhists. The summarized results are as follows. Buddhist exchanges between Uicheon and Song Buddhism were reviewed focusing on exchanges with monks related to the Hwaeom-sect(華嚴宗), Cheontae-sect(天台宗), and Gyeyul-sect(戒律宗). There are 10 Song Dynasty version(宋刊本), such as the Beobjang-hwasangjeo(法藏和尙傳), which are believed to be published by the Goryeo-gyojang or the Goryeo distribution. The exchange of the Buddhist commentaries compiled in the Liao(遼) Dynasty in the 11th-12th century East Asian Buddhism is characteristic in that it was distributed through Goryeo. As for the exchange trend of Goryeo-gyojang, this study can see the aspect that the Uicheon of Goryeo transmitted the lost Buddhist commentaries(章疏) in Song(宋), and on the one hand, the trend of mutual exchange accepting the latest books of the Song. Also, the exchange of the Goryeo-gyojang can point out the significance of Buddhist exchange through the circulation of the Scriptures and Buddhist commentaries(章疏) at that time.

      • KCI등재

        고려시대 대장경·문집·고문서 자료의 정보화 현황과 전산화 방안

        최영호 한국중세사학회 2011 한국중세사연구 Vol.0 No.30

        This paper is to analyze on the current status and method of computerization about the Tripitaka(大臧經) & Miscellany(文集) & Historical Manuscripts(古文書) that was written at period of the Goryeo Dynasty(高麗王朝). The computerization of this basic sources has be performed in a limited form a most of the existing computerization have be limited to the text sources. In the cases of translation & annotation data, computerization has be missing considerably in the cases of reading classic-text & & bibliographic terms & bibliographical introduction, the error is discovered, the service of searching terms are missing too. The method of computerization may be presented as follows in the first instance, we need to systematically collect a data of sources that is scattered domestic & overseas. next, we need to be accurately confirmed the original text. The next, we need to secure the accurate translation & annotation & bibliographical-introduction. Fourthly, we need to secure the convenience of search through the unification of terminology. Finally, we need to be actively seeking a things that reflect the existing research-results, is involved the professional researchers. In this way, we can faithfully ensure the objectivity of an original text & translation & bibliographic terms & bibliographical-introduction through an systematic operation of the Review-Committee. This paper is to analyze on the current status and method of computerization about the Tripitaka(大臧經) & Miscellany(文集) & Historical Manuscripts(古文書) that was written at period of the Goryeo Dynasty(高麗王朝). The computerization of this basic sources has be performed in a limited form a most of the existing computerization have be limited to the text sources. In the cases of translation & annotation data, computerization has be missing considerably in the cases of reading classic-text & & bibliographic terms & bibliographical introduction, the error is discovered, the service of searching terms are missing too. The method of computerization may be presented as follows in the first instance, we need to systematically collect a data of sources that is scattered domestic & overseas. next, we need to be accurately confirmed the original text. The next, we need to secure the accurate translation & annotation & bibliographical-introduction. Fourthly, we need to secure the convenience of search through the unification of terminology. Finally, we need to be actively seeking a things that reflect the existing research-results, is involved the professional researchers. In this way, we can faithfully ensure the objectivity of an original text & translation & bibliographic terms & bibliographical-introduction through an systematic operation of the Review-Committee.

