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사회적자본과 공동체의식이 사회적경제인식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이국권,최호규 국제문화기술진흥원 2024 The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 Vol.10 No.2

        본 연구는 사회적자본, 공동체의식이 사회경제적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해 실증적으로 검증하고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자면 사회적자본이 사회적경제인식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사회적자본(t=5.169, p<.001)은 사회적경제 인식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위요인인 신뢰(t=2.060, p<.05), 규범(t=2.536, p<.05), 참여(t=3.033, p<.01)가 사회적경제인식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공동체의식이 사회적경제 인식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공동체 의식(t=2.533, p<.05)은 사회적경제 인식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위요인인 상호영향의식(t=2.368, p<.05)이 사회적경제인식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impact of social capital on social economy awareness, social capital (t=5.169, p<.001)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social economy awareness. The sub-factors trust (t=2.060, p<.05), norms (t=2.536, p<.05), and participation (t=3.033, p<.01) were found to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social economy awareness.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impact of community spirit on social economy awareness, community spirit (t=2.533, p<.05)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social economy awareness. The subfactor, awareness of mutual influence (t=2.368, p<.05),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social economy awareness. Based on these results, the following implications were drawn. economic activities.

      • 녹색경제 활성화를 위한 환경규제 개선방안(Ⅲ)

        신동원,류소현,임형우,정우현,정인섭,순병민,최아름 한국환경연구원 2021 사업보고서 Vol.2021 No.-

        Ⅰ. 연구의 배경 및 목적 □ 녹색경제가 글로벌 의제로 인식되고 그 중요성이 강조되면서 환경과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한 녹색경제에 관한 연구와 이행 노력이 국내외에서 꾸준히 진행되고 있음 ○ 특히 전 세계적으로 탄소중립 목표를 선언하는 국가가 증가하고 있으며, 우리나라도 2020년 10월, 2050년 탄소중립 목표를 선포하였음 ○ 전 세계적으로 환경규제는 증가하는 추세이며, 기후변화 문제 외에도 폐기물, 화학물질, 물환경과 같은 제 분야 환경문제에 대한 환경규제의 활용 증가가 전망됨 □ 본 연구에서는 녹색경제 활성화를 위해 환경규제를 효과적이고 효율적으로 개선하고 운영하는 방안을 찾고자 함 ○ 3개년도 연구의 마지막 연차 과제인 본 연구에서 1, 2년 차 연구내용을 포괄함 ○ 규제자와 피규제자의 관점에서 환경규제에 대한 순응도와 이해도를 제고하고 적절한 정책수단을 활용하며, 환경규제를 설계, 실시하고 합리성을 제고하는 녹색경제 활성화를 위한 환경규제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함 Ⅱ. 녹색경제 활성화와 환경규제의 특성 1. 환경규제의 현황 및 분류 □ 환경규제는 환경보호 또는 환경보전이라는 공익을 달성하기 위해 환경행정의 주체가 사적 부문에 대한 제약을 두거나 개입하는 것을 의미함 ○ 정부와 공무원을 포함한 규제기관은 규제를 시행하고 피규제자는 규제 준수의 의무를 가지며, 규제이행에 대한 점검과 평가가 요구됨 □ 환경규제는 매체별(대기, 물환경, 화학물질, 재활용, 폐기물 및 자원순환)로 구분되며, 규제 수단 측면에서 규제의 성격, 문제해결 수단, 규제개입 범위, 방법과 주체를 기준으로 분류됨 ○ 본 과정에서는 2018~2020년 환경부 소관의 신설·강화된 주요 규제에 대한 동향을 분석하고 DB를 구축함 - 모든 매체에서 투입규제가 성과규제보다 많았으며, 투입규제는 기업에 대해 시장 진입 장벽으로 작용할 수 있어 녹색경제 활성화를 위해 세심한 설계가 필요함 - 모든 매체에서 명령지시규제가 시장유인규제보다 많으며, 단기적이고 직접적으로 정책목표를 달성할 수 있는 명령지시규제와 장기적으로 기업의 비용절감 노력과 기술혁신을 유도하는 시장유인규제의 적절한 활용이 필요함 - 모든 매체에서 포지티브 방식이 네거티브 방식보다 많아 녹색경제 활성화와 관련하여 피규제자의 자율성을 최대한 보장하여 비용절감과 기술혁신을 유도할 수 있는 결정이 필요함 □ 최근 ESG 경영과 RE100 목표 선언과 같은 기업의 자발적 환경규제가 대두하고 있으며, 이는 기존의 전통적인 환경규제를 보완할 수 있음 ○ 기업들은 자발적 규제를 수익성 개선을 위한 리스크 관리 측면으로 인식하고 적극적으로 환경목표 달성에 참여하고자 하는 의지를 보이며, 기존의 명령지시적, 시장지향적 규제의 보완재로 활용할 수 있음 - 외부 평가 및 모니터링 시스템을 통한 인증제도를 구축해 규제이행 여부를 확고히 하고 자발적 규제 내용 및 실적에 대한 정보공개 의무화와 준수 관련 정보의 공유가 필요함 - 특히, 정부의 지원을 통해 자발적 환경규제 준수가 용이한 환경조성이 요구되며 정부가 이해관계자의 협력적 관계를 도모하는 역할을 담당한다면 자발적인 규제준수가 수월하게 진행할 것으로 예상됨 □ 규제영향평가제도는 규제를 신설하거나 강화하는 경우에 사전적으로 파급효과를 예측하기 위해 실시하며, 최근에는 환경규제의 사후적 파급효과를 분석하여 규제를 개선해야 하는 필요성이 증대됨 - 규제 비용과 편익, 사전 및 사후적 환경영향에 대한 분석을 강화하여 규제 품질의 개선이라는 목적을 달성해야 함 2. 녹색경제의 현황 및 분류 □ 녹색경제는 기존 산업의 녹색화와 새로운 녹색산업의 창출을 모두 포괄하며, 포터가설은 기존 산업이 환경규제를 통해 친환경적으로 변모하는 녹색화를 설명함 □ 녹색경제를 이루는 녹색산업은 환경산업, 에너지 효율화 산업, 에너지산업, 온실가스 처리산업 등으로 분류됨 ○ 한국표준산업분류와 연계하여 파악한 결과, 2016년 이후 국내 녹색산업의 사업체수는 완만하게 꾸준히 증가하는 추세임 - 녹색산업으로 분류된 산업 내 매출액 역시 2019년 1,449조 원으로 2016년 대비 약 200조 원 상승함 3. 녹색경제 활성화를 위한 환경규제의 특성 □ 환경규제가 녹색경제에 미치는 효과는 환경규제로 인해 규제대상 기업의 매출과 고용 규모가 변화하는 일차적 효과와 환경규제로 인해 신기술이 개발, 도입되어 생산성이 개선되는 이차적 기술변화 효과로 구분됨 ○ 14개 업종별 패널자료를 활용한 환경규제, 기술혁신, 생산성 간의 그레인저 인과관계 검정을 실시함 - 전반적으로 환경규제와 기술혁신, 기술혁신과 생산성, 환경규제와 생산성 사이의 인과관계가 존재함을 분석함 □ 문헌분석 및 실증연구 결과로, 녹색경제 활성화를 위한 환경규제의 주요 특성은 규제설계의 적절성, 규제의 효율성, 규제집행과 순응의 용이성임 ○ 규제설계의 적절성은 규제의 목적이 보편적으로 적용되고 상이한 목적으로 분산되지 않음을 의미함 ○ 규제의 효율성은 피규제자와 규제자의 입장에서 규제 순응과 집행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짐을 의미함 ○ 규제집행의 용이성은 규제집행을 위해서 규제자가 활용할 수 있는 집행, 모니터링 및 징벌의 체제가 잘 구축되어 있음을 의미함 ○ 규제순응의 용이성은 규제가 피규제자의 입장에서 이해하기 쉽게 설계되어 있고 다른 규제와 독립적으로 이행되는 것을 의미함 Ⅲ. 