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권용철 중국학연구회 2022 중국학연구 Vol.- No.100
이 논문은 중국에서 출토된 묘지명 자료들을 기반으로 거란제국의 인물들 중 고려와 관련된 기록이 묘지명에 남아 있는 세 건의 사례를 살펴보았다. 거란제국 및 고려 초기의 역사 연구를 위한 사료가 많지 않은 상황에서 이 시기 연구에 중요한 단서를 제공할 수 있는 자료가 바로 묘지명이다. 묘지명은 正史에 매우 압축적으로만 기록된 인물의 행적을 더욱 자세히 복원할 수 있게 하고, 심지어 정사에서 전혀 모습을 드러내지 않는 인물들의 행적과 그 역사적 의미를 밝히는 데에 결정적인 도움을 주기 때문이다. 이에 묘지명 자료의 적극적인 활용 방법을 모색하는 것을 염두에 두고 고려-거란 관계사 방면에서 다룰 수 있는 인물들의 묘지명을 선별하여 검토한 것이다. 거란의 고려에 대한 1차 침입에서 활약했던 야율원녕은 거란과 고려의 접경지대라고 할 수 있는 요동에서 이미 정치적 기반을 형성하고 있었다. 특히 야율원녕의 가문이 요동을 중심으로 세력을 형성했다는 점을 주목할 수 있고, 고려에 대한 침입 역시 거란의 요동 지역에서의 확장과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었다는 것을 파악할 수 있다. 또한, 고려왕의 생신을 축하하기 위해 고려에 파견된 적이 있었던 한춘과 맹초는 외교 혹은 학문 분야에서 이미 두각을 드러냈던 인물이었고, 거란에서 중요한 비중을 차지하고 있었던 관료가 고려에 하생신사로 파견되었다는 것은 거란이 고려와의 관계 유지를 위해서 노력했다는 것을 암시한다. 본고에서 살펴본 3명의 행적은 고려-거란 관계의 성격을 규명하기 위한 사례를 구체적으로 보여준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고, 앞으로도 더욱 많은 사례들이 발굴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김장구 ?17세기 ‘몽문 연대기’에 보이는 한국관련 기록의 비판적 검토?에 대한 토론문
권용철 동국역사문화연구소 2016 동국역사문화연구소 학술대회지 Vol.- No.추계
현재 우리나라 학계에서는 17세기 몽문 연대기에 주목한 소수의 연구들이 있는 데, 이 중에서도 몽골어와 관련된 언어학적 연구들을 제외한 역사학적 연구는 더더 욱 많지 않은 실정입니다. 그나마 몽골원류의 번역1)에 이어 최근에 김장구 선생 님의 역주 몽골 황금사2)가 출간되면서 17세기 몽문 연대기에 대한 연구자들의 관심을 촉발하고 있습니다. 이를 바탕으로 앞으로 다양한 주제의 연구들이 이루어 질 것으로 보이는데, 그 중에서도 이 글은 17세기 몽골문 연대기 사료들에서 ‘솔랑 가스’와 ‘가올리’라는 표현의 用例들을 언급하면서 당시 몽골인들이 한반도 일대를 어떻게 인식하고 있었는지를 탐구하고 있습니다. 앞으로 이 연구를 발판으로 다양 한 관점에 입각한 몽문 연대기 분석이 진행될 수 있기를 기대하며, 글을 읽고 궁금 했던 문제들을 제기하는 것으로 토론자의 역할을 대신하고자 합니다.