      • KCI등재

        조선간본(朝鮮刊本) 『번천문집협주(樊川文集夾註) 』의 협주자(夾註者) 국적(國籍)에 관한 일고(一考) -고려시대 중국서적 장서환경의 관점에서-

        김호 중국어문학회 2013 中國語文學誌 Vol.43 No.-

        本文旨在試圖說明《樊川文集夾註》的夾註者的國籍問題。 爲了深入地探討 此問題, 本文首先檢討前人的硏究成果, 而且就相關論點的得失加以論述。 接著, 本文證明《樊川文集夾註》所引用的中國書籍確實在當時高麗所藏, 藉此說明 夾註者爲高麗人。 通過本文的討論得到如下幾點結論: 第一、 大部分中國學者認爲「夾註者爲南宋人」, 但是這種說法實際上幷無 根據。 第二、 有些學者提出「夾註者爲韓國人」, 如(中國)朴鋒奎、 (日本)芳村弘道等人, 他們的說法雖然有可取之處, 仍有再討論的餘地。 第三、 《夾註名賢十抄詩》爲由高麗僧人夾註的。 有趣的是, 《夾註名賢十抄詩》所引用的不少中國書籍在《樊川文集夾註》也被引用。 加上, 《樊川文集夾註》 引用的不少書籍在南宋以後, 在中國沒有流傳下來, 如《玄宗遺錄》、 《十道志》、 《唐宋詩話》、 《茶譜》、 晩唐詩人們的詩文集(《十抄詩》編纂時利用的)等。 又在 宋代編纂的類書或後來出現的輯佚本中也?不到《樊川文集夾註》所引用的內容。 那?我們可說在夾註的過程中, 夾註者確實看到這些書籍的單行本。 如此說來, 《樊川文集夾註》所引用的中國書籍, 確實當時藏在高麗, 則夾註者無疑爲高麗人, 不可能爲南宋人。

      • KCI등재

        공민왕대 기사의 수록양식과 원전자료의 記事 전환방식

        김난옥(KIM NANOK) 고려사학회 2013 한국사학보 Vol.- No.52

        The annual average numbers of articles in the era of King Gongmin were 61 in the 「Sega(世家)」 in 〈Goryeosa (高麗史, History of Goryeo)〉 and 39 in the 〈Goryeosa Jeolyo (高麗史節要, Essentials of Goryeo History)〉 and thus the former was approximately 1.5 times of the latter. However, the increase and decrease in the number of articles over time of the former and the latter were generally proportional. The numbers of articles between the end of the 12th year and the 13th year of King Gongmin and between the end of the 14th year and the beginning of the 13th year of King Gongmin are much smaller compared to other periods because some of materials in original books were omitted or deleted in the complicated relationship with Yuan. The most notable thing in the recording systems of the 「Sega(世家)」 and the 〈Goryeosa Jeolyo (高麗史節要, Essentials of Goryeo History)〉 is that whereas the daily sexagenary cycles were indicated in approximately 85% of articles in the former, the daily sexagenary cycles were indicated in only approximately 9% of articles in the latter. In the case of the 〈Goryeosa Jeolyo (高麗史節要, Essentials of Goryeo History)〉, the daily sexagenary cycles were mostly omitted because many articles gathered were synthesized and summarized because of the principle of ’‘summarization’. Articles beginning with ‘this month’ or ‘this year’ were those for events that clearly occurred in the month or year but could not be dated to certain days. However, among the entire articles for the era of King Gongmin, the number of those beginning with ‘this month’ was only 8 and the number of those beginning with ‘this year’ was only 3. The reason why articles related to Hwanjo(桓祖) were included in the extremely small numbers of ‘this month(是月)’ and ‘this year(是年)’ articles was that the articles related to Hwanjo(桓祖) were added when ‘Goryeo History’ was complied in the Joseon Dynasty period. The Lee Seong-Gye related articles contained in the 「Sega(世家)」 and the 〈Goryeosa Jeolyo (高麗史節要, Essentials of Goryeo History)〉 are almost the same as those in the 「Taejo Series(太祖總序)」 and excessively decorated the achievements of Lee Seong-Gye compared to the activities of persons in the era of King Gongmin recorded in the 「Biographies(列傳)」. As with the case of Hwanjo(桓祖) related articles, this was because the achievements of Lee Seong-Gye were unnaturally included in the 「Sega(世家)」 and the 〈Goryeosa Jeolyo (高麗史節要, Essentials of Goryeo History)〉. The preface and messages in 〈Mokeunmungo(牧隱文藁)〉 were recorded in detail in 「Sega(世家)」 and briefly in the 〈Goryeosa Jeolyo (高麗史節要, Essentials of Goryeo History)〉. Cases where terms such as proclamation(宣旨) and royal messages(勅書) were irregularly changed in the process of converting the content of the anthology into articles in the 「Sega(世家)」 and the 〈Goryeosa Jeolyo (高麗史節要, Essentials of Goryeo History)〉 could be found. The reason for this is considered to be the confusion resulted from frequent changes in the principle of compilation of the ‘Goryeo History’ or the carelessness of compilers.