녹색경제 활성화를 위한 환경규제 개선방안 도출 1. 환경규제의 녹색경제 활성화 효과에 대한 인식조사 □ 규제자와 이해관계자의 환경규제에 대한 인식을 파악하고자 설문조사를 실시했으며 환경규제의 녹색경제 활성화 요인에 대한 인식과 의견을 파악함 ○ 설문 결과, 규제자와 피규제자의 인식격차를 해소를 통해 규제 내용과 현장상황의 일치가 필요함 ○ 규제의 적절성 및 기술혁신 측면은 우수하지만 효율성, 녹색경제 활성화, 집행 및 준수는 부족하다고 응답하여 보완이 필요하며, 이와 관련해 자발적 환경규제의 보완적 활용이 필요함 ○ 목표 중심의 규제를 통해 특정 기술을 강제하지 않는다면 기술혁신 유도가 용이함 ○ 분담금 등 비용납부 형태로 대체 이행이 가능한 규제는 녹색경제 기술혁신 유인이 적음 ○ 환경규제를 통한 녹색경제 활성화 가능성에 대한 인식이 낮아 설계단계에서 이에 대한 고려가 필요함 2. 생산자책임재활용(EPR)제도의 녹색경제 활성화 사례분석 □ EPR의 녹색경제 활성화 사례분석을 통해 개별적 규제의 녹색경제 활성화를 위한 환경 규제 현황과 개선방안을 분석함 ○ EPR 제도를 통해 재활용산업의 양적 성장이 일어났다고 판단되지만, 여전히 자생적으로 수익을 내지 못하고 재활용사업자의 수익이 생산자의 분담금에 의존한다는 문제가 있음 ○ EPR 제도는 제품과 포장재의 재활용성 강화를 위한 기술 개발과 도입을 유도할 가능성이 있으며, 재활용성 향상을 위한 재질·구조 개선과 대체소재 관련 기술 수준이 향상됨 3. 규제영향분석제도 분석 □ 환경규제의 절차적 개선방안 도출을 위해 규제영향분석제도하에서 환경규제의 환경편익을 도출하는 방안과 재무적 관점에서 간접효과를 계산하는 방안을 제시함 ○ 사망 및 질병 인구로 인한 사회적 비용의 가치이전을 통해 비용편익분석서를 작성할 수 있음 ○ 각 규제의 정책목표에 해당하는 환경변화에 대한 편익을 계산하도록 직접적·간접적 항목을 제시해야 함 ○ 영업이익과 영업잉여의 비율을 활용해 재무적 관점에서 영업이익의 변화를 구할 수 있음 4. 녹색경제 활성화를 위한 환경규제 개선방안 □ 환경규제의 규제자와 피규제자 간 인식격차 해소를 위한 방안이 필요함 ○ 규제자, 피규제자, 자발적 규제 참여기업, 관련 사업체 등 이해관계자 간 의견 조율과 협력적 관계 구축이 필요함 ○ 규제 도입 시 및 규제 도입 후 적극적인 순응도 조사를 실시해 체감도 확인 및 규제 개선사항을 발굴해야 함 □ 환경규제를 준수하는 방법을 강제하지 않고 자율적인 방법을 선택하도록 하여 다양한 방식의 기술 개발을 촉진해야 함 ○ 시장유인규제를 충분히 활용하고 명령지시규제를 활용하더라도 피규제자의 자율성을 최대한 보장해야 함 ○ 목표중심의 규제를 활용하여 자발적 규제의 활성화 등 기업가치 제고와 신성장산업의 확장을 추구해야 함 □ 환경규제의 녹색경제 활성화 제고를 위해 규제설계 시 선행적인 고려가 필요하고 파급 효과 분석을 실시해야 함 ○ 환경규제로 인해 오히려 경제적 손해를 입는다고 생각하는 인식을 개선하기 위해 제 설계 시 다층적인 규제목표를 설정해야 함 ○ 정확한 파급효과 분석을 위해 녹색경제 분류체계를 체계적으로 구축하고 활용도를 개선해야 함 ○ 사후규제영향분석제도를 도입하고 이에 대한 다양한 방법론을 고려해야 함 Ⅳ. 결 론 □ 3개 연도 연구의 마지막 연차 과제인 본 연구에서는 지난 연구결과를 통합적으로 고려하여 규제자와 피규제자의 입장에서 녹색경제 활성화를 위한 환경규제의 개선방안을 제시함 ○ 2018~2020년에 신설·강화된 환경규제에 대한 DB를 구축하여 최근의 환경규제 동향을 파악함 ○ 녹색경제를 활성화하는 환경규제의 요소를 파악하기 위해 문헌조사를 실시하고 녹색 산업의 분류체계 및 통계자료를 수집하였으며, 국내 환경규제의 도입, 기술혁신, 생산성 증대의 인과관계에 대한 실증연구를 진행함 ○ 환경규제 개선방안 도출을 위해 대기와 폐기물 분야 규제를 대상으로 전문가 초점집단 인터뷰 및 규제자와 피규제자 인식조사를 실시했으며 EPR 제도에 대한 사례분석을 실시함 ○ 이를 바탕으로 녹색경제 활성화를 위한 정책수단인 환경규제의 개선방안을 제시함 - 환경규제의 규제자와 피규제자 간 인식격차 개선을 위해 이해관계자 간 의견 조율 및 협력적 관계 형성이 필요함 - 환경규제 준수에 있어 피규제자의 자율성을 최대한 보장해주는 목표중심적 규제를 적극적으로 활용해야 함 - 환경규제를 통해 녹색경제 활성화가 가능하다는 인식을 제고하려면 규제 도입 전의 설계와 도입 후의 지속적 분석 및 평가가 중요함 - 규제 도입 이전의 사전적 규제영향분석과 더불어 사후규제영향분석제도를 도입해야 함 Ⅰ. Background and Aims of Research □ Green economy has become a worldwide agenda item and many countries are pursuing policies for sustainable development and environment. ○ Especially, a number of countries including South Korea have announced ‘carbon neutrality’ goals and increased the practice of environmental regulations to control environmental problems. □ This study aims to suggest ways to improve environmental regulations in order to promote green economy based on the academic foundation built in the first and second-year studies. ○ From the perspective of the regulator and stakeholder, this study suggests ways to improve the acceptance and understanding of environmental regulation and to enhance the rationality of regulation design. Ⅱ. Concept of Green Economy and Environmental Regulation 1. Trend of environmental regulations □ Environmental regulation refers to the restriction and intervention of a governmental body to achieve public goals including environmental protection and reservation. □ Environmental regulation can be categorized according to medium― atmosphere, water, chemical, waste―and to measures―characteristic, solution, range of intervention, and subject. ○ This study constructs the database of newly enacted or strengthened environmental regulations under the Ministry of Environment between 2018 and 2020. □ Recently, voluntary environmental regulations by private actors such as ESG management and RE100 goals are receiving more attention in that they make up traditional environmental regulations by governments. ○ Private companies recognize voluntary regulations as measures to manage future risks and are actively involved in achieving environmental goals. □ A regulation impact assessment scheme is a mandatory process to predict the ripple effect of newly enacted or strengthened regulation. ○ There is an increasing need for the post-assessment scheme to improve environmental regulations. 