권용철 중앙대학교 중앙사학연구소 2019 중앙사론 Vol.0 No.50
Since its founding, Goryeo has gradually expanded its territory to the north. Thus, the perception of the boundary was extended to the Amnok River, when the Khitan-Liao empire began its campaign against the northeastern region, leading to the formation of a confrontation between Goryeo and the Liao over the area around the Amnok River. In the end, the conflict led to Khitan’s the first intrusion to Goryeo, and the two countries ended the war by accepting the outcome of the negotiations at 994. As a result of the negotiations, the Amnok River has become the boundary between the two countries. During the 11th century, tension has always been created between Goryeo and Khitan. As a result, it could be said that the contact zone between Goryeo and Khitan was in a state of “peace in high tension,” as was the case with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countries. In the early 12th century, Goryeo accepted tribute relationship to Jurchen-Jin at a fairly rapid pace, and the Jin empire did not bother to wage war with Goryeo. Finally, when Goryeo sent a sworn document (誓表) to Jin to meet the demands of Jin empire, the Jin approved to own the area around the Amnok River. That is to say, the relatively stable relationship between Goryeo and Jin allowed the handling of the contact zone to take place without such fierce clashes as war. The international situation in East Asia has changed rapidly again in the 13th century with the rise of the Mongols in the north. The Goryeo Dynasty fought for a long time against Mongol, but it was forced to accept the Mongols’ control. In addition, Goryeo’s King Wonjong was helped by Khubilai Khan in restoring the royal authority, so the situation was developed dependent on Mongol-Yuan. Thus, even when the northwestern region was annexed by Mongol-Yuan, Goryeo failed to strongly oppose Khubilai Khan. Rather, Khubilai Khan sought to use the Dongnyeongbu(東寧府) to further strengthen his dominance in the relationship with Goryeo. The Dongnyeongbu, which was made in the early stage of the formation of the Goryeo-Mongol relationship, was also a sign that Mongol did not believe in Goryeo until 1270. As King Chungnyeol, who married Khubilai’s daughter, ascended to the throne in 1274, and Goryeo contributed greatly to the Mongol’s expedition to Japan, so Khubilai’s view on Goryeo changed. King Chungnyeol also had to pay attention to his relations with Mongol all the time because he needed a background of Mongol to keep his royal authority stable. Thus, Khubilai gradually turned to Goryeo, and eventually abolished Dongnyeongbu in 1290 and returned the northwestern area to Goryeo. This also meant that the nature of the Goryeo-Mongol relationship in the early 1270s and the 1290s changed. From this time on, the contact zone between Goryeo and Mongol-Yuan was again formed around the Amnok River. This article has reviewed what happened in the northwestern contact zone of Goryeo amid changes in relations with Khitan, Jurchen, Mongol, and how the border itself has changed. The contact zone was a sensitive place that reflected not only the direct relationship between two or more countries bordering on the border, but also the factors such as the international situation at the time and the change in the internal politics of each country, so the pattern of border changes was a phenomenon that allowed us to gauge the trends of international relations and affairs at that time.