      • KCI등재

        『신편고려사전문(新編高麗史全文)』의 편찬을 위한 방안

        장동익 ( Chang Dong-ik ) 역사교육학회 2017 역사교육논집 Vol.65 No.-

        The problems pointed out in Goryeosa(高麗史) and Goryeosajeolyo(高麗史節要) that compiled in the middle of the 15th century are as follows. Firstly, when the first type of Goryeosa was typed, there was mis spelling, omitted words, etc., but it was not corrected in the reprinted woodcut. Secondly, there is a case that failed to rearrange the previous year due to the change of the chronological order. Thirdly, in the contents, there are some cases in which the arrangement of time is not appropriate due to the first day of months in the lunar calendar, monthly difference, etc. Fourthly, there are cases in which the compilers wrote official rank, name, etc. wrong because the context of the facts is not taken into consideration. Fifthly, there are many cases in which emperor's words and actions in the early period of Goryeo were demoted to that of the prince. Sixthly, because several people were compiled separately, there is a case that and the same facts were not recorded in any period at all. In order to find such errors, we should compare and examine the contents of strapline of Goryeosa and Goryeosajeolyo which was made based on the same historical sources.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find out the actual facts by comparing some chronicles and materials of different sources. According to this method, I have reviewed the two chronicles and found that there are 120 articles to move to another period because of the problem with the arrangement of the period, 8,700 articles that can complement each other, and 2,600 articles that can be supplemented by other sources.

      • KCI등재

        홍무제의 고려인 妃 周氏와 명으로 파견된 周氏 고려인

        권용철 중국사학회 2023 中國史硏究 Vol.- No.144

        This article have examined a fragmentary picture of how Goryeo-Ming relations unfolded, focusing on a Goryeo woman Zhou who remained in Dadu(大都) after the Yuan Empire was driven north, and her family who were sent to the court of the Ming Empire. Although there are definitely records related to Concubine Zhu and her family in sources such as History of Goryeo Dynasty(高麗史) and Veritable Records of Mingtaizu(明太祖實錄), it is not easy to reconstruct the story based on them because the records are not very detailed. However, there is a sentence in A Collection of Works of Mingtaizu(明太祖文集) that frankly reveals the feelings of Hongwu Emperor in relation to Concubine Zhu's brother, Zhuyi(周誼), so I was able to analyze it further and supplement the related inferences. In the turns of Goryeo-Ming relations from the end of the King Gongmin to the beginning of the King Wu, Concubine Zhu was not directly involved. However, Goryeo tried to promote relationship with Ming by sending members of Concubine Zhu's family as envoys. And although it does not appear in the records, Concubine Zhu may have been constantly worried that her brother would be harmed. Concubine Zhu, who rose from being a court woman(宮女) of Yuan to being a concubine of the Hongwu Emperor, is a very unique woman in history. She simultaneously represented the special status of a “dedicated woman”(貢女) in the Goryeo-Yuan relationship and the tension between the Goryeo-Ming relationship. 본고에서는 원 제국이 북쪽으로 쫓겨난 이후 大都에 남아 있다가 명 제국의 궁정으로 불려간 고려 여인 周氏와 그녀의 가족들을 중심으로 고려-명 관계가 어떻게 전개되었는지의 모습을 단편적으로 살펴보았다. 고려사 , 명태조실록 등의 자료에는 주씨 여인과 그녀의 가족과 관련된 기록이 분명히 존재하고 있지만, 기록의 분량이 적고 상세한 편도 아니어서 이를 바탕으로 내용을 재구성하기는 쉬운 일이 아니었다. 그러나 명태조문집 에 주씨 여인의 오라비인 주의와 관련된 홍무제의 심정을 솔직히 드러낸 문장이 있어서 이를 추가적으로 분석하면서 관련 추정을 보완할 수 있었다. 공민왕 말기에서 우왕 초기에 걸쳐 우여곡절을 거치는 고려-명 관계의 흐름에서 사실 周妃가 직접적으로 간여한 것은 없었다. 다만 주겸에게 우왕이 공민왕의 실제 자식인지를 물어보았다는 것이 기록에서 확인할 수 있는 전부이다. 그러나 고려에서는 홍무제의 총애를 받는 周妃의 가족 구성원들을 사신으로 파견하면서 명과의 우호를 도모하려 했고, 비록 기록에는 전혀 나타나지 않지만 周妃도 오라비가 해를 당할까 항상 불안감에 시달리고 있었을지 모른다. 원의 궁녀에서 홍무제의 妃에까지 오른 주씨는 어찌보면 고려-원 관계에서 드러나는 ‘공녀’라는 특별한 존재와 고려-명 관계 사이의 긴장감을 동시에 드러내고 있었던 역사상 아주 독특한 여성이라고 할 수 있지 않을까?