2. Trend of green economy □ Green economy is an inclusive concept that involves greening of the conventional industry and creation of new green industry. ○ Green industry includes environmental industry, energy efficiency industry, energy resource industry, and greenhouse gas treatment industry. ○ According to the Korean Standard Industrial Classification data, the number of green industry companies in Korea has been growing steadily since 2016. 3. Characteristics of environmental regulations to promote green industry □ The effect of environmental regulation on green industry can be divided into the first round economic effect on revenue and employment of subject companies and the second round technology transformation effect on new development of technology and productivity increase. ○ This study conducted the Granger causality test following the logic of environmental regulation, technology innovation, and productivity using the panel dataset of 14 business types and the result approves that there is causality between the three variables. Ⅲ. Ways to Improve Environmental Regulation for Green Economy 1. Survey on the perception of the effects of environmental regulation on green economy □ This study conducted the expert Focus Group Interview to select five representative environmental regulations, each from atmosphere and waste-related regulation samples. □ A survey was conducted to understand the perceptions of regulators and stakeholders on environmental regulations. ○ The results imply that it is necessary to match the regulation and the field. ○ There is a high possibility of technology innovation in the case of goal-oriented regulations that do not force the use of particular technology ○ Regulations that can be observed with alternative payment have a lower chance of technology innovation. ○ Perception of both regulators and stakeholders on the possibility of strengthening green economy by environmental regulation is low. 2. Case study on Extended Producer’s Responsibility □ Due to the EPR regulation, the recycling industry has quantitatively increased but it still lacks the profitability. ○ The recycling industry’s profit mostly relies on the contribution of producers. ○ The EPR may induce technology innovation to further promote the recycling of products and tecnologhies related to alternative materials has already seen improvements. 3. Regulation Impact Assessment Scheme □ This study proposed a method to identify an environmental impact of regulation and its indirect effect on the fiscal aspect. 4. Implications □ It is important to bridge between regulators and stakeholders. ○ Regulators, stakeholders, and private companies should build a cooperative relationship. ○ Analyzing the acceptance rate of environmental regulation is needed before and after the introduction of regulation. □ Ways of observing environmental regulations should be diverse and people should be able to choose among them. ○ Market-based regulation should be actively used and command and control regulation should also maximize the autonomy of subjects. ○ Goal setting regulations can promote voluntary regulation and increase corporate values. □ Knowing the impacts of environmental regulation before and after the introduction is important. ○ It is important to inform regulators and stakeholders that environmental regulation is one of the policy measures that can improve green economy and help achieve other goals. ○ It is important to build a data category of green economy to predict and assess accurate impacts of individual regulations. ○ Post-assessment using various methodologies should be mandatory. Ⅳ. Conclusion □ This study has suggested way to improve environmental regulations to promote green economy from the perspective of regulators and stakeholders by integrating the implications of the first and second-year studies. ○ This study constructed the database of newly enacted or strengthened environmental regulation between 2018 and 2020.