권용철 제주대학교 탐라문화연구원 2019 탐라문화 Vol.0 No.60
Research on the relations between Yuan Empire and Tamla in the 13th and 14th centuries has been in existence for a long time since the beginning of the 20th century. In the beginning, general approaches were attempted in terms of pioneering the research topic. From the 1980s, detailed analysis of the relations between Yuan Empire and Tamla was made in a Korean academic world. The research on the data of Jeju Island was also conducted, and the study was activated so that the Tamla material collection was published. Through this, the historical meaning of the core themes of relations between Yuan Empire and Tamla could be revealed.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of the 20th century, various studies on the Yuan Empire and Tamla were published since the 2000s. Studies on the influence of culture and society, as well as political and diplomatic relations between Yuan Empire and Tamla have been published. Based on archaeological achievements, analyzes based on linkages between actual remains and records have also begun to be made. Not only did the perspectives on the research become diverse, but also raised the necessity of making the whole of East Asia a category of review. In the future, I think that research and deepening of research will be possible if actively exchanging academic information with researchers in Jeju Island and other local researchers. 13~14세기 원과 탐라 관계에 대한 연구는 20세기 초부터 시작되어 오랫동안 지속되어 왔다. 초기에는 연구 주제를 개척하는 측면에서 개괄적인 접근이 시도되었고, 1980년대부터는 한국학계를 중심으로 원탐라 관계에 대한 세부적인 분석들이 이루어졌다. 그리고 제주도의 자료들에 대한 검토도 진행되어 탐라 관련 사료집이 간행되었을 정도로 연구가 활성화되었다. 이를 통해 원탐라 관계의 핵심 주제들이 지닌 역사적 의미가 밝혀질 수 있었다. 자료와 연구 주제 방면의 성과를 기반으로 2000년대부터는 원탐라에 관한 다양한 관점의 연구가 발표되었다. 원과 탐라의 정치⋅외교적 관계는 물론이고, 문화와 사회에 끼친 영향에도 주목한 연구가 출간되었고 고고학 성과를 토대로 실제 유적과 기록의 연계를 통한 분석도 이루어지기 시작했다. 또한 元代史 및 明代史 연구 성과의 축적과 더불어 원과 명의 정세 및 제도 등을 상세하게 고찰한 바탕에서 탐라에 대한 지배와 통제의 의미를 되새기는 연구가 시도되었고, 더 나아가 원⋅명고려의 관계에서 탐라 문제가 차지하고 있었던 실질적인 위상이 부각되기도 했으며 고려가 결국 탐라를 지배하게 되면서 원탐라 관계로 인해 형성된 여러 가지 측면을 考慮하지 않을 수 없었다는 평가가 내려지기도 했다. 즉, 연구의 시각이 다양해졌을 뿐만 아니라 동아시아 전체를 검토의 범주로 삼아야 한다는 필요성까지 제기되었던 것이다. 앞으로 제주도의 연구자들과 다른 지역 연구자들과의 적극적인 학술교류가 이루어진다면 연구의 심화 및 발전이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한다.
권용철 충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24 인문학연구 Vol.63 No.1
본고에서는 1029년에 거란에 대항해 반란을 일으킨 대연림이 세운 국가의 명칭인 ‘興遼’의 의미에 대한 재검토를 시도했다. 대연림이 왜 ‘요를 일으키다’로 해석될 수 있는 興遼를 국호로 정했는지에 대한 의문은 학계에서 오랫동안 명쾌하게 해결되지 못한 상황이다. 거란에 대해 반란을 일으켜놓고, 거란의 국호인 요를 쓰면서 요를 일으키겠다는 모순적인 모습이 드러났다고 연구자들이 판단했기 때문이다. 이 모순을 해결하기 위해 다양한 추론들이 제기되었지만, 이러한 추론들 중에서는 상황을 억지로 연결시키려는 논리가 보이는 것도 사실이다. 그만큼 興遼가 가지고 있는 모순을 해결하기가 너무 어려웠던 것이다. 이에 필자는 거란의 국호 변경 상황 그리고 대연림의 반란이 일어난 1029년이라는 시점에 주목하여 興遼의 의미를 다르게 분석했다. 거란은 大契丹과 大遼라는 국호를 시기에 따라 바꾸면서 사용하였고, 한자 국호인 大遼는 주로 한인들이 거주하는 공간에서 통용되었다. 특히 대연림이 반란을 일으켰던 1029년은 오로지 大契丹만이 거란의 공식 국호로 사용되었던 시기였다. 이러한 사실을 염두에 두면, 대연림이 세운 국가인 興遼라는 국호에서 ‘遼’는 거란의 한자 국호가 아니라 대연림이 근거한 지역을 지칭하는 것이었다고 보는 것이 합리적이다. 