      • KCI등재

        여말선초 문인들의 개인 문집 간행

        옥영정(Ok, Young Jung) 포은학회 2017 포은학연구 Vol.19 No.-

        이 연구는 여말선초(麗末鮮初)의 시기에 간행된 개인문집 중에서 현존하고 있는 서적을 대상으로 서지학적인 측면에서 다룬 것이다. 국내외에 전해지고 있는 한국고서적에 대한 서지학적인 연구를 기반으로 삼고 그 중에 특히 여말선초에 간행된 문집에 대한 조사와 함께, 해당 서적에 대한 서지적 평가로 판본을 감정하고 간행시기를 확인해본 것이다. 약 21종에 이르는 여말선초의 문집 현존본의 간행은 주관자의 대부분이 혈연관계에 의한 것이 많으며 문집 상호간에도 저작주체간 관련도가 매우 높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문집의 간행경향과 인쇄문화는 밀접한 관련이 있다. 그러나 초기문집의 현전본이 매우 드물고 그 계통 수립에 필요한 원자료 접근이 매우 제한 되기 때문에 그 구체적 정황을 정리하고 체계적으로 제시하기가 쉽지 않지 만 제한된 여건 속에서 조금씩 진전된 학술적 논의를 위해서라도 새로운 간본을 발굴하고 유형화된 흐름을 확인하는 작업을 진행하였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초간(初刊) 문집의 기본적인 문제(범주 설정, 간행시점 고증) 에 관한 기초자료의 확보라는 측면에서 1차적 접근을 위한 현존본과 서지적 사항을 중심으로 살펴본 것이다. 이를 위해서 여말 선초에 간행된 문집에 대한 개략적인 설명과 함께 간행시기를 확인할 수 있는 내용을 확인해서 그 근거를 마련하였다. 특히 현존본으로 남아 있는 초기 문집의 전승 상황은 연구 기초자료의 확보라는 측면에서 의미를 지닐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deals with the bibliographic aspects of existing books among the personal collections published in the late Goryeo and early Chosun period of the 14th century. Based on a bibliographic study of Korean books and books published in and out of the country, especially in the late Goryeo and early Chosun period, a bibliographic evaluation of the book was conducted to check the edition and check the publication period. In the late Goryeo and early Chosun period, about 21 kinds of publications of the present Bible were found to be mostly related by blood relations, and there was a very high correlation between authors. Also, the publishing trends of literature and printing culture are closely related. However, it is not easy to summarize the specific context and present it systematically because it is very rare and the access to the original data necessary for establishing the system is very limited. However, for the academic discussion which progresses gradually in limited circumstances, and to confirm the flow that was typed. Therefore, this study focuses on existing bibliographic and bibliographic items for the primary approach in terms of securing the basic data on the basic problems (category setting, publishing point confirmation) of the first periodicals. In order to do this, a brief description of the literary works published in the Goryeo shrine was made, and the contents confirming the period of publication were confirmed and grounds were established. Especially, the status of the early literary works remaining in the existing bibliography can be meaningful in terms of securing the basic data of research.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