      • KCI등재

        사회적경제 인식은 공동체의식과 임파워먼트에 영향을 미치는가? : 서울시민의 인식을 중심으로

        조상미(Sangmi Cho),박윤세(Yoonsei Park),정지수(Jeesoo Jung),정선희(Sun Hee Chung),정승애(Seung Ae Jung) 충북대학교 국제개발연구소 2021 사회적경제와 정책연구 Vol.11 No.2

        사회적경제는 시민이 주체가 되어 자발적으로 공동체 속에서 사회문제를 해결하는 방식으로, 오랜 역사 속에서 존재해온 가치이다. 국내 사회적경제는 2000년대 이후 법적·제도적 기반 마련을 토대로 급속한 양적 성장을 이루었으나, 대중의 인식은 여전히 낮게 나타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지금까지 사회적경제 분야 연구에서 상대적으로 주목받지 못했던 시민의 인식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내용은 첫째, 통합적으로 사회적경제 인식을 측정하기 위해 문항을 개발하고, 둘째, 서울 시민을 대상으로 하여 사회적경제 인식이 공동체의식과 임파워먼트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았다. 연구결과, 사회적경제 인식을 ‘전반적 인지’, ‘조직 인지’, ‘현재 인식’, ‘미래 기대’ 네 가지 하위요인으로 분류할 수 있었다. 또한, 사회적경제에 대한 인식이 높을수록 공동체의식이 상승하고 임파워먼트가 확대되는 긍정적인 영향력을 보였다. 본 연구는 사회적경제 인식 측정도구 개발에 관한 최초의 연구이자, 대규모의 실증 데이터를 활용하여 사회적경제 인식의 영향을 살펴본 연구라는 점에서 의의가 있으며, 추후 사회적경제 인식에 관한 기초 연구자료로 활용이 가능할 것이다. This study intends to develop an instrument for measuring the perception of Social Economy and explore how it affects the sense of community and empowerment. The sample included 1,302 Seoul citizen through Proportionate Stratified Sampling. Factor Analysis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4 sub-factors (General Awareness, Organization Awareness, Current Perception, and Future Expectations) were extracted and Current Perception was the most critical factor. Both the sense of community and empowerment became stronger as the perception got higher. This study is the first research to develop the measurement of the perception of Social Economy and it is unique and meaningful as it investigates the effects of the Social Economy perception on the sense of community and empowerment.