주목해야 할 또 다른 기록인 고려사 에서도 ‘遼’를 거란의 한자 국호로 사용하지 않은 사례가 興遼國을 언급하는 부분에서 분명히 확인된다. 고려와 거란의 국경 지대에 위치한 고려의 영덕진에서 거란의 내원성에 보낸 첩문에는 ‘平遼’라는 표현을 사용하여 興遼國을 평정했다고 기록한 것이다. 만약 거란의 한자 국호인 遼가 공식적으로 사용되었다면, 오해를 불러일으킬 수도 있는 ‘平遼’ 대신에 얼마든지 다른 표기를 활용할 수 있었을 것이다. 그러나 고려가 첩문을 거란의 내원성에 보낸 1035년 당시에도 거란의 공식 국호는 ‘大契丹’이었기 때문에 ‘平遼’ 역시 ‘요동(혹은 요양)을 평정’했다는 의미를 가지고 있었다. 이는 興遼國의 ‘遼’를 거란의 한자 국호가 아닌 요동(요양)으로 해석해야 함을 보여주는 중요한 사례 증거로서 해석할 필요가 있다. This article attempts to revisit the meaning of Xingliao(興遼), the name of the state founded by the Daeyeonlim(大延琳) in 1029, which rebelled against the Khitan(契丹). The question of why Daeyeonlim chose Xingliao, which can be interpreted as "to set up Liao dynasty," has long been unresolved in scholarship. Various theories have been proposed to resolve this problem, but there is still no clear answer. This is because the contradiction is so difficult to resolve. Therefore, this article analyzed the meaning of Xingliao differently by focusing on the circumstances of the Khitan's change of state name and the time point of 1029. The Khitan used both Great Khitai(大契丹) and Great Liao(大遼) at different times. By 1029, when Daeyeonlim rebelled, only Great Khitai(大契丹) was used as the official state name of Khitan. With this fact in mind, it is reasonable to assume that the "Liao" included in Xingliao, was not the Chinese state name of Khitan.It is reasonable to assume that Liao was referring to Liaoyang(遼陽) or Liaodong(遼東).
李穀의 『稼亭集』에 수록된 大元帝國 역사 관련 기록 분석
권용철 역사학회 2018 역사학보 Vol.0 No.237
This paper examines the major political events of the Yuan Empire mentioned in Lee Gok(李穀)’s Gajeongjip(稼亭集, the Literary Collections of Lee Gok). It also explores in depth figures of the Yuan Empire who have hitherto remained uninvestigated in prior studies. Lee Gok wrote about these people as well as about the political situation in the Yuan Empire, a fact suggesting that there were Goryeo people involved in major events that occurred in the Yuan Empire and who were firsthand witnesses of events happening in the country. In literary works included in Gajeongjip, Lee Gok also mentions the names of several writers whom he was acquainted with as well as prominent figures in the history of the Yuan Empire. The late Goryeo dynasty saw ceaseless tension between those wishing to maintain Goryeo’s social conventions and those hoping to introduce the laws of the Yuan Empire into Goryeo. This tension represents an important characteristics of the late Goryeo dynasty. Gajeongjip includes not only various political events and figures in Goryeo and the Yuan Empire but also Lee Gok’s careful contemplation of political systems of the time. In other words, Gajeongjip covers a wide range of subjects, from important figures and events in the two countries to diverse issues related to Goryeo-Yuan relations, meaning that this book is a valuable historical source for the study of the late-Yuan and late-Goryeo period. 본고에서는 이곡의 『稼亭集』에서 언급되고 있는 대원제국의 중요한 정치적 사건과 기존 연구에서는 상세히 언급하지 않은 대원제국 측 인물들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주로 원으로 진출한 고려인들의 사정에 밝았던 이곡은 그들과 관련된 문장을 남기면서 대원제국의 정치에 대해서도 서술했다. 이를 통해 보면, 대원제국에서 벌어진 주요한 국면에 고려 출신 인물들도 참여하여 그 광경을 목격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이곡과 교유하면서 『稼亭集』의 詩文을 통해 출현하고 있는 여러 문인들 이외에도 대원제국 역사에서 중요한 위상을 차지하고 있는 인물들의 행적이 『稼亭集』에 기록되었음을 확인했다. 특히 고려 후기에 고려의 습속을 유지하려는 경향과 대원제국의 법제를 적용하려는 움직임 사이에서는 끊임없는 충돌이 일어났고, 이는 고려 후기를 규정하는 중요한 특징 중의 하나가 되었다. 『稼亭集』 속에는 본론에서 분석한 여러 사건들과 인물들 이외에도 당시의 정치 구조에 대해 치열하게 고민했던 저자 이곡의 인식까지 담겨있는 것이다. 즉, 『稼亭集』은 고려 및 대원제국에서 활약한 여러 인물, 사건들은 물론이고 고려-대원제국 관계에서 드러나는 다양한 문제들에 이르기까지 광범한 내용을 담고 있어 고려 후기는 물론 대원제국 후기를 연구하기 위한 중요한 사료로서 충분한 가치를 가졌다고 할 수 있다. 앞으로 대원제국사 연구에서 이러한 내용들이 조금 더 주목을 받았으면 하고, 차후 더 나아간 분석을 위한 소중한 자료로서의 역할을 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2015 개정 교육과정 중학교 『역사 부도』 교과서의 몽골 제국 관련 지도 및 자료에 대한 비판적 분석
권용철 연세사학연구회 2023 學林 Vol.51 No.-
In this paper, I have critically examined how middle school Historical Atlas textbooks present maps and materials related to the Mongol Empire. By analyzing a total of six textbooks, we can see that there are several parts of the narrative of the Mongol Empire that need to be revised or more carefully reviewed. In particular, the most important is the map, and it is obvious that the various place names, territories of countries, and arrows indicating expeditionary routes on the map should accurately reflect historical facts. Through periodic curriculum revisions, the Mongol Empire has been increasingly covered in textbooks, and its significant impact on East Asian history as well as world history and global exchanges is also covered in Historical Atlas textbooks. Therefore, visual materials related to the Mongol Empire that have not received much attention or are unknown in the past became necessary in the textbook production process, and recent research results were used as a source of information to select materials. In this process, errors in explanations and unclear terminology have been identified, which will need to be refined in future revisions. In addition, the maps in the textbooks had to refer to various place names due to the vastness of the Mongol Empire, and errors are gradually appearing in each textbook. This is also something that needs to be corrected in the future. I hope that when new textbooks are produced based on the 2022 curriculum revision, the existing errors will be checked and further discussions will be held to correct them. 본고에서는 현행 중학교 『역사 부도』 교과서에서 몽골 제국 시기의 지도와 관련 자료를 어떻게 표기하고 수록했는지에 대해서 비판적인 시각으로 검토했다. 총 6종의 교과서를 분석해 보면, 몽골 제국에 대한 서술의 여러 부분에서 수정이 반드시 진행되어야 할 부분이 보이고, 혹은 조금 더 신중한 재검토가 필요한 점도 존재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역사 부도』에서 가장 중요하다고 할 수 있는 것이 지도인데, 지도에 등장하는 여러 지명과 국가의 영역, 원정로를 나타내는 화살표 등이 역사적 사실을 정밀하게 반영하고 있어야 한다는 점은 너무나도 당연하다. 주기적으로 이루어진 교육과정 개정을 통해 몽골 제국이 교과서에서 다루어지는 비중은 점점 늘어났다. 또한, 몽골 제국이 동아시아사는 물론이고 세계사 및 세계적 교류에 끼친 중요한 영향도 교과서에서 비교적 상세하게 다루고 있다고 할 수 있다. 그렇기 때문에 기존에는 주목을 받지 못했거나 알려지지 않았던 몽골 제국 관련 시각 자료들이 교과서 제작 과정에서 필요하게 되었을 것이고, 최근의 연구 성과들을 정보의 출처로 삼아 자료의 선별이 진행되었다. 이 과정에서 설명에 오류가 남아 있거나 용어가 명확하지 않은 부분들이 보이는데, 이는 차후 개정을 통해 다듬어져야 할 것이다. 그리고 교과서에 수록된 지도 역시 몽골 제국의 영역이 방대하기 때문에 여러 지역의 지명들이 언급되어야만 했고, 그러면서 생긴 오류들이 교과서마다 조금씩 드러나고 있다. 이 부분 역시 앞으로 수정을 거쳐야 할 내용이다. 이제 2022년 교육과정 개정을 기반으로 새로운 교과서가 제작될 때에는 기존의 오류를 점검하고, 오류 수정을 위한 세밀한 논의가 더욱 진행될 수 있기를 바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