      • KCI등재

        학술논문: 유아 경제교육내용에 대한 교사의 인식 -국가고시 유치원 교육과정에 기초한 경험학습 중심의 공동체적 유아 경제생활 교육 프로그램 모형 개발을 위한 기초 연구Ⅲ-2

        김숙자 ( Suk Ja Kim ),박현진 ( Hyun Jin Park ),김혜숭 ( Hye Seung Kim ) 한국경제교육학회 2010 경제교육연구 Vol.17 No.2

        본 연구는 유아 경제교육내용에 대한 교사의 인식을 분석하는 조사연구이다. 연구대상은 전국 5개 지역 (강원, 경기, 경상, 전라, 충청)과 5개 도시 (광주, 대 구, 대전, 부산, 서울)의 유아교육기관 교사 415명이다. 연구방법은 조사방법이며, 설문지는 경제교육 필요성 인식, 경제 관련 개념에 대한 교사의 친숙정도와 유아시기에 대한 적절성, 그리고 경제개념별 교육내용의 실시여부와 적합성 및 필요성에 대한 인식으로 구성되었다. 분석 결과, 첫째, 대부분의 교사들은 `경제교육이 필요 하다`고 인식하였고, 필요성을 인식하는 교사들 중 절반정도가 `경제교육을 실시하고 있다`고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교사들 대부분 경제교육 실시여부에 따른 경제교육내용에 대한 적합성과 필요성에 대한 인식 차이가 크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경제교육을 실시하고 있다`고 인식하는 교사들 과반수가 `무역`을 제외한 대부분의 경제교육내용을 실시하고 있다고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and analysis teachers` perception of economic education contents for young children. To achieve this purpose, the subjects were 415 early childhood teachers who were working in 5 provinces, Gangwon-do, Gyeonggi-do, Gyeongsang-do, Jeolla-do, and Chungcheong-do, and 5 metropolitan cities, Seoul, Gwangju, Daegu, Daejeon, and Busan. In this study, a survey research method was used. The questionnaire was consisted of teacher`s understanding and the status of economic education. The frequency and percentage were applied to analyze the collected data. The multiple response analysis and chi square tests were used to find out the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eacher`s educational careers, educational backgrounds and educational institut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early childhood teachers showed the highest level of recognition to the need for economic education and `the formation of the basic life habits related to economy` as the goal of economic education. Second, teachers who recognized the implementation of economic education responded suitability degree and necessity degree of education contents according to economic concepts. Third, almost half of teachers who recognized the necessity of economic education were to implement economic education.

      • KCI등재

        사회적경제 참여 의도의 영향요인 규명: 인식과 참여 경험을 중심으로

        유한나 한국협동조합학회 2023 韓國協同組合硏究 Vol.41 No.2

        This study was initiated with the premise that citizen participation is essential for the sustainability of the social economy (SE). In order to achieve this goal, it is crucial to identify the factors that influence participation intentions and establish effective methods to raise awareness and develop strategies for facilitating participation experiences. Accordingly, this study examines the differences in SE social awareness (conceptual awareness, value awareness) according to SE participation experiences (activity, consumption, and work) and identified the factors influencing participation intention. As a result, SE participation experiences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both conceptual and value perception of the SE. In addition, the factors that have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the participation intention in the SE were activity experience, consumption experience, concept awareness, and value awareness. Among the demographic variables, it was observed that women exhibited a higher intention to participate than men. This result provides valuable implications for promoting and revitalizing participation in the SE. 사회적경제의 활성화와 지속가능성을 위해서는 다양한 이해관계자의 참여가 필요하다. 이를 위해서는 참여 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규명하고, 이를 바탕으로 효과적인 인식 확산 방안과 참여 경험 제공 전략을 수립할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사회적경제 참여 경험(‘활동 경험’, ‘소비경험’, ‘근무 경험’)별 사회적경제 인식(‘개념 인식’, ‘가치 인식’) 차이를 살펴보고, 참여 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규명하였다. 서울시민 1,300명 대상의 조사 결과를 활용하여 위계적 회귀분석을 수행한 결과, 사회적경제 활동 경험, 소비경험, 근무 경험은 사회적경제의 개념 인식과 가치 인식에 모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쳤다. 또한, 사회적경제 참여 의도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활동 경험, 소비 경험, 개념 인식, 가치 인식으로 나타났다. 인구통계학적 변수 중에서는 여성이 남성보다 참여 의도가 높았다. 본 연구는 사회적경제 참여 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참여 경험과 인식의 개념을 구분하고 이를 실증적으로 규명함으로써 사회적경제 영역의 참여 촉진과 활성화를 위한 시사점을 제공한다.

      • 유아경제교육에 대한 교사와 부모의 인식

        홍순옥(Soon-Ohk Hong),김미경(Mi-Kyoung Kim) 경성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06 인문학논총 Vol.11 No.1

        본 연구는 유아경제교육 내용에 대한 교사와 부모의 인식을 알아보고 그 차이를 조사함으로써 현재의 유치원과 가정에서의 유아경제교육 내용의 현황을 파악하고 이를 근거로 유아에게 필요한 경제교육 내용을 계획하는데 있어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유아경제교육의 내용을 소비, 돈, 직업과 일, 물건구매 및 시장개념, 광고, 생산 등 6가지 영역으로 나누었다. 연구의 대상은 부산광역시에 소재한 유치원 현직교사 190명과 유치원에 다니는 자녀를 둔 아버지 190명, 어머니 199명이다, 장명주(2004)가 사용한 유아경제교육의 인식조사 도구에서 사용한 질문지를 근거로 본 연구의 목적에 맞는 유아경제교육의 내용부분을 수정, 보완하여 재구성하였으며 예비조사와 본 조사를 거쳐 자료를 모으고 자료는 빈도, 백분율, x²검증으로 통계처리 되었다. 분석을 통한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경제교육내용 중 소비에 대해서는 물건을 아껴 쓰는 태도 기르기를 교사와 부모 모두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였고, 소비자의 권리를 알게 하기는 어머니가, 잃어버린 물건 되찾기는 교사가 상대적으로 높게 인식하여 유의미한 인식의 차이를 나타내었다. 둘째, 돈에 대해서는 저축의 필요성을 안다가 가장 중요한 내용으로 인식되었는데 그중 교사의 인식이 가장 높았고, 어머니, 아버지는 ‘보통이다’에도 인식을 보여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셋째, 물건구매와 시장개념은 물건 구입 시 물건의 수량이나 거스름돈 확인하기를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였고, ‘필요한 물건을 사전에 계획하여 구입 한다’에는 어머니, 교사 순으로 높은 인식을 나타내었지만 아버지는 상대적으로 낮은 인식을 보여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넷째, 직업과 일에서는 여러 가지 직업의 종류알기는 교사의 인식이 가장 높았고, 일을 함으로써 상품과 서비스를 생산하며 수입이 생긴다는 것을 알게 한다는 어머니, 아버지가 더 높은 인식을 보여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다섯째, 생산에서는 물건을 함부로 버리지 않고 재활용하는 습관 기르기와 쓰레기 분리수거하는 습관 기르기가 교사, 어머니의 높은 인식을 나타내어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여섯째, 광고에는 비싸고 예쁜 물건보다는 실용적이고 안전한 것이 더 좋음을 알기가 교사, 부모 모두의 높은 필요성을 나타내었고 그 외의 항목은 어머니의 인식이 가장 높아 인식의 차이를 보였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후속연구를 위해 제언하였다. This study intends to analyze the present actual conditions of economic education contents for young children in both kindergartens and families through looking into teachers, fathers and mothers' recognition. This research has been conducted using questionnaires of 190 Kindergarten teachers, 190 fathers and 199 mothers who have Kindergarteners within Pusan City.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regarding consuming out of six child economic educational content items, both teachers and parents thought of developing habit of sparing objects to be most important; mothers thought of knowing the consumer rights and teachers thought of searching for lost objects to be most important. Second, regarding money, knowing the necessity of saving was acknowledged to be the most important content. Teachers had the highest acknowledgement on this matter. Third, regarding buying goods and market concept, both teachers and parents thought of confirming change or objects' amount when buying goods to be most important regarding buying goods and market concept. Fourth, regarding occupation and work, teachers had highest acknowledgement for knowing various types of occupations. Fifth, regarding production, teachers and mothers' acknowledgements were high on developing habit of recycling, not throwing trash allover the place, and collecting garbage by its kinds. Sixth, regarding advertisement, both teachers and parents showed high necessity to know practical and safe goods are better than expensive and pretty ones.

      • 유아 사교육에 대한 학부모의 수요동기 및 인식, 주거환경 및 사회경제적지위에 대한 인식이 사교육 참여 개수 및 비용에 미치는 영향

        김성욱,박명희 한국사교육연구협의회 2022 사교육연구 Vol.2 No.1

        본 연구는 서울시의 강남구, 서초구, 송파구에 소재하고 있는 반일제 이상 교육기관(일명 영어유치원)에 다니는 유아 의 부모를 대상으로, 유아 사교육 수요동기 및 인식, 주거환경 및 사회경제적지위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고, 이러한 요인 들이 사교육 참여 개수 및 비용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통해 학부모가 자녀 사교육과 관 련된 요인을 다면적으로 검토하고, 인식을 전환함으로써 과열된 유아 사교육이 완화되는 방안을 모색하였다. 이를 위해 학부모 396명을 대상으로 설문자료를 수집하였으며, IBM SPSS statistics 2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자료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부모의 사교육 수요동기는 자녀의 인적자본을 축적하기 위해, 자녀를 잘 키우고 자, 자녀가 좀 더 나은 졸업장을 획득하게 하고자, 남들이 사교육을 받기 때문에, 자녀가 경쟁우위를 점하게 하고자 하는 순서로 분석되었다. 학부모의 사교육에 대한 인식은 기대감이 높은 반면, 부담감과 의존도는 상대적으로 낮고, 주거환경 보다 사회경제적지위에 대한 인식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사교육 참여 개수는 자녀를 적게 낳는 만큼 잘 키우고 싶은 마음이 클수록, 부모의 학력과 소득이 높을수록, 자녀의 연령이 올라갈수록 많았다. 사교육비용은 자녀의 인적자본 을 축적하고 싶은 마음이 높을수록, 주거환경이 사교육에 노출되어 있고, 부모의 소득수준과 사교육경험이 있을수록, 자 녀의 연령이 높을수록, 부모가 해외거주 경험이 없을수록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사교육 수요동기 및 사교육 인식 과 사교육비용 간의 관계에서 주거환경 및 사회경제적지위 인식은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motives and perceptions of the demand for private tutoring for infants, the residential environment and socioeconomic status of the parents of children attending half-day or higher tutoring institutions (English kindergartens) located in Gangnam-gu, Seocho-gu, and Songpa-gu, Seoul and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these factors on the number and cost of private tutoring participation. Through this, parents review the factors related to their children's private tutoring from multiple perspectives and ways are sought to alleviate the overheated private tutoring for children by changing their perceptions. For this purpose, questionnaire data were collected from 399 parents, and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IBM SPSS statistics 20.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parents' motivation for private tutoring is to accumulate their children's human capital, to raise their children well from an educational point of view, to have their children obtain a better diploma, to have their children educated in the same way with others, and to get their children to gain a competitive advantage. While parents' perception of private tutoring has high expectations, the economic burden and dependence on private tutoring are relatively low, and parents' perception of socioeconomic status is higher than their residential environment. Second, factors affecting the number of participating in private tutoring are human capital accumulation, consumer choice, parents' educational background and income level, and the child's age. Factors affecting private tutoring expenses were human capital accumulation, living environment, parents' overseas residence experience, income level, private tutoring experience, and children's age. Third, it was found that the perception of residential environment and socioeconomic status had a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s' motivation for private tutoring, perception of private tutoring, and private tutoring cost.

      • KCI등재

        유아경제교육에 대한 부모의 인식 및 실시 현황

        정혜영(Jung Hye Young),서현아(Seo Hyun Ah),박순호(Park Soon Ho),변윤희(Buyn Youn Hee)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08 열린유아교육연구 Vol.13 No.2

        본 연구는 전국적인 표본을 수집하여 유아경제교육에 대한 아버지와 어머니의 인식 및 실시현황을 알아보는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서울 부산 대구 대전, 광주 지역 소재 유치원에 재학 중인 3 4 5세 유아의 부모 2000명(아버지 1000명 어머니 1000명)을 대상으로 2006년 12월부터 2007년 4월 사이에 설문지를 배부하여 회수된 1786부(아버지 874부 어머니 912부)의 설문지를 분석 대상으로 하였다. 자료를 분석한 결과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아버지 어머니 모두 경제교육에 대한 관심도 및 필요성은 높으며 특히 어머니가 아버지보다 유아의 경제교육에 대한 필요성을 더 많이 인식하고 있었다. 둘째, 유아경제교월에 대한 목표와 내용의 인식에서는 부모 모두 경제교육의 목표로 경제에 관련된 기본생활 습관 형성과 경제적인 문제에 대한 합리적인 의사결정 능력의 배양이라는 공통된 의견을 보였으며 경제교육의 담당자에 대해서도 조사대상 아버지와 어머니의 의견 모두 스스로기 경제교육의 담당자라는 일치된 인식을 가지고 있었다. 또한 경제교육의 내용 영역별 중요도 인식에서는 소비와 생산, 직업과 일 돈 등의 순으로 순서에 있어서는 부모의 의견이 일치하였으나 하위영역별로 어머니가 아버지에 비해 내용 중요도를 전반적으로 더 높게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유아 경제교육의 실시현황은 과반수이상의 부모들이 일치된 의견으로 가정에서 경제교육을 실시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특히 어머니기 아버지보다 더 많이 실시하는 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parents' recognition, the current status, and requirements of early childhood economic education. For this purpose, the research questions: 1. What is the parents' recognition of early childhood economic education? 2. What are the parents' requirements of early childhood economic education? 3. What is the parents' current status of early childhood economic education? To accomplish this project, we have researched parents from Seoul and 4 other major cities (Pusan, Daegu, Daejun, KwangJu). Research was conducted from December of 2006 through January of 2007. 2000 research questionaires were given to the parents, and 1786 completed questionaires were collected. The research data was analyzed by using SPSS/PC WIN(ver. 13.0).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both fathers and mothers tended to show high interest in and the necessity of early childhood economic education. Mothers especially showed an even higher interest in early childhood economic education and deemed it as necessary. Second, both fathers and mothers tended to show high recognition regarding establishing good economic life skills and having a rational, economic decision making ability as the goal of early childhood economic education, and they believe parents are the best people to be in charge of providing early childhood economic education. Furthermore, in recognition about important contents of early childhood economic education, both fathers and mothers tended to agree that production and consumption, occupation and employment, and money were most important (in order or importance). But regarding subcontents, mothers tended to show more interest in early childhood economic education as an important matter. Third, regarding the parents' current status of early childhood economic education, fathers and mothers both tended to show high involvement in teaching early child economic education program at home. Especially mothers tended to be more actively involved in teaching early childhood economic education.

      • KCI등재

        사회적 경제에 대한 인식과 사회적 경제 조직의 성과

        홍현우 충북대학교 국제개발연구소 2022 사회적경제와 정책연구 Vol.12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mpirically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level of awareness of social economy and the performance of social economy organizations. The Local Resource Survey (2020) was used for this analysis. We classified regions as having high awareness of the social economy and low awareness of the social economy on the basis of the local residents' awareness of the social economy. We compared the performance of social economy organizations within two regions and found that the sales of social economy organizations in the region with high awareness of the social economy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in the region with low awareness of the social economy. This result shows the necessity and potential effectiveness of a policy to strengthen awareness of the social economy. On the other hand, we found that operating profits, the number of vulnerable people employed, and the employment ratio of vulnerable to non-vulnerable people did not have significant relationships with the level of awareness of the social economy. 본 연구는 사회적 경제에 대한 인식 수준과 사회적 경제 조직의 성과 간의 관계를 실증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분석을 위해 2020년 한국사회적기업진흥원의 지역자원조사를 이용하였다. 지역 주민의 사회적 경제에 대한 인지 여부를 바탕으로 사회적 경제에 대한 인식 수준이 높은 지역과 낮은 지역을 구분한 후, 두 지역 사회적 경제 조직의 경제적 성과와 사회적 성과를 비교하였다. 분석결과, 사회적 경제에 대한 인식 수준이 높은 지역에 속한 사회적 경제 조직의 매출액이 인식 수준이 낮은 지역에 속한 조직의 매출액 보다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사회적 경제 조직에 대한 수요 강화 정책의 필요성과 효과성을 보여주는 결과이다. 한편, 영업이익, 취약계층 고용규모, 취약계층 고용비율은 사회적 경제에 대한 인식 수준과 유의한 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사회성과 종류와 창출 방법을 고려하여 사회적 경제 조직의 성과를 분석해야 함을 의미한다.

      • KCI등재

        유아경제교육의 운영실태 및 개선방안에 대한 조사연구

        이종향,안진경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2016 유아교육학논집 Vol.20 No.3

        본 연구는 전북과 경남지역 4개 도시 유아교사 256명을 대상으로 경제교육의 운영실태, 경제교육의 운영방법, 경제교육의 개선방안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여 유아경제교육의 기초정보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은 조사방법이며, 설문지는 경제교육의 운영실태, 경제교육의 운영방법에 대한 인식, 경제교육의 개선방안으로 구성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경제교육의 운영실태는 유치원이 어린이집보다 경제교육의 운영에 적극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경제교육의 운영방법에 대한 인식에서 교사들은 경제교육을 다소 필요한 것으로 인식했고, 목적과 내용에서는 경제생활습관이 주로 다루어야 하며, 교수방법에는 통합적 접근, 평가방법에서는 관찰법을 주로 사용해야 하는 것으로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배경변인에 따라 일부 차이가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셋째, 경제교육의 개선방안에서는 다양한 프로그램 개발 및 보급과 경제교육에 대한 인식전환이 요구되며 아울러 유아교사의 전문성 신장을 위한 교사 재교육 시스템 구축이 다소 필요한 것으로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본 연구는 유아교사의 경제교육 관련 전문성 신장을 위한 기초자료로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an operation, actual condition and improvement plan of economic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The subjects used in this research were 256 early childhood teachers who were working in 2 Provinces. In this study, a survey method was used. The questionnaire was consisted of teacher’s operation, actual condition and improvement plan. The frequency and percentage were applied to analyze the Collected data. The multiple response analysis and chi square test, t-test, F-test were used to find out the significant difference of teacher’s a background variable.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early childhood teachers in kindergarten emerged more positive attitude than early childhood teachers in nursery school. Second, the recognition of early childhood teachers about economic education was higher than the usual level. Their awareness coincided for economic education’s purpose and content but not coincided economic education’s teaching method and assessment method. Third, the improvement plan of early childhood teachers emerged that they was need for awareness’ turnover, content’ accuracy, enough teaching materials and tools. Also early childhood teachers need a retraining system. The results obtained in this study could be used as a basis for the economic education professional development of early childhood teache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